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888A - 전복 선별기 - Google Patents
전복 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5888A KR20230095888A KR1020230076648A KR20230076648A KR20230095888A KR 20230095888 A KR20230095888 A KR 20230095888A KR 1020230076648 A KR1020230076648 A KR 1020230076648A KR 20230076648 A KR20230076648 A KR 20230076648A KR 20230095888 A KR20230095888 A KR 202300958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orting
- abalone
- unit
- di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37891 Haliot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4—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순환되는 이송체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한 선별 접시를 갖는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메인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이송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을 구비하는 메인 구동부와, 메인 프레임에 선별접시에 대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선별구간 및 복귀구간이 순환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순환 레일부와, 순환 레일부의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로딩된 선별접시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순환레일부의 선별구간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선별접시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선별접시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수평해제 유니트와, 메인 구동부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선별접시에 대해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수평해제 유니트에 도달하면 수평해제 유니트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순환되는 선별접시에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배출 위치를 다르게 제어하여 중랑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또는 수산물은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분류하여 가격을 차별화하는 판매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전복의 경우에도 양식에 의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복을 크기 또는 중량에 의해 선별할 수 있는 전복 선별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전복을 중량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된 전복 선별장치로서, 접힘동작을 하는 선별접시를 적용한 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고, 그 예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12266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복 선별장치는 사용과정의 반복에 의해 중량 측정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별접시로의 전복 공급을 작업자가 낱개 단위로 직접 올려 놓는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저울을 통해 전복의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복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는 메인 프레임에 순환되는 이송체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한 선별 접시를 갖는 전복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메인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송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을 구비하는 메인 구동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선별접시에 대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선별구간 및 복귀구간이 순환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의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로딩된 선별접시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순환레일부의 선별구간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상기 선별접시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상기 선별접시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수평해제 유니트와; 상기 메인 구동부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상기 선별접시에 대해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에 도달하면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접시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딩인식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인식센서에서 인식된 로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접시의 이송 현재위치를 판단하도록 구축된다.
또한, 상기 선별접시는 상기 이송체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상기 접시지지대가 상기 이송체인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상기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과, 전복이 안착되는 안착영역을 갖는 접시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상기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구간에는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부에서 지지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수평 내측내일과, 상기 고정수평 내측내일 사이에 배치되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간섭 또는 간섭해제시키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해제유니트는 상기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을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무게측정구간에는 상기 몸체 지지대가 로딩되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의 간섭이 해제되게 상기 선별접시의 이동경로를 따라 부상상태로 설치된 로딩레일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브라켓을 통해 상기 로딩레일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평해제유니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승강지지바디와; 상기 승강지지바디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이 결합된 시소바디와; 상기 시소바디로부터 상기 시소바디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연장바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승강압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중량을 갖는 중량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기에 의하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도달한 선별접시에 대해 전복의 중량을 정밀하게 로드셀을 통해 측정하고, 중량에 따라 대응되는 배출위치에서 눕힘동작에 의해 배출되게 선별처리할 수 있어 측정 효율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복의 선별접시로의 공급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의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로딩인식센서가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로드셀이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복귀구간과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수평해제 유니트 장착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수평해제 유니트의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1의 전복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의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로딩인식센서가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로드셀이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복귀구간과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수평해제 유니트 장착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수평해제 유니트의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1의 전복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 선별기의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100)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구동부(120), 선별접시(140), 순환 레일부(160), 제1 및 제2무게측정부(170a)(170b), 수평해제 유니트(180),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선별접시(140)의 순환 회전을 지원하는 요소의 장착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구동부(120)는 선별접시(140)가 순환회전되게 결합되는 이송체인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구동부(120)는 메인모터(121), 구동스프라켓(123), 이송체인(126)을 구비한다.
메인 모터(121)는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접속된 구동스프라켓(123)을 회전시킨다. 종동스프라켓(125)은 구동스프라켓(123)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송체인(126)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12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선별접시(140)는 이송체인(126)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세 구조를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별접시(140)는 접시지지대(141), 가이드롤러(143), 접시몸체(142), 몸체지지대(143), 제1링크(145), 제2링크(146)를 구비한다.
