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319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8319A KR20190008319A KR1020187036124A KR20187036124A KR20190008319A KR 20190008319 A KR20190008319 A KR 20190008319A KR 1020187036124 A KR1020187036124 A KR 1020187036124A KR 20187036124 A KR20187036124 A KR 20187036124A KR 20190008319 A KR20190008319 A KR 20190008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eat
- meat
- hole
- gas bur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사용자가 불 가감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플레이트 위로부터의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가스 버너(20)가 배치된 본체부(12)와, 가스 버너의 상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플레이트(30)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이며, 플레이트는, 가스 버너의 화염구(19)의 상방을 덮어, 하면(30F)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30D)를 갖고, 또한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 고열전도율을 갖는 고열전도율 재료(60)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은, 화염(FR)이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며, 또한 850 내지 950㎉/h가 되고, 또한 플레이트는, 적어도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놓인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최대 출력하에서 대략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 버너(20)가 배치된 본체부(12)와, 가스 버너의 상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플레이트(30)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이며, 플레이트는, 가스 버너의 화염구(19)의 상방을 덮어, 하면(30F)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30D)를 갖고, 또한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 고열전도율을 갖는 고열전도율 재료(60)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은, 화염(FR)이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며, 또한 850 내지 950㎉/h가 되고, 또한 플레이트는, 적어도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놓인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최대 출력하에서 대략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를 억제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메인 식재로서 고기를 굽기 위한 가열 조리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고, 이 가열 조리기에서는, 전체가 판상인 플레이트 위에 고기 등을 올려놓고, 그리고 전기나 가스를 연료원으로 하여 플레이트를 가열함으로써 고기를 굽도록 하고 있다.
이 점에서, 고기구이 전문 점포에서는 공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하는 연기는 지장없이 배기할 수 있지만, 그러한 공조 설비가 없는 가정의 식탁이나 음식점에서는,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가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는, 이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를 억제하기 위한 가열 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연기는 고기로부터 낙하한 기름이 화염에 닿음으로써 발생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화로(8) 위의 고기로부터 나온 기름을, 열 통과 구멍(9, 10, 11)을 통해 적하액 수용부(6)로 떨어뜨려, 직접적으로 가스나 풍로 등의 불 속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플레이트(2) 위의 고기로부터 나오는 기름의 유로가 되는 오목부(4a)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4a)를 타고 흘러내리는 지분을 회수하는 기름 회수 부재(6)에 의해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연기는 고기로부터 나온 기름이 화염에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가열한 플레이트에 기름이 닿음으로써도 발생하고,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적하액 수용부(6)로 떨어질 때까지의 끼워 맞춤 화로(8) 위나, 특허문헌 2의 오목부(4a)의 개소에서 연기가 발생하여, 이것이 식탁 등에서 고기구이를 꺼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열된 플레이트에 기름이 닿아 발생하는 연기에 대해서는, 불 가감을 조정함으로써 억제할 수는 있을 수도 있지만, 가스를 연료로 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미묘한 불 가감은 곤란하고, 또한 불 가감 조정을 위해 가스의 출력을 몇 번이나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는 조작을 하는 것도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불 가감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플레이트 위로부터의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 버너가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가스 버너의 상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그 하면이 상기 가스 버너의 화염구의 상방을 덮어, 상기 하면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를 갖고, 또한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 고열전도율을 갖는 고열전도율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은, 화염이 상기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며, 또한 850 내지 950㎉/h로 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놓인 상기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출력하에서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상온의 환경하에 있어서,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 「플레이트의 열전도성」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 「표면적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의 각 요소를 상관적으로 조정 내지 형성함으로써, 불 가감 조정하는 일 없이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는, 하면이 가스 버너의 화염구의 상방을 덮어, 하면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화염이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화력으로서도,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에 가스 버너의 화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연소열을 충분히 들어차게 하여, 열 봉입부 위에 놓인 고기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의 국소적인 과열을 방지하여, 과열 부분에 고기의 기름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그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 고열전도율을 갖는 고열전도율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의 가열 불균일을 방지하여, 국소적인 과열에 의한 연기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연구에 의해, 플레이트의 상면 온도가 250℃를 초과하면 고기의 기름이 타서 연기가 나기 쉬워지고, 210℃를 하회하면 고기의 수분만이 빠져나가 퍽퍽해져서 맛이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이 존재하고, 또한 플레이트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료인 경우에 있어서, 가스 버너의 출력을 950㎉/h 이하로 함과 함께, 플레이트의 열 봉입부의 표면적을 요철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올려놓은 고기가 플레이트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 후에는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를 대략 250℃ 이하로 컨트롤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950㎉/h의 열량에서 연기가 나기 어려운 온도가 되도록 조정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고기의 퍽퍽해짐을 초래하는 대략 210℃ 미만이 되는 열량을 측정한 바, 열량은 대략 850㎉/h였다.
