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116725A -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725A
KR20200116725A KR1020190038496A KR20190038496A KR20200116725A KR 20200116725 A KR20200116725 A KR 20200116725A KR 1020190038496 A KR1020190038496 A KR 1020190038496A KR 20190038496 A KR20190038496 A KR 20190038496A KR 20200116725 A KR20200116725 A KR 2020011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part
wire connection
central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605B1 (ko
Inventor
김호연
신현재
이재원
임호빈
정경훈
조성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6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원가, 난이도 및 시간을 저감하는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부분에서만 실링부재의 도포량을 증대하고 불필요한 부분에 수용되는 실링부재의 양을 저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실링부재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밀폐성을 향상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Mo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커넥터 및 커넥터장착부의 개선된 구조 및 그에 따른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냉방 및 난방과 엔진룸 내 각종 장치들의 냉각을 위하여 공조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냉각팬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 때 냉각팬은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stator, 고정자)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스테이터의 중심부에 위치한 로터(rotor, 회전자)가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류모터에는 인버터(invertor)가 구비되는데, 인버터는 배터리, 모터, 발전기를 연결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제어 및 전압의 변환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배터리 전압을 전력손실이 적은 최적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전달하고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의 회전축 연장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할 때, 일반적으로 인버터는 모터의 하방에 연결 배치된다. 인버터의 내부에는 제어를 위한 회로 등이 형성되는 기판이 배치되며, 인버터의 일측에는 내부의 기판과 외부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형성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5-117708호("제어 수단 일체형 교류 모터", 2005.04.28., 이하 '선행문헌')에는, 이처럼 인버터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모터의 한 예시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의한 모터는, 인버터 하우징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장착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인버터 하우징 및 커넥터 사이, 커넥터 및 케이블 사이 등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틈새의 수밀을 위해 커넥터 장착부에 복수 개의 실링부재가 사용되거나, 커넥터 바디가 탄성 변형 가능한 그로멧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등의 구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모터는, 인버터 하우징에 커넥터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장착 구조가 복잡하고, 커넥터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조립작업이 상당히 난해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일본특허공개 제2005-117708호("제어 수단 일체형 교류 모터", 2005.04.28., 이하 '선행문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원가, 난이도 및 시간을 저감하는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부분에서만 실링부재의 도포량을 증대하고 불필요한 부분에 수용되는 실링부재의 양을 저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실링부재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밀폐성을 향상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1000)는, 대상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1100); 상기 모터부(1100)를 제어하는 인버터부(1200); 를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커넥터장착부(200) 및 기판장착부(400)를 포함하는 하우징(600);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700)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100); 상기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부(1100)를 제어하며, 상기 기판장착부(400)에 수용 결합되는 기판(300);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수용 결합된 상기 하우징(600)의 상면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커버(5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기 모터부(1100)의 축방향을 높이방향, 상기 전선(700)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높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너비방향이라 할 때,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 형태로 된 장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S)에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하우징(600) 측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기 커넥터(100)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장착부(200)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내면에 면접하고,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100) 외면에 면접하여,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내면,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상기 커넥터(100)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커넥터측면실링재(810)가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가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측면에 형성되는 틈을 수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00)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700)과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10),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110) 내면에 연결되는 중심몸체부(120),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120)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300)과 연결되는 기판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장착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연결부(110)를 수용하는 전선연결부장착부(210),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21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몸체부(120)를 수용하는 중심몸체부장착부(220),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22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연결부(130)를 수용하는 기판연결부장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상기 전선연결부(110)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에 커넥터하면실링재(820)가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가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하면에 형성되는 틈을 더 수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전선연결부외벽(113),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이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선연결부측벽(114),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몸체부(120)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내벽(115)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은 상기 전선연결부외벽(113), 상기 전선연결부측벽(114), 상기 전선연결부내벽(115)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중심몸체부(120)의 높이가 상기 전선연결부(110)의 높이보다 낮음으로써 상기 전선연결부(110) 및 상기 중심몸체부(120) 간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상기 중심몸체부(120)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에 전선둘레실링재(830)가 수용되어,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가 상기 전선(700) 주변부분 둘레에 형성되는 틈을 수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심몸체부측벽(124),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연결부(130)와 연결되는 중심몸체부외벽(123)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은 상기 중심몸체부외벽(123), 상기 중심몸체부측벽(124), 상기 전선연결부(110) 내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전선연결부(110)가,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 내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선관통홀(116)이 형성되는 전선하우징(117)을 포함하여, 상기 전선(700) 끝단이 상기 전선관통홀(116)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기판연결부(130)가, 상기 기판연결부(130) 길이방향 내측 끝단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300)과 접속되는 단자(131) 및 상기 기판연결부(130)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접속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관통홀(116)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전선(700) 끝단이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 내에서 상기 단자접속부(133)와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기 커넥터(100)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돌출벽(121)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장착부(200)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보다 