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586A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2586A KR20190032586A KR1020197006534A KR20197006534A KR20190032586A KR 20190032586 A KR20190032586 A KR 20190032586A KR 1020197006534 A KR1020197006534 A KR 1020197006534A KR 20197006534 A KR20197006534 A KR 20197006534A KR 20190032586 A KR20190032586 A KR 20190032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cover
- power conversion
- motor housing
- electric motor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3—Heat brid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7—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의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의 외주면, 또는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9)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12)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35)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35)에 금속 커버(12)와 모터 하우징(11)을 감합(嵌合)시키며, 이 감합부(37)에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를 용착 결합하는 마찰 교반 접합부(FSW)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고정 볼트나 O링을 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 형상이 작아져 중량 저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커버(12)에 의해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제어 장치를 내장한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 기계 분야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나 회전 토크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전동 모터에 일체적으로 편입시키는, 이른바 기전(機電)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가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기전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의 예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함으로써 회동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조타 어시스트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3459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동 모터부와 전자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부의 전동 모터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에 수납되고, 전자 제어부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기판은, 모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ECU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히트 싱크에 부착되어 있다. 히트 싱크에 부착되는 기판은, 전원 회로부,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혹은 IGBT 등과 같은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 및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입력 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히트 싱크에 부착된 전자 제어부에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커넥터 케이스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 커넥터 케이스는, 덮개로서 기능하고 있고, 히트 싱크를 밀폐하여 막도록 고정되며, 또한 고정 볼트에 의해 히트 싱크의 외주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 외에 전자 제어 장치를 일체화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전동 브레이크나 각종 유압 제어용의 전동 유압 제어기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표해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제의 히트 싱크 및 합성 수지제의 커넥터 케이스는,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를 삽입 관통한 고정 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과 히트 싱크 사이, 및 히트 싱크와 커넥터 케이스 사이에는 O링이 개재되어 설치되어,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모터 하우징과 히트 싱크 및 커넥터 케이스의 외주에 고정부 및 고정 볼트를 설치하면, 외관 형상이 커지고, 중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정 볼트 외에 수밀용의 O링도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제품 단가가 고등(高騰)한다고 하는 과제도 발생한다. 또한, 모터 하우징, 히트 싱크 사이는 밀착되어 있으나, 밀착 부분은 열 저항이 커져 양호한 열 이동을 할 수 없어 방열 특성이 좋지 않고, 합성 수지제의 커넥터 케이스에 의해 전자 제어부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케이스가 방열에 기여하고 있지 않아 방열 특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과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 과제를 해결한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부차적이지만,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한 히트 싱크 부재가, 모터 하우징과 ECU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히트 싱크 부재의 분만큼 여분으로 축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된다. 또한,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은 발열량이 커서,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이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축 방향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하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외관 형상을 작게 하고, 또한 중량 및 부품 개수를 저감하며, 양호한 방열 특성을 구비한 신규의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의 외주면, 또는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嵌合)시킨 감합부가 형성되며, 이 감합부에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부와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결합시켜 마찰 교반 접합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나 O링을 폐지해서 외관 형상을 작게 하여 중량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고정 볼트나 O링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커버에 의해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조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원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제어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커넥터 단자 조립체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의 마찰 교반 접합된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의 마찰 교반 접합된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전원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제어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에 커넥터 단자 조립체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의 마찰 교반 접합된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접합부의 마찰 교반 접합된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 중에서 여러 가지 변형예나 응용예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조타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전륜(前輪)을 조타하기 위한 조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조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은, 차체 좌우 방향으로 긴 도시하지 않은 랙과 맞물려 있다. 이 랙의 양단에는, 전륜을 좌우 방향으로 조타하기 위한 타이 로드(3)가 연결되어 있고, 랙은, 랙 하우징(4)에 덮여져 있다. 그리고, 랙 하우징(4)과 타이 로드(3) 사이에는, 고무 부츠(5)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을 회동 조작할 때의 토크를 보조하기 위해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7)가 설치되고, 토크 센서(7)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랙에 기어(10)를 통해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부(8)와, 전동 모터부(8)에 배치된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부(9)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전동 모터부(8)는, 출력축측의 외주부의 3개소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통해 기어(10)에 접속되고, 전동 모터부(8)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전자 제어부(9)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이 조작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2)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이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토크 센서(7)가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부가 전동 모터의 구동 조작량을 연산한다. 이 연산된 구동 조작량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의 파워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전동 모터가 구동되고, 전동 모터의 출력축은 스티어링 샤프트(2)를 조작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회동된다. 출력축의 회동은,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으로부터 기어(1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랙에 전달되어, 자동차가 조타되는 것이다. 