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111018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18A
KR20200111018A KR1020190030713A KR20190030713A KR20200111018A KR 20200111018 A KR20200111018 A KR 20200111018A KR 1020190030713 A KR1020190030713 A KR 1020190030713A KR 20190030713 A KR20190030713 A KR 20190030713A KR 20200111018 A KR20200111018 A KR 2020011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panel
lens
sens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634B1 (ko
Inventor
김학재
도승현
윤형욱
이은순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6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전면부에 배치되는 인체감지 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되므로, 상기 실내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벽걸이형 실내기는 수직한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벽걸이형 실내기에는 실내공간 또는 내실자를 감지하는 촬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상장치에서 감지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촬상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개시된다.
1. 등록번호 (등록일) : 일본 특허번호 제 5506980호(2014년 3월 28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위 선행문헌에 의하면, 실내기의 전면부에 촬상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촬상장치에서 촬상된 유저 정보에 근거하여, 풍향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사상이 개시된다.
다만, 상기 촬상장치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실내공간의 이물이 상기 촬상장치에 유입되거나 사용자가 촬상장치를 만지는 경우, 촬상장치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기의 전면부에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이 구비되고,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면 패널이 인체감지 센서를 차폐하여, 외부환경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센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실내기의 전방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토출기류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기의 작동이 시작되고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 실내공간 또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체감지 센서에 구비되는 렌즈의 화각이 하방을 향하도록 렌즈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실내기로부터 실내공간의 바닥면을 향한 촬상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렌즈의 전방에 센서 가이드를 마련하여 렌즈의 화각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패널 구동부가 제공되고, 패널 구동부의 기어와 전면 패널측에 구비되는 랙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전면부에 배치되는 인체감지 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되므로, 상기 실내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은 개방되어 상기 인체감지 센서를 통한 사용자 또는 실내공간의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 구비되는 렌즈는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바닥면에서의 감지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외측에는 센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 가이드는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렌즈에서의 화각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센서 가이드는 상기 렌즈의 하측 파트가 상측 파트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화각이 하방을 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가 전면 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전면 패널은 좌우 균형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의 후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이 제공되고 상기 패널 구동부에는 상기 랙에 연동하는 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랙과 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본체조립체; 상기 본체조립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패널조립체; 및 상기 본체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조립체에 의하여 차폐되는 인체감지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패널조립체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조립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패널조립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전방 토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전방 토출부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를 차폐하며, 상기 패널조립체가 이동하면, 상기 전방 토출부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 정렬되는 렌즈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홀은 상기 센서 가이드의 상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가이드는,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가이드에는, 상기 센서 가이드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가 포함되며, 상기 경사부의 후단부는 상기 렌즈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렌즈 홀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렌즈 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파트의 면적은 상기 제 1 파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파트의 상하방향 길이(H2)는 상기 제 1 파트의 상하방향 길이(H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 조립체에 배치되며, 모듈 지지부가 구비되는 전면부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박스;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지지부에 지지되는 모듈 PC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모듈 PC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 홀의 후방에 정렬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센서 가이드와 상기 패널 조립체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을 차폐하는 센서 커버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워 컨트롤박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센서 가이드는 상기 파워 컨트롤 박스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기의 전면부에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이 구비되고,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면 패널이 인체감지 센서를 차폐하여, 외부환경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센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전면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실내기의 전방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토출기류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작동이 시작되고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 실내공간 또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감지 센서에 구비되는 렌즈의 화각이 하방을 향하도록 렌즈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실내기로부터 실내공간의 바닥면을 향한 촬상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전방에 센서 가이드를 마련하여 렌즈의 화각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패널 구동부가 제공되고, 패널 구동부의 기어와 전면 패널측에 구비되는 랙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8-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전면부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13-1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 및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패널 조립체가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2의 18-1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박스 및 파워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및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벽(W)에 고정되는 설치 플레이트(20)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샤시(30) 및 상기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케이스(100)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실내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상기 벽(W)에 결합된 후 샤시(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된다.
