KR20240153336A - 자발광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발광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3336A KR20240153336A KR1020247028630A KR20247028630A KR20240153336A KR 20240153336 A KR20240153336 A KR 20240153336A KR 1020247028630 A KR1020247028630 A KR 1020247028630A KR 20247028630 A KR20247028630 A KR 20247028630A KR 20240153336 A KR20240153336 A KR 20240153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self
- layer
- luminous display
-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06010052128 Glar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5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01882 di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LIVNPJMFVYWSIS-UHFFFAOYSA-N silic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Si-]#[O+] LIVNPJMFVYWS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group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3077 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26 chemical strengthen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961 organo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1143 Hypo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55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93 acrylonitril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66 anti-fingerpri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SGAYBCDTDRGGQ-UHFFFAOYSA-L calc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45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737 colorimetr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88 crystalline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7909 oculocutaneous albin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015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CUZVMOVTVSBLE-UHFFFAOYSA-N prop-2-enenitril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N.C=CC1=CC=CC=C1 SCUZVMOVTVSB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DFHBQSCUXNBSA-UHFFFAOYSA-N 5-(5-carboxythiophen-2-yl)thiophe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S1C(C(=O)O)=CC=C1C1=CC=C(C(O)=O)S1 DDFHBQSCUXNB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ZVHEAJQGPRDLQ-UHFFFAOYSA-N 6-phenyl-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C=2C=CC=CC=2)=N1 GZVHEAJQGPRD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KTSYUJCYHOUJP-UHFFFAOYSA-N [O--].[Al+3].[Al+3].[O-][Si]([O-])([O-])[O-] Chemical compound [O--].[Al+3].[Al+3].[O-][Si]([O-])([O-])[O-] YKTSYUJCYHOU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07 aluminobor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4 alumin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17 anti-reflectiv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67 anti-refl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88 bor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0 hydrogen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5 lea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55 polyphenylen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9 polyvinyl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3 silicon-contain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7 smec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11 transmiss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4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of an 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non-metal coat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갖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구비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반사 방지막은, 광 흡수능을 갖고,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적어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표시 장치(유기 EL 표시 장치)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등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백라이트가 불필요하여, 박형화·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LED 칩의 자발광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높은 휘도와,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OLED 표시 장치는, 통상, 유기 발광층이, 전극(양극, 음극) 사이에 끼워진 발광 소자를 갖는다. 그리고,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을 취출하기 위해, 한쪽의 전극에는 투명한 재료인 ITO(Indium Tin Oxide, 주석을 도프한 산화인듐)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쪽의 전극에도 반사율이 높은 금속 재료 등이 사용된다. 이들 금속 재료는, 반사율이 매우 높아, 외광(예를 들어, 외부 조명이나 자연광 등)을 그대로 반사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광이 표시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켜, 콘트라스트 저하나 전극이 외광을 반사하는 것에 의한 투영이 과제였다.
또한,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기판의 전체 영역에서 LED 칩이 실장되지 않는 부분, 즉, 서로 인접하는 픽셀의 사이의 노출된 기판 영역에서의 외 광 반사가 문제로 된다. 특히, 마이크로 LED 칩 각각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기판 상에 해당의 마이크로 LED 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극 패드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는 경우, 이와 같은 노출된 전극 패드의 일부 영역에 의한 외부광의 반사가 더 현저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극 패드에 의한 외광의 반사나 노출된 기판 영역에 의한 외부광의 반사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저하나 투영도 과제였다.
상기 투영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OLED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편광판을 배치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만(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편광판에 의한 흡수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나빠, 휘도가 낮아지고, 또한 제조 비용도 상승한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편면이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래어 처리된 기재와, 착색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고,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착색제가 가시광을 흡수함으로써, 상술한 외광 반사에 의한 투영을 억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광학 적층체를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 외광은 점착제층에 도달하기 전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래어 처리된 기재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그 기재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버리면, 점착제층에까지 입사하는 광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착색제에 의해 입사광과 하층 계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어,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나빠져, 시인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광의 투영이 충분히 억제되어,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투명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갖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구비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반사 방지막은, 광 흡수능을 갖고,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적어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2)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시감 투과율(Y)이 20 내지 90%인, 상기 (1)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3) 상기 유전체층 중 적어도 1층이, 주로, Si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 구조의 층 중 다른 적어도 1층이, 주로,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로 구성되고,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A군의 원소와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의 합계에 대한,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의 함유율이 65질량%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4)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과,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의 비인, SCE Y/SCI Y가 0.15 이상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5)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이 1.5%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6)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이 0.05% 이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7)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이 5 이하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8) 헤이즈값이 1% 이상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9) 상기 반사 방지막의 시트 저항이 104Ω/□ 이상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0) 상기 투명 기체와 반사 방지막 사이에, 안티글레어층 및 하드 코트층 중 적어도 한쪽의 층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1) 상기 반사 방지막 상에 방오막을 더 갖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2) 상기 투명 기체가 유리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3) 상기 투명 기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콘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4) 상기 투명 기체가, 유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콘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의 적층체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5) 상기 유리가 화학 강화되어 있는, 상기 (12) 또는 (14)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6) 상기 투명 기체는, 상기 반사 방지막을 갖는 측의 주면에 방현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17) OLED 표시 장치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인,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외광의 투영이 충분히 억제되어,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OLED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OLED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기체의 주면 상이나,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 등의 층 상이나 반사 방지막 등의 막 상에 다른 층이나 막 등을 갖는다란, 당해 다른 층이나 막 등이 상기 주면, 층, 또는 막에 접하여 마련되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상부 방향으로 층이나 막 등이 마련되는 양태이면 된다. 예를 들어, 투명 기체의 주면 상에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란, 투명 기체의 주면에 접하도록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투명 기체와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 사이에 다른 임의의 층이나 막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는, 투명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갖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방지막은, 광 흡수능을 갖고,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적어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OLED 표시 장치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100)는, 자발광 디스플레이(10) 상에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를 구비한다. 자발광 디스플레이(10)는 발광 소자를 갖고, OLED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OLED 발광 소자(32)를 구비하고,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41)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OLED 표시 장치(200)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양태의 OLED 표시 장치(200)는, 음극(31)과, OLED 발광 소자(32)와, 양극(33)과,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를 이 순으로 구비한다. OLED 발광 소자(32)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 수송층, 발광층 및 정공 수송층을 갖는다. 음극(31), 양극(33)에 대해서도,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300)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양태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300)는,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41)와,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를 이 순으로 구비한다.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41)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 LED, 반도체 회로(배선/구동 회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을 갖는다.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
계속해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4는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2개의 주면을 갖는 투명 기체(이하, 단순히 투명 기체라고도 함)(22)의 한쪽의 주면 상에, 임의의 층으로서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23)을 구비하고,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23) 상에 반사 방지막(다층막)(24)을 구비한다. 또한, 투명 기체(22)의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주면 상에, 점착제층(21)을 구비해도 된다.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는, 점착제층(21)을 통해, 자발광 디스플레이(10)에 첩부된다.