그래서, 플레이트의 열 봉입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면 온도를 대략 210 내지 250℃로 할 수 있었던 요철 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을 850 내지 950㎉/h로 제한하였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가스 버너를 최대 출력으로 한 채로 두고, 불 가감 조정을 위해 가스의 출력을 몇 번이나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는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연기를 억제하면서, 고기를 맛있게 구워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열전도율 재료의 표면에, 상기 고열전도율 재료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재료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플레이트는,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서는 열이 신속하게 전달됨과 함께, 두께 방향에 대해서는 열의 전달이 상대적으로 느려져, 고기가 놓이는 플레이트 상면을 전체적으로 보다 시차 없이 가열하여, 국소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연기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측에 면하는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물이 저류되는 저수부가 형성된 물 투입 용기가 접속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열 봉입부의 더 외측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외주부를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상기 대략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그 면적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물 투입 용기의 저수부에 저류된 물이 증발하여 본체부를 냉각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열 봉입부의 더욱 외측의 외주부에 고기의 기름이 흐른 경우, 이 외주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그 아래의 저수부로 기름을 떨어뜨려, 플레이트 위에서 기름이 장시간 가열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관통 구멍이 있으면, 관통 구멍이 없는 플레이트에 비해 가열 부분의 표면적은 작아지지만, 그 하방의 저수부로부터 발생하는 물 증발이 관통 구멍을 통과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주변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외주부는 열 봉입부에 비해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열 봉입부에서 다 익은 고기를 외주부에 두어도, 그곳으로부터 연기가 나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외주부에 차분히 굽고 싶은 식재 등을 두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외주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외주부에 연결된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도 낮아지지만, 이때,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대략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관통 구멍의 면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열 봉입부에서의 연기 발생 방지 효과나 맛있게 구워 내는 효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오히려, 관통 구멍의 총 면적에 따라서는, 열 봉입부의 요철을 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주부의 주연을 향해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요철은,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홈부와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연결된 부분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는 전체가 경사져 있으므로, 고기로부터 떨어진 기름은 중앙으로부터 주연을 향해 흐르고, 그때, 홈부 안으로 기름이 들어가면, 관통 구멍과 홈부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름은 홈부로부터 관통 구멍까지 흐른다. 그리고 홈부와 관통 구멍은 연결된 부분에 있어서의 폭이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름은 신속하게 관통 구멍까지 흐르므로, 기름이 플레이트 위에 있는 시간을 짧게 하여, 연기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상기 외주부와는 반대측의 내측 측면은, 상기 외주부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홈부의 외주부와는 반대측의 내측 측면에는 기름이 고여 버리는 코너와 같은 것이 없어, 홈부 안으로 들어간 고기의 기름을 경사면에 의해 원활하게 홈부 안을 흐르게 하여 관통 구멍까지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홈부 안에서 기름이 타서 발생하는 연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측에는, 상기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스 버너측으로 돌출된 프레임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관통 구멍은, 고기의 기름이 표면 장력에 의해 고이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프레임 형상부와 관통 구멍 사이에 고인 고기의 기름이 타서 나는 연기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불 가감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플레이트 위로부터의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열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플레이트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B 부근(홈부의 플레이트 중앙측)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C 부근(홈부와 관통 구멍의 연결 부분의 주변)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가열 조리기의 가스 버너 최대 출력을 950㎉/h로 한 경우와 850㎉/h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플레이트의 상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가열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플레이트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B 부근(홈부의 플레이트 중앙측)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C 부근(홈부와 관통 구멍의 연결 부분의 주변)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가열 조리기의 가스 버너 최대 출력을 950㎉/h로 한 경우와 850㎉/h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플레이트의 상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부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개소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는 가열 조리기를 정상적으로 두었을 때의 수직 방향의 상하이고, 외측은 가열 조리기를 정상적으로 두었을 때의 수평 방향의 외측을 의미한다.
[가열 조리기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0)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그 가열 조리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의 가열 조리기(10)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식재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이며, 특히 고기를 구울 때에 적합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고기구이 기기라고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뿐만 아니라, 야채 등의 다른 식재를 굽기 위해 사용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도면의 가열 조리기(10)는, 열원인 가스가 카트리지식 카세트 봄베(28)에 수용되어 있고, 이 카세트 봄베(28)를 가열 조리기(10)에 접속함으로써 사용된다. 이 때문에, 도면의 가열 조리기(10)는 휴대식 가열 조리기, 휴대식 풍로, 카세트 풍로 등이라고도 불린다.
가열 조리기(10)는, 접속된 카세트 봄베(28) 내의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 버너(20)가 배치된 본체부(12)와, 이 가스 버너(2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플레이트(30)를 갖고 있다.
또한, 카세트 봄베(28)에 주입된 가스는, 부탄, 이소부탄, 프로판 및 이들의 조합 등의 액화 석유 가스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소부탄이 약 30%, 노르말 부탄이 약 70%의 구성 비율인 액화 부탄이 이용되고 있다.
[본체부에 대해]
본체부(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5) 내에 가스 버너(20)와 봄베 수용실(23)이 설치되어 있고, 가스 버너(20)와 봄베 수용실(23)은, 스틸에 내열 도장이 된 격벽부(16)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봄베 수용실(23)은 카세트 봄베(28)를 수용하는 공간이며, 힌지(25)를 중심으로 도면의 R1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덮개(22)를 개방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고, 이에 의해 카세트 봄베(28)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봄베 수용실(23)의 내측에는 봄베 접속부(27)가 있고, 이 봄베 접속부(27)에 카세트 봄베(28)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봄베(28)로부터 도출된 연료 가스는, 봄베 접속부(27) 내에 설치된 가버너에 들어가 압력 조정되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가버너에서 조정된 최대의 압력(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이 됨)은 3.3×10-3㎫ 정도이다.