이들의 구성, 작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과 금속제의 히트 싱크 및 합성 수지제의 커넥터 케이스는, 외주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삽입 관통한 고정 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과 히트 싱크 사이, 및 히트 싱크와 커넥터 케이스 사이에는 O링이 개재되어 설치되어,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하우징과 히트 싱크 및 커넥터 케이스의 외주에 고정부 및 고정 볼트를 설치하면, 외관 형상이 커지고, 또한 중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고정 볼트 외에 수밀용의 O링도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제품 단가가 고등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 히트 싱크 사이의 밀착 부분은 열 저항이 커져 양호한 열 이동을 할 수 없고, 및 합성 수지제의 커넥터 케이스에 의해 전자 제어부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케이스가 방열에 기여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방열 특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시킨 감합부가 형성되며, 이 감합부에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부와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결합시켜 마찰 교반 접합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나 O링이 폐지되어, 외관 형상을 작게 하여 중량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고정 볼트나 O링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커버에 의해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 부품을 분해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9는 각 구성 부품의 조립 순서에 따라 각 구성 부품을 조립해 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금속 커버의 접합부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도면을 적절히 인용하면서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성하는 전동 모터부(8)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금속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11)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로 구성되고, 전자 제어부(9)는, 모터 하우징(11)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커버(12)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은 전자 제어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는, 그 대향 단부면에 형성한 외주 방향을 따른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에서, 후술하는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금속 커버(12)의 내부에 수납된 전자 제어 조립체는,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동 모터부(8)의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혹은 IGBT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나, 이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로 이루어지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코일 입력 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과는 반대측의 금속 커버(12)의 단부면에는, 금속 커버(12)에 형성한 구멍부로부터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모터 하우징(11)에 형성한 고정부에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 제어 상태를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커버(12)에 수납된 전자 제어 조립체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를 통해 공급되며, 현재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상태 신호가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통해 송출되고 있다.
도 3은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1)에는, 내부에 원환형의 철제의 사이드 요크(도시하지 않음)가 감합되어 있고, 이 사이드 요크 내에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전동 모터의 출력부(14)는, 기어를 통해 랙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전동 모터의 구체적인 구조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 하우징(11)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고, 전동 모터에서 발생한 열이나,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 대기로 방출하는 히트 싱크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전동 모터와 모터 하우징(11)으로 전동 모터부(8)를 구성하고 있다.
전동 모터부(8)의 출력부(14)의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는, 전자 제어부(EC)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는, 모터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외에 단부면부(15)만을 별체(別體)로 형성하고, 볼트나 용접에 의해 모터 하우징(11)과 일체화해도 좋다.
여기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는 용장계를 구성하는 것이며, 주(主)전자 제어부와 부(副)전자 제어부의 이중계(二重系)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은, 주전자 제어부에 의해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고 있으나, 주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부전자 제어부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통상은 주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고, 주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주전자 제어부가 정지되고 부전자 제어부가 작동하여, 모터 하우징(11)에는 부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전해지는 것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으나, 주전자 제어부와 부전자 제어부를 합쳐 정규의 전자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고, 한쪽의 전자 제어부에 이상,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쪽의 전자 제어부에서 절반의 능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제어,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동 모터의 능력은 절반이 되지만, 이른바 「림프 홈(limp home) 기능」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에는, 주전자 제어부와 부전자 제어부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는 것이다.
전자 제어부(EC)는, 제어 회로부(18), 전원 회로부(17), 전력 변환 회로부(16),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로 구성되어 있고, 단부면부(15)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커넥터 단자 조립체(1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컴퓨터,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는, 제어 회로부(18)를 구동하는 전원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전원을 생성하는 것으로, 콘덴서, 코일,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전동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3상(相)의 상하 아암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에서 발열량이 많은 것은, 주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이며,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의 열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모터 하우징(11)으로부터 방열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회로부(18)와 금속 커버(12)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 배터리(전원)나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물론, 이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접속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금속 커버(12)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를 수납하여 이들을 액밀적으로 밀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볼트를 생략하여 외관 형상을 작게 할 수 있고, 고정 볼트나 수밀용의 O링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커버(12)와 모터 하우징(11)이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이 적어져, 금속 커버(12)와 모터 하우징 사이에서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커버(12)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등에 의해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각 구성 부품의 구성과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모터 하우징(1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그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도 5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11)은, 통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둘레면부(11A)와, 측둘레면부(11A)의 일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5)와, 측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하우징(11)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고, 측둘레면부(11A)와 단부면부(1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면부(19)는, 덮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측둘레면부(11A)에 전동 모터를 수납한 후에 측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것이다.
