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048694A - 슬라이드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694A
KR20230048694A KR1020210131440A KR20210131440A KR20230048694A KR 20230048694 A KR20230048694 A KR 20230048694A KR 1020210131440 A KR1020210131440 A KR 1020210131440A KR 20210131440 A KR20210131440 A KR 20210131440A KR 20230048694 A KR20230048694 A KR 2023004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lider
closing
rotato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029B1 (ko
Inventor
이두면
김덕회
김세련
이노희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21013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029B1/ko
Priority to PCT/KR2022/014054 priority patent/WO2023058945A1/ko
Publication of KR2023004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가이드로드와 제2 가이드로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댐퍼를 갖는 클로징 유닛 및 상기 제2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푸쉬오픈 유닛을 포함하고, 폐쇄시 상기 클로징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에 의해 작동되어 셀프클로징(self-closing) 기능을 수행하고, 개방시 상기 푸쉬오픈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된 상태에서 푸쉬동작에 의해 가압되면 잠금해제되어 푸쉬오픈(push-open) 기능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 {SLIDE MODULE}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프클로징 기능 및 푸쉬 오픈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함 등의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한 물건들을 넣어 보관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본체에 수납체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그 설치공간 안쪽 벽면과 수납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구름접촉(Rolling Contact)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에 의해 열림 또는 닫힘 동작된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에는 푸쉬 오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납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수납체를 푸쉬하면 푸쉬 오픈 장치의 탄성반응에 의해 수납체가 본체로부터 일부 돌출되고, 사용자는 손으로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에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납체를 닫고자 할 경우 수납체를 소정의 거리만큼만 밀어넣으면 수납체가 셀프클로징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인입되고, 사용자는 수납체를 끝까지 밀어 넣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에 푸쉬 오픈 장치와 셀프클로징 장치가 별도의 장치로서 구비되어, 수납체 설치 시 공간 제약이 발생하거나 작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643 호 (2017. 05. 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셀프클로징 기능 및 푸쉬 오픈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가이드로드와 제2 가이드로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댐퍼를 갖는 클로징 유닛 및 상기 제2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푸쉬오픈 유닛을 포함하고, 폐쇄시 상기 클로징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에 의해 작동되어 셀프클로징(self-closing) 기능을 수행하고, 개방시 상기 푸쉬오픈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된 상태에서 푸쉬동작에 의해 가압되면 잠금해제되어 푸쉬오픈(push-open) 기능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구간은, 인입구간(A), 및 셀프클로징 구간(B)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인입구간(A)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2 슬라이더와 먼저 결합된 후,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될 때까지 이동하고,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에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구간은, 푸쉬 구간(C) 및 오픈 구간(D)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푸쉬 구간(C)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일정 거리 푸쉬되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오픈 구간(D)에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오픈 유닛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 및 상기 작동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캐리지, 상기 이동 캐리지와 일정구간 맞물려 함께 인입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며, 인입 시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반복되는 로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칫 돌기부, 및 상기 래칫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칫 돌기부는,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돌기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래칫돌기, 상기 제1 래칫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돌기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2 래칫돌기, 및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를 연결하며, 잠금 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외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캐리지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간(A)에서 상기 외측돌기가 걸림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함께 인입되도록 하는 걸림부, 및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에서 상기 로테이터가 내부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간(A)에서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으로 넘어갈 때,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샤프트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로징 유닛과 푸쉬오픈 유닛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셀프클로징 기능과 푸쉬오픈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로징 유닛은 제1 탄성부재에 의한 셀프클로징 및 댐퍼에 의한 소프트클로징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 액티베이터의 부드러운 인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푸쉬오픈 유닛은 푸쉬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 모듈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징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오픈 유닛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오픈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폐쇄 