내측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121)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221)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간의 결합이 안내되도록,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221)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121) 사이 공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500)는, 상기 커버(500) 하면에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홈(510)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중 상기 커넥터(100)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510)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및 상기 하우징(600)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피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중 상기 하우징(600)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510)이 상기 하우징(600)의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형성된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버터부(1200)는, 상기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가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를 동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의 조립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1000)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0)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600)의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틈이 수밀되도록 실링재(800)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단계; 상기 기판(300)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기판(300)에 형성된 핀홀(310)에 상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단자(131)가 끼워져 접속되는 단계; 상기 커버(500)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커넥터(100), 상기 기판(3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의 상면을 덮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버터(1200) 조립이 완료되는 단계; 상기 커버(500) 상면에 상기 모터부(1100)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모터(1000) 조립이 완료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의 기판에 커넥터 역할을 하는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터미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에 비하여 부품 개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원가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이 삭제되는 구조의 개선을 통해, 인버터 하우징에 기판보다 커넥터를 먼저 조립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립공정이 훨씬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공정의 난이도 및 시간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형상적인 개선을 통해, 커넥터와 인버터 하우징 결합 부분에서의 실링부재의 도포량을 증대함할 수 있어, 밀폐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 개선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실링부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실링부재의 전체적인 사용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버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커넥터 및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커넥터 및 하우징 조립체의 조립사시도.
도 5는 커넥터의 일측사시도.
도 6은 커넥터의 타측사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모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조립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인버터부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모터(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1100) 및 상기 모터부(1100)를 제어하는 인버터부(1200)가, 상기 모터부(1100)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상측 및 하측에 배치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즉 인버터 일체형 모터이다. 이 때 상기 인버터부(1200)는, 도 2에서 하측에서 상측 순으로, 하우징(600), 커넥터(100), 기판(300), 커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00)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커넥터장착부(200) 및 기판장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700)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수용 결합된다. 이 때 외부신호란,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과 모터의 회전수 등을 정의한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00)은, 상기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부(1100)를 제어하며, 상기 기판장착부(400)에 수용 결합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수용 결합된 상기 하우징(6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하에서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1100)의 축방향을 높이방향, 상기 전선(700)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높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너비방향이라 하고, 이후의 설명은 상술한 방향축에 따른다.
도 2로부터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00)은, 바닥면 외곽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이 전체적인 측면에 둘러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커넥터(100)를 장착하기 위한 부분 즉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부분의 측면은, 상기 커넥터(100)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바로 이 개방된 공간에 상기 커넥터(100)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우징(600)의 측면이 닫힐 수 있게 된다.
도 3은 커넥터 및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커넥터 및 하우징 조립체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하자면,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 형태로 된 장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S)에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이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하우징(600) 측면을 밀폐하게 된다.
이 때 조립 완료 후에는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하우징(600)에 꼭 맞춰짐으로써 틈이 없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으나, 실제로는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수밀하기 위한 실링재가 적당한 위치에 주입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여기에서는 상기 커넥터(100)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들 및 이 때의 상기 모터(1000)의 조립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모터부(110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부(1100)에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전선(700)들을 연결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모터부(110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자들에 상기 전선(700)들을 하나하나 연결하는 것은, 조립공수 및 시간을 지나치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에는 상기 전선(700)이 연결되며, 전력 공급 또는 신호 송수신 제어를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 기판(300)은 상기 모터부(110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접속되기만 하면, 상기 전선(700)과 상기 모터부(1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도 2로부터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단지 각부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상기 기판(300)에 형성된 핀홀(310)에 상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단자(131)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원활하게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터(1000)의 조립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600)이 최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00)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600)의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틈이 수밀되도록 실링재(800)가 주입되어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300)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기판(300)에 형성된 핀홀(310)에 상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단자(131)가 끼워져 접속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500)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커넥터(100), 상기 기판(3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의 상면을 덮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버터(1200) 조립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500) 상면에 상기 모터부(1100)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모터(1000)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조립방법 단계 중 특히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접속되는 과정에서, 단지 기계적인 조립이 이루어지기만 할 뿐 별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납땜 등과 같은 공정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100)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립공수 및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공정이 간소화됨에 따라 조립과정에서의 접속 불량 등의 요인으로 발생되는 불량률 증가도 크게 억제될 수 있다.
