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460A - 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70460A KR20220170460A KR1020210081303A KR20210081303A KR20220170460A KR 20220170460 A KR20220170460 A KR 20220170460A KR 1020210081303 A KR1020210081303 A KR 1020210081303A KR 20210081303 A KR20210081303 A KR 20210081303A KR 20220170460 A KR20220170460 A KR 20220170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ehicle
- control unit
- braking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group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82—Brake-by-Wire, EH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1 답입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2 답입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주제어부와 보조제어부 간에 제1 답입신호 및 제2 답입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1 답입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2 답입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주제어부와 보조제어부 간에 제1 답입신호 및 제2 답입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차량용 제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에 장착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의 가속, 감속 또는 코너링 주행 중 저마찰 노면(road surface)에 의해 차량이 스핀아웃(spinout)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차륜의 구동력(driving force)을 적절히 제어한다. 구동력 제어에는 제동 유압(braking hydraulic pressure)을 이용해 제동력(braking force)을 분배하거나 엔진 토크(engine torque)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brake by wire) 기술이 적용된 제동장치의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과 제동력 발생장치의 기구적 연결이 삭제되고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브레이크페달과 제동력 발생장치의 기구적 연결 구성이 삭제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센서의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기 위한 신호전달부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백업 제어부를 구성하여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기술이 구현된 제동장치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페달 스트로크센서 및 신호전달부의 다중화 구성을 통하여 페달 스트로크센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페달 스트로크센서의 고장 감지 로직을 통하여 백업 제동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1 답입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2 답입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주제어부와 보조제어부 간에 제1 답입신호 및 제2 답입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및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3 신호전달부;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1 신호전달부의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답력신호 및 제2 신호전달부의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답력신호를 생성하고, 제1 답력신호 또는 제2 답력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제3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답입량을 연산하여 제3 답입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주제어부와 보조제어부 간에 제1 답입신호 내지 제3 답입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제동장치는 페달 스트로크센서의 신뢰성 및 백업 제동성능을 확보하여 차량 주행 중 차량의 제동성능에 이상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점선은 신호의 전달을 나타내고, 실선은 유압의 전달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 제1 신호전달부(21), 제2 신호전달부(22), 주제어부(40), 주제동부(50), 보조제어부(60) 및 보조제동부(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brake by wire)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브레이크페달(10)과 제동부 사이에 기구적 연결구성이 구비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는 브레이크페달(10)의 답입량을 감지한다.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가 감지한 브레이크페달(10)의 답입량에 관한 정보는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를 이용하여 전달된다.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는 차량 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하여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신호전달부(2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1 답입량을 연산한다. 주제어부(40)는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차량용 제동장치 내에 별다른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휠브레이크(W1, W2, W3 및 W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 휠에 필요한 제동압을 연산하고 이를 기초로 주제동부(50)를 제어하여 차량을 제동할 수 있다. 주제동부(50)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및 유압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유압을 생성하기 위한 유압펌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유압펌프를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반드시 제1 답입량만을 이용하여 제동압을 연산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제2 답입량을 이용하여도 제동압을 연산하여 차량의 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와 물리적으로 인접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제어부(60)는 제2 신호전달부(2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2 답입량을 연산한다. 보조제어부(60)는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하여 보조제동부(70)와 연결된 제1 휠브레이크(W1) 및 제2 휠브레이크(W2)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제동부(70)는 주제동부(50)의 일부에서 연장된 유압회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제동부(70)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유압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통신부(80)는 주제어부(40)와 보조제어부(60) 간에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40)와 보조제어부(60)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답입량에 관한 정보 외에도 제동 리던던시 확보를 위한 각 차륜의 휠속, 센서 신호, 각 제어부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와 연결된 신호전달부 및 주제어부(40)와 보조제어부(60) 사이 연결된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제동장치의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주제어부(40)는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신호전달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신호전달부(21)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는 주제어부(40)가 판단하고, 제2 신호전달부(22)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는 보조제어부(60)가 판단할 수 있다. 주제어부(40) 및 보조제어부(60)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제어부(40)는 제1 신호전달부(21)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신호전달부(21)를 이용해 연산한 제1 답입량을 제동 제어에 사용하지 않는다. 주제어부(40)는 보조제어부(60)가 제2 신호전달부(22)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연산한 제2 답입량을 모니터링 통신부(80)로부터 수신하여, 제2 답입량을 기초로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제어부(60)가 차량 제동에 관한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제2 신호전달부(22)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주제어부(40)가 제1 신호전달부(21)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한 제1 답입량을 모니터링 통신부(80)로부터 수신하여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는 브레이크페달(10) 답입에 의해 발생한 유압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유압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센서(미도시)는 브레이크페달(10)과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유압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2 답입량은 모니터링 통신부(8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정상범위는 차량의 종류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차량의 실제 최대 답입량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가 아닌 유압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답입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차량의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40) 및 보조제어부(60)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 및 보조제동부(7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동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차량 제동에 관한 제어권은 주제어부(40)에게 있다.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를 이용하여 제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주제동부(50) 작동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제어부(60)에게 제어권이 이양될 수 있다.
