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228A - Filter for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Filter for ai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1228A KR20230161228A KR1020220060981A KR20220060981A KR20230161228A KR 20230161228 A KR20230161228 A KR 20230161228A KR 1020220060981 A KR1020220060981 A KR 1020220060981A KR 20220060981 A KR20220060981 A KR 20220060981A KR 20230161228 A KR20230161228 A KR 202301612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rtment
- filter
- air
- air purifying
- parti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51—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 B01D46/2486—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or configurations
- B01D46/2492—Hexago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51—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geometrical structure, shape, pattern or configuration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 B01D46/2482—Thickness, height, width, length or diame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하우징,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주고정부에 연결되며 격실의 내부에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여과재를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filter capable of uniformly and stably fixing a filter material for air purification to a filter body,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for the passage of air, a filter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each compartment, and a housing. A plurality of main parts that are integrally provided to form each space of the compartment,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parts connected to the main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medium inside the compartment, and fixing the filter material to the main part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Includes fixing means f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fil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purifying filter capable of uniformly and stably fixing a filter material for air purification to a filter bod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를 조절하는 동시에 공기 속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간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이용되는 필터는 공기 중의 악취성분, 미세먼지, 세균 등(이하, '이물질'이라 함)을 여과 또는 탈취하는 것으로서, 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여과재를 필터 코어에 충전한 형태의 공기 필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maintains a comfortable spac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irflow distribution in a certain space suitable for human activity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filter used in these air conditioners filters or deodorizes odorous components, fine dust, bacteria,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filter material such as activated carbon or zeolite, which has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for foreign substances, is attached to the filter core. It consists of a filled air filter.
공기 필터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44655호(2011.06.21. 등록)의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Conventional prior art related to air filters includes Patent Publication No. 10-1044655 (registered on June 21, 2011) titled “Air cleaning filt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activated carbon and air cleaning filter manufactured thereb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 has been disclosed.
종래기술 1에 의한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벌집 모양의 격실 구조를 가지는 필터 본체를 형성하며, 이러한 필터 본체의 격실에 활성탄을 충전한 뒤, 필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메쉬망으로 커버하여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prior art 1 forms a filter body with a honeycomb-shaped compartment structure. After filling the compartments of the filter body with activated carbon, the front and back of the filter body are covered with a mesh net to contain the activated carbon. It is manufactured with a structure that prevents breakaway.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격실에 충전되는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망체 및 제2 망체 등 별도의 구성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기 위한 복잡한 공정 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되므로,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간이나 비용 등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air cleaning filters require separate components such as a first mesh and a second mesh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charged in the compartment from escaping, so complex processes to prepare such separate components are essential. This causes manufacturing difficulti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it.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망체 및 제2 망체 등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없으므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충분히 여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conventional air purifying filters, air cannot flow smoothly because the first mesh and second mesh, which are provided to prevent activated carbon from escaping, impede the flow of air, so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m are sufficiently filter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n't be done.
더욱이,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여과 및 탈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을 격실 내에 완전 충전하거나 일정량 이상 충전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활성탄을 완전히 충전하는 경우에는 활성탄이 수용되는 격실의 공간 크기가 최소화되면서 공기 통행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필터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in order to improve filtration and deodorization rates, conventional air purifying filters are structured to completely fill the compartment with activated carbon or fill it above a certain amount. When the activated carbon is fully filled, the space size of the compartment containing the activated carbon is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air purification rat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tself deteriorated due to difficulty in passing and poor air circulation.
그리고, 활성탄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격실 내에 일정량 이상으로 충전하게 되면 격실에 수용된 활성탄이 격실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유지되므로 필터 본체를 공기조화기에 장착할 경우,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격실의 상측 부분을 빈 공간으로 제공함에 따라 특정 구간에 대한 여과 및 탈취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f the activated carbon is not completely filled and the compartment is filled beyond a certain amount, the activated carbon contained in the compartment remains fluid inside the compartment. Therefore, when the filter body is mounted on an air conditioner, it moves downward by gravity, leaving the upper part of the compartment empt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iltration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for certain sections was reduced as space was provided.
특히, 통상 필터 본체가 설치되는 구조에 따르면 필터 본체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격실의 하측 부분으로 활성탄이 쏠리게 되면서 상측 부분의 일정 공간에 활성탄이 전혀 없는 개방된 형태의 구멍으로 제공되어 공기 통과 시 여과 및 탈취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잉여의 공간인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body is usually installed, when the filter body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partment, and a certain space in the upper part is provided as an open hole with no activated carbon at al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non-filtration area, which is a surplus space where filtration and deodorization does not occur, is created when air passes through.