또한, 단부면부(15)의 단부면 둘레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환형의 단차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35)에 금속 커버(12)의 개구부가 감합되는 것이다. 이 감합되는 영역이 도 2에 도시된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이 되는 것인데, 단차부(35)와 금속 커버(12)의 개구부의 감합 형태는, 이른바 「인롱(印籠) 결합」 혹은 「인롱 끼움」이라고 불리는 형태이다.
도 5에 있는 바와 같이, 측둘레면부(11A)의 내부에는, 철심에 코일(20)이 권취된 스테이터(21)가 감합되어 있고, 이 스테이터(21)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매설한 로터(22)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로터(22)에는 회전축(23)이 고정되어 있고, 일단은 출력부(14)가 되고, 타단은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검출부(24)로 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24)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단부면부(15)에 형성한 관통 구멍(2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GMR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자부(感磁部)에 의해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부(15)의 면에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전력 변환 회로부(16)(도 3 참조), 전원 회로부(17)(도 3 참조)의 방열부(15A, 15B)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부(15)의 4모퉁이에는,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가 일체적으로 심어 세워져 있고, 내부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부(18)의 기판, 및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를 고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부터 심어 세운 기판 고정 볼록부(26)에는, 이것도 후술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기판 받침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받침부(27)는,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을 배치,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부면부(15)를 형성하는, 회전축(23)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평면 영역은, 2분할되어 있다. 하나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부착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전원 회로부(17)가 부착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 쪽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계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설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축 방향[회전축(23)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높이가 상이한 단차를 갖고 있다. 즉,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방향에서 보아,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설치한 후에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경우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와 전원 회로부(17)가 각각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는, 3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돌출형 방열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형 방열부(28)는, 후술하는 이중계의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23)의 방향에서 보아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평면 형상이며,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고,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한편, 돌출형 방열부(28)는 생략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 방열부(28)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금속 기판을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용착함으로써, 확실한 고정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가 되는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있어서는,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나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는 바와 같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의 상부에는, 이중계로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는, 금속 기판(여기서는 알루미늄계의 금속을 사용하고 있음)에 배치되고, 방열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기판은, 돌출형 방열부(28)에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 기판은,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강고히 고정되고, 또한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전열시킬 수 있다.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또한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축 방향의 높이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와 간섭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의 상부에,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열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은 전력 변환 회로부(16) 위로부터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는 바와 같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를 구성하는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은,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도 이중계가 채용되고 있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대칭으로 콘덴서(29)나 코일(30)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방법은, 도 7에 있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볼록부(26)의 기판 받침부(27)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도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전원 회로부(17)가 유리 에폭시 기판(31)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면 실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GMR 소자나 이것의 검출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위상, 회전수 검출부가 실장되고, 회전축(23)(도 5 참조)에 설치한 회전 검출부(24)(도 5 참조)와 협동하여, 회전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접촉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전열시킬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로 확산되어서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 사이에는, 열전달성이 좋은 접착제, 방열 그리스, 방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개재시킴으로써, 더욱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열시킬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로 확산되어서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은 전원 회로부(17) 위로부터 제어 회로부(18)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있는 바와 같이, 전원 회로부(17)의 상부에는, 제어 회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유리 에폭시 기판(34)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도 이중계가 채용되고 있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대칭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유리 에폭시 기판(34)의 전원 회로부(17)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은 것이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4)은, 도 8에 있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볼록부(26)(도 7 참조)의 정상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커넥터 단자 조립체(13)에 의해 끼워지는 형태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전원 회로부(17)(도 7 참조)의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제어 회로부(18)의 유리 에폭시 기판(34) 사이는, 도 7에 도시된 전원 회로부(17)의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제어 회로부(18) 위로부터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18)의 상부에는,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단자 조립체(13)는, 기판 고정 볼록부(26)의 정상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제어 회로부(18)를 끼워 넣도록 하여 고정 볼트(3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 조립체(13)가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접속되고, 또한,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가, 모터 하우징(11)의 단차부(35)에 인롱 끼움 등에 의해 감합되며, 이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이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가 액밀적으로 밀봉되는 것이다.
