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3452A -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3452A KR20240123452A KR1020230015505A KR20230015505A KR20240123452A KR 20240123452 A KR20240123452 A KR 20240123452A KR 1020230015505 A KR1020230015505 A KR 1020230015505A KR 20230015505 A KR20230015505 A KR 20230015505A KR 20240123452 A KR20240123452 A KR 20240123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paper
- powder
- pulp
- rice husk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4 Resistant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4 resistant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305 tax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21H17/375—Poly(meth)acrylamide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제조 방법은, a) 쌀 및 왕겨를 분쇄하는 단계; b)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c) 제조된 상기 조성물을 탈수, 압착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여쌀 및 왕겨를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여쌀 및 왕겨를 기반으로 강성과 연신율을 확보함으로써,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표면에 별도의 화학 처리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지력증강제와 내첨사이즈를 첨가하지 않는 종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환경 문제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대한민국 직장인 1인당 1년에 약 500여개의 종이컵 및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종이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1년동안 소비되는 나무만해도 약 120억 그루에 달하며, 이는 천연펄프 단독으로 약 8만톤의 양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된 종이 제품을 처리하기 위하여 땅에 매립하는 경우, 썩는 동안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상당하다. 또한, 종이 제품 1개를 만드는데 약 11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총 연간 13만 2천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환경부에서 고객들에게 무상으로 플라스틱 및 종이로 만들어진 쇼핑백 및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는 일회용 제품에 대한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카페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유럽의 경우 회원국에 대해 사용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감축목표를 설정하거나 별도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종이 제품의 특성상 강성이 약하거나 쉽게 마모되며, 연신율이 적어 다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에는 종이 제품을 다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종이 제품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했다. 그러나, 종이 제품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경우, 재활용하기 위하여 특수 설비를 활용해서 코팅막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코팅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까다로운 처리 절차가 필요하며 상당한 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코팅막이 형성된 종이 제품을 재활용하는 대신 일반 쓰레기로 분리되어 소각 혹은 매립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표면에 별도의 화학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강성과 연신율을 확보하여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 자원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함으로써, 종이를 생산 및 폐기할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벌목의 양을 감축할 수 있는 종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잉여쌀 및 왕겨를 기반으로 강성과 연신율을 신장시킴으로써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표면에 별도의 화학 처리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종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잉여쌀을 미분화하여 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제조 방법은, a) 쌀 및 왕겨를 분쇄하는 단계; b)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c) 제조된 상기 조성물을 탈수, 압착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20~30%, 상기 왕겨 분말 20~3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20~4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예서, 상기 쌀 분말은 250 내지 300mesh의 사이즈로 분쇄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및 상기 왕겨 분말의 분쇄 온도는 40 내지 5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력증강제는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인 c-pam (cationic polyacrylamide,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종이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는,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를 혼합하여 생성된 조성물을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 자원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하여 종이를 생성할 시, 펄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나무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잉여쌀 및 왕겨는 천연자원이므로 자연계의 미생물에 의하여 자연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종이를 매립 및 소각할 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왕겨를 포함할 경우, 식물성 유기물 및 식물성 재료들과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잉여쌀을 