즉, 격실 내부에 활성탄이 소량 충전될 경우 구멍의 상측 부분에 비여과 영역의 크기가 크게 발생되고, 활성탄이 다량 충전될 경우 조밀한 공간에 의해 압력손실이 발생되므로, 격실 내에 충전되는 활성탄의 양이 소량 또는 다량인 상태와 관계 없이 필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if a small amount of activated carbon is filled inside the compartment, the size of the non-filtration area in the upper part of the hole is large, and if a large amount of activated carbon is filled, pressure loss occurs due to the dense space, so the amount of activated carbon filled in the compartment is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filter performance deterio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amount was small or large.
게다가, 종래의 공기청정 필터는 필터 본체가 수평으로 설치되더라도 격실의 개구 측으로 활성탄이 쏠리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활성탄을 완전 충전한 상태와 유사한 구조가 되어, 조밀한 공간으로 인해 여전히 필터 성능 저하의 문제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ying filter, even if the filter body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activated carbon is concentrated toward the opening of the compartment, resulting in a structure similar to a fully charged state of activated carbon, which still causes the problem of filter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the dense space. There was a problem.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11476호(2019.08.09. 등록)의 "다공성 필터(이하, '종래기술2'라 함)"를 개시한 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porous fil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1476 (registered on August 9, 2019).
종래기술 2에 의한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며, 구멍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활성탄인 여과제를 접착 고정시켜, 구멍으로부터 여과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공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according to Prior Art 2 includes a porous plate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filter agent from leaving the hole by adhesively fixing the filter agent, which is activated carbon, through a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e. It is provided as.
이에,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다공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메쉬부재의 구성 없이도 여과제를 고정할 수 있으며, 메쉬부재의 제거로 인한 비용 절감 및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통행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can fix the filtering agent without mesh member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orous plate, and has the advantage of cost reduction and smooth air flow due to the removal of the mesh member.
또한,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구멍을 마련하여 내주면에 모서리를 없애 고정수단인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구멍의 내주면에 여과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내주면 부착 구조로 구멍의 내측에 통기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고 구멍의 외측에 인접하게 별도의 통기구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has holes in a circular or oval shape, so that the adhesive, which is a fixing means, can be applied evenly by eliminating corne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ilter medium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and has an attachment structur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ventilable area wa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urnace hole, and a separate vent was form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hole to ensure ventilation.
하지만,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형상인 구멍의 내주면에만 여과제가 부착 고정되므로, 구멍의 크기가 증대되는 경우 내주면에 마련된 여과제가 구멍의 중심부로부터 상당 거리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즉, 여과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크기가 커짐) 통행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면서 실질적인 필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the filter is attached and fixed on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hole, so when the size of the hole increases, the filt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lac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ole (i.e., the filter is not pres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tual filter efficiency was reduced as the contact area with the passing air (the size of the filtered area increased) decreased.
그리고,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원형 형상의 단면으로 인해 인접한 구멍과의 사이에 공기 유동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통기구에는 여과제가 삽입될 수 없는 구조이므로 통기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여과 및 탈취 작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결국, 종래의 다공성 필터는 통기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제공하지만, 종래기술 1의 비여과 영역 발생 및 필터의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여전히 내재되어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provides a structure that improves ventilation by forming a ventilation hole for air flow between adjacent holes due to the circular cross-section. However, since the filter cannot be inserted into the ventilation hole, the ventilation hole is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that filtration and deodorization of the passing air was limited. In the end, the conventional porous filter provides a structure with improved breathability, but it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non-filtration area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filter performance of the prior art 1, and there are still inherent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재를 필터 본체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의 쏠림을 방지하고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여과효율이 향상된 절곡형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iformly and easily fill the filter body with the filter material, prevent the filter material from being tilted even if the filter body is tilted, and improve air flow and filtration amount. The aim is to provide a curved air purification filter with improved filtration efficiency while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making it uniform.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공기 통로를 마련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적절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여과재가 포함되지 않은 데드존 등의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resistance structure that minimizes pressure loss and ensures ventilation by providing air passages while generating appropriate air flow, but does not cover non-filtration areas such as dead zones that do not contain filter media. The goal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can prevent air pollution from occurr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재의 총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본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filter that can reduce the total amount of filter media used in the filter and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main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공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하우징,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주고정부에 설치되어 격실의 내부에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여과재를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for the passage of air, a filter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each compartment, and a plurality of filters integrally provided in the housing to form each space of the compartment. It includes a main part of the main part,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parts installed in the main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medium inside the compartment,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lter medium to the main part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여기서,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마련되어 여과재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Here, the fixing means include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or the auxiliary fixing part to attach and fix the filter material.
