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13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2134A KR20220042134A KR1020227003445A KR20227003445A KR20220042134A KR 20220042134 A KR20220042134 A KR 20220042134A KR 1020227003445 A KR1020227003445 A KR 1020227003445A KR 20227003445 A KR20227003445 A KR 20227003445A KR 20220042134 A KR20220042134 A KR 20220042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region
- absorbent article
- topsheet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2870 Inachis 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51 human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56 human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61F2013/5512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a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diap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61F2013/5515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sanitary nap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 (1)은,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갖는 본체부(20)와,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30)를 갖는다. 본체부는, 본체부가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된 절곡 기점부(80)를 갖는다.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RW)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1 변형 영역과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2 변형 영역(RB82)이 마련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는,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한 후크 부재(31)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기시에 이용되는 후처리용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폐기시에 이용되는 후처리용 부재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후처리용 부재는, 테이프 부재이며, 테이프 기재와, 테이프 기재 상에 마련된 본체 점착부를 갖는다. 테이프 기재는, 이면 시트에 고착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장되어 마련된 신장 가능한 신장부를 구비한다. 본체 점착부는 신장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는, 사용자는, 테이프 기재의 신장부를 신장시켜, 본체 점착부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고정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테이프 기재는, 사용전에 절첩되어 있고, 그 절첩된 테이프 기재 사이에 본체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는, 신장된 상태로 이면 시트측을 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고, 폐기시에 이면 시트에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고정한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과 같이, 폐기시에 컴팩트하게 뭉쳐지고, 또한 뭉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은 충분히 보급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테이프 부재를 신장시키는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거나, 테이프 부재를 의도한 위치에 접합할 수 없거나, 조작성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된 절곡 기점부를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2 변형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처리용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한 후크 부재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1 접힘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자연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의 변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1 접힘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자연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의 변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된 절곡 기점부를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2 변형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처리용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한 후크 부재를 갖는다.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치고자 하면,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면측이 내측이 되도록 뭉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본체부의 비피부면을 덮도록 표면 시트가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여, 본체부가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에 있어서, 제1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와 제2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와 제2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되기 쉽다. 그 변형 기점을 통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변형 영역은, 각각 절곡 기점부를 복수 갖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 기점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복수의 접음 기점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절첩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변형 영역 및 상기 제2 변형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용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후처리용 부재에 대한 폭 방향의 양측에 절곡 기점부를 마련하고, 제1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와 제2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를 연결하는 라인이 후처리용 부재에 걸쳐 마련된다. 따라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후처리용 부재를 변형시키기 쉽고, 흡수성 물품을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영역 및 상기 제2 변형 영역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변형 영역은, 본체부의 변형 기점이 되는 영역이다. 그 때문에,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변형 영역과 중복되는 영역은, 본체부가 변형된 상태에 있어서,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후처리용 부재가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변형 영역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가 제1 변형 영역 및 상기 제2 변형 영역에 있어서 변형되었을 때에도, 후처리용 부재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후처리용 부재의 평면 전체에 걸쳐 후크 부재를 표면 시트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쉬운 영역을 넓게 마련하여, 후크 부재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에 후크 부재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후처리용 부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상기 본체부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점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시에 착용 물품에 흡수성 물품을 접합했던 본체 점착부도, 사용후에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에 접합한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를 표면 시트에 접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본체 점착부도 표면 시트에 접합할 수 있다.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를 유지하여,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 점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 점착부의 굽힘 강성은, 후처리용 부재의 굽힘 강성보다 낮아, 본체 점착부의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장착시의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 본 양태에 의하면, 본체 점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폐기시의 표면 시트에 대한 접합력을 보다 확보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 점착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후처리용 부재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본체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작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는,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적어도 중앙 영역에 후처리용 부재가 배치된다. 중앙 영역은, 뭉침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 영역으로부터 뭉친 상태이어도, 후측 영역으로부터 뭉친 상태이어도, 뭉침 끝쪽의 표면 시트에 의해 덮이기 쉽다. 따라서, 폐기시에 후처리용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뭉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코어 압착부와, 상기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의 평량 또는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량이 주위와 상이한 평량 변화부와,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커버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 압착부 또는 시트 압착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그 평량 변화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커버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시트 압착부와 시트 압착부 사이의 영역은, 시트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에 후크 부재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시트 압착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를 복수 갖고 있고, 상기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의 영역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에 후크 부재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면 시트를 덮도록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된 한쌍의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쌍의 플랩부가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랩부 사이에 끼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플랩부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한 후에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경우가 있다. 플랩이 절첩된 상태로 한쌍의 플랩부 사이에 끼인 영역은, 표면 시트가 노출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쌍의 플랩부가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한쌍의 플랩부 사이에 끼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부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한 후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경우에도, 후크 부재를 표면 시트에 접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치면, 후처리용 부재와 표면 시트가 접합한다. 이 때,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면, 표면 시트 내에 결합한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 내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의 섬유에 의해 걸린다. 