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97A -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3297A KR20210023297A KR1020190103308A KR20190103308A KR20210023297A KR 20210023297 A KR20210023297 A KR 20210023297A KR 1020190103308 A KR1020190103308 A KR 1020190103308A KR 20190103308 A KR20190103308 A KR 20190103308A KR 20210023297 A KR20210023297 A KR 20210023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fork
- space
- vertical direction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bene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이 수납된 트레이를 보관하고 출납할 수 있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capable of storing and depositing a tray in which cargo is stored.
자동 창고 시스템은 화물이 수납된 다수의 트레이를 보관하고, 다수의 트레이 중에서 필요한 트레이를 인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자동 창고 시스템은 트레이를 보관하는 보관 장치와, 트레이를 보관 구조에 수납하거나 보관 구조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출납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stores a plurality of trays in which cargo is stored, and takes out a required tray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rays.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rays,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trays in or withdrawing from the storage structure.
보관 장치의 일 예로서, 트레이를 보관하는 다수의 보관부가 상하 방향 및 횡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구조가 있다. 보관부는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트레이는 횡방향으로 보관부에 출입된다. 이러한 형태의 보관 장치는 트레이의 크기 변화에 대처하여 보관부의 크기를 변화시키기가 어렵다.As an example of the storage device,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tray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The storage unit is op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tray enters and exits the storage uni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is type of storage devic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ize of the storage unit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tray.
또한, 이러한 형태의 보관 장치에/로부터 트레이를 수납/인출하기 위하여는,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보관부에 개별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출납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출납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으며, 보관 장치와 출납 장치를 포함하는 단위 창고 유닛의 폭(보관 장치에 수직한 방향의 폭)이 커서, 주어진 창고 공간에 배열될 수 있는 단위 창고 유닛의 수가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tore/withdraw the tray to/from the storage device of this type, a storage device that is movab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s required so as to individually acces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cashier and the storage device is complex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width of the unit warehouse unit including the storage device and the cashier unit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orage device) is large, and the unit warehouse that can be arranged in a given warehouse space The number of units may be limited.
보관 장치로부터 인출된 트레이는 대차에 탑재되어 예를 들어 생산 라인으로 운반될 수 있다. 반대로, 트레이는 대차에 의하여 생산 라인으로부터 자동 창고 시스템을 운반되어 보관 장치에 수납될 수 있다. 자동 창고 시스템에는 전술한 형태의 보관 장치와 출납 장치를 포함하는 단위 창고 유닛이 다수 개 배열된다. 이때, 단위 창고 유닛들이 대차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야 하므로, 주어진 창고 공간에 배열될 수 있는 단위 창고 유닛의 수가 더욱 제한될 수 있다. Trays withdrawn from the storage device can be mounted on a bogie and transported, for example, to a production line. Conversely, the tray can be transported from the production line by a bogie to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a plurality of unit warehouse units including a storage device and a cashier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type are arranged. At this time, since the unit warehouse units must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secure the moving space of the truck, the number of unit warehouse units that can be arranged in a given warehouse space may be further limited.
본 발명은 출납 장치의 구조가 간단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having a simple structure of a cashier and a cashier.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창고 유닛을 배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rranging a plurality of unit warehouse units.
본 발명은 트레이의 크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capable of flexibly 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size of a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은, 트레이를 출납하는 대차의 출입 공간과, 상기 출입 공간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랙; 상기 트레이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트; 상기 적재 공간의 최하단에 위치된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로커;를 포함한다.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 space for a truck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trays, and a vertically extending loading spac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the tray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access space. Forming racks; A 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ray into the access space and the loading space; It includes; a locker for selectively locking the tray located at the bottom end of the loading space.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코너에 위치되는 다수의 코너 바; 서로 이웃하는 두 수직 랙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스테이 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ack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bar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ositioned at a corner; It may include a; stay bar for connecting two vertical ra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다수의 코너 바에는 상기 트레이가 상하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rner bars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ray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리프트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의 상기 최하단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lift may elevate the tray to the lowermost end of the access space and the loading space.
상기 리프트는, 제1포크; 상기 제1포크를 상기 트레이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포크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의 상기 최하단으로 승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includes a first fork; A first actuator for moving the first fork to a latched position on the tray and a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tray; And a second actuator for lifting the first fork to the lowermost end of the entry space and the loading space.
상기 로커는, 제2포크; 상기 제2포크를 상기 최하단의 트레이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최하단의 트레이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cker includes a second fork; And a third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fork to a locking position for locking the lowermost tray, and a third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fork to a release position released from the lowermost tray.