그리고, 보조고정부는 격실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로 구획한다.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partment into at least two or more chambers.
또한, 주고정부는 격실을 다각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고, 보조고정부는 측벽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main part includes at least three side walls that form the compartment into a polygonal space,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connecting the side walls.
아울러, 측벽은 격실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 내지 제6 벽면을 포함하고, 구획부재는, 제1 벽면 또는 제2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기둥, 제3 벽면 또는 제4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제1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 기둥, 및 제5 벽면 또는 제6 벽면의 면에서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제1 기둥 및 제2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 기둥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ide wall includes first to sixth walls that form the compartment into a hexagonal space, and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first pillar and a third wall that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wall. a second pillar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from the face of the wall or the fourth wall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irst pillar that protrudes towards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from the face of the fifth or sixth wall and It includes a third pillar connected to the second pillar at a predetermined angle.
더욱이, 구획부재는 각형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Moreover,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bar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한편, 구획부재는 메쉬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esh-shaped plate and is formed to have a height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또한,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접착부재 또는 여과재가 일부 수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urther includes a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a groove shape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or the auxiliary fixing part and partially receiving the adhesive member or filter material.
그리고, 그루브는, 주고정부의 표면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랑홈, 및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딤플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dimple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더욱이, 고정수단은 주고정부 또는 보조고정부의 표면에서 그루브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Moreover, the fixing means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main or auxiliary fixing part.
이에 더하여, 고정수단은 측벽 또는 구획부재의 표면에 그루브와 인접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여과재의 표면에 걸림되는 다수개의 후크돌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protrusion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adjacent to the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or partition member and are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정화 필터의 구획부재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측벽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member of the air purifying filter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extending from one of the side walls, and 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from another one of the side walls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2 Includes support parts.
여기서,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Here, the partition member divides the chamber into two spaces with the same size by coaxially connecting each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다른 한편,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챔버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member is connected so that each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forms a predetermined angle to partition the chamber into two spaces with different sizes.
또 다른 한편,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로 교차되며 상호 관통되게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네 개의 구획부로 구획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member is connected so that each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ntersec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penetrate each other, thereby partitioning the chamber into four partition parts having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에 의하면 여과재를 표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므로, 별도로 구성되는 메쉬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과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여과재를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여과재를 각 격실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 및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medium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surface,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medium from leaving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ly configured member such as a mesh. In particular, in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lter material is fixed to the main part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by fixing means, so that the filter material can be uniformly and easily filled and fixed in the internal space of each compartment.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형 구조로 여과재를 격실의 내부에 마련하여, 필터에 포함되는 여과재가 격실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식의 구조를 제공하므로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여과 효율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attached structure and provides a filter material inside the compartment, providing a fixed structure to prevent the filter material contained in the filter from flowing within the compartment, so even if the filter body is tilted, the filter material is maintained inside the compartment. It can prevent tipping, providing uniform filtration efficiency and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는 하우징에 포함된 여과재에 의해 격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격실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형 단면 형상인 기존 구조에 비해 인접한 격실의 사이에서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mpartment by the filter medium included in the housing.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artments are formed in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n-filtration areas from occurring between adjacent compartm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structur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더욱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보조고정부에 의해 격실에 대한 지지 역할을 하여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부를 통한 여과재의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rigidity of the main body frame by playing a supporting role for the compartment by means of an auxiliary fixing part disposed across the interior of the compartment, and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filter media through the auxiliary fixing part allows for ,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qualizing air flow and filtration amount.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조밀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구조의 기존 필터와 달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여과재에 대한 부착 면적을 확장하여 격실의 표면에만 여과재가 배치되지 않고 내측 중심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보조고정부의 표면에도 여과재가 부착 마련됨에 따라, 통행하는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여과재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existing filters with a densely packed structure, can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while ensuring breathability. In particular, the attachment area to the filter material is expanded so that the filter material is not plac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compartment. As the filt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fixture extending to the inner center,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aterial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passing ai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의 형상에 따른 절곡 부분에 의해 별도의 통기구를 형성함에 따라, 내측에 고정된 여과재와 인접하게 마련된 통기구로 공기 통행을 허용하여 압손을 낮출 수 있고, 여과재에 의한 여과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 비여과 영역을 줄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parate vent by a bent por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mpartment, thereby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the vent provided adjacent to the filter material fixed on the inside, thereby lowering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duce filtration to occur simultaneously,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non-filtration area.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 구조로, 사용되는 여과재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의 양을 줄인 상태에서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의한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통기성이 확보되어 압력손실에 유리하며, 총량 대비 탈취효율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ttached structure,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s because it can reduce the total amount of filter media used. In particular,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resistance structure by the main and auxiliary fixing parts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filter media used, but ensures breathabilit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ssure loss and in terms of deodoriz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has
게다가,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그루브에 의해 여과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여과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filter material more stably through the grooves,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material from coming of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compartment of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compartment of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compartment of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compartment of an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Figure 4.