포함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쌀과 왕겨는 물성적으로 유사하므로 종래에 사용되는 응집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써, 잉여쌀과 왕겨를 기반으로 제조된 종이는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강성과 연신율을 가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지력증강제 및 내첨 사이즈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쌀, 왕겨 및 펄프의 배합과 평량을 조절함으로써 표면에 별도의 화학 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쌀을 300mesh 전후로 분쇄하여 미분화함으로써 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된 쌀의 입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시스템 이용 여부에 대한 탁도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의 배합에 따른 실험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된 쌀의 입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시스템 이용 여부에 대한 탁도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의 배합에 따른 실험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S110)에서, 분쇄기로 쌀 및 왕겨를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쌀과 쌀의 껍질인 왕겨를 분해하기 위하여 도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정된 쌀과 왕겨는 종이로 제작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입자로 분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쌀은 미립화될수록 다른 물성과의 결합력이 강화되므로 250mesh 내지 300mesh의 사이즈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쌀 및 왕겨를 분해할 시, 분쇄 온도를 40도 내지 50도로 설정할 수 있다. 분쇄 온도를 40도 이상에서 진행할 시, 미분화된 쌀 자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쌀과 왕겨는 물성적으로 유사하므로 종래의 탈크, 탄산칼슘 및 이산화티탄 등과 같은 응집제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그러나, 쌀 분말 및 왕겨 분말이 종이 제조에 사용될 경우, 종이의 벌크가 증가하게 되면서 열단 길이, 비압축 강도 및 파열 강도 등이 감소하게 되므로 제조 공정의 최소화를 위해 지력증강제가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지력 증강제는 c-pam (cationic polyacrylamide,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c-pam은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로 수용성 물질인 물과의 응집되어 더 큰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c-pam을 첨가함으로써, 물과의 결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pam은 0.5~1%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쌀 분말 20~30%, 왕겨 분말 20~30 %, 펄프 40~60% 및 지력증강제 0.5~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쌀 분말 20~40%, 펄프 40~60% 및 지력증강제 0.5~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왕겨 분말이 혼합물에 포함될 경우, 식물성 유기물 및 식물성 재료들과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양의 쌀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왕겨 분말을 종이 제조에 사용할 경우 강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쌀과 왕겨를 포함하여 제조된 종이는 강성과 연신율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재료와 물이 투입되는 투입 순서는 원재료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탈수, 압착 및 건조 등을 진행하여 종이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분화된 쌀에 의해 펄프와의 결합력이 상승하여, c-pam이외의 지력증강제 또는 내첨사이즈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성된 종이의 표면에 별도의 화학 처리를 진행하지 않아도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된 쌀의 입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쌀을 50um 크기(300mesh) 전후로 분쇄(b)한 경우 미분화된 쌀의 입자가 충격에 의해 얇게 눌려진 형태로 다른 입자의 표면에 붙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쌀을 150um 크기(100mesh) 전후로 분쇄(a)한 경우보다 쌀을 50um 크기(300mesh) 전후로 분쇄(b)한 경우 입자간 결합력이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쌀은 미분화가 진행될수록 기존의 각이 진 다면체 형태를 띈 구조에서 서로 엉겨 붙어 있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쌀은 미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나, 입자가 서로 붙어 있는 형태가 됨에 따라 전반적인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저분화 쌀 입자(RS, Resistant Starch) 대비 미분화 쌀 입자(PRS, Pulverized Rice Starch)의 물 결합력을 도시하는 그래프(c)를 참조하면, 미분화 쌀 입자(PRS)의 물 결합 능력이 저분화 쌀 입자(RS)의 물 결합 능력보다 약 2.6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 결합력은 쌀 입자의 비결정성 부분에 의한 것으로, 비결정성이 클수록 내부 치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물 결합력이 향상하게 된다. 이는, 쌀이 미분화됨에 따라 결정성이 커져도, 물이 미분화된 입자 및 여러 쌀의 입자가 하나의 입자처럼 회합된 것을 포함하여 침투하기 때문이다. 즉, 쌀이 미분화됨에 따라 비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면서 물 결합력이 증가한 것이다. 여기서, 쌀을 150um 크기(100mesh) 전후로 분쇄(a)한 쌀 입자를 저분화 쌀 입자, 쌀을 50um 크기(300mesh) 전후로 분쇄(b)한 쌀 입자를 미분화 쌀 입자로 정의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시스템 이용 여부에 대한 탁도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탁도 실험은 조성물을 형성 후 탈수 과정을 진행한 후 탈수액을 기반으로 진행될 수 있다. 탈수액은 단일 고분자 시스템 및 이중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탈수액(C), 단일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한 탈수액(S) 및 이중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한 탈수액(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1은 탁수 실험 결과에 대한 데이터이다.
