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038879A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879A
KR20190038879A KR1020197006531A KR20197006531A KR20190038879A KR 20190038879 A KR20190038879 A KR 20190038879A KR 1020197006531 A KR1020197006531 A KR 1020197006531A KR 20197006531 A KR20197006531 A KR 20197006531A KR 20190038879 A KR20190038879 A KR 2019003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conversion circuit
circuit portion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728B1 (ko
Inventor
다쿠로 가나자와
게이지 하마다
하루아키 모토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3Heat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7Heat s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적어도 전원 회로부(17)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11)에 전열시키는 방열부(15A, 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주위의 단부면부에 탄발(彈發) 기능 부재(36)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가 부착되고, 탄발 기능 부재(36)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방열부에 압박,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전원 회로부(17)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탄발 기능 부재(36)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방열부에 압박, 유지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를 생략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본 발명은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제어 장치를 내장한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 기계 분야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나 회전 토크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전동 모터에 일체적으로 편입시키는, 이른바 기전(機電)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가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기전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의 예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함으로써 회동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조타 어시스트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3459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동 모터부와 전자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부의 전동 모터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에 수납되고, 전자 제어부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기판은, 모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ECU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다. ECU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기판은, 전원 회로부,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혹은 IGBT 등과 같은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입력 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ECU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제어부에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커넥터 단자 조립체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 커넥터 단자 조립체는, 덮개로서 기능하고 있고, ECU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도록 하여 전자 제어부와 접속되며, 또한, 고정 볼트에 의해 ECU 하우징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 외에 전자 제어 장치를 일체화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전동 브레이크나 각종 유압 제어용의 전동 유압 제어기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표해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3459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의 엔진룸 내는, 배기 가스 대책 기기나 안전 대책 기기 등의 보조 기계류가 많이 설치되는 경향이 있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보조 기계류는 가능한 한 소형화하는 것이나 부품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한 히트 싱크 부재가, 모터 하우징과 ECU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히트 싱크 부재의 분만큼 여분으로 축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된다. 또한,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은 발열량이 커서,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이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축 방향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는 전동 구동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전력 변환 회로부는 합성 수지로 패키지된 파워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파워 모듈은, 히트 싱크 부재에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 볼트를 부착하는 영역분만큼 파워 모듈의 형상이 커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고정 볼트에 의해 파워 모듈을 히트 싱크 부재에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 볼트분만큼의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고정 볼트가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 구멍의 가공이나,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 작업 등의 가공 공정수나 조립 공정수도 증가하여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 방향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는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적어도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에 전열시키는 방열부를 형성하고, 회전축 주위의 단부면부에 탄발(彈發)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를 부착하며,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에 압박, 유지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에 압박,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를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조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단면(斷面)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원 회로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제어 회로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립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자 제어부 부근을 축 방향으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외관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 중에서 여러 가지 변형예나 응용예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 조타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전륜(前輪)을 조타하기 위한 조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조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은, 차체 좌우 방향으로 긴 도시하지 않은 랙과 맞물려 있다. 이 랙의 양단에는, 전륜을 좌우 방향으로 조타하기 위한 타이 로드(3)가 연결되어 있고, 랙은, 랙 하우징(4)에 덮여져 있다. 그리고, 랙 하우징(4)과 타이 로드(3) 사이에는, 고무 부츠(5)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을 회동 조작할 때의 토크를 보조하기 위해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7)가 설치되고, 토크 센서(7)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랙에 기어(10)를 통해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부(8)와, 전동 모터부(8)에 배치된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부(9)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전동 모터부(8)는, 출력축측의 외주부의 3개소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통해 기어(10)에 접속되고, 전동 모터부(8)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전자 제어부(9)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이 조작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2)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이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토크 센서(7)가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부가 전동 모터의 구동 조작량을 연산한다. 이 연산된 구동 조작량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의 파워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전동 모터가 구동되고, 전동 모터의 출력축은 스티어링 샤프트(2)를 조작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회동된다. 출력축의 회동은,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으로부터 기어(1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랙에 전달되어, 자동차가 조타되는 것이다. 이들의 구성, 작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한 히트 싱크 부재가, 모터 하우징과 ECU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히트 싱크 부재의 분만큼 여분으로 축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된다. 