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96867Y1 -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67Y1
KR200296867Y1 KR2020020026499U KR20020026499U KR200296867Y1 KR 200296867 Y1 KR200296867 Y1 KR 200296867Y1 KR 2020020026499 U KR2020020026499 U KR 2020020026499U KR 20020026499 U KR20020026499 U KR 20020026499U KR 200296867 Y1 KR200296867 Y1 KR 200296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oading
bar
cargo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4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완영
Original Assignee
이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영 filed Critical 이완영
Priority to KR202002002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67Y1/en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랙의 적재공간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보 및 이 고정보의 상면에 그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크바로 이루어진 적재대와, 운반수단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구동되고 적재대의 포크바와 나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 및 이들 포크바를 그 하단 중간에서 지지하는 고정보로 이루어진 운반포크로 구성된다. 적재대와 운반포크의 포크바 높이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며, 높이가 낮은 쪽의 포크바는 하단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구비하여 그 고정보에 고정되거나, 돌출탭이 양자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포크바가 적재대의 포크바와 교호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진입·승강·후퇴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allet loading structure of a cargo storag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and a rack which are installed in a loading space of a rack and are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mounted on a top surface of the rack with a plurality of fork bars fix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orthogonal thereto, A plurality of fork ba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rk bars of the stacker, and a conveying fork comprising high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fork bars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fork bar of the lower part of the fork bar having the lower heigh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tab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fork bar is fixed to the higher information or the protruding tab is protruded So that the transportation fork approaches from the side of the stacking table, and the fork bar is advanced, retracted, and retra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k bar is alternately overlapped with the fork bar of the stacking table.

본 고안은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 접근하면서 그 진퇴시 화물이 상대 포크바에 간섭받지 않는 최소의 여유간격만큼만 승강하면서 화물을 이재시킬 수 있어 화물을 적재용 랙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팔레트 사용도 배제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rgo to be loaded and unloaded very quickly to the loading rack as the cargo forks approach the side of the cargo area while the cargo is moving up and down as much as the minimum clearance that is not interfered with relative to the fork bar It also excludes the use of separate pallets.

Description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a storage system,

본 고안은 자동화 창고나 주차시스템 등과 같이 다량의 화물을 자동 입·출고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보관·관리하기 위한 화물보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화물 운반용 팔레트(pallet)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용 랙(rack)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적재하고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storage system for efficiently storing and managing a large amount of cargo such as an automated warehouse or a parking system by an automatic input and output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storage system, Pallet loading structure of a cargo storage system in which the cargo can be loaded and unloaded very quickly to the loading rack.

일반적으로 화물보관시스템은 대량의 물품을 최소의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관리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 대규모 물류시스템이나 각종 산업현장의 물품창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차량의 주차난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장에도 화물보관시스템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cargo storage system is a storage means for efficiently storing and managing a large amount of articles in a minimum space, and is widely used in a large-scale distribution system or a warehouse of various industrial sites. In recent years, a cargo storage system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to a parking lot as a means for effectively eliminating the parking lot of an explosive vehicle.

이러한 화물보관시스템은 통상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재대(L)를 층상으로 갖는 랙(rack:R)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함과 함께 각 적재대(L)에 화물탑재용 팔레트(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고, 각 랙(R) 사이의 공간에 리프트(lift)나 스태커크레인(stacker crain)과 같은 입·출고용 운반기기(T)를 구비하고 있다.1, racks R having a plurality of stacking units L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tacking units L are stacked on a pallet for loading pallets (Not shown), and a space between the racks R is provided with a loading / unloading device T such as a lift or a stacker crane.

이에 따라 화물(W)을 탑재한 팔레트를 랙(R)의 빈 적재대(L) 위치까지 운반기기(T)로 이송시킨 뒤, 도시하지 않은 견인수단에 의해 운반기기(T)상의 팔레트를 랙(R)의 빈 적재대(L)상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화물(W)을 적재하게 되며, 출하는 그 반대로 작동된다.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W is mounted is transported to the transporting device T to the empty pallet table L of the rack R and the palette on the transporting device T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ing device T (W) on the empty rack (L) of the rack (R), and the shipment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화물보관시스템에 있어서는 화물(W)의 신속 정확한 적재와 출하 및 재고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바, 운반기기(T)를 제어용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동(連動)시키고, 예컨대 화물(W)과 적재대(L)에 고유의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화물(W)을 컴퓨터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납 및 인출시키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rgo storage system, it is important that the cargo W is quickly loaded, shipped, and stocked and that the cargo T is linked by a control computer (not shown) W and the loading table L are assigned a unique code number to automatically store and retrieve the cargo W by computer control.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화물보관시스템은 화물(W)을 별도의 팔레트상에 탑재하여 운반 적재하므로 적재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팔레트와 견인수단도 함께 구비해야 할 뿐 아니라, 운반시 팔레트의 중량만큼 하중이 가중되어 운반에 소요되는 동력과 시간에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rgo storage system carries the cargo W on a separate pallet and carries the cargo, the structure of the cargo is complicated, and a plurality of pallets and a pulling means are also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power and time required for transportation due to an increase in load.

특히, 일부 빈 팔레트를 적재대에 보관하는 경우, 화물(W)을 적재하고 난 다음 후속 화물(W)의 적재를 위해 운반기기(T)가 빈 적재대(L)로 이동하여 그에 장착된 팔레트를 끌어내 탑재한 상태에서 반입위치로 이동 대기해야 하고, 대기중에 출하신호가 들어오면 탑재한 빈 팔레트를 팔레트가 없는 적재대(L)로 이동하여 그에 옮겨놓은 뒤 선택된 화물(W)이 적재된 위치로 다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화물(W)의 적재와 출하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some empty pallets are stored in the pallet, after the pallet W is loaded, the pallet T is moved to the empty pallet L for pallet loading of the next pallet W, The empty pallet is moved to the pallet-free pallet (L) and transferred to the pallet. Thereafter, the selected pallet (L) is loaded on the pal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and shipping of the cargo W becomes considerably long.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팔레트 없이 화물을 랙에 적재시킬 수 있는 소위 무팔레트 적재구조가 출현하고 있으며, 도2a 및 도2b에 그 일례로서 국제공개번호 WO 87/02405에 제시된 입체격납장치의 적재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하였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so-called pallet loading structure capable of loading cargo on a rack without a pallet has appear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tacking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is shown in an excerpt.

