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050A - 증기 온열 마스크 - Google Patents
증기 온열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7050A KR20180017050A KR1020177037209A KR20177037209A KR20180017050A KR 20180017050 A KR20180017050 A KR 20180017050A KR 1020177037209 A KR1020177037209 A KR 1020177037209A KR 20177037209 A KR20177037209 A KR 20177037209A KR 20180017050 A KR20180017050 A KR 201800170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sheet
- steam
- less
- steam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3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4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IUVCFHHAEHNCFT-INIZCTEOSA-N 2-[(1s)-1-[4-amino-3-(3-fluoro-4-propan-2-yloxyphenyl)pyrazolo[3,4-d]pyrimidin-1-yl]ethyl]-6-fluoro-3-(3-fluorophenyl)chromen-4-one Chemical compound C1=C(F)C(OC(C)C)=CC=C1C(C1=C(N)N=CN=C11)=NN1[C@@H](C)C1=C(C=2C=C(F)C=CC=2)C(=O)C2=CC(F)=CC=C2O1 IUVCFHHAEHNCFT-INIZCTEO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4462 Cyclin-dependent kinase 4 inhibitor 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000980919 Homo sapiens Cyclin-dependent kinase 4 inhibitor B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LZJUIZVJLSNDD-UHFFFAOYSA-N 2-(2-methylidenebutanoyloxy)ethyl 2-methylidenebu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O)OCCOC(=O)C(=C)CC QLZJUIZVJLSN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198134 Agave sisal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36 Camelus dromed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01 Ch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334 Feeling ho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7 Man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907 Musa text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416177 Vicugna paco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40 Vicugna vicug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640 amorphous poly alpha 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7 angor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85 cashmer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05 chl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XKDSDJJOVIHMX-UHFFFAOYSA-N edroph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N+](C)(C)C1=CC=CC(O)=C1 BXKDSDJJOVI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42 ethylene-ethyl 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44 ethylene-ethyl 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0 mo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10 soybean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404 tri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98 tr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PVIQPQOGTVMSU-UHFFFAOYSA-N (4-acetamidophenyl)arsenic Chemical compound CC(=O)NC1=CC=C([As])C=C1 XPVIQPQOGTVM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XPNQXFRVYWDDI-UHFFFAOYSA-N 1-methyl-2,4-dioxo-1,3-diazinane-5-carboximid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N)C(=O)NC1=O IXPNQXFRVYWD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lass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33760 Acoelorraph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76 Apios tuber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44 Arachis villosuli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1 Locust be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81 Modified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735 Nasal conges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257 Phormium ten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422 Phormium ten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85 Rhinitis allerg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2 Sof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15 Tragacant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76 aga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105 allergic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05 astragalus gummife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8 carrageen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79 carrageen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25 carragee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3118 carrageena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4 ear aur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89 ferrous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9 for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9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63 hydr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574 hydroxymethyl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MCUIPGRVMDVDB-UHFFFAOYSA-L iron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 NMCUIPGRVMDVD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7 miner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3 mineral thick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95 poly(sodium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0 scatt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34 sieve clas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NNMHYFLPFNGQFZ-UHFFFAOYSA-M sodium polyacrylate Chemical compound [Na+].[O-]C(=O)C=C NNMHYFLPFNGQF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7 sulfu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4 thixotrop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LJSQTXMGCGYMG-UHFFFAOYSA-N tri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C(=O)CC(O)=O ILJSQTXMGCGY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UHVMMEOXYDMDKI-JKYCWFKZSA-L zinc;1-(5-cyanopyridin-2-yl)-3-[(1s,2s)-2-(6-fluoro-2-hydroxy-3-propanoylphenyl)cyclopropyl]urea;diacetate Chemical compound [Zn+2].CC([O-])=O.CC([O-])=O.CCC(=O)C1=CC=C(F)C([C@H]2[C@H](C2)NC(=O)NC=2N=CC(=CC=2)C#N)=C1O UHVMMEOXYDMDKI-JKYCWFKZSA-L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6—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61F2007/0062—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the gas being steam or water vap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 (102) 를 구비한 마스크 (110) 와,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로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기 온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입 및 코를 덮음으로써, 외부 공기 중의 분진, 화분 (花粉) 등을 차단하여, 알레르기성 비염, 감기 등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의 기능이 다양화되어, 여러 가지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마스크에 발열체를 삽입하여 코나 볼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마스크에 의한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가온 시트 또는 보온 시트를 형성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마스크 본체부의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 발열체를 형성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마스크 내측에 수증기를 발생하는 발열체를 수용하여,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발열체가 팽창하여 코에 밀착하는 코부 온열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증기 온열 마스크 (제 1 발명)
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에 대해 20 % 이하인,
증기 온열 마스크 (제 2 발명)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한층 더 분명해진다.
