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978A - Optica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9978A KR20210039978A KR1020207011185A KR20207011185A KR20210039978A KR 20210039978 A KR20210039978 A KR 20210039978A KR 1020207011185 A KR1020207011185 A KR 1020207011185A KR 20207011185 A KR20207011185 A KR 20207011185A KR 20210039978 A KR20210039978 A KR 202100399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ease layer
- optical film
- film
- fine particles
- polariz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H01L27/323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광학 필름(1)은 투명 필름 기재(11)의 표면에 이활층(15)을 구비한다. 이활층(15)은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를 함유한다. 이활층(15)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은 5∼75ppm이다. 바인더 수지 또는 그 전구 물질, 미립자, 알칼리 성분 및 용매를 함유하는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가열함으로써 이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film 1 includes a release layer 15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11. The release layer 15 contains a binder resin and fine particles. The content of the alkali component of the release layer 15 is 5 to 75 ppm. A releas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binder resin or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containing a precursor thereof, fine particles, an alkali component, and a solvent on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and heating it. The optical film can be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 필름 기재의 표면에 이활(易滑)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표면에 이활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including an easy-to-use layer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to which an optical film having a release layer is bonded on a surface of a polariz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모바일 기기, 카 네비게이션 장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표시 원리로부터 액정 셀의 시인측 표면에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이 금속 전극(음극)에 의해 반사되어서 경면과 같이 시인되는 것을 억지하기 위해서, 시인측 표면에 원평광판(전형적으로는, 편광판과 1/4 파장판의 적층체)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As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car navigation devices, personal computer monitors, and televisions, liquid crystal displays and organic EL displays are widely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the surface on the viewing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based on its display principle. In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cell. In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ypically a laminate of a polarizing plate and a 1/4 wavelength plate) is disposed on the surface on the viewing side to prevent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by the metal electrode (cathode) and being visually recognized like a mirror surface. There are cases.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한 투명 필름(편광자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키고, 연신 등에 의해 분자를 배향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A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 polarizer or the like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s a polarizer, one in which iodine is adsorbed on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film and molecules are oriented by stretching or the like is widely used.
편광자의 표면에 접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투습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은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에서도 광학 특성의 변화가 작고, 내구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아크릴계 필름의 표면에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이활층을 설치함으로써,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할 때의 블록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서는, 아크릴계 필름의 표면에 1∼7중량%의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는 평균 두께 400nm(두께 범위 300∼500nm)의 우레탄 수지층을 설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onded to the surface of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to which a low moisture permeable film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acrylic, polyester, polycarbonate, or cyclic polyolefin is bonded has a small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even when exposed to a 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It tends to be excellent in durability.
화상 표시 장치의 대형화나 고휘도화가 진행되는 중,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편광판에는 보다 가혹한 환경(예를 들면, 보다 고온, 고습도의 조건)에서도 광학 특성의 변화가 작은 것이 요구되도록 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은 고습도 환경에 장시간 폭로되면, 줄무늬 형상의 얼룩 등의 광학적인 결점이 생겨서, 표시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새롭게 판명되었다. 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size and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constitu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have a small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even in a harsher environment (eg, conditions of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humidity). When the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closed in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블록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에서도, 광학적인 결점이 생기기 어려운 광학 필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m in which blocking is unlikely to occur and optical defects are unlikely to occur even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미립자의 분산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해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첨가되는 암모니아나 아민 등의 알칼리 성분이 이활층 중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가습 환경에서의 내구성 저하의 한 원인이며, 이활층 중의 잔존 알칼리량을 소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have studied tha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fine particles, it is found that alkali components such as ammonia and amine added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remain in the release layer in a humidified environment. It is one cause of the decrease in durability,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the leased layer into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은 투명 필름 기재의 표면에 이활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활층은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를 함유한다. 미립자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은, 예를 들면 10∼250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100nm이다. 이활층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은 5∼75ppm이 바람직하다. 이활층의 두께는 40∼280nm가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including a release layer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he lubricating layer contains a binder resin and fine particles. The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for example, 10 to 250 nm, and preferably 10 to 100 nm. The content of the alkali component in the lubricating layer is preferably 5 to 75 ppm. The thickness of the lubricating layer is preferably 40 to 280 nm.
투명 필름 기재로서는 아크릴계 필름 등이 사용된다. 이활층의 바인더 수지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활층 중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50중량%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이다. 이활층의 미립자는 투명 필름 기재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As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an acrylic film or the like is used. Urethane-based resins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binder resin for the lubricating layer. The content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active layer is preferably about 3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50% by weight. The fine particles of the lubricating layer may be embedded in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투명 필름 기재의 표면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함으로써, 이활층이 형성된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또는 그 전구 물질, 미립자, 알칼리 성분 및 용매를 함유한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알칼리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미립자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알칼리 성분은 바인더 수지(전구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한 알칼리 성분의 휘발을 촉진하는 관점에서, 알칼리 성분의 비점은 1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알칼리 성분으로서는 아민이나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A releas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nd he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ctive layer contains a binder resin or a precursor thereof, fine particles, an alkali component, and a solvent. Whe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contains an alkali component, the dispersibility of fine particles is improved, and an optical film excellent in sliding properties is obtained. In addition, the alkali component can also act as a catalyst for accelerating the reaction of the binder resin (precursor). From the viewpoint of accelerating the volatilization of the alkali component by heating, the boiling point of the alkali component is preferably 150°C or less. An amine, ammonia, etc. are mentioned as an alkali component.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후의 가열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알칼리 성분의 휘발을 촉진하여, 잔존 알칼리 성분이 적은 이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해도 좋다. 가열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이활층의 미립자가 투명 필름 기재에 매설된 영역이 형성되기 쉬워서 투명 필름 기재와 이활층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B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afte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lubricating layer, the volatilization of the alkali component can be promoted, and an lubricating layer with few remaining alkali components can be formed. For example, you may heat the composition for releasing layer formation at a temperature 10°C or mo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B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a region in which fine particles of the release layer are embedded in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is liable to be formed, and thus the adhesion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and the release layer tends to be improved.
투명 필름 기재 상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투명 필름 기재를 가열하면서 연신을 행해도 좋다. 특히, 투명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하면서 투명 필름 기재를 연신함으로써, 투명 필름 기재와 이활층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hile heating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In particular, by stretching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while he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release lay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by 10° C., the adhesion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and the release layer tends to be improved.
이활층은 다른 필름이나 유리 기판 등과의 접착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통해서 광학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이 얻어진다. 광학 필름은 이접착층 형성면 및 이접착층 비형성면 중 어느 면을 편광자와 접합해도 좋다. 액정 표시 셀이나 유기 EL 셀 등의 화상 표시 셀의 표면에 편광판을 배치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elease layer can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dhesion to other films or glass substrates. The optical film can be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for example.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y bonding an optical film to the surfac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In the optical film, either of the easily-adhesive layer forming surface and the easily-adhesive layer non-forming surface may be bonded to a polarizer. An image display device can be formed by disposing a polarizing plate on the surface of an image display cel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cell or an organic EL cell.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접착성이 우수하고, 블록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에서도 광학적인 결점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 등의 표시 장치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veness, is less likely to cause blocking, and is less likely to cause optical defects even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so it is suitably used as a film for a display device such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o.
도 1은 이활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편광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편광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필름 기재와 이활층의 계면에 계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필름의 단면 TEM 관찰상이다.
도 4는 필름 기재와 이활층의 계면에 계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 필름의 단면 TEM 관찰상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n optical film including an lubricating layer.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3 is a cross-sectional TEM observation image of an optical film in which an interface layer is formed at an interface between a film base material and a release layer.
Fig. 4 is a cross-sectional TEM observation image of an optical film in which an interface layer is not formed at an interface between a film base material and a release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1)은 필름 기재(11)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이활층(15)을 구비한다. 필름 기재의 양면에 이활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필름은 다른 필름이나 유리 기판 등과 접합해서 사용된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광학 필름의 사용 형태로서 편광자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광학 필름(1)을 구비하는 편광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편광판(100) 및 도 2b에 나타내는 편광판(101)은 편광자(5)의 일방의 면(제 1 주면)에, 접착제층(6)을 통해서 접합된 광학 필름(1)을 구비한다. 편광판(100)에서는 광학 필름(1)은 필름 기재(11)의 편광자(5)와의 접합면에 이활층(15)을 갖는다. 도 2b에 나타내는 편광판(101)에서는 광학 필름(1)의 이활층(1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편광자(5)가 접합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편광판(100) 및 도 2b에 나타내는 편광판(101)에서는 편광자(5)의 타방의 면(제 2 주면)에 접착제층(7)을 통해서 투명 보호 필름(2)이 접합되어 있다.A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mentioned as a usage mode of an optical film.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광학 필름][Optical film]
광학 필름(1)은 필름 기재(11)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이활층(15)을 구비한다.The
<필름 기재><Film Substrate>
필름 기재(11)로서는 투명 필름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 기재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11)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이 광학 등방성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굴절이 작기 때문에, 필름 기재(11)의 수지 재료로서 아크릴계 수지 또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As the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노르보르넨을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Zeon Corporation제의 ZEONOR 및 ZEONEX, JSR제의 ARTON, Mitsui Chemicals Inc.제의 APEL, Topas Advanced Polymers Co., Ltd.제의 TOPAS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cyclic polyolefin resin, polynorbornene is mentioned, for example. Commercially available cyclic polyolefin resins include ZEONOR and ZEONEX manufactured by Zeon Corporation, ARTON manufactured by JSR, APEL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TOPAS manufactured by Topas Advanced Polymers Co., Ltd.,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cyclic polyolefin-based film contains 50% by weight or more of the cyclic olefin-based resin.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acrylic resins include poly(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nd methyl methacrylate-acrylic acid ester- (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ate methyl-styrene copolymer (MS resin, etc.), polymers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acrylate norbornyl copolymer, etc.) are mention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그 유도체를 구성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것, 및 메타크릴산 또는 그 유도체를 구성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means acrylic and/or methacrylic. The acrylic resin includes acr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s a constituent monomer component, and methacr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s a constituent monomer component.