이 기술은 랙의 적재공간 양쪽에 간격을 두고 적재포크(loading fork:1)를 배치하고, 양자의 사이에 화물(W)을 수직으로 운반하는 승강포크(lifting fork: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적재포크(1)는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랙의 수평보(3)를 따라 승강포크(2) 쪽으로 왕복 이동되고, 승강포크(2)는 적재포크(1)와 교행(交行)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쌍(2a,2b)으로 구성되어 동시에 연동된다.This technique is constituted by arranging a loading fork 1 at intervals on both sides of a loading space of a rack and installing a lifting fork 2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load W between the loading fork 1 . The loading fork 1 is reciprocated by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oward the lift fork 2 along the horizontal beam 3 of the rack and the lift fork 2 is interchanged with the loading fork 1, (2a, 2b)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이에 따라 승강포크(2)는 화물(W)을 직접 탑재하여 적재포크(1)보다 약간 높은 레벨까지 상승하여 멈추고, 이어서 빈 적재포크(1)가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포크 (2)의 하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승강포크(2)가 다시 하강하여 하부의 적재포크(1)와 교차되면서 화물(W)을 적재포크(1)상으로 옮겨주게 되고, 화물(W)을 탑재한 적재포크(1)가 다시 구동수단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화물(W)을 랙의 적재공간에 신속하게 적재하게 된다.The lifting fork 2 is lifted up to a level slightly higher than the loading fork 1 by directly loading the cargo W and then the empty loading fork 1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ork 2 by the driving means Move. The lifting fork 2 then descends again and intersects with the lower loading fork 1 to transfer the cargo W onto the loading fork 1 and the loading fork 1 with the cargo W mounted thereon And then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driving means to rapidly load the cargo W into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팔레트 적재구조는 승강포크(2)가 적재포크(1)를 완전히 교차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자의 교차에 소요되는 승강포크(2)의 이동거리가 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pallet loading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fork 2 completely crosses the loading fork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fork 2 required for the intersection of both is long.

더욱이, 승강포크(2)의 상·하부로 적재포크(1)가 이동해야 하는 바, 승강포크(2)의 실질적인 행정은 적재포크(1)의 높이(h1)와 승강포크(2)의 높이(h2)에다 적재포크(1)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작동여유(g1,g2)를 더해주어야 하므로 화물(W)의 적재와 인출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화물보관시스템의 입·출고 시간 단축에 한계가 있다.Further, the stacking fork 1 must mov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ing fork 2 so that the actual stroke of the lifting fork 2 is determined by the height h 1 of the stacking fork 1 and the height h 1 of the lifting fork 2, (G 1 , g 2 )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loading fork (1) to the height (h 2 ) of the cargo handling system,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load and unload the cargo (W) There is a limit to shortening the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한편, 도3a 및 도3b에는 종래 화물보관시스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다른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번호 평5-52058호에 제시된 스태커크레인식 입체주차장의 적재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하였다.3A and 3B illustrate the stacking structure of the stacker-crescent-shaped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shown in Japanese Patent Laying-Open No. 5-52058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pallet stacking structure.

이 기술은 랙(4)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수평보(5) 내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다수의 지지바(6)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인접하는 2개의 랙(4) 사이에 구비된 스태커크레인(도시하지 않음)에 화물(W)을 탑재하기 위한 포크(7)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포크(7)는 랙(4)의 대향하는 지지바(6)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바디(8)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바(bar:9)를 갖는 구성이다.This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bars 6 are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face each other inside two horizontal beams 5 forming a loading space of the rack 4, And a fork 7 for mounting the cargo W on a stacker crane (not shown). The fork 7 has a plurality of bars 9 on both sides of the body 8 that can pass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bars 6 of the rack 4.

이것은 포크(7)가 화물(W)을 탑재한 상태에서 랙(4)의 지지바(6)보다 약간 높은 레벨까지 상승한 뒤, 지지바(6)의 상부로 수평 이동하여 적재공간으로 진입한다. 이어서, 포크(7)가 하강하여 그 양쪽 바(9)가 랙(4)의 지지바(6)들과 어긋나게 교차 통과되면서 화물(W)을 랙(4)의 지지바(6)상에 옮겨놓고, 빈 포크(7)가 지지바 (6)들의 하부에서 적재공간 밖으로 빠져나옴으로써 화물(W)을 적재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fork 7 rises to a level slightly higher than the supporting bar 6 of the rack 4 in the state of loading the cargo W and then horizontally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6 and enters the loading space. Subsequently, the fork 7 is lowered and both bars 9 are crossed with the support bars 6 of the rack 4 to transfer the cargo W onto the support bars 6 of the rack 4 And the empty forks 7 are taken out of the loading space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bars 6 to load the cargo W. [

그런데, 이러한 적재구조 역시 포크(7)가 랙(4)의 지지바(6)를 상부에서 하부(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통과하여 돌아 나오는 구조이므로 포크(7)의 수직 이동거리가 길어 화물(W)의 입·출고 시간 단축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fork 7 completely pas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ar 6 of the rack 4,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fork 7 is long, There was a limit in shortening the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warehouse (W).

즉, 포크(7)가 랙(4)의 지지바(6)를 돌아 나오기 위해서는 그 수직 이동거리가 적어도 지지바(6)의 높이(h3)와 포크(7)의 바(9) 높이(h4)에 포크(7)의 진·출입에 필요한 상부 및 하부 여유(g1,g2)를 더한 것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포크(7)의 수직 이동거리 단축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for the fork 7 to come out of the support bar 6 of the rack 4,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is at least equal to the height h 3 of the support bar 6 and the height of the bar 9 of the fork 7 4 h) to be less than that since the sum of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 (g 1, g 2) required for binary, and out of the fork (7) is a limit to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shorter fork (7).