접시지지대(141)는 이송체인(126)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가이드롤러(143)는 접시지지대(141)가 이송체인(126)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접시지지대(141)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외측내일(163)에 구속상태로 이동되게 장착되어 있다.
접시몸체(142)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복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영역을 갖게 형성된 부분이며 투수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 지지대(143)는 접시몸체(14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제1 및 제2링크(145)(146)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링크(145)는 접시지지대(141)에 제1힌지(145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접시지지대(141)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은 몸체 지지대(143)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수평 내측내일(162)의 저부에 진입되어 구속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제2링크(146)는 제1링크(145)보다 하부에서 몸체 지지대(143)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힌지(145a) 보다 하부에서 접시지지대(141)에 제2힌지(146a)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148은 몸체 지지대(143)의 하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미끄럼접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하부바퀴이다. 하부바퀴는 몸체 지지대(14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별접시(140)는 접시몸체(142)에 안착된 전복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을 상방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유지하면 수평상으로 이동되고, 제1링크(145)의 타단의 간섭을 해제시키면 자중에 의해 제1링크(145)의 타단이 상승하면서 접시몸체(142)는 접시지지대(141)에 대해 눕는 형태로 경사지게 회동하면서 전복의 접시몸체(142)로부터의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순환 레일부(160)는 메인 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있고, 선별접시(140)에 대해 순환회전되면서 무게측정 및 전복 공급, 중량에 따라 전복선별을 위한 눕힘 및 수평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이 순환 반복될 수 있도록 선별접시(140)를 간섭하여 수평 구속이동 또는 수평 구속 해제를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순환 레일부(160)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 고정수평 내측내일(162), 외측내일(163), 로딩레일(164), 수평보조레일(165), 환형 경사레일(166), 기립가이드 레일(167)을 구비한다.
순환 레일부(160)의 각 요소에 대한 설명에 앞서 선별접시(140)의 순환경로에 따라 순환 레일부(130)를 구분하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선별구간(S2) 및 복귀구간(S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게 측정 및 공급구간(S1)은 복귀구간(S3)과 선별구간(S2) 사이의 구간으로서, 전복공급기(200)로부터 낙하에 의해 공급되는 전복을 받을 수 있는 공급영역과 공급영역의 전후에 각각 마련되어 선별접시의 로딩을 검출하고,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구간(S2)은 선별접시(140)를 무게에 따라 눕힘동작을 허용하도록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부분 및 눕힘 허용부분이 선별접시(140)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된 구간이다.
복귀구간(S3)은 선별구간(S2)을 거쳐 눕혀진 선별접시(140)를 초기상태로 수평하게 복귀시키는 구간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은 선별구간에 마련되어 선별접시(140)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에 대한 간섭을 유지 또는 승강에 의해 해제하여 선별접시(140)의 중량에 대응한 전복 배출을 지원하도록 선별구간(S2)에서 중량별 선별 위치마다 배치되어 있고, 후술되는 수평해제 유니트(180)에 의해 승강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은 후술되는 고정수평 내측내일(162)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수평 내측 내일(16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선별접시(140)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을 간섭하여 수평상태로 이동을 지원하게 연장된 부분으로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및 선별구간(S2)에서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 설치되어 있다.
