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74A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0474A KR20190050474A KR1020170145907A KR20170145907A KR20190050474A KR 20190050474 A KR20190050474 A KR 20190050474A KR 1020170145907 A KR1020170145907 A KR 1020170145907A KR 20170145907 A KR20170145907 A KR 20170145907A KR 20190050474 A KR20190050474 A KR 201900504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cod
- inlet
- sewage
-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5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하수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음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종래 기술 대비 음폐수 처리 용량이 증진되고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여 신재생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100)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200), 상기 유입구 1(100)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200)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제1 혼합조정조(300)에서 혼합되며,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이상이고, 상기 유입구 1(100)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120)가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 2(200)의 후단에는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상기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하수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음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종래 기술 대비 음폐수 처리 용량이 증진되고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여 신재생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이다.
음폐수(food wastewater)는 가정이나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음식류폐기물의 전처리 과정에서 탈리, 침출되는 폐수를 의미한다. 상기 음폐수는 기존 하수와 비교했을 때, 염분 및 부유물의 농도가 높고, 유기물 함량이 건조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83.7~90.5%로 상당히 높은 관계로 하수 대비 1,000배 이상 높은 농도의 BOD(Biological Oxygen Demand)와 COD(Chemical Oxygen Demand)를 나타낸다. 따라서 음폐수 처리는 일반 하수처리보다 유기물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저감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음폐수에 포함된 높은 수준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메탄가스를 생성하고,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유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공정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상기와 같이 음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혐기성 소화 과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혐기성 조건하에서 유기물을 가수분해하여 초산(ac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및 낙산(butric acid) 등의 휘발성 지방산을 생성한 뒤, 최종적으로 메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로 가스화처리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단위 유기물당 발생하는 생물학적 슬러지량이 호기소화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대신 배출되는 소화가스내에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메탄이 상당비율 포함되며, 음폐수 처리공정은 상기의 메탄을 생성하는 것에 최적화된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메탄가스를 주요성분으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화석연료의 대체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물질로써, 상당히 유용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유용자원이다. 다만 종래 하수처리공정은 호기성의 활성슬러지 공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수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가스를 생성하는 공정에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기존 하수처리공정을 통해 많은 양의 음폐수를 처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기존의 일부 하수처리 공정에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혐기성 소화 시 슬러지 및 음폐수가 함께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음폐수 처리량이 하수 유입량 대비 0.01% 미만으로 처리 효율 자체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음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11436호에 개시되어 있는 음폐수의 재활용 시스템은 음폐수를 전처리 하고 난 다음 원심 분리하여 고형물을 퇴비의 원료로 사용하며 전처리액을 호기성 발효와 응집반응 및 탈수처리를 거친 후 액비로 사용하거나 음폐수와 혼합하여 음폐수의 염분과 BOD를 감소시키는 공정을 이용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처리된 음폐수의 용도가 비료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현재 사회적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과 같은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하수처리공정에서 음폐수 처리 및 에너지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유기물과 염분 그리고 부유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폐수 및 하수의 동시처리에 그치지 않고, 기존 하수 대비 음폐수 처리 용량 1%를 상회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공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높은 농도의 유기물을 기반으로 음폐수와 하수를 동시에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친환경적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가 있고 ; 상기 유입구 1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제1 혼합조정조에서 혼합되며 ;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이상이고 ; 상기 유입구 1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가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 2의 후단에는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 상기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혼합조정조를 거쳐 혐기성 생물막 반응조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시 반응조 내 용존 메탄가스는 COD 대비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는 아래의 수식 1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식 1) Y = -4.253 X + 9.232
수식 1에서, Y 는 혼합용액 내 총 유기물 농도(COD) 대비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하였을 때 비율(%,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된 메탄가스를 COD로 환산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 및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 값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용존된 메탄가스의 경우 가스상에 존재하는 메탄가스와 달리 발전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없으며, 처리수의 COD 농도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수반하므로,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효율 저하를 유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가 있고 ; 상기 유입구 1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제1 혼합조정조에서 혼합되며;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미만이고 ; 상기 유입구 1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가 위치하며 ; 상기 유입구 2의 후단에는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 상기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는 아래의 수식 2와 같은 관계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식 2) Y = -104.7 X + 52.92
수식 2에서, Y 는 혼합용액 내 총 유기물 농도(COD) 대비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하였을 때 비율(%,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된 메탄가스를 COD로 환산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 및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 값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와 음폐수의 유입구가 별도로 구성되어,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음폐수와 혼합되어 처리됨으로써 기존 하수 처리공정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다량의 음폐수를 처리 및 에너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기존 음폐수 및 하수의 동시 처리 자체에 그치지 않고, 하수 대비 음폐수 처리용량이 1% (기존 0.01% 미만 대비 100배 이상)를 상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음폐수와 하수의 동시 처리과정에서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와 용존하는 메탄가스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와 용존하는 메탄가스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 유입구 1(100), 음폐수 유입구 2(200), 하수와 음폐수를 제1 혼합조정조(300),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 탈수(600), 폐기(700), 바이오가스 포집부(800), 정제(900), 바이오가스사용처(1000), 1차 침전조(110), 호기조(120), 2차 침전조(130), 처리수(140), 제2 혼합조정조(150), 농축조(160), 혐기소화조(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폐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100)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200)가 있고, 상기 유입구 1(100)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200)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혼합되며,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이상이고, 상기 유입구 1(100)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120)가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 2(200)의 후단에는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상기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는 지역에서 수집된 생활하수나 오수 및 공장의 폐수가 모여 들어오는 부분으로 이곳에 유입구 1(100)이 위치한다.