아크릴계 수지로서, 일본 특허공개 2006-2830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33590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74118호 공보 등에 기재된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일본 특허공개 2000-2300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518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203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5454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46084호 공보 등에 기재된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및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편광도가 높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조에 적합하다.As acrylic resins, acrylic resins having a glutaric anhydride structure described in JP 2006-283013 A, JP 2006-335902 A, and JP 2006-274118 A; And/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3001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5181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2032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5454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46084, etc. You may use an acrylic resin having a tone ring structure. Since the acrylic resin having a glutaric anhydride structure and an 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have high heat resistance, high transparenc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they are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high degree of polarization and excellent durability.
필름 기재(11)가 아크릴계 필름일 경우, 필름 기재 중의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5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98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97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수지의 복굴절을 상쇄하여,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필름의 기계 강도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해서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해도 좋다.When the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올레핀계 중합체, 할로겐화 비닐계 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과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옥시벤질렌, 폴리아미드이미드, 고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Thermoplastic resins other than acrylic resins include olefin polymers, halogenated vinyl polymers, polystyrene, styrene and acrylic monomers and copolymers, polyesters, polyamides, polyacetals, polycarbonates, polyphenylene oxides, polyphenylene sulfides, and polyethers. Ether ketone,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oxybenzylene, polyamideimide, rubber-based polymer, and the like.
필름 기재(11)는 산화 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충전제, 가소제, 윤활제, 필러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수지 재료와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미리 펠릿 등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고 나서 필름화를 행해도 좋다.The
필름 기재(11)의 두께는 5∼200㎛ 정도이다. 기계 강도, 투명성 및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필름 기재(11)의 두께는 10∼100㎛가 바람직하고, 15∼60㎛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필름 기재(11)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11)가 아크릴계 필름일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수지로서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나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계 필름의 Tg를 높이고,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름 기재(11)의 Tg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17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필름 기재(1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용액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11)는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필름 기재(11)가 아크릴계 필름일 경우, 기계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필름은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된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2축 연신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복굴절을 상쇄하도록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연신한 경우에서도 리타데이션이 작고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필름이 얻어진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이활층><Separate layer>
필름 기재(11)의 표면에 설치되는 이활층(15)은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를 포함한다. 이활층(15)이 미립자를 포함함으로써, 이활층(15)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필름의 슬라이딩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광학 필름(1)의 롤 반송시의 손상의 저감이나, 롤 형상으로 권취할 때의 블록킹 억제에 기여한다.The
(바인더 수지)(Binder resin)
바인더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필름 등의 필름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류, 옥사졸린기 등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등의 반응성기를 갖는 수지(폴리머)가 사용된다. 이활층(15)의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활층(15)은 필름 기재(11)와의 밀착성이 높다.As a binder resin, since it has excellent adhesion to film substrates such as acrylic films, polyurethane resins, epoxy resins, isocyanat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mers containing amino groups in the molecule, and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s such as oxazoline groups A resin (polymer) having a reactive group such as an acrylic resin is used. Polyurethane res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binder resin for the
우레탄 수지는 대표적으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폴리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의 고분자 폴리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The urethane resin is typically a reaction product of a polyol and a polyisocyanate. As the polyol component, polymer polyols such as polyacrylic polyol, polyester polyol, and polyether polyol are preferably used.
폴리아크릴 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펜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알콜의 (메타)아크릴산 모노에스테르;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Polyacrylic polyols are typically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a (meth)acrylic acid ester and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include m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Examples of the hydroxyl-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Hydroxyalkyl esters of (meth)acrylic acid such as hydroxybutyl and 2-hydroxypent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monoester of polyhydric alcohol, such as glycerin and trimethylolpropane; N-methylol (meth)acrylamide, etc. are mentioned.
폴리아크릴 폴리올은 상기 이외의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 및 디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α,β-불포화 지방족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acrylic polyol may contain monomer components other than the above. Examples of other monomer components includ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meth)acrylic acid;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and anhydrides and diesters thereof;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meth)acrylonitrile; Unsaturated amides such as (meth)acrylamide and N-methylol (meth)acrylamid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Vin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Α-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Halogenated α,β-unsaturated aliphatic monomer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idene chloride; And α,β-unsaturated aromatic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α-methylstyrene.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염기산과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다염기산으로서는 오르토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비페닐 디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옥타데칸디카르복실산, 주석산, 알킬숙신산, 리놀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무수물, 알킬에스테르, 산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Polyester polyols are typically obtained by reaction of polybasic acids and polyols. Examples of polybasic acids include ortho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5-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biphenyl dicarboxyl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Oxalic acid, succinic acid, malo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er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decanedicarboxylic acid, dodecanedicarboxylic acid, octadecanedicarboxylic acid, tartaric acid, alkyl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linole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esaconic acid, citraconic acid, and itacon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hexahydrophthal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1,3-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and 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Or reactive derivatives such as these acid anhydrides, alkyl esters, and acid halides.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메틸-1,3-부틸렌글리콜, 2-메틸-1,3-부틸렌글리콜, 1-메틸-1,4-펜틸렌글리콜, 2-메틸-1,4-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2,3-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1-메틸-1,5-펜틸렌글리콜, 2-메틸-1,5-펜틸렌글리콜, 3-메틸-1,5-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부틸렌글리콜, 1,3-디메틸부틸렌글리콜, 2,3-디메틸부틸렌글리콜, 1,4-디메틸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A, 비스페놀F, 수첨 비스페놀A, 수첨 비스페놀F 등을 들 수 있다.As polyol, ethylene glycol, 1,2-propanediol, 1,3-propanediol, 1,3-butanediol, 1,4-butanediol, neopentyl glycol, pentanediol, 1,6-hexanediol, 1,8-octane Diol, 1,10-decanediol, 1-methyl-1,3-butylene glycol, 2-methyl-1,3-butylene glycol, 1-methyl-1,4-pentylene glycol, 2-methyl-1 ,4-pentylene glycol, 1,2-dimethyl-neopentyl glycol, 2,3-dimethyl-neopentyl glycol, 1-methyl-1,5-pentylene glycol, 2-methyl-1,5-pentylene glycol , 3-methyl-1,5-pentylene glycol, 1,2-dimethylbutylene glycol, 1,3-dimethylbutylene glycol, 2,3-dimethylbutylene glycol, 1,4-dimethylbutylene glycol, di 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1,4-cyclohexanedimethanol, 1,4-cyclohexanediol, bisphenol A, bisphenol F, hydrogenated bisphenol A, hydrogenated bisphenol F, etc. Can be lifted.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가알콜에 알킬렌 옥시드를 개환 중합해서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가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 스티렌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ether polyol is typically obtained by adding an alkylene oxide to a polyhydric alcohol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 includ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glycerin, and trimethylolpropane. Examples of the alkylene oxide include ethylene oxide, propylene oxide, butylene oxide, styrene oxide, and tetrahydrofuran.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 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벤질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알킬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polyisocyanate, tetramethylene diisocyanate, dodecamethylene diisocyanate, 1,4-but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2,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2,4,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 Aliphatic diisocyanates such as lysine diisocyanate, 2-methylpentane-1,5-diisocyanate, and 3-methylpentane-1,5-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hydrogenated xylylene diisocyanate, 4,4'-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1,4-cyclohexane diisocyanate, methylcyclohexylene diisocyanate, 1,3-bis(isocyanatemethyl)cyclohexane Alicyclic di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2,2'-diphenylmethane diisocyanate, 2,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dimethylmethane diisocyanate, Aromatic diisocyanates such as 4,4'-dibenzyl diisocyanate, 1,5-naphthyle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1,3-phenylene diisocyanate, and 1,4-phenylene diisocyanate; And aromatic aliphatic diisocyanates such as dialkyl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etraalkyl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α,α,α,α-tetramethylxylylene diisocyanate.
이활층(15)을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는다.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가짐으로써, 가교 구조의 도입이 가능해진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추가해서,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쇄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쇄장제로서는 디히드록시카르복실산, 디히드록시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서는 디메틸올알칸산(예를 들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알킬올알칸산 등을 들 수 있다.The urethane resin constituting the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노머 성분을 한 번에 반응시키는 원샷법, 및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쇄장제를 사용해서 우레탄 수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다단계법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우레탄 반응 촉매를 사용해도 좋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urethan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one-shot method in which a monomer component is reacted at once, or a multistage method in which a monomer component is reacted in stages. When a carboxyl group is introduced into the urethane resin by using a chain lengthening agent having a free carboxyl group, a multistage method is preferred. In the production of a urethane resin, a urethane reaction catalyst may be used as necessary.
우레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은 5,000∼600,000이 바람직하고, 10,000∼4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산가는 10∼50이 바람직하고, 20∼45가 보다 바람직하다. 5,000-600,000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urethane resin, 10,000-400,000 are more preferable. The acid value of the urethane resin is preferably 10 to 50, more preferably 20 to 45.