상기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송풍팬(40) 및 열교환기(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리어 가이드(33)는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126,129)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송풍팬(40)에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횡류팬은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은 실내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의 축은 상기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의 측방부에는 실내기(10)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이 구비되는 메인 컨트롤박스(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는 상기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되며, 후술할 케이스 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송풍팬(4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시(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상기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는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시(30)의 하측에는 실내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가 배치된다.
상기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실내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실내기의 본체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 흡입부를 정의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필터 어셈블리(90)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부(115)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에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그릴 프레임(120)의 개구된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에는, 열교환기(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8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좌우 베인(8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 바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링크 바아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하 베인(160, 도 5 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되어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부에는, 실내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 즉 후술할 본체 조립체(110,120)의 전면부에는 실내공간의 영상 또는 내실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 센서(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전방 토출부(129) 또는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도 3 기준 우측)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화각(angle of view)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 또는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가 구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물이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를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온 되어 구동하기 시작하면 초기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렌즈(320)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그릴 본체(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 정렬되는 렌즈 홀(335)을 가지는 센서 가이드(3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센서 가이드(330)는 상기 렌즈(32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320)의 화각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가이드(330)에는, 상기 센서 가이드(330)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본체(331) 및 상기 가이드 본체(33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32)가 포함된다.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빛이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32)의 후단부는 상기 렌즈 홀(335)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렌즈 홀(335)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는 상기 렌즈(320)의 전단부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홀(335)을 통하여 상기 렌즈(320)의 전단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32)에는, 상기 렌즈 홀(335)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파트(332a) 및 상기 렌즈 홀(335)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파트(33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파트(332b)의 면적은 상기 제 1 파트(332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파트(332b)의 상하방향 길이, 즉 상기 렌즈 홀(335)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 2 파트(332b)의 하단부까지의 거리(H2)는 상기 제 1 파트(332a)의 상하방향 길이, 즉 상기 렌즈 홀(335)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 1 파트(332a)의 상단부까지의 거리(H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렌즈(320)를 중심으로 상기 렌즈(320)의 하측에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33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렌즈(320)는 하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실내공간의 벽(W)에 설치되는 실내기(10)의 경우, 상기 실내기(10)의 설치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내실자가 위치되는 곳은 실내공간의 바닥면이므로 상기 렌즈(320)의 화각을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내실자의 감지를 좀 더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기 렌즈(320)가 위치되는 높이는 1.5m~2.0m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렌즈(320)는 벽(W)으로부터 1.0m~1.2m 이격된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측방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장치(530, 도 2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의 전방 테두리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하부 그릴(125a) 및 측면 그릴(125b)을 가지는 그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홀(195a,19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이크 홀(195a,195b)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상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마이크 홀(195a) 및 제 2 마이크 홀(19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는, 좌우 베인(83)을 구동하기 위한 좌우베인 모터(8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바아(12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로 바아(128a)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좌우베인 모터(85) 및 상기 가로 바아(128a)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128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전면 커버(128b)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에는 센서 커버(305, 도 24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커버(305)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센서 가이드(330)와 상기 전면 패널(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8-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얇은 판상의 패널 본체(151) 및 상기 패널 본체(151)에 개구되며 디스플레이(156)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2)이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는 일례로, 4각 판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50)을 제외한 케이스(100)의 다른 구성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이 구동하면 진동이 발생하며 상기 진동은 실내기의 떨림을 유도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금속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금속 소재의 떨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비하여 오염발생 가능성이 낮고,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소정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패널(15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조립체를 "패널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대략 4각 판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1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 후방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결합부(14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양측의 레일 결합부(145)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ㄷ"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에 구비되며, 토출부(126,129)를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일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ABS 수지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및 양 측면부에는 실내기(10)의 하부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그릴부(125) 중 하부 그릴(125a)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그릴(125a)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외부에 잘 보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부 그릴(125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하방으로의 직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실내기(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케이스 본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 하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조립체를 "본체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본체 전면부(111)와, 본체 측면부(112)와, 본체 후면부(114) 및 본체 상면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전면부(111)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덮여지는 