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049U - 이중 마스크 - Google Patents
이중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2049U KR20090012049U KR2020080006719U KR20080006719U KR20090012049U KR 20090012049 U KR20090012049 U KR 20090012049U KR 2020080006719 U KR2020080006719 U KR 2020080006719U KR 20080006719 U KR20080006719 U KR 20080006719U KR 20090012049 U KR20090012049 U KR 2009001204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user
- mask
- mesh
- double mas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51 cyc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2016/0661—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with customised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과 목을 감싸면서 착용되며 중앙부에 사용자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망사형 호흡부가 형성된 제1 원단과, 상기 제1 원단과 연결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상기 망사형 호흡부로부터 배출되는 입김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원단의 양측 상단에는 귀걸이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는 서로 겹쳐 탈부착되는 착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제1 원단의 망사형 호흡부 전면에 배치되는 제2 원단을 통해 사용자의 입김이 제1 원단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원단의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 사용자의 입김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마스크를 제공한다.
마스크, 망사형 호흡부, 방풍, 방한, 햇빛, 자외선, 피부보호, 황사, 문양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 사용자의 입김이 눈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입김이 마스크 표면에 수분막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안면과 목 부분의 피부 및 호흡기관을 햇빛, 자외선, 기온변화 및 황사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에 착용하여 호흡기관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겨울철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 방풍 및 방한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마스크는 호흡을 원활하게 하면서 패션을 추구하고, 매연이나 황사등에 의한 호흡기관을 보호하면서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에 강한 햇빛으로부터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겨울철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 주로 사용되는 마스크나 삼 각 또는 사각 두건 등은 사용자의 안면에서 코를 중심으로 턱 밑부분까지 착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피부와 호흡기관을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나 삼각 또는 사각 두건(이하, 마스크라 칭함)의 경우,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입김이 눈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입김이 눈쪽으로 상승하여 안경이나 고글 등에 수분막을 형성하므로 시야가 가려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입김에 포함된 수분이 마스크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남아 수분막이 형성되어 착용감이 떨어지고, 외부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마스크의 표면이 얼어버려 사용자의 안면 체온이 낮아져 방한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면과 목을 감싸면서 착용되며 중앙부에 사용자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망사형 호흡부가 형성된 제1 원단과, 상기 제1 원단과 연결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상기 망사형 호흡부로부터 배출되는 입김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원단을 이중으로 사용함으로써, 입김이 눈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안면과 목 부분의 피부 및 호흡기관을 보호할 수 있는 이중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망사형 호흡부에 입김의 배출을 높이는 향균 및 향습 재질의 망사로 제직되고, 하단부가 전면으로 벌려져 개방되는 필터주머니가 형성되어 필터가 삽입되며, 상기 제2 원단의 상부에는 마스크 착용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봉제선이 봉제된 주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 표시되는 문양부를 형성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호흡이 원활하면서 패션을 추구할 수 있는 이중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는, 이중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과 목을 감싸면서 착용되며 중앙부에 사용자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망사형 호흡부가 형성된 제1 원단과; 상기 제1 원단과 연결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상기 망사형 호흡부로부터 배출되는 입김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원단의 양측 상단에는 귀걸이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는 서로 겹쳐 탈부착되는 착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망사형 호흡부는, 입김의 배출을 높이는 향균 및 향습 재질의 망사로 제직되고, 하단부가 전방으로 벌려져 개방되는 필터주머니가 형성되어 필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제2 원단의 상부에는 마스크 착용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봉제선이 봉제된 주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 표시되는 문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에 따르면, 종래의 홑겹 마스크나 삼각 또는 사각 두건을 사용시 사용자의 입김이 상승하여 시야를 가리는 단점을 상기 제1 원단의 망사형 호흡부 전면에 제2 원단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입김이 제1 원단의 상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원단의 후면을 통해 신속하게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김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입김이 마스크 표면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 얼어버리는 현상을 차단하여 착용감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야회 활동 및 스포츠 활동시 안면과 목을 완전히 감싸 피부를 햇 빛, 자외선, 기온변화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망사형 호흡부에 형성된 필터주머니에 필터를 삽입하여 미세 먼지, 매연, 황사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관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제1 원단과 탈부착되는 상기 제2 원단의 상부에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봉제선이 봉제된 주름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각종 문양이 표시되는 문양부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각종 문양의 제2 원단을 교체하여 착용함으로써,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시 