여기서,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의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 부근의 축 방향 단면을,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전자 제어부(EC)는,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금속 커버(12)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금속 커버(12)와 단부면부(15)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Sh)에 전자 제어부(EC)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자석 유지부(38)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것에 회전 검출부를 구성하는 영구자석(센서 마그넷)(39)이 수납,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23)의 단부, 자석 유지부(38), 영구자석(39)은,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를 넘어 전자 제어부(EC)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모터 하우징(11)측의 면에는, GMR 소자와 같은 감자 기능을 갖는 자기 센서(40)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39)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3)의 회전 위상 등을 검출하고 있다. 단부면부(15)의 중앙 부근에 형성한 회전축(23)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41)에는, 볼 베어링(42)이 개재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볼 베어링(42)에 회전축(23)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있는 바와 같이, 단부면부(15)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부(35)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35S)과, 단부면부(15)의 측둘레면부(11A)와 단차부 측면벽(35S)을 잇는 단차부 저면벽(35B)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 저면벽(35B)과 단차부 측면벽(35S)으로 형성되는 단차부(35)에는,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가 인롱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부 측면벽(35S)과 금속 커버(12)의 접촉부가,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 저면벽(35B)과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의 접촉 부분(맞댐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마찰 교반 접합 처리가 행해져 있다. 즉, 단차부 저면벽(35B)과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단차부 측면벽(35S)과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이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용착되어, 마찰 교반 접합부(FSW)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1의 예에서는, 단차부 측면벽(35S)과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의 내주의 접촉 영역까지 깊이 접합되어 있으나, 단차부 저면벽(35B)과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의 선단의 접촉 영역까지의 얕은 접합에 머물게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마찰 교반 접합이란, 선단에 돌기부가 있는 원통형의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강한 힘으로 밀어붙임으로써, 돌기부를 접합시키는 부재의 접합부에 관입(貫入)시키고, 이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켜 모재를 연화시키며, 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접합부 주변을 소성 유동시켜 개어 혼합함으로써 복수의 부재를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35)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35)에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를 감합시키며, 이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에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의 마찰 교반 접합부(FSW)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15)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부(35)와 금속 커버(12)의 개구부(37)를 감합시켜 마찰 교반 접합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나 O링을 폐지해서 외관 형상을 작게 하여 중량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고정 볼트나 O링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커버에 의해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 커버(12)와 모터 하우징(11)을 일체화했기 때문에 열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의 상부에,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열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도록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열시킬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둘레면부(11A)로 확산되어서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전원 회로부(17)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전열시킴으로써,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시키며, 이 감합부에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하는 마찰 교반 접합부를 형성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터 하우징의 단차부와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결합시켜 마찰 교반 접합했기 때문에, 고정 볼트나 O링을 폐지할 수 있어 외관 형상을 작게 하여 중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과 금속 커버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커버에 의해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도 13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앞의 실시예와의 차이는, 단차부를 금속 커버에 형성한 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12, 도 13에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커버(12)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부(35)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35C)과, 금속 커버(12)의 측둘레면부(12A)와 단차부 측면벽(35C)을 잇는 단차부 접속벽(35D)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 접속벽(35D)과 단차부 측면벽(35C)으로 형성되는 단차부(35)는, 모터 하우징(11)의 개구부(43)에 인롱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부 측면벽(35C)과 모터 하우징(11)의 개구부(43)의 접촉부가, 둘레 방향 감합 영역(E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 접속벽(35D)과 모터 하우징(11)의 개구부(43)의 접촉 부분(맞댐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마찰 교반 접합 처리가 행해져 있다. 즉, 단차부 접속벽(35D)과 모터 하우징(11)의 개구부(43)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단차부 측면벽(35C)과 모터 하우징(11)의 개구부(43)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이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 용착되어, 마찰 교반 접합부(FSW)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즉, 상기 전동 구동 장치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가 수납된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상기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시킨 감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감합부에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상기 단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단부면부의 측둘레면부와 상기 단차부 측면벽을 잇는 단차부 저면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 부분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가 인롱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접촉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에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즉,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상기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시킨 감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감합부에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상기 단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단부면부의 측둘레면부와 상기 단차부 측면벽을 잇는 단차부 저면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 부분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가 인롱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접촉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에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Claims (14)
