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872A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7872A KR20190117872A KR1020180040756A KR20180040756A KR20190117872A KR 20190117872 A KR20190117872 A KR 20190117872A KR 1020180040756 A KR1020180040756 A KR 1020180040756A KR 20180040756 A KR20180040756 A KR 20180040756A KR 20190117872 A KR20190117872 A KR 20190117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t
- resin chip
- coating resin
- shaft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 Y02W30/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방 입구로 도장수지 칩이 투입되고 상기 도장수지 칩을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인트가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은 전방의 출구로 방출하게 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축 방향 중심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양측이 고속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스크루가 입구 내측에 구비되어 도장수지 칩을 전방으로 이송하고 둘레 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를 분리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드럼의 입구에 연결된 예열관체를 통해 열기를 공급해서 내부 온도를 25~50도 씨 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 상기 드럼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페인트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며, 저부에는 페인트를 회수하기 위한 페인트 회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가 표면의 통공을 통해 드럼 내부로 개방되고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에어관체를 통해 에어챔버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10)의 둘레에는 상기 샤프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버(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범퍼 커버 등과 같은 폐 플라스틱 제품을 잘게 파쇄한 소정의 플라스틱 칩을 표면처리하여 페인트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 커버 또는 페인트가 도포된 각종 플라스틱 및 수지 제품(이하 '도장수지제품'이라 통칭함)은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 및 제작되며,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페인트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의 도장수지제품을 사용한 후, 손상 및 파손으로 버려지는 폐품을 수거하고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수지원료로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제품 표면의 페인트를 완전히 제거해야만 한다. 이에 따른 페인트 제거방법으로는 염산, 황산 등의 약품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방법 또는 마찰부재(브러시)의 마찰력을 사용하는 기계적 처리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전자의 화학적 처리방법은 약품처리 시간이 길고 페인트의 제거효율이 80~85% 정도로 처리효율이 낮고, 수지 제품이 녹으면서 수지원료의 손실은 물론 약품이 혼탁해지며, 잔여물이 남아 약품의 세척 및 후처리공정을 필요하여 비효율적이다. 특히 화학약품의 유해성은 물론 심각한 수질(대기)오염을 유발함은 물론 다량의 폐수와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한다. 또 후자의 기계적 처리방법(장치)에 관하여 아래의 선행기술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장수지제품의 페인트 박리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4662(공개일자 1999년10월05일)호에서처럼, 도장수지제품(범퍼)의 표면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해서 페인트를 박리시키는 도장수지 제품의 도막 제거 시스템이 있다. 또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6-0037240(공개일자 1996년11월19일)호와 같이, 한 쌍의 롤 사이로 압연한 수지소재가 통과하면서 롤의 압연력으로 도막을 분리하게 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 박리제거장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은 범퍼의 표면에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거나 또는 롤 사이를 통과시켜 페인트를 제거하게 되므로, 범퍼의 부피 (크기,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장치가 비대해지고 그 구성이 복잡다단함은 물론 제작 비용 및 가격이 고가여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0786(공개일자 2013년04월24 일)호의 차량 범퍼의 도료제거장치는, 범퍼를 압연하는 한 쌍의 롤과, 상기 롤로부터 반출되는 상기 범퍼의 표면에 잔류하는 상기 도료를 제거하는 숏블라스트 장치 등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복잡다단하고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진동이나 소음, 분진 등의 발생량이 많아 작업환경이 나쁘고 작업자의 신체 건강에도 악영향이 있으며, 또 숏블라스트 장치 등의 장비운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662767호(등록일자 2016년09월28일)의 '폐기물의 페인트 박리장치'가 있으며, 이는 본체로 투입된 폐기물이 본체 내측에 구비된 원추형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 원추형 회전자의 블레이드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폐기물 표면의 페인트를 박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수직형 페인트 박리장치는 상부 호퍼로 투입된 폐기물이 페인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회전자를 통과해서 아래로 추락하므로 페인트 제거효율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도장수지제품을 파쇄기로 파쇄해서 칩(Ship) 형태로 제공되는 폐 도장수지 칩을 일정한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블레이드가 달리 고속 회전형 샤프트의 충격력에 의해 단시간에 페인트를 박리시킬 수 있게 됨으로, 재활용 수지제품으로 깨끗이 표면처리할 수 있게 되는 재활용 폐 도장 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방 입구로 도장수지 칩이 투입되고 상기 도장수지 칩을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인트가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은 전방의 출구로 방출하게 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축 방향 중심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양측이 고속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스크루가 입구 내측에 구비되어 도장수지 칩을 전방으로 이송하고 둘레 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를 