상기 리프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다수의 제1, 제2 지지봉;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출입 공간 쪽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포크; 상기 제1포크를 상기 트레이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걸림부와, 상기 제1, 제2걸림부를 각각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 중 하나에 걸리는 제1위치와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제2구동부와, 상기 제1, 제2걸림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includes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elevating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to be elevated by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ifting frame; A first fork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access space; A first actuator for moving the first fork to a latched position on the tray and a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tray;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respectively, and a first position and the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respectively caught b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A second actuator having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moving to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of the unit, and first and second lifting driving units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units in a vertical direction. May include;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은 상기 트레이의 높이를 피치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may be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height of the tray as a pitch.
상기 다수의 제, 제2지지봉은 상기 피치의 절반 간격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and second supporting rods may be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half the pitch.
전술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물의 사용처, 예를 들어 생산 라인 또는 출하장와 자동 창고 시스템 사이에서 트레이의 환적이 필요없다. 따라서, 화물의 사용처와 자동 창고 시스템 사이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하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물류관리 시스템 등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there is no need for the use of cargo, for example, transshipment of trays between the production line or shipping point and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Accordingly, efficient linkage between the place of use of the cargo and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is possible, and configurations of an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n be simplified.
또한, 단위 창고 유닛은 하부에 대차가 출입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므로, 다수의 단위 창고 유닛을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할 때에 창고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unit warehouse un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truck can enter and ex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warehouse space when a plurality of unit warehouse unit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또한, 트레이를 출납하기 위한 장치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면 되므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 높은 작성 신뢰성을 갖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tray only needs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so that the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having low cost and high creation reliability can be implemented.
도 1은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가이드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리프트와 로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리프트가 출입 공간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리프트와 로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리프트가 적재 공간의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트레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j는 단위 창고 유닛에 트레이를 수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i는 단위 창고 유닛으로부터 트레이를 인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단위 창고 유닛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의 배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들어올리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하강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unit warehouse unit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unit warehouse unit shown in FIG. 2.
4 is a detailed view of a guide par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ift and a lock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 is positioned in the access spac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ift and a rock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loading space.
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tray.
8A to 8J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toring a tray in a unit warehouse unit.
9A to 9I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withdrawing a tray from a unit warehouse unit.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unit warehouse unit.
11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unit warehouse unit shown in FIG. 10.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ifting a tray using a lift.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owering a tray using a lif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위 창고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2차원 배열된 다수의 단위 창고 유닛(1)을 구비한다. 각 단위 창고 유닛(1)은 상하방향, 즉 Z 방향으로 다수의 트레이(3)를 적재할 수 있는 저상형 적재 구조를 갖는다. 트레이(3)는 각 단위 창고 유닛(1)의 하부를 통하여 출납된다. 각 단위 창고 유닛(1)은 하부에 대차(2)가 출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Referring to FIG. 1, the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may include one or more unit warehouse units (1). The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plurality of
