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32407A - 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407A
KR20200032407A KR1020180111393A KR20180111393A KR20200032407A KR 20200032407 A KR20200032407 A KR 20200032407A KR 1020180111393 A KR1020180111393 A KR 1020180111393A KR 20180111393 A KR20180111393 A KR 20180111393A KR 20200032407 A KR20200032407 A KR 2020003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ail
withdrawal system
t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029B1 (ko
Inventor
이두면
이노희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8011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29B1/ko
Priority to PCT/KR2019/011968 priority patent/WO2020060138A1/ko
Publication of KR2020003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 시스템 {PULL-OUT SYSTEM}
본 발명은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갖는 슬라이드레일 및 양측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을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식기 세척기, 오븐, 서랍 등의 장착구조물에는 물체를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서랍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조립체에는 서랍이 장착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드레일은 볼 또는 롤러 형태의 구름 수단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시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통상 슬라이드레일은 서랍 설치 공간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함으로써 서랍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랍 양측의 슬라이드레일은 서로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서랍의 자세가 틀어져서 인출입에 보다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끼임 동작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를 줄이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하는 동기화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다만, 종래 동기화수단의 경우, 슬라이드레일을 설치함에 있어, 장착구조물의 폭, 치수 변화에 따라 매번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고, 제작되더라도 치수 공차에 따른 차이까지 수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8-0010559 (2018.01.3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컨트롤러를 통해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드레일의 폭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슬라이드레일의 운동을 바람직한 텐션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화수단을 갖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에는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고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러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맞물리는 동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구속되는 래칫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러는, 상기 동작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정되고, 상기 동작부재를 누르면 상기 래칫 구조가 해제되면서 역방향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슬라이드레일에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걸림부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링부 및 상기 링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 미끄럼부 및 제1 평탄부가 반복되어 연결되는 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제2 미끄럼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끝단부에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기화수단이 텐션컨트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설계 치수에 맞게 설치된 슬라이드레일에 폭 치수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하여 상기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레일 초기 설정된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될 경우, 텐션컨트롤러를 통해 초기 설정된 장력으로 복원함으로써 인출 시스템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이 바람직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동기화 됨으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운동량 차이가 줄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레일의 매끄러운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2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3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재(24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러(250)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텐션컨트롤러(250)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러(250)의 회전 및 역회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출 시스템(1000)은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00)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서랍,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의 장착구조물 측벽에 브라켓(111)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레일(1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1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물체를 인입 및 인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간레일(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레일(120)과 이동레일(130)은 움직이는 레일로서, 고정레일(110)에 중간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레일(120)에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레일(110)에 대해 상대이동한 중간레일(120)에서 이동레일(130)의 상대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슬라이드레일(100)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다양한 크기의 서랍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20) 및 이동레일(130)의 사이에는 볼, 롤러 등의 구름수단이 설치되어 레일간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2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레일(100)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일측 또는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에 장착되어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오픈(open)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 레일(100)도 오픈 동작을 하고,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클로즈(close)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도 클로즈 동작을 하게 되도록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와이어로프(210), 롤러 어셈블리(220) 및 텐션컨트롤러(25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좌, 우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100) 간 동기화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몇 개의 단계로 슬라이드레일(1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와이어 등의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지만, 임의의 다른 케이블, 밴드 또는 편향 가능한 그 밖의 요소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양 끝단부에는 슬라이드레일(100)에 형성된 리테이너(140) 및 텐션컨트롤러(250) 등에 걸릴 수 있도록 슬리브(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리브(211)는 와이어로프(210)가 상기 리테이너(140) 및 텐션컨트롤러(250) 등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와이어로프(210)가 바람직한 텐션으로 동기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롤러 어셈블리(220)는 중간레일(120)에 고정되는 하우징(221),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기둥부(222) 및 상기 기둥부(2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223)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220)는 중간레일(120)의 후방 영역에 형성되고, 와이어로프(210)와 접촉되며 롤러(22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마찰력을 감소시켜 원활한 동기화 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와이어로프(210)는 상기 하우징(221) 내부에 구비된 롤러(223)에 의해 편향되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와이어로프(210)는 일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텐션컨트롤러(250)에서 시작하여 일측 중간레일(12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 어셈블리(220)에 의해 편향된 후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로 나아가고, 타측 중간레일(12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 어셈블리(220)에 의해 다시 편향된 후 타측 이동레일(130)의 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 고정된다.
나아가, 또다른 와이어로프(210)는 일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텐션컨트롤러(250)에서 시작하여 일측 중간레일(12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 어셈블리(220)에 의해 편향된 후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로 나아가고, 타측 중간레일(12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 어셈블리(223)에 의해 다시 편향된 후 타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 고정된다.