분리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드럼의 입구에 연결된 예열관체를 통해 열기를 공급해서 내부 온도를 25~50도 씨 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 상기 드럼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페인트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며, 저부에는 페인트를 회수하기 위한 페인트 회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가 표면의 통공을 통해 드럼 내부로 개방되고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에어관체를 통해 에어챔버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10)의 둘레에는 상기 샤프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버(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스크루의 전방에 일정한 갯 수의 블레이드들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 표면의 페인트를 1차 박리하게 되는 제1 박리부; 및, 상기 제1 박리부의 전방에 제1 박리부 보다도 많은 갯 수의 블레이드들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의 표면에 남은 페인트 를 더욱 세밀하게 2차 박리하기 위한 제2 박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둘레 면의 중간부에 이송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의 정체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출구에 수지 칩을 안내하기 위한 칩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칩 배출구의 내측에는 가이드 링을 구비하여 출구가 바깥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도장수지제품을 파쇄해서 칩(Chip) 형태로 제공되는 폐 도장수지 칩을 호퍼로 투입하면 간소한 표면처리공정을 거쳐 표면의 페인트를 단시간에 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과, 유지관리 및 운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퍼 내의 도장수지 칩이 정량공급기를 통해 일정량씩 투입되고 입구 측의 스크루에 의해 균일하게 이송되어 져 드럼 내부로 투입되어져 공급이 원활하다. 그리고 드럼 내부에서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 및 블레이드에 의해 칩 표면의 페인트를 골고루 박리시켜 깨끗하게 표면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의 출구 측에 구비된 칩 배출구가 수지 칩의 배출량을 조절하므로 상기 드럼 내에서 상기 수지 칩의 표면에 남아 있는 페인트를 충분히 박리할 수 있게 되며 표면처리효율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입구에 연결된 예열관체 및 예열수단에 의해 도장수지 칩 표면의 페인트를 박리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온도조건을 제공하고 박리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 박리부 및 제2 박리부에 의해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를 완전히 제거하여 깨끗이 표면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샤프트의 중간부에 구비된 이송 블레이드가 칩의 이송을 원활히 도와서 드럼 내부의 정체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드럼 내부의 과열로 인해서 수지 칩이 녹거나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고 표면처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 커버 또는 페인트가 도포된 각종 플라스틱 및 수지 제품와 같이 처리가 곤란한 폐 도장수지 칩의 표면처리효율이 우수하여 폐 자재의 재활용 효율이 극대화되며, 우수한 품질의 재활용 수지 칩을 통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수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C"-"C"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박리장치의 출구 및 칩 배출구를 확대하여 나 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C"-"C"선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박리장치의 출구 및 칩 배출구를 확대하여 나 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방 입구(14)로 도장수지 칩(R)이 투입되고 상기 도장수지 칩(R)을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인트(P)가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2)들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은 전방의 출구(15)로 방출하게 되는 드럼(10); 상기 드럼(10)의 축 방향 중심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양측이 고속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스크루(22)가 입구(14) 내측에 구비되어 도장수지 칩(R)을 전방으로 이송하고 둘레 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30)를 형성하여 도장수지 칩(R)의 페인트(P)를 분리하게 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6); 상기 드럼(10)의 입구(14)에 연결된 예열관체(42)를 통해 열기를 공급해서 내부 온도를 25~50도씨 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40); 상기 드럼(10)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페인트(P)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며, 저부에는 페인트(P)를 회수하기 위한 페인트 회수구(54)가 구비된 하우징(50); 및, 상기 샤프트(20)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26)가 표면의 통공(28)을 통해 드럼(10) 내부로 개 방되고 상기 샤프트(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에어관체(62)를 통해 에어챔버(26)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송풍기(60);를 포함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는 드럼(10), 샤프트(20), 구동모터(36), 히터(40), 하우징(50), 송풍기(60)로 구성되 어 져, 페인트가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폐 도장수지 칩(R)을 표면처리하므로써 페 인트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폐 도장수지 칩(R)은 페인트가 도포되어 있는 자동차 의 범퍼 커버, 각종 플라스틱 및 수지 제품 등의 재활용 폐기물이 해당이 되며, 이 를 수거해서 분쇄기로 파쇄해서 10~100mm 정도의 크기로 작게 부순 칩(Chip)의 형 태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드럼(10)은 원통형이고 표면에는 다수의 구멍(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샤프트(20)가 삽입되며, 후방에 구비되는 입구(14) 위에 호퍼(18)가 설치되고 타측 전방에 출구(15)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18)로 도장수지 칩(R)이 투입되면 드럼(10) 내부에서 표면처리되어 페인트(P)가 분리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인트(P)가 구멍(12)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은 전방 출구(15)로 방출되어 수거함(58)에 담긴다.
