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172A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8172A KR20180088172A KR1020170012907A KR20170012907A KR20180088172A KR 20180088172 A KR20180088172 A KR 20180088172A KR 1020170012907 A KR1020170012907 A KR 1020170012907A KR 20170012907 A KR20170012907 A KR 20170012907A KR 20180088172 A KR20180088172 A KR 201800881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contact terminal
- clip
- substrat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그라운드를 위해 접촉을 가능하게 하면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에는 다양한 모듈들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모듈들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이 전자장치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장치에는 다양한 기능, 예컨대 이동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과 멀티 기능 지원을 위한 모듈,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어 방송 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 등 등의 다양한 모듈들이 집적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모듈들이 집적돈 회로기판이 전자 장치의 내측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모듈들을 실장하기 위한 회로기판은 실장 공간이나, 모듈간의 간섭등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 등을 이유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체적으로는 메인 회로기판과, 메인 회로기판과는 별도의 연결 장치, 예를 들어 플렉서블 회로기판이나 RF 신호선과 같은 연결 모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메인 회로기판과 보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 예컨대 RF 신호선과 같은 연결 모듈을 고정하여, 전자장치에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연결 모듈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 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의 그라운드 강화나 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노이즈로 인한 간섭 방지를 위해 그라운드 접촉 할 수 있는 그라운드 접촉 단자가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클립과 그라운드 접촉 단자는 회로기판에 서로 개별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회로기판의 공간 활용을 비효율적으로 하고 있으며, 고정 클립과 그라운드 접촉 단자의 실장 위치가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없어 고정 클립이 실장되는 위치에는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실장하지 못하므로, 충분한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연결 선들을 회로기판에 고정하면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부재에 그라운드 접촉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그라운드 접촉을 위한 단자의 별도의 실장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전자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상기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서 상기 기판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도전성 부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기판부 상에 위치되는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기판부를 그라운드 연결되게 접촉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위한 별도의 추가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 없이 기존의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에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함께 배치시켜 그라운드 접촉 단자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공간 효율성도 증대될 수 있으며, 케이블 고정 클립와 그라운드 접촉 단자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됨에 따라 공정도 심플해짐은 물론 원가를 저감시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이 안착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기판부와 도전성 부재 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기판부와 도전성 부재 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0d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1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2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3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다른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케이블이 안착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기판부와 도전성 부재 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기판부와 도전성 부재 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0d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1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2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도 10a 내지 도 13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접촉 단자부에 다른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20)이다. 전자 장치(20)는, 후술할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 통신 모듈(22), 가입자 식별 모듈(22g), 메모리(23), 센서 모듈(24), 입력 장치(25), 디스플레이(26), 인터페이스(27), 오디오 모듈(28), 카메라 모듈(29a), 전력 관리 모듈(29d), 배터리(29e), 인디케이터(29b), 및 모터(29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a))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NFC 모듈(22e) 및 RF 모듈(22f)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a)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g)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프로세서(21)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또는 NFC 모듈(22e)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f)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f)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또는 NFC 모듈(22e)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g)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a) 또는 외장 메모리(23b)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a)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b)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b)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a), 자이로 센서(24b), 기압 센서(24c), 마그네틱 센서(24d), 가속도 센서(24e), 그립 센서(24f), 근접 센서(24g), 컬러(color) 센서(24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i), 온/습도 센서(24j), 조도 센서(24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l)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는 프로세서(21)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a), (디지털) 펜 센서(25b), 키(25c),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d)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a)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a)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a)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b)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c)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d)는 마이크(예: 마이크(28d))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는 패널(26a), 홀로그램 장치(26b), 프로젝터(26c),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a)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a)은 