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983A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Google Patents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9983A KR20200089983A KR1020190006965A KR20190006965A KR20200089983A KR 20200089983 A KR20200089983 A KR 20200089983A KR 1020190006965 A KR1020190006965 A KR 1020190006965A KR 20190006965 A KR20190006965 A KR 20190006965A KR 20200089983 A KR20200089983 A KR 202000899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h
- discharge
- unit
- plaque
- abalo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8 packag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8—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치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복 치패를 상호 나란하게 구획된 복수 개의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치패 이송부와,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복치패를 촬상하도록 단위 공급로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카메라와, 카메라의 촬상영역을 통과한 전복치패에 대해 크기에 따라 제1선별경로와 제2선별경로 중 어느 하나의 선별경로로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조정하는 선별경로 조정부와, 제1선별경로와 제2선별경로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전복치패를 배출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슈트와, 배출슈트의 배출로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배출로 개폐부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전복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복크기에 대응되는 선별경로로 이동되게 선별 경로 조정부를 제어하고, 배출슈트에 유입되는 전복치패 개수를 카운팅하면서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한 배출슈트에 대해 설정된 개폐조건에 대응되게 배출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복치패의 크기를 선별하면서 설정된 수량씩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해온 해산물로서,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왔다.
국내에서도 매년 많은 양의 전복이 소비되고 있고, 대부분 양식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
전복의 양식은 치패를 양식장에 방류하고 먹이가 되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식에 사용될 치패의 공급시, 적정 크기의 치패를 공급수량에 따라 포장해야 하였다.
이를 위해 기준 크기에 이르지 못한 치패는 물론 치패의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며, 선별 작업을 거친 치패는 설정된 수량으로 계수하여 포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치패 끼리 서로 달라붙게 되어 선별 및 계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치패를 계수하거나 선별하는 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108937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42074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치패 계수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891654호를 통해 치패 계수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전복 치패의 계수와 선별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설정된 개수만큼 포장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구조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복 치패의 계수와 선별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하면서도 설정된 개수만큼 포장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는 전복치패를 공급하는 치패공급부와; 상기 치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복 치패를 상호 나란하게 구획된 복수 개의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치패 이송부와; 상기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복 치패를 촬상하도록 상기 단위 공급로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상영역을 통과한 전복치패에 대해 크기에 따라 제1선별경로와 제2선별경로 중 어느 하나의 선별경로로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조정하는 선별경로 조정부와; 상기 제1선별경로와 상기 제2선별경로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전복치패를 배출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로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배출로 개폐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전복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복크기에 대응되는 선별경로로 이동되게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슈트에 유입되는 전복치패 개수를 카운팅하면서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한 배출슈트에 대해 설정된 개폐조건에 대응되게 상기 배출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의 경로 조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슈트에 각각 유입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배출슈트 들 중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되는 배출슈트에 대해 상기 배출로가 폐쇄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교체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출로가 개방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목표개수에 도달된 배출슈트가 있으면, 음향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 교체를 안내하는 음성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는 상기 단위 공급로의 중앙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선별경로와 상기 제2선별경로로 분할하는 분할격벽의 선단에서 회동에 의해 이송되는 전복치패가 상기 제1선별경로 또는 제2선별경로로 진입되게 안내하는 경로 조정 안내판과; 상기 경로 조정 안내판을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동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 개폐부는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배출로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차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승되게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차폐판의 저부를 간섭하는 상승 간섭판과; 상기 배출슈트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결합된 로드의 진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의 상기 회전축에 삽입된 부분 맞은편의 저부에는 자중에 의한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무게편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무게편의 선회경로에 대응되는 상기 배출슈트의 내벽에는 상기 무게편이 접촉시 반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반발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에 의하면, 전복 치패의 계수와 선별 작업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면서 설정된 목표개수만큼 포장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에 관여하는 요소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출슈트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슈트 개폐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출슈트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에 관여하는 요소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출슈트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슈트 개폐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출슈트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100)는 치패공급부(110), 치패 이송부(130), 카메라(151), 선별경로 조정부(160), 배출슈트(170), 배출로 개폐부(180)를 구비한다.
치패공급부(110)는 전복치패를 치패이송부(1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치패공급부(110)는 전복치패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되 치패 이송부(130)로 이어지는 치패투입로(113)가 일측에 개방되게 사각 통형 형성된 수용조(112)와, 수용조(112) 내에 설치되어 공급방향을 안내하는 공급방향 안내봉(114)과, 수용조(112)에 진동을 인가하여 전복치패가 상호 분산되게 하는 바이브레이터(116)를 구비한다.