<투명 기체>
본 양태에 있어서의 투명 기체는, 굴절률이 1.4 이상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이면, 디스플레이나 터치 패널 등을 광학적으로 접착하는 경우, 접착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굴절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7 이상이며,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투명 기체는, 유리 및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는 유리 및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가 갖는 높은 표면 평탄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깔끔한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투명 기체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균열되기 어려워, 유리와 비교하여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수지로서 PET나 TAC 등의 투명 필름을 선택한 경우, 방현 처리로서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롤로의 연속 가공이 가능해져,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재질의 미립자를 안티글레어층으로서 도포함으로써, 유리 표면을 에칭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안티글레어층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투명 기체가 유리 및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안티글레어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유리에 접합하거나 함으로써, 투명 기체로서 유리와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리가 갖는 평탄성과 수지에 의한 비산 방지 기능이나 설계 자유도가 높은 안티글레어층 등, 유리와 수지 양쪽의 이점을 갖게 할 수 있다.
투명 기체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다양한 조성을 갖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유리는 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성형, 화학 강화 처리에 의한 강화가 가능한 조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소다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납 유리, 알칼리바륨 유리, 알루미노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기체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투명 기체는 유리 기체라고도 한다.
유리 기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유리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통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0.2㎜ 이상이다.
유리 기체는, 화학 강화된 화학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유리 기체에 후술하는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는,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후, 반사 방지막(다층막)을 형성하기 전에 행한다.
투명 기체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다양한 조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 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불소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콘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무색 투명이며 고투과, 저산란이며, 입수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하고, 또한, 하드 코트나 점착제의 주성분으로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기체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투명 기체는 수지 기체라고도 한다.
수지 기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필름상이나 판상 등을 들 수 있지만, 비산 방지의 점에서는 필름상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체의 형상이 필름상인 경우, 즉 수지 필름인 경우, 그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2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188㎛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기체의 형상이 판상인 경우, 즉 수지판인 경우, 그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0.2㎜ 이상이다.
투명 기체가 유리 및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유리 기체 상에 상기 수지 기체를 구비하는 양태여도 된다.
<안티글레어층, 하드 코트층>
본 양태에 있어서의 투명 기체의 표면 중, 후술하는 반사 방지막을 마련하는 측에, 안티글레어층 및 하드 코트층 중 적어도 한쪽의 층을 마련해도 된다. 즉, 투명 기체와 반사 방지막 사이에 안티글레어층 및 하드 코트층 중 적어도 한쪽의 층을 마련해도 된다.
투명 기체가 유리 기체인 경우에는, 유리 기체 상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가 수지 기체인 경우에는, 수지 기체 상에 하드 코트층을 마련하는 양태, 또는 수지 기체 상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는, 그 주면 상에 안티글레어층을 가짐으로써, 즉, 투명 기체의 표면에 방현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에 의한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기체 등의 투명 기체가, 그 주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가짐으로써, 표면 경도가 높아져, 흠집 내성이 향상된다. 즉, 자발광형 표시 장치의 표면 보호 기능이 향상된다.
안티글레어층은, 그 편면이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의 산란을 발생시켜, 헤이즈값을 높게 하여, 방현성을 부여한다. 안티글레어층은,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그것 자체가 방현성을 갖는 입자상의 물질을, 바인더로서의 고분자 수지를 용해한 용액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안티글레어층 조성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안티글레어층은, 상기 안티글레어층 조성물을, 예를 들어 투명 기체의 한쪽의 주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방현성을 갖는 입자상의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타늄, 합성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스멕타이트 등의 무기 미립자 외에, 스티렌 수지, 우레탄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는 유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조성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상기 하드 코트층 조성물을, 예를 들어 수지 기체 등의 투명 기체의 한쪽의 주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티글레어층이나 하드 코트층의 바인더로서의 고분자 수지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체와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적층체(이하, 단순히 적층체라고도 함)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기체-안티글레어층, 수지 기체-하드 코트층, 유리 기체-안티글레어층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기체-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안티글레어 PET 필름이나 안티글레어 TAC 필름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티글레어 PET 필름으로서는,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EHC-10a나,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코제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티글레어 TAC 필름으로서는, 도판 TOMOEGAWA 옵티컬 필름사제, 상품명: VZ50, 도판 TOMOEGAWA 옵티컬 필름사제, 상품명: VH66H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기체-하드 코트층으로서는, 하드 코트 PET 필름이나 하드 코트 TAC 필름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드 코트 PET 필름으로서는,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터프톱, 가부시키가이샤 기모토제, 상품명: KB 필름 G01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트 TAC 필름으로서는, 도판 TOMOEGAWA 옵티컬 필름사제, 상품명: CHC 등을 들 수 있다.
