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39A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4739A KR20210094739A KR1020200008307A KR20200008307A KR20210094739A KR 20210094739 A KR20210094739 A KR 20210094739A KR 1020200008307 A KR1020200008307 A KR 1020200008307A KR 20200008307 A KR20200008307 A KR 20200008307A KR 20210094739 A KR20210094739 A KR 20210094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rise building
- unit
- suppression device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장소로 안내유닛을 통해 신속하게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화유닛이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장소로 안내유닛을 통해 신속하게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화유닛이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로 증가하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현대와, 첨단화 및 실용화가 절실하고, 화재 현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소율은 방수 개시 시간이 짧은 만큼 연소율이 낮아지며 따라서 빠른 방수개시가 연소저지의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062677호(2011.09.06. 공고)의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리프트를 설치하여 고가사다리차가 근접하기 어려운 곳에 소방수를 분사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리프트를 설치하고 소화유닛을 통해 소방수를 분사하는 단순한 방식으로는 화재 현장에 근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방화문이나 창문 같은 장애물 안쪽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진압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상에 설치되어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자동권취기; 상기 옥상의 가장자리에 건물 형상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좌우이동유닛과, 상기 좌우이동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권취기에 권취된 소방호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상하이동유닛으로 구성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소방호스에 결합되어져 소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되, 방화문이나 유리를 파손하면서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유닛은, 상부에는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선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서 몸체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방화문과 같은 장애물을 뚫기 위한 칼날; 및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분사관과 축 결합되고, 회전날개와 축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과 회전날개를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금속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분사관이 회전될 때 안정적인 천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유리를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파손수단은 상기 몸체 하면에 구비되는 내부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측면에는 슬롯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 내부에 구비되며 후면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지지관의 슬롯을 통해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타격봉; 및 상기 지지관 하면에서 상기 타격봉의 지지부를 후방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화유닛이 방화문이나 창문까지 근접할 때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에는 복도식 건물의 경우 복도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유닛에는 윈치에 권취된 사다리가 구비되어서 소방관이 사다리를 타고 직접 소화유닛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유닛의 일측에는 화재 현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고, 카메라는 유/무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장소로 안내유닛을 통해 신속하게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화유닛이 방화문이나 창문을 파손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닛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좌우이동유닛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다"는 안내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며, "다"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닛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좌우이동유닛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다"는 안내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며, "다"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100)는 크게 자동권취기(200), 레일(300), 안내유닛(400) 및 소화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자동권취기(200)는 옥상에 설치되며,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호스(210)를 자동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300)은 건물 옥상의 가장자리에 건물 형상을 따라 설치되어지며, 이의 상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유닛(400)은 상기 레일(300)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좌우이동유닛(410) 및 상기 좌우이동유닛(410)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권취기(200)에 권취된 소방호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상하이동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안내유닛(400)은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소화유닛(500)은 상기 안내유닛(400)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소방호스(210)에 결합되어져 소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되, 방화문이나 유리를 파손하면서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이 또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레일(300)은 내부에는 일측면으로 절개된 레일공(310)이 형성되고, 상부 양 측에는 레일홈(32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기어부(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300)은 "나"에서 도시하고 있듯이 건물 옥상 형태를 따라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닛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좌우이동유닛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다"는 안내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안내유닛(400)은 크게 좌우이동유닛(410) 및 상하이동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이동유닛(410)은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에는 전술한 레일(300)의 레일홈(320)에 끼움되는 레일돌기(414)가 형성된 이동체(412) 및 상기 이동체(412) 내부에는 상기 레일(300)의 상면에 형성된 기어부(330)에 맞물리는 소기어(418)가 구비됨과 동시에 소기어(418)와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시킬 제1모터(4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듯 상기 소기어(418)가 레일(300)의 기어부(330)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1모터(416)가 회전되면 이동체(412)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유닛(4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지지롤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지지롤러(430)는 상기 레일(300)에 형성된 레일공(310)에 결합되는 롤러(432) 및 상기 롤러(432)에 지지된 채 외부로 인출되는 지지대(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434)에는 