치패이송부(130)는 치패공급부(110)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된 전복 치패를 상호 나란하게 구획된 복수 개의 단위 공급로(135)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치패이송부(130)는 높이차를 갖는 제1치패이송부(131)와 제2치패이송부(132)가 직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치패이송부(131)는 치패공급부(110)보다 낮게 배치되어 치패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이송한다.
제1치패이송부(131)는 회전되는 제1이송컨베이어(133)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이송안내판(136)에 의해 단위 공급로(135)를 형성한다.
참조부호 137은 이송방향을 가로질러 이송 안내판(136)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된 정렬바 지지프레임이고, 참조부호 138은 이송되는 전복치폐를 간섭하여 정렬 효율을 높이기 위한 치패정렬바이다.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상호 나란하게 3개의 단위공급로(135)가 마련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고, 적용되는 단위공급로(135)의 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른 개수를 갖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치패이송부(132)는 제1치패공급부(131)보다 낮게 배치되어 제1치패이송부(131)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이송한다.
제2치패이송부(131)도 회전되는 제2이송컨베이어(139)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이송안내판(136)에 의해 단위 공급로(135)를 형성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치폐이송부는 3단 이상으로 단차지게 직렬로 연장된 구조 또는 단차지지 않고 하단으로 연장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이송컨베이어(139)은 전복치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색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카메라(151)는 단위 공급로(135)를 따라 이동하는 전복 치패를 촬상하도록 단위 공급로(135)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되어 있고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151)는 단위 공급로(135)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된 촬상 하우징(153) 내에 장착되어 단위 공급로(135)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정보를 제어유니트에 제공한다.
선별 경로 조정부(160)는 카메라(151)의 촬상영역을 통과한 전복치패에 대해 크기에 따라 제1선별경로(161)와 제2선별경로(162) 중 어느 하나의 선별경로로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조정하고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별경로 조정부(160)는 경로 조정안내판(165)과, 모터(167)를 구비한다.
경로조정 안내판(165)은 단위 공급로(135)의 중앙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위 공급로(135)를 제1선별경로(161)와 제2선별경로(162)로 분할하는 분할격벽(163)의 선단에서 회동에 의해 이송되는 전복치패가 제1선별경로(161) 또는 제2선별경로(162)로 진입되게 안내 한다.
경로조정 안내판(160)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제2선별경로(162)의 진입입구를 폐쇄하여 제1선별경로(161)로 진입을 안내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제1선별경로(161)의 진입입구를 폐쇄하여 제2선별경로(162)로 진입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167)는 경로 조정 안내판(165)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과 연결되어 회동축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동구동부로 적용된 것이다.
모터(167)는 단위 공급로(135) 상부에 이격되어 이송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경로조정 하우징(168)에 지지되게 장착되어 있다.
경로조정 안내판(160)을 회동하는 회동구동부는 모터(167) 대신에 실린더의 진퇴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구조 등 다양한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출슈트(170)는 제1선별경로(161)와 제2선별경로(162)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1선별경로(161)와 제2선별경로(162)를 통해 낙하되어 유입된 전복치패를 배출로(172)를 통해 배출한다.
배출슈트(170)의 배출구(174)를 통해 배출되는 전복치패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에 수집된다.
여기서, 수용용기(10)는 상부가 열린 수용공간을 갖으며 경성 재질로 투수가 가능하게 형성된 통형 수집통(미도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투수가 되는 망체 형태로 형성된 수집망을 적용할 수 있다.
수집망을 적용하는 경우 배출슈트(170)의 종단에는 수집망을 걸을 수 있는 걸이구(176)가 외측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로 개폐부(180)는 배출슈트(170)의 배출로(172)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세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출로 개폐부(180)는 회전축(181), 차폐판(183), 아암(185) 및 실린더(188)를 구비한다.
회전축(181)은 배출슈트(170)의 배출로(17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출슈트(170)의 외측까지 연장되게 장착되어 있다.
차폐판(183)은 회전축(181)에 자유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접합되어 회전축(181)의 회동에 의해 배출로(172)를 개방 또는 차폐시킨다. 차폐판(183)에는 전복치폐의 크기보다 작게 투수가 가능한 투수홀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185)은 배출슈트(170)의 외측에서 회전축(18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188)는 아암(185)에 결합된 로드(188a)의 진퇴에 의해 회전축(181)을 회전시킨다. 참조부호 103은 실린더가 장착되는 지지프레임이다.