주제어부(40)로부터 보조제어부(60)에게 제어권이 이양되는 조건은 주제동부(50) 내에 솔레노이드 밸브 중 일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주제동부(50) 내에 유압펌프 또는 유압모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등일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보조제동부(70)에게 알린다. 또한, 차량 제동에 관한 제어권도 보조제어부(60)로 이양된다.
보조제어부(60)는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제어를 수행한다. 보조제어부(60)에게 제어권이 이양된 경우 보조제어부(60)는 제2 신호전달부(2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연산한 제2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의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보조제동부(70)가 제1 휠브레이크(W1) 및 제2 휠브레이크(W2)의 제동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4 휠브레이크(W1, W2, W3 및 W4)를 제어하는 보조제동부(70)가 차량용 제동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조제동부(70)는 주제동부(50)만큼의 제동성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권이 주제어부(40)로부터 보조제어부(60)로 이양된 경우 차량의 주행 제한속도를 기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제동부(50)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운전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주제어부(40)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보조제어부(60)는 보조제동부(70)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펌프 및 유압펌프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의 구성 중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2)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30), 제1 신호전달부(21), 제2 신호전달부(22), 제3 신호전달부(31), 주제어부(40), 주제동부(50), 보조제어부(60), 보조제동부(70) 및 모니터링 통신부(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 및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30)는 각각 브레이크페달(10)의 답입량을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 신호전달부(21) 및 제2 신호전달부(22)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가 감지한 신호를 주제어부(40)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3 신호전달부(31)는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30)가 감지한 신호를 보조제어부(60)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주제어부(40)는 제1 신호전달부(2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1 답입량을 연산하고, 제2 신호전달부(2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2 답입량을 연산한다.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또는 제2 답입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제어부(60)는 제3 신호전달부(3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3 답입량을 연산한다.
모니터링 통신부(80)는 주제어부(40) 및 보조제어부(60) 간에 제1 답입량 내지 제3 답입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부(40) 및 보조제어부(60)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답입량에 관한 정보 외에도 제동 리던던시 확보를 위한 각 차륜의 휠속, 센서 신호, 각 제어부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신호전달부(21) 내지 제3 신호전달부(31)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1 신호전달부(21) 내지 제3 신호전달부(31)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신호전달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3 신호전달부(31)의 상태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거쳐 보조제어부(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제어부(40)가 제1 신호전달부(21)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를 제어하고 있을 때, 제1 신호전달부(21)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2 신호전달부(22) 또는 제3 신호전달부(31)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3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2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제어부(60)가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전달한 제3 답입량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주제어부(40)는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30)를 이용하여 연산한 제3 답입량을 기초로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주제어부(40) 및 보조제어부(60)는 모니터링 통신부(80)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 및 보조제동부(7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동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차량 제동에 관한 제어권은 주제어부(40)에게 있다. 주제어부(40)는 주제동부(50)를 이용하여 제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주제동부(50) 작동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제어부(60)에게 제어권이 이양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제4 신호전달부(32)가 더 포함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신호전달부(32)는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30)가 감지한 신호를 보조제어부(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보조제어부(60)는 제4 신호전달부(3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제4 답입량을 연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의 경우 주제어부(4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3 답입량 또는 제4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부(40)는 제3 답입량 및 제4 답입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3 답입량 및 제4 답입량의 평균을 이용하여 주제동부(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어부(40)는 제3 답입량 및 제4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1 답입량 또는 제2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동에 관한 제어권이 보조제어부(60)로 이양되어 보조제어부가 제3 답입량 및 제4 답입량을 기초로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하는 도중, 제3 답입량 및 제4 답입량을 더한 값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1 답입량 또는 제2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조제어부(60)는 제1 답입량 및 제2 답입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답입량 및 제4 답입량의 평균을 이용하여 보조제동부(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브레이크페달
20: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30: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 40: 주제어부
50: 주제동부 60: 보조제어부
70: 보조제동부 80: 모니터링 통신부
30: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 40: 주제어부
50: 주제동부 60: 보조제어부
70: 보조제동부 80: 모니터링 통신부
Claims (12)
-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답입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상기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상기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1 답입량을 연산하고,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주제동부;
