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09428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285A
KR20210094285A KR1020200007867A KR20200007867A KR20210094285A KR 20210094285 A KR20210094285 A KR 20210094285A KR 1020200007867 A KR1020200007867 A KR 1020200007867A KR 20200007867 A KR20200007867 A KR 20200007867A KR 20210094285 A KR20210094285 A KR 2021009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ump
tub
connection pip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285A/ko
Priority to CN202011576557.1A priority patent/CN113215781B/zh
Priority to US17/142,881 priority patent/US11560667B2/en
Priority to EP21151505.1A priority patent/EP3859073B1/en
Publication of KR2021009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투입구 및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인출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및 상기 저장바디에 구비된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급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구비된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펌프 제1체결부; 및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과 나란한 영역 또는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펌프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 중에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제저장부 중에는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제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세제저장부는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공급펌프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세제가 상기 공급관을 통해 터브로 공급되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세제저장부는 상기 드로워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저장부가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기 때문에, 상기 공급펌프를 상기 하우징에 견고히 고정하지 않으면 상기 공급펌프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공급펌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구조의 세제저장부는 내부에 저장된 액체세제의 양을 감지하지 못해 사용자에게 액체세제의 보충시점을 통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세제가 저장된 저장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급펌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저장바디에 저장된 액체세제의 양을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액체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수단의 세척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투입구 및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인출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및 상기 저장바디에 구비된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급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구비된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펌프 제1체결부; 및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과 나란한 영역 또는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펌프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펌프 제1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공급펌프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에 고정하고, 상기 펌프 제2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투입구 및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인출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구비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급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구비된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펌프 제1체결부; 및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과 나란한 영역 또는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펌프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후방면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1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체결돌기, 상기 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향해 돌출된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2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에서 돌출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 중 상기 연결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된 장착부; 및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장착부;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에 고정된 실린더; 상기 연결관의 내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통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내부 공간 중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하고, 액체세제를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시키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연결관 내부 공간 중 상기 연통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액체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1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 상기 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향해 돌출된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2체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펌프 제1체결부와 상기 펌프 제2체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펌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펌프 제3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제3체결부는 상기 실린더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제2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된 장착부;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하우징 바디로 배출하는 제1관통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터브 연결관; 상기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1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를 상기 하우징 바디에 연통시키는 제2관통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터브 연결관; 상기 제2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챔버바디; 상기 챔버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챔버 배출구; 상기 챔버바디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가 되면 상기 챔버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챔버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부; 상기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바디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2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세제가 저장된 저장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급펌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저장바디에 저장된 액체세제의 양을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액체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수단의 세척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저장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 상기 터브(2)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S)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11),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베이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캐비닛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31)는 전방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3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27)를 통해 상기 투입구(131)에 연결되는데, 상기 절연부(4)는 탄성체(고무 등)로 제작되어 상기 투입구(13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절연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스프링(25),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상기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베이스 패널(11)에 고정하는 댐퍼(2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드럼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 구동부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53),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53)와 드럼 바디(31)의 후방면을 연결하는 회전축(3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4)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5)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와 급수원(미도시)을 연결하는 급수관(41) 및 상기 급수관(41)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S)가 상기 터브 바디(21)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경우, 상기 급수관(41)은 상기 세제공급부(S)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의 갯수는 상기 세제공급부(S)의 구조에 따라 다수의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5)는 배수펌프(53),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배수펌프(53)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51), 상기 배수펌프(5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S)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21)에 연통하는 하우징(6), 상기 하우징(6)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7),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부(8),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는 공급펌프(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3)에는 인출구(137, 드로워 인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6)의 내부 공간은 상기 인출구(137)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7)는 상기 인출구(137)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은 상기 드로워(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하우징(6)이 상기 인출구(137)에 연통하되 상기 드로워(7)의 바닥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방면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하우징 바디(61), 및 상기 하우징 바디(6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커버(64)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61)는 