또한, 이 봄베 접속부(27)는 조작 손잡이부(24)와 접속되고, 카세트 봄베(28)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량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세트 봄베(28)로부터 봄베 접속부(27)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 가스는, 가스 도관(89)을 통해 가스 버너(20)에 공급된다.
가스 버너(20)는, 연료 가스와 1차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버너 보디(17)와, 이 버너 보디(17) 위에 설치된 버너 헤드(18)를 갖고 있다. 버너 헤드(18)는, 외측을 향해 노출되는 복수의 화염구(19)를 갖고, 이 화염구(19)로부터 혼합 가스가 분출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부(24)의 회전에 의해 이그나이터(38)가 눌려 펄스 전압이 발생하고, 그 펄스 전압에 의해 점화 플러그(39)가 방전됨으로써, 혼합 가스가 점화되어 화염이 발생한다. 화염은, 버너 헤드(18)의 외측 주위에 원환상으로 발생하고, 비교적 화염의 높이가 낮은 외염식 가스 버너로 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염이 내측으로 나오는 내염식이어도 상관없다.
가스 버너(20)를 수용하는 하우징(1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구(35)를 갖고 있다. 공기 도입구(35)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화염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하우징(15)은, 버너 헤드(18)의 상방에 원 형상의 개구부(33)를 갖고, 이 개구부(33)의 위치에 물 투입 용기(40)가 접속되어 있다.
[물 투입 용기에 대해]
물 투입 용기(40)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물 투입 용기(40)에 물을 담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도면은 후술하는 관통 구멍(52)과 저수부(44)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며,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도면은 플레이트(30)의 종단면의 확대도이다.
물 투입 용기(40)는, 본체부(12)의 하우징(1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열 조리기(10) 및 그곳에 수용된 카세트 봄베(28)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투입 용기(40)는, 하우징(15)의 개구부(33)보다 큰 직경 L4를 가짐으로써, 그 에지부가 하우징(15)의 개구부(33)의 주연 상에 접촉하여, 하우징(15)에 적재 가능해지고, 외부에 노출된 노출부(40A)와, 하우징(15)의 개구부(33)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저수부(44)를 갖고 있다.
저수부(4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측에 면하는 개구부(46)를 가짐과 함께 물이 저류되는 오목부이고, 이 저수부(44) 내의 물의 증기에 의해 주변 온도를 저하시켜, 가열 조리기(10) 및 그곳에 수용된 카세트 봄베(28)의 과열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물 투입 용기(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도넛 형상이며, 중앙부에 원형 구멍(42)이 개방되어 있다. 원형 구멍(42)의 직경 L1은, 적어도 버너 헤드(18)의 직경 L2보다 크고, 도면의 L1은 L2의 약 1.6 내지 1.8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5) 위에 물 투입 용기(40)를 적재해도, 가스 버너(20)로부터 발생한 화염의 연소열을, 원형 구멍(42)을 통해 플레이트(3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원형 구멍(42)과 노출부(40A) 사이에 저수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44)는 하우징(15)의 개구부(33)로부터 하방에 삽입되고, 가스 버너(20)에의 가스 공급량을 최대로 한 상태(가스 버너(20)를 최대 출력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화염(FR)의 외염(FR1)과 물(WT)이 대향하도록(높이 방향의 위치가 마찬가지로 되도록), 화염(FR)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화염(FR)의 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부(44)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폭 W1이 커지고, 플레이트(30)측에 면하는 개구부(46)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연소열에 의해 물(WT)이 증발하면, 플레이트(30)도 냉각된다(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함).
물 투입 용기(40)의 하우징(15)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노출부(40A)는, 저수부(44)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향의 단차부(48)를 갖고, 이 상향 단차부(48)에 플레이트(30)가 적재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플레이트(30)의 직경 L3은, 물 투입 용기(40) 전체의 직경 L4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30)의 주연(30A)의 단부면은, 물 투입 용기(40)의 상향 단차부(48)로부터 기립된 측벽부(49)에 대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의 간극을 남기도록 하여 대향하고(즉, 도 2에 도시한 플레이트(30)의 직경 L3은, 도 3에 도시한 물 투입 용기(40)의 측벽부(49)의 내주면의 직경 L5보다 약간 작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30)는 물 투입 용기(40)의 상향 단차부(48)에 놓으면 대략 끼워 넣어져, 사용 중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30)는, 가열 조리기(10)의 물 투입 용기(40) 내에 끼워지는 전용품으로 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품이 아닌 다른 플레이트(특히 큰 플레이트)를 놓는 것이 곤란하도록, 물 투입 용기(40)의 편측에는 제1 및 제2 돌출부(36, 3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36)는 측벽면(49)에 접속되어, 물 투입 용기(40)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연신되어, 물 투입 용기(40)의 직경 L4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가 적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2 돌출부(37)는, 제1 돌출부(36)에 비해 낮은 위치(전용품의 플레이트(30)를 적재하면, 그 아래에 가려지는 위치)에 있고, 물 투입 용기(40)의 중앙부의 원형 구멍(42)의 주연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연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 투입 용기(40)의 직경 L4보다 작고, 또한 원형 구멍(4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의 적재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36, 37)는, 모두 선단부가 물 투입 용기(40)의 중앙을 향해 굴곡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용품이 아닌 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는 범위를 좁히고 있다.
