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20134531A -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531A
KR20220134531A KR1020227023464A KR20227023464A KR20220134531A KR 20220134531 A KR20220134531 A KR 20220134531A KR 1020227023464 A KR1020227023464 A KR 1020227023464A KR 20227023464 A KR20227023464 A KR 20227023464A KR 20220134531 A KR20220134531 A KR 2022013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packaging
decorative
decorat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064B1 (ko
Inventor
치히로 야마모토
다츠야 다무라
노부유키 가토
도시히사 하야시
나루미 야마모토
아유무 하타나카
미카 후지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0318U external-priority patent/JP3225857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15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7353196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3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시트의 외면의 감촉의 저하나 오염을 억제하면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51)를 갖는 흡수성 물품(10)과,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70)와, 흡수성 물품과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40)를 갖는다. 박리 시트에는,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된 장식부(80)가 설치되어 있다. 박리 시트와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45)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장식부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81)를 갖는다. 장식부는,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을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로 포장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을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로 포장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개별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인쇄로 이루어지는 장식부를 설치하여, 개별 포장체의 장식성을 높이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11-16484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개별 포장체는, 포장 시트의 외면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장식부를 시인(視認)하기 쉽다. 그 한편으로, 포장 시트의 외면의 감촉이 저하되어, 사용이나 운반 시에 사용자의 촉감이 저하되거나, 사용자가 인쇄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인쇄 오염이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포장 시트의 외면의 감촉의 저하나 오염을 억제하면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된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를 갖는다. 장식부는,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고, 상기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다.
또한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 및 상기 포장 시트 중 적어도 한 쪽은, 장식부가 설치된 장식 시트이며, 상기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비(非)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배면(背面)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개별 포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박리 시트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된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를 갖는다. 장식부는,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장식부가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개별 포장 시트를 통하여 장식부를 시인할 수 있다. 장식부가 박리 시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가 포장 시트의 외면에만 설치된 형태와 비교하여, 포장 시트의 외면의 감촉의 저하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은, 포장 시트와 박리 시트가 밀착되어 있다. 적층 장식부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박리 시트에 장식부를 설치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장식부를 파악하기 쉬워, 장식부에 의한 장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장식성을 높임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의 우울한 기분을 경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에 배치된 포장 시트의 단(端) 가장자리를, 상기 포장 시트의 단 가장자리와 겹치는 포장 시트에 접합하는 테이프 부재를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재접합 가능하게 되는 재접합부가 있으며, 상기 재접합부는,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장식부에 겹쳐 있어도 된다. 사용자는, 개별 포장 상태로부터 개봉할 때에 테이프 부재를 조작하며, 테이프 부재 및 그 주위를 시인한다. 적층 장식부와 겹치는 시트 접합부를 테이프 부재의 조작 시에 시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층 장식부를 시인하기 쉽다. 또, 재접합부와 겹치는 적층 장식부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재접합부에 덮여 있어,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시인할 수 없다. 그러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시에, 개별 포장에 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적층 장식부를 시인할 수 있어, 테이프 부재의 개봉 조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는, 카본을 포함하지 않는 논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카본을 포함하는 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촬상(撮像) 수단 등을 이용하여 카본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 부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제조 과정의 품질 관리에 있어서 적외선을 조사하면, 카본이 검지되어, 혼입물로 오인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박리 시트의 장식부를 논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카본에 기인하는 오검지를 억제하여, 품질관리를 고려하지 않고, 장식부에 의한 디자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부와, 그림, 도안, 마크, 기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디자인부를 갖고, 상기 적층 장식부는, 적어도 상기 정보부를 가져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디자인부에 의해 개별 포장체의 장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정보부를 눈에 띄게 하여, 정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흡수성 물품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중공(中空)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해도 된다.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는, 중공 섬유를 갖지 않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광의 난반사가 발생하기 쉽다.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구성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 광의 난반사가 발생함으로써, 장식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장식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하거나 할 수 있어, 개별 포장체의 장식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시트 접합부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은,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과 비교하여,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의 요철 및 박리 시트의 요철이 평활화되어, 광의 난반사가 저감된다. 