외측내일(163)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시지지대(141)를 수평상태로 이송을 지원하도록 가이드롤러(143)가 구속상태로 이송을 지원하게 메인 프레임(110)에 순환궤도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로딩레일(164)은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상에 하부 바퀴(148)가 안착상태로 이동되게 마련되되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 지지대(143)가 하부바퀴(148)을 통해 로딩된 상태에서 제1링크(145)의 타단은 고정수평 내측내일(162)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간섭이 해제되게 선별접시(140)의 이동경로를 따라 부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무게 측정을 전복이 공급되는 영역 전과 공급 이후에 하도록 되어 있어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보조레일(165)은 고정수평 내측레일(162)과 함께 선별접시(140)의 수평상태 유지를 보조할 수 있도록 선별접시(140)의 하부바퀴(148)가 접촉되어 이송될 수 있게 대응되는 경로상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무게 측정레일 사이에 이격되게 마련된 레일이다. 수평보조레일(165)의 높이는 제1링크(145)의 타단이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에 대해 하방으로 약간 이격되는 높이로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수평보조레일(165)을 통해 이동되는 선별접시(140)는 수평보조레일(165)의 높이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이경우 수평보조레일(165)이 적용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르게는 수평보조레일(165)은 생략되고,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에 의해 선별접시(140)가 가이드되어 이동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환형 경사레일(166)은 선별구간(S2)의 종단으로부터 무게 측정 및 공급구간(S1)의 선단까지 복귀구간(S3)에 마련되어 있고, 환형궤적을 갖으며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연장되어 눕혀진 선별접시(140)의 하부바퀴(148)가 상부에서 접촉하면서 이동에 대응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기립가이드레일(167)은 환형 경사레일(168)보다 높은 위치에서 눕혀진 선별접시(140)의 접시몸체(142)의 하부를 간섭하여 선별접시(140)의 기립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궤도를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호형궤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무게 측정부(170a)(170b)는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순환 레일부의 로딩레일(164)에 로딩된 선별접시(140)의 무게를 측정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복공급기(200)의 전복공급구간 전에 마련되어 비어있는 선별접시(14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무게 측정부(170a)와 전복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된 전복이 안착된 선별접시(14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무게측정부(170b)로 구축되어 있다.
제1 및 제2무게 측정부(170a)(170b)는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 브라켓(173)을 통해 장착되어 로딩레일(164)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72)로 구축되어 있고,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는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상에서 제1무게측정부(170a) 전단 및 제2무게측정부(170b) 후단에 마련되어 선별접시(140)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는 비접촉에 의해 선별접시(140)를 인식하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수평해제유니트(180)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을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평해제 유니트(180)는 순환레일부(160)의 선별구간(S2)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선별접시(140)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선별접시(140)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평해제 유니트(180)를 구분하면, 승강지지바디(181), 시소바디(183), 연장바디(185), 실린더(186), 중량추(187)를 구비한다.
승강지지바디(181)는 메인 프레임(110)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시소바디(183)는 승강지지바디(181)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종단 하부에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결합되어 있다.
연장바디(185)는 시소바디(183)로부터 시소바디(18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부분이다.
실린더(186)는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연장바디(185)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중량추(187)는 연장바디(185)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86)의 로드의 승강압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중량을 갖으며 원형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해제 유니트(18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186)의 로드가 상승하면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상승하고, 실린더(186)에 공급된 승강압을 해제시키면 중량추(187)의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로 하강한다.
제어부(190)는 메인 구동부(120)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선별접시(140)에 대해 제1 및 제2무게측정부(170a)(170b)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수평해제 유니트(180)에 도달하면 수평해제 유니트(180)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대응되는 실린더(186)를 제어한다. 참조부호 a, b, c는 메인 구동부(120), 수평해제 유니트(180) 및 전복공급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선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에서 인식된 로딩정보를 이용하여 선별접시(140)를 식별하면서 이송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로딩인식센서(175a)로부터 인식된 선별접시에 대해 내부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동에 의해 제1무게측정부(170a)에 도달하면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접시무게를 기록하고, 이후 후속 이동에 의해 제2무게측정부(170b)에서 측정된 전복안착 접시무게를 기록한 후 전복안착 접시무게에서 이전에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접시무게를 차감하여 순수 전복무게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2로딩인식센서(175a)로부터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선별접시(140)가 인식되면 이후 해당 무게에 대응하는 선별 위치에 도달하는지를 메인 구동부(120)의 이송에 대응한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도달하면 수평해제 유니트(180)를 제어하여 선별접시(140)로부터 전복이 이탈되게 처리한다.
한편, 전복공급기(200)는 전복 선별기(100)의 제1무게측정부(170a)를 거친 선별접시(140)에 전복을 투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복공급기(200)는 공급 프레임(210), 이송컨베이어(220),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 낙하안착 가이드부(250), 공급구동부(260), 투입가이드부(270), 전복 수용함체(280)를 구비한다.
