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324A - 의료용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전동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4324A KR20180114324A KR1020170045904A KR20170045904A KR20180114324A KR 20180114324 A KR20180114324 A KR 20180114324A KR 1020170045904 A KR1020170045904 A KR 1020170045904A KR 20170045904 A KR20170045904 A KR 20170045904A KR 20180114324 A KR20180114324 A KR 20180114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hinge
- cross arm
- variable hinge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는, 침대의 평면 형상에 따라 둘레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두부측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 크로스암, 제2 크로스암 및 제3 크로스암을 순차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크로스암 및 상기 제2 크로스암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가변힌지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변힌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부, 중앙 받침부, 제1 다리받침부 및 제2 다리받침부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시트부; 일단부는 상기 제3 크로스암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변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힌지를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가변힌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측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받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제1 다리받침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중앙 받침부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다리받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제3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다리 받침부에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용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침대의 등받이와 다리받침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의료용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병원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하여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병원침대에 있어 등받이 회동기구는 보호자가 조작핸들을 돌려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식이 있는 반면, 구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식이 있다.
수동식은 별도의 장치가 매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적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거동 자체가 불편한 환자들은 보호자가 없는 경우 사용자체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근자에는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보다 편리한 전동식의 병원침대가 선호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전동침대의 일 예인 국내 등록특허 10-0621349호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침대는 크게 침대프레임(10), 침대프레임(10) 상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부(21) 및 다리받침부(22)를 포함하는 동작모듈(20), 동작모듈(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의 의해서 구동하는 복수 개의 링크로 구성된 구동모듈(30: 도 2참조) 및 침대프레임(10) 하단에 위치하여 구동모듈(30)의 동작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40: 도 2참조)로 구성된다.
침대프레임(10)은 동작모듈(20) 전체를 상부에 지지하며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모듈(30)을 구비한다. 동작모듈(20)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각각의 부위에 위치하며 각각의 부재가 동작모듈(20)의 동작에 의해서 틸팅되도록 구성된다. 동작모듈(20)은 등받이부(21), 대퇴부(22a), 정강이부(22b) 및 발판부(22c)로 구성된다. 구동모듈(30)은 복수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침대프레임(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서로 힌지 결합되어 동력모듈(40)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동작모듈(20)의 상태를 조절한다.
동력모듈(40)은 제 1액츄에이터(41: 도 2참조) 및 제 2액츄에이터(42: 도 2참조)로 구성되어 각각의 제 1액츄에이터(41)는 등받이부(21)가 틸팅되도록 동력을 가해주고 제 2액츄에이터(42)는 다리받침부(22)가 틸팅되도록 동력을 가해준다.
등받이부(21)는 침대프레임(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일단이 침대프레임(10)에 구비된 고정부(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듈(30)에 의해서 타단이 상향 틸팅된다. 대퇴부(22a)는 일단이 고정부(5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강이부(22b)는 일단이 대퇴부(22a)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발판부(22c)는 일단이 대퇴부(22a)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리받침부(22)가 구성되어 침대프레임(10)에 결합된 구동모듈(30)에 의해서 다리받침부(22)가 상향으로 틸팅된다.
구동모듈(30)은 동력모듈(40)에 구비된 제 1액츄에이터(41)의 신축에 의해 등받이부(21)의 틸팅을 조절하는 제 1링크부(31: 도 2참조)와 제 2액츄에이터(42)의 신축에 의해 다리받침부(22)의 틸팅을 조절하는 제 2링크부(32: 도 2참조)로 구성된다.
제 1링크부(31)는 일측이 등받이부(21)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구동링크(31a: 도 2참조) 및 일측이 제 1구동링크(31a: 도 2참조)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와 함께 제 1액츄에이터(4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침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보조링크(31b: 도 2참조)로 구성된다.
제 2링크부(32)는 일측이 다리받침부(22)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구동링크(32a: 도 2참조) 및 일측이 제 2구동링크(32a)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침대프레임(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가 제 2액츄에이터(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보조링크(32b: 도 2참조)로 구성된다.
