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973A - 겔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겔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1973A KR20190061973A KR1020170160906A KR20170160906A KR20190061973A KR 20190061973 A KR20190061973 A KR 20190061973A KR 1020170160906 A KR1020170160906 A KR 1020170160906A KR 20170160906 A KR20170160906 A KR 20170160906A KR 20190061973 A KR20190061973 A KR 201900619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gel
- salicylic acid
- weight
- polyethylene glyc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리실산에 대한 용해도 및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지닌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모낭 및 모낭 주위의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난치성, 염증성 피부 질환을 말하며, 이러한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호르몬 이상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모낭의 협착, 여드름 균의 증식, 염증 반응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여드름은 피지선이 많이 모여 있는 얼굴, 두피, 목, 가슴, 등, 상지, 어깨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호르몬 이상에 의한 여드름 발생 이유로는, 사춘기에 분비되기 시작하며 정상적으로 피지선을 커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안드로겐 호르몬이 과도하게 자극을 받아 피지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세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가 용이하게 되어 여드름균의 증식으로 이어져 여드름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모낭 내에 상주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라는 세균은 피지를 먹고 자라면서 여드름의 주된 원인이 되는데, 정상적으로 피부에 존재할 때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모낭이 막혀 피지가 모낭 안에 쌓이게 되면 피지를 먹고 빠르게 자라난다. 이 균은 지방을 먹은 뒤 유리지방산으로 분해하고, 이러한 화학적 변화는 피부 표면의 pH 밸런스를 무너지게 하여 건강한 피부의 약산성 pH가 알칼리화 되어 결국 피부 자체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인 여드름의 치료법은 피지 분비를 줄여 준 다음, 모낭과 각질이 단단해지지 않게 연화시키며 모낭 내의 세균수를 줄여주고, 여드름이 염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경구제 또는 외용제 형태의 약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항남성 호르몬제를 사용한 피지생성의 억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여드름 균의 증식 억제를 위한 항생물질인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질을 벗겨내 피지 배출이 잘 되도록 하는 작용이 있는 피부재생 연고제제의 트레티노인과 아답팔렌, 강력한 항균제제로 세균집단을 줄이고 약간의 항염증과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에서 유도된 물질로 피부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레티노이드는 피지의 생성을 줄이고 모낭 내 피부 세포의 탈락과 성장을 정상화 시키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감소시켜 여드름의 모든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입술이나 구강점막 등이 건조해지고 손바닥의 각질이 벗겨지거나 전신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임신중 과다하게 복용하면 기형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복용해서는 안되는 주의점이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레소시놀, 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각질제거 및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이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피부 자극 및 쉽게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워 레소시놀, 살리실산 같은 경우 배합한도가 정해져 있고, 벤조일퍼옥사이드 같은 성분은 국내에서는 배합금지 성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살리실산을 사용할 경우 살리실산을 용해하기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는데, 유기용매를 고함량으로 사용하면 살리실산은 용해시킬 수 있으나, 화장료 제형의 점도가 하락하고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살리실산은 각질 제거에 효능이 있는 물질로,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살리실산은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로, 높은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면 석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높은 함량으로 살리실산을 포함하기 위해서 유기용매를 다량 사용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하락하고, 유기용매로 인한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기용매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 살리실산의 용해도 및 겔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살리실산, 유기용매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최소한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살리실산의 용해도 및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살리실산이 석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살리실산의 석출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살리실산의 석출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살리실산, 유기용매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살리실산은 각질 제거에 효능이 있는 물질로,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살리실산은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로, 살리실산이 높은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면 살리실산이 석출되어 제형 안정도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높은 함량으로 살리실산을 포함하기 위해서 유기용매를 다량 사용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하락하고, 유기용매로 인한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기용매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 살리실산의 용해도 및 겔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도입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살리실산은 각질 제거 및 여드름 개선 효과를 지닌 물질로,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살리실산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각질 제거 및 여드름 개선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를 초과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모두 용해되지 않아 석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은 피부에 청량감을 주며, 피부 번들거림을 막아주는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유기용매가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살리실산을 모두 용해시킬 수 없어 살리실산이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하락하여 제형 안정도가 불량해지며, 유기용매로 인한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살리실산의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한 조용매(co-solvent)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용매의 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유기용매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켜 우수한 제형 안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액상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200(PEG2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PEG40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0(PEG6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뒤에 기재된 숫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600을 초과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끈적임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면 유기용매의 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유기용매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켜 우수한 제형 안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은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유기용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살리실산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2000 내지 30000cps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5000cps이다. 상기 겔상 화장료의 점도는 화장료가 담겨지는 용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튜브 용기에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15000cps이상의 점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은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제형 안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및 에탄올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2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및 에탄올이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면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살리실산은 각질 제거에 효능이 있는 물질로,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엠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렝징폼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겔상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젤크림 제형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살리실산 | 2 | 2 | 2 | 2 |
에탄올 | 3 | 3 | 15 | -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 3 | 3 | - | 6 |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
1.5 | 0.5 | 1.5 | 1.5 |
디메치콘 | 2 | 2 | 2 | 2 |
폴리소르베이트 20 | 0.5 | 0.5 | 0.5 | 0.5 |
향료 | 2 | 2 | 2 | 2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실험예 1.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살리실산의 용해도, 살리실산 석출 발생 여부 및 피부 자극감을 관찰하였다.