대차(2)는 무인 대차, 예를 들어 자동 경로 차량(AGV: Automated Guided Vehicle)일 수 있다. 대차(2)는 트레이(3)를 탑재하는 탑재판(2a)을 구비할 수 있다. 대차(2)는 탑재판(2a)을 상하방향, 즉 Z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트레이(3)는 대차(2)에 탑재되어 각 단위 창고 유닛(1)으로 운반된다. 대차(2)는 트레이(3)를 탑재한 상태에서 단위 창고 유닛(1)의 하부로 진입되며, 단위 창고 유닛(1)은 대차(2)로부터 트레이(3)를 받아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다. 대차(2)는 단위 창고 유닛(1)의 하부로 진입하여 단위 창고 유닛(1)으로부터 인출되는 트레이(3)를 탑재한다. 단위 창고 유닛(1)으로부터 인출된 트레이(3)는 대차(2)에 의하여 화물의 사용처, 예를 들어 생산 라인의 특정 공정, 물류 시스템의 출하장 등으로 운반될 수 있다. The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트레이(3)의 수납 위치 정보와 트레이(3)에 수납된 화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서 특정 화물이 수납된 트레이(3)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다수의 단위 창고 유닛(1) 및 대차(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3)에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인식가능한 인식표가 마련될 수 있다. 인식표는 예를 들어 바코드일 수 있다. 제어부는 도시되지 않은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이(3)에 마련된 인식표를 읽음으로써 특정 트레이(3)를 인식할 수 있으며, 특정 트레이(3)에 수납된 화물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system: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물류관리 시스템 등이거나 이들과 연동되는 자동 창고 제어부일 수 있다.A control unit (not shown) stores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전술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에 따르면, 화물의 사용처, 예를 들어 생산 라인 또는 출하장과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을 연결하는 대차(2)가 단위 창고 유닛(1)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라인 또는 출하장에서 트레이(3)를 운반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별도의 대차와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 내에서 운용되는 대차(2) 사이에 트레이(3)를 환적할 필요가 없어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과 생산라인 또는 출하장 사이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하다. 또한, 환적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물류관리 시스템 등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a place of use of cargo, for example, a
단위 창고 유닛(1)은 하부에 대차(2)가 출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수의 단위 창고 유닛(1)을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할 때에 이웃하는 두 단위 창고 유닛(1)를 대차(2)의 이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횡방향, 즉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이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주어진 공간 내에 많은 수의 단위 창고 유닛(1)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창고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The
단위 창고 유닛(1)은 하부를 통하여 트레이(3)를 출납하므로, 트레이(3)를 출납하기 위한 장치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면 된다. 따라서, 트레이(3)를 출납하는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작동 구조를 가지므로, 높은 작동 신뢰성을 갖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Since the
이하에서, 단위 창고 유닛(1)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1)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창고 유닛(1)은 랙(10), 리프트(20), 및 로커(3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랙(10)은 트레이(3)를 적재한 대차(2)의 출입 공간(11)과 출입 공간(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트레이(3)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적재 공간(12)을 형성한다. 출입 공간(11)의 높이는 트레이(3)가 탑재된 상태에서 대차(2)가 출입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출입 공간(11)의 높이는 대차(2)의 높이와 트레이(3)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크다.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랙(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코너 바(102)와, 이웃하는 두 코너 바(102)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스테이 바(103)와, 베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코너 바(102)는 베이스(10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서브 베이스(101-1)(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베이스(101-1)(101-2) 각각에 두 개씩의 코너 바(102)가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01)는 후술하는 리프트(20)와 로커(30)가 지지되는 지지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코너 바(102)와 스테이 바(103)의 갯수는 수납하고자 하는 트레이(3)의 형상에 의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랙(10)은 직육면체 형태의 트레이(3)를 수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랙(10)은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와,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를 연결하는 4개의 스테이 바(103-1, 103-2, 103-3, 103-4)를 구비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테이 바(103-1, 103-2, 103-3, 103-4)에 연결되는 보강 바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4개의 스테이 바(103-1, 103-2, 103-3, 103-4)가 채용되나,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추가적인 스테이 바(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number of corner bars 102 and stay
랙(10)의 크기, 즉 평면도에서의 크기는 트레이(3)의 크기에 의존된다. 본 실시예의 랙(10)에 따르면, 트레이(3)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태의 트레이(3)를 수납하는 경우, 트레이(3)의 높이, 즉 Z 방향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에는 랙(10)의 높이만을 증감시키면 된다. 다시 말하면, 코너 바(102)를 길게 또는 짧게 함으로써 트레이(3)의 높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트레이(3)의 횡방향의 크기, 즉 X 방향 및/또는 Y 방향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코너 바(102)의 X 방향 및/또는 Y 방향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고 다수의 코너 바(102)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간격에 맞는 길이의 다수의 스테이 바(103)를 이용하여 다수의 코너 바(10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트레이(3)를 수납하는 다수의 보관부가 횡방향으로 2차원 배열된 종래의 자동 창고 시스템의 경우 트레이(3)의 크기가 변하면 다수의 보관부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에 따르면, 최소한의 부재의 변경으로 트레이(3)의 크기에 맞는 랙(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3)에 맞춘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을 최소한의 설계 변경과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warehous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ccommodating the