먼저,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여과재(20), 주고정부(12), 보조고정부(30) 및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하우징(10)은 소정의 높이 방향 두께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공기 조화기 등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전체 외관이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 둘레 측을 따라 소정 두께의 외벽(미도시됨)이 형성되어 보강 구조를 갖도록 마련되거나 외곽 둘레가 절단 상태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하우징(10)은 내측에 공기의 통행을 위해 구멍의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격실(11)이 형성될 수 있다.This
격실(11)은 하우징(10)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구멍 형태로 마련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실(11)은 하우징(10)의 높이 방향에 대해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컨대, 격실(11)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의 격실(11)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실(11)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이아몬드형 등 여러 실시예(도 6 내지 도 9 참조)에 따라 다양한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격실(11)은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인접한 다른 격실(11)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간극을 통해 유체의 통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극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인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11)이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다른 형태인 것에 비해 후술되는 구획부재(30)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Here, if the
이에 따라, 하우징(10)은 내측에 형성된 격실(11)을 통해 공기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우징(10)의 전후면에는 내부 보호 및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 등의 통기성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격실(11)은 내부에 여과재(20)를 수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여과재(20)는 물리 흡착에 의한 통상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백토 또는 제올라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시로서 활성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여과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필터는 하우징(10)의 격실(11)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재(20)에 의해 여과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 중의 악취성분, 미세먼지, 세균 등을 여과 또는 탈취할 수 있다.This
주고정부는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고정부는 격실(11)의 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고정부는 예컨대, 각 격실(11)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12)은 격실(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각각의 격실(11)을 개별적인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2)은 후술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표면에 여과재(20)가 고정될 수 있다.The main governmen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These main units may be provided to form each space of the
보조고정부는 격실(11)의 각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고정부는 주고정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부는 격실(11)의 공간을 적어도 하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챔버(111, 112, 113)는 격실(11)의 일부로 포함된다. 이때, 보조고정부는 여과재(20)와 접촉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고정부는 예컨대, 주고정부인 측벽(12)에 설치되는 복수의 구획부재(30)로 구성될 수 있다.Auxiliary fixing parts may be provided inside each compartment (11). 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fix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fixing unit. This auxiliary fixing part can divide the space of the
여기서,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각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20)가 표면에 접촉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재(30)는 후술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표면에 여과재(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구획부재(30)는 여과재(20)를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측벽(1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여과재(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고정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20)를 고정시켜 하우징(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에 여과재(2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수단(40)은 여과재(20)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40)은 측벽(12) 및 구획부재(30)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xing means 40 is for fixing the
접착부재(41)는 격실(11)과 구획부재(30)의 표면에서 접착력을 제공함에 따라 여과재(20)를 하우징(10) 및 구획부재(30)의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41)는 예컨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고,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플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하우징(10)에 포함된 여과재(20)에 의해 격실(11)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11)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형 단면 형상인 기존 구조에 비해 인접한 격실(11)의 사이에서 비여과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각형 구조의 형상으로 인해 절곡 부분이 발생되므로 절곡 부분에 의해 인접한 격실(1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데드존을 제거하여 비여과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더욱이, 격실(11)은 절곡 부분에 의해 별도의 통기구(미도시됨)를 형성함에 따라, 내측에 고정된 여과재(20)와 인접하게 마련된 통기구에 의해 공기 통행을 허용하여 압력손실(압손)을 낮출 수 있고, 여과재(20)에 의한 여과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격실(11)의 내부에 통기구를 형성함에 따라 여과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여과 효율을 향상시킨다.Moreover, as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주고정부로 마련되는 측벽(12) 및 보조고정부로 마련되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여과재(20)를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여과재(20)를 각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충전 및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cures the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부착형 구조로 여과재(20)를 격실(11)에 마련하여, 필터에 포함되는 여과재(20)가 격실(11)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식의 구조를 제공하므로 필터 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여과재(20)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여과 효율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attachable structure and provides a