[2] 실링구조의 구체적인 구성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상기 커넥터(100) 주변의 실링구조와,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앞서의 도 3(커넥터-커넥터장착부 분해사시도), 도 4(커넥터-커넥터장착부 조립사시도)와 더불어, 상기 커넥터(100)의 일측 및 타측 사시도인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한다.
2-1. 커넥터측면실링재(810)의 실링구조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측면실링재(810)의 실링구조 및 그와 관련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장착부(200)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은, 실질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장착공간(S)의 끝부분에 해당한다.
이 때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내면에 면접하고,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100) 외면에 면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내면,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상기 커넥터(100) 외면이 하나의 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바로 이 공간에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가 주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내면,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상기 커넥터(100)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도 4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틈이 있을 경우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즉 이 공간이 확실하게 수밀이 되어야 외부로부터 습기 등이 상기 인버터부(120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편, 역시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 공간은 상당히 부피가 작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하면, 불필요하게 실링재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측면의 확실한 수밀을 실현할 수 있다.
2-2. 커넥터하면실링재(820)의 실링구조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하면실링재(820)의 실링구조 및 그와 관련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커넥터(100)의 구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그 역할 및 위치를 고려하여 전선연결부(110), 중심몸체부(120), 기판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700)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110) 내면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기판연결부(13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120)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30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실제로는 이 세 부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각부를 색깔로 표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가 구분될 경우 상기 커넥터장착부(200)도 여기에 상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연결부(110)를 수용하는 전선연결부장착부(210),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21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몸체부(120)를 수용하는 중심몸체부장착부(220),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22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연결부(130)를 수용하는 기판연결부장착부(23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는 적은 양으로도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측면에 형성되는 틈을 효과적으로 수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로는 그 위치상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하면에 형성되는 틈은 수밀하지 못한다. 이 부분의 효과적인 수밀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커넥터하면실링재(820)가 더 주입될 수 있는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상기 전선연결부(110)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 자체는 관통공 형태이지만,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결합시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의 하면은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의하여 막히므로 실링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바로 이 공간에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가 주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모양일 때,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전선연결부외벽(113),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이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선연결부측벽(114),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몸체부(120)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내벽(115)을 포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은 상기 전선연결부외벽(113), 상기 전선연결부측벽(114), 상기 전선연결부내벽(115)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이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도 4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시 틈이 있을 경우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부분으로, 여기에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하면의 확실한 수밀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몸체부(120)의 높이가 상기 전선연결부(110)의 높이보다 낮음으로써 상기 전선연결부(110) 및 상기 중심몸체부(120) 간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의 수용깊이가 상당히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에 수용되는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의 주입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는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하면을 전체적으로 수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하면으로부터 대단히 높은 위치까지 채워지지는 않아도 무방함은 자명하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의 수용깊이가 낮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꼭 필요한 부분에는 실링재가 도포되도록 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전체적인 실링재의 양을 절감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실링재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측면의 확실한 수밀을 실현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2-3. 전선둘레실링재(830)의 실링구조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전선둘레실링재(830)의 실링구조 및 그와 관련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 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 및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는 상기 커넥터(100) 결합부분 둘레(측면, 하면)를 수밀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때 상기 커넥터(100)에는, 상기 전선(700)이 결합되는 부분에도 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810) 및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820)는 이 부분의 틈은 수밀하지 못한다. 이 부분의 효과적인 수밀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전선둘레실링재(820)가 더 주입될 수 있는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상기 중심몸체부(120)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과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도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의하여 하면이 막힘으로써 실링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바로 이 공간에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가 주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모양일 때, 상기 중심몸체부(120)는,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심몸체부측벽(124),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연결부(130)와 연결되는 중심몸체부외벽(123)을 포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은 상기 중심몸체부외벽(123), 상기 중심몸체부측벽(124), 상기 전선연결부(110) 내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과 마찬가지로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이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도 4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700) 둘레에 틈이 있을 경우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부분으로, 여기에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전선(700) 주변부분 둘레의 확실한 수밀을 실현할 수 있다.
[3] 그 외의 구성
3-1. 커넥터(100) 내부의 전기적 접속구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는, 일측에는 상기 전선(70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단자(131)가 형성된다. 그렇다면 상기 커넥터(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700) 끝단과 상기 단자(1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바로 이러한 상기 커넥터(100) 내부의 전기적 접속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00) 내부에서의 상기 전선(700) 및 상기 단자(131) 간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전선연결부(110) 및 상기 기판연결부(130)에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을 더 가진다.