번호 | C | S | D |
1 | 435 | 28.7 | 21.2 |
2 | 435 | 81.4 | 19.6 |
3 | 435 | 65.2 | 20.3 |
도3및 표1를 참조하면, 탁도 실험 결과에서 단일 고분자 시스템 및 이중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탈수액(C)의 경우 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즉, 단일 고분자 시스템 및 이중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쌀 및 왕겨가 결합되지 않아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한 탈수액(S)은 탁도가 단일 고분자 시스템 및 이중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탈수액(C)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쌀의 일정량이 유지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고분자 시스템만을 사용한 탈수액(S)은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단일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이중 고분자 시스템을 사용한 탈수액(D)은 탁도와 편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며, 이에 따라 쌀과 왕겨를 기반으로 한 종이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의 배합에 따른 실험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의 배합 및 실험 데이터는 표2를 참조할 수 있다. 이 때, 지력증가제는 0.5~1% 배율로 추가될 수 있다.(미도시)
배합 비율 | 목표 평량 | 무게, g | 평량, g/ | 두께, um | 인장강도, kN/m | 인장지수, Nm/g | 열단길이, km | 파열강도, kPa | 세로압축강도, kN/m | 비압축강도, kN/m*g/m2 |
펄프 : 쌀 : 왕겨 =50 % :25% :25% |
120 | 2.75 | 102.52 | 260.18 | 1.20 | 11.73 | 1.20 | 65.98 | 0.22 | 22.25 |
150 | 3.51 | 130.65 | 309.46 | 1.70 | 13.02 | 1.33 | 91.66 | 0.40 | 51.61 | |
180 | 4.28 | 159.35 | 380.92 | 1.88 | 11.81 | 1.20 | 129.00 | 0.51 | 81.43 | |
펄프 : 쌀 = 70% : 30% |
120 | 3.17 | 118.13 | 268.76 | 1.40 | 11.86 | 1.21 | 89.96 | 0.38 | 44.42 |
150 | 4.07 | 151.63 | 322.08 | 1.90 | 12.35 | 1.26 | 122.06 | 0.38 | 57.92 | |
180 | 4.96 | 184.68 | 359.33 | 2.08 | 11.29 | 1.15 | 151.27 | 0.51 | 94.55 | |
펄프 100% | 120 | 0.31 | 137.20 | 289.72 | 2.24 | 16.50 | 1.68 | 113.36 | 0.40 | 54.19 |
150 | 4.85 | 180.40 | 339.19 | 2.67 | 14.80 | 1.51 | 134.39 | 0.49 | 88.57 | |
180 | 5.86 | 217.97 | 417.91 | 3.20 | 14.78 | 1.51 | 161.16 | 0.58 | 126.64 |
도4 및 표2를 참조하면, 펄프, 쌀 또는 왕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배합비율에 따른 열단 길이, 비압축강도 및 파열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열단 길이는 종이의 인장 강도의 한 표시법으로, 테이프 모양의 종이 조각 끝을 고정하여 수직으로 늘어뜨리고 그 종이 자체의 무게로 끊어질 때의 종이 조각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비압축강도는 종이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압축강도를 종이 100g/ 강도로 환산한 것으로, 종이가 파괴되지 않고 어느정도 견디어 낼 수 있는 최대의 압축력을 나타낸다. 한편, 파열 강도는 종이, 판지 및 골판지 등 유연성의 평면재료의 기본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파열 강도는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압력을 가하고, 종이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파열할 때 최대 저항력을 의미한다. 열단 길이 그래프 (a), 비압축강도 그래프(b) 및 파열 강도 그래프(c)는 펄프, 쌀 및 왕겨의 비율이 각 50%, 25%, 25%일 경우, 펄프 및 쌀의 비율이 각 70%, 30%일 경우 및 펄프 100%인 경우에 대한 목표 평량(120, 150, 180)별 결과를 도시한다.
여기서, 열단 길이 그래프 (a), 비압축강도 그래프(b) 및 파열 강도 그래프(c)를 참조하면, 펄프, 쌀 및 왕겨의 비율이 각 50%, 25%, 25%일 경우 및 펄프 및 쌀의 비율이 각 70%, 30%일 경우는 펄프 100%인 경우보다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열단 길이 그래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겨를 포함할 경우. 왕겨의 인장 특성으로 인해 열단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비압축강도 그래프(b) 및 파열 강도 그래프(c)를 참조하면, 쌀의 강성에 의해 비압축강도 및 파열 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쌀 및 왕겨를 포함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경우, 표면에 별도의 화학처리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강성과 연신율을 확보하여 재활용 및 다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쌀, 왕겨 및 펄프의 배합과 평량을 조절함으로써 택배박스/물품박스 등과 같은 종이 재질의 포장재 및 기타 일반 종이로의 활용까지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 a) 쌀 및 왕겨를 분쇄하는 단계;
b)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상기 조성물을 탈수, 압착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20~30%, 상기 왕겨 분말 20~3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20~4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예서, 상기 쌀 분말은 250 내지 300mesh의 사이즈로 분쇄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쌀 분말 및 상기 왕겨 분말의 분쇄 온도는 40 내지 50도로 설정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증강제는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인 c-pam (cationic polyacrylamide,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종이 제조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인 종이.
