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108664A - 기립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기립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664A
KR20100108664A KR1020090026783A KR20090026783A KR20100108664A KR 20100108664 A KR20100108664 A KR 20100108664A KR 1020090026783 A KR1020090026783 A KR 1020090026783A KR 20090026783 A KR20090026783 A KR 20090026783A KR 20100108664 A KR20100108664 A KR 2010010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crew
standing
upper frame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기
Original Assignee
장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기 filed Critical 장순기
Priority to KR102009002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664A/ko
Publication of KR2010010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6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바퀴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되게 분리된 상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연결된 한쌍의 제1 관절 및 제2 관절;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 각각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의해 접철되게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의자, 높이조절, 모터, 스크류, 스토퍼

Description

기립보조장치{A apparatus for assistance of Standing up}
본 발명은 기립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인, 척추질환자 및 관절염환자 등의 기립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으로부터 시트까지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수월하게 승강할 수 있게 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구의 하나로 등받이·시트 및 그것을 받쳐주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서양에서는 의자를 사용하는 의자식 생활을 주로 해왔기 때문에 각 시대의 생활양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의자가 만들어졌다. 중국에서도 옛날부터 의자식 생활을 해왔다. 서양에서도 옛날에는 주로 상류계급에서만 의자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이 일반화된 것은 18세기경으로 본다. 이러한 의자는 인간의 문화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꼭 필요한 도구로써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의자는 정상적인 사람뿐만 아니라 신체 장애 등 신체활동을 적상적으로 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을 주는 기능을 다양하게 부과하여 사용되는 추세이며, 특히 척추나 하반신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바닥에서 기립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높이 조절 의자의 경우 시트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가 너무 높아 사용자가 쉽게 착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어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인, 척추질환자 및 관절염환자 등의 기립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으로부터 시트까지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수월하게 승강할 수 있게 하는 기립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는, 바퀴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되게 분리된 상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연결된 한쌍의 제1 관절 및 제2 관절;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 각각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의해 접철되게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은 스크류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동작하며 접철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의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 척추질환자 및 관절염환자 등의 기립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으로부터 시트까지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수월하게 승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보조장치는, 바퀴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되게 분리된 상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연결된 한쌍의 제1 관절 및 제2 관절;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 각각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의해 접철되게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은 스크류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동작하며 접철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의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110) 에지 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한 바퀴(111)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10) 상부 위치되어 착석 가능한 방석부(122)와 착석한 상태에서 손을 안치시킬 수 있는 팔걸이(124)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120)이 위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에는 2개의 바(미도시)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관절(112a) 및 제2 관절(112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절의 사이와 제2 관절의 사이에는 스크류(115)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11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115)는 상부 프레임(120) 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113)에 의해 구동되어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이 접철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14)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16)가 구비되어 스크류 동작에 의해 이동부재가 스크류에서 이탈되는 방지하게 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방석부(122)에 사용자가 착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모터(113)를 동작시키게 되면 모터(113)와 연결된 스크류(115)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회전된 스크류(115)는 이동부재(114)를 스큐류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하는 이동부재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제1 관절(112a)과 제2 관절(112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하며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큐류(115)의 회전 방향이 모터에 의해 정력 회전되어 스크류와 연결된 이동부재 스크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의 이동이 서로 대향되는 외측 방향이나 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철되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부재 외측 방향 각각에 스토퍼(116)를 구비시켜 스크류로부터 이동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스크류가 하나로 구성된 것을 기재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 대해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복수개의 스크류가 각각 모터와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이 서로 동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립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립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기립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작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태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의자 110 : 하부 프레임
111 : 바퀴 112a : 제1 관절
112b : 제2 관절 113 : 모터
114 : 스크류 115 : 이동부재
116 : 스토퍼 120 : 상부 프레임
122 : 방석부 124 : 팔걸이

Claims (4)

  1. 바퀴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되게 분리된 상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연결된 한쌍의 제1 관절 및 제2 관절;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 각각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의해 접철되게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은 스크류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동작하며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의 동작을 제한하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장치.
KR1020090026783A 2009-03-30 2009-03-30 기립보조장치 Ceased KR20100108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783A KR20100108664A (ko) 2009-03-30 2009-03-30 기립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783A KR20100108664A (ko) 2009-03-30 2009-03-30 기립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664A true KR20100108664A (ko) 2010-10-08

Family

ID=4312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783A Ceased KR20100108664A (ko) 2009-03-30 2009-03-30 기립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6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3460A (zh) * 2018-07-06 2019-01-18 佛山市煜升电子有限公司 长者行走辅助机器人
KR20220069527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리프팅 완충 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3460A (zh) * 2018-07-06 2019-01-18 佛山市煜升电子有限公司 长者行走辅助机器人
KR20220069527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리프팅 완충 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480B1 (ko) 병원용 다기능 전동침대
US2020009575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ATE494874T1 (de) Sitz mit senkrecht-stellvorrichtung und verstellbarer rückenlehne
US10413462B2 (en) Bed apparatus and bed apparatus control method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CN105287129A (zh) 一种多功能医疗床
JP2017113251A (ja) マッサージ機
KR20160142766A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US20200093665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CN107349059A (zh) 一种多功能辅助康复电动轮椅
KR101624163B1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200434785Y1 (ko)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
KR20100122555A (ko) 환자용 침대
KR20180106993A (ko) 침대 리프팅 프레임
KR20100108664A (ko) 기립보조장치
CN211271788U (zh) 一种翻转助起床
CN202459033U (zh) 多功能康复护理轮椅床
CN205041658U (zh) 一种多功能医疗床
KR20160024557A (ko) 양변기용 무동력식 승강장치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US2020009333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Buttocks Spreading Mechanism
KR102047041B1 (ko)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US8621691B1 (en) Chair/bed for the disabled
KR102549833B1 (ko) 2단 승하강 관절식 전동 좌변보조장치
JP2007527303A (ja) 体の輪郭を形成す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