터치 패널(25a)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25a)와 통합된 패널(26a)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a)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a)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b)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c)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HDMI(27a), USB(27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c), 또는 D-sub(D-subminiature)(27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은, 예를 들면, 스피커(28a), 리시버(28b), 이어폰(28c), 또는 마이크(28d)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a)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d)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d)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e)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e)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b)는 전자 장치(20)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c)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장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하우징(101), 도전성 부재(101a)및 기판부(110, 인쇄회로기판(110)이라고도 하며, 이하 '기판부(110)'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기판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20)과 상기 케이블(120)을 기판부(110)에 고정하면서 도전성 부재(101a, 도 8 및 도 9 함께 참조)와 접촉되기 위한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하나의 하우징(101)을 포함하는, 예컨대, 바 타입(bar type)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5, 도 6 함께 참조)와,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음향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일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일측에 배치되며, 음성 통화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음향 모듈, 메모리 등 집적 회로 칩(들)이 배치된 주회로 기판을 내장할 수 있으며, 주회로 기판과 인접하게 구비되어 안테나 모듈(113)을 포함하는 보조 회로기판을 내장할 수 있고, 안테나 모듈(113)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1)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다른 방향의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제3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면과 제2면 사이에는 제3면에 따른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 등과 같은 전력 공급 장치 등이 실장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다양한 모듈들을 실장한 기판부(110)들이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제1면은 하우징(101)의 저면일 수 있고, 제2면은 하우징(101)의 상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3면은 하우징(101)의 측면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1)의 제1면 또는 제2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5) 및 이를 보호하는 글라스(106, 도 6 함께 참조)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지지하거나 배터리 등의 실장 공간을 확보하면서 기판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10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은 제1케이스(1011)와, 제2케이스(10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케이스(1011)와 제2케이스(1012)가 결합되어 하나의 하우징(10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101a)는 기판부(110)에 구비되는 접촉 단자나 케이블 고정 부재(130)와 접촉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전성 부재(101a)는 하우징(101)의 제1케이스(1011) 또는 제2케이스(1012) 일 수도 있고, 브라켓(1013)일 수도 있고, 하우징(101)의 제1케이스(1013) 또는 제2케이스(1012)나 브라켓(1013)과는 별도로 하우징(101)내부에 구비되어 접촉 단자나 케이블 고정 부재(13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전 가능한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물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101a)는 기판부(110)의 일면 상부로 기판부(11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기판부(110)에 실장되는 접촉단자나 또는 케이블 고정 부재(130)와 접촉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101a)는 접촉단자 또는 케이블 고정 부재(1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안테나의 그라운드 강화를 위한 구성물일 수 있다. 즉, 도전성 부재(101a)는 접촉단자 또는 케이블 고정 부재(130)와 접촉되어 안테나 기생 공진을 제거하고, 안테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기판부(110)는 제1기판(111) 및 제1기판(111)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기판(111)은 메인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112)은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별도의 모듈,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113)이 실장되거나, 또는 안테나 모듈(113)과 연결되는 등의 보조 인쇄회로기판으로서,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기 어렵거나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시 간섭 방지를 위해 별도로 제1기판(111)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기판부(110)에 실장되어, 상기 제1기판(111)과 상기 제2기판(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케이블(120)의 제1단부(121)는 제1기판(1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연결되고, 케이블(120)의 제2단부(122)는 제2기판(11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연결되며, 케이블(120)의 제1단부(121)와 제2단부(122) 사이는 후술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130)에 의해 기판부(110)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120)은 RF 케이블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120)이 안착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기판부(110)와 도전성 부재(101a)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기판부(110)와 도전성 부재(101a) 사이에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기판부(110)에는 케이블 고정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기판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판부(110), 구체적으로 제1기판(111) 또는 제2기판(112)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실장되어, 도전성 부재(101a)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케이블(120)을 기판부(110)에 고정하면서 도전성 부재(101a)와 접촉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실장될 수 있다. 