상기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2 답입량을 연산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상기 보조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보조제동부; 및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보조제어부 간에 상기 제1 답입량 및 상기 제2 답입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통신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전달부 및 상기 제2 신호전달부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전달부 및 상기 제2 신호전달부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신호전달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답입에 의해 발생한 유압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유압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1 답입량 및 상기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유압센서를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제동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동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을 감지하는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 및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
상기 제1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전달부 및 제2 신호전달부;
상기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3 신호전달부;
상기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1 답입량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2 답입량을 연산하여, 상기 제1 답입량 또는 상기 제2 답입량을 기초로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주제동부;
상기 제3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제3 답입량을 연산하도록 구성된 보조제어부;
상기 보조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보조제동부; 및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보조제어부 간에 상기 제1 답입량 내지 상기 제3 답입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통신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전달부 내지 상기 제3 신호전달부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전달부 내지 상기 제3 신호전달부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신호전달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1 답입량 및 상기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3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제동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동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달 스트로크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4 신호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전달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제4 답입량을 연산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1 답입량 및 상기 제2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3 답입량 또는 상기 제4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제3 답입량 및 상기 제4 답입량을 더한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답입량 또는 상기 제2 답입량을 이용하여 제동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303A KR20220170460A (ko) | 2021-06-23 | 2021-06-23 | 차량용 제동장치 |
US17/736,176 US12090978B2 (en) | 2021-06-23 | 2022-05-04 | Vehicle braking apparatus |
DE102022112904.7A DE102022112904A1 (de) | 2021-06-23 | 2022-05-23 | Fahrzeug-Bremsvorrichtung |
CN202210681733.0A CN115503663A (zh) | 2021-06-23 | 2022-06-16 | 用于车辆的制动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303A KR20220170460A (ko) | 2021-06-23 | 2021-06-23 | 차량용 제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70460A true KR20220170460A (ko) | 2022-12-30 |
Family
ID=8438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1303A KR20220170460A (ko) | 2021-06-23 | 2021-06-23 | 차량용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90978B2 (ko) |
KR (1) | KR20220170460A (ko) |
CN (1) | CN115503663A (ko) |
DE (1) | DE1020221129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3947A (ko) * | 2021-06-30 | 2023-01-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제동장치 |
WO2024054931A1 (en) * | 2022-09-07 | 2024-03-14 | Harbinger Motors Inc. | Commercial electric vehicle braking system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67903B2 (ja) * | 2019-12-13 | 2024-04-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
CN110994018B (zh) | 2019-12-20 | 2021-04-06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解液及电化学装置 |
-
2021
- 2021-06-23 KR KR1020210081303A patent/KR2022017046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5-04 US US17/736,176 patent/US12090978B2/en active Active
- 2022-05-23 DE DE102022112904.7A patent/DE102022112904A1/de active Pending
- 2022-06-16 CN CN202210681733.0A patent/CN11550366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503663A (zh) | 2022-12-23 |
DE102022112904A1 (de) | 2022-12-29 |
US20220410866A1 (en) | 2022-12-29 |
US12090978B2 (en) | 2024-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677573B (zh) | 用于运行车辆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制动系统 | |
KR102481911B1 (ko) |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차량 제어유닛 | |
KR100335715B1 (ko) |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 |
US6189981B1 (en) |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GB2332720A (en) | Brake-by-wire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US9205818B2 (en) | Brak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brake | |
EP3000674B1 (en) | Electronic brake support system for use when service brake system has failed or is degraded | |
JP2010254298A (ja) | 電気制御式ブレーキ装置 | |
JP2010534591A (ja) | 車両用ブレーキ装置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装置の作動方法 | |
KR102440002B1 (ko) | 제동등 진단 장치 및 방법 | |
JP6407732B2 (ja) | 車両制御装置 | |
JP2020521666A (ja) | 完全統合制動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使用した補助減速 | |
KR20220170460A (ko) | 차량용 제동장치 | |
EP1961634B1 (en) | Extreme emergency braking systems for brake-by-wire brake systems | |
CN115230664A (zh) | 用于车辆的制动系统 | |
CN111328312B (zh) | 用于在停止状态下对车辆液压系统执行诊断的系统和方法 | |
JPWO2018181807A1 (ja) |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 |
US20210339723A1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System | |
KR20210137680A (ko) | 차량용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852549B2 (ja) | 多回路制動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 |
WO2005110829A1 (en) | Control and power supply network for vehicle braking system | |
CN110015286B (zh) | 在具有机电制动力放大的、能够电子滑动调节的车辆制动系统中增强制动力的方法 | |
JP2002274348A (ja) | 自動車用ブレー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6932440B1 (en) | Automotive braking method and device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 |
JP2001270430A (ja) | 電磁的な自動車用ブレーキ装置の、ブレーキ力を生ぜしめるユニットの組み込み位置を自動的に検出するための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