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61228A - 공기정화 필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228A
KR20230161228A KR1020220060981A KR20220060981A KR20230161228A KR 20230161228 A KR20230161228 A KR 20230161228A KR 1020220060981 A KR1020220060981 A KR 1020220060981A KR 20220060981 A KR20220060981 A KR 20220060981A KR 20230161228 A KR20230161228 A KR 2023016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ilter
air
air purifying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윤
신우성
양희태
소명섭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에이씨 filed Critical (주)쓰리에이씨
Priority to KR102022006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228A/ko
Publication of KR2023016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51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 B01D46/2486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or configurations
    • B01D46/2492Hexag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51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 B01D46/2482Thickness, height, width, length or di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하우징,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주고정부에 연결되며 격실의 내부에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여과재를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필터{FILTER FOR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를 조절하는 동시에 공기 속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간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이용되는 필터는 공기 중의 악취성분, 미세먼지, 세균 등(이하, '이물질'이라 함)을 여과 또는 탈취하는 것으로서, 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여과재를 필터 코어에 충전한 형태의 공기 필터로 이루어진다.
공기 필터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44655호(2011.06.21. 등록)의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 1에 의한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벌집 모양의 격실 구조를 가지는 필터 본체를 형성하며, 이러한 필터 본체의 격실에 활성탄을 충전한 뒤, 필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메쉬망으로 커버하여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격실에 충전되는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망체 및 제2 망체 등 별도의 구성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기 위한 복잡한 공정 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되므로,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간이나 비용 등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망체 및 제2 망체 등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없으므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충분히 여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여과 및 탈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을 격실 내에 완전 충전하거나 일정량 이상 충전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활성탄을 완전히 충전하는 경우에는 활성탄이 수용되는 격실의 공간 크기가 최소화되면서 공기 통행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필터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활성탄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격실 내에 일정량 이상으로 충전하게 되면 격실에 수용된 활성탄이 격실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유지되므로 필터 본체를 공기조화기에 장착할 경우,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격실의 상측 부분을 빈 공간으로 제공함에 따라 특정 구간에 대한 여과 및 탈취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통상 필터 본체가 설치되는 구조에 따르면 필터 본체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격실의 하측 부분으로 활성탄이 쏠리게 되면서 상측 부분의 일정 공간에 활성탄이 전혀 없는 개방된 형태의 구멍으로 제공되어 공기 통과 시 여과 및 탈취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잉여의 공간인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격실 내부에 활성탄이 소량 충전될 경우 구멍의 상측 부분에 비여과 영역의 크기가 크게 발생되고, 활성탄이 다량 충전될 경우 조밀한 공간에 의해 압력손실이 발생되므로, 격실 내에 충전되는 활성탄의 양이 소량 또는 다량인 상태와 관계 없이 필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필터 본체가 수평으로 설치되더라도 격실의 개구 측으로 활성탄이 쏠리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활성탄을 완전 충전한 상태와 유사한 구조가 되어, 조밀한 공간으로 인해 여전히 필터 성능 저하의 문제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11476호(2019.08.09. 등록)의 "다공성 필터(이하, '종래기술2'라 함)"를 개시한 바 있다.
종래기술 2에 의한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며, 구멍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활성탄인 여과제를 접착 고정시켜, 구멍으로부터 여과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공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다공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메쉬부재의 구성 없이도 여과제를 고정할 수 있으며, 메쉬부재의 제거로 인한 비용 절감 및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통행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구멍을 마련하여 내주면에 모서리를 없애 고정수단인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구멍의 내주면에 여과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내주면 부착 구조로 구멍의 내측에 통기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고 구멍의 외측에 인접하게 별도의 통기구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형상인 구멍의 내주면에만 여과제가 부착 고정되므로, 구멍의 크기가 증대되는 경우 내주면에 마련된 여과제가 구멍의 중심부로부터 상당 거리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즉, 여과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크기가 커짐) 통행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면서 실질적인 필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형상의 단면으로 인해 인접한 구멍과의 사이에 공기 유동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통기구에는 여과제가 삽입될 수 없는 구조이므로 통기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여과 및 탈취 작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결국,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통기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제공하지만, 종래기술 1의 비여과 영역 발생 및 필터의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여전히 내재되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655호 (2011.06.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1476호(2019.08.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의 쏠림을 방지하고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여과효율이 향상된 절곡형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공기 통로를 마련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적절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여과재가 포함되지 않은 데드존 등의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재의 총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본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공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하우징,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주고정부에 설치되어 격실의 내부에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여과재를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마련되어 여과재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고정부는 격실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로 구획한다.