공급 프레임(210)은 후술되는 이송컨베이어(220)가 순환회전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공급 프레임(210)은 비사용시 메인 프레임(1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선별작업시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에 의해 배치시킬 수 있도록 메임프레임(110)에 힌지(2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 프레임(210)을 구분하면, 메인 프레임(210)에 힌지(2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회동지원베이스(211)와, 회동지원 베이스(211)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 지지바디(213)와, 수직 지지바디(213)들을 통해 결합된 부상 지지바디(215)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0a는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지원 베이스(211)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 지지프레임이다.
또한, 공급 프레임(210)의 회동지원베이스(211)에는 공급 프레임(21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공급프레임(210)을 메인프레임(11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부재(217)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부재(217)는 메임프레임(110)에 장착된 걸쇠(218)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지원베이스(211)에 장착된 토글 클램프가 적용되어 있다. 고정부재(217)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컨베이어(220)는 공급 프레임(210)의 부상지지바디(215)에 순환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0)의 표면은 전복의 흡착력을 약화시킬수 있도록 하방으로 관통된 홀이 메트릭스 형태로 종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망체구조로 된 것을 적용한다.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이송가이드유닛으로 적용된 것으로서 배치 위치가 다르나 동일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이송컨베이어(2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공급 프레임(210)으로부터 이송컨베이어(220) 보다 높이가 높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이송컨베이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포스트(230a)와, 지지포스트(230a)에 일단이 결합되어 이송컨베이어(22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이송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전복의 이송컨베이어(220) 중앙으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230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230b)의 경사각도는 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은 후술되는 투입가이드부(270)를 통해 낙하되어 이송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전복을 이송컨베이어(220)의 중앙으로 가이드하도록 투입가이드부(270)를 기준으로 동거리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 유닛(231)(232)으로부터 낙하안착가이드부(2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220)의 진행방향에 대해 가이드판(230b)이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및 중계 이송 가이드 유닛(235)은 전복을 간섭하여 이송 컨베이어(220) 중앙으로 이송되게 안내한다.
낙하안착 가이드부(250)는 이송컨베이어(220)의 이송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공급 프레임(22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전복의 선별접시(140)로의 낙하를 가이드한다.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는 상하가 개방되되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전복의 선별접시(14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선별접시(140)로 낙하되게 가이드한다.
공급구동부(260)는 이송컨베이어(220)를 순환회전하는 제1 및 제2공급 구동스프라켓(261)(262)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265)로 구축되어 있다.
공급구동부(260)의 모터(265)를 통한 이송컨베이어(220)의 주행속도는 전복선별기(100)의 이송체인(126)의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동기되어 구동되게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에 전복의 낙하를 검출하는 낙하감지센서를 적용하고, 낙하감지센서에서 낙하가 감지되면 다음 준비 위치에 있는 선별접시(140)를 낙하 안착가이드부로 이동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투입가이드부(270)는 이송컨베이어(220)의 종단 반대편의 선단 상부에 이송컨베이(220)에 대향되게 공급프레임(220)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20)로의 전복투입을 가이드한다. 투입가이드부(27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으면서 상하로 관통된 투입로를 갖는 호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복 수용함체(280)는 선별 대상 다수의 전복을 함께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으며 투입가이드부(270)로 전복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으로부터 투입가이드부(27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진입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복 수용함체(280)는 공급 프레임(220)에 대해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용공간을 구분하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공간(280a)과, 제1수용공간(280a)과 연통되되 투입가이드부(270)에 가까워질 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된 제2수용공간(280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복 수용함체(280)는 제2수용공간(280b)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투입가이드부(27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280b)을 분할하는 격벽(28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90a는 메인 구동부(120)와 전복공급기(200)의 모터(26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 제어보드가 내장된 제어함체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복 수용함체(280)에 수용된 전복을 격벽(282)으로 분리된 제2수용공간(280b) 상에 낱개로 분리하고, 분리된 전복을 투입가이드부(270)를 통해 공급하면, 이송컨베이어(220)를 통해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및 중계 이송 가이드 유닛(235)에 의한 간섭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220) 중앙으로 전복이 이송되어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를 통해 선별접시(140)로 투하되게 공급된다.