또한,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은 발열량이 커서,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이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축 방향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는 전동 구동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정 볼트에 의해 파워 모듈을 히트 싱크 부재에 고정하기 때문에, 파워 모듈에 고정 볼트를 부착하는 영역이 필요해져, 파워 모듈이 대형화된다. 파워 모듈이 대형화되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하여, 엔진룸 내에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고정 볼트의 분만큼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고정 볼트가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 구멍의 가공이나,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 작업 등의 가공 공정수나 조립 공정수도 증가하여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적어도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에 전열시키는 방열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주위의 단부면부에 탄발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를 부착하고,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측을 향해 압박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에 압박,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측에 압박, 유지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를 생략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볼트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볼트분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고정 볼트가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 구멍의 가공이나,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 작업도 생략할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 부품을 분해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8은 각 구성 부품의 조립 순서에 따라 각 구성 부품을 조립해 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도면을 적절히 인용하면서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성하는 전동 모터부(8)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11)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로 구성되고, 전자 제어부(9)는, 모터 하우징(11)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금속 커버(12)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은 전자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는 그 대향 단부면에서, 접착제, 혹은 용착, 혹은 고정 볼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금속 커버(12)의 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전자 제어부는,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동 모터부(8)의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혹은 IGBT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나, 이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로 이루어지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코일 입력 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금속 커버(12)의 단부면에는,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 제어 상태를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커버(12)에 수납된 전자 제어부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를 통해 공급되며, 현재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상태 신호가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통해 송출되고 있다.
도 3은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1)에는, 내부에 원환형의 철제의 사이드 요크(도시하지 않음)가 감합(嵌合)되어 있는 것도 있고, 이 사이드 요크 내에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전동 모터의 출력부(14)는 기어를 통해 랙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전동 모터의 구체적인 구조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 하우징(11)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고, 전동 모터에서 발생한 열이나,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 대기로 방출하는 히트 싱크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전동 모터와 모터 하우징(11)으로 전동 모터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동 모터부의 출력부(14)의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는, 전자 제어부(EC)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는, 모터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외에 단부면부(15)만을 별체(別體)로 형성하고, 볼트나 용접에 의해 모터 하우징(11)과 일체화해도 좋다.
여기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는, 용장계를 구성하는 것이며, 주(主)전자 제어부와 부(副)전자 제어부의 이중계(二重系)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은, 주전자 제어부와 부전자 제어부를 합쳐 정규의 전자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고, 한쪽의 전자 제어부에 이상,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쪽의 전자 제어부에서 절반의 능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제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전동 모터의 능력은 절반이 되지만, 이른바 「림프 홈(limp home) 기능」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전자 제어부와 부전자 제어부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는 것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으나, 주전자 제어부에 의해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고, 주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부전자 제어부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도록 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주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고, 주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주전자 제어부가 정지되고 부전자 제어부가 작동하여, 모터 하우징(11)에는 부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전해지는 것이다.
전자 제어부(EC)는, 제어 회로부(18), 전원 회로부(17), 전력 변환 회로부(16),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로 구성되어 있고, 단부면부(15)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커넥터 단자 조립체(1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컴퓨터,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콘덴서, 코일,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전동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3상(相)의 상하 아암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에서 발열량이 많은 것은, 주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이며,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의 열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모터 하우징(11)으로부터 방열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단부측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에, 탄발 기능 부재(36)와 방수 통기 기능 부재인 방수 통기막(44)을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에 형성한 탄발 기능 부재(36)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에 형성한 방열부측을 향해 압박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방열부에 압박,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방수 통기막(44)에 의해 수분의 통과를 방지하고 공기나 수증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하여, 전자 제어부의 수납 공간의 내압(內壓)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전자 제어부의 수납 공간에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회로부(18)와 금속 커버(12)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 배터리(전원)나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물론, 이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금속 커버(12)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를 수납하여 이들을 수밀적으로 밀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금속 커버(12)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등에 의해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기능도 아울러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각 구성 부품의 구성과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모터 하우징(1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그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도 5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11)은, 통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둘레면부(11A)와, 측둘레면부(11A)의 일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5)와, 측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하우징(11)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고, 측둘레면부(11A)와 단부면부(1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면부(19)는, 덮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측둘레면부(11A)에 전동 모터를 수납한 후에 측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것이다.