또한, 주고정부는 격실을 다각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고, 보조고정부는 측벽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측벽은 격실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 내지 제6 벽면을 포함하고, 구획부재는, 제1 벽면 또는 제2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기둥, 제3 벽면 또는 제4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제1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 기둥, 및 제5 벽면 또는 제6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제1 기둥 및 제2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 기둥을 포함한다.
더욱이, 구획부재는 각형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구획부재는 메쉬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접착부재 또는 여과재가 일부 수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그루브는, 주고정부의 표면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랑홈, 및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딤플을 포함한다.
더욱이,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서 그루브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고정수단은 측벽 또는 구획부재의 표면에 그루브와 인접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여과재의 표면에 걸림되는 다수개의 후크돌기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정화 필터의 구획부재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측벽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
다른 한편,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챔버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
또 다른 한편,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로 교차되며 상호 관통되게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네 개의 구획부로 구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에 의하면 여과재를 표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므로, 별도로 구성되는 메쉬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과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여과재를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여과재를 각 격실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 및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형 구조로 여과재를 격실의 내부에 마련하여, 필터에 포함되는 여과재가 격실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식의 구조를 제공하므로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여과 효율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는 하우징에 포함된 여과재에 의해 격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격실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형 단면 형상인 기존 구조에 비해 인접한 격실의 사이에서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보조고정부에 의해 격실에 대한 지지 역할을 하여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부를 통한 여과재의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조밀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구조의 기존 필터와 달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여과재에 대한 부착 면적을 확장하여 격실의 표면에만 여과재가 배치되지 않고 내측 중심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보조고정부의 표면에도 여과재가 부착 마련됨에 따라, 통행하는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여과재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의 형상에 따른 절곡 부분에 의해 별도의 통기구를 형성함에 따라, 내측에 고정된 여과재와 인접하게 마련된 통기구로 공기 통행을 허용하여 압손을 낮출 수 있고, 여과재에 의한 여과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 비여과 영역을 줄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 구조로, 사용되는 여과재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의 양을 줄인 상태에서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의한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통기성이 확보되어 압력손실에 유리하며, 총량 대비 탈취효율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그루브에 의해 여과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여과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여과재(20), 주고정부(12), 보조고정부(30) 및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소정의 높이 방향 두께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공기 조화기 등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전체 외관이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 둘레 측을 따라 소정 두께의 외벽(미도시됨)이 형성되어 보강 구조를 갖도록 마련되거나 외곽 둘레가 절단 상태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내측에 공기의 통행을 위해 구멍의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격실(11)이 형성될 수 있다.
격실(11)은 하우징(10)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구멍 형태로 마련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실(11)은 하우징(10)의 높이 방향에 대해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격실(11)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의 격실(11)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실(11)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이아몬드형 등 여러 실시예(도 6 내지 도 9 참조)에 따라 다양한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격실(11)은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인접한 다른 격실(11)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간극을 통해 유체의 통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극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인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11)이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다른 형태인 것에 비해 후술되는 구획부재(30)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은 내측에 형성된 격실(11)을 통해 공기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우징(10)의 전후면에는 내부 보호 및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 등의 통기성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격실(11)은 내부에 여과재(2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과재(20)는 물리 흡착에 의한 통상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백토 또는 제올라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시로서 활성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필터는 하우징(10)의 격실(11)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재(20)에 의해 여과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 중의 악취성분, 미세먼지, 세균 등을 여과 또는 탈취할 수 있다.
주고정부는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고정부는 격실(11)의 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고정부는 예컨대, 각 격실(11)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12)은 격실(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각각의 격실(11)을 개별적인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2)은 후술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표면에 여과재(20)가 고정될 수 있다.