또한, 화물(W)을 지지하는 랙(4)의 지지바(6)가 두 수평보(5)의 내측에서 적정길이로 돌출되는 구성인 바, 적재할 화물(W)이 적어도 양쪽 지지바(6)의 간격보다 클 것이 요구되는 등 적재 화물(W)의 크기에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The supporting bar 6 of the rack 4 supporting the cargo W is protruded in an appropriate length from the inside of the two horizontal beams 5 so that the cargo W to be loaded is supported by at least both supporting bars 6), which is required to be larger than the spacing of the loaded cargo (W).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화물 탑재용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용 랙에 대해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시킬 수 있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llet stacking system for a cargo storage system capable of quickly loading and unloading cargo to and from a loading rack without using a separate pallet for loading pallets, The purpose of the structur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적재공간 한도에서 화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let loading structure of a cargo storage system capable of easily loading cargo of various sizes without regard to the size of the cargo at the set load space limit.

도1은 일반적인 화물보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cargo storage system,

도2a 및 도2b는 종래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작동상태 측면도,FIG. 2A and FIG. 2B are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llet load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argo storage system,

도3a 및 도3b는 종래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작동상태 측면도,FIGS. 3A and 3B are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argo storage system,

도4a 내지 도4d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4A to 4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the cargo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 무팔레트 적재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the cargo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의 Ⅵ을 따라 취한 정면도,Fig. 6 is a front view taken along line VI of Fig. 5,

도7a 내지 도7d는 본 고안에 의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발췌 정면도,FIGS. 7A to 7D are explanatory front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고안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정면도,Fig. 8 is a front view of an extract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llet loading structure; Fig.

도9a 내지 도9d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Figs. 9A to 9D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도10은 본 고안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정면도,Fig. 10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llet loading structure; Fig.

도11a 내지 도11d는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들이다.Figs. 11A to 11D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30,50: 적재대 11,31,51: 고정보10,30,50: Loading area 11,31,51: High information

12,32,52: 포크바 33,53: 돌출탭12, 32, 52: Fork bar 33, 53:

20,40,60: 운반포크 21,41,61: 고정보20,40,60: Transport fork 21,41,61: High information

22,42,62: 포크바 23,63: 돌출탭22, 42, 62: Fork bar 23, 63:

a: 적재대 포크바 높이 b: 운반포크 포크바 높이a: Stacking bar Fork bar height b: Carrying fork Fork bar height

s1,s2: 돌출탭 높이 C: 스태커크레인s 1 , s 2 : Height of projecting tab C: Stacker crane

g1,g2: 운반포크 진출입에 필요한 상부 및 하부 여유g 1 , g 2 : upper and lower clearances required for the fork entry and exit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포크형태를 갖는 랙의 적재대를 운반포크가 상하로 완전히 교차통과하지 않고, 화물의 이재(移載)에 필요한 최소한의 여유만큼만 운반포크가 승강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the fork of a rack having a fork shape can not be completely crossed up and down by the carrying fork, and the carrying fork can be lifted only by the minimum allowance necessary for transfer of the cargo The structure of which is discussed.

그 결과, 양자의 포크바들이 교호적으로 중첩되면서 측면에서 접근할 경우 운반포크가 이재여유만큼만 승강하고도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각도로 고찰하였다.As a result, we found that if the fork bars of both are alternately superimposed and approach from the side, the fork can lift the cargo even if the lift fork is lifted as much as the margin, and examined in various aspects to realize this concept.

먼저 도4a에서, 적재대(10)와 운반포크(20)의 포크바(12)(22)들을 고정보 (11)(21) 위에 설치하고,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를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높이(b)보다 크거나 같게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운반포크(20)가 화물(W)을 탑재하여 적재대(10)로 접근할 때 이재를 위해 적재대(10)보다 여유(g1)만큼 높게 위치해야 하므로 운반포크(20)의 고정보(21)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 선단에 걸려 완전히 진입하지 못한다.4A, the loading bar 10 and the fork bars 12 and 22 of the carrying fork 20 are installed on the high information 11 and 21 and the height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bar 10 (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transportation fork 20 must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ading table 10 by a margin (g 1 ) for carrying the cargo W when it approaches the loading table 10, Information 21 is stuck on the tip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and does not completely enter.

도4b에서, 반대로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를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높이(b)보다 작게 구성하여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하로 여유(g1)만큼 돌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운반포크(20) 포크바(22)의 진입측 선단이 적재대(10)의 고정보(11)에 걸려 역시 완전한 진입이 불가하다.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is set smaller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so that the height of the fork bar 22 ) were to be projected as a fork bar 12 up and down to free (g 1) of the susceptor (10). However, in this case, the leading end of the fork bar 22 on the entry side is caught by the high information 11 of the loading table 10, which is also impossible to completely enter.

한편, 도4c에서는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높이(b)를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보다 크게 구성하되, 그 상단만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위로 돌출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에는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가 적재대(10)내로 완전히 진입할 수는 있지만, 운반포크(20)의 승강이 불가능하여 화물(W)을 이재시킬 수 없다.4C,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To protrude above the fork bar (12). In this case,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can completely enter the loading table 10, but the transportation fork 20 can not be lifted or lowered, and the cargo W can not be transferred.

이에 따라 도4d에서는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보다 운반포크(20)의 포크바(b) 높이를 작게 하면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하단에 고정보(21)상에 고정되는 돌출탭(tab:23)을 형성하여 고정보(21)의 상단과 포크바(22)의 하단간에 일정한 간격(s)을 부여하였다.4D, the height of the fork bar (b)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smaller than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A tab 23 fixed on the high information 21 is formed to give a constant spacing s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igh information 21 and the lower end of the fork bar 22. [

여기서, 두 포크바(12)(22)간의 높이차이(a-b)는 화물(W)의 이재완료시 운반포크(20)와 적재대(10)의 포크바(22)(12) 상단간의 하부여유(g2) 이상으로 하고, 간격(s)은 화물(W)의 이재동작에 필요한 이재여유(g1+g2)보다 크게 하였다. 이를 간단하게 수식으로 나타내면, a-b>g2, s>g1+g2가 된다.The height difference ab between the two fork bars 12 and 22 is equal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transportation fork 20 and the upper ends of the fork bars 22 and 12 of the loading table 10 (g 2 ) or more, and the interval s is made larger than the margin margin (g 1 + g 2 )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cargo W. This can be simply expressed as: ab> g 2 , s> g 1 + g 2 .