유리 기체-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유리 기체의 반사 방지막을 갖는 측의 주면에 방현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티글레어층이 마련됨으로써 얻어진다.
방현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유리 기체의 주면에 대해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원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기체의 주면에 화학적 처리를 행하는 방법, 예를 들어 프로스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프로스트 처리는, 예를 들어 불화수소와 불화암모늄의 혼합 용액에, 피처리체인 유리 기체를 침지하여, 침지면을 화학적으로 표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스트 처리와 같은 화학적 처리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어 결정질 이산화규소분, 탄화규소분 등을 가압 공기로 유리 기체의 표면에 분사하는 소위 샌드블라스트 처리나, 결정질 이산화규소분, 탄화규소분 등을 부착시킨 브러시를 물로 적신 것으로 닦는 등의 물리적 처리에 의한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유리 기체-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부시키가이샤 NSC제, 상품명: AG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막>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은, 광 흡수능을 갖는다. 여기서, 반사 방지막이 「광 흡수능을 갖는다」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반사 방지막의 시감 투과율이 9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즉, 유리 기체 등의 투명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마련하고, JIS Z 8709(1999년)의 규정에 따라서 분광 측색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 흡수능을 갖는 반사 방지막이,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광이 들어가는 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반사 방지막과 투명 기체나 점착제층에서 반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양호해져, 시인성이 우수하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상기 시감 투과율은, 85%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율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유전체층이나 제2 유전체층의 성분을 특정하여, 산화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휘도의 관점에서, 통상 20% 이상이다. 반사 방지막에 광 흡수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유전체층이나 제2 유전체층의 성분을 특정하여, 산화율을 조제하는 등을 들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은,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적어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를 가져,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반사 방지막(다층막)(24)은, 서로 굴절률이 다른 제1 유전체층(24a), 제2 유전체층(24b)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이다. 서로 굴절률이 다른 제1 유전체층(24a), 제2 유전체층(24b)을 적층시킴으로써, 광의 반사를 억제한다. 제1 유전체층(24a)이 고굴절률층이며, 제2 유전체층(24b)이 저굴절률층이다.
도 4에 도시한 반사 방지막(다층막)(24)에 있어서, 제1 유전체층(24a)은, 주로,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해당 혼합 산화물은,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A군의 원소와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의 합계에 대한,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 함유율(이하, B군 함유율이라 기재함)이 6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로」란, 제1 유전체층(24a) 중에서 가장 함유량(질량 기준)이 많은 성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해당하는 성분을 70질량%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제1 유전체층(A-B-O)(24a)에 있어서의 B군 함유율이 65질량% 이하이면, 투과광이 노르스레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유전체층(24b)은, 주로, Si의 산화물(SiOx)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로」란, 제2 유전체층(24b) 중에서 가장 함유량(질량 기준)이 많은 성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해당하는 성분을 70질량%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유전체층(24a)은, 상기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A군으로서는 Mo, B군으로서는 Nb가 바람직하다.
산소 결손되어 있는 산화규소층인 제2 유전체층(24b)과, 제1 유전체층(24a)을 Mo 및 Nb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산소 결손되어 있는 산화규소층은 가시광에 있어서 황색을 띠지만, Mo 및 Nb를 사용함으로써 산소 결손되어 있어도 산화규소층이 황색을 띠는 일이 없는 것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전체층(24a)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투명 기체와의 투과율의 관점에서, 1.8 내지 2.3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전체층(24a)의 소쇠 계수는 0.005 내지 3이 바람직하고, 0.04 내지 0.38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쇠 계수가 0.005 이상이면, 원하는 흡수율을 적절한 층수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쇠 계수가 3 이하이면, 반사 색감과 투과율의 양립을 비교적 실현하기 쉽다.
도 4에 도시한 반사 방지막(다층막)(24)은, 제1 유전체층(24a)과, 제2 유전체층(24b)을 적층시킨, 합계 2층의 적층 구조이지만,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다층막)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3층 이상 적층시킨 적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모든 유전체층의 굴절률이 다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3층 적층 구조의 경우,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3층 적층 구조나,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의 3층 적층 구조로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2층 존재하는 저굴절률층, 후자의 경우에는 2층 존재하는 고굴절률층이 동일한 굴절률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4층 적층 구조의 경우,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의 4층 적층 구조나,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4층 적층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2층 존재하는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이 동일한 굴절률이어도 된다.
서로 굴절률이 다른 층을 3층 이상 적층시킨 적층 구조의 경우, 제1 유전체층(A-B-O)(24a) 및 제2 유전체층(SiOx)(24b) 이외의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유전체층(A-B-O)(24a) 및 제2 유전체층(SiOx)(24b)을 포함하여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3층 적층 구조, 혹은,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의 3층 적층 구조, 혹은,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의 4층 적층 구조, 혹은,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4층 적층 구조가 되도록 각 층을 선택한다.