도 5에 있는 바와 같이, 측둘레면부(11A)의 내부에는, 철심에 코일(20)이 권취된 스테이터(21)가 감합되어 있고, 이 스테이터(21)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매설한 로터(22)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로터(22)에는 회전축(23)이 고정되어 있고, 일단은 출력부(14)가 되고, 타단은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검출부(24)로 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24)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단부면부(15)에 형성한 관통 구멍(2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GMR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자부(感磁部)에 의해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부(15)의 면에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의 방열 영역(15A, 15B)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부(15)의 4모퉁이에는, 기판 고정 볼록부(26)가 일체적으로 심어 세워져 있고, 내부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 고정 볼록부(26)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부(18)의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부터 심어 세운 기판 고정 볼록부(26)에는, 이것도 후술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기판 받침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받침부(27)는,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을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단부면부(15)를 형성하는, 회전축(23)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평면 영역은, 2분할되어 있다. 하나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부착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전원 회로부(17)가 부착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 쪽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계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설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축 방향[회전축(23)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높이가 상이한 단차를 갖고 있다. 즉,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방향에서 보아,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설치한 후에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경우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와 전원 회로부(17)가 각각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는, 3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돌출형 방열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형 방열부(28)는, 후술하는 이중계의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방향에서 보아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평면 형상이며,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고,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한편, 돌출형 방열부(28)는 생략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가 되는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있어서는,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나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돌출형 방열부(28)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는 바와 같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의 상부에는, 이중계로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는, 구리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리드 프레임에 배치되고, 방열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 및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합성 수지에 의해 패키지화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와 돌출형 방열부(28) 사이에는, 전열성 그리스가 도포되어,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열을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하기 쉽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돌출형 방열부(28)에 열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열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도 있는 바와 같이,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회전축(23)의 단부에 부착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탄발 기능 부재(36)에 의해 돌출형 방열부(28)측을 향해 압박, 유지되어 있다.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또한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축 방향의 높이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와 간섭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전력 변환 회로부(16) 위로부터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는 바와 같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를 구성하는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은,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도 이중계가 채용되고 있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대칭으로 콘덴서(29)나 코일(30)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방법은, 도 7에 있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볼록부(26)의 기판 받침부(27)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도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전원 회로부(17)가 유리 에폭시 기판(31)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면 실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GMR 소자나 이것의 검출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위상, 회전수 검출부가 실장되고, 회전축(23)에 설치한 회전 검출부(24)와 협동하여,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접촉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열시킬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로 확산되어서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 사이에는, 열전달성이 좋은 접착제, 방열 그리스, 방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개재시킴으로써, 더욱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전원 회로부(17) 위로부터 제어 회로부(18)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있는 바와 같이, 전원 회로부(17)의 상부에는, 제어 회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유리 에폭시 기판(34)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도 이중계가 채용되고 있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대칭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유리 에폭시 기판(34)의 전원 회로부(17)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은 것이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4)은, 도 8에 있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볼록부(26)의 정상부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제어 회로부(18)의 유리 에폭시 기판(34) 사이는, 도 7에 도시된 전원 회로부(17)의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전자 제어부(EC)는,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금속 커버(12)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금속 커버(12)와 단부면부(15)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Sh)에 전자 제어부(EC)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자석 유지부(37)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것에 회전 검출부(24)를 구성하는 영구자석(센서 마그넷)(38)이 수납,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23)의 단부, 자석 유지부(37), 영구자석(38)은,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를 넘어 전자 제어부(EC)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모터 하우징(11)측의 면에는, GMR 소자와 같은 감자 기능을 갖는 자기 센서(39)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38)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3)의 회전 위상 등을 검출하고 있다.
자석 유지부(37) 및 영구자석(38)의 외주위측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는,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중공 벽면부와 저면벽부를 구비하는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이른바 컵형의 형태)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도 11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는, 영구자석(38) 및 자석 유지부(37)의 외주면을 덮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형성한 고정 구멍(40)에 압입이나 접착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강고히 고정되어 있다.
고정 구멍(40)은, 단부면부(15)의 중앙 부근에 형성한 회전축(23)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41)의 외측 주위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 구멍(40)의 내주측에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외측 둘레면(42)이 압입, 혹은 접착 등의 고정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관통 구멍(41)에는 볼 베어링(45)이 개재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볼 베어링(45)에 회전축(23)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Sh)은, 기본적으로는, 단부면부(15) 및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에 의해 수밀적으로 격리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중공 벽면부인 외측 둘레면(42)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탄발 기능 부재(36)가 형성되어 있다. 탄발 기능 부재(36)는, 각각 90° 간격을 두고 3방향으로 배치된 탄발 부여부(36A)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탄발 부여부(36A)는, 도 6에 도시된 이것도 각각 90° 간격을 두고 3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탄발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측을 향해 압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의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둘레면(42)에, 탄발 기능 부재(36)가 형성되어 있다. 탄발 기능 부재(36)는, 스프링 강판 등의 탄발 기능을 구비한 재료를 펀칭하여 형성해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강성이 있는 금속판에 탄발 기능을 부여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탄발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측을 향해 압박하도록 해도 좋은 것이다.