시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개방 시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강제 인출 시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드 모듈(1000)은 하우징(100), 클로징 유닛(200), 및 푸쉬오픈 유닛(3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모듈(1000)은 제1 가이드로드(111)와 제2 가이드로드(121)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제1 가이드로드(111)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리는 제1 슬라이더(210), 상기 제1 슬라이더(210)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220),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댐퍼(230)를 갖는 클로징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 모듈(1000)은 상기 제2 가이드로드(121)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리는 제2 슬라이더(310), 상기 제2 슬라이더(310)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350), 및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작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푸쉬오픈 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때, 클로징 유닛(200)은 폐쇄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10)에 의해 작동되어 셀프클로징(self-closing)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푸쉬오픈 유닛(300)은 개방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인입된 상태에서 푸쉬동작에 의해 가압되면 잠금해제되어 푸쉬오픈(push-open)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 모듈(1000)은 셀프클로징 기능 및 푸쉬 오픈 기능이 하나의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모듈(1000)은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함 등의 본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 모듈(1000)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모듈(1000)을 작동시키는 액티베이터(10)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액티베이터(10)는 상기 서랍체에 설치되는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클로징 유닛(200)을 수용하며, 제1 가이드로드(111)가 형성되는 제1 수용부(110) 및 푸쉬오픈 유닛(300)을 수용하며, 제2 가이드로드(121)가 형성되는 제2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 클로징 유닛(200) 및 푸쉬오픈 유닛(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로드(111)는 제1 수용부(110)에 마련되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 직선로(111a), 및 상기 제1 직선로(111a)의 단부 영역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1 경사로(111b)를 포함한다. 완전 개방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210)는 제1 경사로(111b)에서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후,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입 시 제1 슬라이더(210)는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림에 따라 상측으로 회동되어 제1 직선로(111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제1 직선로(111a) 및 제1 경사로(111b)는 제1 슬라이더(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가이드로드(121)는 제2 수용부(120)에 마련되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 직선로(121a), 및 상기 제2 직선로(121a)의 단부 영역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로(121b)를 포함한다. 완전 개방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310)는 제2 경사로(121b)에서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후,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입 시 제2 슬라이더(310)는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림에 따라 상측으로 회동되어 제2 직선로(121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제2 직선로(121a) 및 제2 경사로(121b)는 제2 슬라이더(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외부 액티베이터(10)는 푸쉬오픈 유닛(300)의 제2 슬라이더(310)와 먼저 결합되어 제2 슬라이더(31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 다음,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일정 구간 인입 후 클로징 유닛(200)의 제1 슬라이더(210)와 결합되어 제1 슬라이더(21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써,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1 슬라이더(210) 및 제2 슬라이더(310)와 모두 결합된 상태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수용부(120)에는 제3 가이드로드(12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로드(122)는 제2 가이드로드(121)와 동일선상에서, 제2 가이드로드(121)보다 폐쇄 방향 측에 마련된다. 제3 가이드로드(122)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3 직선로(122a), 및 상기 제3 직선로(122a)의 단부 영역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3 경사로(122b)를 포함한다. 제3 가이드로드(122)는 인입 상태에서 외부 액티베이터(10)를 강제 인출할 때, 제2 슬라이더(310)가 제3 경사로(122b)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제2 슬라이더(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징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클로징 유닛(200)은 제1 슬라이더(210), 댐퍼(220), 및 제1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210)는 인입 시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리며, 제1 가이드로드(111)의 제1 직선로(111a) 및 제1 경사로(111b)에 안내되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슬라이더(210)는 제1 결합부(211), 제1 이탈방지부(212), 댐퍼 연결부(213), 및 제1 탄성부재 연결부(2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슬라이더(210)는 함몰 형성되어 외부 액티베이터(10)와 걸림 또는 해제되는 제1 결합부(211), 상기 제1 결합부(211)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부(212), 댐퍼 로드(222)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댐퍼 연결부(213), 및 제1 탄성부재(23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 연결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합부(211)는 하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외부 액티베이터(10)와의 걸림 또는 해제에 의해 제1 슬라이더(210)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이탈방지부(212)는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제1 결합부(211)의 전측에 형성된다. 다만,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출 시 제1 슬라이더(210)는 제1 가이드로드(111)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1 결합부(211)와 분리될 수 있다.
