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36402A - 열원기기용 외함 - Google Patents

열원기기용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02A
KR20200036402A KR1020180116003A KR20180116003A KR20200036402A KR 20200036402 A KR20200036402 A KR 20200036402A KR 1020180116003 A KR1020180116003 A KR 1020180116003A KR 20180116003 A KR20180116003 A KR 20180116003A KR 20200036402 A KR20200036402 A KR 2020003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heat source
source device
side wal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413B1 (ko
Inventor
팽진기
최영재
심재휘
정승붕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원기기용 외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함(10)의 골격을 외함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외함몸체(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열원기기(15)가 설치된다. 상기 외함몸체(12)의 바닥을 바닥판(16)이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6)에는 다수개의 통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외함몸체(12)의 외측부를 측벽(22)이 형성한다. 상기 측벽(22)의 내면에는 절연체(40)의 절연몸체부(42)가 위치되고, 상기 절연몸체부(42)의 상단에는 출구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깔때기부(44)가 있다. 상기 외함몸체(12)의 상단에는 상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함몸체(12)의 상단과의 사이에 배출부(35)가 있어 상기 내부공간(14)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30)은 높이조절구(36)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배출부(35)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여 공기의 유동량을 달리하게 된다.

Description

열원기기용 외함{Housing for hea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열원기기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내부의 열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원기기용 외함에 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을 통해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많은 장치가 전기와 관련되고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것을 열원기기로 명명하였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변압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열원기기는 대부분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산업현장 외에도 주거지 근처에 설치되고 있다. 이들 열원기기는 실내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실외에 설치되어 다양한 주변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들 열원기기는 또한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절연이 필요하며, 외부와의 절연과 열원기기 자체의 보호를 위해서 외함 내에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외함은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외함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다수의 루버를 다수의 영역에 형성하여 외함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되게 하여, 열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외함은 설치되는 환경이나 열원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만들어져 있어 다양한 환경을 가지는 장소에 설치하거나 다양한 열발생량을 가지는 열원기기를 사용했을 때, 열원기기의 열이 열원기기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정도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전기와 관련된 열원기기의 경우 절연 문제를 고려해서 내부의 열원기기와 외함의 내면 사이에 절연거리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절연거리의 확보를 위해서 열원기기와 외함 사이에 공간을 두기 위해서는 외함의 외형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168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6-2196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방열을 수행하는 열원기기용 외함에 있어서 공기유동량을 외함이 설치되는 환경이나 열원기기의 열발생량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같은 열원기기의 용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외함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원기기의 외함 제작이 보다 간단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열원기기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외함몸체와,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차폐하고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과의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상기 외함몸체에 대해 승강시켜 상기 내부공간 내외부로 유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한다.
상기 외함몸체는 내부공간의 바닥을 구성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측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지면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레그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의 내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천정을 형성하는데 상기 배출부의 출구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의 내면에는 별도의 안내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로 유동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판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나사바아와 상기 승강나사바아와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승강나사바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의 하부에도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절연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측벽의 내면에는 절연몸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몸체부의 상단에는 출구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줄어드는 깔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깔때기부의 끝부분에는 상기 상판의 하면을 향해 연장되는 출구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원기기용 외함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함의 상판 내면에 상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경사를 두어서 내부공간의 상단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판과 측벽플랜지와의 점차 좁아지는 유동로를 거쳐서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원없이 열을 받아 밀도가 낮아진 공기가 상승하여 상판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열원기기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부의 유동단면적을 외함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이나 열원기기의 열발생량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외함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이 측벽 상단과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구를 두었다. 따라서, 외함의 배출부의 배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 맞거나 다양한 열원기기에 맞는 외함을 제공하여 열원기기의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함몸체의 내부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의 내면에 절연체를 설치하여 열원기기와의 사이에 절연을 수행한다. 