우레탄 수지는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우레탄 수지에 가교 구조가 도입됨으로써, 이활층(15)과 필름 기재(11)의 밀착성 및 이활층(15)의 경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가교제로서는 우레탄 수지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가질 경우에는 아미노기,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등을 포함하는 가교제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옥사졸린기를 갖는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는 상온에서는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이 작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와 혼합했을 때의 포트 라이프가 길고, 공정의 리드타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 urethane resin may have a crosslinked structure. By introduc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to the urethane resin, the adhesion between the
가교제는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좋고, 폴리머이어도 좋다. 수계 조성물에의 용해성이 높고, 우레탄 수지와의 상용성도 우수한 점으로부터, 가교제로서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옥사졸린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or a polymer. Since solubility in an aqueous composition is high and compatibility with a urethane resin is also excellent, an acrylic polymer is preferable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crylic polymer having an oxazoline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가교제의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1∼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2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used is preferably 1 to 3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thane resin.
(미립자)(Fine particles)
이활층(15)에 미립자가 포함됨으로써, 이활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고, 광학 필름(1)의 슬라이딩성이 향상되고, 블록킹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딩성 향상에 기여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미립자의 입자지름(평균 1차 입자지름)은 10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5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은 이활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입자지름이 이활층의 두께보다 작음으로써, 이활층으로부터의 미립자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미립자의 입자지름은 25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미립자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이 가시광 파장보다 작음으로써, 바인더 수지와 미립자의 계면에서의 가시광의 산란을 억제할 수 있다. 투명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미립자의 입자지름은 1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8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0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By containing fine particles in the
이접착층(15)의 미립자는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분산성 및 입자지름의 균일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미립자로서는 무기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 탄산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무기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에 기인한 광산란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인더 수지(일반적으로 굴절률 1.5 정도)와 미립자의 굴절률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작고 또한 분산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이활층(15)의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The fine particles of the easily
수계 조성물로 이활층(15)을 형성할 경우, 수분산성이 높은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조성물 중에 배합해도 좋다. 미립자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민이나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 성분을 첨가하여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약 알칼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forming the
수분산성 실리카 입자로서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콜로이드 실리카로서 Fuso Chemical Co., Ltd.제의 Quartron PL 시리즈,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제의 SNOWTEX 시리즈, Nippon Aerosil Co., Ltd.의 AERODISP 시리즈 및 AEROSIL 시리즈, Nippon Shokubai Co. Ltd.제의 SEAHOSTAR KE 시리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Colloidal silica is preferably used as the water-dispersible silica particles. As colloidal silica, Quartron PL series from Fuso Chemical Co., Ltd., SNOWTEX series from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AERODISP series and AEROSIL series from Nippon Aerosil Co., Ltd., Nippon Shokubai Co. A commercial product such as SEAHOSTAR KE series manufactured by Ltd. may be used.
이활층(15)의 표면으로의 요철 형성에 의해 광학 필름(1)의 슬라이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활층(15)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3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이활층(15)의 두께가 작을 경우(예를 들면, 280nm 이하일 경우)에는 미립자의 함유량을 크게 해서 단위면적당 미립자의 양(수밀도)을 높임으로써, 이활층(15)의 면내에 균일하게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활층(15)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8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활층(15)의 미립자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크면, 바인더 수지와 미립자의 계면에서의 광산란의 증대에 기인하는 광학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립자 함유량의 증대에 따라, 바인더 수지의 상대적인 함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활층의 접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활층(15)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slidability of the
(잔존 알칼리량)(Amount of Alkali Remaining)
미립자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아민이나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 성분을 사용하면, 이활층에는 불가피하게 알칼리 성분이 잔존한다. 광학 필름(1)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이활층(15)의 잔존 알칼리 성분의 수분으로의 용출이나, 필름 기재(11)를 투과한 알칼리 성분이 편광자를 열화시켜 편광판의 편광도의 저하나, 줄무늬 형상의 얼룩 등의 광학적인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When an alkali component such as amine or ammonia is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the fine particles, the alkali component inevitably remains in the release layer. When the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활층(15)의 잔존 알칼리량은 75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7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5pp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이활층(15)에 있어서의 잔존 알칼리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humidification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the 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the
한편, 이활층(15)의 잔존 알칼리량이 과도하게 작으면, 미립자의 분산성이 손상되어 미립자의 응집에 기인한 백탁 등의 외관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산성의 저하에 의한 미립자의 응집이나 이활층으로부터의 탈락에 기인하여, 이활층의 표면에 적절한 요철이 형성되지 않아서 광학 필름의 슬라이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이활층(15)의 잔존 알칼리량은 5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p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pp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the
이활층 중의 잔존 알칼리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아민 및 암모니아를 들 수 있고, 이활층 중의 아민 및 암모니아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활층 중의 알칼리량은 알칼리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MS)을 조합시킨 분석법(예를 들면, LC/MS)에 의해 알칼리 성분의 정량을 행해도 좋다. 이활층 중에 복수의 알칼리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 성분의 합계를 이활층의 알칼리 성분 함유량(잔존량)이라고 한다.Specific examples of the residual alkali component in the active layer include amine and ammonia,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content of the amine and ammonia in the active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alkali in the lubricating layer can be qua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 or ion chromatography, depending on the type of alkali component. The alkali component may be quantified by an analysis method (eg, LC/MS) in which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MS) are combined. When a plurality of alkali components are contained in the release layer, the sum of the components is referred to as the alkali component content (remaining amount) of the release layer.
<이활층의 형성><Formation of a movable layer>
필름 기재(11)의 표면에의 이활층(15)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도포액)을 필름 기재(11) 상에 도포하고 가열함으로써, 이활층(15)이 형성된다.The method of forming th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물을 용매(및 미립자에 대한 분산매)로 하는 수계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비휘발 성분)의 농도는 1∼30중량%가 바람직하고, 2∼2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1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is preferably an aqueous composition in which water is used as a solvent (and a dispersion medium for fine particles).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 content (non-volatile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is preferably 1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20%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3 to 15% by weight.
수계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및 분산매)로서의 물과, 바인더 수지 또는 그 전구 물질과, 미립자를 포함한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알칼리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칼리 성분은 미립자의 분산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다. 입자지름이 작은 미립자는 응집하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이 암모니아나 아민 등의 알칼리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서, 외관이나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queous release layer contains water as a solvent (and a dispersion medium), a binder resin or a precursor thereof, and fin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further contains an alkali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the alkali component has an action of promoting dispersion of fine particles. Fine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diameter tend to agglomerate easily, but whe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contains an alkali component such as ammonia or amine, the dispersibility of the fine particles is improved, and an optical film excellent in appearance and sliding properties is obtained.
한편,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가 이활층에 잔존하면, 편광판의 내습열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가성 등의 강알칼리는 소량이라도 편광자를 열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으로서는 암모니아나 아민 등의 약알칼리 성분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분산성 향상과 편광자의 열화 방지를 양립하는 관점에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도포액)의 pH는 7.5∼9 정도가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alkali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movable layer remains in the movable layer, it may be a cause of lowering the heat-and-moisture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plate. In particular, even a small amount of strong alkali such as caustic may cause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Therefore, as an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weak alkali components such as ammonia and amine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fine particles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the pH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about 7.5 to 9.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의 양은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300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p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크면, 잔존 알칼리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의 양은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50000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0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0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아민 및 암모니아를 들 수 있고, 이들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microparticles, the amount of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is preferably 300 pp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00 pp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alkali component is excessively large, it may become difficult to reduce the amount of remaining alkali, so the amount of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release layer is preferably 50000 ppm or less based on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lease layer. And 10000 ppm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5000 ppm or less is still more preferable.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xamples of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include amine and ammonia,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se alkali components is within the above rang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은 미립자의 분산성 향상에 추가해서, 촉매 작용 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계 수지일 경우는 폴리우레탄 전구 물질(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우레탄화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 등의 제 3 급 아민이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o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fine particles,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ctive layer may have a catalytic action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binder resin is a urethane resin, a tertiary amine such as triethylamine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as a catalyst for urethanization of a polyurethane precursor (polyol, isocyanate, etc.).
필름 기재 상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가열함으로써, 알칼리 성분을 휘발 제거하여 이활층(15)의 잔존 알칼리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한 알칼리 성분의 휘발을 촉진하는 관점에서,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은 비점이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성분의 비점은 1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칼리 성분의 비점은 100℃ 이하 또는 90℃ 이하이어도 좋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복수의 알칼리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1개의 알칼리 성분의 비점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의 알칼리 성분의 비점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활층에 포함되는 알칼리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50중량% 이상의 알칼리 성분의 비점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알칼리 성분의 비점이 상기 범위인 것이 이상적이다.By heating after co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on the film substrate, the alkali component can be removed by volatilization and the remaining alkali component of th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또는 그 전구 물질), 미립자 및 알칼리 성분에 추가해서,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가교 촉진제 등의 촉매,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블록킹 방지제, 대전 방지제, 분산 안정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ctive layer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in addition to the binder resin (or a precursor thereof), fine particles, and an alkali componen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ctive layer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 catalyst such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eveling agent, an antiblock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dispersion stabilizer, an antifoaming agent, a thickener, a dispersant, a surfactant, and a lubricant.