음폐수는 유입구 2(200)가 위치하는 곳으로 음폐수는 가정이나 식당 등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음식류폐기물의 전처리 과정에서 탈리, 침출되는 폐수를 의미한다.
상기 하수 중의 일부는 제1 혼합조정조(300)로 보내져 음폐수와 혼합되지만 대부분의 하수는 상기 1차 침전조(110)로 유입된다. 상기 1차 침전조(110)에 유입된 하수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질량이 큰 오염물질들을 중력에 의해 침강시키는데 이때 가라앉은 고체인 슬러지와 슬러지가 가라앉은 뒤의 윗부분의 액체부분인 상등수로 분리되며, 이 기능을 상기 1차 침전조(110)에서 수행한다. 여기서 침강되는 슬러지를 1차 슬러지라하고, 1차슬러지는 1차 침전조(110)와 호기조(120) 후단에 위치한 2차 침전조(130)에서 침강될 2차 슬러지와 함께 제2 혼합조정조(150)로 보내지고 농축조(160)를 통해 혐기소화조(170)로 이송된다.
호기조(120)는 1차 침전조(110) 후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2차 침전조(130)전단에 위치되며, 상기 1차 침전조(110)에서 이송된 슬러지가 가라앉은 뒤 윗부분에 해당하는 액체 상등수를 폭기하여 1차 침전조(110)에서 가라앉지 않은 잔존 유기물을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차 침전조(130)는 호기조(120) 후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호기조(120)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일부 유기물이 분해되고 난 뒤에 비중차를 이용해 상등수와 슬러지로 재차 분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폐수 중 유기물이 제거된다. 2차 침전조(130)는 보통 원형 구조물이며 하부에 침강된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는 스키머가 회전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상등수가 월류하도록 웨어가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침강될 슬러지의 일부는 다시 상기 호기조(120)로 반송되고 나머지는 1차슬러지와 함께 제2 혼합조정조(150)에 저장되어 혼합과정을 거친 뒤에 농축조(160)에서 수분을 낮추고 슬러지의 농도를 높이는 농축과정을 통해 슬러지의 부피를 줄여 혐기소화조(170)로 이송된다. 2차 침전조(130)에서 월류된 상등수에 해당된 부분은 처리 완료되어 처리수(140)로 분리되어 이송, 저장된다.
가정이나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음식류 폐기물의 전처리 과정에서 탈리, 침출되는 음폐수는 유입구 2(200)를 통해 유입되며 하수에서 유입구 1(100)을 통해 유입된 하수의 소정량과 제1 혼합조정조(300)내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두 용액은 제1 혼합조정조(300) 후단에 위치한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로 이송된다.
제1 혼합조정조(300)는 음폐수의 유입구 2(200)을 통해 유입된 음폐수와 하수의 유입구 1(100)을 통해 유입된 소정의 하수가 혼합되는 수조로 각각 하수와 음폐수 후단에 위치하며, 하수 대비 음폐수의 비율을 0.5% 이상 유입시킬 경우 제1 혼합조정조(300)를 거쳐 혐기성 생물막 반응조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시 반응조 내 용존 메탄가스는 COD 대비 10% 이하로 유지가 가능하다. 여기서 용존 메탄가스비율(%,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COD용존메탄)하였을 때, 음폐수와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COD혼합용액)로 나누어 계산한 비율을 말한다.