또한, 일측이 제 2구동링크(32a)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침대프레임(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2구동링크(31a)를 지지하는 지지링크(32c: 도 2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전동침대는 등받이부와 다리받침부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많은 수의 링크와 관절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동침대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등받이부와 다리받침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간단한 동력전달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의료용 전동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는, 침대의 평면 형상에 따라 둘레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두부측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 크로스암, 제2 크로스암 및 제3 크로스암을 순차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크로스암 및 상기 제2 크로스암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가변힌지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변힌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부, 중앙 받침부, 제1 다리받침부 및 제2 다리받침부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시트부; 일단부는 상기 제3 크로스암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변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힌지를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가변힌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측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받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제1 다리받침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중앙 받침부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다리받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제3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다리 받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로스암 및 제2 크로스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부측 단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크로스암은 상기 중앙 받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족부측 단부와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나란한 두 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크로스암은 상기 제1 연장부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는 상기 제1 다리받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제2 다리받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다리받침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크로스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제4 크로스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나란한 두 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 크로스암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부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다리받침부의 족부측 단부 하단에는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족부측에는 상기 제1 다리받침부의 각도 조절시 상기 바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제1 구동부가 가변힌지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등받이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는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부와 다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동침대의 등받이부와 다리 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예 따른 제1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싱예에 따른 제2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중간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렝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프레임 중 시트부들,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및 중간 지지프레임이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 제1 메인 프레임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동침대의 등받이부와 다리 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예 따른 제1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싱예에 따른 제2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중간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렝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프레임 중 시트부들,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및 중간 지지프레임이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 제1 메인 프레임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동침대의 등받이부와 다리 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100)는 메인 프레임(110), 헤드패널(101), 풋패널(103), 사이드 레일(105) 및 시트부(120, 121, 122, 123, 124)를 포함한다. 이외에 기타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 및 메인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침대의 평면 상 외형을 형성하도록 둘레에 프레임을 형성한다. 시트부(120)들은 메인 프레임(110) 상에 구비되어 메트리스 등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 패널(101) 방향을 두부측이라 하고, 풋 패널(103) 방향을 족부측이라 칭한다.
시트부(120)는 등받이부(121), 중앙 받침부(122), 제1 다리받침부(123) 및 제2 다림받침부(124)를 포함한다. 등받이부는 헤드 패널(101) 측에 구비되며, 등받이부(121)로부터 족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중앙 받침부(122), 제1 다리받침부(123) 및 제2 다림받침부(124)가 구비된다.
중앙 받침부(122)는 메인 프레임 상에 고정되며, 등받이부(121)는 중앙 받침부(122) 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인체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다리 받침부(123)는 중앙 받침부(122) 측에 인접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인체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잇도록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다리 받침부(124)는 제1 다리 받침부(124)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다리 받침부(124)는 메인 프레임(110)과 결합하지는 않으며 제1 다리 받침부(123)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제2 다리 받침부(124)의 족부측 단부가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메인 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예 따른 제1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싱예에 따른 제2 메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메인 프레임(110)은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메인 프레임(110a)과 제2 메인 프레임(11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메인 프레임(110a)은 중앙 받침부(1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 받침부(122)로부터 족부측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프레임(110a)은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118)과 외측 프레임(118)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11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임(117)은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된다.
보강 프레임(117) 간에는 제3 크로스암(115)와 제4 크로스암(117)이 구비된다. 제3 크로스암(115)은 중앙 받침부(122)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제4 크로스암(117)은 제3 크로스암(115)과 제1 메인 프레임(110a)의 족부측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보강 프레임(117)에는 각각 제1 연장부(1131)와 제2 연장부(1111)가 보강 프레임(117)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장부(1131)와 제2 연장부(1111)는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제1 연장부(1131)의 하단에는 제3 크로스암(115)이 연결되고, 제2 연장부(1111)의 하단에는 제4 크로스암(117)이 연결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1181)에는 제1 다리받침부가 연결될 제2 힌지부(1122)가 구비된다. . 제2 힌지부(112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다리받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메인 프레임(110b)는 두부측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외측 프레임(118)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곽 둘레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보강 프레임(1181)은 외측 프레임(118)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외측 프레임(118)을 보강한다.