광의 난반사가 저감됨으로써, 포장 시트 및 박리 시트의 투명도가 향상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은,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다르기 쉬워, 장식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박리 시트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필름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는, 종이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다. 따라서, 박리 시트가 포장 시트를 따르기 쉬우며, 개별 포장체의 외측으로부터의 적층 장식부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필름은, 종이와 비교하여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인쇄의 자유도가 높고, 또, 발색성이 향상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장식부의 시인성을 보다 높이며, 장식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시트 접합부의 면적은, 상기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10% 이상이면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시트 접합부의 면적의 비율을 확보함으로써, 적층 장식부의 면적을 높여, 장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포장 시트 및 박리 시트가 개켜진 접은 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장식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은 금과 겹쳐도 된다. 접은 금에 겹치는 영역은, 접은 자국에 의해 포장 시트와 박리 시트가 밀착하기 쉬워, 적층 장식부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적층 장식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본체 접합부, 적층 장식부, 및 시트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서는, 개별 포장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이 박리 시트에 밀착된다.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흰색 기조이며, 흡수성 물품의 밀착에 의해 적층 장식부의 배경측의 백색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적층 장식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비(非)적층 장식부를 갖고, 상기 비적층 장식부와 상기 적층 장식부는, 나란히 이어져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비적층 장식부와 적층 장식부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부의 면적을 확보하여, 장식부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적층 장식부와 비적층 장식부가 혼재되어 있음으로써, 동일한 색감이어도 적층 장식부와 비적층 장식부에서는 보이는 방식이 다르기(다른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적층 장식부만의 구성과 비교하여, 개별 포장체의 외측으로부터 배설물이 비쳐 보인 경우라도 경혈 등의 배설물이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시트 접합부는, 4개의 측변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4개의 측변 중 3개 이상의 측변에 걸쳐도 된다. 시트 접합부의 측변은, 적층 장식부와 비적층 장식부의 경계가 되며, 장식부의 시인성이 변화되는 부분이 된다. 당해 장식부의 시인성이 변화되는 경계를 3개 이상 갖고 있어, 장식부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적층 장식부로부터 적어도 3 방향으로 장식부가 연재(延在)하기 때문에, 장식부의 면적을 확보하여, 장식부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고, 상기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다. 포장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인 것에 의해, 사용자는, 포장 시트를 통하여 장식부를 시인할 수 있다.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으로서,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 및 박리 시트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했을 때에 장식부에 의해 은폐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 및 상기 포장 시트 중 적어도 한 쪽은, 장식부가 설치된 장식 시트이며, 상기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다.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으로서,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장식 시트 등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했을 때에 장식부에 의해 은폐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의 주위에 배치된 배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의 광선 투과율은, 상기 배경부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낮아도 된다. 장식부와 배경부가 설치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디자인 등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장식부에 주목하기 쉽다. 장식부는, 광선 투과율이 낮아, 배경부보다도 은폐성이 높다. 사용자가 주목하기 쉬운 장식부의 은폐성을 높임으로써,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사용 후의 배설물을 시인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는, 제 1 장식부와, 상기 제 1 장식부와 다른 색을 갖는 제 2 장식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 1 장식부와 제 2 장식부의 2색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장식부 전체가 보다 눈에 띄어,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쉽다. 또 복수의 색의 장식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단일색의 장식부와 비교하여,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배설물이 비쳐 보인 경우라도, 당해 배설물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와,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비적층 장식부를 가지며,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 장식부와 상기 비적층 장식부의 색차 ΔE는, 4 이상이면 좋다. 일반적으로 색차가 4 이상이면, 사용자가 양자를 구별하여 인식하기 쉽다. 적층 장식부와 상기 비적층 장식부의 색차가 4 이상이며, 사용자는, 양자를 구별하여 인식하기 쉽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서는, 박리 시트와 포장 시트가 밀착하여, 장식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적층 장식부를 진하게 인식하고, 비적층 장식부를 연하게 인식한다. 적층 장식부와 상기 비적층 장식부의 농담(濃淡)에 의해, 장식부가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여, 보다 눈에 띄기 쉬워진다. 장식부가 눈에 띔으로써, 배설물을 상대적으로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해도 된다.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는, 중공 섬유를 갖지 않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광의 난반사가 발생하기 쉽다. 포장체의 외면을 구성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 광의 난반사가 발생함으로써, 장식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장식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하거나 할 수 있어, 개별 포장체의 장식성이 높아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패드이며, 상기 장식부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번부터 12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해도 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사용 후의 경혈의 색은, 6번부터 8번에 근사(近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색의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인 경우에는, 2개의 색이 유사하기 때문에, 한 쪽에 대해 다른 쪽이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장식부가 2번부터 12번은, 사용 후의 경혈의 색인 6번부터 8번에 대한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이다. 