이와는 다르게, 차폐판(183)이 배출로(172)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하강시 차폐판(183)과 배출슈트(170)의 내벽 사이에 전복 치패가 끼였을 때 실린더(188)의 강제 회동 조작에 의한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폐판(283)은 회전축(181)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회동에 의해 배출로(172)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차폐판(283)은 회전축(181)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링부분(283a)으로부터 배출로(172)를 차폐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차폐영역(283b)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링부분(283a)은 회전축(181)을 완전히 감싸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회전축(18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탈이 억제되며 회전축(181)에 삽입이 가능하게 일부가 개방된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 간섭판(286)은 회전축(181)에 일체로 결합되며 차폐판(283)이 배출로(272)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승되게 회전축(181)의 회동에 연동되어 차폐판(283)의 저부를 간섭할 수 있게 차폐판(283)보다 작은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차폐판(283)이 배출로(172)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 배출로(172)를 개방하기 위해 실린더(188)의 로드를 후퇴시키면, 상승 간섭판(286)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차폐판(283)의 틈사이에 전복치패가 끼여 있지 않으면 상승 간섭판(286)과 함께 차폐판(283)이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서 하강한다. 이와는 다르게, 차폐판(283)의 틈사이에 전복치패가 끼여 있으면 상승 간섭판(286)과 다르게 차폐판(283)은 폐쇄위치에서 하강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폐판(183)과 배출슈트(170)의 내벽 사이에 전복 치패가 끼였을 때 강제 회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회동위치 검출센서(189)는 차폐판(183)이 개방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니트에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동위치 검출센서(189)는 차폐판(183)이 일정거리 이내로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가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차폐판(183)의 접촉유무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스위치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차폐판(283)의 회전축(181)에 삽입된 부분 맞은편의 저부에는 자중에 의한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무게편(28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283)이 배출로(27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무게편(283)의 선회경로에 대응되는 배출슈트(170)의 내벽에는 무게편(287)이 접촉시 반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반발 스프링(288)이 마련되어 있다.
참조부호 289는 반발스프링(288)의 상면에는 접촉면적을 넓혀 충격량을 분산시킬수 있게 판형으로 결합된 안착 패드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차폐판(283)이 배출로(172)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차폐판(283)의 가장자리와 배출슈트(170) 사이에 전복치폐가 약하게 낀 경우 다시 스프링(288)에 의한 반동과정 및 진동에 의해 쉽게 이탈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전복치패의 선별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유니트(190)는 조작부(191), 표시부(192), 음향출력부(193) 및 제어부(195)를 구비한다.
조작부(191)는 포장단위가 되는 목표수량의 설정 및 수납용기 장착완료 지시를 포함하는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91a는 배출슈트(170)에 수납용기(10)를 교체하였을 때 장착완료를 알릴 수 있게 각 배출슈트(170)에 대응되게 마련된 장착완료 지시키이다.
표시부(192)는 제어부(195)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192a는 각 배출슈트(170)에 대응되게 목표수량의 전복치패가 수납용기(10)에 수납됐음을 알리는 포장지시 표시등이다.
음향 출력부(193)는 제어부(195)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제어부(195)는 카메라(151)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전복크기를 판정한다. 제어부(195)는 카메라(151)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에 대해 제2이송컨베이어(139)의 배경정보 내에 전복치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복치패가 점유하는 화소영역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전복크기를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전복크기를 기준크기와 비교하고, 기준크기 미만인 경우 제1선별경로(161)로 이송되게 하고, 판정된 전복크기에 따르는 선별경로로 예를 들면, 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제2선별경로(162)로 이송되게 선별 경로 조정부(160)를 제어한다.
제어부(195)는 배출슈트(170)에 유입되는 전복치패 개수를 카운팅하면서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되면 설정된 개폐조건에 대응되게 배출슈트(170)의 배출로(172)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95)는 카메라(151)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선별 경로 조정부(160)의 경로 조정정보를 이용하여 배출슈트(170)에 각각 유입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즉, 하나의 단일 공급경로(135)에 대해 카메라(151)에 의해 의해 전복치패가 촬상되고, 이후 촬상된 영상정보로부터 전복치패의 크기를 판정한 후 제1선별경로(161)로 이송되게 선별 경로 조정부(160)를 조정한 경우 제1선별경로(161)에 대응되는 배출슈트(170)에 대해 유입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하나 누적되게 계수처리 한다. 제어부(195)는 각 배출슈트(170)에 대해 고유 식별정보로 관리하면서 계수처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부(195)는 배출슈트(170) 들 중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되는 배출슈트에 대해 배출로(172)가 폐쇄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하고, 카운팅 값을 리셋시켜 다시 카운트 하며, 배출슈트(170)의 배출구(174)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수용하는 수용용기(10)의 교체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배출로가 개방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한다.