상기 전선연결부(110)는,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112) 내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선관통홀(116)이 형성되는 전선하우징(11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700) 끝단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관통홀(116)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기판연결부(130)는, 상기 기판연결부(130) 길이방향 내측 끝단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300)과 접속되는 단자(131) 및 상기 기판연결부(130)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접속부(13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자(131) 및 상기 단자접속부(133)가 일체의 금속(전기전도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금속 부피가 증가하여 전기저항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연결부(130)는, 상기 커넥터(100)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질(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서 상기 단자(131) 및 상기 단자접속부(1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저항 증가를 방지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지지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0)가 이와 같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전선관통홀(116)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전선(700) 끝단이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 내에서 상기 단자접속부(133)와 접속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 내부에서의 상기 전선(700) 및 상기 단자(131) 간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전선(700) 끝단 및 상기 단자접속부(133)는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부(1200) 조립과정에서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122)에는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가 주입되는데,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는 필연적으로 상기 전선(700) 및 상기 단자(131) 간 전기적 접속부분을 덮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전선(700) 및 상기 단자(131) 간 전기적 접속부분이 상기 전선둘레실링재(83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보호 및 고정될 수 있게 된다.
3-2. 커넥터(100) 결합시 안내구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꼭 맞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우징(600) 측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커넥터(100)가 길이방향으로 정위치에 배치되지 못할 경우, 즉 상기 하우징(60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된 상태로 고정될 경우, 장치 구조적인 불균형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는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을 더 가진다.
상기 커넥터(10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돌출벽(121)을 포함한다. 이 때 보다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121)의 길이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220)의 내면, 즉 중심몸체부장착부측벽(224)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장착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보다 내측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121)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221)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서,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및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221) 사이에는 전선연결부장착부측벽(214)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100)가 이와 같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221)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121) 사이 공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결합될 때, 상술한 구조에 따라 상기 커넥터(100)가 길이방향의 정위치로 올바르게 안내될 수 있다.
3-3. 커버(500) 구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00)에는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300))이 수용 결합된다. 여기에 상기 커버(500)를 덮어줌으로써 상기 인버터부(1200)의 조립이 완료되는데, 이 때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와 상기 커버(500) 사이가 수밀되지 못하면 또다시 습기의 침투 위험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50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커버(500)의 하면에 결합홈(510)을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홈(510)에는 하면에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홈(510)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중 상기 커넥터(100)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510)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111),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211) 및 상기 하우징(600)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피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중 상기 하우징(600)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510)이 상기 하우징(600)의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500)가 이와 같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커버(500)를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상단에 덮어 결합시켜 주는 조립공정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우징(600) 조립체 상단에서의 수밀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3-4. 커넥터(100) 및 커넥터장착부(200) 결합구조
앞서 설명한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의 여러 형상은, 상기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200)가 꼭 맞게 조립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형상적인 구조만으로는 견고하게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00)에 별도의 커넥터결합부(125)가 형성되게 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장착부(200)에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가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125)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225)를 동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모터
1100: 모터부 1200: 인버터부
100: 커넥터
110: 전선연결부
111: 전선연결부돌출벽 112: 전선연결부수용공
113: 전선연결부외벽 114: 전선연결부측벽
115: 전선연결부내벽 116: 전선관통홀
117: 전선하우징
120: 중심몸체부
121: 중심몸체부돌출벽 122: 중심몸체부수용공
123: 중심몸체부외벽 124: 중심몸체부측벽
125: 커넥터결합부
130: 기판연결부
131: 단자 132: 단자지지부
133: 단자접속부
200: 커넥터장착부
210: 전선연결부장착부
211: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 214: 전선연결부장착부측벽
220: 중심몸체부장착부
221: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 224: 중심몸체부장착부측벽
225: 커넥터장착부결합부
230: 기판연결부장착부
300: 기판 310: 핀홀
400: 기판장착부
500: 커버 510: 결합홈
600: 하우징 700: 전선
800: 실링재
810: 커넥터측면실링재 820: 커넥터하면실링재
830: 전선둘레실링재

Claims (16)

  1. 대상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부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커넥터장착부 및 기판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장착부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판장착부에 수용 결합되는 기판;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이 수용 결합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모터부의 축방향을 높이방향,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높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너비방향이라 할 때,