한편, 상기 구멍(10)의 둘레에 상기 샤프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버(10a)가 형성되면, 폐 도장수지 칩(R)이 버(10a) 마찰하여, 폐 도장수지 칩(R)에 도포된 페인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입구(14)에는 정량공급기(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공급기(16)는 호퍼 내에 담기는 다량의 도장수지 칩(R)을 일정량씩 입구(14)로 투입시켜 과부하를 방지하고 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예방하여 표면처리공정이 안정화된다.
상기 샤프트(20)는 후방의 입구 측에 스크루(22)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30)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10)의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고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고속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0)는 내부에 에어챔버(26)가 형성되고 후방 인입부(21)의 공기통로(24)를 통해 후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샤프트(20)는 스크루(22)를 따라 도장수지 칩(R)이 드럼 내부로 원활히 이송되고 고속 회전하는 블레이드(30)로 도장수지 칩(R)을 강력히 타격해서 표면의 페인트(P)를 강제 분리하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축의 회전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 리테이너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스크루(22)의 전방에 일정한 갯 수의 블레이드(30)들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 표면의 페인트(P)를 1차 박리하게 되는 제1 박리부(20a); 및, 상기 제1 박리부(20a)의 전방에 제1 박리부(20a) 보다도 많은 갯 수의 블레이드(30)들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의 표면에 남은 페인트(P)를 더욱 세밀하게 2차 박리하기 위한 제2 박리부(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샤프트(20)에는 입구 측에 구비된 제1 박리부(20a)에 의해 도장수지 칩(R)을 1차 분리하고 전방의 제2 박리부(20b)에 의해 재차 박리하여 페인트 제거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제1 박리부(20a) 및 제2 박리부(20b)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가 축 중심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도장수지 칩(R)을 타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박리부(20a)에는 도 2에서처럼, 블레이드(30)가 4개가 부착되는데, 최소 2개 내지 6개 정도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박리부(20b)는 도 4 에서처럼, 블레이드(30)가 8개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의 도장수지 칩(R)과의 접촉횟수 및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페인트를 좀 더 세밀하게 박리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제2 박리부(20b)에는 최소 7개 내지 12개 정도가 구비되며, 처리되는 칩의 종류 또는 장치의 처리용량, 규격 등에 따라 12개 이상으로 구성 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20)는 둘레 면의 중간부에 이송 블레이드(32)를 구비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의 정체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이송 블레이드(32)는 제1 박리부(20a)와 제2 박리부(20b) 사이에 구비되어 져, 상기 드럼 내부에서 표면처리되는 도장수지 칩(R)의 이동이 원활해지고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과부하의 위험성을 해소하며 처리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32)는 축 방향으로 길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구비되며, 도 3에서처럼, 2개가 축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32)는 도면에서처럼 축 중심선으로부터 3~30도 정도로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져 수지 칩을 전방으로 원활히 이송하게 된다.