(필름 기재 상에의 이활층의 형성)(Formation of a release layer on the film substrate)
필름 기재(11) 상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필름 기재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좋다. 표면 처리를 행함으로써, 필름 기재의 젖음 장력을 조정하여, 이활층(15)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블로잉, 자외선 조사, 화염 처리, 화학약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Before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on th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방법으로서는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후의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이활층(15)이 형성된다. 가열에 의해 바인더 수지의 전구 물질을 반응시켜 경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이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가교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lubricating layer include a bar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rod coating method, a slot orifice coating method, a curtain coating method, a fountain coating method, and the like. The
이활층 형성시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50∼200℃ 정도이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의 경화 반응을 촉진함과 아울러,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을 효율적으로 휘발 제거시키는 관점에서,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3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온도는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의 비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forming the lubricating layer is, for example, about 50 to 200°C.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the curing reaction of the resin component in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and efficiently volatilizing and removing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C. or higher, and 120° C. The above is more preferable, 130 degreeC or more is still more preferable, and 135 degreeC or more is especially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이활층 형성시의 가열 온도는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가열함으로써,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의 경화 반응을 촉진함과 아울러,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을 효율적으로 휘발 제거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필름 기재의 Tg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forming the release layer is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lm substrate. By heating at a high temperature, while accelerating the curing reaction of the resin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release lay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volatilize and remove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releas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is 10°C or more higher than the Tg of the film substrate.
필름 기재의 Tg보다 고온에서 가열함으로써,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알칼리의 휘발 제거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필름 기재의 표면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이 침투하기 쉬워져서,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이활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열 온도는 필름 기재의 Tg+10℃ 이상이 바람직하고, Tg+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By heating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Tg of the film substrate, the efficiency of volatilization removal of alkali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lease layer is increased,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lease layer is easily penetrated into the surface of the film substrate, so that the
필름 기재의 Tg+1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면, 필름 기재가 유리 상태로부터 고무 상태로 되어 표면이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계면에 있어서, 필름 기재의 수지 성분과 이활층의 구성 성분이 혼재한 계면층이 형성되기 쉽다. 계면층이 형성됨으로써,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When the film substrate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Tg+10°C or higher, the film substrate becomes a rubbery state from a glass state and the surface is easily deformed. Therefor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특히, 도 3의 단면 관찰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기재(11)의 표면에 이활층(15)의 미립자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매설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밀착성이 높은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필름 기재를 Tg보다 고온으로 가열한 고무 상태에서 미립자가 필름 기재에 매설되고, 그 후에 필름 기재가 유리 상태로 되돌아가면, 필름 기재의 표면에 매설된 미립자 및 그 주위에 존재하는 바인더 수지가 필름 기재의 표면에 고착하기 때문에,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observation of Fig. 3, when there is an area buried by inserting fine particles of the
필름 기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이활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필름 기재의 형성시의 가열을 이용하여 이활층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필름 기재가 연신 필름일 경우에는, 연신 전의 필름이나 종연신 후의 필름의 표면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텐터에 의한 횡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시의 가열을 이용하여 용매의 건조나 수지의 경화를 행할 수 있다. You may form a release lay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ilm base material. Moreover, you may form a release layer using heating at the time of formation of a film base material. For example, when the film substrate is a stretched fil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or after longitudinal stretching, and using heating during transverse stretching or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by a tenter, the solvent Drying or curing of the resin can be performed.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필름 기재의 연신을 행할 경우에는, 이활층에의 크랙 발생 등의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연신 배율은 5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4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5배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름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연신 배율은 1.3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5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가 아크릴계 필름일 경우는 필름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반송방향(MD) 및 폭방향(TD)의 각각으로 상기 연신 배율로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stretching the film substrate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5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4 time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defects such as occurrence of cracks in the release layer. , 3 times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2.5 times or less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lower limit of the draw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film,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1.3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times or more. When the film base material is an acrylic film,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tretching at the aforementioned draw ratio in each of the conveying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ilm strength.
필름 기재의 2축 연신을 행할 경우, 2축 연신은 축차 2축 연신이어도 좋고, 동시 2축 연신이어도 좋다. 또한, 경사 연신을 행해도 좋다. 축차 2축 연신을 행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롤 연신에 의해 필름을 일 방향(MD)으로 연신한 후, 필름 상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텐터에 의한 연신시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가열을 행해도 좋다.When performing biaxial stretching of the film base material, the biaxial stretching may be successively biaxially stretching, or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y be employed. Further, obliqu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the film is stretched in one direction (MD) by roll stretch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n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is applied on the film, and a release layer is formed during stretching by a tenter. You may heat the composition.
연신 온도는 이활층의 가열 온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기재의 Tg보다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Tg+10℃ 이상이 바람직하고, Tg+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상기 온도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의 Tg보다 고온의 고무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면, 필름 기재의 표면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미립자가 매설된 영역이 형성되기 쉬워서, 필름 기재(11)와 이활층(15)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고온에서의 연신에 의해 필름 기재에 미립자가 매설되기 쉬워지는 이유로서, 고무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면 필름 기재의 변형시에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이 젖음 확산되기 쉬워서, 변형시에 형성되는 표면 요철의 오목부에 미립자가 끼워진 상태가 되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연신 후에 응력을 개방하면서 냉각을 행하면, 필름 기재가 수축할 때에 필름 기재의 표면에 끼워진 입자가 고착되기 때문에, 필름 기재에 미립자가 매설된 영역이 형성되기 쉽다고 생각된다.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release layer,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higher than the Tg of the film substrate, preferably Tg+10°C or higher, more preferably Tg+15°C or higher, and Tg+20°C or higher. More preferabl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tretch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t the above temperature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lubricating layer. When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rubber state higher than the Tg of the film base material, the area in which fine particles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are embedded is easi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base material,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 및 도포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이활층(15)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필름 기재의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연신 배율에 의해도 이활층(15)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이활층(1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열에 의한 알칼리 성분의 제거를 촉진하는 관점에서 28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3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활층(15)의 두께가 작을수록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가열 건조시에 알칼리 성분이 과잉으로 제거되면, 바인더 수지 중에서의 미립자의 분산성이 저하하여, 미립자의 응집이나 이것에 따른 이활층 표면으로부터의 미립자의 탈락 등이 발생하기 쉽다. 미립자의 응집이나 탈락이 발생하면, 광학 필름의 슬라이딩성이 저하하여, 반송시의 상처나 권취시의 블록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이활층(15)의 두께는 40nm 이상이 바람직하고, 5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n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활층의 두께는 110nm 이상, 120nm 이상, 130nm 이상, 140nm 이상, 또는 150nm 이상이어도 좋다.When the alkali component is excessively removed during heating and drying of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the dispersibility of the microparticles in the binder resin decreases, resulting in agglomeration of the microparticles and the resulting dropout of the microparticles from the release layer surface. . When agglomeration or dropping of the fine particles occurs, the sliding property of the optical film decreases, and scratches at the time of conveyance and blocking at the time of winding are liable to occu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편광판][Polarizer]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고,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5)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이 형성된다. 편광자의 양방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광학 필름이 접합되어 있으면 좋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광학 필름이 접합된 것이어도 좋다. 편광자(5)와 광학 필름(1)은 접착제층(6)을 통해서 접합된다. The polariz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ly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both surfaces of the
<편광자><polarizer>
편광자(5)로서는 폴리비닐알콜이나,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콜 등의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서 1방향으로 배향시킨 폴리비닐알콜(PVA)계 편광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염색 및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PVA계 편광자가 얻어진다.As the
편광자(5)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수세, 팽윤, 가교 등의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연신은 요오드 염색의 전후 어느 것에 행해져도 좋고, 염색하면서 연신이 행해져도 좋다. 연신은 공중에서의 연신(건식 연신), 또는 수중이나, 붕산, 요오드화 칼륨 등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습식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이들을 병용해도 좋다. 편광자(5)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50㎛ 정도이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편광자(5)로서 두께가 10㎛ 이하인 박형의 PVA계 편광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박형의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 51-06964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338329호 공보, WO2010/100917호 팜플렛, 일본 특허 제4691205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자는 PVA계 수지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요오드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진다. 이 제법이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불량 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the
<접착제><Adhesive>
편광자(5)와 광학 필름(1)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층(6)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비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6)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1∼20㎛ 정도이며, 피착체의 종류나 접착제 재료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된다. 도포 후의 가교 반응에 의해 접착성을 나타내는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층(6)의 두께는 0.01∼5㎛가 바람직하고, 0.03∼3㎛가 보다 바람직하다.As long as the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제층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As the adhesive, various types of adhesives such as water-based adhesives, solvent-based adhesives, hot melt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are used. Among these, a water-based adhesive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reduced.