이 경우, 간격(s)을 포함하는 운반포크(20)의 실질적인 전체 포크바(22) 높이(s+b)는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보다 적어도 상부여유(g1)만큼 크기 때문에, 즉 s+b>a+g1이므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상단이 상부여유(g1)만큼 상위레벨에 위치하여 적재대(10)로 진입하더라도 간격(s)에 의해 그 고정보(21)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 선단에 간섭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height (s + b) of the substantially entire fork bar 22 of the carrying fork 20 including the clearance s is at least equal to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stacking bin 10 because of the size enough to g 1), namely, even if entering the s + b> a + g 1 since the upper fork bar 22 of a transporting fork 20 loaded in position in the upper level as the upper margin (g 1) for 10 The height information 21 is not interfered with the tip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by the interval s.

또한,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가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높이 (b)보다 하부여유(g2)이상 크므로, 즉 a>b+g2이므로 운반포크(20)가 적재대(10)내로 진입한 후, 운반포크(20)가 하강함으로써 그 포크바(22) 상단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보다 하부여유(g2)만큼 하위레벨에 위치하여 화물(W)을 이재시키는 동안에도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하단은 적재대(10)의 고정보(11)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is larger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carrying fork 20 by the lower margin g 2 ,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22 i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by the lowering of the carrying fork 20 after the carrying fork 20 has entered the loading table 10 g 2) during which the cargo located in the lower level of different materials (W) by a fork bars (22 in Fig carrying fork (20)) at the bottom is no longer interfere with the said information (11) of the susceptor (10).

따라서, 이와 같은 고찰에 근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하나의 형태는, 랙의 적재공간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보 및 이 고정보의 상면에 그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크바로 이루어진 적재대; 운반수단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구동되고, 적재대의 포크바와 나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 및 이들 포크바를 그 하단 중간에서 지지하는 고정보로 이루어진 운반포크;로 구성되고,Accordingly,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 one form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ading space of a rack,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ly installed high- A pal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fork bars fix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fork bars which are driven in a direction of a plurality of axes by the conveying means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rk bars of the stacking table, and a conveying fork comprising high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forks at their lower ends,

적재대와 운반포크의 포크바 높이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며, 높이가 낮은 쪽의 포크바는 하단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구비하여 그 고정보에 고정됨으로써,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포크바가 적재대의 포크바와 교호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진입·승강·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k bar height of the pallet and the transportation fork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rest, and the fork bar of the lower heigh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tab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lower end thereof, So that the fork bar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alternately overlapped with the fork bar of the stacking table.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돌출탭의 높이가 적어도 화물의 이재과정에 소요되는 운반포크의 승강높이보다 크게 설정되며, 운반수단으로는 예컨대 스태커크레인이 사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tab is set at least larger than the height of lifting and lowering of the transportation fork required for carrying the cargo, and a stacker crane, for example, is used as a transportation means.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다른 형태는, 랙의 적재공간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보 및 하단 일부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구비하여 고정보의 상면에 그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크바로 이루어진 적재대; 운반수단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구동되고, 적재대의 포크바와 동일높이를 가지고 그들과 나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하단의 길이방향 중간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갖는 다수의 포크바 및 이들 포크바의 돌출탭을 그 하단에서 지지하는 고정보로 이루어진 운반포크;로 구성되어,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포크바가 적재대의 포크바와 교호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진입·승강·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a loading space of a rack and includes high-level information installed horizontally and protruding tabs of a predetermined height at a lower part thereof, A plurality of fork bars fix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ork bars which are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multiple axes by the conveying means and which have the same height as the fork bars of the stacking bar and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parallel with them and have protruding tabs of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s, Wherein the fork bar approach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tacking table, and the fork bar enters, elevates and retracts in a state in which the fork bar is alternately overlapped with the fork bar of the stacking table. do.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적재대에 대한 운반포크의 진퇴시 화물이 상대 포크바에 간섭받지 않는 최소의 여유간격만큼만 승강하면서 화물을 이재시킬 수 있어 화물을 적재용 랙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팔레트사용도 배제시킨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rgo to be loaded and unloaded very quickly to and from the loading rack as the cargo moves up and down the minimum clearance that is not interfered with relative to the fork bar when the carrying fork is moved forward to the loading cargo It also excludes the use of separate pallets.

또한, 적재대의 포크바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보의 상면에 길게 고정되어 있어 설정된 적재공간 한도에서는 화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물보관시스템의 입·출고 신속성과 신뢰성 및 보관효율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since the fork bar of the loading platform is not detached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load various sizes of freigh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reight in the set loading space limit. Reliability and storage efficiency.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5 내지 도7d에서,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 무팔레트 적재구조는, 기본적으로 랙(R)의 적재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화물(W)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적재대(10)와, 다축 방향으로 진행 가능한 운반수단에 의해 적재대(10)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화물(W)을 적재대(10)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시키는 운반포크(20)로 구성된다.5 to 7D,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pallet 10 fixedly install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R and supporting the cargo W from the bottom, And a transportation fork 20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argo W on the loading table 10 while approaching and retracting to the side of the loading table 10 by means capable of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ading table 10.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평면에서 보아 랙(R)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포스트(P)를 연결하는 보는 수평보(B)로 지칭하고, 랙(R)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포스트(P)를 연결하는 보는 연결보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iew connecting the post P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ck R from the plane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beam B, and the post P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R It is referred to as "connecting beam".

적재대(10)는 고정보(11)와, 이 고정보(11)의 상면에 평면에서 보아 그와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포크바(12)로 이루어진다. 포크바(12)는 적정두께와 폭을 갖는 긴 판상으로 구성되어 그 폭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적어도 그 두께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고정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loading table 10 is composed of a high information 11 and a plurality of fork bars 1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 information 11 in a plan view. The fork bar 12 is formed of a long plate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width, is fixedly erected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gh-definition information 11 at an interval larger than at least the thickness thereof.

고정보(11)는 랙(R)의 2개의 수평보(B) 사이에 고정된다. 고정보(11)는 화물 (W)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포크바(12)의 길이방향 중간에 배치되어야 하나, 측면에서 접근하는 운반포크(20)의 완전한 진입을 위해서 운반포크(20)의 진입 반대쪽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보(11)의 편심량은 적어도 운반포크(20)의 고정보 (21)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The high information 11 is fixed between the two horizontal beams B of the rack (R). The high information 11 should b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k bar 12 for stable support of the cargo W but it is required that the entrance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And is biased toward the opposite side.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high information 11 is set at leas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igh information 21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따라서, 적재대(10)의 고정보(11)는 화물(W)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운반포크(20)의 진입 반대쪽에 적어도 1개를 더 구비하여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high information 11 of the loading table 1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so as to stably support the cargo W, thereby achieving structural stability.