전면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의 기류는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 및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외면에는 레일(30)이 놓여지는 레일 안착부(113)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부(125)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부(125)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130)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부(114)에는, 후면 개구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a)에는 샤시(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와 상기 샤시(30)가 결합되어 실내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실내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면부(115)에는, 필터 어셈블리(90)가 장착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공기 흡입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90)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15b)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상기 본체 전면부(111)로부터 본체 후면부(114)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16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의 측방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인 모터(162) 및 상기 베인 모터(162)를 둘러싸는 베인모터 커버(16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 구비되는 기어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조립(140,150)에 접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조립체(170)에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1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온습도 센서(194)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4)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113a)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13a)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113a)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구획리브(113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의 측면 그릴(125b)은 상기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3a)의 측방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4)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센서 홀이 형성되어 실내기(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 주변의 공기질 정보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9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92)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먼지센서 개구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센서 개구부(112a)에는 먼지센서 커버(192a, 도 12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192)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먼지센서 커버(192a)는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청소기구, 일례로 면봉등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센서(192)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쌓여진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95) 및 상기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9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98)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와 상기 먼지통(98)의 사이에는, 브러시(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97)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구비되는 프리 필터와 접촉하여 상기 프리 필터에 쌓인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필터 회전모터(92)에 의하여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브러시(97)의 접촉에 의하여 이물이 상기 프리 필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회전모터(92)는 모터 커버(93)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며,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95)는 상기 먼지통(98)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95)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 청소장치(95)의 흡입력은 상기 먼지통(98)을 경유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작용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90)로부터 분리된 이물은 상기 먼지통(98)에 저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150)은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보다 무겁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는 함몰부(1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1c)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가공 과정에서,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살빼기 가공을 수행한 결과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1c)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 면적 중 80% 이상의 면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약 4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견고한 결합구조가 요구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부품이므로,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패널(150)의 무게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은 패널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직사각형의 얇은 판상을 가지는 패널 본체(15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패널 본체(151)의 가로방향 폭은 세로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200)이 결합된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테두리부에 이격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나머지 4개의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배면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브라켓 홈(151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홈(151a)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200)이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브라켓(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본체(210)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전방부는 상기 브라켓 홈(151a)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후방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 본체(2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에는, 패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브라켓체결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일 측방에는 걸림 파트(22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전방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홈(151a)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 본체(151)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 1 걸림돌기(221)가 포함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후방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 2 걸림돌기(2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걸림돌기(225)는 상기 제 1 걸림돌기(221)의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타 측방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파트(24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와 상기 지지파트(240)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파트(24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로부터 상기 패널 본체(151)의 측방 모서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41) 및 상기 연결부(241)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후면 지지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후면 지지부(242)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를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전면부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2의 13-1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프레임 전면부(121)를 가지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는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며 그 하부에는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개구부(121f,121g)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는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에는, 제 1 개구부(121f) 및 제 2 개구부(121g)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21f)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을 통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 후방의 케이스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개구부(121f)를 통하여 본체 전면부(111) 및 상기 본체 전면부(111) 측방의 제 1 레일(130a)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121g)를 통하여 제 2 레일(130b)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에는 각각, 지지 프레임(140)의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 1 프레임삽입부(127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제 2 프레임삽입부(127b)가 포함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삽입부(127a)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 레일(130a)과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삽입부(127b)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2 레일(130b)과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제 1,2 프레임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며, 제 1,2 