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288A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이스 코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1288A KR20210031288A KR1020190113054A KR20190113054A KR20210031288A KR 20210031288 A KR20210031288 A KR 20210031288A KR 1020190113054 A KR1020190113054 A KR 1020190113054A KR 20190113054 A KR20190113054 A KR 20190113054A KR 20210031288 A KR20210031288 A KR 20210031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ic polyol
- weight
- base coat
- polyolefin resin
- coat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고, 내습성, 내방향제성 및 내썬크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은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도장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도장 처리는 통상적으로 화염이나 코로나 방전 처리를 통하여 플라스틱 부품과 도료 간의 표면장력을 향상시키는 전처리, 플라스틱 부품과 베이스 도막의 부착력 상향을 위한 프라이머 처리, 및 플라스틱 부품의 외관 특성 향상 및 외관 보호를 위한 베이스 도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난연 소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계, 나일론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계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프라이머로는, 난연 소재에 대해 부착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수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베이스 코트는 통상적으로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792,937호(특허문헌 1)에는 염소화된 수성 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성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지방족 우레탄, 지방족 우레탄 개질용 실리콘 폴리올 및 N-메틸-2-피롤리돈을 함유한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표면의 수성 코팅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코팅방법은 프라이머 코팅 후 가열 건조하고 베이스 코팅을 진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조된 도막이 내습성,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고, 제조된 도막이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전이온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더불어, "산가" 및 "수산기가"와 같은 작용기가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정(titration)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는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Cl)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한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및 올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말레산일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말레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내지 100,000 g/mol, 또는 60,000 내지 90,000 g/mol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장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염소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상일 수 있으며, 작업성을 위해, 고형분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가 되도록 용제에 녹인 형태일 수도 있다.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아크릴 수지와의 상용성 및 도료의 저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드너 점도)가 A4 내지 A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드너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료의 저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부, 또는 17 내지 23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도막의 기초 물성인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제1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방향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3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50 내지 70 mgKOH/g, 또는 60 내지 7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38 내지 45 ℃, 또는 40 내지 44 ℃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아세톤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 내지 30,000 g/mol, 또는 18,000 내지 25,000 g/mol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5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썬크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3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20mgKOH/g 이상 50mgKOH/g 미만, 또는 35 내지 4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45℃ 초과 60℃ 이하, 또는 46 내지 55 ℃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5,000 g/mol, 또는 23,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5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 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장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6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아세톤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
제3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아세톤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120 내지 150 mgKOH/g, 또는 130 내지 14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25℃ 이상 38℃ 미만, 또는 30 내지 35 ℃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가교밀도를 증량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 g/mol, 또는 13,000 내지 20,000 g/mol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 또는 53 내지 65 중량%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8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2.0 내지 3.5 : 1 : 4 내지 6의 중량비, 또는 2.3 내지 3.0 : 1 : 4.0 내지 5.5의 중량비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을 22 내지 46 중량부, 또는 25 내지 4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안료, 첨가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료
상기 안료는 통상적으로 도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광제, 조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광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광제는 도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상기 소광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8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색제는 제조된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조색제는 예를 들어,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색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색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막의 은폐력이 부족한 문제, 및 도막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도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반응지연제, 얼룩방지제,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또는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정제는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조정제로는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계 표면조정제 또는 비실리콘계 표면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정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표면조정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미만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재도장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도료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촉진제로서는 가교도를 높이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스테니어스옥테이트, 디부틸틴머켑타이드 등의 금속화합물; 트리에틸디아민, 트리에타놀아민, 1,4-디아조사이클로옥탄, 디메틸에탄올아민, 에틸모르피린, 디메틸아미노에틸모르포린, 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의 3차 아민; 및 알칼리 금속의 카복시산염 또는 아연계 착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과량으로 적용될 경우, 가사시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반응지연제는 조성물의 가사시간(Pot Life)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반응지연제는, 예를 들어, 글리콜 디(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GDMP, glycol di(3-mercaptopropionate))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지연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이 없는 한에서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얼룩방지제는 도료를 도막에 도장 후 생기는 얼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얼룩방지제는, 예를 들어, 합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얼룩방지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이 없는 한에서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도막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왁스는 도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왁스, 불소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도막의 두께를 조절하고 조성물의 도막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용제는 비극성 용제 및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제는 예를 들어, n-헵탄 및 n-헥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극성 용제는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성 용제는 에스테르계 용제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용제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면 조성물의 부착력 저하나 내구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소량 사용되면 용제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3종의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 코트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제부는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80 KU, 또는 57 내지 63 KU이고, 주제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 또는 33 내지 39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부
상기 경화제부는 경화제 및 경화제부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주제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경화 속도, 부착성, 도막 경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저가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독중합체 및 변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제부 내의 하이드록실기의 당량비는 1 내지 2 : 1일 수 있다. 상기 당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도, 내수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막의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적당한 용제로 희석하여 별도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직전에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6.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사용하여 주제부를 제조하였다.