수계 접착제의 폴리머 성분으로서는 비닐 폴리머, 젤라틴, 비닐계 라텍스,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계, 에폭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비닐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중에서도,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콜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mer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vinyl polymer, gelatin, vinyl latex, polyurethane, polyester, and epoxy. Among these, a vinyl polymer is preferable,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adhesion to a polarizer. Amo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polyvinyl alcohol containing an acetacetyl group is preferable.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접착성의 점으로부터, 100∼5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4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비누화도는 85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From the point of adhesivenes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bout 100 to 5000, and more preferably 1000 to 4000. The averag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85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수계 접착제 조성물(용액)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의 폴리머에 추가해서,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교제로서는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가교제로서는 알킬렌 디아민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폭시류; 알데히드류; 메틸올 요소, 메틸올멜라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미노-포름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는 메틸올 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메틸올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10∼60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고, 20∼5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water-based adhesive composition (solution)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in addition to a polymer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the crosslinking agent,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functional groups reactive with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adhesive is used per molecule.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alkylene diamines; Isocyanates; Epoxys; Aldehydes; And amino-formaldehyde such as methylol urea and methylol melamine. Among these, amino-formaldehyde is preferable. As the amino-formaldehyde resin, a compound having a methylol group is preferable, and methylol melami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about 10 to 6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전자선이나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 양이온 중합 또는 음이온 중합 가능한 접착제이다. 그 중에서도, 저에너지로 경화 가능한 점으로부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광라디칼 중합성 접착제, 광양이온 중합성 접착제, 또는 광양이온 중합과 광라디칼 중합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an adhesive capable of radical polymerization, cationic polymerization, or anionic polymerization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electron beams or ultraviolet rays. Among them, a photoradical polymerizable adhesive in which polymerization is initiat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 photo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 or a hybrid adhesive in which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and photoradical polymerization are used in combination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being curable with low energy.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의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C1-20 쇄상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지환식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다환식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는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는 가교 성분으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 포르말 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Examples of the radical polymerizable adhesive monomer include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and a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Among them,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s suitable.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nclude alkyl (meth)acrylates such as C 1-20 chain alkyl (meth)acrylate, alicyclic alkyl (meth)acrylate, and polycyclic alkyl (meth)acrylat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Ep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Radical polymerizable adhesives include hydroxyethyl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N-methoxymethyl (meth)acrylamide, N-ethoxymethyl (meth)acrylamide, (meth)acrylamide. It may contain nitr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amide and (meth)acryloylmorpholine. The radically polymerizable adhesive is a crosslinking component, such as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1,9-nonandiol di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and dioxane glycol diacrylate. And polyfunctional monomers such as EO-modified diglycerin tetraacrylate may be contained.
양이온 중합성 접착제의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경화성 에폭시 화합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에폭시 화합물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1개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방향족계 에폭시 화합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고, 그 중 적어도 1개는 지환식환을 구성하는 이웃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는 화합물 등(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접착제에 (메타)아크릴로일 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형 접착제로 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urable component of the 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 include compounds having an epoxy group and an oxetanyl group. Th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various commonly known curable epoxy compounds are used. As a preferred epoxy compound,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at least one aromatic ring (aromatic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at least one of which is adjacent 2 constituting an alicyclic ring And compounds formed between two carbon atoms (alicyclic epoxy compounds). A hybrid adhesive can also be obtained by containing a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n the 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
광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반응종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에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라디칼 발생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성 접착제에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광조사에 의해 양이온류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광산(光酸) 발생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형 접착제에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및 광라디칼 발생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curable adhesive contains a photoinitiator. The photoinitiato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reactive speci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lend a photo-radical generator that generates radicals by irradiation with light as a photoinitiator in the radically polymerizable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mix|ble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ineral acid generator) which generates cationics or Lewis acid by light irradiation as a photoinitiator in a 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ble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hotoradical generator in the hybrid adhesive.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1∼1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이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접착제를 전자선 경화형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필요없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경화 속도나 감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광증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광증감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001∼1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이다.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ually about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In addition, when us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adhesive as an electron beam curing type, a photo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required. A photosensitizer may be added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curing speed and sensitivity. The used amount of the photosensitizer is usually about 0.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에틸렌옥시드 등의 접착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염료, 가공 조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충전제, 가소제, 레벨링제, 발포 억제제, 대전 방지제, 내열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adhesive may contain suitable additives as necessary. Examples of additives include silane coupling agents, coupling agents such as titanium coupling agents, adhesion promoters such as ethylene oxide, ultraviolet absorbers, deterioration inhibitors, dyes, processing aids, ion trap agents, antioxidants, tackifiers, fillers, plasticizers, leveling agents. Agents, foaming inhibitors, antistatic agents, heat-resistant stabilizers, hydrolysis-resistant stabilizers, and the like.
[편광판의 제작][Manufacture of polarizing plate]
편광자(5)의 일방의 면(제 1 주면)에 접착제층(6)을 통해서 광학 필름(1)을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이 제조된다. 광학 필름(1)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활층 형성면이 접착제층을 통해서 편광자(5)와 접합하고 있어도 좋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활층 비형성면이 접착제층을 통해서 편광자(5)와 접합하고 있어도 좋다.A polarizing plate is manufactured by bonding the
이활층(15)은 이접착층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의 이활층(15) 형성면에 접착제층(6)을 통해서 편광자(5)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이활층(15)이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광학 필름(1))의 접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활층 비형성면이 접착제층을 통해서 편광자(5)와 접합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활층(15)이 광학 필름(1) 상에 설치되는 다른 필름, 점착제층, 유리 기판 등과의 접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The easily
편광자(5)와 광학 필름(1)의 접합에 있어서는 편광자(5) 및 광학 필름(1)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편광자(5)와 광학 필름(1)을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접합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5) 및/또는 광학 필름(1)에의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롤법, 분무법, 침지법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5) 및/또는 광학 필름(1)의 표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좋다.In the bonding of the
편광자(5)와 광학 필름(1)을 접합한 후에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제층(6)이 형성된다. 수계 접착제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가열 건조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가 행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전자선이나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가 행해진다. 이활층(15) 상에 광양이온 중합성의 접착제를 설치하면, 이활층의 잔존 알칼리 성분의 작용에 의해 광활성종(양이온 또는 루이스산)이 실활(失活)되기 쉽고, 중합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접착제층(6)으로서 광양이온 중합성의 접착제 또는 광양이온/광라디칼 하이브리드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의 이활층 비형성면을 편광자(5)와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bonding the
<투명 보호 필름><Transparent protective film>
편광자(5)의 제 2 주면에는 접착제층(7)을 통해서 투명 보호 필름(2)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투명 보호 필름(2)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투명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2)의 두께는 5∼200㎛ 정도이다. 기계 강도, 투명성 및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투명 보호 필름(2)의 두께는 10∼100㎛가 바람직하고, 15∼60㎛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과 투명 보호 필름(2)의 두께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The transparent
투명 보호 필름(2)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노르보르넨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투명 보호 필름(2)은 이활층(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투명 보호 필름(2)에는 광학 필름(1)의 이활층(15)과 같은 이활층이 설치되어도 좋다.The transparent
편광자(5)와 투명 보호 필름(2)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층(7)으로서는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접착제층(6)과 접착제층(7)에 동일한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해도 좋다.As the
[편광판의 용도][Use of polarizing plate]
편광판에는 액정 셀이나 유기 EL 셀 등에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을 설치해도 좋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o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cell.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crylic polymer, a silicone-based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ther, a fluorine-based or rubber-based polymer can be suitably selected and used as the base polymer. Particularl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optical transparency, shows moderate wettability and cohesiveness, and is excellent in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편광판에의 점착제층의 부설은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용매에 베이스 폴리머 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고형분 농도 10∼40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편광판 상에 부설하는 방식,또는 적당한 기재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편광판 상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Lay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olarizing plate can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manner. For example,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base polymer in a solvent such as toluene or ethyl acetat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about 10 to 40% by weight is prepared and laid on a polarizing plat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suitable substrate is prepared. A method of transferring onto a polarizing plate, etc. are mentioned.
편광판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설치해도 좋다. 편광판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설치하는 경우, 표리의 점착제층의 조성이나 두께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5∼500㎛ 정도이다.You may provide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plate. When provi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the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n the front and back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generally about 5 to 500 μm.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점착제층의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해서, 세퍼레이터를 가착해도 좋다. 세퍼레이터로서는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을 실리콘계 이형제, 장쇄 알킬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등의 박리제로 코팅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 separator may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As the separator, those obtained by coating the surface of a plastic film with a release agent such as a silicone release agent, a long-chain alkyl release agent, or a fluorine release agent are preferably used.
편광판은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적층 편광판이어도 좋다. 광학층으로서는 위상차판, 시각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other optical layer. As an optical layer, a retardation plate, a visual compensation film, a brightness improvement film, etc. are mentioned.
편광판을 액정 셀이나 유기 EL 셀 등의 화상 표시 셀의 표면에 접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액정 셀과 편광판, 및 필요에 따라서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당하게 조립해서 구동 회로를 조립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EL 셀의 표면에 본 발명의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전형적으로는 1/4 파장판)을 결합시킨 원평광판과 접합함으로써, 금속 전극 등에 의한 외광의 반사광의 재출사를 저감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image display device can be formed by bonding a polarizing plate to the surface of an image display cell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cell. The form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formed by assembling a driving circuit by assembling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and constituent parts such as a lighting system as necessary. I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by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tardation film (typically 1/4 wavelength plate) to the surface of the organic EL cell with a circular polarizing plate bonded, re-emission of reflected light of external light by a metal electrode or the like is prevented. By reducing, visibility can be improv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의 기재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sh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 is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lubricating layer]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고, 또한 경화 촉매로서의 트리에틸아민 및 분산매로서의 메틸에틸케톤을 포함하는 고형분 34%의 수계 폴리우레탄(DKS Co. Ltd.제 「Superflex 210R」) 20.6중량부, 고형분 25%의 옥사졸린 함유 폴리머 수용액(Nippon Shokubai Co., Ltd.제 「Epocros WS-700」) 5.2중량부, 1중량%의 암모니아수 2.8중량부, 평균 1차 입자지름 35nm의 콜로이드 실리카의 20% 수분산액(Fus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Quartron PL-3」) 7.5중량부, 및 순수 63.9중량부를 혼합하여,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조성물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실리카 입자를 15.3중량부 함유하는 농도 9.8%의 수용액이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 조성물을 사용해서 이활층을 형성했다.Aqueous polyurethane having a solid content of 34% containing polyester urethan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as resin components, and triethylamine as a curing catalyst and methyl ethyl ketone as a dispersion medium ("Superflex 210R" manufactured by DKS Co. Ltd.) 20.6 parts by weight, 25% solid content of oxazoline-containing polymer aqueous solution (Nippon Shokubai Co., Ltd. ``Epocros WS-700'') 5.2 parts by weight, 1% by weight of ammonia water 2.8 parts by weight, a colloid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35 nm 7.5 parts by weight of a 20% aqueous dispersion of silica ("Quartron PL-3" manufactured by Fuso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63.9 parts by weight of pure water were mix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This composition was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9.8% containing 15.3 parts by weight of silica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solid content.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 release layer was formed using this composition.