- 쌀 분말, 왕겨 분말, 펄프 및 지력증강제를 혼합하여 생성된 조성물을 기반으로 제조되는 것인 종이.
- 제8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쌀 분말 20~30%, 상기 왕겨 분말 20~3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종이.
- 제8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조성물은
생성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쌀 분말 20~40%, 상기 펄프 40~60% 및 상기 지력증강제 0.5~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종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쌀 분말은 250 내지 300mesh의 사이즈로 분쇄되는 것인 종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쌀 분말 및 상기 왕겨 분말의 분쇄 온도는 40 내지 50도로 설정되는 것인 종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증강제는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인 c-pam (cationic polyacrylamide,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종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5505A KR20240123452A (ko) | 2023-02-06 | 2023-02-06 |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5505A KR20240123452A (ko) | 2023-02-06 | 2023-02-06 |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3452A true KR20240123452A (ko) | 2024-08-14 |
Family
ID=9241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5505A KR20240123452A (ko) | 2023-02-06 | 2023-02-06 |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3452A (ko) |
-
2023
- 2023-02-06 KR KR1020230015505A patent/KR20240123452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ikler et al. |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recycled high‐density polyethylene, filled with calcium carbonate and fly ash | |
JP6606296B2 (ja) | セルロース・アルミニウム分散ポリエチレン樹脂複合材、これを用いたペレット及び成形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 |
IL195910A (en) | Fibrous materials and compositions | |
CN108659575A (zh) | 一种超细重质碳酸钙填料及其制备方法 | |
JP2003311718A (ja) | 木質繊維板の製造方法 | |
CN102492305A (zh) | 利用造纸固体废弃物制备木塑复合材料的配方及其方法 | |
EP3674047A1 (en) | Cellulose fiber dispersion polyethylene resin composite, molded body and pellets using sam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se, and recycling method for polyethylene thin film fragments with adhered cellulose fibers | |
EP2307531B1 (en) | Grindable pellet | |
KR20240123452A (ko) | 잉여쌀 및 왕겨를 포함한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63944B1 (ko) | 신선도 유지 기능을 갖는 복합분해성 시트 또는 진공성형품 | |
Choudhary et al. | Bio‐composites from food wastes | |
JPH0919907A (ja) | 古紙ボード | |
JPH02295720A (ja) | 熱可塑性ポリマーと、プラスチック積層板の製造からの残留物とを含む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同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複合材料 | |
KR20200043998A (ko) | 셀룰로오스 섬유 분산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재, 이를 이용한 성형체 및 펠릿,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셀룰로오스 섬유 부착 폴리에틸렌 박막편의 리사이클 방법 | |
EP1672032A1 (en) | Biodegradable wax composition | |
CN105062110A (zh) | 一种利用核桃壳粉制备聚丙烯基木塑复合材料的方法 | |
KR101332208B1 (ko) | 왕겨를 이용한 천연소재 시트 조성물 및 그의 가공방법 | |
KR102098396B1 (ko) | 바이오 플라스틱 식품용기의 제조방법 | |
PL201466B1 (pl) | Kompozycja termoplastyczna na bazie poliolefin | |
KR20050070826A (ko) | 볏짚 성형제품 및 그 제조방법 | |
JP2535129B2 (ja) |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20019815A (ko) | 폐 멜라민 및 폐 페놀수지화장판을 부재료로 이용한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파티클보드 | |
EP1015209B1 (en) | Method of benefiting from waste polyurethane foam material as an input material in production of a composite material and composite material produced with this method | |
KR101559471B1 (ko) | 절연지 재활용 판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지 제조방법 | |
JP2004043549A (ja) | 非凝集性雲母粒子、その製法及び雲母粒子含有塗工層を有する防湿性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