그 때문에, 경혈의 색이 시각적으로 유사색인 장식부에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의 배설물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 및 요실금 패드이고, 상기 장식부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2번, 23번 및 24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해도 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은, 오스트발트 색상환의 색표 중 2번 및 3번에 근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번, 23번 및 24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은,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인 2번 및 3번에 대한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이다. 그 때문에,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이 시각적으로 유사색인 장식부에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의 배설물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패드,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분변 패드 또는 땀받이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은, 피부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의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의 개별 포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피부 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面)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 대향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를 향하는 측에 상당한다. 또, 전개 상태는, 포장 시트(70)가 어느 접은 금에 의해서도 개켜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이하, 개별 포장체(1)라고 한다)는, 흡수성 물품(10)과, 포장 시트(70)와, 박리 시트(40)를 적어도 갖는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복측(腹側))에서부터 후측(등측(背側))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에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T)은, 피부면측(T1)과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0)은, 전측 영역(S1), 중앙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가져도 된다. 중앙 영역(S2)은,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1)은, 중앙 영역(S2)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은, 중앙 영역(S2)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둔부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1), 중앙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은,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긴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20CW))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L)으로 3등분한 영역이어도 되고, 후술하는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에 의해 구획된 영역이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1)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을 향하는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 코어(23)와, 본체 접합부(51)를 갖는다. 표면 시트(21)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 쪽을 향하여 배치된다. 표면 시트(21)는, 섬유를 갖는 부직포 또는 직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개구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을 향한다. 표면 시트(21)는, 액체 투과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면 시트(22)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 코어(23)는,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 코어(23)는, 수분을 흡수 가능한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 코어(23)는, 도시하지 않는 코어 랩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코어 랩은, 예를 들면 티슈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을 따라」라는 용어는, 전후 방향(L)에 대해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W)을 따라」라는 용어는, 폭 방향(W)에 대해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 접합부(51)는, 이면 시트(22)에 설치되고, 흡수성 물품(10)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체 접합부(51)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가 설치된 영역이다. 본체 접합부(51)는, 흡수 코어(23)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체 접합부(51)는,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 물품의 크로치 영역의 피부 대향면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박리 시트(40)는, 후술하는 개별 포장 상태 등,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본체 접합부(51)를 덮어, 본체 접합부(51)의 열화(劣化)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박리 시트(40)는, 사용 시에 흡수성 물품(10)으로부터 분리한다. 또, 윙 및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 있어서는, 윙을 착용 물품에 접합하는 윙 접합부 및 힙 플랩을 착용 물품에 접합하는 플랩 접합부를 갖는다. 당해 윙 접합부를 덮는 윙 박리 시트 및 당해 플랩 접합부를 덮는 플랩 박리 시트가, 박리 시트(40)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시트(40)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전후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박리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0)과 포장 시트(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박리 시트(40)에는, 장식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장식부(8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장 시트(70)는, 흡수성 물품(10)을 개별로 포장한다. 포장 시트(70)는, 박리 시트(40)보다도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포장 시트(70)는, 부직포 또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40)와 포장 시트(70)는, 시트 접합부(45)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시트 접합부(45)는, 접착제가 붙여진 부분이어도 된다. 시트 접합부(4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후 방향(L)으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시트 접합부(45)는, 4개의 측변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상이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사용 전에 복수의 접은 금을 기점으로 개켜져 있어도 된다. 도 4는, 개별 포장체(1)가 접은 금을 기점으로 개켜지고, 흡수성 물품(10)이 포장 시트(70)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개별 포장 상태의 개별 포장체(1)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4A-4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복수의 접은 금은, 적어도 박리 시트(40) 및 포장 시트(70)를 함께 개키는 접은 금이어도 되고, 흡수성 물품(10)도 개키는 접은 금이어도 된다. 복수의 접은 금은,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을 가져도 된다.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해도 된다. 제 1 폭 접은 금(FW1)은, 제 2 폭 접은 금(FW2)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전측 영역(S1)과 중앙 영역(S2)의 경계를 구성해도 된다. 제 2 폭 접은 금(FW2)은, 후측 영역(S3)과 중앙 영역(S2)의 경계를 구성해도 된다. 개별 포장체(1)의 개킨 양태는, 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 상에 흡수성 물품(10)을 배치한 상태로 함께 개켜진다. 개킨 양태의 일례로는, 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 상에 흡수성 물품(10)을 배치한 전개 상태에서, 제 1 폭 접은 금(FW1)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를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개킨다. 이어서, 제 2 폭 접은 금(FW2)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측을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개킨다.