따라서,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을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변형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제1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와 제2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흡수성 물품을 뭉칠 때의 접음 기점이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전후 방향을 따라 흡수성 물품을 뭉치기 쉬워지고, 본체부가 비스듬히 감기는 구성과 비교하여, 후처리용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촉하기 쉬워져, 의식하지 않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요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분변 패드 또는 땀흡수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일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일 수 있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은, 후술하는 윙을 절첩하지 않은 전개 상태이며, 도 2는, 윙을 절첩한 제1 접힘 상태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쪽)으로부터 후측(등쪽)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은, 중앙 영역(S2),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중앙 영역(S2)은, 착용자의 배설구, 예컨대 질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1)이 착용 물품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앙 영역(S2)은 착용 물품의 가랑이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1)은 중앙 영역(S2)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1)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중앙 영역(S2)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중앙 영역(S2)에는 윙(25)이 마련될 수 있다. 윙(25)은, 흡수 코어(23)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T2)으로 절첩된다. 윙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를 가질 수 있다. 윙(25)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25)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팬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25)의 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2)과 전측 영역(S1)의 경계를 규정해도 좋다.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25)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팬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2)과 후측 영역(S3)의 경계를 규정해도 좋다. 또한, 윙(25)의 내측 가장자리는, 윙의 밑동이며, 윙(25)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된다. 또한, 윙(25)을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S2)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긴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0)의 폭 방향(W)의 중심이 되는 본체 폭 중심(20CW))에 있어서,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3등분한 영역의 각각이, 전측 영역(S1), 중앙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구성해도 좋고, 흡수 코어(23)가 고평량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고평량부를 갖는 영역이 중앙 영역(S2)을 구성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0)와, 후처리용 부재(30)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20)는,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1)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 코어(23)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쪽을 향해 배치된다. 표면 시트(21)는, 섬유를 갖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구성될 수 있고, 섬유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표면 시트(21)는, 후술하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가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표면 시트(21)가 섬유를 갖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그 섬유와 후크 부재(31)가 걸리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표면 시트(21)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요철에 의해서도 후크 부재(31)의 선단이 보다 걸리기 쉽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22)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표면 시트(21)는, 액투과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면 시트(22)는, 액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1)는, 흡수 코어(23)의 폭 방향(W)의 중앙을 덮는 센터 시트(21C)와, 센터 시트(21C)의 외측부에 중복되는 사이드 시트(21S)를 가질 수 있다. 센터 시트(21C)는, 사이드 시트(21S)보다 피부면측(T1)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내측 가장자리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접혀 있고, 사이드 시트(21S) 사이에는 탄성 부재(28)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내측부에는, 그 탄성 부재(28)에 의해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는 신축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26)는, 센터 시트(21C)로부터 기립 가능한 샘방지 커프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신축부(26)는 본 발명의 신축부를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시트에 의해 이면 시트가 구성된 형태에 있어서는, 그 이면 시트가 본 발명의 신축부를 구성할 수 있다. 신축부는, 적어도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면 되며, 전후 방향(L)과 더불어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흡수 코어(23)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 코어(23)는, 수분을 흡수 가능한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 코어(23)는, 도시하지 않은 코어랩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코어랩은, 예컨대 티슈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을 따라」라는 용어는, 전후 방향(L)에 대하여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W)을 따라」라는 용어는, 폭 방향(W)에 대하여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는 점착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50)는, 본체부(20)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영역이다. 점착부(50)는,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 본체 점착부(51)와, 윙(25)에 마련된 윙 점착부(52)를 가질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후술하는 피복 시트(40)에 의해 사용전에 덮일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는, 후처리용 부재(30)에 대한 폭 방향(W)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 본체 점착부(51)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부(50)는, 사용시에 본체부(20)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는 기능과 더불어, 폐기시에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을 뭉친 상태로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후처리용 부재(30)를 본체부(20)에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 또는 폭 방향(W)으로 뭉친 상태로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방향은, 뭉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L)이 된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본체부(20)의 비피부면은 이면 시트(22)로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이어도 좋고, 타원 등의 원형이어도 좋고, 점형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선형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타원형 등, 후처리용 부재(30)의 모서리부가 곡선형인 형태에 있어서는, 후처리용 부재(30)가 사용자에게 닿았을 때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비피부면측(T2)을 향해 돌출된 후크 부재(31)를 갖는다. 후크 부재(31)는, 흡수성 물품의 폐기시 등에 있어서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본체부(20)가 접힌 상태로 표면 시트(21)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크 부재(31)는, 이면 시트(22)의 일부가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면 시트(22)와 별체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31)는, 이면 시트(22)와 별체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 접합된 기재 시트(35)로부터 비피부면측(T2)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기재 시트(35)와 후크 부재(31)는 일체화할 수 있다. 후크 부재(31)는,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축부(311)와, 축부(311)의 선단에 있어서 축부(311)보다 평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우산부(312)를 가질 수 있다. 후크 부재(31)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1개만이어도 좋다. 기재 시트(35)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35)는, 접합 영역에 있어서 이면 시트(22)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시트형의 기재 시트(35)와, 이 기재 시트의 표면(이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후크 부재(31)로 이루어진 것이며, 예컨대 닻 형태나 갈고리 형태의 후크 부재(31)를 갖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로서는, 공지의 기계적 면패스너의 메일(male)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매직테이프(등록상표)」(쿠라레사 제조),「퀴크론(등록상표)」(YKK사 제조),「마지클로스(등록상표)」(가네보벨터치사 제조) 등에서의 메일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는,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를 보조적으로 접합하는 후처리 점착부를 가질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에 적어도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축부의 표면 등,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 이외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크 부재(31)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 시트(35)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를 갖는 것에 의해, 폐기시에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가 접합할 때의 접합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의 단섬유(섬유 길이가 대강 10 mm 이하)의 부직포 및 섬유 교락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부직포라 하더라도, 후처리 점착부에 의해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력을 확보하여,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뭉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 후처리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점착부(50)와 동일해도 좋고, 점착부(50)와 상이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은, 사용전에 피복 시트(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피복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을 개별로 포장하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점착부(50)를 덮는 박리 시트(4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일 수 있다. 