도 1 은, 증기 온열 마스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변형예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변형예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에 수증기 발생체를 장착하기 전의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 는, 수증기 발생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통기 저항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수증기 발생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은, 증기 온열 마스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변형예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변형예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에 수증기 발생체를 장착하기 전의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 는, 수증기 발생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통기 저항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수증기 발생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목이나 코의 점막을 축이는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과제에 대해 검토했다.
본 발명자들이, 전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에 대해 검토한 결과, 특허문헌 1 과 같은 발열 기능을 가진 마스크는, 가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충분히 높일 수는 없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발열체가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마스크면의 면적에 대해 발열체가 형성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이 낮고, 충분한 발열 효과 및 수증기 발생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3 에도 발열체가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발열체의 착용자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시트의 통기성을 높게 설정하고, 발열체에 공기 중의 산소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산화 반응을 촉진하고,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발열체가 팽창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써, 마스크를 부드러운 감촉으로 볼부나 코부에 밀착시켜 간극을 없애는 것이며, 마스크 내부의 절대 습도를 높이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는, 피부에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발생구가 기재되어 있고, 스팀 마스크로서의 사용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스크 본체부의 면적에 대한 발열체가 형성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 있고, 또, 마스크 본체부의 평량이 높아 통기성이 낮은 점에서, 장시간 착용 시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 ∼ 4 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어느 것이나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목이나 코의 점막을 축이는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과제를 해결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검토한 결과,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 및, 특정의 시트의 구성을 채용한 수증기 발생체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높여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 온열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높여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 온열 마스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 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이상에서 이하를 나타낸다.
또,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는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트 등의 통기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계측할 수 있다.
통기도는 JIS P8117 (2009 년 개정판) 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며, 일정한 압력하에서 100 ㎖ 의 공기가 6.42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통기도의 수치가 큰 것은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통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반대로, 통기도의 수치가 작은 것은 통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기도의 수치의 대소와 통기성의 고저는 역의 관계를 나타낸다. 통기도는, 오켄식 통기도계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이 통기도가 30000 초/100 ㎖ 이상이 되는 것을 「난통기」, 80000 초/100 ㎖ 이상이 되는 것을 「비통기」 인 것으로서 취급한다.
(제 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다.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증기 온열 마스크.
도 1 은,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조합한 것이다. 도 2 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 (110) 의 일부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분리되고, 이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수용체 (104) 에 출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재가 되어 있지만,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110) 의 수용체 (104) 내부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봉입된 것이어도 된다.
〔마스크〕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110) 는, 착용 시에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그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 (102)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110) 는, 착용자의 콧마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는 선 (103) 을 가진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용도 등에 맞추어, 이 접는 선 (103) 을 가지지 않는 평탄 형상의 마스크 (110) 로 해도 된다.