이어서,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 배치된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를,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와 겹치는 포장 시트(70)에 테이프 부재(75)에 의해 접합한다. 즉, 테이프 부재(75)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 배치된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를,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와 겹치는 포장 시트(70)에 접합한다.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 배치된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는, 포장 시트(70)의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단 가장자리로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테이프 부재(75)는, 포장 시트(70)의 단 가장자리(70E)측에 고정된 고정부(76)와, 고정부(76)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단 가장자리(70E)와 겹치는 포장 시트(70)측에 대해 재접합 가능하게 되는 재접합부(77)를 가져도 된다. 재접합부(77)는, 일단 포장 시트(70)로부터 박리한 후에, 포장 시트(70)에 대해 재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켜짐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은, 포장 시트(70)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7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도 5 등에 의거하여, 박리 시트(40)의 장식부(80)에 대해 설명한다. 장식부(80)는, 문자, 도안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개별 포장체(1)의 장식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식부(80)는, 흡수성 물품(10)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부와, 그림, 도안, 마크, 기호 중 적어도 어느 쪽을 포함하는 디자인부(85) 중 적어도 한쪽을 가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장식부(80)는, 삼각형의 도안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부(85)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디자인부(85)는, 도안뿐만 아니라, 그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다른 도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정보부는, 흡수성 물품(10)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흡수성 물품(10)의 명칭(상품명, 브랜드명)을 나타내는 로고 및 마크, 이차원 바코드를 예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정보는, 흡수성 물품(10)의 소재(코튼, 시어버터, 올리브 오일 등), 및 흡수성 물품(10)을 사용한 사용자의 사용 상태(착용한 상태, 장착 조작의 상태), 흡수성 물품(10)의 용도(생리용 패드, 소변 패드, 팬티라이너), 사용 타이밍(낮용, 밤용, 경혈이 많은 날용 등), 적합한 사용 형태(스포츠 시에 적합함, 취침 시에 적합함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10)의 선택이나 사용에 도움이 되는 정보여도 된다.
장식부(80)는,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80)는, 개별 포장체(1)의 외면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장식부(80)가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70)를 통하여 장식부(80)를 시인할 수 있다. 장식부(80)가 박리 시트(4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80)가 포장 시트(70)의 외면에만 설치된 형태와 비교하여, 포장 시트(70)의 외면의 감촉이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이란, 개켜진 상태에서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향한 상태는,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 배치된 상태뿐만 아니라,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재(포장 시트(70) 등)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 및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식부(80)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흡수 코어(23)보다도 개별 포장체(1)의 외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장식부(80)는, 박리 시트(4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장식부(80)는, 박리 시트(40)의 외면(개별 포장체(1)의 외면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80)는, 개별 포장체(1)의 외측으로부터 포장 시트(70)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이란, 주백색(晝白色)(색온도 기준 4600∼5400K(켈빈))으로 밝게 조명된 실내(기준: 500∼750lx(룩스))에서 약 30∼50cm의 거리에서, 양호한 시력(1.0 이상)을 양안(兩眼)에 갖는 피험자가 대상물을 보았을 때에 시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장식부(80)는, 시트 접합부(45)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81)를 가져도 된다. 적층 장식부(81)는, 개별 포장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시트 접합부(45)와 겹쳐 배치된 장식부(80)이다. 시트 접합부(45)와 겹치는 영역은, 포장 시트(70)와 박리 시트(40)가 밀착되어 있다. 적층 장식부(81)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80) 중에서도 특히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70)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박리 시트(40)에 장식부(80)를 설치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장식부(80)를 파악하기 쉬워, 장식부(80)에 의한 장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장식성을 높임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우울한 기분을 경감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5)의 재접합부(77)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적층 장식부(81)에 겹쳐도 된다. 즉, 개별 포장체(1)에는, 재접합부(77)와, 장식부(80)와, 시트 접합부(45)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친 영역이 설치되어도 된다. 