이때,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격실(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구획부재(30)에 의해 격실(11)에 대한 지지 역할을 하여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의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rigidity of the main body frame by supporting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조밀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구조의 기존 필터와 달리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여과재(20)에 대한 부착 면적을 확장하여 격실(11)의 표면에만 여과재(20)가 배치되지 않고 내측 중심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구획부재(30)의 표면에도 여과재(20)가 마련됨에 따라, 통행하는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여과재(20)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existing filters with a densely packed structure, can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while ensuring breathability, and in particular, expands the attachment area to the filter medium (20) to only cover the surface of the compartment (11). As th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s because it can reduce the total amount of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양을 줄인 상태에서 측벽(12) 및 구획부재(30)에 의한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되 통기성이 확보되어 압력손실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resistance structure by the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격실(11)의 공간을 분할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격실(11)을 복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 형성하게 된다. 챔버(111, 112, 113)는 격실(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으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챔버의 개수는 격실(11)의 단면 형상과 구획부재(30)의 수량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이러한 구획부재(3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격실(11)의 공간 단면적을 축소시킨 복수의 챔버로 구획 형성하게 되므로, 격실(11)보다 작은 크기의 챔버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Since this
예컨대, 구획부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세 개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주고정부는 격실(11)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121) 내지 제6 벽면(126)을 포함하는 측벽(1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는 이들 측벽에 연결되는 제1 기둥(31) 내지 제3 기둥(33)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11)은 구획부재(30)에 의해 제1 챔버(111) 내지 제3 챔버(113)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획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기둥(31)은 제1 벽면(121)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고, 제2 기둥(32)은 제3 벽면(123)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제3 기둥(33)은 제5 벽면(125)의 내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기둥(31)과 제2 기둥(32)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1 챔버(111)로 형성되고, 제2 기둥(32)과 제3 기둥(33)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2 챔버(112)로 형성되며, 제3 기둥(33)과 제1 기둥(31)의 사이에 구획되는 격실(11)의 공간이 제3 챔버(113)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구획부재(30)의 각 기둥(31, 32, 33)들은 측벽(12)의 높이 방향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막대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획부재(30)는 대략 "Y"자 형태인 각관 또는 봉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30)는 측벽으로부터 각 기둥들이 연장되어 격실(11)의 내부에 접점을 형성게 되며, 소정의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여 순환되는 공기 흐름에 대한 일정 와류를 형성하여 공기 유동 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each of the
이때, 구획부재(30)는 제1 기둥(31) 내지 제3 기둥(33)이 격실(11)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단부가 상호 결합되는 별개의 부재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격실(11)에 일체로 연결되는 단일체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구획부재(30)는 사출이나 프레스 성형 공정에 의해 하우징(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획부재(30)는 별도의 부재로 가공되어 하우징(10)의 격실(11)에 접착 또는 끼움 방식이나 체결 구조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각 기둥(31, 32, 33)들은 둘레면에 접착부재(41)가 도포됨에 따라 여과재(20)가 표면에 부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격실(11)의 내측 즉, 중앙부 측에도 여과재(20)가 분포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이처럼, 구획부재(30)는 격실(1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하므로 공기가 통행되는 격실(11)의 공간 크기를 축소시키면서 공기 통행에 대한 저항 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측벽(12)과 구획부재(30)의 사이에 일정 크기를 갖는 공간인 챔버(111, 112, 113)를 형성하여 공기가 통행되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둘레면에 여과재(20)가 부착되기 때문에 여과재(2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반면에, 본 발명의 챔버형 구조와 달리 단순히 격실의 크기 자체가 작아지는 경우를 고려하면, 격실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경우 서로 다른 길이 및 크기이지만 소정의 크기를 갖는 여과재가 수용되는 공간 자체가 협소해지게 되므로 격실 내부의 공간이 막히는 문제가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격실이 제공되어 내부 공간에 조밀하게 채워진 여과재에 의해 기존의 완전충전형 구조와 비등하게 공기 통행 공간이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여전히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단순히 격실의 크기가 작을 경우, 공기가 통행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격실 벽으로 인해 공기 흐름을 제한하게 되므로 압력손실이 커지고 여과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compartment itself is simply reduced, unlike the chamber-ty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ze of the compartment is formed small, the space itself where filter media of different lengths and sizes but of a predetermined size are accommodated As it becomes narrow, there is a problem of clogging the space inside the compartment, and the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compartment is provided, so the air passage space is formed at tight intervals, similar to the existing fully filled structure, due to the filter media densely packed in the internal space. Accordingly, it is still not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compartment is simply small, the air flow is restricted due to the multiple compartment walls that exist along the air passage path, resulting in increased pressure loss and reduced filtration efficiency.