전방면과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64)는 상기 하우징 바디(6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1)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배출구(611), 상기 바디 배출구(611)와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터브 연결관(61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바디(61) 내부의 물이나 세제는 상기 바디 배출구(611) 및 상기 터브 연결관(612)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커버(64)는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6)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6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 바디(641)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6)에 수용된 상기 드로워(7)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유로가 제1유로(643) 및 제2유로(64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급수부(4)에 구비된 급수관(41)은 상기 제1유로(643)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411), 및 상기 제2유로(645)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2급수관(412)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에 구비된 밸브(4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4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431), 및 상기 제2급수관(412)을 개폐하는 제2밸브(432)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드로워(7)는 상기 하우징(6)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인출구(137)를 통해 상기 하우징(6)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71), 및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73, 75, 7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71)는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챔버는 상기 드로워 바디(7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73) 및 제2챔버(75), 상기 제2챔버(7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챔버(7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73)는 상기 제1유로(643)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챔버(77)는 상기 제2유로(645)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71)의 전방면에는 패널(7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18)은 상기 인출구(137)를 폐쇄 가능한 크기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이 삽입 가능한 형상의 손잡이(71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715)에는 후방면 제1관통홀(716) 및 후방면 제2관통홀(7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 제1관통홀(716)은 상기 후방면(715)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후방면 제2관통홀(717)은 상기 후방면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 제1관통홀(716)과 후방면 제2관통홀(717)은 상기 저장부(8)에 구비된 수위감지부(87) 및 배출구(819)를 위한 공간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챔버(73)는 드로워 바디의 바닥면(수용공간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731)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643)를 통해 제1챔버(73)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1관통홀(731) 및 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1)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챔버(75)는 상기 수용공간(71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751)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챔버(77)는 상기 제2챔버(7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바디(771), 상기 챔버바디(77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챔버 배출구(772), 상기 챔버바디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가 되면 상기 챔버바디(771) 내부의 액체를 상기 챔버 배출구(772)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부(773, 7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바디(771)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펀 형성부는 상기 챔버 배출구(772)에서 상기 커버(64)를 향해 연장된 챔버 배출관(773), 사이펀 트랩(siphon tr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챔버 배출관(773)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캡(7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챔버(77) 내부의 수위가 상기 챔버 배출관(773)의 자유단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제3챔버(77) 내부의 액체(물과 세제의 혼합액)는 상기 챔버 배출구(772) 및 제2관통홀(751)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1)로 이동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7)와 상기 하우징(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 바디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7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9)는 상기 제1챔버(73) 및 상기 제3챔버(77)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4는 상기 스토퍼(79)가 상기 제2챔버(75)의 상단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791) 및 상기 하우징의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 바디(791)의 이동을 제한하는 바디 체결부(79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79)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크기의 힘(스토퍼를 변형시키는 힘) 이상의 힘으로 상기 드로워 바디(71)를 당겼을 때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캐비닛(1)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바디(791)는 상기 제2챔버(75)의 상단에 고정된 바, 상기 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바디 체결부(793)에 접촉하는 스토퍼 돌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8)는 상기 드로워 바디(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8a) 및 제2저장부(8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8a)와 제2저장부(8b)는 서로 분리된 세제 저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64)의 유로(643, 645)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챔버(73)와 제2챔버(75)로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 어떠한 형성이나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8a)와 제2저장부(8b)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저장부(8a)의 부피와 제2저장부(8b)의 부피는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저장부(8a, 8b)는 상기 드로워 바디(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8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장바디(8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저장바디(81)로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공급구(811), 및 상기 공급구(811)를 개폐하는 공급구 리드(811a)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바디(81)의 후방면에는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819), 및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배출밸브(8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819)는 상기 저장바디(81)가 상기 드로워 바디(71)에 삽입된 때 상기 후방면 제2관통홀(717)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배출밸브(82)는 상기 공급펌프(9)의 연결관(96)에 의해 상기 배출구(819)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의 후방면에는 상기 공급펌프의 연결관(96)이 삽입되는 체결부(819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819a)는 상기 저장바디의 후방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819) 및 상기 배출밸브(82)는 상기 체결부(819a)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82)는 상기 배출구(819)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위치하는 제1밸브바디(821), 상기 체결부(819a) 내부에 위치하는 제2밸브바디(823), 상기 제2밸브바디(8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밸브바디 관통홀(825), 상기 배출구(819)에 삽입되어 상기 두 밸브바디(821, 823)을 연결하는 연결바(826), 상기 체결부(819a)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밸브바디(821)가 상기 배출구(819)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스프링(82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액체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저장바디(81)의 바닥면은 상기 공급구(811)에서 상기 배출구(819)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저장바디(81)에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드로워 바디(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8)에는 수위감지부(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부(84)는 일단은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제1전극(843) 및 제2전극(84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843)과 상기 제2전극(845)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은 고정부(841)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1)의 후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41)에는 도체로 구비된 제1연결단자(841a) 및 제2연결단자(841b)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전극(843)은 상기 제1연결단자(841a)에 연결됨으로써 일단이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전극(845)은 상기 제2연결단자(841b)에 연결됨으로써 일단이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저장바디(81)가 상기 드로워 바디(71)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841)는 상기 후방면 제1관통홀(7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드로워 바디(71)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바디(81)가 상기 드로워 바디(71)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제1연결단자(841a) 및 제2연결단자(841b)는 상기 드로워 바디(71)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은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된 전극 체결부(613)를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 전극 체결부(613)에는 상기 제1연결단자(841a)에 결합하는 제1단자(613a), 및 상기 제2연결단자(841b)에 결합하는 제2단자(613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하우징(6)에 삽입되면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은 상기 단자들(841a, 841b, 613a, 614b)을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하우징(6)에서 인출되면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은 전원에서 분리된다.