사용자는, 개별 포장 상태로부터 개봉할 시에 테이프 부재(75)를 조작하며, 테이프 부재(75) 및 그 주위를 시인한다. 적층 장식부(81)와 겹치는 시트 접합부를 테이프 부재의 조작 시에 시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층 장식부(81)를 시인하기 쉽다. 또, 재접합부와 겹치는 적층 장식부(81)는,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재접합부에 덮여 있어,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시인할 수 없다. 그러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시에, 개별 포장에 피복되어 있는 부분의 적층 장식부(81)를 시인할 수 있으며, 테이프 부재의 개봉 조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장식부(80)는, 카본을 포함하지 않는 논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고, 테이프 부재(75)는, 카본을 포함하는 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촬상 수단 등을 이용하여 카본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 부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제조 과정의 품질관리에 있어서 적외선을 조사하면, 카본이 검지되어, 혼입물로 오인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박리 시트(40)의 장식부(80)를 논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카본에 기인하는 오검지를 억제하여, 품질관리를 고려하지 않고, 장식부(80)에 의한 디자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적층 장식부(81)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 중 적어도 한 쪽에 겹쳐 있어도 된다.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은, 적어도 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가 개켜져 있어도 된다. 제 1 폭 접은 금(FW1) 및 제 2 폭 접은 금(FW2)과 겹치는 영역은, 접은 자국에 의해 포장 시트(70)와 박리 시트(40)가 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적층 장식부(81)를 파악하기 쉬워, 적층 장식부(81)에 의한 장식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개별 포장체(1)가 패키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개별 포장체(1)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며, 접은 금이 패키지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기 쉽다. 패키지의 윈도우부를 개재하여 또는 패키지를 개봉한 상태에서, 접은 금과 겹치는 적층 장식부(81)를 사용자가 시인하기 쉬워, 개별 포장체(1)를 꺼내기 전부터 장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적층 장식부(81)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접합부(51)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체 접합부(51), 적층 장식부(81), 및 시트 접합부(45)가 겹치는 영역에서는, 개별 포장체(1)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10)이 박리 시트(40)에 밀착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일반적으로 흰색 기조이며, 흡수성 물품(10)의 밀착에 의해 적층 장식부(81)의 배경측의 백색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적층 장식부(81)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본체 접합부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 접합부의 접착제에 의해 박리 시트의 요철이 평활화됨으로써, 광의 난반사가 저감된다. 광의 난반사가 저감됨으로써 투명도가 올라, 적층 장식부의 색이 시인하기 쉬워진다.
장식부(80)는, 시트 접합부(45)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비적층 장식부(82)를 가져도 된다. 비적층 장식부(82)는,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시트 접합부(45)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장식부(80)이다. 비적층 장식부(82)와 적층 장식부(81)는, 전개 상태 및 개별 포장 상태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나란히 이어져도 된다. 비적층 장식부(82)와 적층 장식부(81)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부(80)의 면적을 확보하여, 장식부(80)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가 혼재되어 있음으로써, 동일한 색감이어도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에서는 보이는 방식이 다르기(다른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적층 장식부(81)만의 구성과 비교하여,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배설물이 비쳐 보인 경우라도 경혈 등의 배설물이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 있어서의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색차 ΔE는, 1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면 좋다. 일반적으로 색차가 4 이상이면, 사용자가 양자를 구별하여 인식하기 쉽다.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색차가 4 이상이며, 사용자는, 양자를 구별하여 인식하기 쉽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서는, 박리 시트(40)와 포장 시트(70)가 밀착하여, 장식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적층 장식부(81)를 진하게 인식하고, 비적층 장식부(82)를 연하게 인식한다.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농담에 의해, 장식부가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여, 보다 눈에 띄기 쉬워진다. 장식부가 눈에 띔으로써, 배설물을 상대적으로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색차는, 측정 대상이 되는 2점(2개의 영역)에 대해 시판의 측색기(測色器)를 이용하여 측색을 행하고, JIS Z 8729로 규정되는 CIE1976(L*a*b*) 색공간에 의거하여 수치화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색차 측정기는, 예를 들면, Konica Minolta사 제조 CR-300을 이용할 수 있고, 측정 기기의 광원으로는, C 광원(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인 2점간의 L*치의 차가 ΔL*, a*의 차가 Δa*, b*치의 차가 Δb*일 때에, 색차 ΔE=[(ΔL*)2+(Δa*)2+(Δb*)2]1/2에 의해 구해진다.