소방호스(210)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4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유닛(420)은 상기 좌우이동유닛(410), 바람직하게는 이동체(41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모터(422)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구동롤러(424) 및 상기 구동롤러(424)에 근접한 채 구비되는 밀착롤러(4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자동권취기(200)에 권취된 소방호스(210)는 상기 상하이동유닛(420)의 구동롤러(424)와 밀착롤러(426) 사이를 지나, 지지대(434)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430)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방호스(210)를 통해 이동체(412)와 가이드롤러(436)가 구비된 지지대(434)가 연결된 타입을 가져, 상기 이동체(412)가 레일(300)을 따라 이동될 때 소방호스(210)는 물론이고 가이드롤러(436) 또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유닛(420)의 구동롤러(424)의 회전 작동과 자동권취기(200)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소방호스(210)는 인출되거나 반대로 권취됨은 당연하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며, "다"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유닛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소화유닛(500)은 크게 몸체(510), 분사관(520), 칼날(530) 및 회전모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510)는 상부에 소방호스(210)가 연결되는 연결부(5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방호스(210)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514)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관(520)은 상기 몸체(51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선단부는 상기 몸체(5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서 몸체(510)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몸체(510)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칼날(530)은 상기 분사관(520)의 선단부에 부착되어서 방화문과 같은 장애물을 관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540)는 상기 몸체(510)의 후방에서 상기 분사관(520)과 축 결합되고, 회전날개(550)와 축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520)과 회전날개(550)를 회전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510)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자석(560), 바람직하게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510)의 하면에는 유리를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수단(5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파손수단(570)은 상기 몸체(510) 하면에 구비되는 내부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측면에는 슬롯(574)이 형성된 지지관(57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572) 내부에 구비되며 후면은 탄성스프링(578)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지지관(572)의 슬롯(574)을 통해 돌출되는 지지부(579)가 구비된 타격봉(576) 및 상기 지지관(572) 하면에서 상기 타격봉(576)의 지지부(579)를 후방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모터(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미도시하고 있으나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서 화재 현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메라의 제어는 유/무선을 활용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몸체(510)의 연결부(512)에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소방호스(210)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몸체(510)의 후방에 구비된 회전모터(540)가 회전되어 회전날개(550)를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510)는 전측에 구비된 장애물(600)에 다가가게 되고, 곧 분사관(520)의 전방에 부착된 칼날(530)이 장애물에 닿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모터(540)가 분사관(5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칼날(530)이 장애물(600)을 "나"와 같이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연결부(512)를 통해 몸체(510)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는 분사관(52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510)의 하부에 구비된 파손수단(570)의 타격봉(576)은 탄성스프링(578)의 수축으로 인해 지지관(572)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의 칼날(530)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장애물(600)이 방화문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칼날(530)의 회전 작동으로 파손이 가능하나, 창문과 같은 유리라면, "가"의 상태에서 칼날(530)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파손수단(570)의 밀착모터(580)가 회전되어 타격봉(576)에 구비된 지지부(57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타격봉(576)이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탄성스프링(578)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유리를 타격하여 파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화재 진압 현장에 있는 장애물(600)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옥상에 설치된 자동권취기(200)에 권취된 소방호스(210)는 안내유닛(400)의 상하이동유닛(420)과 지지롤러(4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소화유닛(500)의 몸체(510)에 구비된 연결부(512)에 연결되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안내유닛(400)의 좌우이동유닛(410)이 레일(3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소화유닛(500)은 그 방향을 따라 이동됨은 당연하고, 상기 상하이동유닛(420)의 회전 작동과 자동권취기(200)의 작동에 의해 소방호스(210)가 인출되거나 인입 작동되므로 소화유닛(500)의 높낮이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이동 작동을 통해,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관 혹은 작업자는 소화유닛(500)의 위치를 제어하여 화재 발생 장소로 이동시키고, 소화유닛(500)의 작동을 통해 화재 현장에 구비되는 장애물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의 소방호스(210) 권취 작동 혹은 안내유닛(400)의 이동 작동 혹은 소화유닛(500)의 작동은 유/무선을 통해 각각 제어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가이드레일(700)은 상면에 기어(710)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레일홈부(712)가 마련되며, 전방 측면에는 걸림쇠(7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일홈부(712)에 끼움 장착되며, 소화유닛(5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레일돌기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돌기부(720)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710)에 맞물리는 소기어(732)를 구비한 작동모터(7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소화유닛(500)이 상기 작동모터(730)가 회전 작동되면 상기 가이드레일(700)을 따라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도식 아파트의 경우 난간벽에 가이드레일(700)의 걸림쇠(740)가 걸리고 그 다음 상기 소화유닛(500)이 전방으로 이동된 후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소화유닛(5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는 전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안내유닛(400)에 설치되는 윈치에 사다리(80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 소화유닛(500)의 위치에 맞게 사다리(800)를 풀어줘 소방관이나 작업자가 사다리(800)를 타고 내려와 소화유닛(500)을 직접 조정하면서 화재를 진압하도록 제안된 것이다. 이때 상기 사다리(800)의 끝단에는 소방관이 착석하거나 탑승할 수 있는 거치대(810)가 마련되어서 안전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사다리는 화재 진압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지역에서 인명을 탈출시킬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200 : 자동권취기
