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54503A -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 Google Patents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503A
KR20200054503A KR1020180137835A KR20180137835A KR20200054503A KR 20200054503 A KR20200054503 A KR 20200054503A KR 1020180137835 A KR1020180137835 A KR 1020180137835A KR 20180137835 A KR20180137835 A KR 20180137835A KR 20200054503 A KR20200054503 A KR 2020005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blocking
clothing article
worn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172B1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18013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1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착용 상태에서 호흡의 편의성이 확보되면서 이와 동시에 자외선과 같은 피부 자극 광에 대한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은 착용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착용 몸체(11); 및 착용 몸체(11)의 위쪽에 결합되면서 위쪽 테두리가 착용 몸체(11)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날개(14, 15)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날개(14, 15)에 의하여 착용 몸체(11)가 인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노출 부위로 광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Description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A Wearing Clothing Article Having a Protecting Wing}
본 발명은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착용 상태에서 호흡의 편의성이 확보되면서 이와 동시에 자외선과 같은 피부 자극 광에 대한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목도리, 두건 또는 넥워머와 같은 착용 의류 물품은 방한 또는 이물질의 접촉 방지를 위하여 얼굴, 목덜미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부위에 착용이 될 수 있고, 다양한 의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용 의류 물품은 방한 기능을 가지면서 입 또는 코와 같은 부분에 걸쳐지므로 코 또는 입으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남녀 모두 착용이 가능한 액세서리의 기능을 가지므로 다양한 패션을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특허등록번호 제10-1841984호는 신체의 체온을 유지하는 보온 기능뿐만 아니라 외기를 필터링하여 들여보내는 다용도 넥워머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9497호는 착용 시 흘러내림이 없이 눈과 이마를 제외한 얼굴 전체를 안정적으로 감싸서 보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비니 모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넥워머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와 같은 착용 의류 물품은 작업장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야외 활동 과정에서 사용되므로 위에 제시된 기능에 추가하여 자외선 또는 이와 유사한 피부 자극 광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착용 의류 물품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841984호(박장근, 2018년03월26일 공고) 다용도 넥워머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9497호((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2012년04월02일 공고) 다용도 넥워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부위에 착용이 된 상태에서 호흡 편의성이 확보되면서 이와 동시에 피부 자극 광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은 착용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착용 몸체; 및 착용 몸체의 위쪽에 결합되면서 위쪽 테두리가 착용 몸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날개에 의하여 착용 몸체가 인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노출 부위로 광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착용 몸체에 형성된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고, 고정 밴드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착용 걸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 날개에 의하여 코 주위 또는 입 주위가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방한 효과가 높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유동 홀이 형성되어 호흡이 편리하면서 이와 동시에 예를 들어 코 주변 또는 입 주변이 피부 자극 광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실내용 및 실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야외 활동, 실내외 작업장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에 형성된 유동 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에 형성된 경계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은 착용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착용 몸체(11); 및 착용 몸체(11)의 위쪽에 결합되면서 위쪽 테두리가 착용 몸체(11)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날개(14, 15)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날개(14, 15)에 의하여 착용 몸체(11)가 인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노출 부위로 광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착용 몸체(11)는 아래쪽 및 위쪽 부분이 열린 양쪽 측면이 일체로 연결된 두 겹의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원통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 의류 물품은 전체적으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와 유사한 섬유로 제직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착용 몸체(11)는 전체 중량의 1 내지 20 wt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5 내지 15 wt%, 가장 바람직하게 8 내지 12 wt%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착용 몸체(11)가 신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신장이 된 상태에서 적절한 통기성을 가지도록 한다. 폴리우레탄 섬유의 양이 제시된 양에 비하여 작은 경우 신축성이 작아져 착용감이 나빠질 수 있고, 폴리우레탄 섬유의 양이 제시된 양에 비하여 큰 경우 통기성이 너무 커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나일론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나일론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의 양이 착용 몸체(11) 전체 중량의 25 wt% 이하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착용 몸체(11)의 두 겹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얼굴 또는 목 부위는 한 겹으로 둘러싸일 수 있고, 위에서 제시된 폴리우레탄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광 차단성 및 통기성이 확보되면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착용 몸체(11)는 다양한 소재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 몸체(11)의 위쪽에 고정 밴드(12)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밴드(12)는 착용 몸체(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거나, 신축성이 작거나 또는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밴드(12)는 착용 상태에서 착용 몸체(11)의 위쪽 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착용 몸체(11)의 아래쪽에 착용 밴드(13)가 형성될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착용 밴드(13)는 예를 들어 목 부위에 걸쳐질 수 있다. 