이처럼,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은 두 종류의 와이어로프(210)의 동기화 작용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레일(120)에는 와이어로프(210)를 가이드하고,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풀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서 일 방향으로 시작된 와이어로프(210)는 일측 중간레일(120)의 후방에 형성된 편향풀리(121)에 의해 약 180 정도 편향된 후 일측 이동레일(130)의 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 고정되며, 일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서 타 방향으로 시작된 또다른 와이어로프(210)는 일측 중간레일(120)의 전방에 형성된 편향풀리(121)에 의해 약 180 정도 편향된 후 일측 이동레일(130)의 후방에 형성된 리테이너(1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의 경우에도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레일(110)에 대한 중간레일(120)과 이동레일(130)의 상대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3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재(24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러(250)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텐션컨트롤러(250)는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0)와 상기 고정부재(230)와 맞물리며 와이어로프(210)의 텐션을 조절하는 동작부재(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컨트롤러(250)는 고정된 고정부재(230)를 기준으로 동작부재(240)가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 구속되는 래칫(Ratchet)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재(240)의 회전정도에 따라 동작부재(240)와 연동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바람직한 텐션으로 슬라이드레일(100)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30)는 디스크(Disk)일 수 있고, 상기 동작부재(240)는 릴(Reel)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30)는 상기 고정레일(110)에 고정되는 회전축(231) 및 상기 회전축(231)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부(23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31)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일측에는 고정레일(110)에 형성된 고정판(251)의 수용홀(252, 253)에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32, 2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31)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축(2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동작부재(240)와 접촉하여 맞물리는 맞물림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234)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맞물림부(234)의 일측면에는 동작부재(240)의 회전 동작 시 걸림을 유도하기 위한 걸림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235)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각 삼각 형상의 치형이 상기 회전축(231)의 둘레를 따라 반복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부재(240)는 일측으로 회전 시 상기 걸림부(235)의 단계별 걸림동작을 통해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부재(240)는 링부(241) 및 상기 링부(241)의 외측으로 형성된 핸들부(24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부(241)는 내부에 결합홀(242)이 형성된 환형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242)을 통해 고정부재(230)의 회전축(23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241)의 외측으로는 회전 동작을 위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243)의 끝단부에는 동작부재(240)에 대한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누름부(2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부재(230)의 걸림부(235)와 맞물리는 돌기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부재(240)의 회전동작 시 상기 돌기부(245)가 상기 고정부재(230)에 반복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235)에 접촉하여 맞물릴 수 있으며, 단계별로 세팅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핸들부(243)에 형성된 누름부(244)에 힘을 가하면 고정부재(230)와 동작부재(240)의 맞물린 치형이 분리되어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텐션컨트롤러(250)는 고정레일(110)에 형성된 고정판(251)을 베이스로 동작부재(240), 고정부재(230) 및 고정핀(254)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로프(210)는 끝단부에 형성된 슬리브(211)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240)의 핸들부(243)에 걸리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동작부재(240)가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230)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리브(211)에 의해 상기 핸들부(243)에 연결된 와이어로프(210) 역시 고정부재(230)의 회전축(231) 주위로 와인딩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텐션컨트롤러(250)는 슬리브(211)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240)와 연동된 와이어로프(210)가 상기 동작부재(240)의 회전동작 및 역회전 동작에 따라 같이 연동되며 움직이고, 이로써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텐션컨트롤러(250)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러(250)의 회전 및 역회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30)의 상기 걸림부(235)는 제1 미끄럼부(235a) 및 제1 평탄부(235b)를 포함하고, 동작부재(240)의 상기 돌기부(245)는 제2 미끄럼부(245a) 및 제2 평탄부(245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235)는 제1 미끄럼부(235a) 및 제1 평탄부(235b)의 순서로 차례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치형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45)는 제2 미끄럼부(245a) 및 제2 평탄부(245b)로 구성된 돌기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30)와 동작부재(240)가 맞물리는 경우, 동작부재(24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1 미끄럼부(235a)와 상기 제2 미끄럼부(245a)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가능하지만,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2 평탄부(245b)가 상기 제1 평탄부(235b)에 걸리면서 구속된다.