[플레이트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플레이트(30)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4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플레이트(30)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플레이트(30)를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상이한 고열전도 재료와 저열전도 재료를 갖고, 종단면이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3층 구조의 중앙층(60)은, 적어도 철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고열전도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이것과 구리·망간·규소·아연·니켈 등을 합금한 알루미늄 합금, 혹은 구리 등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량성과 강성을 겸비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고 있고, 그 열전도율은 96W/(m·k)이다.
이에 비해, 3층 구조의 상층(61) 및 하층(62)은, 고열전도율 재료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재료를 중앙층(60)(고열전도율 재료)의 표면에 도막하여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박막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불소 수지의 열전도율은 0.23W/(m·k)이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30)는, 고열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앙층(60)에 의해, 상면(30E)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즉시 열이 전달되는 것에 비해, 두께 방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플레이트(30)의 상면(30E)의 가열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원형의 판상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만곡되고,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중앙부(30B)로부터 주연(30A)을 향해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레이트(30)는 전체가 균일하게 만곡되어 경사져 있고, 곡률 반경 r2는 약 561㎜이다.
그리고 플레이트(30)는, 주로 고기를 굽기 위한 영역인 열 봉입부(30D)(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함)와, 열 봉입부(30D)보다 온도가 낮아, 다 구운 고기를 두거나, 다른 식재를 가열하기 위한 외주부(30C)로 이루어져 있다.
외주부(30C)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 구멍(52)은 저수부(44)의 개구부(46)와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30) 위에 놓인 고기로부터 나온 기름은 주연(30A)을 향해 흘러, 관통 구멍(52)으로부터 저수부(44)로 낙하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부(44)로 낙하한 기름은, 저수부(44) 내의 물에 의해 냉각되어, 연기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부(44)로부터의 수증기는 관통 구멍(52)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짐으로써, 관통 구멍(52)의 주변 온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30C)보다 중앙부(30B)측(후술하는 열 봉입부(30D))의 상면에 복수의 홈부(54)를 갖고 있다. 홈부(54)는, 고기로부터 나온 기름을 원활하게 외주부(30C)로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30C)에 형성된 관통 구멍(52)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홈부(54)로 떨어진 기름은 관통 구멍(52)으로부터 저수부(44)로 떨어뜨릴 수 있다.
홈부(54)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54)의 내측 저면(54a)도 중앙부(30B)로부터 주연(30A)을 향해 내려감으로써, 기름을 관통 구멍(52)까지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54)는, 평면에서 보아, 플레이트(30)의 반경 방향 r1을 따르지 않고, 반경 방향 r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부여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만곡됨으로써 각도가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30)가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라도, 고기 등의 식재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주부(30C)의 관통 구멍(52)은, 홈부(54)와는 반대측으로 구부러져 소정의 각도 θ2를 갖고 있고, 이에 의해, 홈부(54)를 따라 작은 식재가 외주부(30C)로 이동해 왔다고 해도, 관통 구멍(52)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의 주연(30A)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도면의 경우에는 4개)의 다리부(56)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도 3의 일점쇄선의 화살표 AR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30)를 물 투입 용기(40) 위에 놓아도, 이 다리부(56)끼리의 사이로부터 배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리부(56)의 높이 H2는 약 3㎜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연소열의 배기는, 이 주연(30A)의 다리부(56)끼리의 사이의 배기 루트(AR1)와, 관통 구멍(52)으로부터의 배기 루트(AR2)의 2종류뿐이며, 관통 구멍(52)이 식재로 폐색될 우려를 고려하면, 배기 루트(AR1)의 의의는 크다.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10)는 이상의 특징을 갖고 있고, 또한 이하의 특징도 갖고 있다.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에 대해]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는, 그 하면(30F)이 가스 버너(20)의 화염구(19)의 상방을 덮어, 하면(30F)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30D)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의 하면(30F)에는, 가스 버너(20)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프레임 형상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프레임 형상부(67)의 높이 H1은 6㎜이다. 그리고 이 프레임 형상부(67)와, 프레임 형상부(67)의 내측이며 하면(30F) 중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만곡된 부분(43)(이 부분(43)에는 관통 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이하, 「열충만 공간」이라고 함)(S1)이 되고, 본 실시 형태의 열충만 공간(S1)의 체적은 약 162,198㎣이다. 이 열충만 공간(S1)의 수평 방향의 내측에, 최대 출력으로 한 상태의 화염(FR)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열충만 공간(S1)에 연소열을 충분히 들어차게 하여, 화염이 플레이트(30)에 접촉하지 않아도, 열충만 공간(S1)에 대응한 열 봉입부(30D) 위에 놓인 고기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을 플레이트(30)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플레이트(30)의 국소적인 과열을 방지하고, 과열 부분에 고기의 기름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령, 프레임 형상부(67)에 기름이 부착되었다고 가정하였다고 해도, 그 기름은, 프레임 형상부(67)의 바로 아래에 있는 저수부(44)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 점에서, 프레임 형상부(67)의 바로 아래에 저수부(44)를 배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충만 공간(S1)은 저수부(44)의 플레이트(30)측에 면하는 개구부(46)와 대향하는 영역을 조금 갖게 되고, 화력에 따라서는, 저수부(44) 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열충만 공간(S1) 내로 진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연소열은 열충만 공간(S1)보다 외측에 있는 관통 구멍(52)과 주연(30A)만으로부터 배기되기 때문에, 가스 버너(20)를 최대 출력으로 한 경우, 배기 루트(AR1, AR2)의 작용에 의해, 저수부(44) 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WA)가 열충만 공간(S1) 내로 진입하는 일은 거의 없다.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 등에 대해]
다음으로,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염(FR)이 플레이트(30)의 하면(30F)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조정되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버너 헤드(18)로부터 화염(FR)의 상단부까지의 높이 H3은 약 20㎜(이 높이 H3이면, 다소 바람이 불어도 바로는 꺼지지 않는 경우도 고려), 화염(FR)의 상단부로부터 프레임 형상부(67)의 하단부(가장 가까운 열충만 공간(S1)의 부분)까지의 높이 H4는 약 24.2㎜, 화염(FR)의 상단부로부터 하면(30F)의 중앙(가장 먼 열충만 공간(S1)의 부분)까지의 높이 H5는 약 35.5㎜이다.