1-1. 살리실산의 용해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도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살리실산,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의 조성 및 함량만을 사용하여 살리실산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비커에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살리실산,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의 함량을 각각 첨가하여 백색 분말 형태의 살리실산이 관찰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을 하기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해도 평가 기준>
○ : 백색 분말이 관찰되지 않고 투명해짐
△ : 백색 분말이 일부 관찰됨.
X : 백색 분말이 그대로 남아있음.
1-2. 살리실산의 석출여부 관찰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살리실산의 석출 여부를 육안 및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평가 기준을 하기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살리실산 석출 여부 평가 기준>
○ : 살리실산이 석출되지 않음 (도 1)
X : 살리실산이 석출됨(도 2)
1-3.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감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감을 측정하였다.
피실험자 15명에게 상기 각각의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고, 자극감 정도를 0 내지 10점으로 나타내게 하여 그 평균값으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감을 판단하였다.
<피부 자극감 평가 기준>
○ : 평균값이 5 이상인 경우
X : 평균값이 5 미만인 경우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용해도 | ○ | ○ | ○ | △ |
살리실산 석출 | X | X | X | ○ |
피부 자극감 | X | X | ○ | X |
점도 | 22000 | 7000 | 14000 | 25000 |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2는 살리실산을 용해하였으며, 살리실산이 석출되지 않고, 피부 자극감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은 살리실산을 용해하고 살리실산이 석출되지 않았으나, 살리실산을 용해하기 위해 에탄올을 다량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는 유기용매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살리실산의 용해가 충분이 일어나지 못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제형 내 살리실산이 석출되었다.
Claims (10)
- 살리실산, 유기용매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살리실산 0.01 내지 5 중량%, 유기용매 1 내지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은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2000 내지 3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및 에탄올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상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906A KR102496117B1 (ko) | 2017-11-28 | 2017-11-28 | 겔상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906A KR102496117B1 (ko) | 2017-11-28 | 2017-11-28 | 겔상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1973A true KR20190061973A (ko) | 2019-06-05 |
KR102496117B1 KR102496117B1 (ko) | 2023-02-06 |
Family
ID=6684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906A KR102496117B1 (ko) | 2017-11-28 | 2017-11-28 | 겔상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611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252B1 (ko) * | 1998-08-17 | 2002-08-24 | 로레알 | 살리실산 또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적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KR20020076000A (ko) * | 2001-03-27 | 2002-10-09 | 주식회사 웰스킨 |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화장료 |
KR20070009965A (ko) * | 2003-09-13 | 2007-01-19 |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스킨케어 조성물 및 방법 |
KR20150121211A (ko) * | 2013-02-25 | 2015-10-28 | 로레알 |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
-
2017
- 2017-11-28 KR KR1020170160906A patent/KR1024961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252B1 (ko) * | 1998-08-17 | 2002-08-24 | 로레알 | 살리실산 또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적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KR20020076000A (ko) * | 2001-03-27 | 2002-10-09 | 주식회사 웰스킨 |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화장료 |
KR20070009965A (ko) * | 2003-09-13 | 2007-01-19 |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스킨케어 조성물 및 방법 |
KR20150121211A (ko) * | 2013-02-25 | 2015-10-28 | 로레알 |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6117B1 (ko) | 2023-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215022A (ja) | 抗炎症性皮膚湿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 |
KR20140060475A (ko) |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JP2013518920A (ja) | 非白人系人種における炎症後色素沈着の減少と共にざ瘡の処置を目的とする、アダパレンと過酸化ベンゾイルとの組合せを含む皮膚科学的組成物 | |
EP3468530A1 (en) | Non-comedogenic hair and scalp care formulations and method for use | |
KR101460777B1 (ko)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ES2880437T3 (es) | Nuevas composiciones tópicas que comprenden ácido úsnico y su uso terapéutico | |
JPH11269034A (ja) | ニキビ改善用皮膚外用剤 | |
EP0191214B1 (en) | Purifying liquid cleanser comprising antiseptics | |
JPS6360910A (ja) | 皮膚外用剤 | |
KR20190061973A (ko) | 겔상 화장료 조성물 | |
US4035510A (en) | Treatment of acne utilizing N-methyldiethanolamine | |
US6977081B1 (en) | Facial cream composition containing allantoin | |
JP5881879B1 (ja) | 尋常性ざ瘡改善用外用組成物 | |
JP6903411B2 (ja) | 外用組成物 | |
JP3740090B2 (ja) | 油中水型外用剤 | |
RU2722823C2 (ru) |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акне на коже | |
JPS6322510A (ja) | 皮膚外用剤 | |
JPH03157311A (ja) | にきび用化粧料 | |
JP6209350B2 (ja) | ニキビ抑制用組成物、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 |
JP2016193881A (ja) | 尋常性ざ瘡改善用外用組成物 | |
JPH1179937A (ja) | ニキビ改善用皮膚外用剤 | |
CN110897921B (zh) | 一种含再生医学材料的祛痘护肤品及其制备方法 | |
JPS6028919A (ja) | 皮膚外用剤 | |
JP2000128724A (ja) | 皮膚外用剤 | |
JPS6243969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