단, 최표면의 층은 제2 유전체층(SiOx)(24b)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반사성을 얻기 위해서는 최표면의 층이 제2 유전체층(SiOx)(24b)이면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막(24)에, 후술하는 방오막을 형성하는 경우, 방오막의 내구성에 관계되는 결합성의 관점에서, 방오막은 제2 유전체층(SiOx)(24b)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전체층(A-B-O)(24a)은 아몰퍼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몰퍼스이면, 비교적 저온에서 제작할 수 있어, 투명 기체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등에, 수지가 열로 대미지를 받는 일이 없어,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 흡수능을 갖고, 또한, 절연성의 광투과막으로서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하프톤 마스크가 알려져 있다. 하프톤 마스크로서는, Mo를 소량 포함하는 Mo-SiOx막과 같은 산소 결손막이 사용된다. 또한, 광 흡수능을 갖고, 또한, 절연성의 광투과막으로서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협밴드갭막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광투과막은 가시광선 중, 단파장측의 광선 흡수능이 높기 때문에, 투과광이 노르스레하다. 그 때문에,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Mo나 W의 함유율을 높인 제1 유전체층(24a)과, SiOx 등으로 구성되는 제2 유전체층(24b)을 가짐으로써, 광선 흡수능을 갖고, 절연성이며, 또한, 밀착성 및 강도가 우수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가 얻어진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24)은,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이나 도포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을 사용하여, 투명 기체의 주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즉, 반사 방지막(24)을 구성하는 유전체층을, 그 적층순에 따라서, 투명 기체나, 안티글레어층이나 하드 코트층 등의 주면 상에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이나 도포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또한, 반사 방지막(24)은 복수의 성막 방법을 조합하여, 투명 기체의 주면 상에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24)은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고, 최표면의 방오막만 증착법 또는 도포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나, 반사 방지막(24)의 최표층 이외는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고, 최표층만을 방오성을 갖는 유기막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반사 방지막(24)은, 그 중에서도, 저반사화, 고내구화, 고경도화의 관점에서,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 증착법 등의 진공 중에서 박막을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진공 중에서의 적층법에 의하면, 도액을 경화 건조시키는 습식 도공에 의해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것보다도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저반사화의 효과가 높아, SCI Y값을 안정적으로 1.5% 이하로 할 수 있어, 면내의 반사율 분포도 적당해진다.
스퍼터링법으로서는, 마그네트론 스퍼터, 펄스 스퍼터, AC 스퍼터, 디지털 스퍼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은, 모체가 되는 유전체 재료의 이면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계를 발생시키고, 가스 이온 원자가 상기 유전체 재료 표면에 충돌하여, 방출됨으로써 수㎚의 두께로 스퍼터 성막하는 방법이며, 유전체 재료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인 유전체의 연속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지털 스퍼터법은, 통상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과는 달리, 먼저 스퍼터링에 의해 금속의 극박막을 형성하고 나서, 산소 플라스마 혹은 산소 이온 혹은 산소 라디칼을 조사함으로써 산화한다고 하는 공정을 동일 챔버 내에서 반복하여 금속 산화물의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성막 분자가 기체에 착막하였을 때는 금속이므로, 금속 산화물로 착막하는 경우에 비해 연성이 있다고 추찰된다. 따라서 동일한 에너지라도 성막 분자의 재배치는 일어나기 쉬워지고, 결과적으로 밀하고 평활한 막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방오막>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반사 방지막의 최표면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상기 반사 방지막 상에, 또한 방오막(「Anti Finger Print(AFP)막」이라고도 함)을 가져도 된다. 방오막은 예를 들어,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방오성, 발수성,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폴리플루오로알킬렌기 및 폴리플루오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를 갖는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란, 폴리플루오로알킬렌기와 에테르성 산소 원자가 교호로 결합한 구조를 갖는 2가의 기이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폴리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폴리플루오로알킬렌기 및 폴리플루오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를 갖는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KP-801(상품명, 신에쓰 가가쿠사제), KY178(상품명, 신에쓰 가가쿠사제), KY-130(상품명, 신에쓰 가가쿠사제), KY-185(상품명, 신에쓰 가가쿠사제) 옵툴(등록 상표) DSX 및 옵툴 AES(모두 상품명, 다이킨사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가 방오막을 갖는 경우, 방오막은 반사 방지막 상에 마련되게 된다. 투명 기체의 2개의 주면 양쪽의 측에 반사 방지막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반사 방지막 상에 방오막을 성막할 수도 있지만, 어느 한쪽의 주면측에 대해서만 방오막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방오막은 사람의 손 등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이며, 그 용도 등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층>
본 양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기체의 2개의 주면 중, 반사 방지막이나,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주면 상에, 점착제층(21)을 구비해도 된다.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20)는, 점착제층(21)을 통해, 자발광 디스플레이(10)에 첩부된다.
점착제층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공지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광학적 투명 점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나, UV 경화 수지 등의 광학적 투명 수지(OCR: Optical Clear Resin)를 들 수 있다. OCA나 OCR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특히, 적당한 습윤성,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도 우수한 것이나, 점착력의 레인지가 넓기 때문에, 아크릴계 폴리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점착제층은, JIS Z 8709(1999년)의 규정에 따라서 분광 광도계로 측정되는 시감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투과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시감 투과율: Y)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시감 투과율(Y)이 2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감 투과율(Y)이 상기 범위이면, 적당한 광 흡수능을 갖기 때문에,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외광의 투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발광형 표시 장치의 명소 콘트라스트나 암소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상기 시감 투과율(Y)은 50 내지 90%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9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감 투과율(Y)은 88% 이하여도 되고, 80% 이하여도 되고, 75% 이하여도 되고, 70% 이하여도 되고, 또한 30% 이상이어도 되고, 4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시감 투과율(Y)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09(199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상품명: SolidSpec-3700)에 의해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계산에 의해 구한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시감 투과율(Y)을 20 내지 90%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반사 방지막에 있어서의, 고굴절률층인 제1 유전체층의 성막 시에 산화원의 조사 시간, 조사 출력, 기판과의 거리, 산화 가스량을 컨트롤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2 유전체층으로서, 주로,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을 사용하여, 막의 산화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감 반사율: SCI Y)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이 상기 범위 내이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화면으로의 외광의 투영 방지 효과가 높다.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은,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9%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7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을 1.5%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시감 투과율(Y)을 90% 이하로 한다. 그를 위해서는, 제1 유전체층으로서, 주로,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을 사용하여, 막의 산화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량을 조정하여 반사 방지막에 흡수를 갖게 함으로써, 투명 기체에 형성된 안티글레어층 등으로부터의 확산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확산 반사율: SCE Y)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이,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이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화면으로의 외광의 투영 방지 효과가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된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을 0.05%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헤이즈값을 10% 이상으로 한다.