그리고 올려놓은 고기가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 후로부터 고기를 다 구울 때까지의 동안,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가 약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 상면 온도 약 210 내지 250℃는, 고기를 굽는 데 최적인 온도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플레이트(30)의 상면 온도가 250℃를 초과하면 고기로부터 나온 지분이 타서 연기가 나기 쉬워지고, 반대로 210℃를 하회하면 고기가 구워지지 않고 비교적 고기의 수분이 많이 빠져 버려, 그 결과, 고기가 퍽퍽해져 맛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고기의 맛에 대해서는 감각 시험의 결과이며(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고기를 사용), 또한 고기의 종류나 조미료의 유무에도 좌우되기 때문에, 210℃의 상면 온도에 대해서는, 다소의 오차(예를 들어, 200℃)가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 약 210 내지 250℃에 대해서는,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을 850 내지 950㎉/h로 하고, 또한 플레이트(30)의 요철(즉, 열 봉입부(30D)의 상면에 형성된 소요의 홈부(54)에 의한 표면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특히 큰 플레이트를 올려놓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플레이트가 작아질 수밖에 없는 카세트 풍로이며, 다양한 구성이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열 봉입부(30D)의 상면에 홈부(54)를 형성하여 표면적을 조정할 뿐만 아니라, 열 봉입부(30D)보다 외측의 외주부(30C)에 형성된 관통 구멍(52)이나, 이 관통 구멍(54)의 아래에 배치된 저수부(44)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 이상의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 「플레이트(30)의 구성(주로 홈부(54)나 관통 구멍(52), 및 이것에 기인하는 표면적)」 「저수부(44)」의 각 요소를 상관적으로 조정 내지 형성함으로써, 최대 출력하에 있어서의 열 봉입부(30D)의 약 210 내지 250℃라고 하는 상면 온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래서 다음으로, 플레이트(30)의 또 다른 특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레이트(30)의 또 다른 특징]
플레이트(30)는, 크게 구별하여, 열충만 공간(S1)의 상방에 있는 원 형상의 열 봉입부(30D)와, 그 외측(외주측)에 일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부(30C)로 이루어져 있다.
열 봉입부(30D)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이며 요철이 없는 중앙부(30B)와, 이 중앙부(30B)보다 외측이며, 복수의 홈부(54)가 형성된 영역(30G)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30B), 홈부(54)가 형성된 영역(30G), 외주부(30C)는 동심원이다.
이 플레이트(30)의 상면(30E)에 대해서는, 홈부(54)나 관통 구멍(52)을 감안하지 않는 경우, 열 봉입부(30D)의 면적이 약 183.8㎠(총 면적의 약 43%), 외주부(30C)의 면적이 약 244.2㎠(총 면적의 약 57%)이다.
플레이트(30)의 두께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하방을 향해 굴곡된 주연(30A)의 두께 D1이 약 3.0㎜, 그 밖의 도 3에 도시한 홈부(54)를 제외한 영역의 두께 D2는 약 2.0㎜, 홈부(54)의 깊이 D3은 약 0.6㎜, 홈부(54)가 있는 장소의 두께 D4는 1.4㎜이다.
이러한 플레이트(30)는, 홈부(54)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상면(30E)의 총 면적은 약 428㎠인 것에 비해, 홈부(54)를 형성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대부분이 열 봉입부(30D)의 상면에 형성), 상면(30E)의 총 면적은 약 437㎠로, 표면적을 약 2% 증가시키고 있다(즉, 홈부(54)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30)의 요철은, 표면적을 크게 하여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방열부임).