도 3을 참조하면, 코너 바(102)에는 트레이(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0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부(104)의 상세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04)는 트레이(3)가 횡방향, 즉 X 방향과 Y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트레이(3)의 장변부(3-1)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04-1)와, 트레이(3)의 단변부(3-2)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04-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장변부(3-1)과 나란한 코너 바(102-3)의 내측면(105)으로부터 돌기(106)가 돌출된다. 돌기(106)는 상하방향, 즉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기(106)의 내측면에 의하여 트레이(3)의 단변부(3-2)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04-2)를 형성한다. 코너 바(102-3)의 내측면(105) 중, 돌기(106)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의하여 트레이(3)의 장변부(3-1)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04-1)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코너 바(102-1, 102-2, 102-3, 102-4) 각각에 가이드부(104)가 마련되나, 직육면체 형태의 트레이(3)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되는 두 코너 바(102-1, 102-3) 또는 두 코너 바(102-1, 102-3)에 가이드부(104)가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가이드부(104)를 코너 바(102)에 마련함으로써,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3)에 맞추어 랙(10)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트레이(3)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은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다.By providing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트(20)는 트레이(3)를 출입 공간(11)과 적재 공간(12)으로 승강시킨다. 두 개의 리프트(20)가 트레이(3)의 장변 방향, 즉 X 방향으로 배열되어 트레이(3)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의 리프트(20)는 출입 공간(11)에 위치되는 트레이(3)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으로 올리며,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를 출입 공간(11)으로 내릴 수 있다. 리프트(20)는 출입 공간(11)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 사이에서만 승강되어, 최소한의 승강 작동 거리만큼만 작동된다. 따라서, 리프트(2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적은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로커(30)는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를 선택적으로 로킹시킨다. 두 개의 로커(30)가 트레이(3)의 장변 방향, 즉 X 방향으로 배열된다. 로커(30)에 의하여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가 로킹되면,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를 포함하여 그 상부에 위치된 다수의 트레이(3)가 로커(30)에 지지되어 적재 공간(12)에 유지될 수 있다.The
도 5는 리프트(20)와 로커(3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리프트(20)가 출입 공간(11)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리프트(20)와 로커(3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리프트(20)가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트레이(3)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20)와 로커(30)는 베이스(101)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서브 베이스(101-1)(101-2)는 대차(2)의 출입 방향, 예를 들어 Y 방향과 직교하는 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리프트(20)와 로커(30)는 한 쌍의 서브 베이스(101-1)(101-2)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5 and 6, the
리프트(20)는 트레이(3) 걸리는 걸림 위치(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트레이(3)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는 제1포크(21)와, 제1포크(21)를 걸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22)와, 제1포크(21)를 출입 공간(11)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으로 승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제1포크(21)는 X 방향으로 작동되어 걸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2)는 예를 들어, 작동축(22-1)을 X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포크(21)는 제1액추에이터(22)의 작동축(22-1)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포크(21)는 트레이(3)에 마련된 제1걸림턱(3-3)에 걸린다. 제1걸림턱(3-3)은 제1포크(21)가 걸린 때에 트레이(3)가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턱(3-3)은 트레이(3)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격 위치에서 제1포크(21)는 제1걸림턱(3-3)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제2액추에이터(23)는 작동축(23-1)을 Z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작동축(23-1)은 상하방향, 즉 Z 방향으로 설치된다. 작동축(23)은 제1액추에이터(22)가 탑재된 마운팅 부재(24)에 연결된다. 제1포크(21)가 걸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액추에이터(23)는 제1포크(21)를 승강시켜 트레이(3)를 출입 공간(11)에서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로커(30)는 제2포크(31)와, 트레이(3)에 걸려 트레이(3)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트레이(3)로부터 이격되어 트레이(3)의 승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제2포크(31)를 이동시키는 제3액추에이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크(31)는 X 방향으로 작동되어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액추에이터(32)는 작동축(32-1)을 X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작동축(32-1)은 제2포크(31)에 연결된다. 로킹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포크(31)는 트레이(3)에 마련된 제2걸림턱(3-4)에 걸린다. 제2걸림턱(3-4)은 제2포크(31)가 걸린 때에 트레이(3)가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걸림턱(3-4)은 트레이(3)의 상부에 위치된다. 해제 위치에서 제2포크(31)는 제2걸림턱(3-4)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전술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에 의하여, 단위 창고 유닛(1)에/로부터 트레이(3)를 수납/인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toring/withdrawing the
먼저, 단위 창고 유닛(1)에 트레이(3)를 수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j는 단위 창고 유닛(1)에 트레이(3)를 수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First,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toring the
도 8a를 보면, 적재 공간(12)에 다수의 트레이(3)가 수납되어 있다. 로커(30)의 제2포크(31)는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a)의 제2걸림턱(3-4)에 걸려 트레이(3a)를 최하단(12a)에 로킹시킨다. 따라서, 트레이(3a) 및 트레이(3a)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로커(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적재 공간(12)에 유지된다. 리프트(20)의 제1포크(21)는 출입 공간(11)에 위치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될 트레이(3b)를 탑재한 대차(2)가 출입 공간(11)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제1포크(21)는 이격 위치에 위치된다. 트레이(3b)를 탑재한 대차(2)가 출입 공간(11)에 진입한 상태에서, 트레이(3b)의 상단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수납된 트레이(3a)의 하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8A, a plurality of