이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주제부의 하이드록실기를 1:1의 당량비로 혼합하여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신너를 첨가하여 25℃에서 4호 포드컵 점도를 12 내지 14초로 조절하였다.
성분(중량부) | 실시예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폴리올레핀 수지1 | 22 | 20 | - | - | 17 | 23 | 20 | 18 | 19 |
폴리올레핀 수지2 | - | - | 22 | - | - | - | - | - | - |
폴리올레핀 수지3 | - | - | - | 20 | - | - | - | - | - |
제1-1 아크릴 폴리올 | 10.5 | 12.5 | - | - | 15 | 8 | 11 | 11 | 12.5 |
제1-2 아크릴 폴리올 | - | - | 10.5 | - | - | - | - | - | - |
제1-3 아크릴 폴리올 | - | - | - | 12.5 | - | - | - | - | - |
제2-1 아크릴 폴리올 | 4.5 | 4.5 | - | - | 5 | 3 | 4 | 4.7 | 5 |
제2-2 아크릴 폴리올 | - | - | 4.5 | - | - | - | - | - | - |
제2-3 아크릴 폴리올 | - | - | - | 4.5 | - | - | - | - | - |
제3-1 아크릴 폴리올 | 22.5 | 22.5 | - | - | 20 | 16.5 | 20 | 25 | 23 |
제3-2 아크릴 폴리올 | - | - | 22.5 | - | - | - | - | - | - |
제3-3 아크릴 폴리올 | - | - | - | 22.5 | - | - | - | - | - |
얼룩방지제 | 2.5 | 2.5 | 2.5 | 2.5 | 3.5 | 3.5 | 2.5 | 2.5 | 2.5 |
소광제 | 11 | 11 | 11 | 11 | 11 | 12 | 11 | 11.8 | 11 |
왁스 | 1 | 1 | 1 | 1 | 2 | 2 | 1 | 1 | 1 |
조색제 | 13.6 | 13.6 | 13.6 | 13.6 | 14.1 | 14.6 | 13.6 | 13.6 | 13.6 |
반응지연제 | 1 | 1 | 1 | 1 | 1.5 | 2 | 2 | 1 | 1 |
경화촉진제 | 1.4 | 1.4 | 1.4 | 1.4 | 1.4 | 2.4 | 2.4 | 1.4 | 1.4 |
용제 | 10 | 10 | 10 | 10 | 9.5 | 13 | 12.5 | 10 | 10 |
총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성분(중량부)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
폴리올레핀 수지1 | - | 24 | 23.5 | 25.5 | 24.5 | 22 |
제1-1 아크릴 폴리올 | 14.5 | - | 13 | 14 | - | - |
제1-4 아크릴 폴리올 | - | - | - | - | - | 10.5 |
제2-1 아크릴 폴리올 | 8.5 | 6.5 | - | 8 | - | - |
제2-4 아크릴 폴리올 | - | - | - | - | - | 4.5 |
제3-1 아크릴 폴리올 | 26.5 | 24.5 | 23 | - | 25 | - |
제3-4 아크릴 폴리올 | - | - | - | - | - | 22.5 |
얼룩방지제 | 3.5 | 3.5 | 2.5 | 4.5 | 4 | 2.5 |
소광제 | 12 | 13 | 11 | 13 | 12 | 11 |
왁스 | 2 | 1 | 1 | 2 | 1.5 | 1 |
조색제 | 14.6 | 13.6 | 13.6 | 15.6 | 14.6 | 13.6 |
반응지연제 | 2 | 1 | 1 | 2 | 1.5 | 1 |
경화촉진제 | 2.4 | 1.4 | 1.4 | 2.4 | 1.9 | 1.4 |
용제 | 14 | 11.5 | 10 | 13 | 15 | 10 |
총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의 제조사 및 제품명 등은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성분 | 제조사 및 제품명 | 비고 |
폴리올레핀 수지1 |
- | 고형분 함량: 15중량%, 말레산 함유량: 1.5중량%, 염소 함량: 25중량%, Mw: 75,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2 |
폴리올레핀 수지2 |
- | 고형분 함량: 21중량%, 말레산 함유량: 2중량%, 염소 함량: 28중량%, Mw: 90,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 |
폴리올레핀 수지3 |
- | 고형분 함량: 25 중량%, 말레산 함유량: 1중량%, 염소 함량: 21중량%, Mw: 60,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4 |
제1-1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1중량%, OHv: 66mgKOH/g, Tg: 41.8℃, Mw: 21,650g/mol |
제1-2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46중량%, OHv: 60mgKOH/g, Tg: 40.2℃, Mw: 18,120g/mol |