또한, 복수의 홈부(54)는 모두 마찬가지의 형상이며, 도 4, 및 이 도 4에 도시한 B 부근(홈부(54)의 플레이트 중앙측)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30C)와는 반대측의 내측 측면(54a)이, 외주부(30C)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의 내측 측면의 개구부 주변(54b)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폭 치수 W2가 커지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홈부(54) 안으로 고기의 기름을 원활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고, 또한 홈부(54) 안에 열이 차서 과열되어, 홈부(54) 내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관통 구멍(52)은, 길이 L6이 27㎜, 전체 개공 면적은 약 45㎠로, 플레이트(30)의 상면(30E)에 홈부(54)를 형성한 본 실시 형태의 총 면적(약 437㎠)에 대해 약 10%로 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2)은, 플레이트(30)의 표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지만, 저수부(44) 내의 물 증발 작용을 받는 영향 쪽이 커, 이 때문에, 개공 면적을 크게 할수록, 플레이트(30)의 온도를 낮추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C 부근(홈부(54)와 관통 구멍(52)의 연결 부분의 주변)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52)의 내측 측면(52a)은, 홈부(54)와는 달리 수직이며, 신속한 기름의 낙하가 가능하다.
또한, 관통 구멍(52)과 홈부(54)가 연결된 부분(JT)에 있어서의 홈부(54)의 폭 치수 W3과 관통 구멍(52)의 폭 치수 W4는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홈부(54) 내를 흘러 온 기름은, 연결된 부분(JT)에서 머무르는 일 없이 신속하게 관통 구멍(52)을 통과하여, 연기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 「플레이트(30)의 구성(주로 홈부(54)와 관통 구멍(52))」 「저수부(44)」의 각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휴대식 카세트 풍로)(10)와 같이 비교적 소형이며 고온이 되기 쉬운 플레이트(30)라도,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850 내지 950㎉/h)하에서, 열 봉입부(30D)의 상면의 온도를 대략 210 내지 250℃ 사이에서 추이시킬 수 있었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10)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이며,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을 950㎉/h로 한 경우와 850㎉/h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플레이트의 상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에서는,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4㎝ 이격된 위치(즉, 도 4의 홈부(54)가 형성된 영역(30G))의 온도를 계측한 것이다. 또한, 도 8에서는, 플레이트 위에 고기 등의 식재를 올려놓지 않고 가열한 것이며, 플레이트를 가열 종료한 후의 상태는,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고기가 플레이트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 후의 상태)와 동일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을 950㎉/h로 한 경우, 약 6분 정도에 250℃ 부근까지 도달하고(플레이트를 가열 종료하고), 그 후 30분을 넘는 동안, 플레이트의 상면은 250℃ 전후였다. 이것으로부터, 가스 버너를 최대 출력으로 한 채, 고기가 구워질 때까지의 동안, 계속 연기가 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을 850㎉/h로 한 경우, 약 8분 정도에 210℃ 부근까지 도달하고(플레이트를 가열 종료하고), 그 후 30분을 넘는 동안, 플레이트의 상면은 210℃ 전후였다. 이것으로부터,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을 850㎉/h로 해도, 고기가 구워질 때까지의 동안, 계속 연기가 나기 어렵고, 또한 퍽퍽해지는 일이 없는 맛있는 고기를 구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이하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플레이트(30)는, 열충만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해 가스 버너(20)측으로 돌출된 프레임 형상부(67)(도 5도 참조)와, 이 프레임 형상부(67)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의 관통 구멍(52)을 갖고 있지만,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은 고기의 기름이 표면 장력에 의해 고이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52)으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은, 프레임 형상부(67)가 가까우면, 기름의 일부가 프레임 형상부(67)에 접촉하여, 표면 장력에 의해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 사이의 코너부에 고여 버리지만, 기름의 프레임 형상부(67)에의 접촉을 유효하게 피할 수 있도록,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을 이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30)의 하면(30F)에 기름이 부착되고, 이것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 사이의 부분(70)은, 관통 구멍(52)에 빠지는 배기 루트(AR2)에 인접하여 바로 위에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열되기 쉬워, 이 부분(70)의 기름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은 연기 발생 방지의 면에서 유효하다. 도 3의 부분(70)의 치수(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의 이격 치수) W5는, 플레이트(30)의 곡률 반경 r2가 상술한 약 561㎜인 경우, 대략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대략 3㎜로 되어 있다.
또한, 발명자는, 당초, 기름은 열충만 공간(S1) 쪽으로 유입되지 않으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프레임 형상부(67)를 이중으로 해 보았지만, 그래도 프레임 형상부와 관통 구멍의 사이로부터 연기가 나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을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시킴으로써, 애당초 기름이 고이지 않는 구조로 하고, 이에 의해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상온(15 내지 25℃)의 환경하에서,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850 내지 950㎉/h)」 「플레이트(30)의 구성(주로 홈부(54)와 관통 구멍(52), 및 이것에 기인하는 표면적)」 「저수부(44)」의 각 요소를 상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올려놓은 고기가 플레이트(30)를 탈열하여 플레이트(30)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 후, 고기가 다 구워질 때까지의 동안 계속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를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시켜, 열 봉입부(30D)의 상면으로부터의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외주부(30C)의 상면은, 저수부(44)로부터의 수증기에 의한 주변 온도의 저하에 수반하여, 적어도 열 봉입부(30D)보다 상면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연기가 발생하는 일은 별로 없다.
또한, 플레이트(30)의 하면에 대해서는, 열 봉입부(30D)의 하면은, 프레임 형상부(67)에 의해 기름이 유입되는 일은 없어, 그곳으로부터 연기가 발생하는 일이 통상 없다.