그런데, 랙(R)은 다수의 포스트(P)와 수평보(B) 및 연결보에 의해 격자구조로 구획되어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바, 바람직하기로 적재대(10)의 두 고정보(11)는 랙(R)의 연결보로서도 동시에 기능하게 된다. 이는, 역으로 랙(R)의 연결보가 적재대(10)의 고정보 역할을 겸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The rack R is partitioned into a lattice structure by a plurality of posts P, a horizontal beam B and a connecting beam to form a loading space. Preferably, the rack R includes two high- ) Function simultaneously as a connection beam of the rack (R). This also means that the connecting rods of the rack R also serve as a high information role of the loading table 10.

이에 따라, 적재대(10)가 가장자리에 위치한 랙(R1)에 설치되어 그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쪽으로만 운반포크(20)가 접근하는 경우는, 적재대(10)의 운반포크 진입쪽 고정보(11)가 랙(R)의 수평보(B)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포크바(12)가 운반포크(20)의 진입쪽으로 그 길이의 적어도 1/2이상 고정보(11)로부터 돌출된 내민보 형태를 취하게 된다.Thus, when the loading table 10 is provided in the rack R 1 located at the edge and the transportation fork 20 approaches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rack 10, The high information 11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orizontal beam B of the rack R so that the fork bar 12 protrudes from the high information 11 at least 1/2 of its length toward the entry side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Of the total population.

반면, 적재대(10)가 양 가장자리 랙(R1)의 중간에 위치한 랙(R2)에 설치되어 그 좌측 및 우측 모두에서 운반포크(20)가 접근하는 경우는, 예컨대 적재대(10)의 두 고정보(11)가 랙(R2)의 양측 포스트(P)들 간에 설치됨과 함께 포크바(12)의 길이가 가장자리 랙(R1)에 설치된 그것보다 2배의 길이로 구성되어 그 양 선단이 두 고정보(11)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형태를 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ck 10 is installed in the rack R 2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both-side rack R 1 and the transportation fork 20 approaches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height information 11 of the fork bar 12 is provided between the two posts P of the rack R 2 and the length of the fork bar 12 is twice as long as that of the edge rack R 1 , And both ends are projected to both sides of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11, respectively.

운반포크(20) 역시 적재대(10)의 포크바(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22)와, 이들 포크바(22)를 길이방향의 중간 하단에서 그들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일체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고정보(21)로 이루어진다.The carrying fork 20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rk bars 22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ork bars 12 of the stacking table 10 and a plurality of fork bars 22 arranged at right- And high information 21 integrally fixed and supported.

이러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도 적재대(10)의 포크바(12)와 마찬가지로 적정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폭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적재대(10)의 포크바(12)와 중첩될 수 있도록 그 두께보다는 큰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also fix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width and is erected in the width direction like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Are arranged at an interval larger than the thickness thereof so as to overlap with the bars (12).

여기서, 운반포크(20)를 구동시키는 운반수단은 여러 형태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3축 방향으로 운전 가능한 스태커크레인(C)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반포크(20)는 스태커크레인(C)의 포크(F)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포크(F)를 배제한 채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Here, various types of conveying means for driving the conveying fork 20 can be used, and preferably a stacker crane C capable of operating in three axial directions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transportation fork 20 may be mounted on the fork F of the stacker crane C, or may be mounted directly without excluding the fork F.

한편,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는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높이 (b)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고, 이에 대해 운반포크(20)의 각 포크바(22) 하단 중간에는 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보(21)에 고정됨으로써 그 전체높이를 적재대(10)의 포크바(12) 높이(a)보다 크게 해주는 적정높이(s1)의 돌출탭(23)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A protrusion of an appropriate height s 1 which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r 22 to be fixed to the high information 21 so as to make its total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of the mounting table 10 Tab 23 is provided.

적재대(10) 포크바(12)와 운반포크(20) 포크바(22)간의 높이차이는, 적어도 적재대(10)에 대한 운반포크(20)의 진퇴시 화물(W)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양자간에 부여되는 여유(g1또는 g2)보다 크게 구성된다.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ading table 10 and the fork bar 12 and the fork bar 20 and the height of the fork bar 22 is such that at least the interference with the cargo W when the carrying fork 20 mov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table 10 (G 1 or g 2 ) between them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예컨대, 운반포크(20)가 화물(W)을 탑재하여 적재대(10)로 진입할 때, 양자의 포크바(22)(12) 상단레벨이 동일할 경우 화물(W)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에 접촉하여 그 이송에 방해되는 바, 확실한 운반을 위해 운반포크(20)의 포크바 (22) 상단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보다 여유(g1)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transportation fork 20 mounts the cargo W and enters the loading platform 10, when the top level of the forks 22 and 12 is the same, the cargo W is transferred to the loading platform 10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for reliable transportation g &lt; RTI ID = 0.0 &gt; 1 ). &lt; / RTI &gt;

반대로, 화물(W)을 적재대(10)의 포크바(12)상에 이재시킨 뒤 빠져나올 때는, 진입시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상단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보다 여유(g2)만큼 낮은 레벨에 위치한 상태로 후퇴하게 된다. 물론, 적재대(10)로부터 화물(W)을 인출할 경우에는, 전술한 적재시와 반대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go W is transferred onto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and then exited,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22 of the carrying fork 20 is moved to the loading table 10, (G 2 )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12 of the first embodiment . Of course, when the cargo W is taken out from the loading table 10, it is opposite to that in the above-mentioned loading.

따라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가 하부여유(g2)만큼 낮은 레벨에 위치하여도 적재대(10)의 고정보(11)에 저촉되지 않아야 하므로 적재대(10) 포크바(12)의 높이(a)가 운반포크(20) 포크바(22)의 높이(b)보다 여유(g1,g2)보다는 커야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located at a level as low as the lower margin g 2 , it must not be in contact with the high information 11 of the table 10,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12 must be greater than the clearance g 1 and g 2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 작동여유(g1)(g2)는 각 포크바(12)(22)가 운반중이거나 적재된 상태의 화물(W)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으로 설정된다.These upper and lower working clearance (g 1) (g 2) is set at a minimum spacing that can not cause interference to the fork bars (12, 22) the cargo (W) of the or of the transport loading conditions .