장식부(80)는, 시트 접합부(45)의 4개의 측변 중 3개 이상의 측변에 걸쳐도 된다. 시트 접합부의 측변은,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경계가 되며, 장식부(80)의 시인성이 변화되는 부분이 된다. 당해 장식부(80)의 시인성이 변화되는 경계를 3개 이상 갖고 있어, 장식부(80)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적층 장식부(81)로부터 적어도 3 방향으로 장식부(80)가 연재하기 때문에, 장식부(80)의 면적을 확보하여, 장식부(80)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포장 시트 등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했을 때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을 교환할 때에는, 사용이 끝난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으로부터 떼어내는 동시에, 새로운 흡수성 물품을 포장 시트로부터 벗긴다. 이때, 박리 시트를 갖는 개별 포장체에서는, 박리 시트는, 포장 시트와 일체화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이 끝난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거나 개키거나 하여 컴팩트하게 한 상태로, 새로운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고 있었던 포장 시트에 의해 포장한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다. 이때, 포장 시트 등을 통하여 흡수성 물품에 부착한 배설물이 개별 포장체의 외측에서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 등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했을 때의 은폐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포장 시트 등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했을 때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박리 시트(40)의 면적에 대한 장식부(80)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면 좋다. 당해 면적 비율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이어도 되고,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이어도 된다.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은,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서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 박리 시트(40) 및 장식부(80)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박리 시트(40)의 면적에 대한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으로서,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포장했을 때에 장식부에 의해 은폐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박리 시트(40)에는, 장식부(80)의 주위에 배치된 배경부(83)가 설치되어 있고, 장식부(80)의 광선 투과율은, 배경부(83)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낮아도 된다. 장식부(80)와 배경부(83)가 설치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디자인 등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장식부(80)에 주목하기 쉽다. 장식부(80)는, 광선 투과율이 낮고, 배경부(83)보다도 은폐성이 높다. 사용자가 주목하기 쉬운 장식부(80)의 은폐성을 높임으로써,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사용 후의 배설물을 시인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배경부(83)는, 박리 시트(40)에 있어서의 장식부(80) 이외의 부분이며, 박리 시트(40)의 바탕색의 부분이어도 된다. 장식부(80)의 면적은, 배경부(83)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장식부(80)의 면적을 확보하고,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폐기 시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장식부(80)는,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장식부의 크기가 달라도 된다. 크기가 다른 복수의 장식부에 의해 장식부 전체가 보다 눈에 띄어,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쉽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부(80)의 최대 치수(M80)는, 최대 치수(M80)를 따른 방향(본 실시형태이면 폭 방향(W))의 박리 시트(40)의 최대 치수(M40)에 대한 50%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면 좋다. 박리 시트(40)에 있어서 장식부(80)가 차지하는 길이의 비율이 높아,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폐기 시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장식부(80)는, 제 1 장식부(86)와, 제 1 장식부(86)와 다른 색을 갖는 제 2 장식부(87)를 구비해도 된다. 제 1 장식부와 제 2 장식부의 2색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장식부 전체가 보다 눈에 띄어,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쉽다. 또, 복수의 색의 장식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단일색의 장식부와 비교하여,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배설물이 비쳐 보인 경우라도, 당해 배설물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장식부(86)와, 제 1 장식부(86)와 다른 색을 갖는 제 2 장식부(87)와, 제 1 장식부(86) 및 제 2 장식부(87)와 다른 색을 갖는 제 3 장식부(88)를 갖고 있다. 3색의 장식부(80)에 의해 장식부 전체가 보다 눈에 띄어,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쉽다. 또, 개별 포장체(1)의 외측에서 배설물이 비쳐 보인 경우라도, 당해 배설물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효과도 높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생리용 패드로서, 장식부(80)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번부터 12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해도 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사용 후의 경혈의 색은, 6번부터 8번에 근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색의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인 경우에는, 2개의 색이 유사하기 때문에, 한 쪽에 대해 다른 쪽이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장식부(80)가 2번부터 12번은, 사용 후의 경혈의 색인 6번부터 8번에 대한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이다. 그 때문에, 경혈의 색이 시각적으로 유사색인 장식부(80)에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의 배설물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팬티라이너 및 요실금 패드로서, 장식부(80)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2번, 23번 및 24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해도 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은, 오스트발트 색상환의 색표 중 2번 및 3번에 근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번, 23번 및 24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은,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인 2번 및 3번에 대한 색상 번호의 어긋남이 4 이내이다. 그 때문에, 대하의 색 및 소변의 색이 시각적으로 유사색인 장식부(80)에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의 배설물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시트 접합부(45)의 면적은, 박리 시트(40)의 면적에 대한 10% 이상이면 좋다. 시트 접합부(45)의 면적의 비율을 확보함으로써, 적층 장식부(81)의 면적을 높여, 장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당해 면적 비율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이어도 되고,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이어도 된다.