따라서 열원기기와 외함사이의 절연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함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가 상기 외함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부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되어 내부공간의 공기가 빠른 속도로 상판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함몸체의 바닥판에 바닥통공을 형성하고 바닥판을 레그로 지지하여 지면과 바닥판과의 사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바닥통공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는 내부공간 내부에서 열원기기로부터 나온 열에 의해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면서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내부공간 하부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져 발생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열원기기를 통과해서 상부로 이동하여 열원기기의 열을 보다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측벽의 상단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측벽 상단과 상판 사이의 틈새를 활용하므로 외함의 제작과정에서 측벽에 공기유동을 위한 구조 형성을 최소로 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원기기용 외함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상판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상판 내면에 안내판을 둔 것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외함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판의 위치를 도 1과 달리하여 배출부의 유량을 높인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원기기용 외함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외함(10)의 골격을 외함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외함몸체(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열원기기(15)가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열원기기(15)로서 몰드변압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함몸체(1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외함몸체(12)가 형성되거나,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몸체(12)는 또한 원통형상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함몸체(12)의 하부를 바닥판(16)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6)에는 다수개의 바닥통공(18)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6)에 형성되는 바닥통공(18)은 내부공간(14)에 설치되는 열원기기(15)의 하부 및 주변 영역에 있다. 상기 바닥통공(18)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공간(14)으로 원활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바닥판(16)은 지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판(16)을 레그(20)로 지지한다. 상기 레그(20)는 지면과 상기 바닥판(16)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면과 바닥판(16)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간격은 상기 바닥통공(18)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공간(14)으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함몸체(12)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측벽(22)이 있다. 상기 측벽(22)은 외함몸체(12)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14)을 외부와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22)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각형 통 또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측벽(22)의 하단부를 둘러서는 측벽유입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유입구(24)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4)의 하부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상기 측벽유입구(24)는 상기 측벽(22)의 하단부 영역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외부 공기가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서 열원기기(15)의 하단부터 상단까지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벽유입구(24)는 예를 들면 루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루버라 함은 측벽(22)을 구성하는 판재의 일부를 경사지게 절곡하여 외부에서 내부공간(14)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를 말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측벽(22)에는 상기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갈 수 있는 도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를 통해 내부공간(14)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고 나올 수 있다.
상기 측벽(22)의 상단에는 측벽플랜지(26)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플랜지(26)는 상기 내부공간(14)의 내부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벽플랜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부(35)의 일부를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측벽플랜지(26)에는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높이조절구(36)의 일측이 고정된다.
상기 외함몸체(12)에 형성된 내부공간(14)의 상부를 외부와 구획되게 상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30)은 상기 외함몸체(1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평면도로 볼 때 상판(30)이 정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4개의 정삼각형의 꼭지점이 상판(30)의 중앙(33)을 이루도록 각각의 정삼각형 판이 경사지게 연결된다.
도 2의 (b)에는 상판(30)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물론 입체형상으로는 원뿔 형상이고 중앙의 위치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외면이 곡면으로 된다.
도 2의 (c)에는 상판(30)이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삼각형 형상의 판과 2개의 사다리꼴의 판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판(30)이 구성된다. 이때에는 2개의 사다리꼴을 연결하는 중심선(33')의 양단에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이 일치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30)들의 형상은 모두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30)의 외면(32)과 내면(34)이 모두 같은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내면(34)의 경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야 하나 외면(32)의 경사는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외면(32)을 따라 물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면 전체가 상판(30)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질 필요는 없다.
상기 상판(30)의 내면(34)의 경사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될 필요는 없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0)의 가장자리에서 더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이는 배출부(35)의 유동단면적의 변화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상판(30) 내면(34)의 경사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없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상판(30)의 내면 중앙이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그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안내판(34')을 더 둘 수 있다. 상기 안내판(34')은 내부공간(14)의 상부로 유동되어 배출부(35)로 유동되는 공기가 와류없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판(30)의 가장자리 부분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22)의 외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측벽(22)의 상단으로 직접 물 등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부(35)를 통해서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공간(14)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부(35)는 상기 상판(3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측벽(22)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 배출부(3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35)를 통해서는 상기 내부공간(14)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판(30)이 상기 측벽(22)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높이조절구(36)가 상기 측벽(22)의 상단에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측벽(22)의 측벽플랜지(26) 상에 상기 높이조절구(36)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구(36)는 상기 상판(30)의 위치를 조절해 주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승강나사바아(38)를 회전체(37)가 연결하여 구성한다. 