또한, 선별접시에 투입된 전복은 앞서 설명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중량별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선별접시(140)가 눕혀지도록 처리하여 전복을 중량별로 선별되게 처리한다.
이러한 전복선별기에 의하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도달한 선별접시에 대해 전복의 중량을 정밀하게 로드셀을 통해 측정하고, 중량에 따라 대응되는 배출위치에서 눕힘동작에 의해 배출되게 선별처리할 수 있어 측정 효율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복의 선별접시로의 공급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메인 프레임 120: 메인 구동부
140: 선별접시 160: 순환 레일부
170a, 170b: 제1 및 제2무게측정부 180: 수평해제 유니트
190: 제어부 200: 전복공급기
210: 공급 프레임 220: 이송컨베이어
231, 232: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
235: 중계 이송가이드유닛
250: 낙하안착 가이드부 260: 공급구동부
270: 투입가이드부 280: 전복 수용함
140: 선별접시 160: 순환 레일부
170a, 170b: 제1 및 제2무게측정부 180: 수평해제 유니트
190: 제어부 200: 전복공급기
210: 공급 프레임 220: 이송컨베이어
231, 232: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
235: 중계 이송가이드유닛
250: 낙하안착 가이드부 260: 공급구동부
270: 투입가이드부 280: 전복 수용함
Claims (7)
- 메인 프레임에 순환되게 설치된 이송체인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한 선별 접시를 갖는 전복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되게 구동하는 메인 구동부와;
상기 선별접시에 대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선별구간 및 복귀구간이 순환궤도를 이루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의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로딩된 선별접시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순환레일부의 상기 선별구간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상기 선별접시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상기 선별접시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수평해제 유니트와;
상기 메인 구동부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상기 선별접시에 대해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선별위치의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에 도달하면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측정부는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배치되어 비어있는 상기 선별접시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무게 측정부와 상기 제1무게 측정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급된 전복이 안착된 상기 선별접시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무게측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무게 측정부는 각각 상기 선별접시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선별접시가 로딩되어 상기 선별접시가 부상상태가 되게 설치된 로딩레일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로딩레일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접시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딩인식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인식센서에서 인식된 로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접시의 이송 현재위치를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서 상기 선별접시가 상기 제1무게 측정부에 도달하기 이전의 상기 제1무게측정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접시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로딩인식센서와, 상기 선별접시가 상기 제2무게 측정부를 통과한 이후의 상기 제2무게측정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접시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2로딩인식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접시는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상기 접시지지대가 상기 이송체인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상기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과, 전복이 안착되는 안착영역을 갖는 접시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상기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와, 상기 몸체 지지대의 하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미끄럼접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하부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로딩레일은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상에 상기 하부 바퀴가 안착상태로 이동되게 마련되되 상기 선별접시의 몸체 지지대가 상기 하부바퀴를 통해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의 간섭이 해제되게 상기 선별접시의 이동경로를 따라 부상상태가 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로딩인식센서로부터 인식된 상기 선별접시에 대해 내부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제1무게측정부에 도달하면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선별접시의 무게를 기록하고, 이후 후속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복안착된 선별접시 무게를 기록한 후 전복안착 선별접시 무게에서 이전에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선별접시 무게를 차감하여 순수 전복무게를 산출하며, 상기 제2로딩인식센서로부터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선별접시가 인식되면 해당 무게에 대응하는 선별 위치에 도달하는지를 상기 메인 구동부의 이송에 대응한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를 제어하여 상기 선별접시로부터 전복이 이탈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해제유니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승강지지바디와;