COD(Chemical Oxygen Demand)은 화학적산소요구량으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인 생화학적산소요구량과 함께 폐수 및 하수 등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오염지수로, 과망간산칼륨(KMnO4), 중크롬산칼륨(K2Cr2O7) 등의 수용액을 산화제로 투입하여 유기물질의 산화에 소비된 산화제의 양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으로 표출되며, mg/L 또는 ppm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된 담체 또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유사하게 폐수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초산(ac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및 낙산(butric acid) 등의 휘발성 지방산을 생성하고 메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및 황화 수소로 가스화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종래의 농축조(160) 또는 침전조를 이용하지 않고 담체 또는 분리막이 가지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반응조내 미생물의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은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동절기 저수온 및 고농도 원수유입에 대한 충격부하가 높아서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처리시스템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처리용량은 매우 중요하며, 종래 기술이 0.01% 이상을 처리하는 것이 어려웠던 반면에, 본 발명은 100배 이상(1.0% 이상)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 구성 중 혐기성 생물막 반응조 내에서 용존메탄가스의 함량이 획기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실시예
하수량 20 L/d가 유입된 후, 음폐수량 14 mL/d ~ 320 mL/d와 혼합되었으며, 상기 혼합비는 0.07 내지 1.6%의 비율로 구성하였다. 상기 혼합액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로 유입되어 온도 35oC에서 체류시간 1일 동안 처리된 후, 상기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140)는 호기성 반응조로 이송되어 처리된 후, 2차 침전조(130)를 거쳐 방류되었고, 상기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의 슬러지는 탈수(600) 과정을 거친 후 폐기(700)되었으며,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바이오가스는 정제(900) 후 사용되었다.
용존 메탄가스 농도 측정을 위하여,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에서 배출된 처리수(140) 80 mL를 사전에 질소가스로 purging한 160 mL serum bottle에 즉시 옮겨 밀봉한 후, 5분간 완전 혼합하여 35oC 오븐에서 24시간 보관하면서 liquid-gas phase 간 상평형상태에 이르도록 한 후, GC-TCD를 이용하여 serum bottle의 head space에 존재하는 메탄가스 농도를 측정한 후에, 아래의 식에 의거하여 처리수(140) 내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 COD 농도를 계산하였다.
COD용존메탄 = ((Vr-Vs) × Cg,eq + Vs × Cw,eq) × 64 / Vs
Cw,eq = H × R × T × Cg,eq
COD용존메탄 = Dissolved methane concentration in the sample (gCOD/L)
Vs= Volume of liquid sample (L)
Vr = Volume of bottle (L)
Cg,eq = Methane concentration in gas under equilibrium (mol/L)
Cw,eq = Methane concentration in water under equilibrium (mol/L)
64 = Conversion factor between mole of CH4 and g CH4-COD
H = Henry’s Law constant (mol/L·atm)
R = ideal gas constant (0.0821 L·atm/mol·K)
T = Temperature (K)
도 2는 하수 및 음폐수의 혼합비율 0.07 내지 1.6%의 범위에서,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에서 배출된 처리수(140) 내 용존메탄의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0.07% 경우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45% 수준이었으며, 이는 하수 및 음폐수의 혼합용액 내 총 유기물 중 45%가 미생물에 의하여 용존화된 메탄가스로 전환되어 존재함을 나타낸다. 한편,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1.6%까지 증가함에 따라,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2.8% 수준까지 낮아졌다.