제1-3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4중량%, OHv: 69.3mgKOH/g, Tg: 43.7℃, Mw: 24,880g/mol |
제1-4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1중량%, OHv: 135mgKOH/g, Tg: 65.2℃, Mw: 22,580g/mol |
제2-1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0중량%, OHv: 40.1mgKOH/g, Tg: 50℃, Mw: 26,340g/mol |
제2-2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45중량%, OHv: 35.4mgKOH/g, Tg: 46.1℃, Mw: 23,530g/mol |
제2-3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3중량%, OHv: 44.2mgKOH/g, Tg: 54.5℃, Mw: 29,600g/mol |
제2-4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0중량%, OHv: 58mgKOH/g, Tg: 31.2℃, Mw: 25,000g/mol |
제3-1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8중량%, OHv: 138.9mgKOH/g, Tg: 32.4℃, Mw: 16,775g/mol |
제3-2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4중량%, OHv: 130.6mgKOH/g, Tg: 30℃, Mw: 13,210g/mol |
제3-3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64중량%, OHv: 145mgKOH/g, Tg: 34.5℃, Mw: 19,560g/mol |
제3-4 아크릴 폴리올 | - | 고형분 함량: 58중량%, OHv: 18mgKOH/g, Tg: 80.2℃, Mw: 18,000g/mol |
얼룩방지제 | 제조사: EVONIC, 제품명: AEROSIL R-972 |
합성 실리카 |
소광제 | 제조사: PQ coporation, 제품명: Gasil HP-33 | 비정질 실리카 |
왁스 | 제조사: HUNGSAN HWASUNG, 제품명: HPA-405 | - |
조색제 | 제조사: KCC,제품명: YX1234K | - |
반응지연제 | 제조사: THIOCHEMICALS, 제품명: CHIOCURE GDMP | 글리콜 디(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
경화촉진제 | 제조사: SONGWON, 제품명: SONGSTAB TL-100 |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BTDL) |
용제 | - |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1:1.6:0.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
시험예: 제조된 도막의 특성 평가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건조도막두께: 17~23㎛)을 도장한 후, 80℃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경화시켜 도막을 얻었다. 이후 조성물의 도장 작업성, 도막의 외관 및 물성을 하기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1) 외관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건조도막두께: 17~23㎛)을 도장한 후, 80℃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경화시켜 도막을 얻은 후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홈 및 칠퍼짐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없고, 칠퍼짐성이 양호한 경우, 우수(◎),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은 없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양호(○), 육안 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미세하게 있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보통(△), 육안 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있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2) 도장작업성
30cm×40cm(가로×세로) 틴플레이트에 IWATA 61건을 이용하여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왕복 2회 도장하여 도장시 도료의 무화 정도, 평활성의 정도 및 도막 살오름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육안상 표면 내 칠퍼짐성이 양호하며 살오름성이 우수한 경우 우수(◎), 육안상 살오름성은 양호하나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양호(○), 육안상 살오름성 및 칠퍼짐성이 부족하며 도장이물이 3점 미만으로 발생한 경우 보통(△), 도장이물이 3점 이상이며 크레터링이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3) 부착성