상기 승강지지바디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이 결합된 시소바디와;
상기 시소바디로부터 상기 시소바디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연장바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승강압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중량을 갖는 중량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6648A KR102654782B1 (ko) | 2021-10-15 | 2023-06-15 | 전복 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7762A KR102546792B1 (ko) | 2021-10-15 | 2021-10-15 | 전복 선별기 |
KR1020230076648A KR102654782B1 (ko) | 2021-10-15 | 2023-06-15 | 전복 선별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762A Division KR102546792B1 (ko) | 2021-10-15 | 2021-10-15 | 전복 선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888A true KR20230095888A (ko) | 2023-06-29 |
KR102654782B1 KR102654782B1 (ko) | 2024-04-03 |
Family
ID=861416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762A KR102546792B1 (ko) | 2021-10-15 | 2021-10-15 | 전복 선별기 |
KR1020230076648A KR102654782B1 (ko) | 2021-10-15 | 2023-06-15 | 전복 선별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762A KR102546792B1 (ko) | 2021-10-15 | 2021-10-15 | 전복 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467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102059B (zh) * | 2023-07-27 | 2024-05-17 | 顶骐智能设备(苏州)有限公司 | 一种自动踢鱼设备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0176A (ja) * | 1995-07-27 | 1997-02-10 | Murata Mach Ltd | 物品仕分け装置 |
JP2003275691A (ja) * | 2002-03-26 | 2003-09-30 | Yanagihara Seisakusho:Kk | 選別機 |
KR20070008750A (ko) * | 2005-07-12 | 2007-01-18 | 김만길 | 과일선별기 및 그 선별방법 |
KR20190116891A (ko) * | 2018-04-05 | 2019-10-15 | 권익삼 | 완충 작용이 탁월한 벨트형 과일 선별기 |
KR20200032574A (ko) * | 2018-09-18 | 2020-03-26 | (주)스케일트론 |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
KR20200089983A (ko) *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
2021
- 2021-10-15 KR KR1020210137762A patent/KR1025467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6-15 KR KR1020230076648A patent/KR1026547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0176A (ja) * | 1995-07-27 | 1997-02-10 | Murata Mach Ltd | 物品仕分け装置 |
JP2003275691A (ja) * | 2002-03-26 | 2003-09-30 | Yanagihara Seisakusho:Kk | 選別機 |
KR20070008750A (ko) * | 2005-07-12 | 2007-01-18 | 김만길 | 과일선별기 및 그 선별방법 |
KR20190116891A (ko) * | 2018-04-05 | 2019-10-15 | 권익삼 | 완충 작용이 탁월한 벨트형 과일 선별기 |
KR20200032574A (ko) * | 2018-09-18 | 2020-03-26 | (주)스케일트론 |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
KR20200089983A (ko) *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4782B1 (ko) | 2024-04-03 |
KR102546792B1 (ko) | 2023-06-22 |
KR20230054134A (ko) | 202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752B1 (ko) | 어류 중량 선별장치 | |
DK2805903T3 (en) | Method and device to unload the stacked articles, such as boxes | |
JP2013505178A (ja) | ホイール付容器を有するチェックポイントシステム | |
KR20230095888A (ko) | 전복 선별기 | |
CN102099270A (zh) | 用于分开圆柱形物体的装置和方法 | |
KR102504509B1 (ko) | 과일 크기별 안정적 이송이 가능한 과일 선별장치 | |
KR100912932B1 (ko) | 계란 오토 로더 장치 | |
US20080264698A1 (en) | Transport System | |
KR101596929B1 (ko) | 과일 선별기 | |
CN212018595U (zh) | Aoi检测自动分拣机 | |
JP2001019165A (ja) | ワークピッキング装置 | |
KR100767280B1 (ko) | 계란 포장기 | |
AU2009212908B2 (en) | Storage automat | |
KR102123744B1 (ko) |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 |
JP2022060620A (ja) | 荷物積み込み装置および荷物積み込み方法 | |
KR102654783B1 (ko) |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 |
CN114850044B (zh) | 一种物流供应链物品自动分类装置 | |
KR20230054135A (ko) |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 |
KR101053498B1 (ko) | 쇽업소버의 너클브라켓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 |
KR102620934B1 (ko) |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 |
JP2002226037A (ja) | 仕分け設備 | |
JP2022179291A (ja) | 果菜載せ体、果菜載せ体昇降機構、果菜自動選別装置 | |
JP2003126787A (ja) | 重量選別機 | |
JP2002002946A (ja) | 長尺農産物の整列・箱詰装置 | |
JP2008105000A (ja) | キュウリ選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