여기서, 목표개수는 예를 들면 500개 등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대기시간도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제어부(195)는 목표개수에 도달된 배출슈트(170)에 대해 음향출력부(193)를 통해 수용용기(10) 교체를 안내하는 음성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처리하고, 표시부(192)의 대응되는 포장지시 표시등(192a)가 표시되게 처리한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부(195)는 목표개수에 도달된 배출슈트(170)에 대해 배출로(172)가 폐쇄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한 이후, 조작부(191)의 장착완료 지시키(191a)의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배출로(172)가 개방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하도록 구출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조작부(191)는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배출로가 개방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자동모드와, 조작부(191)의 장착완료 지시키(191a)의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배출로(172)가 개방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지원하고, 제어부(195)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게 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5)는 배출로(172)가 개방되게 배출로 개폐부(180)를 제어한 이후 회동위치 검출센서(189)로부터 차폐판(283)이 개방위치로 하강된 신호가 설정된 감지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전복치폐에 끼여 하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음향출력부(193)를 통해 차폐판(283) 하강 장애 발생에 대응되는 조치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단위 공급로(135)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된 경우 선별경로 조정부(160)에 의해 선별되어 이송되는 전복치폐에 대해 인접된 선별경로끼리는 동일 조건으로 분류된 크기의 전복치폐가 함께 합류하여 이송되게 하여 적용되는 배출슈트(170)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선별경로 조정부(160)를 거친 전복치폐에 대해 최외곽에 형성되는 선별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에 형성되는 선별경로에 대해서는 전복치폐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된 선별경로가 동일크기 조건으로 선별된 전복치폐가 이송되게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순으로 형성되게 구축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서 인접된 선별경로가 동일 선별경로인 경우 상호 합류상태로 하나의 배출슈트에 수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구조와 비교하면 단일 공급로(135)에 대응되는 최외곽 이송안내판(136)과, 분할격벽(163)은 그래도 유지되고, 내부의 이송 안내판(136) 2개는 제거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로 되고, 중앙의 인접된 제2선별경로와 제2선별경로 사이의 이송 안내판(136)은 제거되어 합류에 의해 하나의 단일 경로를 통해 이송되며, 중앙의 인접된 제1선별경로와 제1선별경로 사이의 이송 안내판(136)은 제거되어 합류에 의해 하나의 단일 경로를 통해 이송된다. 따라서, 앞서 예시된 구조에 비해 2개의 배출슈트(170)가 축소되어 4개의 배출슈트(170)로도 선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5)는 각 단위 공급로(135)에 마련되어 선별경로를 조정하는 각 모터(167)의 정역 회전에 대해 앞서 설명된 선별경로에 맞게 인접된 모터(167)끼리는 경로선택방향에 대한 회전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게 제어하도록 구축되면 된다.
따라서, 제어부(195)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마련된 3개의 단위공급로(135)에 대해 각각 분할된 선별경로를 앞서와는 다르게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가 되게 선별경로 조정부(160)를 제어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에 의하면, 전복 치패의 계수와 선별 작업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면서 설정된 목표개수만큼 포장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치패공급부 130: 치패 이송부
151: 카메라 160: 선별경로 조정부
170: 배출슈트 180: 배출로 개폐부
190: 제어유니트
151: 카메라 160: 선별경로 조정부
170: 배출슈트 180: 배출로 개폐부
190: 제어유니트
Claims (7)
- 전복치패를 공급하는 치패공급부와;
상기 치패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복 치패를 상호 나란하게 구획된 복수 개의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치패 이송부와;
상기 단위 공급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복 치패를 촬상하도록 상기 단위 공급로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상영역을 통과한 전복치패에 대해 크기에 따라 제1선별경로와 제2선별경로 중 어느 하나의 선별경로로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조정하는 선별경로 조정부와;
상기 제1선별경로와 상기 제2선별경로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전복치패를 배출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로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배출로 개폐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전복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복크기에 대응되는 선별경로로 이동되게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슈트에 유입되는 전복치패 개수를 카운팅하면서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한 배출슈트에 대해 설정된 개폐조건에 대응되게 상기 배출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의 경로 조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슈트에 각각 유입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배출슈트 들 중 설정된 목표개수에 도달되는 배출슈트에 대해 상기 배출로가 폐쇄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교체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출로가 개방되게 상기 배출로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목표개수에 도달된 배출슈트가 있으면, 음향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 교체를 안내하는 음성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경로 조정부는