또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에 형성되는 돌출탭(23)의 높이(s1)는, 운반포크(20)의 상부 및 하부여유(g1)(g2)를 합한 것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는 운반포크(20)가 상부여유(g1)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진입시 그 고정보(21)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에 저촉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The height s 1 of the protruding tabs 23 formed on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the sum of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g 1 and g 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 This is because the height information 21 should not be in contact with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even when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located at a level as high as the upper margin g 1 .

이는 곧, 돌출탭(23)의 높이(s1)가 적어도 화물(W)의 이재에 필요한 운반포크(20)의 승강높이(g1+g2)보다는 커야 됨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height s 1 of the protruding tabs 23 must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lift height g 1 + g 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necessary for transfer of the cargo W.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작동상태를 도7a 내지 도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the cargo storage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D.

도7a에서, 외부로부터 화물(W)이 반입되어 탑재된 운반포크(20)는 스태커크레인(C)에 의해 랙(R)의 빈 적재대(10)로 이동한다. 이때, 운반포크(20)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스태커크레인(C)의 캐리지(carriage:K)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그 포크바(22) 상단이 적재대(10)의 상단보다 상부여유(g1)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하여 정지한다.7A, the transportation fork 20 on which the cargo W is loaded from the outside is loaded on the empty rack 10 of the rack R by the stacker crane C.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K of the stacker crane C is controlled by a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22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table 10 g &lt; RTI ID = 0.0 &gt; 1 ) &lt; / RTI &gt;

다음,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K)에 설치된 포크(F)의 작동에 의해 운반포크(20)가 적재대(10) 쪽으로 수평 이동하고, 이에 따라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와 교호적으로 중첩되면서 적재대(10)의 측면으로부터 진입한다.Next, as shown in Fig. 7B, the fork F installed in the carriage K causes the transportation fork 20 to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loading table 10, and thus the fork bar 20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22 are alternately overlapped with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and enter from the side of the loading table 10.

이때, 운반포크(20)는 그 포크바(22)의 하단 중간에 소정높이(s1)의 돌출탭 (2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보(21)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 선단에 저촉되지 않고 적재대(10)의 고정보(11) 근처까지 깊숙이 진입된다.Since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tabs 23 of a predetermined height s 1 in the middle of the lower end of the fork bar 22, the high information 21 is transferred to the fork bar 12 ) Of the loading table 10 withou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eading end of the loading table 10.

즉, 돌출탭(23)은 화물(W)의 이재에 필요한 운반포크(20)의 승강높이(g1+g2)보다 큰 높이(s1)를 가지는 바,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 상단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보다 여유(g1)만큼 상승한 상태에서도 운반포크(20)의 고정보(21)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에 걸리지 않고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otruding tab 23 has a height s 1 which is larger than the lift height g 1 + g 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necessary for carrying the cargo W, and the height of the fork bar 20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The high information 21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transferred to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even when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lifted by the margin g 1 from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It is possible to enter without getting caught.

또한, 적재대(10)의 고정보(11)는 그 포크바(12)의 중간지점에서 운반포크 (20)의 고정보(21) 폭만큼 진입 반대쪽으로 치우쳐 위치되므로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가 적재대(10)의 포크바(12) 사이로 완전히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화물 (W)이 운반포크(20)상에 지지된 채 적재대(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Since the high information 11 of the loading table 10 is biased toward the opposite side by the width of the high information 21 of the carrying fork 20 at the middle point of the fork bar 12, The bar 2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ork bars 12 of the pallet 10. Then, the cargo W is held on the carrying fork 20 and is placed on the loading table 10.

이 상태에서,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크레인(C)의 캐리지(K)가 소정높이, 즉 상부 및 하부여유(g1+g2)만큼 하강한다. 그러면, 운반포크(20)의 포크바 (22) 상단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 상단보다 하부여유(g2)만큼 낮은 레벨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물(W)은 운반포크(20)의 포크바(22)로부터 적재대(10)의 포크바(12)상으로 옮겨지게 된다.In this state, it is lowered by the carriage (K) has a predetermined height, i.e.,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 (g 1 + g 2) of the stacker crane (C) as shown in Fig. 7c.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22 of the transportation fork 20 is positioned at a level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by the lower margin g 2 , And is transferred from the fork bar 22 of the fork 20 onto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이와 같이 화물(W)이 적재대(10)의 포크바(12)상으로 이재되고 나면, 도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크레인(C)의 포크(F)가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운반포크(20)가 적재대(10)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화물(W)의 적재를 완료하게 된다.7D, as the fork F of the stacker crane C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cargo W is transferred onto the fork bar 12 of the loading table 10, (20) is taken out of the loading platform (10) to complete the loading of the cargo (W).

한편, 화물(W)을 적재대(10)로부터 인출할 경우에는 전술한 적재의 역순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go W is taken out from the stacking platform 10, the process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mentioned stacking.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재구조는 운반포크(20)가 적재대(10)와 거의 같은 레벨에서 그 측면으로부터 접근 및 후퇴하고, 이동시 화물(W)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상·하부 여유(g1+g2)만큼만 승강하면서 화물 (W)을 적재 또는 인출할 수 있는 바, 구조적으로 간단할 뿐 아니라, 특히 적재와 인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loa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carrying fork 20 approaches and retracts from its side at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as the loading table 10, The cargo W can be loaded or unloaded while being lifted up and down only by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g 1 + g 2 ) of the cargo.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in particular,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and unloading is minimized.

도8 내지 도9d에는 본 고안에 의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8 to 9D schematically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운반포크(40)의 포크바(42)와 적재대(30)의 포크바(32)의 구성을 반대로 형성한 구성이다. 즉, 적재대(30)의 포크바 (32) 높이(a)를 운반포크(40)의 포크바(42) 높이(b)보다 여유(g1또는 g2)이상 작게 형성하고, 그 하단에 고정보(31)에 접합되는 소정높이(s2)의 돌출탭(33)을 형성하는 것이다.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ork bar 42 of the transportation fork 4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ork bar 32 of the loading table 30 are revers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at is, the height a of the fork bar 32 of the loading table 3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42 of the transportation fork 40 by a margin (g 1 or g 2 ) And the protruding tabs 33 of the predetermined height s 2 to be bonded to the high-quality information 31 are formed.