적합하게는, 피복 시트(40)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에 배치되어, 후크 부재(31)를 덮을 수 있다. 피복 시트(40)는, 사용전에 흡수성 물품(1)을 덮고, 사용시에 흡수성 물품(1)으로부터 분리된다. 피복 시트(40)에 의해 후크 부재(31)를 덮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사용전에 후크 부재(31)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후크 부재(31)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전에 의도치 않게 후크 부재(31)가 손상되거나, 의도치 않게 후크 부재(31)가 피부에 닿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시트(40)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의 두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의 비피부면측(T2)에 박리 시트(42)가 배치되고, 박리 시트(42)의 비피부면측(T2)에 개별 포장 시트(41)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부재(31)와 개별 포장 시트(41)의 사이에 박리 시트(42)가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 부재(31)에 의해 의도치 않게 개별 포장 시트(41)가 찢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본체부(20)가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된 절곡 기점부(80)를 가질 수 있다. 절곡 기점부(80)는,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의 굴곡 기점이 된다. 절곡 기점부(80)는, 강성차, 두께차, 평량차 등에 의해 본체부(20)를 절곡하기 쉽게 한다.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뭉칠 때에, 절곡 기점부(80)를 기점으로 하여 뭉칠 수 있어, 사용자가 뭉치는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에 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부(20)는, 사용전에 복수의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되고, 본체부(20)가 개별 포장 시트(41)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 포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 복수의 접음선은, 적어도 본체부(20)만을 절첩하는 접음선일 수 있고, 본체부(20), 후처리용 부재(30) 및 피복 시트(40)를 함께 절첩하는 접음선이어도 좋다. 복수의 접음선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전후 접음선(FL)과,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폭접음선(FW)을 가질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본체 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제1 전후 접음선(FL1) 및 제2 전후 접음선(FL2)을 가질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윙(25)을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기 위한 접음선일 수 있다. 도 2는,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윙(25)을 절첩한 제1 접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흡수 코어(23)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흡수 코어를 절첩하지 않는 접음선이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흡수 코어(23)에 중복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접힘 상태에 있어서, 흡수 코어(23)가 절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폭접음선(FW)은,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폭접음선(FW)은,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접음선(FW1)은, 복수의 접음선 중, 흡수 코어(23)의 후단 가장자리(23R)에 가장 가깝고, 제2 폭접음선(FW2)은, 복수의 접음선 중, 흡수 코어(23)의 전단 가장자리(23F)에 가장 가깝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의 사이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다른 접음선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시(사용전)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절첩하기 위한 라인이다. 접음선은, 접은 자국의 위치에 의해 특정할 수 있고, 본체부(20)의 접은 자국을 특정하기 어려운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시트(40)의 접은 자국을 기준으로 접음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사용전의 개별 포장시에,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 상에 흡수성 물품(1)을 배치한 상태로 함께 절첩된다. 절첩 양태의 일례로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 상에 흡수성 물품(1)을 배치한 전개 상태로,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윙(25)을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고, 제1 접힘 상태로 한다(도 2 참조). 제1 접힘 상태에서는, 본체부(20)만이 절첩되고, 피복 시트(40) 및 후처리용 부재(30)는 절첩되어 있지 않다.
이어서, 제1 폭접음선(FW1)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절첩한다. 이어서, 제2 폭접음선(FW2)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측을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절첩한다. 제2 폭접음선(FW2)을 기점으로 절첩한 영역의 선단(구체적으로는, 개별 포장 시트(41)의 전단 가장자리)을, 제1 폭접음선(FW1)을 기점으로 절첩한 개별 포장 시트(41)의 위에 테이프 부재(45)에 의해 접합한다. 이와 같이 절첩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은, 개별 포장 시트(41)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45)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이 사용전에 절첩된 상태로, 표면 시트(2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접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사용전에 절첩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을 덮도록 표면 시트(21)가 배치되지 않고, 사용전에 절첩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가 접촉하지 않고, 후크 부재(31)가 의도치 않게 표면 시트(21)에 접합하지 않는다. 또, 폭접음선이 3개 이상인 형태 및 후처리용 부재(30)가 폭접음선을 전후 방향(L)으로 걸쳐 배치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전에 절첩된 상태에서,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을 덮도록 표면 시트(21)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의 사이에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 부재는, 예컨대, 피복 시트(40)일 수 있다. 절첩된 상태로,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사이에 구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전에 의도치 않게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가 접합하는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기초하여, 후처리용 부재(30)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1)의 폐기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성 물품(1)의 폐기 양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폐기 양태에 관해서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며, 이하의 설명의 폐기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폐기시에 적어도 전후 방향(L)으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친다.
사용자는, 폐기시의 표면 시트(21)에 배설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을 폐기할 때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뭉쳐 폐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를 뭉친다. 본체부(20)의 뭉침의 시작 부분의 비피부면측(T2)이 표면 시트(21)에 접촉하면서, 본체부(20)가 전후 방향(L)으로 뭉쳐진다.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는,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가 전후 방향(L)으로 더 뭉쳐지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촉한다. 후크 부재(31)의 우산부(312)가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고, 본체부(20)가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배설물이 부착된 면을 내측으로 한 청결한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폐기할 수 있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걸려 접합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경혈 등의 체액의 부착에 의해 표면 시트(21)가 젖어, 점착부(50)와 표면 시트(21)의 접합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에도,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를 접합시킬 수 있다. 특히 점착부는 속옷 등과 접합한 후라서, 접합력이 저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 시트(21)가 습한 상황이므로, 표면 시트(21)와 점착부(50)가 접합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는 조작은,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과정에서 행할 수 있어, 후처리용 부재(30)를 인장하여 접합하는 등의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폐기하는 경우에도,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본체부(20)가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 흡수성 물품(1)이 뭉쳐진 상태에서는,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촉한다. 본체 점착부(51)는, 사용시에 착용 물품에 본체부(20)를 접합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착용 물품으로부터 본체부(20)를 제거한 후에도 약간이나마 점착력을 갖는다. 본체 점착부(51)도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한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함과 더불어,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윙(25)은, 사용전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을 덮도록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윙의 접은 자국에 의해, 폐기시에 윙(25)을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고, 표면 시트(21)의 적어도 일부를 윙(25)에 의해 덮은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폐기시에 윙(25)에 의해 표면 시트(21)를 덮는 것에 의해, 폐기 조작에 있어서 체액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체액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 또, 윙은, 전후 접음선(FL)에 의해 절첩되어 있어도 좋고, 전후 접음선(FL)과 별도의 접음선에 의해 절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폐기 양태에 있어서,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접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을 뭉쳐도 좋다.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에서,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시에서 한쌍의 윙(25) 사이에 끼인 영역에 중복될 수 있다.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는, 윙의 밑동에서 절첩한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한쌍의 윙(25)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는, 한쌍의 윙(25)에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폐기시에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 윙(25)에 의해 표면 시트(21)가 덮인 부분에 후처리용 부재(30)가 접촉하더라도,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지 않는다. 그러나, 평면시에서 한쌍의 윙(25) 사이에 끼인 영역에, 후크 부재(3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첩된 윙(25)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21)가 노출되고, 그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가 표면 시트(21)에 접합된다.