대차(2)는 트레이(3b)가 탑재된 탑재판(2a)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의 탑재판(2a)이 상승되면서 트레이(3b)는 트레이(3a)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제1포크(21)는 트레이(3b)의 제1걸림턱(3-3)과 정렬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22)는 제1포크(21)를 이격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트레이(3b)가 제1포크(21)에 지지된다.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2a)이 하강하여 탑재판(2a)이 트레이(3b)로부터 이격된다. 로커(30)의 제2포크(31)는 제3액추에이터(32)에 의하여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트레이(3b)와 트레이(3a)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리프트(20)의 제1포크(21)에 의하여 지지된다. The
대차(2)에 트레이(3b)를 승강시키는 기능이 없는 대차(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b)를 탑재한 대차(2)가 출입 공간(11)에 진입된 때에 리프트(20)의 제1포크(21)는 트레이(3b)의 제1걸림턱(3-3)과 정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22)는 제1포크(21)를 이격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트레이(3b)가 제1포크(21)에 지지된다. 제2액추에이터(23)는 제1포크(21)를 약간 상승시켜,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b)와 트레이(3a)를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로커(30)의 제2포크(31)는 제3액추에이터(32)에 의하여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트레이(3b)와 트레이(3a)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리프트(20)의 제1포크(21)에 의하여 지지된다. A
다음으로,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23)는 제1포크(21)를 상승시켜 트레이(3b)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액추에이터(32)는 로커(30)의 제2포크(31)를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포크(31)는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b)의 제2걸림턱(3-4)에 걸려 트레이(3b)를 최하단(12a)에 로킹시킨다. 트레이(3b)와 트레이(3a)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로커(30)의 제2포크(31)에 의하여 지지된다. Next, as shown in FIG. 8H, the
다음으로,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0)는 출입 공간(11)으로 복귀되며, 제1포크(21)는 이격 위치에 위치된다. 대차(2)는 출입 공간(11)으로부터 빠져나온다.Next, as shown in FIG. 8J, the
단위 창고 유닛(1)으로부터 트레이(3)를 인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i는 단위 창고 유닛(1)으로부터 트레이(3)를 인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withdrawing the
도 9a를 보면, 적재 공간(12)에 다수의 트레이(3)가 수납되어 있다. 로커(30)의 제2포크(31)는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c)의 제2걸림턱(3-4)에 걸려 트레이(3c)를 최하단(12a)에 로킹시킨다. 따라서, 트레이(3c) 및 트레이(3d)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제2포크(31)에 의하여 지지되어 적재 공간(12)에 유지된다. 리프트(20)의 제1포크(21)는 출입 공간(11)에 위치된다. 트레이(3c)를 탑재할 대차(2)가 출입 공간(11)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제1포크(21)는 이격 위치에 위치된다. Referring to Fig. 9A, a plurality of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23)는 리프트(20)의 제1포크(21)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으로 상승시킨다. 제1액추에이터(21)는 제1포크(21)를 이격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포크(21)가 트레이(3c)의 제1걸림턱(3-3)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3c) 및 트레이(3d)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제1포크(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적재 공간(12)에 유지된다. 제3액추에이터(32)는 로커(30)의 제2포크(31)를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포크(31)는 트레이(3d)의 제2걸림턱(3-4)으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트레이(3c) 및 트레이(3d)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리프트(20)의 제1포크(21)와 함께 승강될 수있는 상태가 된다.9B, the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23)는 제1포크(21)를 출입 공간(11)으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트레이(3c) 및 트레이(3d)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가 하강되면서 트레이(3c)는 출입 공간(11)에, 트레이(3d)는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3액추에이터(32)가 로커(30)의 제2포크(31)를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포크(31)는 트레이(3d)의 제2걸림턱(3-4)에 걸려서, 트레이(3d)를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로킹시킨다. 따라서, 트레이(3d)와 트레이(3d)의 상부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제2포크(31)에 지지되어 적재 공간(12)에 유지된다. 트레이(3c)는 트레이(3d)로부터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하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9C, the
트레이(3c)는 대차(2)의 탑재판(2a)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대차(2)는 트레이(3b)가 탑재된 탑재판(2a)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의 탑재판(2a)이 상승되면서 탑재판(2a)이 트레이(3c)와 접촉된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22)는 제1포크(21)를 걸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트레이(3c)가 제1포크(21)로부터 분리된다.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2a)이 하강하면 트레이(3c)는 트레이(3d)로부터 분리되어 대차(2)에 탭재된다. 도 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는 트레이(3c)를 탑재하고 출입 공간(11)으로부터 빠져나와서 화물 사용처로 이동될 수 있다.The
대차(2)에 트레이(3b)를 승강시키는 기능이 없는 대차(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9c에 도시된 상태에서 리프트(20)의 제1포크(21)가 하강된다. 제2포크(31)는 트레이(3d)를 로킹시킨 상태이므로, 제1포크(21)가 하강되더라도 트레이(3d)와 그 위에 순차로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3)는 하강되지 않고 적재 공간(12)에 유지된다. 제1포크(21)는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c)가 트레이(3d)로부터 분리되어 대차(2)에 탑재될 때까지 하강된다. 그런 다음,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0)의 제1포크(21)가 걸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이동되어 트레이(3c)가 제1포크(21)로부터 분리된다. 도 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는 트레이(3c)를 탑재하고 출입 공간(11)으로부터 빠져나와서 화물 사용처로 이동될 수 있다.A
도 10은 단위 창고 유닛(1a)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1a)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단위 창고 유닛(1a)는 두 개의 리프트(20a)가 두 개의 로커(30a)가 각각 트레이(3)의 장변 방향과 단변 방향을 배열된다. 본 실시예의 단위 창고 유닛(1a)은 리프트(20a)의 구조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1)의 리프트(20)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단위 창고 유닛(1a)와 단위 창고 유닛(1)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unit warehouse unit 1a. 11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랙(10)은 트레이(3)를 적재한 대차(2)의 출입 공간(11)과 출입 공간(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트레이(3)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적재 공간(12)을 형성한다. 랙(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코너 바(102)와, 이웃하는 두 코너 바(102)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4개의 스테이 바(103)와, 베이스(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스테이 바(103)만이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코너 바(102)는 베이스(101a)에 지지될 수 있다. 코너 바(102)에는 트레이(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04)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트레이(3)의 장변부(3-1)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04-1)와, 트레이(3)의 단변부(3-2)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04-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0 and 11, the