[실시예 1][Example 1]
용융 압출 제막 장치, 그라비어 코터, 텐터식 동시 2축 연신 장치, 및 권취 장치를 구비하는 필름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아크릴계 수지로서, 일본 특허공개 2017-26939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투명 보호 필름 1A」의 제작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이미드화 MS 수지(유리 전이 온도: 120℃)의 펠릿을 사용했다. 아크릴계 수지를 T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해서 160㎛의 두께로 제막하고, 필름의 일방의 면에 그라비어 코터로 상기 조성물을 약 9㎛의 웨트 두께로 도포하고, 온도 140℃의 가열 로 내에서 동시 2축 연신 텐터에 의해 길이방향(MD) 및 폭방향(TD)으로 각각 2배로 연신하여, 두께 40㎛의 아크릴계 필름의 일방의 면에 두께 50nm의 이활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을 얻었다.An optical film was produced using a film produ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melt extrusion film forming apparatus, a gravure coater, a tenter-typ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pparatus, and a winding apparatus. As the acrylic resin, pellets of the same imidized MS res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20°C)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1A" described in Examples of JP 2017-26939 A were used. The acrylic resin is melt-extruded from a T-die to form a film to a thickness of 160 μm, and the composition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film to a wet thickness of about 9 μm with a gravure coater, and simultaneously twin-screwed in a heating furnace at a temperature of 140°C. It was stretched twice in the length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by a stretch tenter, respectively, to obtain an optical film including a rele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nm on one surface of an acryli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µm.
[실시예 2∼4 및 비교예 1, 2][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이활층의 두께(연신 후)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n optical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ctive layer was changed. The thickness (after stretching) of the release layer was as shown in Table 2.
[실시예 5, 6 및 비교예 3∼5][Examples 5 and 6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5]
텐터 연신시의 로 내 온도(연신 온도)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했다. 연신 온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광학 필름을 얻었다.The furnace temperature (stretch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tenter stretching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2. Except having changed the extending|stretching temperature,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optical film.
[편광판의 제작][Manufacture of polarizing plate]
(편광자의 제작)(Manufacture of polarizer)
두께 45㎛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수지 필름(Kuraray Co., Ltd. 제 「PE4500」)의 장척롤을 롤 연신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5.9배가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1축 연신하면서, 표 1에 나타내는 팽윤욕, 염색욕, 가교욕 1, 가교욕 2, 및 세정욕을 순서대로 반송하고, 70℃에서 5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18㎛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염색욕에 있어서의 요오드 농도 및 요오드화칼륨 농도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이 43.4%가 되도록 조정했다.Table 1 shows a long roll of a 45 μm-thick polyvinyl alcohol (PVA)-based resin film (“PE4500”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being uniaxial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becomes 5.9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roll stretching machine. The shown swelling bath, dyeing bath,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제)(Preparation of UV-curable adhesive)
N-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40중량부 및 아크릴로일모르폴린 60중량부를 경화성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중합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BASF제 「IRGACURE 819」) 3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조제했다.It contains 40 parts by weight of N-hydroxyethyl acrylamide and 60 parts by weight of acryloylmorpholine as a curable component, an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e-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containing 3 parts by weight of 1-on ("IRGACURE 819" manufactured by BASF) was prepared.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합)(Joining the polarizer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편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고, 타방의 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2축 연신 환상 폴리올레핀 필름(Zeon Corporation제 「ZeonorFilm ZF-14」)을 사용했다. 광학 필름의 이활층 형성면 및 ZeonorFilm의 표면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약 1㎛의 두께로 도포하고, 롤 라미네이터로 편광자에 접합한 후, 적산 광량 1000/mJ/㎠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접착제를 경화시켜서,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필름(광학 필름), 타방의 면에 ZeonorFilm을 구비하는 편광판을 얻었다.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one side, the optical films of each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used, an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other side, a biaxially stretched cyclic polyolefin film ("ZeonorFilm ZF-14" manufactured by Zeon Corporation) was used. The UV-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1 µm on the release layer formation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nd the surface of ZeonorFilm, bonded to a polarizer with a roll laminator,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f an accumulated light amount of 1000/mJ/
[평가][evaluation]
<이활층의 잔존 알칼리량><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Evidence Layer>
이활층에 잔존하는 트리에틸아민 및 암모니아의 양을 정량했다. 트리에틸아민의 잔존량은 광학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이활층을 깎아낸 분말을 칭량하고 메탄올에 용해하고, 용액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GC/MS)법에 의해 정량했다. 암모니아의 잔존량은 광학 필름을 25℃의 순수에 침지한 후, 120℃의 건조기에서 60분간의 가열 추출을 행하고, 수 중에 용출된 암모니아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했다. 트리에틸아민의 양과 암모니아의 양의 합계를 잔존 알칼리량이라고 했다.The amount of triethylamine and ammonia remaining in the lubricating layer was quantified. For the residual amount of triethylamine, the powder obtained by removing the release layer from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was weighed, dissolved in methanol, and qua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of the solution. For the remaining amount of ammonia, after immersing the optical film in pure water at 25°C, heat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in a dryer at 120°C, and ammonia eluted in water was quantified by ion chromatography. The sum of the amount of triethylamine and the amount of ammonia was referred to as the amount of residual alkali.
<이활층의 밀착성><Adhesion of the smooth layer>
광학 필름의 이활층 형성면에 점착테이프(Nitto Denko Corporation제 「No. 31B」)를 선압 8kg/m, 압착 속도 0.3m/분으로 압착하고, 50℃에서 48시간 보존한 후, 점착테이프의 선단을 파지하고 인장 속도 30m/분으로 180°박리 시험을 행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이활층의 밀착성을 판정했다. An adhesive tape ("No. 31B"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was pressed on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t a pressure of 8 kg/m and a compression rate of 0.3 m/min, stored at 50° C. for 48 hours, and then the tip of the adhesive tape. Was gripped, a 180° peeling test was performed at a tensile speed of 30 m/min, and the adhesion of the release layer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아크릴계 필름으로부터 이활층이 박리되지 않고 점착테이프와 이활층의 계면에서 박리된 것○: The release layer was not peeled off from the acrylic film, but peeled off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tape and the release layer.
×: 아크릴계 필름과 이활층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한 것X: Peeling occurr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crylic film and the release layer
<목시 평가><Visual evaluation>
광학 필름의 표면을 목시로 관찰하고, 실리카 입자의 응집에 의한 국소적인 탁함(헤이즈 상승)의 유무, 및 이활층 비형성면에 있어서의 상처의 유무를 평가했다.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cal turbidity (haze rise) due to aggregation of silica particl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ound on the non-release layer-formed surface were evaluated.
○: 실리카 입자의 응집이 없고 면내의 균일성이 양호하고, 스크레치가 확인되지 않은 것○: No aggregation of silica particles, good in-plane uniformity, and no scratches
△: 실리카 입자의 응집에 의한 탁함은 보여지지 않았지만, 이활층 비형성면에 깊이 1㎛ 이하의 상처가 확인된 것△: No cloudiness due to agglomeration of silica particles was observed, but a wound with a depth of 1 μm or less was observed on the non-development layer
×: 실리카 입자의 응집에 의한 탁함 및 이활층 비형성면의 상처가 확인된 것×: Cloudiness due to agglomeration of silica particles and scratches on the non-release layer formed surface were confirmed
<계면층의 유무><Presence of hierarchical layer>
광학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에 의해 관찰하고, 아크릴계 필름과 이활층의 계면에 있어서 이활층 중의 입자가 아크릴계 필름에 매설되어 있는 영역(계면층)의 유무를 확인했다. 실시예 3(계면층 있음)의 TEM 관찰상을 도3, 비교예 4(계면층 없음)의 TEM 관찰상을 도 4에 나타낸다.The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crylic film and the releasing lay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gion (interface layer) in which particles in the releasing layer were embedded in the acrylic film was confirmed. Fig. 3 shows a TEM observation image of Example 3 (with an interface layer), and Fig. 4 shows a TEM observation image of Comparative Example 4 (without an interface layer).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Humidification durability of polarizing plate>
편광판을 320mm×240mm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환상 폴리올레핀 필름측의 면을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서 유리 상에 접합했다. 이 시료를 온도 60℃, 상대 습도 90%(조건 1)의 항온 항습조, 또는 온도 85℃, 상대 습도 85%(조건 2)의 항온 항습조에 넣고, 500시간 유지해서 가열·가습 내구 시험을 실시했다.The polarizing plate was cut out to a size of 320 mm x 240 mm, and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cyclic polyolefin film was bonded to the glass through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20 µm. Put this sample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ank with a temperature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Condition 1), or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ank with a temperature of 85°C and 85% relative humidity (Condition 2), and hold it for 500 hours to conduct a heating/humidification endurance test. did.