또, 한쌍의 힙 플랩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서 한쌍의 힙 플랩에 사이에 끼인 영역에 중복될 수 있다.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는, 힙 플랩의 전측의 밑동으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절첩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한쌍의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는, 한쌍의 힙 플랩에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절첩된 힙 플랩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21)가 노출되고, 그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가 표면 시트(21)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 본체부(20)를 보다 원활하게 뭉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RW)에는,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이 마련되어 있다. 폭 영역(RW)은,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전역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며, 복수의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는 형태에 있어서는, 폭 영역(RW)도 복수 마련된다. 도 3에 있어서, 폭 영역(RW)에 사선을 부여하여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에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절곡 기점부(80)를 갖는 변형 영역(RB)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변형 영역(RB) 중 하나의 변형 영역은 제1 변형 영역(RB81)을 구성하고, 복수의 변형 영역(RB) 중 다른 변형 영역은 제2 변형 영역(RB82)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 영역(RB)은, 적어도 흡수 코어(2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코어 압착부(231)를 복수 갖는 코어 변형 영역(R23)과, 적어도 표면 시트(21)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211)를 복수 갖는 시트 변형 영역(R21)과, 윙 점착부(52)의 후단 가장자리(52R) 및 전단 가장자리(52F)(도 3 참조)를 갖는 점착 변형 영역(R52)을 적어도 갖는다. 코어 압착부(231)와, 시트 변형 영역(R21) 및 점착 변형 영역(R52)의 각각이,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구성해도 좋고, 코어 압착부(231)와, 시트 변형 영역(R21) 및 점착 변형 영역(R52)의 복수가,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구성해도 좋다. 변형 영역(RB)은, 적어도 2개의 절곡 기점부(80)를 갖고 있으면 되며, 그 절곡 기점부(80) 전체를 둘러싸는 라인이 변형 영역(RB)의 외형이 된다. 또, 변형 영역(RB)에 마련되는 절곡 기점부(80)의 수 및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폐기시의 본체부(20)는, 체액을 흡수하고 있어, 사용전과 비교하여 그 두께가 두껍다. 또한, 후크 부재(31)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30)는, 후크 부재(31)를 갖지 않는 후처리용 부재(30)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그 때문에, 본체부(20)의 흡수 코어(23)가 배치된 영역을 뭉칠 때에 컴팩트하게 뭉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후처리용 부재(30)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RW)에 있어서 절곡 기점부(80)를 기점으로 본체부(20)를 절곡할 수 있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의 강성에 의한 반발력이 있더라도 흡수성 물품(1)을 컴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은 각각 절곡 기점부(80)를 갖고 있고, 제1 변형 영역(RB81)의 절곡 기점부(80)와 제2 변형 영역(RB82)의 절곡 기점부(80)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80)와 제2 변형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되기 쉽다. 그 변형 기점을 통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영역 및 제2 변형 영역은, 각각 절곡 기점부(80)를 복수 갖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접음선을 기점으로 컴팩트하게 절첩하기 쉽다.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에 대한 폭 방향(W)의 양측에 절곡 기점부(80)를 마련하고, 제1 변형 영역(RB81)의 절곡 기점부(80)와 제2 변형 영역(RB82)의 절곡 기점부(80)를 연결하는 라인(예컨대, 가상선(VL))이 후처리용 부재(30)에 걸쳐 마련된다. 따라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후처리용 부재(30)를 변형시키기 쉽고, 본체부(20)를 보다 뭉치기 쉬워진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변형 영역(RB)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코어 압착부(231)를 갖는 변형 영역(RB)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은 본체부의 변형 기점이 되는 영역이다. 그 때문에,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과 중복되는 영역은, 본체부가 변형된 상태에 있어서,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후처리용 부재(30)가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가 변형되었을 때에도, 후처리용 부재(30)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후처리용 부재(30)의 평면 전체에 걸쳐 후크 부재(31)를 표면 시트(21)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을 넓게 마련하여,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제1 변형 영역(RB81)의 절곡 기점부(80)는, 제2 변형 영역(RB82)의 절곡 기점부(80)로부터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V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변형 영역(RB81)의 절곡 기점부(80)와 제2 변형 영역(RB82)의 절곡 기점부(80)는, 본체 폭 중심(20CW)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동일한 가상선(V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쪽의 절곡 기점부(80)와 다른쪽의 절곡 기점부(80)가 배치되어 있고, 그 한쪽의 절곡 기점부(80)와 다른쪽의 절곡 기점부(80)가 동일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변형 영역(RB81)의 절곡 기점부(80)와 제2 변형 영역(RB82)의 절곡 기점부(80)를 연결하는 가상선(VL)을 따라 흡수성 물품을 뭉칠 때의 접음 기점이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전후 방향(L)을 따라 흡수성 물품을 뭉치기 쉬워지고, 본체부가 비스듬히 감기는 구성과 비교하여, 후처리용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촉하기 쉬워져, 의식하지 않고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절곡 기점부(80)는 폭 영역(RW)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외단보다 외측의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유연하게 변형시키기 쉽다. 그 후처리용 부재(30)의 외단보다 외측의 영역을 절곡 기점부(80)에 의해 뭉칠 수 있어, 본체부(20)를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쉽다. 또한, 절곡 기점부(80)는 제1 폭접음선(FW1)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20)의 후단부측에 있어서 본체부(20)를 절곡하기 쉬워진다. 본체부(20)의 후단부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경우에, 뭉침 시작 부분의 본체부(20)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본체부(20) 전체를 컴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에는, 제1 폭접음선(FW1)에 의한 접은 자국이 있어, 폐기시에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뭉칠 때에, 제1 폭접음선(FW1)을 굴곡 기점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 이 때, 제1 폭접음선(FW1)과 흡수 코어(23)의 후단 가장자리(23R) 사이의 영역을 컴팩트하게 뭉치고, 또한 제1 폭접음선(FW1)을 기점으로 하여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부(20) 전체를 컴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영역(RW)보다 후측에는, 절곡 기점부(80)로서, 적어도 흡수 코어(2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코어 압착부(231)와, 본체 점착부(51)의 후단 가장자리(51R)(도 3 참조)와, 시트 압착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압착부(231)에 의한 절곡 기점부는 점형이며, 폭 방향(W) 및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될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의 후단 가장자리(51R)는, 점착제의 유무에 의한 강성차에 의해, 흡수 코어(23)의 굴곡 기점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전단부측으로부터 본체부(20)를 뭉치는 경우에는, 뭉친 상태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절곡 기점부(80)에 의한 굴곡 기점을 형성할 수 있고, 뭉침 끝부분을 유연하게 변형시켜, 본체부(20) 전체를 원형으로 하여 컴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절곡 기점부(80)는 폭 영역(RW)보다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외단보다 외측의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유연하게 변형시키기 쉽다. 그 후처리용 부재(30)의 외단보다 외측의 영역에 굴곡 기점을 마련하여, 본체부(20)를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쉽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는 제2 폭접음선(FW2)보다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영역(RW)보다 전측에는, 절곡 기점부(80)로서, 코어 압착부(231)와, 본체 점착부(51)의 전단 가장자리(51F)(도 3 참조)와, 시트 압착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20)의 후단 가장자리(20R)측으로부터 뭉치는 경우에도, 본체부(20)의 전단 가장자리(20F)측으로부터 뭉치는 경우에도, 뭉쳤을 때에 내측에 배치된 영역을 절곡하기 쉬워져, 본체부(20)를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쉽다.