레일(130a,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에는,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후방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전면부(111)에는, 제 1 파트(111b) 및 상기 제 1 파트(111b)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파트(111c)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트(111b)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파트(111c)에 연결되는 본체 턱(111d)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111b,111c) 및 본체 턱(111d)에 의하여, 상기 본체 전면부(111)는 전후 방향으로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파트(111b,111c)는 상기 제 1 개구부(121f)를 통하여 전방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11c)의 전방부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을 형성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제 2 파트(111c)의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삽입부(127a)는 상기 제 2 파트(111c)와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우측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 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의 상하방향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돌출부(155b)의 상하방향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3을 참조하면, 전면 패널(150)이 최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55b) 및 회로기판(155c)은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의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전면 패널(150)의 최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55b) 및 회로기판(155c)은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의 상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본체 조립체(110,12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본체 전면부(111)의 하측에는, 인체감지 센서(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회피홈(111e)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에는, 투명한 재질의 센서 커버(30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전면 패널(1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배치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는, 구동모터(171)에 의하여 회전하며 지지 프레임(140)의 랙(148)과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포함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랙(148)에 연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는 개구된 기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22)은 상기 제 4 기어(173c)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에 각각 구비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 홀(122)은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173c)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측에 위치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기어 홀(122)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측면부(12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측면부(121b)에는, 다수의 그릴을 가지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그릴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와 양 측면부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릴부(125)는 "∪"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를 구성하는 하부 그릴(125a)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 형성된 부분은 하부 토출부(126)를 형성하여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부는 막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하부 그릴(125a) 영역에서는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그릴(125b)이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형상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상기 하부 그릴(125a)과 상기 측면 그릴(125b)은 일체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대부분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구성되며, 다만, 상기 온습도 센서(194)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위하여 센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 및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평면도이고, 도 17은 상기 패널 조립체가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2의 18-1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방부 양측에는 2개의 레일 결합부(145)가 제공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 삽입되어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은 후면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전면부(121)에 대향하며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는 제 1,2 레일(130a,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우측부에 구비되는 제 1 레일 결합부(145)는 제 1 레일(130a)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좌측부에 구비되는 제 2 레일 결합부(145)는 제 2 레일(13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결합되는 고정레일(131) 및 상기 고정 레일(131)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레일(132)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에는 측방을 바라보는 안착면을 가지는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테두리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수용부(117)가 구비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레일 수용부(117)는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전단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전면부(121)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에 대향한다.
상기 고정 레일(131)은 4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레일(131)의 양측에는 함몰되는 슬라이딩 홈(131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31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132)의 양측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131a)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 레일(132)은 상기 슬라이딩 홈(13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레일(132)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이동 레일(132)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 결합부(145)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2 결합파트(145a,14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결합파트(145b)는 상기 제 1 결합파트(145a)의 상측에 위치된다. 2개의 결합파트(145a,145b)가 상기 이동 레일(13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일 결합부(145)와 상기 레일(130)의 결합력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의 전방부에는, 프레임 함몰부(145c)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는 프레임 본체(141)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의 후측에는 상기 제 1,2 결합파트(145a,145b)가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2 결합파트(145a,145b)와 레일(130)의 체결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의 분산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에는, 체결 핀(147) 및 상기 체결 핀(147)이 삽입되는 핀 결합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핀 결합부(146)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핀(147)은 상기 핀 결합부(146)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핀 결합부(146)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체결 핀(147)에서 전달되는 응력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는, 전면 패널(150)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이 포함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기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기구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모터 브라켓(124)이 결합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모터 브라켓(124)의 후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124)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체결되는 브라켓체결부(124a)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을 가지는 구동모터(171) 및 상기 구동모터(17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171b)와, 상기 제 1 기어(171b)에 연동하는 제 2 기어(173a) 및 제 3 기어(173b)와, 상기 제 3 기어(173b)에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173a) 및 상기 제 3 기어(173b)에는 제 1 기어축(174a)이 중심 결합된다. 상기 제 2,3 기어(173a,173b) 및 제 1 기어축(174a)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기어(173b)는 상기 제 2 기어(173a)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 3 기어(173b)의 외경은 상기 제 2 기어(173a)의 외경보다 크고 더 많은 기어 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173a)는 상기 제 1 기어(171b)의 상측에 위치하여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 2,3 기어(173a,173b)는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제 3 기어(173b)와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제 3 기어(173b)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 2 기어축(174b)에 중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1)가 구동하면, 상기 제 1~4 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제 4 기어(173c)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지지 프레임(140)의 랙(148)과 기어 결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와 연동하는 랙(148)이 구비된다. 상기 랙(14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된다.