그리고 플레이트(30)의 하면에 대해 연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은, 프레임 형상부(67)와 관통 구멍(52) 사이의 배기 루트(AR2)에 인접하여 바로 위에 존재하는 부분(70)이지만, 이 부분(70)에는 기름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플레이트(3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장소에 있어서도 연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는 우수한 가열 조리기(10)가 된다. 게다가, 사용자는, 도 1의 조작 손잡이부(24)를 몇 번이나 조작할 필요가 없이, 가스 버너(20)를 최대 출력으로 한 채로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퍽퍽해지는 일이 없는 맛있는 고기구이를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개별의 구성은, 필요에 의해 생략하거나, 설명하지 않는 다른 구성과 조합하거나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플레이트(30)는, 열 봉입부(30D)의 더 외측에 외주부(30C)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에는 외주부(30C)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열 봉입부(30D)만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여도 상관없다. 그 경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주부(30C)에 의한 열 봉입부(30D)에의 온도 영향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열 봉입부(30D)의 요철을 증가시켜 표면적을 크게 하거나 하여,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850 내지 950㎉/h)하에서,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를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플레이트(30)에 외주부(30C)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외주부(30C)에 관통 구멍(52)을 형성하지 않고, 외주부(30C)의 표면적을 요철 형상에 의해 증가시키거나, 주연(30A)의 다리부(56)를 높게 함으로써, 외주부(30C)의 상면 온도를 열 봉입부(30D)보다 낮게 하여, 외주부(30C)의 열 봉입부(30D)에 대한 탈열에 의해,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를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시켜도 된다.
즉, 본 발명은, 가스 버너(20)의 최대 출력을, 화염이 플레이트(30)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인 850 내지 950㎉/h로 하고, 또한 플레이트(30)는, 열 봉입부(30D)의 상면 온도가, 올려놓은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출력하에서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 가장 특징을 갖고 있다.
10 : 가열 조리기(카세트 풍로)
12 : 본체부
19 : 화염구
20 : 가스 버너
30 : 플레이트
30C : 외주부
30D : 열 봉입부
44 : 저수부
52 : 관통 구멍
54 : 홈부(요철)
67 : 프레임 형상부
S1 :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열충만 공간)
FR : 화염
12 : 본체부
19 : 화염구
20 : 가스 버너
30 : 플레이트
30C : 외주부
30D : 열 봉입부
44 : 저수부
52 : 관통 구멍
54 : 홈부(요철)
67 : 프레임 형상부
S1 :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열충만 공간)
FR : 화염
Claims (6)
-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 버너가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가스 버너의 상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그 하면이 상기 가스 버너의 화염구의 상방을 덮어, 상기 하면측에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열 봉입부를 갖고, 또한 상면이 넓어지는 방향에 대해 고열전도율을 갖는 고열전도율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버너의 최대 출력은, 화염이 상기 하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며, 또한 850 내지 950㎉/h로 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놓인 상기 고기에 의한 탈열 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출력하에서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열전도율 재료의 표면에, 상기 고열전도율 재료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재료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측에 면하는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물이 저류되는 저수부가 형성된 물 투입 용기가 접속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열 봉입부의 더 외측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외주부를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 온도가 상기 대략 210 내지 250℃의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그 면적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주부의 주연을 향해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요철은, 상기 열 봉입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홈부의 각각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홈부와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연결된 부분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외주부와는 반대측의 내측 측면은, 상기 외주부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측에는, 상기 연소열이 들어차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스 버너측으로 돌출된 프레임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관통 구멍은, 고기의 기름이 표면 장력에 의해 고이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96268A JP6375336B2 (ja) | 2016-05-12 | 2016-05-12 | 加熱調理器 |
JPJP-P-2016-096268 | 2016-05-12 | ||
PCT/JP2017/017542 WO2017195777A1 (ja) | 2016-05-12 | 2017-05-09 | 加熱調理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319A true KR20190008319A (ko) | 2019-01-23 |
KR102363015B1 KR102363015B1 (ko) | 2022-02-16 |
Family
ID=6026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6124A KR102363015B1 (ko) | 2016-05-12 | 2017-05-09 | 가열 조리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375336B2 (ko) |
KR (1) | KR102363015B1 (ko) |
CN (1) | CN209610879U (ko) |
TW (1) | TWI758292B (ko) |
WO (1) | WO201719577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96476A (zh) | 2017-08-09 | 2019-07-09 |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 烹饪装置及其部件 |