    상기 커넥터장착부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 형태로 된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 외측 끝단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 측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커넥터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돌출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장착부는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장착부 내면에 면접하고,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의 너비방향 끝단 외면이 상기 커넥터 외면에 면접하여,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 상기 커넥터장착부 내면,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 상기 커넥터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커넥터측면실링재가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측면실링재가 상기 커넥터 결합부분 측면에 형성되는 틈을 수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전선연결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 내면에 연결되는 중심몸체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기판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장착부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연결부를 수용하는 전선연결부장착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몸체부를 수용하는 중심몸체부장착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연결부를 수용하는 기판연결부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전선연결부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선연결부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에 커넥터하면실링재가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하면실링재가 상기 커넥터 결합부분 하면에 형성되는 틈을 더 수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전선연결부외벽,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이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선연결부측벽,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몸체부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내벽
    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은 상기 전선연결부외벽, 상기 전선연결부측벽, 상기 전선연결부내벽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중심몸체부의 높이가 상기 전선연결부의 높이보다 낮음으로써 상기 전선연결부 및 상기 중심몸체부 간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부는,
    상기 중심몸체부 중심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몸체부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에 전선둘레실링재가 수용되어,
    상기 전선둘레실링재가 상기 전선 주변부분 둘레에 형성되는 틈을 수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부는,
    너비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심몸체부측벽,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연결부와 연결되는 중심몸체부외벽
    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은 상기 중심몸체부외벽, 상기 중심몸체부측벽, 상기 전선연결부 내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선연결부가, 상기 전선연결부수용공 내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선관통홀이 형성되는 전선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전선 끝단이 상기 전선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기판연결부가, 상기 기판연결부 길이방향 내측 끝단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과 접속되는 단자 및 상기 기판연결부 길이방향 외측 끝단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전선 끝단이 상기 중심몸체부수용공 내에서 상기 단자접속부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커넥터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돌출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장착부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보다 내측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너비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 간의 결합이 안내되도록, 상기 중심몸체부장착부돌출벽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 및 상기 중심몸체부돌출벽 사이 공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하면에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 중 상기 커넥터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전선연결부돌출벽, 상기 전선연결부장착부돌출벽 및 상기 하우징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피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 중 상기 하우징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홈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에 형성된 커넥터장착부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가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결합부를 동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항에 의한 모터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장착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장착부의 틈이 수밀되도록 실링재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단계;
    상기 기판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핀홀에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가 끼워져 접속되는 단계;
    상기 커버가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커넥터, 상기 기판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면을 덮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버터 조립이 완료되는 단계;
    상기 커버 상면에 상기 모터부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모터 조립이 완료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조립방법.
KR1020190038496A 2019-04-02 2019-04-02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KR10258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96A KR102587605B1 (ko) 2019-04-02 2019-04-02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96A KR102587605B1 (ko) 2019-04-02 2019-04-02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25A true KR20200116725A (ko) 2020-10-13
KR102587605B1 KR102587605B1 (ko) 2023-10-11

Family

ID=7288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496A KR102587605B1 (ko) 2019-04-02 2019-04-02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7832A1 (ko) * 2022-11-30 2024-06-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102691547B1 (ko) * 2023-04-11 2024-08-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하우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708A (ja) 2003-10-02 2005-04-28 Denso Corp 制御手段一体型交流モータ
KR20170078206A (ko) * 2015-12-29 2017-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20170141342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모터
KR20180018282A (ko) * 2016-08-11 2018-02-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708A (ja) 2003-10-02 2005-04-28 Denso Corp 制御手段一体型交流モータ
KR20170078206A (ko) * 2015-12-29 2017-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20170141342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모터
KR20180018282A (ko) * 2016-08-11 2018-02-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7832A1 (ko) * 2022-11-30 2024-06-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102691547B1 (ko) * 2023-04-11 2024-08-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605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120B2 (en) Inverter built-i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EP1732195B1 (en) Brushless motor
US8466590B2 (en) Plug-in sensor board f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US8562313B2 (en) Pump assembly
KR102173360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JP3605425B2 (ja) 小型電気モータ
CN106972684B (zh) 定子绕组出线结构、定子组件和电机
KR102444446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20200116725A (ko)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조립방법
US11303180B2 (en) Motor and pump device
KR102325134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CN209420086U (zh) 矿用隔爆电气设备箱体
KR102704058B1 (ko) 모터
US10141806B2 (en) Stator arrangement
KR20170048018A (ko) 실링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CN209963887U (zh) 一种无刷电机绕组引出线连接结构
US20040141286A1 (en) Electric motor
DE3365460D1 (en) Connection arrangement fastenable to the stator lamination package of a small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ions
KR102262971B1 (ko) 전동 압축기
JP2001346355A (ja) モータ
CN114930694A (zh) 联接设备和电动马达、尤其是散热器风扇马达
JPH0516854Y2 (ko)
JP2022528574A (ja) 密閉ケーブル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CN219718015U (zh) 有刷电机
CN220172977U (zh) 高防水驱动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