다음, 상기 구동모터(36)는 샤프트(20)의 전방 구동부(23)에 구비되며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샤프트를 고속 회전시키게 되며, 전기 모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벨트 및 풀리, 체인 및 스프로킷, 기어 및 변속기 등으로 구성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휠(34) 및 벨트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는 벨트 구동방식이 적합하다. 또 상기 샤프트(20)는 전방 구동 부(23)에 밸런스 휠(38)이 결합하여 축 회전력이 증대되며, 상기 드럼 내부에서 과부하가 발생시에도 강력한 구동력을 발휘하여 샤프트의 회전이 원활하고 표면처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히터(40)는 열기를 공급하여 도장수지 칩(R)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전기히터가 바람직하며, 상기 예열관체(42)를 통해 드럼(10)의 입구(14)에 연결되어 져, 입구의 내부 온도를 25~50도씨 범위 이내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입구로 투입된 도장수지 칩(R)을 예열해서 25~50도씨 범위 이내로 온도를 높임에 따라 표면의 페인트(P)가 쉽게 벗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온도가 50도씨 이상으로 높아지면 수지 칩의 강도가 저하되면서 물러져 뭉칠 위험이 있어서 좋지 않다.
상기 하우징(50)은 드럼(10)의 둘레를 감싸서 내부에 수용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대(19)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10) 내에서 배출되는 페인트(P)가 외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의 페인트(P)는 저부에 형성된 콘부(52)를 통해 하단부의 페인트 회수구(54)로 모이고 상기 회수구(54)를 통해 집진기(56)로 보내진다. 상기 집진기(56)에서는 페인트(P)와 분진 등을 분리하고 포장용기(비닐, 포대 등)에 담겨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기(60)는 드럼(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페인트(P)를 강제 배출함과 함께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과열로 인해 수지 칩이 녹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송풍기(60)는 에어관체(62)를 통해 샤프트(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공기통로(24)로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에어챔버(26) 및 통공(28)을 통해 드럼(1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샤프트(20)의 끝단에는 에어관체(62)가 연결되는 에어 조인트(64)를 구비하여 축 회전하는 샤프트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10)의 출구(15)에 수지 칩(R')을 안내하기 위한 칩 배출구(70)가 구비되며, 상기 칩 배출구(70)의 내측에는 가이드 링(72)을 구비하여 출구(15)가 바깥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칩 배출구(70)는 드럼(10)의 전방 측면에 결합하여 출구(15)에 연결되며 도 5에서처럼, 바깥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축소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링(72)은 내측으로 샤프트 전방의 구동부(23)가 끼워져 연동하게 되고, 바깥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어 져, 상기 칩 배출구(70)와 가이드 링(72) 사이에 출구(15)보다 좁은 칩 배출통로(H)가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드럼 내에서 표면처리중인 수지 칩(R')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도장수지 칩이 드럼 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해서 페인트가 남아 있는 상태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완전히 표면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 처리효율이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에어관체(62)를 통해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6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10) 내부에서 도장수지 칩을 표면처리하는 과정에는 고속회전하는 블레이드(30)와 칩이 충격하면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데, 상기와 같이 에어챔버(26)로 공급되는 공기가 열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처리용량이 과다하거나 내부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의 냉각기(66)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에어관체(62)로 공급해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신속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미도시) 및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추가로, 본 발명은,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과, 상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과 다른 소재의 합성수지를 배합하는 배합기(81); 상기 배합기(81)에서 배합된 물질을 공급받아, 판상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82); 및, 상기 압출기(82)에서 압출된 물질을 공급받아, 분쇄하는 분쇄기(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합기(81), 압출기(82), 