보조고정부는 격실(11)의 각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고정부는 주고정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부는 격실(11)의 공간을 적어도 하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챔버(111, 112, 113)는 격실(11)의 일부로 포함된다. 이때, 보조고정부는 여과재(20)와 접촉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고정부는 예컨대, 주고정부인 측벽(12)에 설치되는 복수의 구획부재(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각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20)가 표면에 접촉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재(30)는 후술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표면에 여과재(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구획부재(30)는 여과재(20)를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측벽(1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여과재(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20)를 고정시켜 하우징(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여과재(2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수단(40)은 여과재(20)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40)은 측벽(12) 및 구획부재(30)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41)는 격실(11)과 구획부재(30)의 표면에서 접착력을 제공함에 따라 여과재(20)를 하우징(10) 및 구획부재(30)의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41)는 예컨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고,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플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하우징(10)에 포함된 여과재(20)에 의해 격실(11)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11)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형 단면 형상인 기존 구조에 비해 인접한 격실(11)의 사이에서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각형 구조의 형상으로 인해 절곡 부분이 발생되므로 절곡 부분에 의해 인접한 격실(1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데드존을 제거하여 비여과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격실(11)은 절곡 부분에 의해 별도의 통기구(미도시됨)를 형성함에 따라, 내측에 고정된 여과재(20)와 인접하게 마련된 통기구에 의해 공기 통행을 허용하여 압력손실(압손)을 낮출 수 있고, 여과재(20)에 의한 여과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격실(11)의 내부에 통기구를 형성함에 따라 여과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여과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주고정부로 마련되는 측벽(12) 및 보조고정부로 마련되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여과재(20)를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여과재(20)를 각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 및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형 구조로 여과재(20)를 격실(11)에 마련하여, 필터에 포함되는 여과재(20)가 격실(11)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식의 구조를 제공하므로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20)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여과 효율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구획부재(30)에 의해 격실(11)에 대한 지지 역할을 하여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의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조밀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구조의 기존 필터와 달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여과재(20)에 대한 부착 면적을 확장하여 격실(11)의 표면에만 여과재(20)가 배치되지 않고 내측 중심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구획부재(30)의 표면에도 여과재(20)가 마련됨에 따라, 통행하는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여과재(20)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양을 줄인 상태에서 측벽(12) 및 구획부재(30)에 의한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통기성이 확보되어 압력손실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격실(11)의 공간을 분할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격실(11)을 복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 형성하게 된다. 챔버(111, 112, 113)는 격실(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으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챔버의 개수는 격실(11)의 단면 형상과 구획부재(30)의 수량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3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격실(11)의 공간 단면적을 축소시킨 복수의 챔버로 구획 형성하게 되므로, 격실(11)보다 작은 크기의 챔버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구획부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세 개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주고정부는 격실(11)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121) 내지 제6 벽면(126)을 포함하는 측벽(1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는 이들 측벽에 연결되는 제1 기둥(31) 내지 제3 기둥(33)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11)은 구획부재(30)에 의해 제1 챔버(111) 내지 제3 챔버(113)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기둥(31)은 제1 벽면(121)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고, 제2 기둥(32)은 제3 벽면(123)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제3 기둥(33)은 제5 벽면(125)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기둥(31)과 제2 기둥(32)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1 챔버(111)로 형성되고, 제2 기둥(32)과 제3 기둥(33)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2 챔버(112)로 형성되며, 제3 기둥(33)과 제1 기둥(31)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3 챔버(113)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재(30)의 각 기둥(31, 32, 33)들은 측벽(12)의 높이 방향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막대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획부재(30)는 대략 "Y"자 형태인 각관 또는 봉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30)는 측벽으로부터 각 기둥들이 연장되어 격실(11)의 내부에 접점을 형성게 되며, 소정의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여 순환되는 공기 흐름에 대한 일정 와류를 형성하여 공기 유동 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이때, 구획부재(30)는 제1 기둥(31) 내지 제3 기둥(33)이 격실(11)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단부가 상호 결합되는 별개의 부재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격실(11)에 일체로 연결되는 단일체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구획부재(30)는 사출이나 프레스 성형 공정에 의해 하우징(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획부재(30)는 별도의 부재로 가공되어 하우징(10)의 격실(11)에 접착 또는 끼움 방식이나 체결 구조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둥(31, 32, 33)들은 둘레면에 접착부재(41)가 도포됨에 따라 여과재(20)가 표면에 부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격실(11)의 내측 즉, 중앙부 측에도 여과재(20)가 분포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하므로 공기가 통행되는 격실(11)의 공간 크기를 축소시키면서 공기 통행에 대한 저항 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측벽(12)과 구획부재(30)의 사이에 일정 크기를 갖는 공간인 챔버(111, 112, 113)를 형성하여 공기가 통행되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둘레면에 여과재(20)가 부착되기 때문에 여과재(2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챔버형 구조와 달리 단순히 격실의 크기 자체가 작아지는 경우를 고려하면, 격실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경우 서로 다른 길이 및 크기이지만 소정의 크기를 갖는 여과재가 수용되는 공간 자체가 협소해지게 되므로 격실 내부의 공간이 막히는 문제가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격실이 제공되어 내부 공간에 조밀하게 채워진 여과재에 의해 기존의 완전충전형 구조와 비등하게 공기 통행 공간이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여전히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단순히 격실의 크기가 작을 경우, 공기가 통행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격실 벽으로 인해 공기 흐름을 제한하게 되므로 압력손실이 커지고 