일측 승강나사바아(38)는 상기 측벽플랜지(26) 상에 설치되고 타측 승강나사바아(38)는 상기 상판(30)의 내면(34)에 설치되고, 이들 모두와 동시에 회전체(37)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회전체(37)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승강나사바아(38)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회전체(37)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나사바아(38)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승강나사바아(3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구(36)의 구성은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조절구(36)로서 유압실린더가 사용되어 상판(30)을 2단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자동차용 자키와 같은 구조가 사용되어 상판(30)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이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이동블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의 내면, 즉 상기 측벽(22)의 내면을 둘러서는 절연체(40)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체(40)는 상기 측벽(22)에서 도어가 있는 부분에서는 도어의 내면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체(40)는 절연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면, 종이, 프레스보드, 목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40)에서 상기 열원기기(15)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부분은 절연몸체부(42)로서 상기 측벽(22)의 내면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몸체부(42)는 상기 외함몸체(12)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절연몸체부(42)의 횡단면이 정사각형,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절연몸체부(42)의 상단에는 깔때기부(44)가 있다. 상기 깔때기부(44)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볼 때 출구쪽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깔때기부(44)는 상기 측벽(22)의 상단에 있는 측벽플랜지(26)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단이 위치된다.
상기 깔때기부(44)의 출구에는 출구부(46)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형상의 출구부(46)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측벽플랜지(26)와 절연체(40)의 깔때기부(44)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구부(46)는 또한 내부공간(14)의 공기가 상기 상판(30)의 내면(34) 중앙부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열원기기용 외함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함(10) 내부에 있는 열원기기(15)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원기기(15)가 동작되면 열이 발생하고 열원기기(15) 주변의 공기가 이 열을 받아 온도가 올라간다.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면 밀도가 낮아지면서 내부공간(14)의 상부로 상승한다. 따라서, 내부공간(14) 하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떨어지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바닥통공(18)과 측벽유입구(24)를 통해 내부공간(14)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14)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원기기(15)의 열을 전달받아 다시 내부공간(14)의 상부로 유동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의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체(40)의 깔때기부(44)를 지나면서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상기 출구부(46)를 통과해 나가게 된다.
상기 출구부(46)를 통과해 절연체(40) 내부에서 나간 공기는 상기 상판(30)의 내면(34) 또는 안내판(34')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판(30)의 가장자리 쪽에 있는 배출부(35)로 유동된다. 상기 배출부(35)는 출구쪽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므로 공기의 유동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상 상판 중앙 하부의 공기를 배출부(35)로 빨아들이는 효과가 있어 상기 상판중앙 하부로는 내부공간(14)에 있는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되어 온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4)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열원기기(15)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열원기기(15)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높이조절구(36)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30)의 위치를 조절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판(30)을 도 4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배출부(35)의 유동단면적이 커지게 되면서, 상기 내부공간(14)의 내외부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원기기(15)의 열을 머금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서 보다 원활하게 열원기기(15)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예를 들면, 열원기기(15)의 열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적절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기기(15)의 열발생량이나 주변의 환경에 맞춰서 상기 상판(30)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여 열원기기(15)의 열방출을 제어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높이조절구(36)를 조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상기 회전체(3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측벽플랜지(26)에 설치된 승강나사바아(38)와 상기 상판(30)에 설치된 승강나사바아(3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어 상기 상판(30)의 상기 측벽(22)에 대한 상대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정도는 외함(10)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이나 열원기기(15)의 열발생량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통해 내부공간(14)으로 들어와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고, 배출되는 열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4)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바닥판(16)의 바닥통공(18)과 측벽(22)의 측벽유입구(24)가 있으나, 바닥통공(18)과 측벽유입구(24)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있어도 상관없다. 즉 상기 외함몸체(12)의 하부에 바닥통공(18)이나 측벽유입구(24)와 같은 통공이 형성되면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외함몸체(12)의 내부에 절연체(40)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절연체(4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함몸체(12)의 측벽(22)에 깔때기부(44)와 같은 구성을 두어서 공기의 유동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절연체(40)가 하는 절연기능을 얻을 수가 없어서 외함(10)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 있다.
10: 외함 12: 외함몸체
14: 내부공간 15: 열원기기
16: 바닥판 18: 바닥통공
20: 레그 22: 측벽
24: 측벽유입구 26: 측벽플랜지
30: 상판 32: 외면
33: 중앙 33': 중심선
34: 내면 34': 안내판
35: 배출부 36: 높이조절구
37: 회전체 38: 승강나사바아
40: 절연체 42: 절연몸체부
44: 깔때기부 46: 출구부