착용 밴드(13)는 착용 상태에서 아래쪽 부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밴드(13)는 착용 몸체(11)에 비하여 작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고정 밴드(12)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착용 밴드(13)는 착용 몸체(11)에 비하여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지면서 고정 밴드(12)에 비하여 큰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착용 밴드(13)는 착용 상태에서 착용 몸체(11)의 아래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외부의 공기 유입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단 날개(14, 15)는 착용 상태에서 인체에 노출된 부위로 자외선 또는 이와 유사한 피부 자극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착용 몸체(11)가 착용된 상태에서 입 또는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 홀(14a, 15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쪽에 형성되는 제1 유동 홀(14a)을 통하여 코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유동 홀(15a)을 통하여 입 부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유동 홀(14a) 또는 제2 유동 홀(15a)은 착용 몸체(11)를 폭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단 날개(14) 또는 제2 차단 날개(15)는 노출이 된 코 부위 또는 입 부위를 덮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 날개(14) 또는 제2 차단 날개(15)는 전체적으로 착용 몸체(11)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는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위쪽 가장자리가 재봉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착용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쪽 가장자리는 자유로운 끝을 형성하면서 코 부위 또는 입 부위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덮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착용 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위쪽 부분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착용 상태에서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쉽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착용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피부 자극 광이 차단되도록 한다. 제1, 2 차단 날개(14, 15)와 착용 몸체(11)의 결합 부위에 변형 방지 선(121)이 형성될 수 있고, 변형 방지 선(121)은 신축성이 작은 좁은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착용 의류 물품의 용도에 따라 하나만 형성되거나,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유동 홀(14a, 15a)은 착용 몸체(11)의 일부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착용 몸체(11)의 내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 몸체(11)의 앞쪽 또는 뒤쪽에 변형 제한 부분(17)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착용 몸체(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변형 제한 부분(17)이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과정에서 착용 몸체(11)는 변형 제한 부분(17)을 기준으로 좌우로 신장될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착용 몸체(11)는 변형 제한 부분(17)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17)은 충분히 작은 신축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조밀하게 직조되도록 하거나, 상대적으로 두껍게 직조하는 방법으로 변형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17)은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착용 걸이(16a, 16b)가 고정 밴드(12)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착용 물품의 안쪽 부분에 날개 형성 띠(21)가 형성될 수 있고, 날개 형성되는 제1, 2 차단 날개(14, 15)의 결합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2 내부 결합 선(211, 21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차단 날개(14 또는 15)가 형성된다면, 날개 형성 띠(21)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날개 형성 띠(21)가 형성된 부분에 제1 유동 홀(14a)이 형성되고, 날개 형성 띠(21)의 아래쪽에 제2 유동 홀(14b)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 형성 띠(21)는 착용 몸체(1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만들어지거나, 밀도가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노출 부위의 변형에 따른 접촉감이 감소될 수 있고,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17)은 날개 형성 띠(21)의 아래쪽 끝 부분으로부터 착용 몸체(11)의 아래쪽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변형 제한 부분(17)과 착용 몸체(11)의 경계 부위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선(171, 17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선(171, 172)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밀집 구조로 또는 상대적으로 큰 밀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고정 선(171, 17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 제한 부분(17)이 착용 과정 또는 착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17)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에 형성된 유동 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2 유동 홀(14a, 15b)이 형성되고,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형성된 착용 의류 물품의 앞쪽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제1, 2 유동 홀(14a, 15b)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착용 상태에서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각각 코 부위의 연장 부위에서 가장 높은 부분 또는 입 부위의 적어도 반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상하로 자유로 젖혀질 수 있는 상태로 착용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착용 몸체(11)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착용 상태에서 제1, 2 차단 날개(14, 15)가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로 될 수 있다. 또한 쉽게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어 차단 효과가 높아지도록 한다.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다양한 구조로 착용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에 형성된 경계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밴드(12)는 이중 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밴드(12)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되어 착용 걸이(16a, 16b)가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걸이(16a, 16b)는 예를 들어 고정 밴드(12)가 서로 겹치는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밴드(12)의 서로 겹치는 양쪽 끝 부분은 실질적으로 네 겹이 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 또는 중앙 부분의 위쪽에 절개 부분(1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 부분(161)의 위쪽 부분은 양쪽 끝 부분이 각각 고정 밴드(12)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형 띠 형상이 되는 걸이 부분(16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이 부분(162)은 큰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양쪽 귀에 쉽게 걸릴 수 있다. 착용 걸이(16a, 16b)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동 홀(14a, 15a)은 착용 몸체(11)를 폭 방향으로 절개시키거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 홀(14a, 15a)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1, 2 차단 날개(14, 15)는 유동 홀(14a, 15a)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폭 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들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2 내부 결합 선(211, 212)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이중 띠 형상이 되거나, 일정한 폭 또는 높이를 가진 밴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차단 날개(14, 15)의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복원성이 높아질 수 있다.