이에, 기판부(110) 상부로 기판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전성 부재(101a)가 위치되면,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기판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전성 부재(101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기판부(110)와 도전성 부재(101a)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안착부(131, 132), 예컨대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기판부(110)에 SMD 실장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그 단면이 복주머니 형상 또는 목(132a)을 가지는 호리병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 안착부(131, 132)와 접촉 단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안착부(131, 132), 예컨대 케이블 안착부(131, 132)의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기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면서, 케이블 고정부재(130) 전체가 기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안착부(131, 132)의 클립부(132)에는 케이블(120)이 안착되어, 케이블(120)을 기판부(110)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안착부(131, 132)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클립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기판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기판부(110), 구체적으로 제1기판(111) 또는 제2기판(112)에 SMD로 실장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케이블(120)이 놓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의 수직 폭 부분에서 후술하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향하여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경우, 후술하는 클립부(132)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클립부(132)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폭 방향의 서로 대향한 단부에서 상부 방향, 즉 도전성 부재(101a) 측으로 돌출된 두 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클립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클립부(132)의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에서 각각 '>'형상 및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의 상부 부분, 구체적으로 절곡된 부분(이하 '목(132a)'이라 함.)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폭보다 좁은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부(132)의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케이블(120)을 안착할 수 있는 실장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사이의 목(132a)에 의해 형성되는 좁은 개구를 통해 클립부(132)의 실장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서로 좁아지는 두 개의 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클립부(132)의 실장공간(S)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클립부(132)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클립부(132)의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에서 각각 '>'형상 및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클립부(132)는 예를 들어, 가는 목(132a)을 가진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부재(130)도 그 단면이 가는 목(132a)을 가지는 호리병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본원 발명의 클립부(132)도 목(132a)을 가진 호리병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목(132a)을 가지는 호리병 형상의 클립부(132) 단부에서 후술하는 접촉 단자부(133)가 연장됨에 따라 클립부(132)와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형상이 유사한 것이며, 다만 케이블 고정 부재(130)는 목(132a)을 가지는 호리병 형상에서 접촉 단자부(133) 길이 및 형상만큼의 길게 형성된 호리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단자부(133)는 케이블 안착부(131, 132)의 단부, 구체적으로 클립부(132)의 목(132a) 부분에서 소정 연장된 단부로부터 도전성 부재(101a)측으로 연장 돌출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가 클립부(132)의 단부, 구체적으로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기판부(110)의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부재(101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서로 대향한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된 클립부(132)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부(132)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는 도전성 부재(101a)에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는 '>'또는'<'의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부재의 단부에서'^'형상을 가지도록 연장 돌출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단부 전체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클립부(132)의 단부의 소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단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클립부(132)의 단부의 중앙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클립부(132)의 단부의 양측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각각 서로 다른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에 각각 돌출되되, 부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의 중앙부분에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되, 부재의 단부에서 서로 떨어져 인접한 두 개 이상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 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부재에 중앙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 구비되되,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두 개 이상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부재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되고,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부재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101)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로 두 개의 클립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두 개의 클립부(132)의 상부로 각각의 부재의 단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a의 경우,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의 각각의 부재 상으로 접촉 단자부(133)가 모두 돌출되게 구비되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0b나 도 10c에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일측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되고, 일측에 이웃한 타측에 위치된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접촉 단자부(133)는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d와 같이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 중에서 하나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도 10a 내지 도 10d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 및 앞선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로 두 개의 클립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두 개의 클립부(132)의 상부로 각각의 부재의 단부 길이의 일부 위치, 예를 들어 중앙 부분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의 각각의 부재 상으로 접촉 단자부(133)가 모두 돌출되게 구비되며, 부재의 단부 길이의 중앙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1a나 도 11b에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일측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되고, 일측에 이웃한 타측에 위치된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접촉 단자부(133)는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c와 같이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 중에서 하나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도 10a 내지 도 11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로 두 개의 클립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두 개의 클립부(132)의 상부로 각각의 부재의 단부 길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두 개가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부재의 상부로 두 개의 접촉 단자부(133)가 서로 이격되어 인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a의 경우,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의 각각의 부재 상으로 두 개의 접촉 단자부(133)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2b나 도 12c에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일측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되고, 일측에 이웃한 타측에 