도막의 부착성을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칼날로 가로 및 세로 각각 100개의 정사각형(가로 1mm × 세로 1mm)으로 긋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떼어내어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100개의 정사각형이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우수(◎), 남은 정사각형이 95% 이상 100% 미만인 경우 양호(○), 90% 이상 95% 미만인 경우 보통(△), 85% 이상 90% 미만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4) 내습성
40℃ 항온조에 도막을 10일간 침적한 후 도막의 부착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100개의 정사각형 중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우수(◎), 95% 이상 100%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양호(○), 90% 이상 95%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보통(△), 90%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5) 내썬크림성
아크릴판(50㎜×50㎜, 가로×세로)에 같은 크기의 백면포(Toyosynthetic CH2070-3상당품) 2장을 겹쳐 올린 후 썬크림(니베아 SPF47) 0.25 g을 전면에 도포하였다. 이후, 썬크림 도포 부위를 도막 위에 올리고 아크릴판을 눌러 밀착시켰다. 이후, 80±2℃의 항온조 내에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백면포와 아크릴판을 제거한 후, 10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중성세제로 씻어내고 건조한 후 도막의 부착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상기 항목 (3)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6) 내아세톤성
이소부탄올, 에탄올 및 메탄올 각각을 천에 묻혀 500g 하중으로 최종 도막을 10회 문질러 내아세톤성을 평가하였다. 테스트 결과 도막이 벗겨지지 않고 변색이 되지 않은 경우 우수(◎), 도막이 벗겨지지않고 GREY SCALE 4급인 경우 양호(○), 도막이 벗겨지지 않고 GREY SCALE 3급인 경우 보통(△), 도막이 벗겨지거나 GREY SCALE 2급 이하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7) 내방향제성
지름 20mm 크기의 알루미늄 캡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막 표면에 부착하고, 0.2ml의 방향제 평가액(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LYL ACETATE): 리모넨(limonene): 리날울(linalool) = 4: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캡 내부에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5분간 방치했다. 그 후, 70±2℃ 항온조 내에 30분간 방치한 후 꺼내고, 부착한 알루미늄 캡을 제거한 후 도막 표면을 육안 조사했다.
테스트 결과, 도막에 육안상 주름이 없고, 도막을 손으로 만졌을 경우에도 주름이 없는 경우 우수(◎), 육안상 주름은 없으나, 도막을 손으로 만졌을 때 주름이 생기는 경우 양호(○), 육안상 미세 주름이 생긴 경우 보통(△), 육안상 주름이 매우 심한 경우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도장 작업성 | 외관 | 부착성 | 내습성 | 내썬크림성 | 내아세톤성 | 내방향제성 | ||
실시예 | 1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9 | ○ | ◎ | ○ | ○ | ○ | ◎ | ○ | |
비교예 | 1 | ○ | ○ | X | X | X | X | X |
2 | X | X | ◎ | ◎ | ◎ | ◎ | ◎ | |
3 | ○ | X | ◎ | △ | ◎ | △ | ◎ | |
4 | ◎ | ◎ | ◎ | ◎ | ◎ | ◎ | X | |
5 | ◎ | ◎ | ○ | △ | △ | X | X | |
6 | ◎ | ◎ | ◎ | △ | X | △ | X |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부착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아세톤성 및 내방향제성이 우수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6의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내방향제성이나 외관 특성이 부족했다.