분쇄기(83)를 더 포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도장수지 칩(R)이 ABS 재질일 경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과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첨가제 등을 배합기(81)로 배합한 후, 배합된 물질을 압출기(82)로 압출하여, 분쇄기(83)로 분쇄하면, PC의 특성과 ABS의 특성을 결합된 소재가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도장수지 칩(R)에서 페인트만을 박리하여, 타 업체에 납품할 때보다, 더욱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10: 드럼, 12: 구멍, 12a : 버, 14: 입구, 15: 출구, 16: 정량공급기, 18: 호퍼, 19: 지지대, 20: 샤프트, 20a: 제1 박리부, 20b: 제2 박리부, 21: 인입부, 22: 스크루, 23: 구동부, 24: 공기통로, 26: 에어챔버, 28: 통공, 30: 블레이드, 32: 이송 블레이드, 34: 구동휠, 36: 구동모터, 38: 밸런스 휠, 40: 히터, 42: 예열관체, 50: 하우징, 52: 콘부, 54: 페인트 회수구, 56: 집진기, 58: 수거함, 60: 송풍기, 62: 에어관체, 64: 에어 조인트, 70: 칩 배출구, 72: 가이드 링, 81 : 배합기, 82 : 압출기, 83 : 분쇄기, H: 칩 배출통로
Claims (7)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에 있어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방 입구(14)로 도장수지 칩(R)이 투입되고 상기 도장수지 칩(R)을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인트(P)가 표면에 형성 된 다수의 구멍(12)들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 은 전방의 출구(15)로 방출하게 되는 드럼(10);
상기 드럼(10)의 축 방향 중심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양측이 고속 회전 가 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스크루(22)가 입구(14) 내측에 구비되어 도장수지 칩(R)을 전방으로 이송하고 둘레 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30)를 형성하여 도장수지 칩(R)의 페인트(P)를 분리하게 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6);
상기 드럼(10)의 입구(14)에 연결된 예열관체(42)를 통해 열기를 공급해서 내부 온도를 25~50도씨 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40);
상기 드럼(10)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페인트(P)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며, 저 부에는 페인트(P)를 회수하기 위한 페인트 회수구(54)가 구비된 하우징(50); 및,
상기 샤프트(20)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26)가 표면의 통공(28)을 통해 드럼(10) 내부로 개방되고 상기 샤프트(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에어관체(62)를 통해 에어챔버(24)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송풍기(60);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10)의 둘레에는 상기 샤프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버(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4)에는 정량공급기(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스크루(22)의 전방에 일정한 갯 수의 블레이드(30)들을 등 간격으로 형 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 표면의 페인트(P)를 1차 박리하게 되는 제1 박리부(20a); 및,
상기 제1 박리부(20a)의 전방에 제1 박리부(20a) 보다도 많은 갯 수의 블레 이드(30)들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의 표면에 남은 페인트 (P)를 더욱 세밀하게 2차 박리하기 위한 제2 박리부(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는 둘레 면의 중간부에 이송 블레이드(32)를 구비하여 상기 도장수지 칩(R)의 정체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의 출구(15)에 수지 칩(R')을 안내하기 위한 칩 배출구(70)가 구비되며, 상기 칩 배출구(70)의 내측에는 가이드 링(72)을 구비하여 출구(15)가 바깥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 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체(62)를 통해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66);를 더 포함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과, 상기 표면처리가 완료된 수지 칩(R')과 다른 소재의 합성수지를 배합하는 배합기(81);
상기 배합기(81)에서 배합된 물질을 공급받아, 판상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82); 및,
상기 압출기(82)에서 압출된 물질을 공급받아, 분쇄하는 분쇄기(83);를 더 포함하는,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756A KR102095361B1 (ko) | 2018-04-09 | 2018-04-09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756A KR102095361B1 (ko) | 2018-04-09 | 2018-04-09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872A true KR20190117872A (ko) | 2019-10-17 |
KR102095361B1 KR102095361B1 (ko) | 2020-03-31 |
Family