댐퍼(220)는 댐퍼 본체(221), 댐퍼 로드(222), 및 장착부(22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퍼(220)는 댐퍼 수용부(112)에 삽입 결합되는 댐퍼 본체(221), 상기 댐퍼 본체(22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댐퍼 로드(222), 및 상기 댐퍼 로드(2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210)에 장착되는 장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댐퍼(220)는 제1 슬라이더(210)의 인입시 완충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력에 의해 소프트클로징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하우징(100)과 제1 슬라이더(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제1 탄성부재(700)는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인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탄성부재(230)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입에 따른 제1 슬라이더(210)의 폐쇄 방향 이동시 제1 탄성부재(230)는 상기 제1 슬라이더(210)를 폐쇄 방향으로 잡아당기며 클로징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출에 따른 제1 슬라이더(210)의 개방 방향 이동시 제1 탄성부재(230)는 점차 인장된다. 즉, 제1 탄성부재(230)의 폐쇄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셀프클로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클로징 유닛(200)은 제1 탄성부재(230)에 의한 셀프클로징 및 댐퍼(220)에 의한 소프트클로징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 액티베이터(10)의 부드러운 인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오픈 유닛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오픈 유닛의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터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푸쉬오픈 유닛(300)은 제2 슬라이더(310), 제2 탄성부재(350), 및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쉬오픈 유닛(300)은 제2 가이드로드(121)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리는 제2 슬라이더(310), 상기 제2 슬라이더(310)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350), 및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수축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슬라이더(310)는 인입 시 외부 액티베이터(10)와 맞물리며, 제2 가이드로드(121)의 제2 직선로(121a) 및 제2 경사로(121b)에 안내되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2 슬라이더(310)는 제2 결합부(311), 제2 이탈방지부(312), 및 캐리지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슬라이더(310)는 함몰 형성되어 외부 액티베이터(10)와 걸림 또는 해제되는 제2 결합부(311), 상기 제2 결합부(311)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부(312), 및 이동 캐리지(3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캐리지 연결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결합부(311)는 하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외부 액티베이터(10)와의 걸림 또는 해제에 의해 제2 슬라이더(310)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이탈방지부(312)는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제2 결합부(311)의 전측에 형성된다. 다만,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출 시 제2 슬라이더(310)는 제2 가이드로드(121)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2 결합부(311)와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액티베이터(10)의 강제 인출 시 제2 슬라이더(310)는 제3 가이드로드(122)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2 결합부(311)와 강제 분리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50)는 하우징(100)과 제2 슬라이더(3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제2 탄성부재(350)는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인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탄성부재(35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액티베이터(10)의 인입에 따른 제2 슬라이더(310)의 폐쇄 방향 이동시 제2 탄성부재(350)는 상기 제2 슬라이더(310)를 개방 방향으로 밀어낸다.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인입시 상기 제2 슬라이더(310)와 먼저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탄성력 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1 슬라이더(210)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인입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50)의 탄성력 보다 큰 외력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제1 슬라이더(210) 및 제2 슬라이더(310)와 결합되면,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수축이 잠금되어 제2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고, 제1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잠금 메커니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30)와 로테이터(340)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푸쉬오픈 유닛(300)은 이동 캐리지(320), 샤프트(330), 로테이터(340) 및 지지부재(360)를 더 포함한다.
샤프트(330)는 양 끝단이 제2 수용부(120)에 형성된 샤프트 고정부(123)에 결합 고정되며,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331) 및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3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30)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331), 및 상기 작동돌기(331)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돌기(331)는 로테이터(340)와 맞물려 로테이터(340)의 일 방향 회전을 유도하며, 샤프트(33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걸림돌기(332)는 로테이터(340)에 대해 걸림 및 걸림 해제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샤프트(330)의 상기 작동돌기(3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이동 캐리지(320)는 일측이 제2 슬라이더(310)와 결합되어 제2 슬라이더(310)와 함께 이동하며, 샤프트(330)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3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동 캐리지(320)는 걸림부(321), 및 가이드부(322)를 포함한다.
걸림부(321)는 이동 캐리지(320)는 내주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321)는 외부 액티베이터(10) 인입시 로테이터(340)의 외측돌기(343)가 걸림되어 상기 로테이터(340)가 일정구간 함께 인입되도록 한다.
가이드부(322)는 이동 캐리지(32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22)는 외부 액티베이터(10) 인입시 로테이터(340)가 샤프트(330)의 작동돌기(331)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외측돌기(343)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로테이터(340)가 이동 캐리지(320)의 내부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로테이터(340)는 상기 이동 캐리지(320)와 일정구간 맞물려 함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로테이터(340)는 샤프트(330)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330)를 따라 이동한다. 로테이터(340)는 인입 시 샤프트(330)의 작동돌기(331)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인입 작동에 따라 샤프트(330)의 걸림돌기(332)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반복된다.
한편, 로테이터(340)는 내주면에 래칫 돌기부(341), 통로부(342), 및 외측돌기(34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테이터(340)는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래칫 돌기부(341) 및 상기 래칫 돌기부(341)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래칫 돌기부(341)는 로테이터(340)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래칫 돌기부(341)는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돌기(331)와 맞물려 로테이터(340)의 회전을 유도하고, 걸림돌기(332)와 맞물려 로테이터(340)의 인출 방향 이동을 막아 잠금 역할을 수행한다. 통로부(342)는 래칫 돌기부(341) 사이에 형성되며, 잠금 해제 시 걸림돌기(332)에 걸리지 않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래칫 돌기부(341)는 제1 래칫돌기(341a), 제2 래칫돌기(341b) 및 차단돌기(341c)을 포함한다.