(확산 반사율: SCE Y/시감 반사율: SCI Y)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과,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의 비인, SCE Y/SCI Y가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은, 정반사광 및 확산 반사광을 포함하는 전반사광을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표면 상태와는 무관계하게 소재 그 자체의 색의 평가가 된다. 한편,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은, 전반사광 중, 정반사광이 제거되고, 확산 반사광만을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눈으로 보기에 가까운 색의 평가가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시감 반사율(SCI Y)에 대한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이 높으면, 전반사광(정반사광+확산 반사광)에 대한 확산 반사광의 비율이 큰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화면으로의 외광의 투영이 작아져 바람직하다.
SCE Y/SCI Y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35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4 이상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0.45 이상이 더 한층 바람직하고, 0.5 이상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고, 0.6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SCE Y/SCI Y는, 예를 들어 1 이하여도 되고, 0.75 이하여도 된다.
본 양태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상기 SCE Y/SCI Y를 0.15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헤이즈값이 1% 이상인 투명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헤이즈값이 10% 이상인 투명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헤이즈값이 15% 이상인 투명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투명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이, 5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b*값이 상기 범위에 있어서, 투과광이 노르스레하지 않기 때문에, 자발광형 표시 장치로의 사용에 적합하다. 상기 b*값은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값의 하한값은 -6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b*값이 상기 범위에 있어서, 투과광이 무색이 되어, 투과광의 광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9(2004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을 5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유전체층의 재료 조성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A군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단파장의 투과율이 상승하여, b*값의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헤이즈값)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헤이즈값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된다. 헤이즈값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외광의 투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JIS K 7136:2000에 의해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시키사이 켄큐조사제, HR-100형)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Sa)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Sa(산술 평균 표면 조도)가 0.05 내지 0.6㎛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0.55㎛가 보다 바람직하다. Sa는, ISO25178에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키엔스사제의 레이저 현미경 VK-X3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Sa가 작다란 투명 기체의 최표면 요철이 작다고 하는 것이며, 반사광의 확산성이 낮아짐으로써 확산 반사율(SCE Y)이 작아져, 투영 억제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Sa가 크다란 표면 요철이 크다고 하는 것이며, 확산 반사율은 높아지지만, 표면 오염이 지워지기 어려워져 디스플레이 표면재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Sa는 확산재로서 사용하는 미립자의 종류나 평균 입자경, 혼입량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표면 처리의 에칭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거나, 졸겔 실리카계와 같은 불균형한 안티글레어층을 적절하게 경화 형성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Sdr)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키엔스사제의 레이저 현미경 VK-X3000 등을 사용한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적으로부터 산출되는, 전개 면적비 Sdr(이하, 단순히 「Sdr」이라고도 함)이, 0.001 내지 0.12가 바람직하고, 0.0025 내지 0.11이 보다 바람직하다.
Sdr이 작다란 투명 기체의 표면적이 작다고 하는 것이며,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면 반사광의 확산성이 낮아져, 확산 반사율(SCE Y)이 작아져, 투영 억제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Sdr이 크다란 투명 기체의 표면적이 크다고 하는 것이며, 외기에 접촉하는 반사 방지층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반사 방지막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높아진다. Sdr은 확산재로서 사용하는 미립자의 종류나 평균 입자경, 혼입량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표면 처리의 에칭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거나, 졸겔 실리카계와 같은 불균형한 안티글레어층을 적절하게 경화 형성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Sdr은, ISO25178에 규정되어 있고, 하기 식으로 표현된다.
전개 면적비 Sdr={(A-B)/B}
A: 측정 영역에 있어서의 실제의 요철이 반영된 표면적(전개 면적)
B: 측정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이 없는 평면의 면적
(Sdq)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Sdq(제곱 평균 평방근 경사)가 0.03 내지 0.50이 바람직하고, 0.07 내지 0.49가 보다 바람직하다. Sdq는, ISO25178에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키엔스사제의 레이저 현미경 VK-X3000으로 측정할 수 있다.
Sdq가 작다란 제곱 평균 평방근 경사가 작아지는 것이며, 반사광의 확산성이 낮아져, 확산 반사율(SCE Y)이 작아져, 투영 억제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Sdq가 크면 제곱 평균 평방근 경사가 커져 투명 기체 최표면의 첨예성이 증가함으로써, 손가락이나 천 등으로 접촉하였을 때 걸리는 듯한 감촉이 되어, 촉감이 악화된다. Sdq는 확산재로서 사용하는 미립자의 종류나 평균 입자경, 혼입량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표면 처리의 에칭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거나, 졸겔 실리카계와 같은 불균형한 안티글레어층을 적절하게 경화 형성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Spc)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Spc(표면의 산정점의 주곡률의 평균)가, 150 내지 2500(1/㎜)이 바람직하다. Spc는, ISO25178에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키엔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VK-X3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Spc가 작으면 산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이 작아져, 투명 기체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이 작아져, 투영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Spc가 크면 산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이 커져, 손가락이나 천 등으로 접촉하였을 때 걸리는 듯한 감촉이 되어, 촉감이 악화된다. Spc는 확산재로서 사용하는 미립자의 종류나 평균 입자경, 혼입량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표면 처리의 에칭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거나, 졸겔 실리카계와 같은 불균형한 안티글레어층을 적절하게 경화 형성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시트 저항)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반사 방지막의 시트 저항이 104Ω/□ 이상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의 시트 저항이 상기 범위에 있어서, 반사 방지막이 절연성이기 때문에,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터치 패널을 부여해도,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에 필요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가 유지되어, 터치 패널을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 시트 저항은 106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8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저항은, JIS K 6911(2006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중앙에 프로브를 닿게 하여, 10V로 10초간 통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반사 방지막의 시트 저항을 104Ω/□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중의 금속 함유량을 조정한다.