혼합비율(%) | 0.07 | 0.21 | 0.28 | 0.34 | 0.44 | 0.52 | 0.76 | 1.13 | 1.31 | 1.60 |
용존 메탄가스(%) |
45.0 | 28.2 | 21.1 | 16.9 | 10.6 | 7.6 | 5.7 | 3.9 | 3.6 | 2.8 |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으로 계산되었으며, 상기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와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를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수 및 음폐수의 혼합비율에 따라,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0.5%를 기점으로 급격히 낮아지게 되며, 0.5 이상 및 0.5 미만에서 상호 차별화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용존된 메탄가스의 경우 가스상에 존재하는 메탄가스와 달리 발전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없으며, 처리수(140)의 COD 농도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수반하므로,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효율 저하를 유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처리시스템에서 총 COD 대비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처리공정에서 음폐수를 함께 처리할 수 있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 지자체 등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유리한 것이며, 이 경우, 하수 대비 음폐수의 비율을 0.5%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용존메탄의 함량을 10% 이하로 할 수 있다면 유기성 폐자원의 공공처리 및 신재생에너지화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처리시스템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0.5% 이상인 경우, 상기 실시예를 통해 나타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아래의 수식 1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수식 1) Y = -4.253 X + 9.232
상기 수식 1에서, Y 는 용존 메탄가스 COD 비율(%,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와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을 나타낸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처리시스템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0.5% 미만인 경우, 상기 실시예를 통해 나타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의 COD 비율은 아래의 수식 2와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수식 2) Y = -104.7 X + 52.92
상기 수식 2에서도, Y 는 용존 메탄가스 COD 비율(%,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와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을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수 유입구 1 200: 음폐수 유입구 2
110: 1차 침전조 300: 제1 혼합조정조
120: 호기조 400: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
130: 2차 침전조 600: 탈수
140: 처리수 700: 폐기
150: 제2 혼합조정조 800: 바이오가스 포집부
160: 농축조 900: 정제
170: 혐기소화조 1000: 사용처
110: 1차 침전조 300: 제1 혼합조정조
120: 호기조 400: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
130: 2차 침전조 600: 탈수
140: 처리수 700: 폐기
150: 제2 혼합조정조 800: 바이오가스 포집부
160: 농축조 900: 정제
170: 혐기소화조 1000: 사용처
Claims (5)
-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100)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200)가 있고 ;
상기 유입구 1(100)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200)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제1 혼합조정조(300)에서 혼합되며 ;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이상이고 ;
상기 유입구 1(100)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120)가 위치하며 ;
상기 유입구 2(200)의 후단에는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
상기 혐기성 분리막 생물 반응기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
- 1항에 있어서, 제1 혼합조정조(300)를 거쳐 혐기성 생물막 반응조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시 반응조내 용존 메탄가스는 COD 대비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
- 1항에 있어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는 아래의 수식 1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식 1) Y = -4.253 X + 9.232
수식 1에서, Y 는 혼합용액 내 총 유기물 농도(COD) 대비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하였을 때 비율(%,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된 메탄가스를 COD로 환산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 및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 값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
-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1(100)과 음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2(200)가 있고 ;
상기 유입구 1(100)로부터 유입된 하수 중 소정의 양이 유입구 2(200)로부터 유입된 음폐수와 제1 혼합조정조(300)에서 혼합되며 ;
상기의 혼합부피에서 하수 대비 음폐수가 0.5% 미만이고 ;
상기 유입구 1(100)의 후단에는 침전조 및 호기조(120)가 위치하며 ;
상기 유입구 2(200)의 후단에는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 및 바이오가스 정제부가 위치하고 ; 상기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에서 처리된 폐수는 상기 침전조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
- 4항에 있어서, 하수 대비 음폐수의 혼합비율과 용존 메탄가스는 아래의 수식 2와 같은 관계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식 2) Y = -104.7 X + 52.92
수식 2에서, Y 는 혼합용액 내 총 유기물 농도(COD) 대비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메탄가스를 COD로 전환하였을 때 비율(%, COD용존메탄/COD혼합용액)이고, COD용존메탄은 혐기성 생물막 반응기(400)를 거쳐서 처리된 다양한 생성물 중 용존된 메탄가스를 COD로 환산한 값이며, COD혼합용액은 음폐수 및 하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의 총 COD 값이고, X 는 하수 대비 음폐수 혼합비율 (%,V음폐수/V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 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907A KR20190050474A (ko) | 2017-11-03 | 2017-11-03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907A KR20190050474A (ko) | 2017-11-03 | 2017-11-03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474A true KR20190050474A (ko) | 2019-05-13 |