제1 래칫돌기(341a)는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작동돌기(331)와, 타단은 걸림돌기(332)와 맞물린다. 제2 래칫돌기(341b)는 제1 래칫돌기(341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작동돌기(331)와, 타단은 걸림돌기(332)와 맞물린다. 차단돌기(341c)는 제1 래칫돌기(341a)와 제2 래칫돌기(341b)를 연결하며, 잠금 시 걸림돌기(332)에 걸려 개방 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이때, 작동돌기(331)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341a)와 상기 제2 래칫돌기(341b)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걸림돌기(332)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341a)와 상기 제2 래칫돌기(341b)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돌기(331), 걸림돌기(332), 제1 래칫돌기(341a) 및 제2 래칫돌기(341b)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같은 각도로 이루어진 빗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잠금 및 잠금해제 작동 시 로테이터(340)의 회전 이동 거리가 동일하게 되어, 각 부품 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60)는 샤프트(330)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330)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일단과 연결된다. 지지부재(360)는 로테이터(320) 보다 인입측에 위치하며, 상기 로테이터(3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350)의 작동을 지지한다. 즉, 제2 탄성부재(350)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3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 또는 팽창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폐쇄 시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모듈(1000)의 폐쇄 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폐쇄 구간은 인입구간(A), 및 셀프클로징 구간(B)으로 나누어진다.
(1) 인입구간(A)에서는, 외력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가 푸쉬오픈 유닛(300)의 제2 슬라이더(310)와 먼저 결합된 후, 클로징 유닛(200)의 제1 슬라이더(210)와 결합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테이터(340)의 외측돌기(343)는 이동 캐리지(320)의 걸림부(321)에 걸린 상태이며, 로테이터(340)와 이동 캐리지(320)는 함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2) 셀프클로징 구간(B)에서는,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상기 제1 슬라이더(210)와 결합되면, 제1 탄성부재(230)에 의한 셀프클로징이 시작된다. 이때, 로테이터(340)가 샤프트(330)의 작동돌기(331)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측돌기(343)의 걸림이 해제되며, 로테이터(340)가 이동 캐리지(320)의 내부로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로테이터(34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330)의 걸림돌기(332)에 잠금된 상태가 되어 개방 방향 이동이 차단된다. 즉, 샤프트(330)와 로테이터(340)의 상호작용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이 잠금된다. 이후, 외부 액티베이터(10) 제1 슬라이더(210) 및 제2 슬라이더(310)와 결합된 상태로 셀프클로징 및 소프트클로징이 수행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개방 시 작동과정을 나타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모듈(1000)의 개방 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개방 구간은 푸쉬 구간(C), 및 오픈 구간(D)으로 나누어진다.
(1) 푸쉬 구간(C)에서는, 외력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일정 거리 푸쉬되면, 제2 탄성부재(350)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입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일정 거리 푸쉬되면, 이동 캐리지(320)의 가압에 의해 로테이터(340)로 일정 거리 인입되며, 이때 로테이터(340)가 작동돌기(331)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로테이터(340)가 샤프트(330)의 작동돌기(331)에 의해 회전하면, 로테이터(340)의 차단돌기(332)가 샤프트(330)의 걸림돌기(332)에 가로막히지 않는 상태, 즉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제2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2) 오픈 구간(D)에서는, 외부 액티베이터(10)가 제1 슬라이더(210) 및 제2 슬라이더(310)와 결합된 상태로 제2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강제 인출 시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입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외부 액티베이터(10)를 강제 인출하게 되면, 제2 슬라이더(310)는 제3 가이드로드(122)의 제3 경사로(122b)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2 결합부(3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외력이 계속 가해지면, 외부 액티베이터(10)는 제1 슬라이더(210)와 결합된 상태로 인출되며, 이로써, 슬라이드 모듈(1000)은 클로징 유닛(200)에 의한 셀프클로징 및 소프트 클로징 기능만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슬라이드 모듈
100 하우징
110 제1 수용부
120 제2 수용부
200 클로징 유닛
210 제1 슬라이더
220 댐퍼
230 제1 탄성부재
300 푸쉬오픈 유닛
310 제2 슬라이더
320 이동 캐리지
330 샤프트
340 로테이터
350 제2 탄성부재
360 지지부재

Claims (9)

  1. 제1 가이드로드와 제2 가이드로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댐퍼를 갖는 클로징 유닛; 및
    상기 제2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와 맞물리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푸쉬오픈 유닛을 포함하고,