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격벽 형태가 아닌 둘레면에 여과재(20)의 부착이 가능한 각관 또는 원통관 형태인 바 형상의 구획부재(30)를 측벽(12)을 가로질러 배치하여 격실(11)의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 112, 113)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된다.However,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r-shaped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단순히 격실(11)의 크기 자체를 작게 형성하는 것과 다르게, 격실(11)의 내부에 구획부재(30)를 설치하되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여 여과재(20)의 부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구획부재(30)를 통한 여과재(20) 간 이격 구조로 인해, 공기 흐름 및 여과량을 균일하게 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simply forming the
특히, 본 발명은 여과재(20)가 수용되는 공간을 격실(11)보다 작은 크기의 챔버(111, 112, 113)로 구획 형성함에 따라 프레임의 표면상에 부착 고정되는 여과재(20)의 구조상 발생되는 데드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격실(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구획부재(30)에 대한 소정의 공기 저항 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구획부재(30)의 둘레에 마련된 여과재(20)에 의한 여과 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 통행에 대한 압손을 최소화하면서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pace where the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는 보조고정부에 의한 여과재(20)의 지지 구조로 인해 격실(11)의 내부에 여과재(20)를 완전히 채우지 않더라도 여과재(20)를 격실(11)의 내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데드존을 줄이고 여과재(20)와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e end,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 장비나 공기 조화 성능 측정 장비에 설치되는 필터는, 격실(11)에 부착된 여과재(20)에 의한 저항으로 공기가 내측을 향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구획부재(30)에 부착된 여과재(20)에 의한 저항으로 공기가 외측을 향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결국, 하나의 격실(11)의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 112, 113)가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챔버(111, 112, 113)의 내측면에 배치된 여과재(20)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면서 공기가 내측을 향한 흐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압손을 줄이면서도 공기가 여과재(20)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극대화된다.Typically, filters installed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or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measurement equipment have air flowing inward due to resistance caused by the
여기서, 구획부재(30)의 기둥(31, 32, 33)들은 측벽(12)의 높이(D1)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D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격실(11)을 이루는 챔버(111, 112, 113)의 공간을 아주 협소하게 형성하지 않는 정도의 굵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예컨대, 여과재(20)는 일 예시로서 활성탄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여과재(20)의 적정 여과효율을 위해 요구되는 대략적인 평균 크기는 길이가 3mm 정도이고, 직경 두께가 2mm 정도인 것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가늘고 길게 압출 성형된 활성탄을 임의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여과재(20)의 크기는 그 길이가 대략 1 ~ 7mm 사이이고, 직경 두께가 1 ~ 3mm 사이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필터의 하우징(10) 내에 충전되는 여과재(20)의 양이 적을 경우 여과효과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충전되는 여과재의 총량이 증가하는 만큼의 여과효과의 증가가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압력손실이 증가함으로써 여과 효율이 오히려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이에, 필터의 본체 프레임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높이 값은, 탈취율을 높이면서 압손이 상대적으로 낮은, 즉 여과효율을 최적화 하는 측면에서 대략 10mm ~ 45mm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크기는 공기 정화를 위한 적정 여과효율을 달성하는 측면에서 최소 및 최대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ight value of the
즉, 하우징(10)이 10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경우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여과재(20)가 수용되는 공간의 크기 및 공기가 통행되는 경로 길이가 감소하게 되므로 여과휴율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높이가 45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필터 본체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비의 체적이 비대해지므로 적정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f the
이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구획부재(30)는 측벽(12)의 높이(D1)인 10 ~ 45mm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D2) 크기를 갖는 봉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획부재(30)의 직경(D2)는 대략 5 ~ 2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Considering this, the
여기서, 구획부재(30)는 이와 다르게 와이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여과재(20)의 부착 및 공기 저항을 위해 소정 두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구획부재(3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메쉬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30)는 메쉬형 막대 또는 판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부재(41)가 구멍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41)를 안정적으로 보유한 상태에서 여과재(20)의 부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메쉬형의 구획부재(30)는 미세한 크기의 구멍들이 형성된 표면 구조로 인해 공기가 통행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고정수단(40)은 그루브(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fixing means 40 of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42.