상기 저장바디(71) 내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843)의 자유단 및 제2전극(845)의 자유단이 액체세제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843)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전류는 액체세제를 통해 상기 제2전극(845)로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제2전극으로 전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저장바디(71) 내부에 액체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843)의 자유단과 상기 제2전극(845)의 자유단이 상기 배출구(819)의 최고점과 상기 체결부(819a)의 최고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수위가 상기 배출구(819)의 최하점보다 낮아지면,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액체세제는 상기 배출구(819)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두 전극(843, 845)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된다면, 제어부는 상기 저장바디(81)에 액체세제를 보충해야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캐비닛에는 알림부(디스플레이, 스피커 등)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액체세제의 보충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 및 알림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액체세제의 보충시점 판단, 및 액체세제의 보충을 사용자에게 요청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저장바디(81)에 저장된 액체세제는 물보다 점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1전극(843)의 표면과 제2전극(845)의 표면에는 액체세제, 또는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전극(843, 845)의 표면에 액체세제나 이물질이 잔류하게 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전극(843, 845)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바디(81)에는 세척홀(812a) 및 상기 세척홀을 개폐하는 리드(8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홀(812a)은 상기 저장바디(71)의 외부에서 상기 제1전극(843)과 상기 제2전극(845)을 확인 가능한 한 상기 저장바디(71)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전극 체결부(613)가 상기 하우징 바디(6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의 후방면(715)을 향하는 일면(하우징 바디의 후방면)에 구비된 경우,상기 세척홀(812a)의 위치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전극 체결부(613)가 상기 하우징 바디(61)의 후방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세척홀(812a)은 상기 저장바디(81)의 상부면 중 상기 스토퍼(79)와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715)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극의 청소를 위해 상기 드로워(7)를 캐비닛(1)에서 분리하지 않는 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드(813)의 분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바디(71)의 상부면에는 상기 리드(81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리드 수용홈(8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수용홈(812)은 상기 저장바디(81)의 상부면이 상기 저장바디(81)의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813)가 상기 저장바디(71)의 상부면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저장바디(71)의 상부면과 상기 커버(84)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단점(하우징의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리드 수용홈(812)은 이와 같은 단점을 최소화 가능한 수단(하우징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리드(813)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813)는 상기 세척홀(812a)을 폐쇄하는 리드 바디(814), 및 상기 리드 바디(814)를 상기 저장바디(8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81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 바디(814)의 두께는 상기 리드 수용홈(812)의 깊이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회전축(818)은 상기 저장바디(8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리드 수용홈(812)에 위치하는 축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813)는 상기 리드 바디(814)에서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척홀(812a)에 삽입되는 삽입관(816), 및 상기 삽입관(816)을 상기 세척홀(812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삽입관 돌기(8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돌기(817)는 상기 삽입관(816)의 원주면 중 상기 리드 바디(814)가 상기 세척홀(812a)을 폐쇄한 때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818)의 원주면에는 축 돌기(818a)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축돌기(818a)는 상기 회전축(818)의 원주면 중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 돌기(818a)는 회전축(818)의 원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축 돌기(818a)의 지름은 상기 축 관통홀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세척홀(812a)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바디(814)를 회전시키거나, 및 상기 회전축(818)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리드 바디(814)를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리드 바디(814)의 원주면 가장자리에는 리드 핸들(8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핸들(815)은 상기 리드 바디(814)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리드 핸들(815)의 두께는 상기 리드 바디(814)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핸들(815)의 두께가 리드 핸들의 자유단을 향할수록 얇아지게 설정되면, 상기 리드 핸들(815)과 리드 수용홈(812) 사이의 간격이 리드 핸들의 자유단을 향할수록 넓어져 사용자가 상기 리드 핸들(815)을 보다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홀(812a)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의 세척이 필요하면, 사용자는 상기 세척홀(812a)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바디(814)를 들어올린 뒤, 상기 회전축(818)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리드 바디(81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홀(812a)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상기 리드 바디(814)는 상기 회전축(818)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8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리브 바디(814)를 