본 실시예예 따른 보강 프레임(1181) 간에는 제1 크로스암(111)과 제2 크로스암(113)이 연결된다. 제2 크로스암(113)은 족부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제1 크로스암(111)은 제2 크로스암(113)과 메인 프레임(110b)의 두부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크로스암(111)과 제2 크로스암(113) 사이에는 가변힌지 레일부(114)가 구비된다. 가변힌지(119)는 가변힌지 레일부(114)를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가변힌지(119)는 가변힌지 레일부(114)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 메인 프레임(110b)의 족부측에는 한 쌍의 제1 힌지부(1121)가 구비된다. 제1 힌지부(112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침부가 연결되어 회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중간 지지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중간 지지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 지지프레임(130)에는 중앙부에 중앙 보강 프레임(138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지지프레임(130)의 두부측과 족부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암(131, 133)이 구비된다. 지지암(131, 133)들은 중간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암(131, 133)들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중간 지지프레임(130) 및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하부 지지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하부 지지프레임(140)은 의료용 전동침대의 최하층의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하부 지지프레임(140)에는 각각 모서리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동침대의 지지를 위한 다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지지프레임(140)은 사각의 외측 프레임(148)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보강암(1481)이 구비될 수 있다. 보강암(1481)에는 유압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실린더 연결부(1483)이 형성된다.
하부 지지프레임(140)의 외측 프레임(148)에는 두부측과 족부측에 각각 한 쌍의 제4 힌지부(1421)와 제5 힌지부(1422)가 구비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메인 프레임의 높이 조절기능을 설명한다. 도 9는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중간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렝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프레임 중 시트부들, 제1 메인 프레임, 제2 메인 프레임 및 중간 지지프레임이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하부에는 하부 지지프레임(140)이 위치한다. 하부 지지프레임(140)의 제4 힌지부(1421)와 제5 힌지부(1422)에는 각각 회전부(149)가 결합한다. 회전부(149)는 제4 힌지부(1421)와 제5 힌지부(14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각각 제1 연결점(1493)과 제2 연결점(1491)이 형성된다. 제1 연결점(1493)에는 각각 연결암(1495)의 양 단부가 연결되고, 제2 연결점(1491)에는 앞서 설명한 중간 프레임(130)의 지지암(133)이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제1 연결점(1493)을 족부측으로 밀어내면, 회전부(149)가 회점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연결점(1491)이 상승하게 된다.
제2 연결점(1491)이 각각 상승함에 따라 중간 지지프레임(130)에 구비된 지지암(133)이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메인 프레임(110)과 중간 프레임(13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시트부의 각도 조절기능을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 제1 메인 프레임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 구동부(150)의 일단부는 메인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1 연장부(1131)에 연결된다. 또한 제2 구동부(150)의 타측 단부는 가변 힌지(160)에 연결된다. 제1 구동부(150)는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가변 힌지(160)를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가변 힌지(1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1 구동부(150)가 가변 힌지(160)를 밀거나 당기는 경우 가변 힌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 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한다.
크랭크암(152)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등받이부(12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가변 힌지(160)에 연결된다. 가변 힌지(160)가 우측으로 진행하는 경우 크랭크암(152)은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등받이부(121)를 밀어올리게 된다.
종래의 경우 크랭크 연결부(1213)와 같이 힘의 작용점이 등받이부(121)를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힌지부(1211)에 근접하도록 형성하여야 했다. 힘의 작용점이 등받이부(121)의 제1 힌지부(1211)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유압 실린더의 밀어내는 힘에 비하여 등받이부에 발생하는 토크가 미비하여 각도를 조절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식의 경우 가변 힌지(160)의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등받이부(121)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 즉 크랭크 연결부(1213)의 위치가 두부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등받이부(121)의 각도 조절에는 영향이 없다.