호흡을 원활하게 하면서 개성 있는 자신만의 패션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제1 원단과 제2 원단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필터 주머니와 필터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100)는,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 귀걸이(130), 착용부재(140), 연결부재(150), 망사형 호흡부(160) 및 필터 주머니(17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필터 주머니(170)에는, 예를 들어 향균 또는 황사 등의 필터(20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원단(110)은 사용자의 안면 중에 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목 전부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것으로, 양측 상단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원단(110)의 양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서 서로 포개져 탈부착되는 착용부재(1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용부재(140)는 사용자가 탈부착하기 편리하고, 일정시간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적용되며, 그 형상이 예를 들어 직사각, 정사각,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원단(120)은 전면에 다양한 문양(P)이 도시된 문양부(1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중 마스크(100)를 착용시 사용자의 코 부분이 효과적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의 봉제선이 봉제된 주름부(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은 일반 봉제의 경우, 신축성에 의해 외형의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 원단(B)이 상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의 주원단(A)을 감싸 봉제하여 외형의 변형이 없는 외형 고정 유지형 랍빠 봉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원단(110)의 전면 상부와 상기 제2 원단(120)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원단(110)과 상기 제2 원단(120)을 서로 연결하는 탈부착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직사각, 정사각,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연결부재(150)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50)는 탈부착되는 똑딱 단추나 면자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은, 상기 연결부재(15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P)이 도시된 제2 원단(120)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단(110)을 장시간 사용하므로 형태가 변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원단(110)을 새것으로 교체하고, 사용하던 제2 원단(120)을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 위생적이면서 개성 있는 패션을 추구할 수 있는 이중 마스크(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원단(110)의 중앙부에는 망사형 호흡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망사형 호흡부(160)는 사용자가 이중 마스크(100)를 착용시 공기를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코와 입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망사형 호흡부(160)는, 향균 및 향습되는 재질의 실로 제직된 망사 형태로 전면 하단부가 전방으로 벌려져 개방되는 상기 필터주머니(170)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주머니(170)에는 향균 또는 황사 등의 필터(20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00)는 일회용으로 일정시간 사용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필터(200)는 직사각 평면이나, 중심부가 볼록하게 처리된 곡선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100)의 착용 상태를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 크(100)는 안면 중에 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목 전부를 감싸면서 착용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제1 원단(11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귀걸이부(30)를 양쪽 귀에 걸고, 상기 착용부재(160)가 형성된 제1 원단(110)의 양측 끝단을 양손으로 잡아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서 서로 포개지도록 착용한다.
상기 제1 원단(110)의 전면 상부에는 제2 원단(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50)가 형성되어 있는바, 사용자는 제1 원단(110)을 착용하기 이전에 제2 원단(120)을 제1 원단(110)의 연결부재(150)에 부착하여 착용하거나, 상기 제1 원단(110)을 안면과 목에 착용한 후, 제2 원단(120)을 제1 원단(110)의 연결부재(150)에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은, 상기 연결부재(15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P)이 도시된 제2 원단(120)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위생적이면서 개성 있는 패션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되는 연결부재(150)는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였으나 똑딱 단추 또는 면자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원단(110)과 제2 원단(120)이 연결부재(150)를 통해 연결된 이중 마스크(100)를 안면과 목에 착용한 후, 야회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 햇빛, 자외선, 기온변화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면 및 목 부분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츠 활동은 예를 들어, 스노우보드, 스키, 산행, 사이클, 달리기 등 다양한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원단(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망사형 호흡부(160)는 사용자가 이중 마스크(100)를 착용시 공기를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코와 입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입김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향균 및 향습되는 재질의 실로 제직된 망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사형 호흡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입김은 제2 원단(120)의 후면에 부딪쳐처 하측 방향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며, 기온이 낮은 경우에 발생하는 수분막 현상 즉, 상기 제2 원단(120)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입김이 마스크 표면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얼어버리는 현상을 차단하므로, 이중 마스크(100)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망사형 호흡부(160)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벌려져 개방되는 필터주머니(170)에는 향균 또는 황사 등의 필터(200)가 삽입되어, 예를 들어 미세 먼지, 매연, 황사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관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00)는 일정시간 사용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필터가 바람직 하다.