이러한 적재대(30)의 돌출탭(33) 역시 운반포크(40)의 화물(W) 이재에 필요한 승강높이인 상·하부 여유(g1,g2)의 합보다 크게 설정된다.Projecting tab 33 of such a mounting table 30 is also set larger than the sum of the transport forks 40, cargo (W) onto the lifting height required for different materials, the lower free (g 1, g 2) of the.

이에 따라, 화물(W)의 적재시 도9a와 같이 운반포크(40)의 포크바(42) 상단이 적재대(30)의 포크바(32) 상단보다 여유(g1)만큼 높은 레벨로 측면에서 진입하여도 운반포크(40)의 포크바(42) 선단이 적재대(30)의 고정보(31)에 저촉되지 않고 도9b와 같이 그 고정보(41)가 적재대(30)의 고정보(31) 근처까지 깊숙이 진입하게 된다.9A,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42 of the transportation fork 40 is positioned at a level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32 of the loading table 30 by a margin g 1 , The leading end of the fork bar 42 of the transportation fork 4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high information 31 of the loading table 30 and the high information 41 of the carrying fork 40 does not contact the high information 31 of the loading table 30 Information 31 to the nearest point.

이후, 도9c와 같이 운반포크(40)의 포크바(42) 상단이 적재대(30)의 포크바 (32) 상단보다 하부여유(g2)만큼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강하여도 돌출탭(33)의 높이(s2)가 상·하부 여부(g1,g2)의 합보다 크기 때문에 적재대(30)의 고정보(31)에 저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운반포크(40)상의 화물(W)이 적재대(30)상으로 옮겨진다.9C, even if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42 of the transportation fork 40 is lowered to a level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32 of the loading table 30 by the lower margin g 2 , 33) height (s 2), the upper and lower if (g 1, g 2) because of the size than the sum is not in conflict with the said information (31 of the mounting bracket 30) of the, whereby the cargo on the carrying fork (40) (W) is transferred onto the stage (30).

화물(W)의 이재가 완료되면, 도9d와 같이 운반포크(40)가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운반포크(40)는 적재대(30)의 돌출탭(33)에 의해 부여된 여유높이(s2)에 따라 화물(W)이나 적재대(30)의 고정보(31)에 전혀 저촉되지 않는다.When the transfer of the cargo W is completed, the transfer fork 4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gain as shown in FIG. 9D. At this time, the transfer fork 40 is transferred by the projecting tab 33 of the loading table 30 (S) of the cargo (W) or the loading table (30) according to the margin height (s 2 )

한편, 도10 내지 도11d에는 본 고안에 의한 무팔레트 적재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s. 10 to 11D schematically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것은 전술한 두 실시예를 병합한 구성으로, 적재대(50)의 포크바(52)와 운반포크(60)의 포크바(62) 높이(a)(b)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각각의 하단에 그 고정보(51)(61)에 접합되는 소정높이(s2)(s1)의 돌출탭(53)(63)들을 각각 형성한 구성이다.This is because the height a and the height b of the fork bar 62 of the stacking platform 50 and the height of the fork bar 62 of the transporting fork 60 are made equal to each other, And protruding tabs 53 and 63 of a predetermined height s 2 (s 1 ) joined to the high information 51 and 61 are formed at the lower end, respectively.

이때의 각 돌출탭(53)(63)들의 높이(s2)(s1)는 적재대(50)에 대한 운반포크 (60)의 진퇴를 위해 부여되는 상부 또는 하부 여유(g1)(g2)에 대해서만 크게 설정된다. 또한, 각 포크바(52)(62)의 높이(a)(b)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작은 쪽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The height of the respective projecting tabs 53, 63 of the case (s 2) (s 1) is the upper or lower margin (g 1) which is assigned to the advance and retreat of the transporting fork 60 to the mounting table (50), (g 2 ). Further, the height (a) (b) of each of the fork bars 52, 62 is se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maller on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 역시 도11a 내지 도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작동되는데, 운반포크(60)가 적재대(50)로 진입할 때는 그 포크바(62)의 하단에 구비된 돌출탭(63)에 의해 고정보(51)(61) 등에 대한 저촉이 방지되고, 승강 및 후퇴할 때는 적재대(50)의 포크바(62) 하단에 구비된 돌출탭 (53)에 의해 저촉이 방지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구분된다.11 (a) to 11 (d), it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en the transportation fork 60 enters the loading platform 50, the operation of the fork bar 62 The protruding tabs 63 provided at the lower end prevent the high information 51 and 61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tabs 5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ork bar 62 of the loading table 50 And thus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각 포크바(52)(62)와 돌출탭(53)(63)의 높이(a,b)(s2,s1)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화물(W)의 적재와 인출시간을 그만큼 더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화물보관시스템의 공간축소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s a, b (s 2 , s 1 ) of the fork bar 52, 62 and the protruding tabs 53, 63 can be set smaller than those of the ab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loading and unloading time of the vehicle W and contribute to the space reduction of the cargo storage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에 의하면,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 접근하면서 운반포크의 진입과 후퇴시 탑재된 화물이 상대 포크바에 간섭받지 않는 최소의 여유간격만큼만 운반포크가 승강하면서 화물을 이재시킬 수 있어 화물을 적재용 랙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llet stacking structure of the cargo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ortation fork approaches the side of the stacking platform, a minimum allowance It is possible to load and unload the cargo to and from the loading rack very quickly by lifting and carrying the cargo forks as much as the interval.

뿐만 아니라, 운반포크가 화물을 직접 탑재하여 랙의 적재대상에 이재시키고 그로부터 인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팔레트를 사용할 필요도 전혀 없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pallet because the fork transports the cargo directly onto the rack and draws it from there.

또한, 적재대의 포크바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보의 상면에 길게 고정되어 있어 설정된 적재공간 한도에서는 화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k bar of the loading platform is not detached, it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 in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load various sizes of cargo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argo at the set loading space limit.