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은, 개별 포장체(1)의 외면에서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 박리 시트(40) 및 시트 접합부(45)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 개봉 시에 테이프 부재(75)를 벗길 때의 자재(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의 찢어짐을 억제하기 위해, 테이프 부재(75)의 재접합부(77)를 시트 접합부(45)에 겹쳐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시트 접합부(45)의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제조 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테이프 부재(75)의 재접합부(77)를 시트 접합부(45)에 겹쳐 배치할 수 있어, 개봉 시의 자재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박리 시트(40)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시트(40)에는, 본체 접합부(51)로부터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필름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40)는, 종이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40)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다. 따라서, 박리 시트(40)가 포장 시트(70)를 따르기 쉽고, 개별 포장체(1)의 외측으로부터의 적층 장식부(81)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필름은, 종이와 비교하여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인쇄의 자유도가 높고, 또, 발색성이 향상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장식부(80)의 시인성을 보다 높여, 장식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필름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40)는, 종이에 의해 구성된 박리 시트(40)와 비교하여, 변형 시의 소리가 발생하기 어려워, 개별 포장체(1)의 개봉 시의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포장 시트(70)는,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해도 된다. 포장 시트(70)는,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 단체(單體)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와 다른 시트의 적층체여도 된다.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는, 중공 섬유를 갖지 않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광의 난반사가 발생하기 쉽다. 개별 포장체(1)의 외면을 구성하는 포장 시트(70)에 의해 광의 난반사가 발생함으로써, 장식부(80)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장식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하거나 할 수 있어, 개별 포장체(1)의 장식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시트 접합부(45)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 접합부(45)와 겹치는 영역은, 시트 접합부(45)와 겹치지 않는 영역과 비교하여,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70)의 요철 및 박리 시트(40)의 요철이 평활화되어, 광의 난반사가 저감된다. 광의 난반사가 저감됨으로써, 포장 시트 및 박리 시트의 투명도가 향상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시트 접합부(45)와 겹치는 영역은, 시트 접합부(45)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다르기 쉬워, 장식부(80)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포장 시트(70)는, 광의 난반사에 의해 광의 투과성이 저감된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70) 및 박리 시트(40)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박리 시트(40)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에 있어서도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중공 부직포와 중실(中實) 부직포의 각각에 있어서,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색차를 비교하면, 중공 부직포 쪽이 적층 장식부(81)와 비적층 장식부(82)의 색차가 크다. 그 때문에, 중공 부직포 쪽이 비적층 장식부(82)와 비교한 적층 장식부(81)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포장 시트(70)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면 좋다. 또한, 광선 투과율은, 주지의 방법으로 측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측색 색차계 또는 그것과 동등한 것을 이용하고, JIS K 7375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포장 시트(70)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인 것에 의해, 사용자는, 포장 시트(70)를 통하여 장식부(80)를 시인할 수 있다. 포장 시트(7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포장 시트(70)가 필름인 것에 의해, 시트 접합부(45)를 구성하는 접착제가 개별 포장체(1)의 외면으로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포장 시트(7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에 의해, 장식부(8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박리 시트(40)의 폭 방향의 길이는, 개별 포장체(1)의 폭 방향의 길이의 30%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0)의 전역을 덮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장식부(80)의 면적을 확보하여,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폐기 시의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고안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고안에 대해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의 적층 장식부(81)는, 디자인부(85)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적층 장식부(81)는, 적어도 정보부를 가져도 된다. 변형예에 의하면, 디자인부에 의해 개별 포장체(1)의 장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정보부를 눈에 띄게 하여, 정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흡수성 물품(10)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장식부는, 박리 시트(40)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포장 시트(7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박리 시트(40) 및 포장 시트(70) 중 적어도 한 쪽은, 장식부(80)가 설치된 장식 시트이며,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이면 좋다.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으로서,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장식 시트 등에 의해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포장했을 때에 장식부에 의해 은폐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는, 박리 시트(40)가 장식 시트를 구성한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포장 시트(70)가 장식 시트를 구성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박리 시트(40)의 구성을 포장 시트(70)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2020년 1월 3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0-015774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20-000318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포장 시트의 외면의 감촉의 저하나 오염을 억제하면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한다.