리프트(20a)는 트레이(3)를 출입 공간(11)과 적재 공간(12)으로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의 리프트(20a)는 출입 공간(11)에 위치되는 트레이(3)를 적어도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으로 올리며, 적재 공간(12)의 최하단(12a)에 위치된 트레이(3)를 출입 공간(11)으로 내릴 수 있다. 두 개의 리프트(20a)가 트레이(3)의 장변 방향, 즉 X 방향으로 배열된다.The
리프트(2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프레임(25a),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 프레임(25)에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25b), 승강 프레임(25b)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다수의 제1, 제2 지지봉(26-1)(26-2), 지지 프레임(25a)의 출입 공간(11) 쪽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포크(21a), 제1포크(21a)를 트레이(3)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트레이(3)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22a), 및 제1포크(21a)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2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23a)는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걸림부(27-1)(27-2)와, 제1, 제2걸림부(27-1)(27-2)를 각각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 중 하나에 걸리는 제1위치와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제2구동부(28-1)(28-2)와, 제1, 제2걸림부(27-1)(27-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20a) is, the support frame (25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frame (25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so as to be lifted on the support frame (25), the lifting frame (25b)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6-1 and 26-2 arranged alternately, a
지지 프레임(25a)은 베이스(101a)에 지지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25b)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승강 프레임(25b)의 길이는 트레이(3)의 두께의 적어도 2배 이상일 수 있다. The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은 제1, 제2걸림부(27-1)(27-2)와의 마찰을 줄이고 제1, 제2걸림부(27-1)(27-2)가 부드럽게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제2지지봉(26-1)(26-2)은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는 롤러 형태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26-1 and 26-2 reduce fri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7-1 and 27-2,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7- 1) (27-2)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26-1 and 26-2 may be in the form of a roller that can be rotated, for example.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2는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의 배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의 상하방향의 피치는 P로서 동일하다. 피치 P는 예를 들어 트레이(3)의 상하방향의 높이(도 7: T)와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다수의 제1, 제2지지봉(26-1)(26-2)의 엇갈림량은 피치의 절반인 P/2 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Referring to FIG. 12, the pitch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are the same as P. The pitch P may be equal to,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걸림부(27-1)(27-2)를 순차로 제1위치에 위치시키고 순차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 프레임(25b)을 트레이(3)의 높이(T)의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걸림부(27-1)(27-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의 작동 길이를 작게 하여,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의 소형화된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의 구현이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7-1 and 27-2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sequentially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제1포크(21a)는 X 방향으로 작동되어 걸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2a)는 예를 들어, 제1포크(21a)를 X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걸림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포크(21)는 트레이(3)에 마련된 제1걸림턱(3-3)에 걸린다. 이격 위치에서 제1포크(21)는 제1걸림턱(3-3)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제1, 제2걸림부(27-1)(27-2)는 제1, 제2지지봉(26-1)(26-2)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제1, 제2걸림부(27-1)(27-2)는 제1위치에서 제1, 제2지지봉(26-1)(26-2)의 하단에 접촉되며, 제2위치에서 제1, 제2지지봉(26-1)(26-2)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제2구동부(28-1)(28-2)는 예를 들어, 제1, 제2걸림부(27-1)(27-2)를 X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7-1 and 27-2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7-1 and 27-2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27-1 and 27-2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26-1 and 26-2. , I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rod (26-1) (26-2).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28-1 and 28-2 are, for example, pneumatic cylinders and hydraulic cylinders that linearly reciprocat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units 27-1 and 27-2 in the X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a cylinder, a linear motor, or the like.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는 제1, 제2걸림부(27-1)(27-2)와 제1, 제2구동부(28-1)(28-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는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fting drives 29-1 and 29-2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7-1 and 27-2,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arts 28-1 and 28- Lift 2) up and down. The first and second lift drives 29-1 and 29-2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pneumatic cylinder, a hydraulic cylinder, a linear motor, etc. that linearly reciprocate in the Z direction.