이하, 마스크 (110) 의 형상에 대해, 이 접는 선 (103) 을 갖는 것을 예시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시트상이며, 한층 더 구체적으로는, 1 매의 시트로 형성되고, 접는 선 (103) 으로 좌우 대칭으로 접힌다. 사용 전은,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접는 선 (103) 을 따라 산접기가 되고, 평면상으로 접어진 상태가 된다.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는 선 (103) 은, 코부가 볼록부가 되는 대략 원호상이며, 상부와 하부가 첩합 (貼合) 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접는 선 (103) 은, 반대측의 변으로부터 열리고, 시트가 중첩된 내측의 면이 착용자측의 면이 되도록 하여, 착용된다. 접는 선 (103) 은, 마스크 (110) 를 착용했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접는 선 (103) 이 있으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부가 코의 형상을 따라 밀착하기 때문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져, 가온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부 (101) 를 형성하는 1 매의 시트란, 단일의 구조 (즉 1 플라이) 여도 되고, 혹은 복수매의 시트가 적층되어 일체적인 구조 (즉 멀티플라이) 여도 된다. 복수매의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각 시트에 별개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덮개부에 여러 가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복수매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시트끼리는, 전체면 접합된 라미네이트 상태여도 되고, 시트간이 이간된 상태여도 된다. 또, 각 시트간이 이간된 상태의 경우의 각 시트끼리의 접합은, 덮개부의 형상을 따라 각 시트의 가장자리를 시일해도 되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인트 시일에 의해 접합하는 것만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가 단일의 구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재료는, 마스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일정한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부직포나 거즈 등의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가공의 용이함이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레이온 ; 코튼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로서는, 상기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소재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스루법, 스판본드법, 니들펀치법, 멜트브론법, 카드법, 열융착법, 수류 교락법, 용제 접착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마스크 (110) 내에 체류시키는 관점, 호흡을 편하게 하는 관점에서, 적당한 통기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 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a 이상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200 Pa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Pa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Pa 이하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 Pa 이상 200 Pa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Pa 이상 190 Pa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a 이상 180 Pa 이하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구조가 멀티플라이일 때에는, 복수매의 시트를 모두 중첩한 상태로 측정되는 통기 저항이 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테스터 MTS-2 (시바타 과학사 제조) 의 통기 저항 평가 장치 본체 (70) 상부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시트재로부터 가로 세로 3.5 ∼ 5 cm 의 사이즈로 자른 시트 (101a) 를 배치하고, 시트 고정용 지그 (71) 로, 새지않도록 고정시킨다. 측정은, 시험 면적 7 ㎠ (내경 30 mm), 시험 유량 10 ℓ/min. 으로 10 초간 실시하고, 시트 (101a) 로의 공기 유입측 (입구측) 과 공기 유출측 (출구측) 의 차압으로부터 통기 저항을 구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평량은, 마스크 (110) 의 내부가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이나 보온성, 유연성, 두께, 시트 강도를 균형있게 높이는 관점에서, 평량이 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평량이 5 g/㎡ 이상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2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한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가지며, 사용 시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 시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 2 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시일 부분 (107) 에 의해, 착용자측의 면에 수용체 (104)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 (104)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출납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마스크 (110) 를 사용한 후,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사용 전의 것과 교체함으로써, 몇 번이나 마스크 (110) 를 사용할 수 있다.