여과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격벽 형태가 아닌 둘레면에 여과재(20)의 부착이 가능한 각관 또는 원통관 형태인 바 형상의 구획부재(30)를 측벽(12)을 가로질러 배치하여 격실(11)의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 112, 113)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단순히 격실(11)의 크기 자체를 작게 형성하는 것과 다르게, 격실(11)의 내부에 구획부재(30)를 설치하되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여 여과재(20)의 부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 간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과재(20)가 수용되는 공간을 격실(11)보다 작은 크기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 형성함에 따라 프레임의 표면상에 부착 고정되는 여과재(20)의 구조상 발생되는 데드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격실(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구획부재(30)에 대한 소정의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구획부재(30)의 둘레에 마련된 여과재(20)에 의한 여과 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 통행에 대한 압손을 최소화하면서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보조고정부에 의한 여과재(20)의 지지 구조로 인해 격실(11)의 내부에 여과재(20)를 완전히 채우지 않더라도 여과재(20)를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데드존을 줄이고 여과재(20)와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 장비나 공기 조화 성능 측정 장비에 설치되는 필터는, 격실(11)에 부착된 여과재(20)에 의한 저항으로 공기가 내측을 향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구획부재(30)에 부착된 여과재(20)에 의한 저항으로 공기가 외측을 향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결국, 하나의 격실(11)의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 112, 113)가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챔버(111, 112, 113)의 내측면에 배치된 여과재(20)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면서 공기가 내측을 향한 흐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압손을 줄이면서도 공기가 여과재(20)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극대화된다.
여기서, 구획부재(30)의 기둥(31, 32, 33)들은 측벽(12)의 높이(D1)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D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격실(11)을 이루는 챔버(111, 112, 113)의 공간을 아주 협소하게 형성하지 않는 정도의 굵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여과재(20)는 일 예시로서 활성탄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적정 여과효율을 위해 요구되는 대략적인 평균 크기는 길이가 3mm 정도이고, 직경 두께가 2mm 정도인 것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가늘고 길게 압출 성형된 활성탄을 임의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여과재(20)의 크기는 그 길이가 대략 1 ~ 7mm 사이이고, 직경 두께가 1 ~ 3mm 사이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필터의 하우징(10) 내에 충전되는 여과재(20)의 양이 적을 경우 여과효과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충전되는 여과재의 총량이 증가하는 만큼의 여과효과의 증가가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압력손실이 증가함으로써 여과 효율이 오히려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필터의 본체 프레임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높이 값은, 탈취율을 높이면서 압손이 상대적으로 낮은, 즉 여과효율을 최적화 하는 측면에서 대략 10mm ~ 45mm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크기는 공기 정화를 위한 적정 여과효율을 달성하는 측면에서 최소 및 최대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이 10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경우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20)가 수용되는 공간의 크기 및 공기가 통행되는 경로 길이가 감소하게 되므로 여과휴율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높이가 45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필터 본체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비의 체적이 비대해지므로 적정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구획부재(30)는 측벽(12)의 높이(D1)인 10 ~ 45mm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D2) 크기를 갖는 봉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획부재(30)의 직경(D2)는 대략 5 ~ 2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부재(30)는 이와 다르게 와이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여과재(20)의 부착 및 공기 저항을 위해 소정 두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부재(3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메쉬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30)는 메쉬형 막대 또는 판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부재(41)가 구멍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41)를 안정적으로 보유한 상태에서 여과재(20)의 부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메쉬형의 구획부재(30)는 미세한 크기의 구멍들이 형성된 표면 구조로 인해 공기가 통행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고정수단(40)은 그루브(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42)는 측벽(12) 또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42)는 접착부재(41) 또는 여과재(20)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그루브(42)를 통해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접착부재(41)가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홈 부분에 접착부재(41)를 일부 보유한 형태로 여과재(2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여과재(20)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루브(42)에는 여과재(20)가 일부 삽입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그루브(42)는 복수의 고랑홈(421) 및 복수의 딤플(4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랑홈(421)은 측벽(12)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랑홈(421)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측벽(12)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랑홈(4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측벽(12)의 단측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장홈이 측벽(12)의 장측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열될 수 있다. 즉, 고랑홈(421)은 각 측벽(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딤플(422)은 구획부재(30)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딤플(422)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구획부재(30)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둘레면에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딤플(4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재(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반구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랑홈(421) 및 딤플(422)에는 접착부재(41)가 수용될 수 있으며, 여과재(20)가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여과재(20)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그루브(4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의 표면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2a)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면(42a)은 고랑홈(421)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42a)은 고랑홈(421)에 일부 수용되는 여과재(20)의 진입을 안내하고, 삽입된 여과재(20)의 표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여과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그루브(42)는 부착 면적을 향상시켜 더 많은 여과재(20)가 수용될 수 있게 하며, 여과재(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4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의 후크돌기(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돌기는 측벽(12) 또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그루브(42)에 대해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여과재(20)의 표면에 걸림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과재(2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각각의 하우징(210, 310, 410, 510)이 도시된다.