절곡 기점부(80)는,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과의 사이에, 절곡 기점부로서, 코어 압착부(231)와, 시트 압착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과의 사이의 영역에 절곡 기점부(80)에 의한 굴곡 기점을 마련하여, 본체부(20) 전체를 뭉치기 쉬워진다.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은,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에 의한 접은 자국에 의해서도, 흡수 코어(23)에 굴곡 기점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은, 흡수 코어(23)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폭접음선 및 제2 폭접음선은, 흡수 코어(23)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폭접음선(FW)은,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끼리 마주보도록 본체부(20)를 절첩하기 위한 접음선일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폭접음선(FW)의 접은 자국에 의해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뭉치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윙(25)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윙(25)은,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T2)으로 절첩되어 있고, 체액이 부착되기 어렵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 윙(25)을 파지하여,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뭉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윙(25) 사이의 영역(폭 방향에 있어서 윙(25) 사이에 끼인 영역)보다 윙(25)이 비피부면측(T2)으로 되접힌 상태에서, 윙(25)을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서 파지하면서, 윙(25) 사이의 영역을 전후 방향(L)으로 뭉치거나, 윙(25)을 윙(25) 사이의 영역보다 피부면측(T1)으로 접고, 접은 상태의 윙(25)을 파지하면서, 윙(25) 사이의 영역을 전후 방향(L)으로 뭉치거나 할 수 있다. 그 양태에 의하면, 체액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 이 때, 윙(25)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절곡 기점부(80)가 있기 때문에, 윙(25)을 파지한 상태로, 윙(25)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 영역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시작할 수 있어, 본체부(20) 전체를 컴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절곡 기점부(8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점형이어도 좋고, 띠형이어도 좋고, 원호형이어도 좋고, 다각형이어도 좋다. 절곡 기점부(8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의 1/3까지의 범위에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뭉친 상태의 둘레 길이는, 일반적으로,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에 대한 1/3 정도가 된다.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에 대한 1/3은, 뭉침 시작 영역 또는 뭉침 끝 영역이 된다. 그 부분에 3개 이상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뭉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에 걸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 사이의 영역은, 뭉침 시작 부분과 뭉침 끝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 영역(S1)으로부터 뭉친 상태라 하더라도, 후측 영역(S3)으로부터 뭉친 상태라 하더라도, 뭉침 끝 부분쪽의 표면 시트(21)에 의해 덮이기 쉽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는 중앙 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영역(S2)도, 뭉침 시작 부분과 뭉침 끝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 영역(S1)으로부터 뭉친 상태라 하더라도, 후측 영역으로부터 뭉친 상태라 하더라도, 뭉침 끝 부분의 표면 시트(21)에 의해 덮이기 쉽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폐기시에 후처리용 부재(30)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함으로써 뭉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30)는,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 중 적어도 한쪽에 걸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20)에는, 접음선에 의한 접은 자국이 형성된다.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뭉쳐진 상태에서는, 접음선을 경계로 한 전측의 영역과 후측의 영역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피부면측(내측)으로 변형된다. 접음선을 경계로 하여 내측으로 변형되면,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가 떨어져,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가 접합하기 어렵거나, 일단 접합한 후크 부재(31)가 떨어져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접음선에 걸치지 않는 것에 의해, 후크 부재(31)의 접합 상태가 접은 자국 때문에 의도치 않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 후처리용 부재(30)가 걸쳐 있지 않은 접음선측으로부터 뭉치는 것에 의해,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한 평면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반발력을 받지 않고 뭉칠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하게 또한 약한 힘으로 뭉치기 쉽다. 또한, 뭉쳤을 때에 표면 시트(21)에 의해 덮이는 접음선에 걸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가 접합하기 쉬워진다.
흡수 코어(23)가 주위보다 흡수 재료의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시에서 중고평량부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상태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23)가 복수층에 중복된다. 이 때, 고평량부가 배치된 부분은, 주위보다 두께가 두꺼워,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다른 층을 압박하기 쉽다. 따라서, 고평량부와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측으로 압박할 수 있어,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의 접합 상태를 보다 실현하기 쉽다.
폭 영역(RW)에는, 본체부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점착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시에 착용 물품에 흡수성 물품을 접합했던 본체 점착부(51)도, 사용후에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한다.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고, 또한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의 강성에 의한 반발력이 있더라도,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를 유지하여,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간섭하기 어려워져, 폐기전에 있어서 의도치 않게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접합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는, 폭 방향(W)으로 인접해도 좋다.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본체 점착부(51)와 후크 부재(31)가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51)의 폭 방향(W)의 길이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복수의 본체 점착부(51)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그 본체 점착부(51)의 폭 방향(W)의 길이는 합계 길이이다. 본체 점착부(51)는, 사용시에 착용 물품에 대하여 본체부를 접합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폐기시에 표면 시트(21)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접합하는 기능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체 점착부(51)의 굽힘 강성은, 후처리용 부재의 굽힘 강성보다 낮아, 본체 점착부(51)의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장착시의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 본체 점착부(51)의 폭 방향(W)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폐기시의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력을 보다 확보하기 쉬워진다.