210 : 소방호스 300 : 레일
310 : 레일공 320 : 레일홈
330 : 기어부 400 : 안내유닛
410 : 좌우이동유닛 412 : 이동체
414 : 레일돌기 416 : 제1모터
418 : 소기어 420 : 상하이동유닛
422 : 제2모터 424 : 구동롤러
426 : 밀착롤러 430 : 지지롤러
432 : 롤러 434 : 지지대
436 : 가이드롤러 500 : 소화유닛
510 : 몸체 512 : 연결부
514 : 저장공간 520 : 분사관
530 : 칼날 540 : 회전모터
550 : 회전날개 560 : 자석
570 : 파손수단 572 : 지지관
574 : 슬롯 576 : 타격봉
578 : 탄성스프링 579 : 지지부
580 : 밀착모터 600 : 장애물
700 : 가이드레일 710 : 기어부
712 : 레일홈부 720 : 레일돌기부
730 : 작동모터 732 : 소기어
800 : 사다리 810 : 거치대
210 : 소방호스 300 : 레일
310 : 레일공 320 : 레일홈
330 : 기어부 400 : 안내유닛
410 : 좌우이동유닛 412 : 이동체
414 : 레일돌기 416 : 제1모터
418 : 소기어 420 : 상하이동유닛
422 : 제2모터 424 : 구동롤러
426 : 밀착롤러 430 : 지지롤러
432 : 롤러 434 : 지지대
436 : 가이드롤러 500 : 소화유닛
510 : 몸체 512 : 연결부
514 : 저장공간 520 : 분사관
530 : 칼날 540 : 회전모터
550 : 회전날개 560 : 자석
570 : 파손수단 572 : 지지관
574 : 슬롯 576 : 타격봉
578 : 탄성스프링 579 : 지지부
580 : 밀착모터 600 : 장애물
700 : 가이드레일 710 : 기어부
712 : 레일홈부 720 : 레일돌기부
730 : 작동모터 732 : 소기어
800 : 사다리 810 : 거치대
Claims (7)
- 옥상에 설치되어 소방호스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자동권취기;
상기 옥상의 가장자리에 건물 형상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좌우이동유닛과, 상기 좌우이동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권취기에 권취된 소방호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상하이동유닛으로 구성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소방호스에 결합되어져 소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되, 방화문이나 유리를 파손하면서 화재 발생 장소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부에는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선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서 몸체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방화문과 같은 장애물을 뚫기 위한 칼날; 및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분사관과 축 결합되고, 회전날개와 축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과 회전날개를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금속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분사관이 회전될 때 안정적인 천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유리를 파손시키기 위한 파손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파손수단은 상기 몸체 하면에 구비되는 내부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측면에는 슬롯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 내부에 구비되며 후면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지지관의 슬롯을 통해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타격봉; 및
상기 지지관 하면에서 상기 타격봉의 지지부를 후방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유닛이 방화문이나 창문까지 근접할 때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에는 복도식 건물의 경우 복도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에는 윈치에 권취된 사다리가 구비되어서 소방관이 사다리를 타고 직접 소화유닛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의 일측에는 화재 현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고, 카메라는 유/무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307A KR102428006B1 (ko) | 2020-01-22 | 2020-01-22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307A KR102428006B1 (ko) | 2020-01-22 | 2020-01-22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4739A true KR20210094739A (ko) | 2021-07-30 |
KR102428006B1 KR102428006B1 (ko) | 2022-08-02 |
Family
ID=7714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8307A KR102428006B1 (ko) | 2020-01-22 | 2020-01-22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800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1378A (ko) * | 2010-07-29 | 2012-02-08 | 김유찬 |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
KR20120006410U (ko) * | 2011-03-08 | 2012-09-18 | 손성태 | 와이어 릴 사다리 |
KR20140133378A (ko) * | 2013-05-10 | 2014-11-19 | 윤승환 |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
KR102031240B1 (ko) * | 2018-01-26 | 2019-10-11 | 주식회사 에버다임 |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
-
2020
- 2020-01-22 KR KR1020200008307A patent/KR102428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1378A (ko) * | 2010-07-29 | 2012-02-08 | 김유찬 |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
KR20120006410U (ko) * | 2011-03-08 | 2012-09-18 | 손성태 | 와이어 릴 사다리 |
KR20140133378A (ko) * | 2013-05-10 | 2014-11-19 | 윤승환 |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
KR102031240B1 (ko) * | 2018-01-26 | 2019-10-11 | 주식회사 에버다임 |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8006B1 (ko) | 2022-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002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
KR101396495B1 (ko) | 연무 차단 장치 | |
KR100841211B1 (ko) |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 |
US20100163339A1 (en) |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 |
KR101982659B1 (ko) |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 |
KR101112611B1 (ko) | 고층소화설비장치 | |
KR20130123224A (ko) |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 |
KR101759723B1 (ko) |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 |
KR102377220B1 (ko) |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 |
KR102380406B1 (ko) |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 |
KR20190131296A (ko) |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 |
KR102346594B1 (ko) |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 |
KR20210026553A (ko) | 원격소화와 인명구조가 가능한 소방장치 | |
KR102428006B1 (ko) | 고층건물 화재진압 장치 | |
KR100522151B1 (ko) | 비상 탈출장치 | |
KR101279525B1 (ko) |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 |
KR20180127091A (ko) |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 |
KR101771711B1 (ko)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 |
KR102265938B1 (ko) | 곤돌라형 소화시스템 | |
KR102082567B1 (ko) |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 |
JP2007505799A (ja) | 高層ビルでの消火活動、救助および建設のための機材 | |
KR20060061579A (ko) | 화재 진압용 소방 로봇 | |
US4569418A (en) | Fire escape and extinction system | |
KR101685524B1 (ko) |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 |
KR20110096461A (ko) | 타격겸용 소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