내구 시험 전의 편광도(P0) 및 내구 시험 후의 편광도(P)를 측정하여, 편광도의 변화량(ΔP)=|P-P0|을 산출했다. 또한, 내구 시험 후의 편광판 상에 다른 편광판을 직교 니콜로 배치하고, 목시로 관찰해서 줄무늬 형상의 얼룩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The degree of polarization (P 0 ) before the endurance test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P) after the endurance test were measur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gree of polarization (ΔP) = |PP 0 | was calculated. Moreover, o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durability test, another polarizing plate was arrange|positioned by orthogonal Nicols, it observed visual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ripe-like unevenness was confirmed, and it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조건 1 및 조건 2 중 어느 내구 시험 후의 시료도 줄무늬 얼룩이 관찰되지 않음◎: No streak unevenness was observed in any of the samples after the endurance test among
○: 조건 1의 내구 시험 후의 시료에는 줄무늬 얼룩이 관찰되지 않고, 조건 2의 내구 시험 후의 시료에서는 약간의 줄무늬 얼룩이 시인됨○: No streak unevenness was observed in the sample after the endurance test under
△: 조건 1 및 조건 2의 내구 시험 후의 양방의 시료에 있어서 약간의 줄무늬 얼룩이 시인됨△: In both samples after the endurance test of
×: 조건 1 및 조건 2의 내구 시험 후의 양방의 시료에 있어서 줄무늬 얼룩이 명백히 시인됨×: In both samples after the endurance test under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필름의 제작 조건(연신 온도 및 연신 후의 이활층의 두께),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목시, 밀착성, 계면층의 유무), 및 편광판의 내구 시험 결과(줄무늬 얼룩의 유무 및 편광도의 변화량(ΔP))를 표 2에 나타낸다.Preparation conditions of the optical film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ickness of the release layer after stretch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optical film (visibility, adhesion, presence or absence of an interface layer), and durability test results of the polarizing p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reaks, and Table 2 shows the amount of change in polarization degree (ΔP)).
두께 350nm의 이활층을 구비하는 비교예 2의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필름과 이활층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광학 필름의 외관도 양호했다. 그러나, 이 광학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편광판은 가습 내구 시험 후의 편광도의 저하가 크고, 현저한 줄무늬 형상의 얼룩이 확인되었다. 연신 온도(이활층 형성시의 가열 온도)가 120℃ 이하인 비교예 3∼5에 있어서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가습 내구 시험 후의 편광도의 저하가 크고, 현저한 줄무늬 형상의 얼룩이 확인되었다.The optical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provided with a 350 nm-thick release layer had good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film and the release layer, and the appearance of the optical film was also good. However, in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is optical film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decrease in the degree of polarization after the humidification endurance test was large, and a remarkable stripe-like unevenness was observed.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5 in which the stretching temperatur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forming the release layer) was 120° C. or less, similarly to Comparative Example 2, the decrease in polarization degree after the humidification endurance test was large, and marked uneven streaks were observed.
연신 온도 140℃에서 50nm∼250nm의 이활층을 형성한 실시예 1∼4의 광학 필름에는 미립자의 응집에 기인하는 백탁이 보여지지 않고 양호한 외관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의 광학 필름은 이활층 비형성면에 미세한 상처가 보여졌지만, 다른 부재와의 접합 시에 점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매립되어 광학적인 결점이 되지 않을 레벨의 상처였다. 또한, 실시예 1∼4의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은 비교예 2의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에 비해서,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고, 줄무늬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었다.In the optical films of Examples 1 to 4 in which the releasing layer of 50 nm to 250 nm was form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140° C., no white turbidity due to aggregation of fine particles was observed, and a good appearance was exhibited. Further, in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 a fine wound was observed on the non-release layer formed surface, but was buried by an adhesive or an adhesive during bonding with other members, and thus was a wound at a level at which no optical defects would occur. Moreover, compared with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optical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optical film of Examples 1-4 was excellent in humidification durability, and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uneven streaks was suppressed.
두께 30nm의 이활층을 형성한 비교예 1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은 양호했지만, 실리카 미립자의 응집에 의한 백탁 및 이활층 비형성면의 손상이 보여져서, 외관이 열화하여 있었다. 상처의 발생은 분산성의 저하에 의해 실리카 미립자가 이활층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하여, 광학 필름의 슬라이딩성이 저하한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The optical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rele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 nm was formed had good humidification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but white turbidity due to aggregation of silica fine particles and damage to the non-release layer formed surface were observed, and the appearance was deteriora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wound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lubricating layer due to the decrease in dispersibility, and the sliding property of the optical film is decreased.
실시예 1∼4와 비교예 1, 2의 대비로부터, 이활층의 두께가 작고, 잔존 알칼리 성분이 적을수록, 가습 내구 시험 후의 줄무늬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어, 가습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활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고, 잔존 알칼리 성분이 과도하게 작으면, 미립자의 분산성의 저하에 기인하여 외관 불량이나 슬라이딩성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rom the comparison betwee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layer and the smaller the residual alkali component, the more the occurrence of streaks after the humidification durability test was suppressed, and a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humidification durability was obtained. I ca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lubricating layer is excessively small and the residual alkali component is excessively small, it can be seen that poor appearance and poor sliding properties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dispersibility of the fine particles.
연신 온도 160℃ 또는 180℃에서 두께 200nm의 이활층을 형성한 실시예 5및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광학 필름의 외관 및 편광판의 가습내구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연신 온도 80∼120℃에서 두께 200nm의 이활층을 형성한 비교예 3∼5에서는 이활층의 잔존 알칼리량이 많고, 비교예 2와 같이 편광판의 가습 내구 시험 후에 현저한 줄무늬 얼룩이 확인되었다. In Examples 5 and 6, in which a 200 nm-thick release layer was form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160°C or 180°C, as in Example 3, the appearance of the optical film and the humidification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were excellent.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5 in which the rele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0 nm was form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80 to 120°C, the 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the release layer was large, and as in Comparative Example 2, after the humidification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ing plate, remarkable streaks were observed.
이들의 결과로부터, 미립자의 분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이활층의 잔존 알칼리량을 저하시킴으로써,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se results, it is understood that an optical film excellent in humidification durability of a polarizing plate can be obtained when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y reducing the amount of alkali remaining in the lubricating layer within a range not reduc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fine particles.
저온에서 연신을 행한 비교예 3∼5에서는 다른 예에 비해서 아크릴계 필름과 이활층의 밀착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실시예 3 등에서는 아크릴계 필름과 이활층의 계면에 있어서, 아크릴계 필름에 입자가 매립된 상태의 계면층(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에 대해서, 비교예 3∼5에서는 계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도 4 참조). 이들 결과로부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가열 온도를 높임으로써,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알칼리 성분을 효율적으로 휘발시켜서 잔존 알칼리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필름 기재와 이활층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s 3 to 5, which was stretched at a low temperature, the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film and the release layer was deteriorated compared to other examples. In Example 3 and the lik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crylic film and the release layer, the interface layer (see Fig. 3) wa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particles were embedded in the acrylic film,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5, the interface layer was not formed. Did not (see Fig. 4). From these results,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fficiently volatilize the alkali component in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b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after applying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to reduce the amount of remaining alkali, the film substrate and the release layer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at the interface can be improved.
1: 광학 필름
11: 필름 기재
15: 이활층
2: 투명 필름
5: 편광자
6, 7: 접착제층
100, 101: 편광판1: optical film
11: film substrate
15: dividing layer
2: transparent film
5: polarizer
6, 7: adhesive layer
100, 101: polarizer
Claims (19)
상기 이활층은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이활층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이 5∼75ppm인 광학 필름.As an optical film comprising a release layer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The release layer contains a binder resin and fine particles,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content of the alkali component in the release layer is 5 to 75 ppm.
상기 이활층의 두께가 40∼280nm인 광학 필름.The method of claim 1,
An optical film having a thickness of the release layer of 40 to 280 nm.
상기 투명 필름 기재와 상기 이활층의 계면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상기 투명 필름 기재에 매설되어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optical film in which a region in which the fine particles are embedded in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is pres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and the release layer.
상기 미립자가 무기 미립자인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ptical film in which the fine particles are inorganic fine particles.
상기 미립자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이 10∼250nm인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optical film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of 10 to 250 nm.
상기 이활층 중의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3∼50중량%인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optical film in which the content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release layer is 3 to 50% by weight.
상기 투명 필름 기재가 아크릴계 필름인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optical film in which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is an acrylic film.
상기 이활층의 상기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계 수지인 광학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optical film in which the binder resin of the release layer is a urethane-based resin.
투명 필름 기재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 또는 그 전구 물질, 미립자, 알칼리 성분 및 용매를 함유하는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투명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상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하여 상기 용매 및 상기 알칼리 성분을 휘발시키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a binder resin or a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containing a precursor thereof, fine particles, an alkali component, and a solvent is applied,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solvent and the alkali component are volatilized by hea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by 10° C.
상기 알칼리 성분이 상기 무기 미립자의 분산 촉진 작용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alkali component has a function of promoting dispersion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상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수지의 전구 물질로서 폴리우레탄 전구 물질을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성분으로서 제 3 급 아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release layer contains a polyurethane precursor as a precursor of the binder resin, and a tertiary amine as the alkali component.
상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알칼리 성분으로서 비점이 150℃ 이하인 아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The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lubricating layer contains an amine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C or less as the alkali component.
상기 투명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상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이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상기 투명 필름 기재를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coated with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while heating the release layer-forming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by 10°C or more .
상기 투명 필름이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인 편광판.A polyvinyl alcohol-based polarize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and a transparent film bond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said transparent film is a polarizing plate which is the optical film in any one of Claims 1-8.