상기 단위 공급로의 중앙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선별경로와 상기 제2선별경로로 분할하는 분할격벽의 선단에서 회동에 의해 이송되는 전복치패가 상기 제1선별경로 또는 제2선별경로로 진입되게 안내하는 경로 조정 안내판과;
상기 경로 조정 안내판을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동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 개폐부는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배출로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차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승되게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차폐판의 저부를 간섭하는 상승 간섭판과;
상기 배출슈트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결합된 로드의 진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상기 회전축에 삽입된 부분 맞은편의 저부에는 자중에 의한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무게편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출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무게편의 선회경로에 대응되는 상기 배출슈트의 내벽에는 상기 무게편이 접촉시 반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반발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경로 조정부를 거친 전복치폐에 대해 최외곽에 형성되는 선별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에 형성되는 선별경로에 대해서는 전복치폐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된 선별경로가 동일크기 조건으로 선별된 전복치폐가 이송되게 제1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2선별경로, 제1선별경로 순으로 형성되게 구축되고, 인접된 선별경로가 동일 선별경로인 경우 상호 합류상태로 하나의 상기 배출슈트에 수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65A KR20200089983A (ko) | 2019-01-18 | 2019-01-18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65A KR20200089983A (ko) | 2019-01-18 | 2019-01-18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983A true KR20200089983A (ko) | 2020-07-28 |
Family
ID=7183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965A KR20200089983A (ko) | 2019-01-18 | 2019-01-18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998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31434A (zh) * | 2021-04-02 | 2021-06-11 | 青岛丰禾星普科技有限公司 | 对虾收获装置 |
CN114104688A (zh) * | 2021-11-08 | 2022-03-01 | 天能电池集团(马鞍山)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自动配组系统及方法 |
KR20220028295A (ko) * | 2020-08-28 | 2022-03-08 |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 치패 선별장치 |
KR20230054135A (ko) * | 2021-10-15 | 2023-04-24 | 김노석 |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
KR20230054134A (ko) * | 2021-10-15 | 2023-04-24 | 김노석 | 전복 선별기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6965A patent/KR20200089983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8295A (ko) * | 2020-08-28 | 2022-03-08 |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 치패 선별장치 |
CN112931434A (zh) * | 2021-04-02 | 2021-06-11 | 青岛丰禾星普科技有限公司 | 对虾收获装置 |
KR20230054135A (ko) * | 2021-10-15 | 2023-04-24 | 김노석 |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
KR20230054134A (ko) * | 2021-10-15 | 2023-04-24 | 김노석 | 전복 선별기 |
KR20230095888A (ko) * | 2021-10-15 | 2023-06-29 | 김노석 | 전복 선별기 |
CN114104688A (zh) * | 2021-11-08 | 2022-03-01 | 天能电池集团(马鞍山)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自动配组系统及方法 |
CN114104688B (zh) * | 2021-11-08 | 2024-02-23 | 天能电池集团(马鞍山)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自动配组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89983A (ko) |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 |
US2022005374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squito pupae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 |
JP5016293B2 (ja) | 茶葉の色彩選別装置 | |
KR101812298B1 (ko) | 전복 치패 계수장치 | |
US20110147280A1 (en) | Automatic gelatin capsule sorting machine | |
JP5630986B2 (ja) | 茶葉の異物選別装置 | |
TWI782161B (zh) | 光學式篩選機 | |
JP2004050106A (ja) | 椎茸自動選別仕分け設備 | |
JP5594059B2 (ja) | キャップ供給装置 | |
JP4391853B2 (ja) | 硬貨類収納繰出装置 | |
KR100330319B1 (ko) | 어류 자동선별장치 | |
JP2020171879A (ja) | 食品の異物選別システム及びx線選別装置 | |
JP2009163778A (ja) | 循環式硬貨入出金機 | |
CN110142231A (zh) | 荧光标记水稻种子分选机构及方法 | |
JP6582421B2 (ja) | 物品分配投入装置 | |
CN113396839B (zh) | 一种疫苗下种前鸡蛋分拣设备 | |
JP4284100B2 (ja) |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の精査処理装置 | |
KR101763565B1 (ko) | 저품질 마늘 선별 장치 | |
TWM597400U (zh) | 咖啡豆檢測機 | |
AU200820238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nk notes | |
JP6243966B1 (ja) | ゴルフ練習場設備 | |
JP2008062116A (ja) | 莢果選別装置 | |
CN216262019U (zh) | 一种昆虫差级分离传输装置 | |
CN108672291B (zh) | 空壳胶囊剔除机构 | |
JPH0957213A (ja) | 茸類の品質判定装置及び仕分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