도 13은 리프트(20a)를 이용하여 트레이(3)를 들어올리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의 (a)를 보면, 제1걸림부(27-1)는 제1지지봉(26-1)의 하단에 접촉된 제1위치에 위치된다. 제2걸림부(27-2)는 제2지지봉(26-2)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승강 구동부(29-1)는 제1걸림부(27-1)를 피치(P)만큼 상승시킨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25b)이 위쪽으로 피치(P)만큼 올라간다. 다음으로 제1, 제2구동부(278-1)(28-2)를 이용하여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걸림부(27-1)(27-2)를 각각 제2위치와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걸림부(27-1)는 제1지지봉(26-1)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걸림부(27-2)는 제2지지봉(26-2)의 하단에 접촉된다. 제1승강 구동부(29-1)는 제1걸림부(27-1)를 아래쪽으로 피치(P)만큼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승강 구동부(29-2)는 제2걸림부(27-2)를 위쪽으로 피치(P)만큼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25b)이 위쪽으로 피치(P)만큼 올라간다. 이와 같이 도 13의 (a)-(d) 과정을 반복하여 승강 프레임(25b)을 피치(P) 단위로 순차로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ifting the
도 14는 리프트(20a)를 이용하여 트레이(3)를 하강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의 (a)를 보면, 제1걸림부(27-1)는 제1지지봉(26-1)의 하단에 접촉된 제1위치에 위치된다. 제2걸림부(27-2)는 제2지지봉(26-2)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승강 구동부(29-1)는 제1걸림부(27-1)를 피치(P)만큼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25b)이 아래쪽으로 피치(P)만큼 내려간다. 다음으로 제1, 제2구동부(278-1)(28-2)를 이용하여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걸림부(27-1)(27-2)를 각각 제2위치와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걸림부(27-1)는 제1지지봉(26-1)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걸림부(27-2)는 제2지지봉(26-2)의 하단에 접촉된다. 제1승강 구동부(29-1)는 제1걸림부(27-1)를 위쪽으로 피치(P)만큼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승강 구동부(29-2)는 제2걸림부(27-2)를 아래쪽으로 피치(P)만큼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25b)이 아래쪽으로 피치(P)만큼 내려간다. 이와 같이 도 14의 (a)-(d) 과정을 반복하여 승강 프레임(25b)을 피치(P) 단위로 순차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owering the
본 실시예의 단위 창고 유닛(1a)에 따르면, 제1, 제2걸림부(27-1)(27-2)를 교대로 승강시킴으로써, 추락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트레이(3)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피치(P) 단위의 작동 범위를 갖는 소형회된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를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25b)을 제1, 제2승강 구동부(29-1)(29-2)의 작동 범위 이상의 거리만큼 승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단위 창고 유닛(1a)에/로부터 트레이(3)를 수납/인출하는 과정은 도 8a-8j 및 도 9a-9h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트레이(3)를 승강시키는 방법은 도 13과 도 14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The process of storing/withdrawing the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 1a...단위 창고 유닛 2...대차
2a...탑재판 3...트레이
3-3...제1걸림턱 3-4, 3-4a...제2걸림턱
10...랙 11...출입 공간
12...적재 공간 12a...적재 공간의 최하단
20, 20a...리프트 21, 21a...제1포크
22, 22a...제1액추에이터 23, 23a...제2액추에이터
25a...지지 프레임 25b...승강 프레임
26-1, 26-1...제1, 제2지지봉 27-1, 27-1...제1, 제2걸림부
28-1, 28-2...제1, 제2구동부 29-1, 29-2...제1, 제2승강 구동부
30, 30a...로커 31, 31a...제2포크
32, 32a...제3액추에이터 101, 101a...베이스
102...코너 바 103...스테이 바1, 1a...
2a...mounting
3-3...1st jaw 3-4, 3-4a...2nd jaw
10...Rack 11...Access space
12...
20, 20a...lift 21, 21a...first fork
22, 22a...
25a...
26-1, 26-1...the 1st, 2nd supporting rod 27-1, 27-1...the 1st, 2nd catching part
28-1, 28-2... 1st, 2nd drive part 29-1, 29-2... 1st, 2nd lift drive part
30, 30a...
32, 32a...
102...
Claims (9)
상기 트레이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트;
상기 적재 공간의 최하단에 위치된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로커;를 포함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A rack for forming an entry space of a truck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rays, and a storage space extending vertically so as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the tray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access space;
A 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ray into the access space and the loading space;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comprising a; locker for selectively locking the tra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space.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코너에 위치되는 다수의 코너 바;
서로 이웃하는 두 수직 랙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스테이 바;를 포함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rack,
A plurality of corner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ositioned at the corners;
A low-floor automated warehouse system including a stay bar for connecting two adjacent vertical racks in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다수의 코너 바에는 상기 트레이가 상하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ray to move up and down in the plurality of corner bars.