하나의 탄발 부여부(36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빗살형(혹은 포크형)의 탄발편(彈發片; 36P)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균등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서로의 간격이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정해져 있다. 이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로부터 돌출형 방열부(28)에 가해지는 면압을, 보다 균일화하여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탄발편(36P)의 수는 임의이고, 적절한 개수를 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회전축(23) 주위의 단부면부(15)에 부착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탄발 기능 부재(36)에 형성된 탄발편(36P)에 의해, 돌출형 방열부(28)측을 향해 탄발적으로 압박, 유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에 고정 볼트를 부착하는 영역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볼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고정 볼트가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 구멍의 가공이나,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 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저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 사이는 통기성을 확보하여, 온도 변동에 의한 내압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을 격리하는 형태로 하면,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은 통기성이 상실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에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을 통기하는 통기 구멍을 형성하면, 모터 하우징(11) 내에 침입한 수분이,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측에도 침입할 우려가 높아지고, 만일 수분이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에 침입하면, 전자 회로에 장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저면벽부(35T)에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을 통기하는 통기 구멍(43)을 형성하고, 이 통기 구멍(43)에 방수 통기 기능 부재인 방수 통기막(44)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방수 통기막(44)은, 공기나 수증기는 통과하지만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의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는 방수 통기막이다. 이 방수 통기막(44)은,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연신 가공한 필름과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복합화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1)의 내부는, 관통 구멍(41),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내부 공간, 방수 통기막(44)을 통해 전자 제어부(EC)의 수납 공간(Sh)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통기 구멍(43)에 형성한 방수 통기막(44)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 사이의 통기를 확보할 수 있고, 모터 하우징(11) 내에 침입한 수분이, 전자 제어부(EC)측에도 침입하는 현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접속되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커버(12)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가 수밀적으로 밀봉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의 상부에,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열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된다.
마찬가지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열시킬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로 확산되어서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전원 회로부(17)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회전축(23) 주위의 단부면부(15)에 부착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탄발 기능 부재(36)에 의해, 돌출형 방열부(28)측을 향해 탄발적으로 압박,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16)에 고정 볼트를 부착하는 영역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볼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고정 볼트가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 구멍의 가공이나,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 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저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35)의 통기 구멍(43)에 형성한 방수 통기막(44)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의 내부와 전자 제어부(EC) 사이의 통기를 확보할 수 있고, 모터 하우징(11) 내에 침입한 수분이, 전자 제어부(EC)측에도 침입하는 현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적어도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에 전열시키는 방열부를 형성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전원 회로부 및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의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방열부측을 향해 압박, 유지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를 생략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즉, 상기 전동 구동 장치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측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 방열되고,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기 단부면부에 탄발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압박,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는 중공 벽면부와 저면벽부를 구비한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 형성한 고정 구멍에 상기 중공 벽면부가 압입되며, 또한, 상기 중공 벽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상기 탄발 기능 부재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를 압박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발 기능 부재는 복수의 탄발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발편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에 거의 균등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서로의 간격이 정해져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즉,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되고,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기 단부면부에 탄발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압박,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는 중공 벽면부와 저면벽부를 구비한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 형성한 고정 구멍에 상기 중공 벽면부가 압입되며, 또한, 상기 중공 벽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상기 탄발 기능 부재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를 압박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발 기능 부재는 복수의 탄발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발편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에 거의 균등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서로의 간격이 정해져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Claims (12)

  1.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측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 방열되고,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기 단부면부에 탄발(彈發)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압박,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는 중공 벽면부와 저면벽부를 구비한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 형성한 고정 구멍에 상기 중공 벽면부가 압입되며, 상기 중공 벽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상기 탄발 기능 부재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를 압박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기능 부재는 복수의 탄발편(彈發片)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발편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에 거의 균등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서로의 간격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7.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되고,