분실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세척홀(812a)가 개방되면, 상기 제1전극(843)과 제2전극(845)은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에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극들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펌프(9)는 상기 하우징 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하우징(6)으로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819)에 연결되는 연결관(95), 상기 연결관(95)과 상기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공급관(91), 및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관(91)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96, 97, 9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95)은 상기 하우징 바디(6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관통홀(617)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체결부(819a)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관(91)에 연결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95)에 고정된 실린더(96), 상기 실린더(96)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피스톤(97), 및 상기 피스톤(97)이 상기 실린더(96) 내부를 왕복하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9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96)는 연통홀(961)을 통해 상기 연결관(95) 내부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99)는 상기 연결관(96)과 상기 실린더(9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케이스(99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설치공간에 구비된 기어(993, 994, 995),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996), 상기 기어와 상기 피스톤(97)을 연결하는 링크(99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피스톤(97)의 왕복주기에 따라 다양한 갯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기어가 상기 링크(997)를 통해 상기 피스톤(97)에 연결된 제1기어(993), 상기 모터(996)에 의해 회전하는 제2기어(995), 및 상기 제2기어의 동력을 상기 제1기어에 전달하는 연결기어(994)로 구비된 경우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링크(997)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9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97)의 타단은 상기 제1기어(9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93)의 회전운동은 상기 링크(997)에 의해 상기 피스톤(97)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송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관에는 제1체크밸브(951) 및 제2체크밸브(95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951)는 상기 연결관(95)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배출구(819)와 상기 연통홀(961) 사이에 위치하며, 액체세제를 상기 연결관(95)으로 유입시키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953)는 상기 연결관 내부 공간 중 상기 연통홀(961)과 상기 공급관(9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95) 내부의 액체세제를 상기 공급관(91)으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71)가 상기 하우징(6)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관(95)은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 제2관통홀(717)을 거쳐 상기 체결부(819a)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관(95)이 상기 체결부(819a)에 삽입되면, 상기 제1밸브바디(821)는 상기 배출구(819)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819)가 개방되면, 상기 저장바디(71) 내부의 액체세제는 상기 배출구(819) 및 상기 제2밸브바디(823)에 구비된 밸브바디 관통홀(825)을 거쳐 상기 연결관(9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97)이 상기 연통홀(9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체크밸브(951)는 상기 연통홀(961)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관(95)을 개방하지만 상기 제2체크밸브(953)는 상기 연결관(95)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819)에서 배출된 액체세제는 상기 제1체크밸브(951)와 제2체크밸브(953) 사이의 공간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후 상기 피스톤(97)이 상기 연통홀(961)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체크밸브(951)는 상기 연통홀(96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체크밸브(953)는 상기 연결관(9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체크밸브(951)와 제2체크밸브(953) 사이에 존재하는 액체세제는 상기 공급관(91)을 통해 터브 바디(21)로 이동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97)의 1회 왕복으로 터브 바디(21)에 공급되는 액체세제의 양은 일정하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횟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터브 바디(21)에 공급되는 액체세제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9)는 펌프 제1체결부(92) 및 펌프 제2체결부(94)를 통해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의 세제공급부(S)는 상기 공급펌프(9)의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에 때문에, 상기 공급펌프(9)를 상기 하우징(6)에 견고히 고정하지 않으면 상기 공급펌프(9)가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공급펌프(9)를 하우징(6)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펌프 제1체결부(92)는 상기 공급펌프(9)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연결관(95)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64)에 고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펌프 제2체결부(94)는 상기 공급펌프(9)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연결관(95)과 나란한 영역 또는 상기 연결관(95)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펌프 제1체결부(92)는 상기 공급펌프(9)의 영역 중 상기 공급펌프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H1)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64)에 고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펌프 제2체결부(94)는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수평선(H1)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 제1체결부(92)는 상기 공급펌프(9)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체결돌기(923), 상기 커버(64)에서 상기 체결돌기(923)를 향해 