즉, 사용자가 고정된 고정부재(230)를 기준으로 동작부재(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로프(210)가 상기 고정부재(230)의 회전축(231) 주위로 와인딩되면서 장력이 팽팽하게 조성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동작부재(240)의 누름부(244)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부재(230)와 맞물렸던 치합구조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느슨하게 조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텐션컨트롤러(250)를 통해, 설계 치수에 맞게 설치된 슬라이드레일(100)에 폭 치수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장착 폭을 A라 할 때, 공차에 의하여 장착 폭이 A+b가 되면 상기 동작부재(240)의 누름 및 역회전 동작으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고, 공차에 의하여 장착 폭이 A-c가 되면 상기 동작부재(240)의 회전동작으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팽팽하게 함으로써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레일(100) 초기 설정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면, 상기 텐션컨트롤러(250)를 통해 초기 설정된 장력으로 복원함으로써 인출 시스템(1000)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인출 시스템
100 슬라이드레일
110 고정레일
111 브라켓
120 중간레일
121 편향풀리
130 이동레일
140 리테이너
200 동기화수단
210 와이어로프
211 슬리브
220 롤러 어셈블리
221 하우징
222 기둥부
223 롤러
230 고정부재
231 회전축
232 결합부
233 결합부
234 맞물림부
235 걸림부
235a 제1 미끄럼부
235b 제1 평탄부
240 동작부재
241 링부
242 결합홀
243 핸들부
244 누름부
245 돌기부
245a 제2 미끄럼부
245b 제2 평탄부
250 텐션컨트롤러
251 고정판
252 수용홀
253 수용홀
254 고정핀

Claims (12)

  1.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에는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고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러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맞물리는 동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구속되는 래칫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러는,
    상기 동작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정되고,
    상기 동작부재를 누르면 상기 래칫 구조가 해제되면서 역방향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슬라이드레일에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걸림부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링부 및 상기 링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 미끄럼부 및 제1 평탄부가 반복되어 연결되는 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제2 미끄럼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끝단부에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KR1020180111393A 2018-09-18 2018-09-18 인출 시스템 KR10212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93A KR102128029B1 (ko) 2018-09-18 2018-09-18 인출 시스템
PCT/KR2019/011968 WO2020060138A1 (ko) 2018-09-18 2019-09-17 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93A KR102128029B1 (ko) 2018-09-18 2018-09-18 인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07A true KR20200032407A (ko) 2020-03-26
KR102128029B1 KR102128029B1 (ko) 2020-06-29

Family

ID=6988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93A KR102128029B1 (ko) 2018-09-18 2018-09-18 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8029B1 (ko)
WO (1) WO202006013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073A (ko) * 2012-03-26 2013-10-07 슬라이드 메이 야오 인터내셔날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딩 레일 유닛과 서랍의 슬라이딩 운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장치, 동기화 스핀들 연장 연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요동 방지 유닛
KR20160021098A (ko) * 2013-06-14 2016-02-24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인출 시스템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180010559A (ko) 2016-07-21 2018-01-31 (주)세고스 서랍의 가이드레일 동기 장치
KR20180099249A (ko) * 2017-02-28 2018-09-05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2964A (en) * 1971-07-07 1973-03-27 Oxford Pendaflex Corp Extensible drawer support
CN106016938B (zh) * 2016-05-25 2018-05-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DE102016111857A1 (de) * 2016-06-29 2018-01-04 Paul Hettich Gmbh & Co. K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chubelementes und Bausatz zur verschiebbaren Lagerung eines Schubelemen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073A (ko) * 2012-03-26 2013-10-07 슬라이드 메이 야오 인터내셔날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딩 레일 유닛과 서랍의 슬라이딩 운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장치, 동기화 스핀들 연장 연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요동 방지 유닛
KR20160021098A (ko) * 2013-06-14 2016-02-24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인출 시스템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180010559A (ko) 2016-07-21 2018-01-31 (주)세고스 서랍의 가이드레일 동기 장치
KR20180099249A (ko) * 2017-02-28 2018-09-05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138A1 (ko) 2020-03-26
KR102128029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3318B2 (ja) 引出しシステム
KR20130055533A (ko) 피안내 슬라이드 어셈블리
WO2012066883A1 (ja) 引込装置
US20180160807A1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WO2018010415A1 (zh) 抽屉滑动机构及具有其的冰箱
WO2017202047A1 (zh)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WO2017202046A1 (zh)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WO2017202048A1 (zh)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US11202504B2 (en) Sliding device
JP4255782B2 (ja)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KR20130117369A (ko) 슬라이더
KR20180099249A (ko) 슬라이딩 장치
KR102128029B1 (ko) 인출 시스템
WO2017202045A1 (zh)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CN102090800B (zh) 橱柜抽拉承载件的抽拉平稳结构
KR102226141B1 (ko) 인출 시스템
JP6801670B2 (ja) 窓用装置
KR102156567B1 (ko) 인출 시스템
KR102075759B1 (ko) 슬라이딩 장치
JP4200468B1 (ja) フラットドアの開閉機構
JP2011241655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EP4245186A1 (en) Pull-out system
JP2867587B2 (ja) 引出し装置
KR101137265B1 (ko) 파워트렁크 어셈블리
JP7065981B2 (ja) 引出しガイド、レール同期化装置および連行体から成る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