본체 점착부(51)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본체 점착부(51)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장착시의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흡수 코어(23)의 두께보다 길고, 흡수 코어(2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고, 본 실시형태의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80 mm이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흡수 코어(23)의 두께보다 긴 것에 의해, 본체부(20)를 감았을 때에,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가 점으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고,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흡수 코어(2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은 것에 의해,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이 본체부(20)의 피부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는, 1 mm 이상, 흡수 코어(23)의 폭 방향(W)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가 1 mm 이상인 것에 의해,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가 흡수 코어(23)의 폭 방향(W)의 길이 미만이므로, 폭 영역에 본체 점착부(51)를 배치할 수 있고, 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착용 물품에 접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는, 5 mm 이상 35 mm 이하이며, 본 실시형태의 후처리용 부재(30)의 폭 방향(W)의 길이는 15 mm이다. 후처리용 부재(30)를 안정적으로 생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본체 점착부(51)도 코어 배치 영역 내에 배치시키기 쉬워, 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착용 물품에 접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면적은, 본체부(20) 전체의 면적에 대한 20% 미만일 수 있다. 후크 부재(31)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면적이 본체부(20) 전체 면적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본체 폭 중심(20CW)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폭 중심(20CW)을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 폭 중심(20CW)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길다.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긴 부분을 후크 부재(31)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전역을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는, 본체 폭 중심(20CW)을 기점으로 뭉친다. 이 때, 기점이 되는 개소에 후처리용 부재(30)가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 의식하지 않고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를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어, 후크 부재(31)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표면 시트(21)는,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팬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있고, 오목부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오목부는, 표면 시트(21)에 형성된 개구부, 표면 시트(21)에 형성된 고랑 부분의 홈부, 표면 시트(21)를 구성하는 섬유가 융착된 융착부, 표면 시트(21)가 압착된 시트 압착부(211)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절곡 기점부(80)로서의 시트 압착부(211) 및 평량 변화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을 전후 방향(L)으로 뭉칠 때에, 복수의 오목부가 절곡 기점이 되어, 표면 시트(21)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을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적어도 흡수 코어(2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코어 압착부(231)와, 흡수 코어(23)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의 평량 또는 표면 시트(21)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량이 주위와 상이한 평량 변화부와, 흡수 코어(23)와 표면 시트(21) 사이에 배치된 커버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 적어도 표면 시트(21)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 압착부(231)는, 적어도 흡수 코어(2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흡수 코어(23)와 함께 표면 시트(21) 및 코어랩이 압착되어 있어도 좋다. 시트 압착부(211)는, 적어도 표면 시트(21)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시트 압착부(211)는, 흡수 코어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를 복수 가질 수 있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는,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흡수 코어(23)와 표면 시트(21)가 함께 압축된 압착부는, 코어 압착부(231)를 구성함과 더불어, 시트 압착부(211)를 구성한다. 코어 압착부(231) 또는 시트 압착부(211)는, 코어 압착부(231) 또는 시트 압착부(2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두께가 얇다. 코어 압착부(231) 또는 시트 압착부(211)가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적합하게는, 코어 압착부(231) 및 시트 압착부(211)는, 피부면측(T1)으로부터 비피부면측(T2)을 향해 움푹 팰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뭉친다. 피부면측(T1)으로부터 비피부면측(T2)을 향해 압착부가 움푹 패어 있기 때문에, 피부면측(T1)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뭉치기 쉬워진다.
평량 변화부는, 흡수 재료 등의 평량이 상이한 부분(예컨대, 저평량부)이어도 좋고, 표면 시트(21)에 형성된 개구부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23)의 단부 가장자리, 고평량부의 단부 가장자리 및 저평량부의 단부 가장자리, 표면 시트의 개구부의 단부 가장자리 및 점착부(50)의 단부 가장자리는, 평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저평량부는 길이에 따라 다르다. 저평량부의 길이가 흡수체의 두께 미만인 경우에는, 그 저평량부의 중심은 평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저평량부의 길이가 흡수체의 두께 이상인 경우에는, 그 저평량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평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평량 변화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흡수 코어(23)와 표면 시트(21) 사이에 배치된 커버 시트는, 체액의 인입성을 높이기 위한 세컨드 시트, 티슈 등으로 이루어진 코어랩으로 구성된다. 커버 시트가 배치된 영역과 커버 시트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커버 시트의 유무에 따라 두께 및 강성이 다르다. 그 때문에, 커버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컴팩트하게 뭉치기 쉬워진다.
시트 압착부(211)끼리의 간격(D211)(도 1 참조)은, 후크 부재(31)의 피치(P31)(도 5 참조)보다 길 수 있다. 시트 압착부(211)와 시트 압착부(211) 사이의 영역은, 시트 압착부(211)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또,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D211)은, 변형 영역(RB) 내에서 전후 방향(L)으로 나열된 시트 압착부(211)의 평면시 거리이다. 후크 부재(31)의 피치(P31)는, 인접하는 후크 부재(31)의 중심간 거리이며, 우산부(312)를 갖는 후크 부재(31)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우산부(312)의 중심간 거리이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는, 흡수 코어(23)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에 의한 굴곡 기점을 마련하고, 뭉침 시작 부분의 본체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본체부(20)를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쉽다. 또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D27)은,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의 영역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또,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D27)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끼리의 평면시 거리이다.