Claims (6)
-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50 내지 70 mgKOH/g이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20mgKOH/g 이상 50mgKOH/g 미만이며,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120 내지 150 mgKOH/g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38 내지 45 ℃이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45℃ 초과 60℃ 이하이며,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 38℃ 미만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2.0 내지 3.5 : 1 : 4 내지 6의 중량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 g/mol이고, 염소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이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을 22 내지 46 중량부로 포함하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ko) | 2019-09-11 | 2019-09-11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ko) | 2019-09-11 | 2019-09-11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1288A true KR20210031288A (ko) | 2021-03-19 |
KR102303402B1 KR102303402B1 (ko) | 2021-09-23 |
Family
ID=752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ko) | 2019-09-11 | 2019-09-11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340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1335A (ko) * | 1998-12-22 | 2000-07-15 | 유철진 | 도료 조성물 |
KR100792937B1 (ko) | 2006-09-13 | 2008-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시트 표면의 수성 코팅방법 |
KR20180061667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도료 조성물 |
KR20180118971A (ko) * | 2017-04-24 | 2018-11-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솔리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3054A patent/KR1023034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1335A (ko) * | 1998-12-22 | 2000-07-15 | 유철진 | 도료 조성물 |
KR100792937B1 (ko) | 2006-09-13 | 2008-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시트 표면의 수성 코팅방법 |
KR20180061667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도료 조성물 |
KR20180118971A (ko) * | 2017-04-24 | 2018-11-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솔리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3402B1 (ko) | 2021-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07960B (zh) | 含有丙烯酸和脂族聚酯共混物的涂料组合物 | |
TW318187B (ko) | ||
JP4159600B2 (ja) | 水性二成分−ポリウレタン−被覆剤、その製造及び多層塗膜の製造法 | |
AU694171B2 (en) | Coating compositions | |
JP6014903B2 (ja) | 2液型水系1コート塗料組成物 | |
KR20010013405A (ko) |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 |
CN100334172C (zh) | 用于制备溶剂性涂料组合物的各组分的成套包装物及其用途 | |
JP5044407B2 (ja) | 塗料組成物および多層被膜を製造する方法 | |
KR102468328B1 (ko) |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 |
KR102259013B1 (ko) | 수성 프라이머 조성물 | |
CN101977973A (zh) | 制备多层涂覆的方法 | |
US7091278B2 (en) | Aqueous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 |
KR102303402B1 (ko)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
CA2487916A1 (en) | One-component flexible etch resistant clearcoat | |
KR101847421B1 (ko) | 수성 도료 조성물 | |
KR102461873B1 (ko) | 클리어 코트 조성물 | |
KR20220136819A (ko) | 저온 경화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 |
JP2004307532A (ja) | ポリプロピレン樹脂マーキングフィルム | |
KR102259014B1 (ko) |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 |
KR20200068294A (ko) | 베이스 코트 조성물 | |
KR102583106B1 (ko) | 클리어 코트 조성물 | |
US20080214721A1 (en) | Polyester-polacrylate dispersions for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 |
US5856408A (en) | Water dispersible acrylic based graft copolymers, a method of manufacture and aqueous paints | |
KR102259012B1 (ko) | 수성 베이스 도료 조성물 | |
JP6069980B2 (ja) | 水性複合樹脂組成物及び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