이상, 전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제1 원단과 제2 원단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필터 주머니와 필터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이중 마스크 110 : 제1 원단
120 : 제2 원단 122 : 문양부
124 : 주름부 130 : 귀걸이부
140 : 착용부재 150 : 연결부재
160 : 망사형 호흡부 170 : 필터주머니
Claims (3)
- 이중 마스크에 있어서,사용자의 안면과 목을 감싸면서 착용되며 중앙부에 사용자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망사형 호흡부가 형성된 제1 원단과;상기 제1 원단과 연결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상기 망사형 호흡부로부터 배출되는 입김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원단을 포함하되,상기 제1 원단의 양측 상단에는 귀걸이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는 서로 겹쳐 탈부착되는 착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망사형 호흡부는, 입김의 배출을 높이는 향균 및 향습 재질의 망사로 제직되고, 하단부가 전면으로 벌려져 개방되는 필터주머니가 형성되어 필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스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2 원단의 상부에는 마스크 착용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봉제선이 봉제된 주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 표 시되는 문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스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719U KR20090012049U (ko) | 2008-05-23 | 2008-05-23 | 이중 마스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719U KR20090012049U (ko) | 2008-05-23 | 2008-05-23 | 이중 마스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049U true KR20090012049U (ko) | 2009-11-26 |
Family
ID=4929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6719U KR20090012049U (ko) | 2008-05-23 | 2008-05-23 | 이중 마스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2049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7750A (zh) * | 2012-07-17 | 2012-10-24 |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 一种地下室顶板沉降后浇带保护措施的施工方法 |
KR101495642B1 (ko) * | 2013-08-12 | 2015-02-26 | 송봉두 | 넥 워머 |
KR20200030747A (ko) | 2018-09-13 | 2020-03-23 | 김영관 | 고무장갑 건조대 |
KR20210123561A (ko) * | 2020-04-03 | 2021-10-14 | 최충식 |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
KR20210143516A (ko) * | 2020-05-20 | 2021-11-29 | 오한선 | 필터 교체형 보건 마스크 |
-
2008
- 2008-05-23 KR KR2020080006719U patent/KR20090012049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7750A (zh) * | 2012-07-17 | 2012-10-24 |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 一种地下室顶板沉降后浇带保护措施的施工方法 |
KR101495642B1 (ko) * | 2013-08-12 | 2015-02-26 | 송봉두 | 넥 워머 |
KR20200030747A (ko) | 2018-09-13 | 2020-03-23 | 김영관 | 고무장갑 건조대 |
KR20210123561A (ko) * | 2020-04-03 | 2021-10-14 | 최충식 |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
KR20210143516A (ko) * | 2020-05-20 | 2021-11-29 | 오한선 | 필터 교체형 보건 마스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07233U (ja) |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 |
KR200427052Y1 (ko) | 머플러겸용 마스크 | |
US20140304887A1 (en) | Hat and Face Mask with Ear Warmer | |
JP2005532865A5 (ko) | ||
US10039333B2 (en) | Protective gear | |
KR200448087Y1 (ko) | 다기능성 밴드 | |
KR200476397Y1 (ko) | 안면 마스크 | |
KR20090012049U (ko) | 이중 마스크 | |
KR20200023033A (ko) | 스포츠용 마스크 | |
KR101501238B1 (ko) | 군사용 위장 마스크 | |
KR101418787B1 (ko) |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 |
KR200457145Y1 (ko) |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 |
CN2922521Y (zh) | 沙尘暴防护帽 | |
CN201315872Y (zh) | 休闲睡眠防护头套 | |
KR200445739Y1 (ko) | 자외선 차단 마스크 | |
KR102003183B1 (ko) | 안면마스크 | |
KR100474500B1 (ko) |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 |
KR101032501B1 (ko) | 방한 마스크 | |
JP3178131U (ja) |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 |
KR200173109Y1 (ko) | 군인용 방한 안면커버 | |
KR101920146B1 (ko) | 황사주름마스크 | |
KR200457005Y1 (ko) | 숨쉬기 용이한 삼각 스카프 | |
KR200434565Y1 (ko) | 탈부착 모자와 고글이 구비된 방한용 마스크 | |
KR20200054503A (ko) |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 |
KR200366429Y1 (ko) |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