그루브(42)는 측벽(12) 또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42)는 접착부재(41) 또는 여과재(20)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The groove 4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그루브(42)를 통해 주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접착부재(41)가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홈 부분에 접착부재(41)를 일부 보유한 형태로 여과재(2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여과재(20)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루브(42)에는 여과재(20)가 일부 삽입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그루브(42)는 복수의 고랑홈(421) 및 복수의 딤플(42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oove 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고랑홈(421)은 측벽(12)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랑홈(421)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측벽(12)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랑홈(4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측벽(12)의 단측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장홈이 측벽(12)의 장측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열될 수 있다. 즉, 고랑홈(421)은 각 측벽(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딤플(422)은 구획부재(30)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딤플(422)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구획부재(30)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둘레면에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딤플(4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재(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반구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고랑홈(421) 및 딤플(422)에는 접착부재(41)가 수용될 수 있으며, 여과재(20)가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필터는 여과재(20)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이때, 그루브(4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의 표면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2a)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면(42a)은 고랑홈(421)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42a)은 고랑홈(421)에 일부 수용되는 여과재(20)의 진입을 안내하고, 삽입된 여과재(20)의 표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여과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그루브(42)는 부착 면적을 향상시켜 더 많은 여과재(20)가 수용될 수 있게 하며, 여과재(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ove 42 may be provided with an
또한, 고정수단(4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의 후크돌기(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돌기는 측벽(12) 또는 구획부재(30)의 표면에 그루브(42)에 대해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여과재(20)의 표면에 걸림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과재(2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means 4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ok protrusions (not shown), and the hook protrusions are formed against the groove 42 on the surface of the
다른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격실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6 to 9 are diagrams showing compartment shapes of an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각각의 하우징(210, 310, 410, 510)이 도시된다.6 to 9,
도 6의 하우징(210)은 격실(211)이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30)의 구성과 유사하게 마련된 구획부재(230)에 의해 격실(211)의 내부 공간이 3개의 챔버들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The
도 7의 하우징(310)은 격실(311)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311)의 내측에 십자 형태로 연결된 구획부재(330)에 의해 4개의 챔버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로 교차되며 상호 관통되게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제1 구획부 내지 제4 구획부로 구획할 수 있다.The
도 8의 하우징(410)은 격실(411)이 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411)의 내측에 마련된 구획부재(430)에 의해 2개의 챔버(411a, 411b)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의 구획부재(430)는 임의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430a)와 다른 측에서 연장되는 제2 지지부(430b)의 각 단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재(430)는 단부에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양측의 챔버(411a, 411b)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구획부재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측벽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챔버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할 수 있다.The housing 410 of FIG. 8 may be formed so that the
도 9의 하우징(510)은 격실(511)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격실(511)의 내측에 마련된 구획부재(530)에 의해 2개의 챔버(511a, 511b)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획부재(530)는 격실(511)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양 챔버(511a, 511b)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각 단부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챔버를 동일한 크기를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필터에 따르면, 격실의 단면 형상과 구획부재의 연결 또는 배치 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함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프레임 구조 및 챔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기 조화 장비 등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types of frame structures and chambers can be provided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partment and the connection o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rtition members are formed differently, and various types of frame structures and chambers can be provided. It can be installed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etc. to perform an air filtration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10: 하우징
11: 격실
111: 제1 챔버
112: 제2 챔버
113: 제3 챔버
12: 측벽
121: 제1 벽면
122: 제2 벽면
123: 제3 벽면
124: 제4 벽면
125: 제5 벽면
126: 제6 벽면
20: 여과재
30: 구획부재
31: 제1 기둥
32: 제2 기둥
33: 제3 기둥
40: 고정수단
41: 접착부재
42: 그루브
421: 고랑홈
422: 딤플
42a: 경사면10: housing 11: compartment
111: first chamber 112: second chamber
113: third chamber 12: side wall
121: first wall 122: second wall
123: third wall 124: fourth wall
125: 5th wall 126: 6th wall
20: filter material 30: partition member
31: 1st pillar 32: 2nd pillar
33: Third pillar 40: Fixing means
41: adhesive member 42: groove
421: furrow groove 422: dimple
42a: slope
Claims (10)
상기 격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재;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격실의 각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고정부;
상기 주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격실의 내부에 상기 여과재와 접촉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고정부; 및
상기 여과재를 상기 주고정부 및 상기 보조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for passage of air;
A filter medium accommodated inside each of the compartments;
a plurality of main parts integrally provided in the housing to form each space of the compartment;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parts connected to the main part and provided inside the compartment in contact with the filter medium; and
An air purifying filter compris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lter material to the main part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재를 부착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xing means is an air purifying filter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or the auxiliary fixing part to attach and fix the filter material.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격실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챔버로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uxiliary fixing part is an air purifyin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chambers.