    폐쇄시 상기 클로징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에 의해 작동되어 셀프클로징(self-closing) 기능을 수행하고, 개방시 상기 푸쉬오픈 유닛은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인입된 상태에서 푸쉬동작에 의해 가압되면 잠금해제되어 푸쉬오픈(push-open) 기능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폐쇄 구간은, 인입구간(A), 및 셀프클로징 구간(B)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인입구간(A)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2 슬라이더와 먼저 결합된 후,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될 때까지 이동하고,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에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개방 구간은, 푸쉬 구간(C) 및 오픈 구간(D)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푸쉬 구간(C)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일정 거리 푸쉬되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오픈 구간(D)에서, 상기 외부 액티베이터가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오픈 유닛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 및 상기 작동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캐리지;
    상기 이동 캐리지와 일정구간 맞물려 함께 인입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며, 인입 시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반복되는 로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작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칫 돌기부; 및
    상기 래칫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돌기부는,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돌기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래칫돌기;
    상기 제1 래칫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돌기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2 래칫돌기; 및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를 연결하며, 잠금 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래칫돌기와 상기 제2 래칫돌기의 빗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외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캐리지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간(A)에서 상기 외측돌기가 걸림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함께 인입되도록 하는 걸림부, 및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에서 상기 로테이터가 내부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간(A)에서 상기 셀프클로징 구간(B)으로 넘어갈 때,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샤프트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KR1020210131440A 2021-10-05 2021-10-05 슬라이드 모듈 KR10264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40A KR102646029B1 (ko) 2021-10-05 2021-10-05 슬라이드 모듈
PCT/KR2022/014054 WO2023058945A1 (ko) 2021-10-05 2022-09-20 슬라이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40A KR102646029B1 (ko) 2021-10-05 2021-10-05 슬라이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694A true KR20230048694A (ko) 2023-04-12
KR102646029B1 KR102646029B1 (ko) 2024-03-12

Family

ID=8580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440A KR102646029B1 (ko) 2021-10-05 2021-10-05 슬라이드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6029B1 (ko)
WO (1) WO202305894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801B2 (ko) * 1977-02-25 1982-05-01
KR20130117903A (ko) * 2012-04-13 2013-10-29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20140035226A (ko) * 2012-09-13 2014-03-21 (주)세고스 자동 개방 장치
KR101742643B1 (ko) 2015-05-19 2017-06-07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0801B2 (ja) * 2011-11-16 2015-05-20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クローズ機構及びプッシュオープン機構を組み込んだ機構ユニット
KR101955887B1 (ko) * 2017-02-28 2019-03-11 (주)세고스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US11864651B2 (en) * 2019-06-05 2024-01-0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801B2 (ko) * 1977-02-25 1982-05-01
KR20130117903A (ko) * 2012-04-13 2013-10-29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20140035226A (ko) * 2012-09-13 2014-03-21 (주)세고스 자동 개방 장치
KR101742643B1 (ko) 2015-05-19 2017-06-07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945A1 (ko) 2023-04-13
KR102646029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172B1 (ko) 슬라이드레일의 자동닫힘 및 열림방지장치
JP3483034B2 (ja) ボールベアリングスライドの衝撃吸収施錠分離ラッチ
US7708357B2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used in guide rail for drawer
JP5987827B2 (ja) 排出装置及び引出し装置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WO2008059804A1 (en) Sliding assistance mechanism and pull-in unit
JP5606518B2 (ja) 引き込み装置
KR101955887B1 (ko)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US20210238888A1 (en) Door-lock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equipped with such door-lock device
US11122893B2 (en) Self-opening device
KR20230048694A (ko) 슬라이드 모듈
JPH0838281A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KR102506337B1 (ko) 푸쉬 오픈 장치
JP5105629B2 (ja)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TWI719253B (zh) 用於抽屜滑軌之拉入裝置
JP2006102294A (ja) 飛び出し・引き込み装置
KR102609780B1 (ko) 슬라이드 장치
KR101195510B1 (ko) 자동 폐쇄 장치
JP2014104052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KR10103419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