1: 개별 포장체, 10: 흡수성 물품,
20CW: 중심, 21: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23: 흡수 코어,
40: 박리 시트(장식 시트), 45: 시트 접합부,
51: 본체 접합부, 70: 포장 시트,
70E: 포장 시트의 단 가장자리, 75: 테이프 부재,
76: 고정부, 77: 재접합부,
80: 장식부, 81: 적층 장식부,
82: 비적층 장식부, 85: 디자인부,
FW1: 제 1 폭 접은 금, FW2: 제 2 폭 접은 금,
S1: 전측 영역, S2: 중앙 영역,
S3: 후측 영역, L: 전후 방향,
T: 두께 방향, T1: 피부면측,
T2: 비피부면측, W: 폭 방향

Claims (18)

  1.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이 개별로 포장된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된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에 배치된 포장 시트의 단(端) 가장자리를, 상기 포장 시트의 단 가장자리와 겹치는 포장 시트에 접합하는 테이프 부재를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재접합 가능하게 되는 재접합부가 있으며,
    상기 재접합부는,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장식부에 겹쳐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카본을 포함하지 않는 논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카본을 포함하는 카본 인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부와, 그림, 도안, 마크,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부를 갖고, 상기 적층 장식부는, 적어도 상기 정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합부의 면적은, 상기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10%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포장 시트 및 상기 박리 시트가 개켜진 접은 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장식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은 금과 겹쳐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장식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비(非)적층 장식부를 갖고,
    상기 비적층 장식부와 상기 적층 장식부는, 나란히 이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합부는, 4개의 측변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4개의 측변 중 3개 이상의 측변에 걸쳐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1.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에는, 장식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50% 이상이고,
    상기 박리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2.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포장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접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박리 시트 및 상기 포장 시트 중 적어도 한 쪽은, 장식부가 설치된 장식 시트이며,
    상기 장식 시트의 면적에 대한 상기 장식부의 면적의 비율은, 30%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주위에 배치된 배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의 광선 투과율은, 상기 배경부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제 1 장식부와, 상기 제 1 장식부와 다른 색을 갖는 제 2 장식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는, 시트 접합부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적층 장식부와, 상기 시트 접합부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비적층 장식부를 가지며,
    상기 개별 포장체의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 장식부와 상기 비적층 장식부의 색차 ΔE는, 4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패드이며,
    상기 장식부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번부터 12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7.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 및 요실금 패드이고,
    상기 장식부는,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의해 분류된 24색의 색표에서, 22번, 23번 및 24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중 어느 색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중공 섬유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1020227023464A 2020-01-31 2021-01-20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10264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0318U JP3225857U (ja) 2020-01-31 2020-01-31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2020015774A JP7353196B2 (ja) 2020-01-31 2020-01-31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JP-P-2020-015774 2020-01-31
JPJP-U-2020-000318 2020-01-31
PCT/JP2021/001876 WO2021153377A1 (ja) 2020-01-31 2021-01-20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531A true KR20220134531A (ko) 2022-10-05
KR102649064B1 KR102649064B1 (ko) 2024-03-20

Family

ID=7708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464A KR102649064B1 (ko) 2020-01-31 2021-01-20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49064B1 (ko)
CN (1) CN114945348B (ko)
WO (1) WO2021153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3326A1 (de) 2021-12-15 2023-06-15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849A (ja) 1997-12-04 1999-06-22 Nitto Denko Corp 生理用ナプキン個別包装用シート
JP2006181294A (ja) * 2004-12-28 2006-07-13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06223757A (ja) * 2005-02-21 2006-08-31 Kao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JP2008136566A (ja) *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3215267A (ja) * 2012-04-05 2013-10-24 Kao Corp 吸収性物品の個装体
JP3215203U (ja) * 2017-11-10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吸収性物品の包装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の収容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203B2 (ja) 1992-12-28 2001-10-0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ろ過乾燥装置におけるろ過板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構造
JP5904841B2 (ja) * 2012-03-30 2016-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MY187792A (en) * 2016-09-30 2021-10-24 Unicharm Corp Absorbent article
JP6521929B2 (ja) * 2016-11-11 2019-05-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上記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849A (ja) 1997-12-04 1999-06-22 Nitto Denko Corp 生理用ナプキン個別包装用シート
JP2006181294A (ja) * 2004-12-28 2006-07-13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06223757A (ja) * 2005-02-21 2006-08-31 Kao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JP2008136566A (ja) *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3215267A (ja) * 2012-04-05 2013-10-24 Kao Corp 吸収性物品の個装体
JP3215203U (ja) * 2017-11-10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吸収性物品の包装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の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45348A (zh) 2022-08-26
CN114945348B (zh) 2023-11-28
KR102649064B1 (ko) 2024-03-20
WO2021153377A1 (ja)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0059B2 (ja) 包装シート付き吸収性物品
KR101904569B1 (ko)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EP1827343B2 (en) A package comprising an array of feminine hygiene articles
EP1833447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
US8304597B2 (en) Method of us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
CN100558329C (zh) 具有打开感官提示的个人护理制品用包装物组件
JP6082452B2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3225857U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US72586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guising personal care products
JP6092370B2 (ja) 外側カバーアセンブリ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2649064B1 (ko)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JP7353196B2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CN213993936U (zh) 吸收性物品包装体和吸收性物品包装体的包装
JP7119807B2 (ja) 吸収性物品
JP2021122639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