USD914436S1 (en) | 2018-06-19 | 2021-03-30 | Sharkninja Operating Llc |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
USD883015S1 (en) | 2018-08-09 | 2020-05-05 | Sharkninja Operating Llc |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
USD934027S1 (en) | 2018-08-09 | 2021-10-26 | Sharkninja Operating Llc | Reversible cooking rack |
USD883014S1 (en) | 2018-08-09 | 2020-05-05 | Sharkninja Operating Llc | Food preparation device |
USD903413S1 (en) | 2018-08-09 | 2020-12-01 | Sharkninja Operating Llc | Cooking basket |
US11051654B2 (en) | 2019-02-25 | 2021-07-06 | Sharkninja Operating Llc |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
EP3931493A1 (en) | 2019-02-25 | 2022-01-05 | SharkNinja Operating LLC | Cooking system with guard |
USD982375S1 (en) | 2019-06-06 | 2023-04-04 | Sharkninja Operating Llc | Food preparation device |
USD918654S1 (en) | 2019-06-06 | 2021-05-11 | Sharkninja Operating Llc | Grill plate |
JP7166632B2 (ja) | 2019-12-25 | 2022-11-08 | サンタ株式会社 | ロースター |
US11134808B2 (en) | 2020-03-30 | 2021-10-05 | Sharkninja Operating Llc |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10A (ja) | 1983-06-15 | 1985-01-07 | Mitsubishi Heavy Ind Ltd | 車両空調装置 |
JPH0271432U (ko) * | 1988-11-15 | 1990-05-31 | ||
JPH0365226U (ko) * | 1989-10-27 | 1991-06-25 | ||
KR100221694B1 (ko) * | 1996-11-28 | 1999-09-15 | 이흥규 | 고기 구이판 |
US20060162574A1 (en) * | 2005-01-21 | 2006-07-27 | Prip Peter F | Modified grill top cooking tool with radiused end caps |
JP3142998U (ja) | 2008-04-22 | 2008-07-03 | 進 須藤 | 食品用無煙焼き物プレート |
KR20130005392U (ko) * | 2012-03-06 | 2013-09-16 | 김장현 | 고기 구이판 |
JP2016054916A (ja) * | 2014-09-09 | 2016-04-21 | 東京瓦斯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0129A (ja) * | 1998-11-06 | 2000-05-30 | Toshiba Corp | 電磁誘導加熱方式ホットプレート |
JP3065226U (ja) * | 1999-06-25 | 2000-02-02 | 弼彙 趙 | 調理装置 |
JP2001275844A (ja) * | 2000-03-31 | 2001-10-09 | Totsu:Kk | 焼物調理器 |
JP3744874B2 (ja) * | 2002-04-01 | 2006-02-15 | サンタ株式会社 | 鉄板焼テーブル |
TWI255325B (en) * | 2003-10-30 | 2006-05-21 | Huei-Shiung Jau | Device for efficiently utilizing heat source |
TW200928237A (en) * | 2007-12-24 | 2009-07-01 | Pro Iroda Ind Inc | A heating device for fuel gas bottle |
-
2016
- 2016-05-12 JP JP2016096268A patent/JP6375336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5-09 KR KR1020187036124A patent/KR1023630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5-09 WO PCT/JP2017/017542 patent/WO201719577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5-09 CN CN201790000851.3U patent/CN209610879U/zh active Active
- 2017-05-11 TW TW106115627A patent/TWI758292B/zh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10A (ja) | 1983-06-15 | 1985-01-07 | Mitsubishi Heavy Ind Ltd | 車両空調装置 |
JPH0271432U (ko) * | 1988-11-15 | 1990-05-31 | ||
JPH0365226U (ko) * | 1989-10-27 | 1991-06-25 | ||
KR100221694B1 (ko) * | 1996-11-28 | 1999-09-15 | 이흥규 | 고기 구이판 |
US20060162574A1 (en) * | 2005-01-21 | 2006-07-27 | Prip Peter F | Modified grill top cooking tool with radiused end caps |
JP3142998U (ja) | 2008-04-22 | 2008-07-03 | 進 須藤 | 食品用無煙焼き物プレート |
KR20130005392U (ko) * | 2012-03-06 | 2013-09-16 | 김장현 | 고기 구이판 |
JP2016054916A (ja) * | 2014-09-09 | 2016-04-21 | 東京瓦斯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375336B2 (ja) | 2018-08-15 |
TWI758292B (zh) | 2022-03-21 |
JP2017202159A (ja) | 2017-11-16 |
TW201809551A (zh) | 2018-03-16 |
WO2017195777A1 (ja) | 2017-11-16 |
CN209610879U (zh) | 2019-11-12 |
KR102363015B1 (ko) | 2022-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08319A (ko) | 가열 조리기 | |
JP5975179B2 (ja) | 焼き器 | |
ES2534409T3 (es) | Aparato para cocinar productos alimenticios | |
KR101546526B1 (ko) |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 |
US20130288189A1 (en) | Heat isolating torch | |
US20110168033A1 (en) | Body arrangemen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direct-broiling cooker | |
KR101314978B1 (ko) |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 |
KR20170011040A (ko) | 간접열 오리 구이기 | |
CN105222191B (zh) | 炉具 | |
KR200482007Y1 (ko) |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 |
KR200484169Y1 (ko) | 음식물 조리대 | |
JP2020020556A (ja) | ガスコンロ | |
JP3183606U (ja) | コンロ用補助器具 | |
KR102427338B1 (ko) | 다기능 화로구이 장치 | |
JP2005140435A (ja) | ガスコンロ | |
JP2009247561A (ja) | ガスコンロ用焼き網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容器 | |
KR20110032119A (ko) | 가스 그리들 장치 | |
KR102390179B1 (ko) |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 |
CN210688219U (zh) | 燃烧器和燃气灶具 | |
KR101017134B1 (ko) | 오리지널 직화 오븐 | |
KR20090007686U (ko) | 구이판 | |
JP3196194U (ja) | 直火加熱器用熱風防止装置 | |
KR101935135B1 (ko) | 난방 기능을 갖는 촛불화로 | |
KR200315628Y1 (ko) | 과열 방지용 육류구이판 | |
KR100807064B1 (ko) | 오븐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