돌출된 커버 브라켓(921), 및 상기 커버 브라켓(921)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92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9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부(922)는 상기 커버 브라켓(9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구멍, 또는 상기 커버 브라켓(921)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펌프 제1체결부(92)는 상기 커버(64)에 구비된 체결돌기, 상기 공급펌프(9)의 상부면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향해 돌출된 펌프 브라켓, 및 상기 펌프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 제2체결부(94)는 상기 공급펌프(9)에서 돌출된 브라켓(941, 제1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941)을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하는 볼트(942, 제1볼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펌프 제1체결부(92)와 펌프 제2체결부(94) 사이에는 상기 공급펌프(9)를 상기 하우징(6)에 고정하는 펌프 제3체결부(943, 9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3체결부는 상기 실린더(96)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브라켓(943,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943)을 상기 커버(64)나 하우징 바디(61)에 고정하는 볼트(944, 제2볼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펌프(9)와 상기 하우징(6)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연결관(95)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61)에 고정된 장착부(615), 및 상기 연결관(95)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95)과 상기 장착부(615)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9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지지부(957)는 상기 연결관(9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2)의 하부 영역에 구비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장착부(615)는 상기 연결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2)의 하부 영역만을 감싸는 아크(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31: 투입구
135: 도어 137: 인출구 2: 터브
3: 드럼 4: 급수부 41: 급수관
411: 제1급수관 412: 제2급수관 431: 제1밸브
432: 제2밸브 5: 배수부 S: 세제공급부
6: 하우징 61: 하우징 바디 611: 바디 배출구
612: 터브 연결관 613: 전극 체결부 613a: 제1단자
613b: 제2단자 615: 장작부 617: 하우징 관통홀
64: 커버 641: 커버 바디 643: 제1유로
645: 제2유로 7: 드로워 71: 드로워 바디
711: 수용공간 715: 후방면 716: 후방면 제1관통홀
717: 후방면 제2관통홀 718: 패널 719: 손잡이
73: 제1챔버 731: 제1관통홀 75: 제2챔버
751: 제2관통홀 77: 제3챔버 771: 챔버바디
772: 챔버 배출구 773: 챔버 배출관 775: 캡
8: 저장부 8a: 제1저장부 8b: 제2저장부
81: 저장바디 811: 공급구 811a: 공급구 리드
812: 리드 수용홈 812a: 세척홀 813: 리드
814: 리드 바디 815: 리드 핸들 816: 삽입관
817: 삽입관 돌기 818: 회전축 818a: 축 돌기
819: 배출구 819a: 체결부 82: 배출밸브
84: 수위감지부 841: 고정부 841a: 제1연결단자
841b: 제2연결단자 843: 제1전극 845: 제2전극
9: 공급펌프 91: 공급관 92: 펌프 제1체결부
94: 펌프 제2체결부 95: 연결관 951: 제1체크밸브
953: 제2체크밸브 957: 연결관 지지부 96: 실린더
961: 연통홀 97: 피스톤 99: 구동부
991: 케이스 992: 체결돌기 993: 제1기어
997: 링 994: 연결기어 995: 제2기어
996: 모터

Claims (12)

  1. 투입구 및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인출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구비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가 구비된 저장부;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급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구비된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커버에 고정하는 펌프 제1체결부; 및
    상기 공급펌프의 영역 중 상기 연결관과 나란한 영역 또는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펌프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1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체결돌기, 상기 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향해 돌출된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2체결부는 상기 공급펌프에서 돌출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 중 상기 연결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된 장착부; 및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에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장착부;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에 고정된 실린더; 상기 연결관의 내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통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내부 공간 중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하고, 액체세제를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시키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연결관 내부 공간 중 상기 연통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액체세제를 상기 공급관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1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 상기 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향해 돌출된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2체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1체결부와 상기 펌프 제2체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펌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펌프 제3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제3체결부는 상기 실린더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하는 제2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된 장착부;
    상기 연결관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장착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하우징 바디로 배출하는 제1관통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터브 연결관;
    상기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1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를 상기 하우징 바디에 연통시키는 제2관통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터브 연결관;
    상기 제2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챔버바디;