(확산 반사광의 명도: SCE L*)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가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화면으로의 외광의 투영 방지 효과가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는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를 7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헤이즈값을 저감함으로써 얻어진다.
(확산 반사광의 색도: SCE a*, SCE b*)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가 -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 장치의 색 재현성이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는 -5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고, -4 내지 4.5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b*)가 -8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b*)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 장치의 색 재현성이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b*)는 -7 내지 4가 보다 바람직하고, -6 내지 4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 SCE b*)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전반사광의 명도: SCI L*)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전반사광의 명도(SCI L*)가 9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명도(SCI L*)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화면으로의 외광의 투영 방지 효과가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명도(SCI L*)는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반사광의 명도(SCI L*)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전반사광의 명도(SCI L*)를 9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헤이즈값을 저감하거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시감 투과율(Y)을 90% 이하로 한다.
(전반사광의 색도: SCI a*, SCI b*)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전반사광의 색도(SCI a*)가 -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색도(SCI a*)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 장치의 색 재현성이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색도(SCI a*)는 -3 내지 3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2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전반사광의 색도(SCI b*)가 -6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색도(SCI b*)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 장치의 색 재현성이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전반사광의 색도(SCI b*)는 -4 내지 4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3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반사광의 색도: SCI a*, SCI b*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명소 콘트라스트)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명소 콘트라스트가 높다. 상기 명소 콘트라스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하고, 300럭스(실내의 밝기 상당) 환경에서, 2차원 색채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제 CA-2000)를 사용하여, 백색 표시와 흑색 표시의 휘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명소 콘트라스트를 구한다. 또한, 백색 표시 및 흑색 표시란, 표시 장치를 점등시켜, 백색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흑색 화면을 표시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명소 콘트라스트=백색 표시 휘도/흑색 표시 휘도
(암소 콘트라스트)
본 양태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암소 콘트라스트도 높다. 상기 암소 콘트라스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하고, 암실(0럭스)에서, 2차원 색채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제 CA-2000)를 사용하여, 백색 표시와 흑색 표시의 휘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암소 콘트라스트를 구한다.
암소 콘트라스트=백색 표시 휘도/흑색 표시 휘도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 1 내지 예 10이 실시예이며, 예 11 내지 예 14가 비교예이다.
(예 1)
이하의 방법으로, 예 1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제작하였다.
투명 기체에 하드 코트(HC)층을 마련한 양태인, 하드 코트 TAC 필름(도판TOMOEGAWA 옵티컬 필름사제 상품명 CHC)을 준비하고, 그 표면 중, 하드 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주면 상에, 투명한 점착제(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A」)를 도포하여, 두께 1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즉, 점착제층-투명 기체-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와 같이 하여, 하드 코트층 상에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을 형성하였다.
먼저, 유전체층(1)(고굴절률층)으로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니오븀과 몰리브덴을 중량비로 50:50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결한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금속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산화막을 성막하여, 하드 코트층의 주면에 Mo-Nb-O층을 20㎚ 성막하였다. 또한, Mo-Nb-O층은, Mo 원소 및 Nb 원소를 합계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8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이어서, 유전체층(2)(저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실리콘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실리콘 산화막을 성막하여, 상기 Mo-Nb-O층에 겹쳐 두께 30㎚의 산화규소[실리카(SiOx)]로 이루어지는 층을 성막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5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다음으로, 유전체층(3)(고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니오븀과 몰리브덴을 중량비로 50:50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결한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금속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산화막을 성막하여, 산화규소층에 겹쳐 두께 120㎚의 Mo-Nb-O층을 성막하였다. 또한, Mo-Nb-O층은, Mo 원소 및 Nb 원소를 합계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8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계속해서, 유전체층(4)(저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실리콘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실리콘 산화막을 성막하여, Mo-Nb-O층에 겹쳐 두께 88㎚의 산화규소[실리카(SiOx)]로 이루어지는 층을 성막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5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이상에 의해, 하드 코트층 상에 반사 방지막을 마련하여,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제작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반사 방지막의 시감 투과율)
반사 방지막의 시감 투과율은,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형성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막을, 세로 50㎜×가로 50㎜×두께 1.1㎜의 화학 강화 유리 기판(드래곤 트레일: 등록 상표, AGC사제)의 한쪽의 주면 상에 마련하고, JIS Z 8709(1999년)에 따라서 분광 측색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상품명: SolidSpec-37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착제층의 시감 투과율)
점착제층의 시감 투과율은, 투명 기체에 첩부하기 전의 점착제 자체에 대하여, JIS Z 8709(1999년)에 따라서 분광 측색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상품명: SolidSpec-37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헤이즈값)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헤이즈값은 JIS K 7136:2000에 의해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시키사이 켄큐조사제, HR-100형)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감 투과율: Y)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반사 방지막의 최표면의 시감 투과율(Y)은, JIS Z 8709(199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상품명: SolidSpec-3700)에 의해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D65 광원 하의 투과색(b*값))
상기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JIS Z 8729(2004년)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색 지표(b*값)를 구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을 사용하였다.