상기 주고정부는 상기 격실을 다각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측벽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ain portion includes at least three side walls that form the compartment into a polygonal space,
The auxiliary fixing part is an air purifying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connected to the side walls.
상기 측벽은 상기 격실을 육각형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1 벽면 내지 제6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1 벽면 또는 상기 제2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기둥;
상기 제3 벽면 또는 상기 제4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5 벽면 또는 상기 제6 벽면의 면에서 상기 격실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과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 기둥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ide wall includes first to sixth walls forming the compartment as a hexagonal space,
The partition member is,
a first pillar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from a surface of the first wall or the second wall;
a second pillar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third or fourth wall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and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n air purifying filter comprising a third pillar that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fifth wall or the sixth wall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and the second pillar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구획부재는 각형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4,
An air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bar shape and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상기 구획부재는 메쉬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4,
An air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in a mesh-like plate shape and has a height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마련되어 상기 접착부재 또는 상기 여과재가 일부 수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paragraph 2,
An air purifying filter further comprising a groove that is recessed in a groove shape on a surface of the main part or the auxiliary fixing part and partially accommodates the adhesive member or the filter material.
상기 주고정부의 표면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랑홈; 및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roove i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main portion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air purifying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dimple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주고정부 또는 상기 보조고정부의 표면에서 상기 그루브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필터.According to clause 9,
The fixing means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in part or the auxiliary fixing part to be inclined toward the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en) | 2022-05-18 | 2022-05-18 | Filter for ai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en) | 2022-05-18 | 2022-05-18 | Filter for ai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1228A true KR20230161228A (en) | 2023-11-27 |
Family
ID=8896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0981A KR20230161228A (en) | 2022-05-18 | 2022-05-18 | Filter for ai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1228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655B1 (en) | 2011-03-22 | 2011-06-29 |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cleaning filter using active carbon and air cleaning filter manufactured by this |
KR102011476B1 (en) | 2017-09-27 | 2019-08-16 | (주)쓰리에이씨 | Porous filter |
-
2022
- 2022-05-18 KR KR1020220060981A patent/KR20230161228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655B1 (en) | 2011-03-22 | 2011-06-29 |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cleaning filter using active carbon and air cleaning filter manufactured by this |
KR102011476B1 (en) | 2017-09-27 | 2019-08-16 | (주)쓰리에이씨 | Porous fil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30062B1 (en) | Air filter with partial-depth, open-cell stabilizer to reduce detrimental shifting and settling of granular filter materials within the filter | |
KR101569187B1 (en) | Air-conditioner with sterilization and antibiotic and adsorption | |
US10221812B2 (en) | Canister | |
KR102413022B1 (en) | Lower catchment | |
KR102589121B1 (en) | Filter for air purifier | |
KR20230161228A (en) | Filter for air purifier | |
KR20190062720A (en) |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photocatalytic module with perforated plate | |
US2303332A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US5746914A (en) | Honey comb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4019120B2 (en) | Air cleaning filter unit | |
KR20230111129A (en) | Cylindrical Filter | |
JP2021087769A (en) | Air purifier filter | |
KR200497260Y1 (en) | Air Purifier Filter and | |
EP1904212A1 (en) | Volatile substance filter | |
CN100393391C (en) | Filter for air cleaning device | |
EP4290154A1 (en) | Air filter and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 |
KR102456376B1 (en) | Grid Type Air Purification Filter | |
US20020121474A1 (en) | Replaceable square, pleated filter cartridge | |
JP3171920U (en) | Dust removal filter | |
WO2003018171A1 (en) | Nozzle for cleaning mesh filters | |
KR20230015165A (en) | Air filter and clearner including the same | |
CN216149769U (en) | Novel molecular sieve | |
US20240033674A1 (en) | Tube-shaped pleated filter member | |
ES2981750T3 (en) | Filtration device | |
CN216897561U (en) | Filtration, spiral case and air condition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