위치된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접촉 단자부(133)는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d와 같이 서로 인접한 클립부(132) 중에서 하나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로만 접촉 단자부(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도 10a 내지 도 12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케이블 고정 부재(13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로 하나의 클립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하나의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의 단부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서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접촉 단자부(133)가 하나의 클립부(132)의 부재의 단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13a의 경우, 클립부(132)의 각각의 부재 상으로 접촉 단자부(133)가 모두 돌출되게 구비되며, 부재의 단부의 중앙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3b나 도 13c에서 접촉 단자부(133)는 클립부(132)의 두 개의 부재 중 하나의 부재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도 10a 내지 도 13c와 다른 형태의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로 세 개의 클립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는 세 개의 클립부(132)의 상부로 각각의 부재의 단부의 중앙부분에서 연장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세 개의 클립부(132)의 각각의 부재에 모두 접촉 단자부가 돌출되는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다만, 도시 되진 않았으나, 앞서 도 10a 내지 도 10d와 같이 접촉 단자부(133)가 부재의 단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돌출 연장될 수도 있고, 또한, 접촉 단자부(133)가 클립부(132)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 단자부(133)는 다양한 형상이나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전성 부재(101a)에 접촉할 수 있도록 클립부(132)에서 돌출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그 형상이나 형태 및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는 도전성 부재(101a)에 접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촉 단자부(133)는 접촉형 케이블(120)고정 부재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부재(101a)의 가압 시 클립부(132)의 목(132a) 부분과 함께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접촉 단자부(133)에 지지부(134)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접촉 단자부(133)에 지지부(134)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부재(130)를 구비한 전자장치(100)에서, 접촉 단자부(133)에 다른 형태의 지지부(134)가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접촉 단자부(133)에는 케이블 안착부(131, 132) 측으로 인접하게 연장된 지지부(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촉 단자부(133)가 도전성 부재(101a)에 접촉되어 가압되는데, 이때, 지지부(134)는 케이블 안착부(131, 132) 측에 접촉되어, 접촉 단자부(133)가 도전성 부재(101a)에 접촉된 상태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34)는 접촉 단자부(133)가 클립부(132)에서 돌출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접촉 단자부(133)가 클립부(132)의 단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134)는 접촉 단자부(133)의 길이를 가지면서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접촉부의 단부에서 케이블 안착부(131, 132)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7과 같이 접촉 단자부(133)가 클립부(132)의 단부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클립부(13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134)는 접촉 단자부(133)가 가지는 폭과 같이 형성되면서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접촉 단자부(133)의 단부에서 케이블 안착부(131, 132) 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전자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상기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착하는 실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실장 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가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각각'>'형상 및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SMD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접촉 단자부의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에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 중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에는 상기 케이블 안착부로 인접하게 연장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가압에 따라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 단자부의 가압을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안착부와 상기 접촉 단자부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서 상기 기판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도전성 부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기판부 상에 위치되는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고정 부재는,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상기 기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상기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착하는 실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실장 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가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각각 '>'형상 및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SMD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접촉 단자부의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에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 중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자부에는 상기 케이블 안착부로 인접하게 연장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가압에 따라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 단자부의 가압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전자장치 101: 하우징
101a: 도전성 부재 110: 기판부
111: 제1기판 112: 제2기판
120: 케이블 130: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
131: 베이스 플레이트 132: 클립부
132a: 목 133: 접촉 단자부
134: 지지부
101a: 도전성 부재 110: 기판부
111: 제1기판 112: 제2기판
120: 케이블 130: 케이블 고정 부재케이블 고정 부재
131: 베이스 플레이트 132: 클립부
132a: 목 133: 접촉 단자부
134: 지지부
Claims (20)
- 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상기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착하는 실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실장 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가압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각각'>'형상 및 '<'형상으로 돌출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SMD 실장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접촉 단자부의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의 상기 단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에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 중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에는 상기 케이블 안착부로 인접하게 연장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가압에 따라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 단자부의 가압을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착부와 상기 접촉 단자부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 고정장치.