Family
ID=665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907A KR20190050474A (ko) | 2017-11-03 | 2017-11-03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5047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21306A (zh) * | 2021-07-01 | 2021-08-31 | 上海环境卫生工程设计院有限公司 | 生活垃圾渗沥液生化法深度处理方法 |
KR102452517B1 (ko) | 2021-10-25 | 2022-10-06 | 나민수 | 소화액 처리수와 유기물 건조물질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 |
KR20230049970A (ko) | 2021-10-07 | 2023-04-14 | 나민수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KR102619461B1 (ko) | 2023-07-24 | 2023-12-28 | 나민수 |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615B1 (ko) | 2012-04-17 | 2012-10-10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음식물 및 하수 병합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및 하수 병합처리방법 |
KR101213533B1 (ko) | 2012-06-25 | 2012-12-20 | 김종오 |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
KR101599424B1 (ko) | 2014-10-30 | 2016-03-14 | 정광오 |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화 및 바이오가스화 시설 |
KR101611436B1 (ko) | 2014-07-09 | 2016-04-12 | 백종학 | 음폐수의 재활용 시스템 |
-
2017
- 2017-11-03 KR KR1020170145907A patent/KR201900504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615B1 (ko) | 2012-04-17 | 2012-10-10 |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 음식물 및 하수 병합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및 하수 병합처리방법 |
KR101213533B1 (ko) | 2012-06-25 | 2012-12-20 | 김종오 |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처리장치 |
KR101611436B1 (ko) | 2014-07-09 | 2016-04-12 | 백종학 | 음폐수의 재활용 시스템 |
KR101599424B1 (ko) | 2014-10-30 | 2016-03-14 | 정광오 |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화 및 바이오가스화 시설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21306A (zh) * | 2021-07-01 | 2021-08-31 | 上海环境卫生工程设计院有限公司 | 生活垃圾渗沥液生化法深度处理方法 |
KR20230049970A (ko) | 2021-10-07 | 2023-04-14 | 나민수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KR102452517B1 (ko) | 2021-10-25 | 2022-10-06 | 나민수 | 소화액 처리수와 유기물 건조물질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 |
WO2023075265A1 (ko) | 2021-10-25 | 2023-05-04 | 나민수 | 소화액 처리수와 유기물 건조물질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 |
KR102619461B1 (ko) | 2023-07-24 | 2023-12-28 | 나민수 |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abranska et al. | Bioconversion of carbon dioxide to methane using hydrogen and hydrogenotrophic methanogens | |
US11001517B2 (en) | Bioreactor for treating sewag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Ji et al. | Important effects of temperature on treating real municipal wastewater by a submerged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Removal efficiency, biogas, and microbial community | |
US11180392B2 (en) | Sequencing batch reactor for sewage treatmen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comprising same | |
Kim et al. | Anaerobic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using temperature-phased anaerobic digestion process | |
KR20190050474A (ko) | 음폐수 처리 시스템 | |
Makisha | Waste water and biogas–ecology and economy | |
CN100371270C (zh) | 木薯淀粉生产废水生物处理组合工艺 | |
KR20190050477A (ko) | 음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 |
CN106430565A (zh) | 一种基于碳源直接转化、氮生物脱除的污水低耗处理与能源回收组合处理工艺 | |
Kong et al. |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for carbon-neutral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N, N-dimethylformamide: Evaluation of electricity, bio-energy production and carbon emission | |
CN113735400A (zh) | 一种白酒酿酒后产生的酒糟及高浓度废水耦合处理方法 | |
CN108975616A (zh) | 处理生物质热解水的系统及方法 | |
Dinh et al. | The Performance of an Anaerobic Digester Treating Bio-Sludge Generated from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a Pilot Scale. | |
CN208857099U (zh) | 处理生物质热解水的系统 | |
TANG et al. | Methanogenic activity and repression of hydrogen sulfide evolved during high rate thermophilic methane ferment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 |
JP2006255538A (ja) |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CN111675321A (zh) | 一种预充氧-厌氧膜生物反应器的污水处理工艺 | |
Mise et al. | Treatment of distillery spent wash by anaerobic digestion process | |
Li et al. | The Effect of Anaerobic Co-Substrate on Removal of COD, Phenol and Methane Production in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Treatment. | |
JP2001149983A (ja) | バイオガス発生装置 | |
JP2008080336A (ja) | バイオガス発生装置及び方法 | |
KR20180137960A (ko) | 하수 처리용 sbr 반응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 |
JP2006255537A (ja) | 生ごみと紙ごみ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Bahreini | Enhanced Primary Sludge Fermentation and Anaerobic Digestion for Integrated Carbon Upgrade and Resource Recov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