상기 광학 필름의 이활층 비형성면이 상기 편광자의 제 1 주면에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The method of claim 14,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release layer non-forming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s bond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polarizer.
상기 광학 필름의 이활층 비형성면이 광양이온 중합성의 접착제 또는 광양이온 중합과 광라디칼 중합의 하이브리드형 접착제를 통해서 상기 편광자의 제 1 주면에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The method of claim 15,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non-release layer formed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s bond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a photo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 or a hybrid adhesive of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and photoradical polymerization.
상기 광학 필름의 이활층 형성면이 상기 편광자의 제 1 주면에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The method of claim 14,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release layer formation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s bond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polarizer.
상기 광학 필름의 이활층 비형성면이 광라디칼 중합성의 접착제를 통해서 상기 편광자의 제 1 주면에 접합되어 있는 편광판.The method of claim 17,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non-release layer formed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s bond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a photoradically polymerizable adhesive.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display cell and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7018457A KR20220079700A (en) | 2018-07-25 | 2019-07-22 |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39850 | 2018-07-25 | ||
JPJP-P-2018-139850 | 2018-07-25 | ||
JPJP-P-2019-133317 | 2019-07-19 | ||
JP2019133317A JP6644932B1 (en) | 2018-07-25 | 2019-07-19 |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PCT/JP2019/028657 WO2020022269A1 (en) | 2018-07-25 | 2019-07-22 |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8457A Division KR20220079700A (en) | 2018-07-25 | 2019-07-22 |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9978A true KR20210039978A (en) | 2021-04-12 |
KR102431158B1 KR102431158B1 (en) | 2022-08-11 |
Family
ID=694121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175A KR102718704B1 (en) | 2018-07-25 | 2019-07-17 |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
KR1020207011185A KR102431158B1 (en) | 2018-07-25 | 2019-07-22 |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KR1020190088838A KR102452987B1 (en) | 2018-07-25 | 2019-07-23 | Easy adhe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175A KR102718704B1 (en) | 2018-07-25 | 2019-07-17 |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838A KR102452987B1 (en) | 2018-07-25 | 2019-07-23 | Easy adhe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3) | JP6644927B1 (en) |
KR (3) | KR102718704B1 (en) |
CN (2) | CN111433025A (en) |
TW (3) | TWI76397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22012B2 (en) | 2020-11-18 | 2024-07-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Film manufacturing system and film manufacturing method |
JP7249985B2 (en) | 2020-11-20 | 2023-03-31 | 日東電工株式会社 | Film manufacturing method |
JP7097939B2 (en) | 2020-11-20 | 2022-07-08 | 日東電工株式会社 | Film roll manufacturing method |
KR20220076315A (en) | 2020-11-30 | 2022-06-0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Film manufacturing system |
JP7407694B2 (en) | 2020-12-16 | 2024-01-04 | 日東電工株式会社 | Film manufacturing method |
KR20240004226A (en) * | 2021-04-30 | 2024-01-11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Laminated Optical Film |
CN113487965B (en) * | 2021-06-22 | 2022-12-2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Support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module |
JP7499743B2 (en) * | 2021-10-19 | 2024-06-14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image display devic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1405A (en) * | 2000-03-28 | 2001-10-10 | Fuji Photo Film Co Ltd | Glare proof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90050108A (en) * | 2006-03-13 | 2009-05-19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JP2009205135A (en) * | 2008-01-31 | 2009-09-10 | Nitto Denko Corp |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
KR20100027149A (en) * | 2007-06-26 | 2010-03-10 |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 Clear hard coat film,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s and displays, made by using the same |
JP2010055062A (en) * | 2008-07-29 | 2010-03-11 | Nitto Denko Corp | Polarizer-protec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polarizer-protecting film |
KR20160034831A (en) * | 2014-09-22 | 2016-03-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having excellent water-resisting qualities and solvent resistanc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JP2017003906A (en) * | 2015-06-15 | 2017-01-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31970Y2 (en) | 1976-10-13 | 1980-07-30 | ||
WO2000044841A1 (en) * | 1999-01-27 | 2000-08-03 |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 Surface-protective film |
JP2005315317A (en) * | 2004-04-28 | 2005-11-10 | Mitsuboshi Belting Ltd | Polyurethane-made belt |
TW200712579A (en) * | 2005-08-12 | 2007-04-0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
JP2007268928A (en) * | 2006-03-31 | 2007-10-18 | Mitsubishi Paper Mills Ltd | Inkjet recording medium |
JP5779863B2 (en) * | 2009-11-30 | 2015-09-1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
CN103080778B (en) * | 2010-09-30 | 2016-07-0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Optical laminate, polaroid and image display device |
JP5313297B2 (en) * | 2010-12-24 | 2013-10-09 | 日東電工株式会社 |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
JP5109094B2 (en) * | 2011-02-02 | 2012-12-26 | 東洋紡株式会社 | Easy-adhesive polyester film for polarizer protection |
TWI541534B (en) * | 2011-10-17 | 2016-07-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JP2014048347A (en) * | 2012-08-29 | 2014-03-17 | Nippon Shokubai Co Ltd | Optical film and use of the same |
KR101443845B1 (en) * | 2012-09-03 | 2014-09-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larizing plate comprising hard coating film |
KR101657356B1 (en) * | 2013-09-30 | 2016-09-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la film including coated functional lay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1630528B1 (en) * | 2013-09-30 | 2016-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comprising primer layer comprising polyester-resin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
JP6424084B2 (en) * | 2014-12-17 | 2018-11-14 | 株式会社クラレ | Film and film manufacturing method |
JP6689031B2 (en) * | 2015-03-27 | 2020-04-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stack |
JP6583956B2 (en) * | 2015-03-31 | 2019-10-02 | 三菱製紙株式会社 | Light control sheet |
KR101951864B1 (en) * | 2016-03-14 | 2019-02-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
JP6434437B2 (en) * | 2016-03-24 | 2018-12-05 | 藤森工業株式会社 | Release film with excellent releasability |
JPWO2017164045A1 (en) * | 2016-03-25 | 2019-01-3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Multilayer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
CN109689363A (en) * | 2016-09-23 | 2019-04-26 | 日本瑞翁株式会社 | Multilayer film, polariz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6683097B2 (en) * | 2016-09-30 | 2020-04-15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film |
JP6674371B2 (en) * | 2016-12-14 | 2020-04-01 | 株式会社トッパンTomoegawaオプティカルフィルム |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
JP2018109660A (en) * | 2016-12-28 | 2018-07-12 | 住友化学株式会社 | Acrylic resi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JP6568666B1 (en) * | 2019-02-21 | 2019-08-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Easy-adhes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2019
- 2019-02-18 TW TW108105314A patent/TWI763976B/en active
- 2019-03-12 JP JP2019045270A patent/JP6644927B1/en active Active
- 2019-07-17 KR KR1020207011175A patent/KR10271870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17 CN CN201980006231.4A patent/CN111433025A/en active Pending
- 2019-07-19 JP JP2019133283A patent/JP7014755B2/en active Active
- 2019-07-19 JP JP2019133317A patent/JP6644932B1/en active Active
- 2019-07-22 CN CN201980006223.XA patent/CN111448246B/en active Active
- 2019-07-22 KR KR1020207011185A patent/KR10243115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22 TW TW108125842A patent/TWI764018B/en active
- 2019-07-23 KR KR1020190088838A patent/KR10245298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24 TW TW108126154A patent/TWI766174B/en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1405A (en) * | 2000-03-28 | 2001-10-10 | Fuji Photo Film Co Ltd | Glare proof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90050108A (en) * | 2006-03-13 | 2009-05-19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KR20100027149A (en) * | 2007-06-26 | 2010-03-10 |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 Clear hard coat film,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s and displays, made by using the same |
JP2009205135A (en) * | 2008-01-31 | 2009-09-10 | Nitto Denko Corp |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
JP2010055062A (en) * | 2008-07-29 | 2010-03-11 | Nitto Denko Corp | Polarizer-protec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polarizer-protecting film |
JP5354733B2 (en) | 2008-07-29 | 2013-11-27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polarizer protective film |
KR20160034831A (en) * | 2014-09-22 | 2016-03-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ptical film having excellent water-resisting qualities and solvent resistanc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JP2017003906A (en) * | 2015-06-15 | 2017-01-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644927B1 (en) | 2020-02-12 |
TWI766174B (en) | 2022-06-01 |
JP2020023171A (en) | 2020-02-13 |
TW202012979A (en) | 2020-04-01 |
JP7014755B2 (en) | 2022-02-01 |
KR102452987B1 (en) | 2022-10-12 |
KR20210037598A (en) | 2021-04-06 |
TWI764018B (en) | 2022-05-11 |
TW202012166A (en) | 2020-04-01 |
TWI763976B (en) | 2022-05-11 |
CN111433025A (en) | 2020-07-17 |
KR20200012754A (en) | 2020-02-05 |
JP2020023170A (en) | 2020-02-13 |
CN111448246B (en) | 2021-08-31 |
JP2020024367A (en) | 2020-02-13 |
KR102431158B1 (en) | 2022-08-11 |
CN111448246A (en) | 2020-07-24 |
JP6644932B1 (en) | 2020-02-12 |
KR102718704B1 (en) | 2024-10-17 |
TW202007743A (en) | 2020-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1158B1 (en) |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CN110497672B (en) | Easy-to-adher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6568666B1 (en) | Easy-adhes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KR102544911B1 (en) |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23095953A (en) | Easily adhesive film | |
CN113759455B (en) |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WO2019155791A1 (en) |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WO2020022164A1 (en) |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