상기 랙(148)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랙(148)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랙(148)에는, 제 1 랙(148a) 및 제 2 랙(14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랙(148b)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48)은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와 기어 결합되어 연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랙(148a,148c)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에 각각 구비되는 제 4 기어(173c)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홀더(178)가 삽입되는 홀더 브라켓(185)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상기 제 1,2 랙(148a,148b)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홀더 브라켓(185)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제 1 랙(148a)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1 홀더브라켓(185a) 및 상기 제 2 랙(148b)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2 홀더브라켓(185b)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홀더(178)의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연결 링크(18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 링크(180)는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링크(18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18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와 메인 컨트롤박스(50)를 연결하는 전선, 일례로 전원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링크(18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외측은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가 관통할 수 있는 기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22)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홀더(178)가 통과하는 홀더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기어 홀(122)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홀더(178)의 개수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박스 및 파워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110,120)에는 파워 컨트롤박스(50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의 측방 하부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와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하부(121a)가 만나는 부분,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의 모서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의 내부에는 파워 PCB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에는, 박스 본체(510) 및 상기 박스 본체(5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박스 커버(520)가 포함된다.
상기 박스 커버(520)의 측면부에는 제 1 결합리브(5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리브(522)에는 제 1 체결부재(541)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부재(541)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커버(520)를 상기 본체 측면부(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후방부에는 제 2 결합리브(121h)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결합리브(121h)에는 제 2 체결부재(543)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재(543)는 상기 제 2 결합리브(121h)를 관통하여 박스 커버(520)의 결합보스(5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523)는 상기 박스 커버(520)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박스 커버(520)의 후방부는 상기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에는, 상기 박스 본체(510)의 측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가 구비되는 음성인식 장치(5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음성인식 장치(530)는 상기 박스 본체(510)로부터 하부 토출부(126)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장치(530)에는 제 3 체결부재(545)가 결합되며, 상기 제 3 체결부재(545)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결합되어 상기 음성인식 장치(530)를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의 전방부에는, 센서 가이드(33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센서 가이드(330)는 상기 박스 커버(520)의 전방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가이드(330)와 상기 박스 커버(5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가이드(330)에는, 인체감지 센서(300)의 렌즈(320)가 삽입되는 렌즈 홀(335)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320)는 메인 컨트롤박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렌즈(320))는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면부에는 인체감지 센서(300), 즉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부(58)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 지지부(58)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렌즈(32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렌즈(320)의 전단부는 상기 센서 가이드(330)의 렌즈 홀(335)에 맞춰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는 센서 가이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제 1 파트(332a)는 상기 렌즈(320)의 상단부에서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 2 파트(332b)는 상기 렌즈(320)의 하단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2 파트(332a,332b)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센서 가이드(330)는 상기 렌즈(320)의 화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 센서(300)는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하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모듈 지지부(58)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부(58)는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상기 모듈 지지부(58)에 지지되는 모듈 PCB(310) 및 상기 모듈 PCB(310)에 설치되는 렌즈(320)가 포함된다.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는 센서 커버(305)가 배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선(C1)과, 렌즈(320)의 중심(Co)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 2 연장선(C2)을 정의할 때, 상기 제 1 연장선(C1)과 상기 제 2 연장선(C2)은 설정각도(θ1)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장선(C2)은 상기 렌즈(320)의 전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설정각도(θ1)는 약 15~45°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는 센서 가이드(332)가 배치되며, 상기 센서 가이드(332)에는 상기 렌즈(32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파트(332a) 및 상기 렌즈(320)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파트(33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332a,332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센서 가이드(332)는 상기 렌즈(320)로 전달되는 빛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고 상기 센서(320)의 화각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29a 및 도 29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사용자에게 온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하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 또는 별도의 리모컨에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냉난방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간접풍 "의 운전을 명령할 수 있는 "간접풍모드 선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부를 입력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선택한 후, 상기 간접풍 선택부를 입력하여 동시모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냉난방 선택부를 선택하면, 상기 간접풍모드 선택부의 입력 없이도 기본 운전모드로서 간접풍모드 운전이 수행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앙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중앙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덮으면서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않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중앙위치"에 있는 경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위치하며, 렌즈(320)는 상기 전면 패널(1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320)의 오염 또는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링크(167)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167)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은 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8b에서,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상하 베인(160)은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전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다음으로,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사용자에게 냉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전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개방한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부위치"에 있는 경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은 개방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320)는 전방 하측으로 화각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내실자를 촬상할 수 있다.