수용체 (104) 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상부를 제외한 외주를 둘러싸는 시일 부분 (107a) 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에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중첩하고, 도 3 에 나타낸 시일 부분 (107a) 을 열융착 등에 의해 시일하는 방법이나,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제작할 때에,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중첩하고, 마스크 본체부 (101) 세로 중심부의 접는 선 (103) 의 부분을 시일하고, 그 후 도 3 에 나타낸 시일 부분 (107a) 을 시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 (101) 의 상방으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삽입할 수 있는 포켓상의 수용체 (104)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 (104) 의 형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도 6 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변형예를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즉, 도 5,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104)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방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위치에,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구성하는 시트와,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고착한 시일 부분 (107b), 시일 부분 (107c) 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도 5 에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중앙부 횡방향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방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직선과,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귀걸이부 (102) 측의 측면 하부의 일부에 연장되는 세로 방향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분 (107b) 이 나타나 있다. 도 6 에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방의 횡방향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부의 형상을 따라, 변형된 직선상의 시일 부분 (107c) 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104)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접는 선 (103)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소정의 위치에서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할 수 있어, 착용자의 코로부터 볼에 걸친 마스크 (110) 내의 공간을 가온 가습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104) 는, 상단부 또는 귀걸이부 (102) 측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며, 그 밖의 단부는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되어 있다. 개구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마스크 (110) 착용 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수용체 (104) 외로 나가지 않는 것이면 된다. 또, 수용체 (104) 의 크기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수용하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수용체 (104) 는, 통기성을 가지며, 마스크 본체부 (101) 와 동일한 재료로 할 수 있다. 수용체 (104) 의 통기 저항은, 과도한 발열을 방지하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에 의한 가온 가습 성능을 마스크 (110) 내에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관점에서, 1 Pa 이상 100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Pa 이상 50 Pa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Pa 이상 30 Pa 이하이다.
귀걸이부 (102) 는 1 쌍으로 이용되고,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길이 방향 (X 방향) 의 좌우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귀걸이부 (102) 는,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끈과 같은 신축성을 가진 끈상의 재료를 마스크 본체부 (101) 의 단부에 형성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일체가 된 신축성을 갖는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귀걸이부 (102)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수증기 발생체〕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장착된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이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을,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해 특정의 비율로 설정하고, 이것에 더하여, 이 수증기 발생체 (120) 에 대해, 특정의 통기도를 갖는 시트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적절히 발생하는 수증기를 마스크 (110) 내부에 체류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답답해지지 않을 정도로 마스크 (110) 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마스크 사용 시에 있어서의 마스크 (110) 내부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는 관점에서, 3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마스크 (110) 로서 적절한 통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8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30 % 이상 8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7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65 % 이하이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이란,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구성하는 시트의 전체 영역으로서, 구비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영역을 포함하는 면 전체 영역을 가리키며, 귀걸이부 (102) 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를 중앙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었을 때에, 상하의 가장 이간된 점을 연결한 선 (A 선) 에서 수직으로 선단부 방향으로 가장 떨어진 접는 선 상의 점을 마스크 선단으로 하고, 해당 마스크 선단을 지나는 상기 A 선과 평행한 선 (B 선) 에서 귀걸이 방향으로 7 cm 평행 이간된 선 (C 선) 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또 마스크 선단의 접는 부분이 히트 시일 등으로 밀착되어 있는 경우는, 그 시일 폭 부분의 귀걸이측의 단을 선단으로서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플리츠형의 마스크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상하로 늘려 마스크 중앙부의 접은 자국 부분을 늘린 상태에서 좌우 대칭으로 접어 상기 거리를 측정하지만, 이 때 마스크 선단으로부터 귀걸이측에 남는 플리츠의 접은 자국 부분은 면적에 가산하지 않는다.