상기 리프트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의 상기 최하단으로 승강시키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 is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for lifting the tray to the lowermost end of the entry space and the loading space.
상기 리프트는,
제1포크;
상기 제1포크를 상기 트레이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포크를 상기 출입 공간과 상기 적재 공간의 상기 최하단으로 승강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lift,
A first fork;
A first actuator for moving the first fork to a latched position on the tray and a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tray;
A second actuator for lifting the first fork to the lowermost end of the entry space and the loading space;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including.
상기 로커는,
제2포크;
상기 제2포크를 상기 최하단의 트레이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최하단의 트레이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rocker,
A second fork;
And a third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fork to a locking position for locking the lowermost tray and a third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fork to a released position released from the lowermost tray.
상기 리프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다수의 제1, 제2 지지봉;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출입 공간 쪽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포크;
상기 제1포크를 상기 트레이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걸림부와, 상기 제1, 제2걸림부를 각각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 중 하나에 걸리는 제1위치와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제2구동부와, 상기 제1, 제2걸림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levating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to be elevated by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ifting frame;
A first fork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access space;
A first actuator for moving the first fork to a latched position on the tray and a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tray;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and a first position and the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caught b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A second actuator having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moving to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of the unit, and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units in a vertical direction.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including;
상기 다수의 제1, 제2지지봉은 상기 트레이의 높이를 피치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re a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height of the tray as a pitch.
상기 다수의 제, 제2지지봉은 상기 피치의 절반 간격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second and second support rods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at half the pitch of the low-flo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308A KR102280791B1 (en) | 2019-08-22 | 2019-08-22 |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308A KR102280791B1 (en) | 2019-08-22 | 2019-08-22 |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297A true KR20210023297A (en) | 2021-03-04 |
KR102280791B1 KR102280791B1 (en) | 2021-07-22 |
Family
ID=7517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308A KR102280791B1 (en) | 2019-08-22 | 2019-08-22 |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079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5200A1 (en) * | 2021-07-08 | 2023-01-15 | Knapp Ag | Automated storage system |
WO2023283662A1 (en) * | 2021-07-16 | 2023-01-19 | Perstling Manuel | Method for operating a high-bay racking system, as well as high-bay racking system, carriage, and lifting unit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96205A1 (en) * | 2022-06-22 | 2023-12-27 |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 Block bearing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02172A (en) * | 1982-05-19 | 1983-11-25 | Mazda Motor Corp | Loader for goods |
JPH05254662A (en) * | 1992-03-12 | 1993-10-05 | Murata Mach Ltd | Pallet storage device |
KR20070010034A (en) * | 2004-04-30 | 2007-01-19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Medicine tray supply device |
-
2019
- 2019-08-22 KR KR1020190103308A patent/KR1022807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02172A (en) * | 1982-05-19 | 1983-11-25 | Mazda Motor Corp | Loader for goods |
JPH05254662A (en) * | 1992-03-12 | 1993-10-05 | Murata Mach Ltd | Pallet storage device |
KR20070010034A (en) * | 2004-04-30 | 2007-01-19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Medicine tray supply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5200A1 (en) * | 2021-07-08 | 2023-01-15 | Knapp Ag | Automated storage system |
WO2023283662A1 (en) * | 2021-07-16 | 2023-01-19 | Perstling Manuel | Method for operating a high-bay racking system, as well as high-bay racking system, carriage, and lifting unit therefor |
AT525328A1 (en) * | 2021-07-16 | 2023-02-15 | Perstling Ing Manuel | Method for operating a shelf store, and a shelf store, carriage and lifting unit for this |
AT525328B1 (en) * | 2021-07-16 | 2023-07-15 | Perstling Ing Manuel | Method for operating a shelf store, and a shelf store, carriage and lifting unit for thi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0791B1 (en) | 2021-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873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units from a storage system | |
US20230339680A1 (en) | Robotic object handling system, device and method | |
US202303569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units from a storage system | |
US6948899B2 (en) |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 |
KR102280791B1 (en) |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 |
KR20200139246A (en) |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goods | |
KR20240011829A (en) | grid framework structure | |
NO346551B1 (en) | A storage towe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storage tower, and a method of using same | |
JP7488029B2 (en) | Automated Warehouse System | |
JP7213765B2 (en) |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container | |
CN118524977A (en) | Storage system | |
KR200296867Y1 (en) |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 |
WO2024132386A1 (en) | Load hand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