(시감 반사율: SCI Y)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은,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전반사광의 시감 반사율(SCI Y)을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전반사광의 명도: SCI L*)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전반사광의 명도(SCI L*)는,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전반사광의 명도(SCI L*)를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전반사광의 색도: SCI a*, SCI b*)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전반사광의 색도(SCI a*, SCI b*)는,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전반사광의 색도(SCI a*, SCI b*)를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확산 반사율: SCE Y)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반사 방지막의 최표면의 상기 확산 반사율(SCE Y)은,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확산 반사율(SCE Y)을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확산 반사광의 명도: SCE L*)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는,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확산 반사광의 명도(SCE L*)를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확산 반사광의 색도: SCE a*, SCE b*)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있어서,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 SCE b*)는, JIS Z 8722(2009년)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한 상태에서, 점등 OFF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상품명: CM-26d)에 의해 확산 반사광의 색도(SCE a*, SCE b*)를 측정하였다. 광원은 D65 광원으로 하였다.
(명소 콘트라스트)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하고, 300럭스(실내의 밝기 상당) 환경에서, 2차원 색채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제 CA-2000)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으로 백색 표시와 흑색 표시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명소 콘트라스트=백색 표시 휘도/흑색 표시 휘도
(암소 콘트라스트)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OLED 패널을,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접합하고, 암실(0럭스)에서, 2차원 색채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제 CA-2000)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으로 백색 표시와 흑색 표시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암소 콘트라스트=백색 표시 휘도/흑색 표시 휘도
(시트 저항)
측정 장치(미쓰비시 가가쿠 아날리테크사제, 장치명: 하이레스타 UP(MCP-HT450형))를 사용하여, JIS K 6911(2006년)에 따라서 시트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작한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중앙에 프로브를 닿게 하여, 10V로 10초간 통전하여 측정하였다.
(예 2)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의 고굴절률층의 산소 유량을 500sccm으로 하고, 반사 방지막의 시감 투과율을 7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2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3)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의 고굴절률층의 산소 유량을 500sccm으로 투입 전력을 700W로 하고, 반사 방지막의 시감 투과율을 5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3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4)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PET)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PET 필름(히가시야마 필름사제 「EHC-10a」)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3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4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5)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TAC)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TAC 필름(도판 TOMOEGAWA 옵티컬 필름사제 「VZ5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5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6)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을 예 2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5와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6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7)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을 예 3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5와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7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예 8)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PET)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PET 필름(레이코사제, 헤이즈값: 5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6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8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예 9)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PET)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PET 필름(레이코사제, 헤이즈값: 6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8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9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예 10)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PET)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PET 필름(레이코사제, 헤이즈값: 8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7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10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예 11)
점착제층으로서, 안료가 들어간 점착제(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B」)를 도포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시감 투과율: 85%)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 반사 방지막(유전체층)을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성막한 투명 AR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11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투명 AR의 성막 방법)
먼저 유전체층(1)(고굴절률층)으로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티타늄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금속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산화막을 성막하여, 하드 코트층의 주면에 Ti-O층을 11㎚ 성막하였다.
이어서, 유전체층(2)(저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실리콘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실리콘 산화막을 성막하여, Ti-O층에 겹쳐 두께 35㎚의 산화규소[실리카(SiOx)]로 이루어지는 층을 성막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5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다음으로, 유전체층(3)(고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티타늄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금속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산화막을 성막하여, 산화규소층에 겹쳐 두께 104㎚의 Ti-O층을 성막하였다.
계속해서, 유전체층(4)(저굴절률층)으로서 동일한 디지털 스퍼터법으로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 가스로 압력을 0.2Pa로 유지하면서, 주파수 100kHz, 전력 밀도 10.0W/㎠, 반전 펄스폭 3μsec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행하여, 미소 막 두께의 실리콘막을 성막하고, 그 직후에 산소 가스로 산화시키는 것을 고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실리콘 산화막을 성막하여, Ti-O층에 겹쳐 두께 86㎚의 산화규소[실리카(SiOx)]로 이루어지는 층을 성막하였다. 여기서, 산소 가스로 산화시킬 때의 산소 유량은 500sccm, 산화원의 투입 전력은 1000W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예 12)
점착제층으로서, 안료가 들어간 점착제(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B」)를 도포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시감 투과율: 70%)을 형성한 것을 사용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12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헤이즈값은, 점착제 중의 안료(산란 성분)에 의한 헤이즈를 포함하는 값이다.
(예 13)
점착제층으로서, 안료가 들어간 점착제(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B」)를 도포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시감 투과율: 50%)을 형성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13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헤이즈값은, 점착제 중의 안료(산란 성분)에 의한 헤이즈를 포함하는 값이다.
(예 14)
점착제층으로서, 안료가 들어간 점착제(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B」)를 도포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시감 투과율: 70%)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 TAC 필름을, 투명 기체(PET)에 안티글레어층을 마련한 양태인, 안티글레어 PET 필름(레이코사제, 헤이즈값: 5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1과 마찬가지로 성막하여, 예 14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헤이즈값은, 점착제 중의 안료(산란 성분)에 의한 헤이즈를 포함하는 값이다.