제2 구동부(151)는 일측 단부가 제2 연장부(11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1 다리 받침부(123)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구동부(151)는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제1 다리 받침부(123)가 회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제2 다리받침부(124)의 족부측 단부 하단에는 바퀴부(1245)가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족부측에는 제1 다리받침부(123)의 각도 조절시 제1 다리받침부(124)의 족부측 단부를 지지하면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의료용 전동 침대
110: 메인 프레임
120: 시트부
130: 중간 지지프레임
140: 하부 지지프레임
150: 제1 구동부
151: 제2 구동부
152: 크랭크암
160: 가변힌지부
110: 메인 프레임
120: 시트부
130: 중간 지지프레임
140: 하부 지지프레임
150: 제1 구동부
151: 제2 구동부
152: 크랭크암
160: 가변힌지부
Claims (10)
- 침대의 평면 형상에 따라 둘레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두부측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 크로스암, 제2 크로스암 및 제3 크로스암을 순차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크로스암 및 상기 제2 크로스암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가변힌지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변힌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부, 중앙 받침부, 제1 다리받침부 및 제2 다리받침부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시트부;
일단부는 상기 제3 크로스암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변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힌지를 상기 가변힌지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가변힌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측에 양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받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제1 다리받침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중앙 받침부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다리받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제3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다리 받침부에 결합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인 의료용 전동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암 및 제2 크로스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부측 단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크로스암은 상기 중앙 받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족부측 단부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나란한 두 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크로스암은 상기 제1 연장부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제1 다리받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제2 다리받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다리받침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크로스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제4 크로스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나란한 두 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 크로스암은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부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인 의료용 전동 침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받침부의 족부측 단부 하단에는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족부측에는 상기 제1 다리받침부의 각도 조절시 상기 바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의료용 전동 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5904A KR20180114324A (ko) | 2017-04-10 | 2017-04-10 | 의료용 전동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5904A KR20180114324A (ko) | 2017-04-10 | 2017-04-10 | 의료용 전동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4324A true KR20180114324A (ko) | 2018-10-18 |
Family
ID=6413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5904A KR20180114324A (ko) | 2017-04-10 | 2017-04-10 | 의료용 전동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432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788A (ko) * | 2020-02-06 | 2021-08-18 | 최혁순 | 폴딩형 침대 |
CN114766859A (zh) * | 2022-03-31 | 2022-07-22 | 小月智能科技(宁波)有限公司 | 一种整体仿生律动式电动床架 |
KR102441656B1 (ko) | 2022-02-15 | 2022-09-07 | 강용원 | 프레스 강판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고강도 환자용 침대 |
-
2017
- 2017-04-10 KR KR1020170045904A patent/KR2018011432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788A (ko) * | 2020-02-06 | 2021-08-18 | 최혁순 | 폴딩형 침대 |
KR102441656B1 (ko) | 2022-02-15 | 2022-09-07 | 강용원 | 프레스 강판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고강도 환자용 침대 |
CN114766859A (zh) * | 2022-03-31 | 2022-07-22 | 小月智能科技(宁波)有限公司 | 一种整体仿生律动式电动床架 |
CN114766859B (zh) * | 2022-03-31 | 2024-04-05 | 小月智能科技(宁波)有限公司 | 一种整体仿生律动式电动床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4841B1 (ko) |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 |
US8806682B2 (en) | Advanced articulation system and mattress support for a bed | |
TWI484950B (zh) | 座椅式按摩器 | |
US9004508B2 (en) | Movable bed | |
KR101317480B1 (ko) | 병원용 다기능 전동침대 | |
JP2008536590A (ja) | 医療用ダブルモータ式ベッド | |
US10881567B2 (en) | Patient support apparatus | |
KR20180114324A (ko) | 의료용 전동침대 | |
US20100071132A1 (en) | Bed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 | |
KR20210060031A (ko) | 의료용 침대 | |
CN113599113A (zh) | 一种可分离多功能护理床 | |
KR20160065467A (ko) | 샴푸 전동 의자 | |
KR102177096B1 (ko) | 전동 매트리스 | |
KR102361754B1 (ko) | 의료용 전동 침대 | |
KR200274482Y1 (ko) | 환자용 침대 | |
KR102081700B1 (ko) | 조립식 전동침대 | |
US20220087439A1 (en) | Driving mechanism and adjustable bed therewith | |
CN109310213B (zh) | 床结构部件以及床装置 | |
TW201228652A (en) | Bed device and feet parts descending mechanism | |
JP2001258952A (ja) | 介護ベッド | |
TW201236666A (en) | Bed device | |
WO2019196190A1 (zh) | 一种沙发椅架及沙发 | |
JP7165801B2 (ja) | 寝台構成部材および寝台装置 | |
JP2001258953A (ja) | 介護ベッド | |
KR20100108664A (ko) | 기립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