Claims (9)

  1. 내부에 열원기기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외함몸체와,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차폐하고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과의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상기 외함몸체에 대해 승강시켜 상기 내부공간 내외부로 유동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하는 열원기기용 외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몸체는 내부공간의 바닥을 구성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측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열원기기용 외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지면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레그가 구비되는 열원기기용 외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내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천정을 형성하는데 상기 배출부의 출구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열원기기용 외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내면에는 별도의 안내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로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열원기기용 외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기 외함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판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나사바아와 상기 승강나사바아와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승강나사바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열원기기용 외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부에도 통공이 형성되는 열원기기용 외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절연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측벽의 내면에는 절연몸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몸체부의 상단에는 출구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줄어드는 깔때기부가 형성되는 열원기기용 외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의 끝부분에는 상기 상판의 하면을 향해 연장되는 출구부가 더 구비되는 열원기기용 외함.

KR1020180116003A 2018-09-28 2018-09-28 열원기기용 외함 KR10220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3A KR102203413B1 (ko) 2018-09-28 2018-09-28 열원기기용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3A KR102203413B1 (ko) 2018-09-28 2018-09-28 열원기기용 외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02A true KR20200036402A (ko) 2020-04-07
KR102203413B1 KR102203413B1 (ko) 2021-01-15

Family

ID=702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03A KR102203413B1 (ko) 2018-09-28 2018-09-28 열원기기용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963Y1 (ko) *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100705284B1 (ko) *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KR100878258B1 (ko) * 2007-02-01 2009-01-14 (주)대성기술단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20120021689A (ko) 2010-08-13 2012-03-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순환냉각 방식을 갖는 수배전반
JP2016219688A (ja) 2015-05-25 2016-12-22 富士電機株式会社 変圧器の冷却装置
KR101774286B1 (ko) * 2016-12-12 2017-09-07 주식회사 삼신기전 대류 방열구조에 의한 전기 제어기기용 외함의 방열 시스템
EP3263803A1 (en) * 2016-06-30 2018-01-03 ABB Schweiz AG Substation
JP2018014815A (ja) * 2016-07-20 2018-01-25 富士電機株式会社 配電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963Y1 (ko) *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100705284B1 (ko) *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KR100878258B1 (ko) * 2007-02-01 2009-01-14 (주)대성기술단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20120021689A (ko) 2010-08-13 2012-03-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순환냉각 방식을 갖는 수배전반
JP2016219688A (ja) 2015-05-25 2016-12-22 富士電機株式会社 変圧器の冷却装置
EP3263803A1 (en) * 2016-06-30 2018-01-03 ABB Schweiz AG Substation
JP2018014815A (ja) * 2016-07-20 2018-01-25 富士電機株式会社 配電盤
KR101774286B1 (ko) * 2016-12-12 2017-09-07 주식회사 삼신기전 대류 방열구조에 의한 전기 제어기기용 외함의 방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413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3364A1 (en) Fan system and arrangement of one or more such fan systems in a flow duct
JP2008182233A (ja) 熱交換器を備えた、差込式の電子部品を受け入れるための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
KR20150025755A (ko) 인버터 냉각장치
EP3141827B1 (en) Air-conditioning unit
JP2005128995A (ja) 逆流防止ファンモジュール
KR20200036402A (ko) 열원기기용 외함
JP5916344B2 (ja) 吹出口装置
AU2018288739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102487348B1 (ko) 의류 건조기
US20060045777A1 (en) Fans and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the same
JP5164165B2 (ja) 地上設置型変圧器装置
TW201416822A (zh) 散熱裝置組合
CN106569563A (zh) 一种高度可调的电脑主机机箱
JP6414950B2 (ja) 渦発生抑制装置
JPS6274427A (ja) フイルタユニツト
US10989208B2 (en) Air circulation device
JP2006068676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018145873A (ja) 給水装置
KR102158494B1 (ko) 루프 팬
JP2005169335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CN217474013U (zh) 汞灯uv固化机
CN215121426U (zh) 百叶窗单元和防水结构
CN217857123U (zh) 一种紫外线固化炉用通风冷却系统
KR102689807B1 (ko) 풍향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테스트 장치
KR200406717Y1 (ko) 냉난방 공조장치용 가변형 선회 공기 취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