예 1과 예 11에서는, 예 1이 반사 방지막이 광 흡수능을 갖는 것에 반해, 예 11은 점착제층이 광 흡수능을 갖는 점에서만 상이한바, 반사 방지막에 광 흡수능을 갖는 예 1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광이 들어가는 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광 흡수능을 갖는 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반사 방지막은 투명 기체나 점착제층에서 반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 1은, 점착제층에 광 흡수능을 갖는 예 11과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 및 암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예 2와 예 12를 비교한 경우, 예 3과 예 13을 비교한 경우, 예 8과 예 14를 비교한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예 1 내지 예 10은, 모두,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시감 투과율(Y)이 20 내지 90%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적당한 광 흡수능을 가져, 자발광형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로서, 외광의 투영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22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2022-030295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0: 자발광 디스플레이
20: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
21: 점착제층
22: 투명 기체
23: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
24: 반사 방지막
31: 음극
32: OLED 발광 소자
33: 양극
41: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
100: 자발광형 표시 장치
200: OLED 표시 장치
300: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20: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
21: 점착제층
22: 투명 기체
23: 안티글레어층 또는 하드 코트층
24: 반사 방지막
31: 음극
32: OLED 발광 소자
33: 양극
41: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
100: 자발광형 표시 장치
200: OLED 표시 장치
300: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Claims (17)
- 투명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갖는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를 구비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반사 방지막은, 광 흡수능을 갖고, 서로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적어도 2층 적층시킨 적층 구조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시감 투과율(Y)이 20 내지 90%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 중 적어도 1층이, 주로, Si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 구조의 층 중 다른 적어도 1층이, 주로, Mo 및 W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과, Si, Nb, Ti, Zr, Ta, Al, Sn 및 In으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산화물의 혼합 산화물로 구성되고,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A군의 원소와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의 합계에 대한, 해당 혼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B군의 원소의 함유율이 65질량% 이하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과,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의 비인, SCE Y/SCI Y가 0.15 이상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시감 반사율(SCI Y)이 1.5% 이하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 구비 투명 기체의 최표면의 확산 반사율(SCE Y)이 0.05% 이상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65 광원 하의 투과색에서의 b*값이 5 이하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이즈값이 1% 이상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시트 저항이 104Ω/□ 이상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와 반사 방지막 사이에, 안티글레어층 및 하드 코트층 중 적어도 한쪽의 층을 구비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 상에 방오막을 더 갖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가 유리를 포함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콘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를 포함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가, 유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콘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의 적층체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화학 강화되어 있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는, 상기 반사 방지막을 갖는 측의 주면에 방현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OLED 표시 장치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인, 자발광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2-030295 | 2022-02-28 | ||
JP2022030295A JP2023125926A (ja) | 2022-02-28 | 2022-02-28 | 自発光型表示装置 |
PCT/JP2023/006320 WO2023162999A1 (ja) | 2022-02-28 | 2023-02-21 | 自発光型表示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3336A true KR20240153336A (ko) | 2024-10-22 |
Family
ID=8776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8630A KR20240153336A (ko) | 2022-02-28 | 2023-02-21 | 자발광형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2) | JP2023125926A (ko) |
KR (1) | KR20240153336A (ko) |
CN (1) | CN118765411A (ko) |
TW (1) | TW202405479A (ko) |
WO (1) | WO20231629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119298A (ja) * | 2023-02-22 | 2024-09-03 | 日東電工株式会社 | Oled表示装置用光学積層体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0240B2 (ja) * | 1994-12-13 | 2001-07-23 | 旭硝子株式会社 | 光吸収性反射防止体とその製造方法 |
US6040939A (en) * | 1998-06-16 | 2000-03-21 | Turkiye Sise Ve Cam Fabrikalari A.S. | Anti-solar and low emissivity functioning multi-layer coatings on transparent substrates |
US10551740B2 (en) * | 2017-01-16 | 2020-02-04 | AGC Inc. | Transparent substrate with antireflective film having specified luminous transmittance and luminous reflectance |
JP2021056250A (ja) * | 2018-01-15 | 2021-04-08 | Agc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 |
JP2021133545A (ja) * | 2020-02-25 | 2021-09-1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転写シート及び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 |
JPWO2022004737A1 (ko) * | 2020-07-03 | 2022-01-06 | ||
KR20230021146A (ko) * | 2020-07-22 | 2023-02-13 |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 반사 방지막을 구비한 투명 기체 및 화상 표시 장치 |
-
2022
- 2022-02-28 JP JP2022030295A patent/JP2023125926A/ja active Pending
-
2023
- 2023-02-21 WO PCT/JP2023/006320 patent/WO202316299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2-21 KR KR1020247028630A patent/KR20240153336A/ko unknown
- 2023-02-21 CN CN202380023706.7A patent/CN118765411A/zh active Pending
- 2023-02-23 TW TW112106647A patent/TW202405479A/zh unknown
- 2023-06-21 JP JP2023102021A patent/JP202312625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62999A1 (ja) | 2023-08-31 |
JP2023125926A (ja) | 2023-09-07 |
CN118765411A (zh) | 2024-10-11 |
JP2023126251A (ja) | 2023-09-07 |
TW202405479A (zh) | 2024-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30839B (zh) | 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 |
JP5847562B2 (ja) |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 |
JP6279280B2 (ja) |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 |
JP5160329B2 (ja) |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 |
US20230150245A1 (en) | Anti-reflective film-attached transparent substr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US20230144879A1 (en) | Transparent substrate with anti-reflective film | |
KR20240153336A (ko) | 자발광형 표시 장치 | |
JP2023105806A (ja) | 反射防止膜付透明基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H1164602A (ja) | 反射防止フィルム | |
US20230229037A1 (en) | Anti-reflective film-attached transparent substr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01096669A (ja) | 反射防止積層体、光学機能性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 |
WO2023195500A1 (ja) | 反射防止膜付透明基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CN116466419A (zh) | 带防反射膜的透明基体和图像显示装置 | |
WO2023195499A1 (ja) | 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単位パネル群、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のメンテナンス方法 | |
WO2024043120A1 (ja) | 誘電体多層膜付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24014442A1 (ja) | 反射防止膜付透明基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WO2023195498A1 (ja) | 反射防止膜付透明基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WO2023234213A1 (ja) | アンチグレア層付透明基体、アンチグレア層付透明基体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2005003707A (ja) | 反射防止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 |
KR20240163664A (ko) | 반사 방지막을 구비한 투명 기체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20240070612A (ko) |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표시 장치 | |
TW202319780A (zh) | 附反射防止膜之透明基體及圖像顯示裝置 | |
KR20240044314A (ko) |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
CN118984954A (zh) | 带防反射膜的透明基体和图像显示装置 | |
TW202422512A (zh) | 拼接顯示裝置、單元面板群、拼接顯示裝置之製造方法及拼接顯示裝置之維護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