-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서 상기 기판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도전성 부재;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 부재는,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상기 기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안착부; 및
상기 케이블 안착부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착하는 실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실장 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가압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각각 '>'형상 및 '<'형상으로 돌출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SMD 실장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클립부의 상기 두 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단부에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접촉 단자부의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의 상기 단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에 형성되거나, 상기 부재의 단부 길이 전체 중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에는 상기 케이블 안착부로 인접하게 연장된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가압에 따라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 단자부의 가압을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2907A KR102564403B1 (ko) | 2017-01-26 | 2017-01-26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2907A KR102564403B1 (ko) | 2017-01-26 | 2017-01-26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172A true KR20180088172A (ko) | 2018-08-03 |
KR102564403B1 KR102564403B1 (ko) | 2023-08-08 |
Family
ID=6325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2907A KR102564403B1 (ko) | 2017-01-26 | 2017-01-26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4403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279U (ko) * | 1998-08-26 | 2000-03-25 | 서평원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케이블 고정장치 |
KR20030018560A (ko) * | 2001-08-30 | 2003-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케이블커넥터 |
KR200363564Y1 (ko) * | 2004-06-28 | 2004-10-06 | 이창희 | 통신케이블 고정용 팔구클립클램프 |
KR20100128912A (ko) * | 2009-05-29 | 2010-12-08 | 주식회사 포콘스 | 케이블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방법과 이를 채용한 전자제품 |
KR101251981B1 (ko) * | 2011-12-05 | 2013-04-08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 케이블 지지클립 |
KR20150130821A (ko) * | 2014-05-14 | 2015-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
KR20160003801U (ko) * | 2015-04-24 | 2016-11-02 | 주식회사 포콘스 | 케이블 고정용 클립 |
KR20170097917A (ko) * | 2016-02-19 | 2017-08-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케이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7
- 2017-01-26 KR KR1020170012907A patent/KR1025644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279U (ko) * | 1998-08-26 | 2000-03-25 | 서평원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케이블 고정장치 |
KR20030018560A (ko) * | 2001-08-30 | 2003-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케이블커넥터 |
KR200363564Y1 (ko) * | 2004-06-28 | 2004-10-06 | 이창희 | 통신케이블 고정용 팔구클립클램프 |
KR20100128912A (ko) * | 2009-05-29 | 2010-12-08 | 주식회사 포콘스 | 케이블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방법과 이를 채용한 전자제품 |
KR101251981B1 (ko) * | 2011-12-05 | 2013-04-08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 케이블 지지클립 |
KR20150130821A (ko) * | 2014-05-14 | 2015-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
KR20160003801U (ko) * | 2015-04-24 | 2016-11-02 | 주식회사 포콘스 | 케이블 고정용 클립 |
KR20170097917A (ko) * | 2016-02-19 | 2017-08-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케이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4403B1 (ko) | 202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73567B1 (en) | Antenn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
KR102544367B1 (ko) | 전자기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9753501B2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 |
US20220151008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pen | |
US20160173977A1 (en) | Acoustic inpu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132072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airing with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 |
KR102452409B1 (ko) | 방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347966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
KR102341534B1 (ko) | 안테나들 간의 간섭을 줄여 안테나 성능을 높인 전자 장치 | |
CN109729195A (zh) | 用于电磁干扰检测的天线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 |
CN111937504A (zh) | 配备有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和使用其的无线充电方法 | |
KR102454823B1 (ko) | 메탈 커버를 안테나 방사체로 이용하는 전자 장치 | |
US9692159B2 (en) | Electronic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 |
US9509050B2 (en) | Portable device with circuit board mounted radiator | |
CN108352600B (zh) | 天线装置和包括该天线装置的电子装置 | |
KR20210027931A (ko) | 소켓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20180088172A (ko)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
US11862844B2 (en)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ntenna | |
US11855393B2 (en) |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265676B1 (ko) | 접속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
US11916585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
WO2018012730A1 (ko) |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