-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가 수납된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에 상기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嵌合)시킨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합부에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상기 단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단부면부의 측둘레면부와 상기 단차부 측면벽을 잇는 단차부 저면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 부분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가 인롱(印籠)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접촉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에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 전원 회로부, 전력 변환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알루미늄계 금속제의 금속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에 상기 금속 커버의 개구부를 감합시킨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합부에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금속 커버를 용착 결합한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상기 단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단부면부의 측둘레면부와 상기 단차부 측면벽을 잇는 단차부 저면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 부분에는,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가 인롱 끼움에 의해 감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접촉 부분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저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접촉 영역과, 상기 단차부 측면벽과 상기 금속 커버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의 일부의 접촉 영역에 상기 마찰 교반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전원용 방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원 회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및 상기 전원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 및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부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방열 영역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형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 상기 제어 회로부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77264A JP2018046591A (ja) | 2016-09-12 | 2016-09-12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JPJP-P-2016-177264 | 2016-09-12 | ||
PCT/JP2017/027593 WO2018047516A1 (ja) | 2016-09-12 | 2017-07-31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586A true KR20190032586A (ko) | 2019-03-27 |
Family
ID=6156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6534A KR20190032586A (ko) | 2016-09-12 | 2017-07-31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193775A1 (ko) |
JP (1) | JP2018046591A (ko) |
KR (1) | KR20190032586A (ko) |
CN (1) | CN109690922A (ko) |
DE (1) | DE112017004576T5 (ko) |
WO (1) | WO20180475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82486B2 (ja) * | 2019-02-06 | 2022-12-02 | 日立Astemo株式会社 | 電動駆動装置 |
WO2021065299A1 (ja) | 2019-09-30 | 2021-04-08 | 日本電産株式会社 | モータユニット |
DE112020004706T5 (de) | 2019-09-30 | 2022-06-30 | Nidec Corporation | Motoreinheit |
CN115123372B (zh) * | 2021-03-25 | 2024-07-09 | 操纵技术Ip控股公司 | 用于电动助力转向系统的动力机组 |
US11843305B2 (en) * | 2021-06-30 | 2023-12-12 | Canoo Technologies Inc. | Multiple-discharge rain manifold for electric motor cooling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
WO2023093666A1 (zh) * | 2021-11-25 | 2023-06-01 |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eps控制器和电机集成的动力组结构、装配方法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34598A (ja) | 2013-12-19 | 2015-07-27 |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2984A (ja) * | 1997-05-20 | 1998-12-04 | Showa Alum Corp | モーターケースの製造方法 |
JP2009241771A (ja) * | 2008-03-31 | 2009-10-22 | Hitachi Ltd | 軸箱支持装置用軸ばね座及びその製造方法 |
JP5282592B2 (ja) * | 2009-02-02 | 2013-09-04 | マツダ株式会社 | 回転電機 |
JP2013045782A (ja) * | 2011-08-22 | 2013-03-04 | Toyota Motor Corp | 冷却器 |
JP2014187760A (ja) * | 2013-03-22 | 2014-10-02 | Mitsuba Corp | モータ装置 |
JP6056827B2 (ja) * | 2014-09-30 | 2017-01-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制御装置 |
CN106856667B (zh) * | 2015-01-23 | 2019-08-06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动动力转向用马达驱动控制装置 |
-
2016
- 2016-09-12 JP JP2016177264A patent/JP2018046591A/ja active Pending
-
2017
- 2017-07-31 KR KR1020197006534A patent/KR201900325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7-31 CN CN201780054439.4A patent/CN109690922A/zh active Pending
- 2017-07-31 DE DE112017004576.2T patent/DE112017004576T5/de not_active Withdrawn
- 2017-07-31 WO PCT/JP2017/027593 patent/WO201804751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7-31 US US16/331,060 patent/US20190193775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34598A (ja) | 2013-12-19 | 2015-07-27 |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7004576T5 (de) | 2019-06-13 |
JP2018046591A (ja) | 2018-03-22 |
US20190193775A1 (en) | 2019-06-27 |
CN109690922A (zh) | 2019-04-26 |
WO2018047516A1 (ja) | 2018-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7888B1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KR20190032586A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KR102066361B1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JP6867245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KR102097928B1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KR20190034650A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KR20190038879A (ko)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WO2018230211A1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WO2019159405A1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6723201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9080468A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WO2019049423A1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6864029B2 (ja) | 電動駆動装置 | |
JP7291468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7041541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6852945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9062588A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7058107B2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9050699A (ja) |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