ID=6842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756A KR102095361B1 (ko) | 2018-04-09 | 2018-04-09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53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40400A (zh) * | 2020-09-15 | 2020-12-29 | 东北大学 | 一种废弃滤袋资源化回收用清洁装置及方法 |
CN112354613A (zh) * | 2020-10-22 | 2021-02-12 | 余海旺 | 一种用于中药生产加工的高效型研磨系统 |
KR102475350B1 (ko) * | 2021-07-23 | 2022-12-08 | (주)에프피에이 | 재생펠릿 제조용 폐플라스틱 플레이크 분쇄 및 선별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7240A (ko) | 1995-04-12 | 1996-11-19 | 카와이 이사무 |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
KR19990074662A (ko) | 1998-03-12 | 1999-10-05 | 주덕영 | 도장 수지 제품의 도막 제거 시스템 |
JP2010036349A (ja) * | 2008-07-31 | 2010-02-18 | Mitsubishi Plastics Inc | 樹脂フレーク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
JP2011148166A (ja) * | 2010-01-20 | 2011-08-04 | Satake Corp | 樹脂塗膜剥離システム |
KR20120052721A (ko) * | 2010-11-16 | 2012-05-24 | 김영신 | 고속회전에 의한 건식세척장치 |
KR20130040786A (ko) | 2010-04-20 | 2013-04-24 | 타카로쿠 소지 | 범퍼의 도료제거장치 |
KR101662767B1 (ko) | 2015-06-24 | 2016-10-06 |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 폐기물의 페인트 박리장치 |
-
2018
- 2018-04-09 KR KR1020180040756A patent/KR1020953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7240A (ko) | 1995-04-12 | 1996-11-19 | 카와이 이사무 |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
KR19990074662A (ko) | 1998-03-12 | 1999-10-05 | 주덕영 | 도장 수지 제품의 도막 제거 시스템 |
JP2010036349A (ja) * | 2008-07-31 | 2010-02-18 | Mitsubishi Plastics Inc | 樹脂フレーク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
JP2011148166A (ja) * | 2010-01-20 | 2011-08-04 | Satake Corp | 樹脂塗膜剥離システム |
KR20130040786A (ko) | 2010-04-20 | 2013-04-24 | 타카로쿠 소지 | 범퍼의 도료제거장치 |
KR20120052721A (ko) * | 2010-11-16 | 2012-05-24 | 김영신 | 고속회전에 의한 건식세척장치 |
KR101662767B1 (ko) | 2015-06-24 | 2016-10-06 |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 폐기물의 페인트 박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40400A (zh) * | 2020-09-15 | 2020-12-29 | 东北大学 | 一种废弃滤袋资源化回收用清洁装置及方法 |
CN112354613A (zh) * | 2020-10-22 | 2021-02-12 | 余海旺 | 一种用于中药生产加工的高效型研磨系统 |
KR102475350B1 (ko) * | 2021-07-23 | 2022-12-08 | (주)에프피에이 | 재생펠릿 제조용 폐플라스틱 플레이크 분쇄 및 선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5361B1 (ko) | 2020-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24331C (en) |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 |
KR20190117872A (ko)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
US7275703B2 (en) | Method for processing synthetic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recycling | |
US4050637A (en) | Pulverizing apparatus with a toothed disc | |
CN106217691A (zh) | 一种废塑料膜回收处理系统及回收处理方法 | |
KR20170006471A (ko) |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 |
CN114011537A (zh) | 一种连续式捏合破碎装置 | |
CN205700455U (zh) | 环模制粒机的进料装置 | |
KR101662767B1 (ko) | 폐기물의 페인트 박리장치 | |
KR102232465B1 (ko) |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 |
KR20190011934A (ko) |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 |
CN112171964A (zh) | 一种搅拌粉碎单元及3d打印废料回收装置 | |
KR101488150B1 (ko) | 폐스크랩을 이용한 재활용 수지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CN111941688A (zh) | 一种去污除杂能力强的塑料薄膜回收装置及使用方法 | |
KR20120065881A (ko) | 수지 재활용을 위한 용융압출유닛 | |
CN216800070U (zh) | 一种连续式捏合破碎装置 | |
KR102228307B1 (ko) | 범퍼 분쇄물 페인트 박피기 | |
CN109878089B (zh) | 一种多功能3d打印材料重加工装置 | |
KR101634928B1 (ko) | 고형연료제품 펠렛화 시스템 | |
JP2003165115A (ja) |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廃材の処理装置 | |
KR101330027B1 (ko) | 폐수지의 도막분리장치 | |
CN87215189U (zh) | 脱水装置 | |
CN118024455B (zh) | 一种用于包装袋生产废料的回收装置 | |
CN213038137U (zh) | 一种公路施工废料处理装置 | |
KR100551910B1 (ko) | 폐비닐 재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