    상기 회전축 주위의 상기 단부면부에 탄발 기능 부재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탄발 기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압박,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고정 부재는 중공 벽면부와 저면벽부를 구비한 중공의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 형성한 고정 구멍에 상기 중공 벽면부가 압입되며, 상기 중공 벽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상기 탄발 기능 부재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를 압박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기능 부재는 복수의 탄발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발편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에 거의 균등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서로의 간격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197006531A 2016-09-02 2017-07-31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143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1428A JP6837257B2 (ja) 2016-09-02 2016-09-02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JP-P-2016-171428 2016-09-02
PCT/JP2017/027589 WO2018042988A1 (ja) 2016-09-02 2017-07-31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79A true KR20190038879A (ko) 2019-04-09
KR102143728B1 KR102143728B1 (ko) 2020-08-11

Family

ID=6130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531A KR102143728B1 (ko) 2016-09-02 2017-07-31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6355B2 (ko)
JP (1) JP6837257B2 (ko)
KR (1) KR102143728B1 (ko)
CN (1) CN109643938B (ko)
DE (1) DE112017004432T5 (ko)
WO (1) WO2018042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9870B2 (ja) * 2017-09-07 2021-06-02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386650B (zh) 2017-11-28 2024-03-29 Lg伊诺特有限公司 马达
KR102536589B1 (ko) * 2018-05-15 2023-05-2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동 구동 제어 장치
JP6968272B2 (ja) * 2018-05-22 2021-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7096886B2 (ja) 2018-06-06 2022-07-06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電動駆動装置
JP7054650B2 (ja) * 2018-06-14 2022-04-14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819189B1 (en) * 2018-07-05 2024-07-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20048351A (ja) * 2018-09-20 2020-03-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搭載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WO2020075307A1 (ja) 2018-10-12 2020-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装置、ゲート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7261603B2 (ja) * 2019-02-13 2023-04-20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7406931B2 (ja) * 2019-07-11 2023-12-28 株式会社マキタ 電動作業機
JP7428489B2 (ja) * 2019-08-05 2024-02-06 カヤバ株式会社 回転電機
DE112020004706T5 (de) * 2019-09-30 2022-06-30 Nidec Corporation Motoreinheit
TWM594850U (zh) * 2019-11-25 2020-05-01 智邦科技股份有限公司 風扇模組
CN113844532A (zh) * 2021-10-25 2021-12-28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冗余电动助力转向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179A (ja) * 2008-02-07 2009-08-20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装置
JP2015134598A (ja) 2013-12-19 2015-07-27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WO2015122069A1 (ja) * 2014-02-14 2015-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付き回転電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制御装置付き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16062953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JP2016073098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制御装置
WO2016117144A1 (ja) * 2015-01-23 2016-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834A (ja) * 2003-03-06 2004-09-30 Tamagawa Seiki Co Ltd 駆動回路内蔵型サーボモータ
JP200517645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US8237318B2 (en) * 2008-06-13 2012-08-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tor positioning structure
US8643231B2 (en) 2009-05-18 2014-02-04 Moog Inc. Water-resistant electric motor
JP5529477B2 (ja) * 2009-09-18 2014-06-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6119631B2 (ja) 2014-02-18 2017-04-2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JP6540986B2 (ja) * 2015-01-26 2019-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JP6350375B2 (ja) 2015-04-17 201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JP6540393B2 (ja) 2015-09-03 2019-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減速機付モー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179A (ja) * 2008-02-07 2009-08-20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装置
JP2015134598A (ja) 2013-12-19 2015-07-27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WO2015122069A1 (ja) * 2014-02-14 2015-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付き回転電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制御装置付き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16062953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JP2016073098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制御装置
WO2016117144A1 (ja) * 2015-01-23 2016-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26355B2 (en) 2020-11-03
JP2018038218A (ja) 2018-03-08
JP6837257B2 (ja) 2021-03-03
CN109643938B (zh) 2021-04-23
WO2018042988A1 (ja) 2018-03-08
US20190199175A1 (en) 2019-06-27
DE112017004432T5 (de) 2019-06-19
KR102143728B1 (ko) 2020-08-11
CN109643938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879A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97928B1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837888B1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158238B1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11407443B2 (en) Electric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09643929B (zh) 电动驱动装置以及电动动力转向装置
CN111052570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JP6723201B2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9134679A (ja) 電動駆動装置
WO2019240146A1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