    상기 챔버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챔버 배출구;
    상기 챔버바디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가 되면 상기 챔버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챔버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부;
    상기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바디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2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07867A 2020-01-21 2020-01-21 의류처리장치 KR20210094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67A KR20210094285A (ko) 2020-01-21 2020-01-21 의류처리장치
CN202011576557.1A CN113215781B (zh) 2020-01-21 2020-12-28 衣物处理装置
US17/142,881 US11560667B2 (en) 2020-01-21 2021-01-06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1151505.1A EP3859073B1 (en) 2020-01-21 2021-01-1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67A KR20210094285A (ko) 2020-01-21 2020-01-2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85A true KR20210094285A (ko) 2021-07-29

Family

ID=7418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67A KR20210094285A (ko) 2020-01-21 2020-01-2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60667B2 (ko)
EP (1) EP3859073B1 (ko)
KR (1) KR20210094285A (ko)
CN (1) CN1132157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995A1 (zh) * 2021-09-03 2023-03-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柔性连接结构、分配器、过滤器、和洗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6441B2 (en) * 2008-07-01 2012-06-12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US8813526B2 (en) * 2008-07-01 2014-08-26 Whirlpool Corporation Water flow paths in a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single use and bulk dispensing
EP3460120B1 (en) * 2009-05-11 2023-07-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appliance
EP2251480B1 (en) * 2009-05-11 2017-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appliance
KR20110082761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액체세제용 펌프장치
KR20120043214A (ko) * 2010-10-26 201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3094203A (ja) * 2011-10-28 2013-05-20 Panasonic Corp 洗濯機
KR20130131653A (ko) * 2012-05-24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세탁기
KR101992137B1 (ko) 2012-11-26 201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체감지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CN103276564B (zh) * 2013-07-01 2015-06-03 惠而浦(中国)投资有限公司 洗衣机用自动投放洗涤剂系统
KR101343712B1 (ko) * 2013-07-16 2013-12-20 김학열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통
ITTO20130693A1 (it) * 2013-08-14 2015-02-15 Elbi Int Spa Struttura di cassetto per l'erogazione dosata di almeno un agente di lavaggio in una macchina lavatrice, in particolare una macchina lavabiancheria.
KR102210011B1 (ko) * 2013-09-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4478B1 (ko) * 2013-10-30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114270B1 (en) * 2014-03-04 2020-04-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104894813B (zh) 2015-05-28 2017-06-3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用溶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102471915B1 (ko) * 2016-01-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펌프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
EP3647136B1 (en) 2017-06-26 2021-08-11 Nissan Motor Co., Ltd. Vehicle traveling assistance method and vehicle traveling assistance device
CN107385799A (zh) * 2017-08-21 2017-11-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剂投放装置及洗衣机
EP3692200B1 (en) * 2017-10-05 2023-06-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995A1 (zh) * 2021-09-03 2023-03-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柔性连接结构、分配器、过滤器、和洗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9073B1 (en) 2022-05-25
EP3859073A1 (en) 2021-08-04
US11560667B2 (en) 2023-01-24
CN113215781B (zh) 2022-12-13
CN113215781A (zh) 2021-08-06
US20210222344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512289B1 (ko) 의류처리장치
EP1386996A1 (en) Washing machine
KR20130131653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세탁기
CN111809351B (zh) 洗衣机
KR10262974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42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71704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20230228026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202100942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131809A (ko)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565746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세탁기
RU2470100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фронтальной загрузкой
KR102351658B1 (ko) 세탁기
CN111636177A (zh) 衣物处理装置
JP7405658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502791A (zh)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CN111809352A (zh) 洗衣机
JP7320740B2 (ja) 洗濯機
JP7209311B1 (ja) 洗濯機
CN112301674A (zh) 衣物处理装置
KR10231854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66773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894882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