그러므로 본 고안은, 화물보관시스템의 입·출고 신속성과 신뢰성 및 보관효율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romptness of entry and exit of the cargo storage system, reliability, and storage efficiency.

Claims (10)

다수의 적재공간을 갖는 랙과, 이 랙의 적재공간에 대해 화물을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인출시키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화물보관시스템에 있어서,CLAIMS 1. A cargo storage system comprising a rack having a plurality of loading spaces and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nd loading or discharging the cargo to and from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상기 랙의 적재공간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보 및 이 고정보의 상면에 그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크바로 이루어진 적재대;A loading table install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forks arranged horizontally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 information; 상기 운반수단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적재대의 포크바와 나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 및 이들 포크바를 그 하단 중간에서 지지하는 고정보로 이루어진 운반포크;로 구성되고,A plurality of fork bars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multi-axis by the conveying means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rk bars of the stacking bases, and high-level information supporting the fork bars at the lower end thereof, 상기 적재대와 운반포크의 포크바 높이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며, 높이가 낮은 쪽의 포크바는 하단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구비하여 그 고정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포크바가 적재대의 포크바와 교호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진입·승강·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The fork bar of the transporting fork and the fork of the transporting fork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s, and the fork bar of the lower heigh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tab of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lower end thereof, Lifts, and retracts in a state in which the fork bar is superimposed alternately on the fork bar of the stack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포크의 포크바는 적재대에 대한 진·출입시 그 상단이 적재대의 포크바 상단에 대하여 소정레벨만큼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2. The cargo storag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k bar of the transportation fork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of the loading stand, Pallet loading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와 운반포크의 포크바간의 높이차이는 적어도상기 운반포크의 진·출입시 양자의 상단간에 유지되는 레벨차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3. The cargo storag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orks of the pallet and the fork is set larger than a level difference maintained between at least the top of the pallet and the fork of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탭의 높이는 적어도 화물의 이재과정에 소요되는 운반포크의 승강높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The pallet sta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tabs is set at least larger than an elevation height of a transportation fork required to transfer the carg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의 고정보는 그 포크바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상기 운반포크의 진입 반대쪽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The pallet stack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ixed view of the pallet is bias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fork of the fork in the longitudinal middle of the fork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이 스태커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The pallet stack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means is a stacker crane. 다수의 적재공간을 갖는 랙과, 이 랙의 적재공간에 대해 화물을 운반하여 적재하거나 인출시키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화물보관시스템에 있어서,CLAIMS 1. A cargo storage system comprising a rack having a plurality of loading spaces and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nd loading or discharging the cargo to and from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상기 랙의 적재공간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보 및 하단 일부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보의 상면에 그와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포크바로 이루어진 적재대;A loading table install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rack and having a plurality of fork bar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 information by having high information horizontally installed and a protruding tab of a predetermined height at a lower part thereof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thereto; 상기 운반수단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적재대의 포크바와 동일높이를 가지고 그들과 나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하단의 길이방향 중간에 소정높이의 돌출탭을 갖는 다수의 포크바 및 이들 포크바의 돌출탭을 그 하단에서 지지하는 고정보로 이루어진 운반포크;로 구성되어,A plurality of fork bars which are driven in the direction of multiple axes by the conveying means and which have the same height as the fork bars of the stacking bar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in parallel with the bars and have projecting tabs of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s, And a transfer fork having high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protruding tabs at the lower end thereof, 상기 운반포크가 적재대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포크바가 적재대의 포크바와 교호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진입·승강·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Wherein the fork bar approaches from the side of the stacking table and the fork bar enters, elevates and retracts in a state in which the forks are alternately overlapped with the forks of the stacking platfor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포크의 포크바는 적재대에 대한 진·출입시 그 상단이 적재대의 포크바 상단에 대하여 소정레벨만큼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The cargo storag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ork bar of the transportation fork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fork bar of the loading table Pallet loading structur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와 운반포크의 돌출탭들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운반포크의 진·출입시 양자의 포크바 상단간에 유지되는 레벨 차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9. A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height of the projecting tabs of the stacking platform and the transporting fork is set to be greater than a level difference maintained between the tops of the fork bars of both the transporting forks and the transporting forks.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the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의 고정보는 그 포크바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상기 운반포크의 진입 반대쪽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보관시스템의 무팔레트 적재구조.8. The pallet loading structure of claim 7, wherein the fixed view of the pallet is biased towards the opposite side of the fork of the fork in the longitudinal middle of the fork bar.
KR2020020026499U 2002-09-04 2002-09-04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KR2002968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99U KR200296867Y1 (en) 2002-09-04 2002-09-04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499U KR200296867Y1 (en) 2002-09-04 2002-09-04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232A Division KR100418328B1 (en) 2002-09-04 2002-09-04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67Y1 true KR200296867Y1 (en) 2002-12-02

Family

ID=7312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99U KR200296867Y1 (en) 2002-09-04 2002-09-04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6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0661A (en) * 2019-08-07 2021-02-09 王魁 Multilayer fruit basket tray-free loading, unloading and carry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0661A (en) * 2019-08-07 2021-02-09 王魁 Multilayer fruit basket tray-free loading, unloading and carry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034B2 (en) Cargo storage system
CN112693800B (en) Temporary storage laminate, temporary storage rack, goods shelf and storage device
CN110451153B (en) Goods shelf and storage system
JP2019077508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KR20210023297A (en) vertical type automated storage system
CN111115072A (en) Automatic warehouse and goods storing and taking method thereof
KR200296867Y1 (en) A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JP7488029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US20240034556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2001039506A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N218752820U (en) Goods shelf and warehousing system
JP7125375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JPH08231008A (en) Automatic warehouse facility
JP2000327112A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facilities
JP3752415B2 (en) Double storage type automatic warehouse
CN115806140A (en) Goods shelf, warehousing system and warehousing method
JP2578166B2 (en) Automatic warehouse equipment
TW202408902A (en) Transfer system
JP2003146410A (en) Storage equipment
JP2557467B2 (en) Equipment for changing shipping order in automated warehouse
JPH051711U (en) Automatic warehouse shelf equipment
CN118524977A (en) Storage system
JP3069907U (en) Loading pallets and load storage structures using the loading pallets
JP2023164598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H05132064A (en) Pallet for storage and transfer of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