도 6의 하우징(210)은 격실(211)이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30)의 구성과 유사하게 마련된 구획부재(230)에 의해 격실(211)의 내부 공간이 3개의 챔버들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하우징(310)은 격실(311)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311)의 내측에 십자 형태로 연결된 구획부재(330)에 의해 4개의 챔버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로 교차되며 상호 관통되게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제1 구획부 내지 제4 구획부로 구획할 수 있다.
도 8의 하우징(410)은 격실(411)이 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411)의 내측에 마련된 구획부재(430)에 의해 2개의 챔버(411a, 411b)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구획부재(430)는 임의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430a)와 다른 측에서 연장되는 제2 지지부(430b)의 각 단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재(430)는 단부에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양측의 챔버(411a, 411b)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구획부재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측벽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챔버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할 수 있다.
도 9의 하우징(510)은 격실(511)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511)의 내측에 마련된 구획부재(530)에 의해 2개의 챔버(511a, 511b)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획부재(530)는 격실(511)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양 챔버(511a, 511b)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를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에 따르면, 격실의 단면 형상과 구획부재의 연결 또는 배치 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함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프레임 구조 및 챔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기 조화 장비 등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하우징 11: 격실
111: 제1 챔버 112: 제2 챔버
113: 제3 챔버 12: 측벽
121: 제1 벽면 122: 제2 벽면
123: 제3 벽면 124: 제4 벽면
125: 제5 벽면 126: 제6 벽면
20: 여과재 30: 구획부재
31: 제1 기둥 32: 제2 기둥
33: 제3 기둥 40: 고정수단
41: 접착부재 42: 그루브
421: 고랑홈 422: 딤플
42a: 경사면

Claims (10)

  1. 공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하우징;
    상기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상기 주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격실의 내부에 상기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상기 여과재를 상기 주고정부 및 상기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재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격실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로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부는 상기 격실을 다각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측벽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격실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 내지 제6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1 벽면 또는 상기 제2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기둥;
    상기 제3 벽면 또는 상기 제4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5 벽면 또는 상기 제6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 기둥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각형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메쉬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마련되어 상기 접착부재 또는 상기 여과재가 일부 수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주고정부의 표면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랑홈; 및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서 상기 그루브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
KR1020220060981A 2022-05-18 2022-05-18 공기정화 필터 KR2023016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ko) 2022-05-18 2022-05-18 공기정화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ko) 2022-05-18 2022-05-18 공기정화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228A true KR20230161228A (ko) 2023-11-27

Family

ID=8896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ko) 2022-05-18 2022-05-18 공기정화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2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55B1 (ko) 2011-03-22 2011-06-29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
KR102011476B1 (ko) 2017-09-27 2019-08-16 (주)쓰리에이씨 다공성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55B1 (ko) 2011-03-22 2011-06-29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
KR102011476B1 (ko) 2017-09-27 2019-08-16 (주)쓰리에이씨 다공성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0062B1 (en) Air filter with partial-depth, open-cell stabilizer to reduce detrimental shifting and settling of granular filter materials within the filter
KR101569187B1 (ko) 살균과 항균 및 흡착 성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US10221812B2 (en) Canister
KR102413022B1 (ko)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KR102589121B1 (ko) 공조용 에어필터
KR20230161228A (ko) 공기정화 필터
KR20190062720A (ko) 적층된 다공판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2303332A (en) Air conditioning device
US5746914A (en) Honey comb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019120B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230111129A (ko) 원통형 필터
JP2021087769A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ー
KR200497260Y1 (ko) 공기정화 필터 및 공기정화 필터의 적층체
EP1904212A1 (en) Volatile substance filter
CN100393391C (zh) 空气净化器用的过滤器
EP4290154A1 (en) Air filter and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KR102456376B1 (ko) 격자형 공기정화필터
US20020121474A1 (en) Replaceable square, pleated filter cartridge
JP3171920U (ja) 粉塵除去フィルタ
WO2003018171A1 (es) Boquilla de limpieza de filtros de malla
KR20230015165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216149769U (zh) 一种新型分子筛
US20240033674A1 (en) Tube-shaped pleated filter member
ES2981750T3 (es) Dispositivo de filtración
CN216897561U (zh) 一种过滤结构、蜗壳及空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