토출기류는 상기 촬상된 내실자의 위치를 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좌우 베인(83)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방 토출부(129)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하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표시되는 않았으나, 상기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상기 동시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하방 및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10)가 구동할 때, 전면 패널(150)은 "제 1 위치(중앙위치)" 또는 "제 2 위치(상부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하 베인(160)의 위치에 따라 간접풍 모드 또는 동시 모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a 및 도 30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및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상기 동시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동시모드"의 운전을 명령할 수 있는 "동시모드 선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부를 입력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선택한 후, 상기 동시모드 선택부를 입력하여 동시모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냉난방 선택부를 선택하면, 상기 동시모드 선택부의 입력 없이도 기본 운전모드로서 동시모드 운전이 수행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은 개방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320)는 전방 하측으로 화각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내실자를 촬상할 수 있다.토출기류는 상기 촬상된 내실자의 위치를 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좌우 베인(83)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하방 및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10 : 실내기 30 : 샤시
40 : 송풍팬 50 : 컨트롤 박스
60 : 열교환기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20 : 그릴 프레임
130 : 레일 140 : 지지 프레임
148 : 랙 150 : 전면 패널
160 : 상하 베인 170 : 패널 구동부
178 : 홀더 180 : 연결 링크
185 : 홀더 브라켓 200 : 패널 브라켓
300 : 인체감지 센서 310 : 모듈 PCB
320 : 렌즈 330 : 센서 가이드

Claims (15)

  1. 벽면에 설치되는 샤시;
    상기 샤시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송풍팬을 지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본체조립체;
    상기 본체조립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패널조립체; 및
    상기 본체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조립체에 의하여 차폐되는 인체감지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패널조립체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은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조립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패널조립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의 전방은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전방 토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전방 토출부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를 차폐하며,
    상기 패널조립체가 이동하면, 상기 전방 토출부 및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 정렬되는 렌즈 홀을 가지는 센서 가이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은 상기 센서 가이드의 상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가이드는,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가이드에는,
    상기 센서 가이드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가 포함되며,
    상기 경사부의 후단부는 상기 렌즈 홀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렌즈 홀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렌즈 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파트의 면적은 상기 제 1 파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의 상하방향 길이(H2)는 상기 제 1 파트의 상하방향 길이(H1)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에 배치되며, 모듈 지지부가 구비되는 전면부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박스;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지지부에 지지되는 모듈 PCB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모듈 PC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 홀의 후방에 정렬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센서 가이드와 상기 패널 조립체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을 차폐하는 센서 커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워 컨트롤박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센서 가이드는 상기 파워 컨트롤 박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30713A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7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13A KR102270634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13A KR102270634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18A true KR20200111018A (ko) 2020-09-28
KR102270634B1 KR102270634B1 (ko) 2021-06-30

Family

ID=7280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13A KR102270634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6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507Y1 (ko) * 1996-11-13 1999-06-01 윤종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31707A (ko)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2012067989A (ja) * 2010-09-27 2012-04-05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057433A (ja) * 2011-09-07 2013-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50030138A (ko) * 2013-09-11 2015-03-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507Y1 (ko) * 1996-11-13 1999-06-01 윤종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31707A (ko)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2012067989A (ja) * 2010-09-27 2012-04-05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057433A (ja) * 2011-09-07 2013-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50030138A (ko) * 2013-09-11 2015-03-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634B1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643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285130B2 (en) Air conditioner
CN111503729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5908731B2 (ja) 空気調和機
KR1022967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7063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1982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O201310864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23221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94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947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936496B1 (ko) 공기조화기
KR1022322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450562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028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9307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950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3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0604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50361B1 (ko) 공기처리장치
KR20080056509A (ko) 공기조화기
JP4049183B2 (ja) 空気調和機の取っ手構造
KR101554657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7609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