표면 시트(21)가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팬 오목부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간격은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오목부와 오목부의 영역은,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신축부(26)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신축부(26)의 전단 가장자리(26F)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신축부(26)의 후단 가장자리(26R)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축부(26)는, 사이드 시트(21S) 및 탄성 부재(28)로 구성된 샘방지 커프에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26)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걸쳐,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은, 자연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1)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 자연 상태란, 패키지에 수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패키지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24시간 방치한 상태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신축부(26)가 수축하여, 측면시에서 만곡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특히, 샘방지 커프의 신축부(26)는, 흡수 코어(23)보다 피부면측(T1)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부(20)는, 피부면측(T1)이 근접하도록 만곡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의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수축하기 쉽다. 본체부가 전후 방향(L)으로 뭉쳐지고,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이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면, 표면 시트(21) 내에 결합한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 내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린다. 따라서,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1)을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단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의 흡수성 물품(1)을 착용 물품(S)에 착용한 상태이며, 도 9의 (a)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흡수성 물품(1)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도 9의 (b)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흡수성 물품(1)에 가해진 상태이다. 착용시에 흡수성 물품(1)은, 다리 사이에 끼워져,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 때,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기점으로 본체부(20)가 변형되어,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의 사이가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쉽다. 이 때,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의 사이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고,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면, 후처리용 부재(30)에 있어서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31)끼리 충돌하여, 후처리용 부재(30)가 평면형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이 때,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이 변형의 기점이 되어, 융기한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한 상태를 유지하여,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중앙 영역(S2)에 있어서,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영역(S2)은,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끼기 쉽고,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기점으로 하여,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의 사이가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쉽다. 이 때,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기점으로 할 때에,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의 영향이 적어,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기점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의 사이가 착용자측에 의해 융기하기 쉬워,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후처리용 부재(3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후처리용 부재(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과 중복되어 있지 않으면 되며, 다른 변형 영역(RB)과 중복되어 있어도 좋다.
후처리용 부재(30)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는, 본체부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점착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변형 영역(RB81) 및 제2 변형 영역(RB82)을 기점으로 하여 후처리용 부재(30)와 중복되는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할 때에, 후처리용 부재(30)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본체 점착부(51)와 착용 물품이 접합한 부분도 기점이 되어, 후처리용 부재(30)와 중복되는 영역이 융기한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본체 점착부(51)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변형 영역(RB81)과 제2 변형 영역(RB82)의 사이에서 착용자측으로 융기하는 변형의 기점이 되는 본체 점착부(51)와 착용 물품이 접합한 부분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후처리용 부재(30)의 반발력에 대향하여, 후처리용 부재(30)와 중복되는 영역이 융기한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는 중앙 영역(S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후처리용 부재(30)는 전측 영역(S1)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후처리용 부재(30)는 중앙 영역(S2)과 후측 영역(S3)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측면시에서의 착용자의 신체 형상은, 배쪽으로부터 등쪽을 향해 라운딩을 띠고 있다. 특히 고간보다 전측은 라운딩을 띤 형상이며, 앞으로 새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그 신체의 라운딩에 흡수성 물품이 따르는 것이 요구된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가 중앙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측 영역이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에 의해 굴곡되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되고, 전측 영역(S1)이 닿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기 쉬워, 앞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중복한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낮을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의 사용시에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고, 후처리용 부재(30)가 간접적으로 피부에 닿는다. 이 때,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 이면 시트(22), 흡수 코어(23),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와 흡수 코어(23)를 중복한 부분의 굽힘 강성은, 표준 규격 JIS P-8125에 의해 규정되는 테이버법에 의해 측정된다. 예컨대, 우선, 측정 대상이 되는 부재(시트)로부터 폭 25 mm, 길이 38 mm의 시험편을 채취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의 두께를 두께 측정기(예컨대, PEACOCK 제조 44 mmφ 3 g/㎡)에 의해 계측한다. 다음으로, 야스다 정기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에 시험편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의 롤러 사이에 넣고, 그립 간격을 시험편의 두께에 맞춰 끼운다. 또, 시험편의 상단과 그립 상면을 맞춘다. 롤러는 시험편을 누르지 않도록 시험편과의 간격을 약 0.5 mm로 조정한다.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의 시험편 절곡 장치를 회전시키고, 시험편 절곡 장치의 15도를 나타내는 각선(刻線)과 하중 진자의 지침이 일치한 점에서 절곡 장치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 때 진자의 지침이 지시하는 하중 눈금을 판독한다. 하중 진자를 즉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일하게 하중 눈금을 판독하여, 좌우 양 방향의 하중 눈금의 평균치를 구한다. 또,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 추를 임의로 선정한다. 그리고 나서, 시험편의 굽힘 강성(강연도(g·cm))은, 「강연도(g·cm)=하중 눈금의 평균치×10×추의 수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또, 샘플의 폭 방향(W)의 길이가 25 mm 미만인 경우에는, 샘플의 최대폭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N/25 mm로 환산한다. 또한, 샘플의 길이 38 mm 미만의 경우에는 최대 길이로 측정한다. 또한, 굽힘 강성은, 10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로 한다.
(3)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피부면측에서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X)의 후처리용 부재(30X)는, 본체 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두고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 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후처리용 부재(30X)에 의해 본체부(20X)의 폭 방향(W)의 전체에 걸쳐 뭉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X)에 의해 접합할 수 있는 폭 방향(W)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폭 방향(W)의 길이가 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적합하다.
제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X)의 제1 변형 영역(RB81X) 및 제2 변형 영역(RB82X)은, 한쌍의 후처리용 부재(30) 사이에 끼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후처리용 부재(30) 사이에 끼인 영역에는, 제1 변형 영역(RB81X) 및 제2 변형 영역(RB82X)의 양쪽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1 변형 영역(RB81X) 및 제2 변형 영역(RB82X)의 한쪽이어도 좋다.