착용 걸이(16a, 16b) 또는 제1, 2 내부 결합 선(211, 21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방한 효과가 높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유동 홀이 형성되어 호흡이 편리하면서 이와 동시에 예를 들어 코 주변 또는 입 주변이 피부 자극 광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의류 물품은 실내용 및 실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야외 활동, 실내외 작업장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착용 몸체 12: 고정 밴드
13: 착용 밴드 14, 15: 차단 날개
14a, 15a: 유동 홀 16a, 16b: 착용 걸이
17: 변형 제한 부분 21: 날개 형성 띠
121: 변형 방지 선 161: 절개 부분
162: 걸이 부분 171, 172: 고정 선
211, 212: 내부 결합 선

Claims (3)

  1. 착용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착용 몸체(11); 및
    착용 몸체(11)의 위쪽에 결합되면서 위쪽 테두리가 착용 몸체(11)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날개(14, 15)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날개(14, 15)에 의하여 착용 몸체(11)가 인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노출 부위로 광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용 몸체(11)에 형성된 고정 밴드(12)를 더 포함하고, 고정 밴드(12)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밴드(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착용 걸이(16a, 16b)를 포함하는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 날개(14, 15)에 의하여 코 주위 또는 입 주위가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KR1020180137835A 2018-11-12 2018-11-12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KR10212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35A KR102128172B1 (ko) 2018-11-12 2018-11-12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35A KR102128172B1 (ko) 2018-11-12 2018-11-12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03A true KR20200054503A (ko) 2020-05-20
KR102128172B1 KR102128172B1 (ko) 2020-06-29

Family

ID=7091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35A KR102128172B1 (ko) 2018-11-12 2018-11-12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47A (ko) * 2022-10-17 2024-04-24 이원석 호흡 편의성이 개선된 얼굴 보호 물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08B1 (ko) *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59497Y1 (ko) 2011-12-21 2012-04-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다용도 넥워머
KR20150012735A (ko) * 2013-07-26 2015-02-04 이원석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KR20170099426A (ko) * 2016-02-23 2017-09-01 염경수 방진 마스크를 구비한 넥 워머
KR101841984B1 (ko) 2017-06-20 2018-03-26 박장근 다용도 넥워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08B1 (ko) *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59497Y1 (ko) 2011-12-21 2012-04-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다용도 넥워머
KR20150012735A (ko) * 2013-07-26 2015-02-04 이원석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KR20170099426A (ko) * 2016-02-23 2017-09-01 염경수 방진 마스크를 구비한 넥 워머
KR101841984B1 (ko) 2017-06-20 2018-03-26 박장근 다용도 넥워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47A (ko) * 2022-10-17 2024-04-24 이원석 호흡 편의성이 개선된 얼굴 보호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172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2522B (zh) 由可变拉伸针织和编织纺织品材料制成的防护兜帽
US20140013485A1 (en) Clothing article for covering the head of a wearer
KR200448087Y1 (ko) 다기능성 밴드
KR101525794B1 (ko)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US6047401A (en) Bandana with goggles attachment
KR101017329B1 (ko) 말벌 방호복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102128172B1 (ko)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JP3186526U (ja) マスク
KR20090012049U (ko) 이중 마스크
KR20039272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JP4007979B2 (ja) 防塵用頭巾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497543Y1 (ko) 일체형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114553B1 (ko) 시야 확보 및 착용감이 향상된 넥워머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KR102750268B1 (ko) 호흡 편의성이 개선된 얼굴 보호 물품
KR200491983Y1 (ko) 말벌방호복
KR20200079596A (ko)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넥워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넥워머
JP7541724B2 (ja) フェイスカバー付き帽子
KR102692265B1 (ko) 스포츠용 마스크
JP4349525B2 (ja) インナーキャップ
JP5918819B2 (ja) 頭巾及び頭巾の製造方法
JP7556519B2 (ja) 日除け付き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