제1 변형 영역(RB81X) 및 제2 변형 영역(RB82X)에는 복수의 코어 압착부(231)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코어 압착부(231)는, 저압착부(232)와, 저압착부(232)보다도 두께 방향으로 더 깊게 압축된 고압착부(233)를 갖는다. 저압착부(232) 및 고압착부(233)의 어느 한쪽은, 저압착부(232) 및 고압착부(233)의 다른쪽을 복수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다른쪽의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압착부(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압착부(233))는, 본 발명에서의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한쪽의 압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다른쪽의 압착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압착부(232))는 변형 영역을 구성한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2019년 7월 30일에 출원된 중국특허출원 제201910694226.9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양태에 의하면,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1X : 흡수성 물품
20, 20X : 본체부
21 : 표면 시트
22 : 이면 시트
23 : 흡수 코어
30 : 후처리용 부재
31 : 후크 부재
311 : 축부
312 : 우산부
51 : 본체 점착부
80 : 절곡 기점부
RB81 : 제1 변형 영역
RB82 : 제2 변형 영역
RW : 폭 영역
L : 전후 방향
W : 폭 방향
20, 20X : 본체부
21 : 표면 시트
22 : 이면 시트
23 : 흡수 코어
30 : 후처리용 부재
31 : 후크 부재
311 : 축부
312 : 우산부
51 : 본체 점착부
80 : 절곡 기점부
RB81 : 제1 변형 영역
RB82 : 제2 변형 영역
RW : 폭 영역
L : 전후 방향
W : 폭 방향
Claims (13)
-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된 절곡 기점부를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제1 변형 영역과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절곡 기점부를 갖는 제2 변형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처리용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영역 및 상기 제2 변형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용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영역 및 상기 제2 변형 영역과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용 부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상기 본체부를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점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점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점착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는,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코어 압착부와, 상기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의 평량 또는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량이 주위와 상이한 평량 변화부와,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커버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긴 흡수성 물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압착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를 복수 갖고 있고,
상기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긴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면 시트를 덮도록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된 한쌍의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쌍의 플랩부가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플랩부 사이에 끼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10694226.9A CN112294542B (zh) | 2019-07-30 | 2019-07-30 | 吸收性物品 |
CN201910694226.9 | 2019-07-30 | ||
PCT/JP2020/029367 WO2021020543A1 (ja) | 2019-07-30 | 2020-07-30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2134A true KR20220042134A (ko) | 2022-04-04 |
Family
ID=7423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3445A KR20220042134A (ko) | 2019-07-30 | 2020-07-30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2134A (ko) |
CN (2) | CN112294542B (ko) |
WO (1) | WO202102054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9010A (ja) | 1995-03-17 | 1997-04-15 | Kao Corp | 伸長テープ及び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4701B2 (ja) * | 1996-03-22 | 2003-12-08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020550B2 (ja) * | 1999-11-18 | 2007-12-12 | 花王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4098488B2 (ja) * | 2001-04-27 | 2008-06-11 | 大王製紙株式会社 | 紙おむつ |
WO2005060911A1 (en) * | 2003-12-10 | 2005-07-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ackaging system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
US7041091B2 (en) * | 2003-12-10 | 2006-05-0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ackag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
JP2006034872A (ja) * | 2004-07-30 | 2006-02-09 | Toyobo Co Ltd |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237231A (ja) * | 2007-03-23 | 2008-10-09 | Kao Corp | 尿取りパッド |
US20090182296A1 (en) * | 2007-08-03 | 2009-07-16 | Melissa Jean Dennis | Body Adhering Article |
WO2010101501A1 (en) * | 2009-03-06 | 2010-09-10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stiffening element and a device for disposal |
WO2010117314A1 (en) * | 2009-04-09 | 2010-10-14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ab in order to facilitate disposal |
JP2011136099A (ja) * | 2009-12-29 | 2011-07-14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個装体 |
US20110270210A1 (en) * | 2010-04-29 | 2011-11-03 | Rainho Das Neves Rosana | Disposable sanitary absorbent article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ted disposal sheet |
JP5551963B2 (ja) * | 2010-05-14 | 2014-07-16 |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 吸水性物品 |
JP6132556B2 (ja) * | 2012-03-30 | 2017-05-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EP2866763B1 (en) * | 2012-06-28 | 2017-08-02 | SCA Hygiene Products AB | Disposable belt having detachable hook and loop fastener |
JP6141008B2 (ja) * | 2012-07-19 | 2017-06-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158519B2 (ja) * | 2013-01-29 | 2017-07-05 | 大王製紙株式会社 | 個装吸収性物品 |
KR20150000568U (ko) * | 2013-07-26 | 2015-02-04 | 전호진 | 롤형태의 일회용밴드 |
JP6190861B2 (ja) * | 2015-11-09 | 2017-08-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352378B2 (ja) * | 2016-12-22 | 2018-07-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JP6857117B2 (ja) * | 2017-12-27 | 2021-04-1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857118B2 (ja) * | 2017-12-27 | 2021-04-1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2018127279A (ja) * | 2018-03-15 | 2018-08-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包装体 |
-
2019
- 2019-07-30 CN CN201910694226.9A patent/CN112294542B/zh active Active
- 2019-07-30 CN CN202310342968.1A patent/CN116492144A/zh active Pending
-
2020
- 2020-07-30 KR KR1020227003445A patent/KR20220042134A/ko unknown
- 2020-07-30 WO PCT/JP2020/029367 patent/WO20210205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9010A (ja) | 1995-03-17 | 1997-04-15 | Kao Corp | 伸長テープ及び吸収性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294542B (zh) | 2023-04-14 |
WO2021020543A1 (ja) | 2021-02-04 |
CN112294542A (zh) | 2021-02-02 |
CN116492144A (zh) | 2023-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58319B2 (en) | Absorbent product | |
EP3449883B1 (en) | Absorbent article | |
CN108883004B (zh) | 吸收性物品 | |
CN108289765B (zh) | 吸收性物品 | |
JP5800959B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20096749A (ja) | 吸収性物品 | |
JP2016007515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17209521A (ja) | 吸収性物品 | |
KR20220042134A (ko) | 흡수성 물품 | |
KR20220042362A (ko) |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 |
JP6051285B1 (ja) | 吸収性物品 | |
CN111542293B (zh) | 吸收性物品 | |
JP6132638B2 (ja) | パンツ型着用物品 | |
CN112294544B (zh) | 吸收性物品和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 |
JP7261820B2 (ja) | 吸収性物品 | |
CN218484757U (zh) | 短裤型卫生巾、短裤型卫生巾的包装体及独立包装体 | |
CN114099152B (zh) | 一次性尿布 | |
WO2019146126A1 (ja) | 吸収性物品 | |
JP7080302B1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JP6677772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WO2020130041A1 (ja) | 吸収性物品 | |
WO2020130040A1 (ja) | 吸収性物品 | |
JP7132026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20103650A (ja) | 吸収性物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