또한, 귀걸이부 (102) 가 섬유 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여도, 이 영역은 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는 산입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면적은, 후술하는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수용하는 자루체 (122) 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이며, 자루체를 구성하는 시트의 시일 부분도 포함한 면적을 가리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장착되어 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는, 착용했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피부측에, 코부와 볼부의 사이의 얼굴의 함몰부와 수증기 발생체 (120) 로 둘러싸인 공간이 생기고,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접는 선 (103)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 근방에,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는 선 (103)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이란, 접는 선 (103)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에 접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접는 선 (103)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의 주위의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장착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착용자의 코부를 덮는 영역이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착용자의 볼부까지 도달해도 상관없지만, 볼부만을 덮는 것이 아닌 것이, 착용했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피부측에, 코부와 볼부의 사이의 얼굴의 함몰부와 수증기 발생체 (120) 로 둘러싸인 공간이 생겨,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는, 마스크 (110) 를 장착했을 때에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직선상인 경우는, 당해 직선의 양단의 접는 선 (103) 으로부터의 각 최단 거리의 평균이,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곡선상인 경우는, 당해 곡선의 접는 선 (103) 으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는, 동일한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상측 단부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제조 효율, 취급의 용이함, 가온 가습 효과의 관점에서, 장방형, 대략 정방형 등의 사각형이 바람직하고, 취급하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대략 정방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직선상인 경우,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접는 선 (103) 의 수증기 발생체 (120) 에 접하는 부분은 직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이하의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수직 방향의 강성치는,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시켜, 마스크 내부의 절대 습도를 향상시키는 관점, 흡기에 수반하여 마스크가 코주변의 피부에 첩부하여 통기를 저해하는 것에 의한 답답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gf/60 mm 폭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gf/60 mm 폭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gf/60 mm 폭 이상이다.
또, 이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직 방향의 강성치는, 장착 시의 닿는 기분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 gf/60 mm 폭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gf/60 mm 폭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f/60 mm 폭 이하이다.
또, 이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이하의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수직 방향의 강성치는, 바람직하게는 30 gf/60 mm 폭 이상 150 gf/60 mm 폭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gf/60 mm 폭 이상 130 gf/60 mm 폭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gf/60 mm 폭 이상 120 gf/60 mm 폭 이하이다.
[강성치 측정 조건]
텐실론 만능 시험기 (ORIENTEC RTC-1150A) 를 이용하여, 스팬간 거리 30 mm 에서 수증기 발생체를 지지하고, 폭 60 mm, 선단 반경 5 mm 의 판상의 가압 부재로, 시험편 (수증기 발생체) 의 중앙부에 크로스 헤드 스피드 20 mm/min 으로 부하를 준다. 이 때의 피크 하중 (3 회 계측의 평균치) 을 강성치로 한다.
또한, 이 측정은 수증기 발생체 (120) 그 자체를 측정 샘플로 할 수도 있고, 이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수용된 마스크 (110) 로서도 측정 샘플로 할 수도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수증기 발생부 (121), 및 이것을 수용하는 자루체 (122) 를 가지고 있다. 자루체 (122) 는, 착용자측 (피부측) 의 면에 제 1 시트 (122A), 및 착용자측 (피부측) 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 (122B) 를 구비한다.
또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수증기를 발생하면서 발열하는 것이다.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110) 에 대해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양태로 하는 경우,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사용 전은, 산소 차단 자루에 들어 있다.
산소 차단 자루는, 그 전체가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며, 수증기 발생체 (120) 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산소 차단 자루의 산소 배리어성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그 산소 투과 계수 (ASTM D3985) 가 10 ㎤·mm/(㎡·day·MPa) 이하, 특히 2 ㎤·mm/(㎡·day·MPa)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필름, 또는 그러한 필름에 세라믹 혹은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110) 에 대해 봉입되어 있는 양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이 마스크 (110) 전체를 산소 차단 자루에 봉입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와 공기 중의 산소의 접촉을 피하면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예를 들어, 분체의 혼합물, 초조 시트 등의 시트상, 또는 기재에 분산액 등을 도포한 도공 시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물, 전해질, 그 외 필요에 따라 반응 촉진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공기와 접촉하면, 그것에 포함되어 있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이 열에 의해 수증기 발생부 (121) 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소정 온도의 수증기가 되고, 자루체 (122) 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수증기는, 자루체 (122) 중 통기성 부위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열을 발하는 금속이며,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및 칼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말 혹은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보존성 및 안정성의 점에서 철분이 바람직하다. 철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환원 철분, 및 아토마이즈 철분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이 분말인 경우, 산화 반응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는 관점에서, 그 평균 입경이,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2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섬유상물 등의 보수재에 대한 정착성, 반응의 컨트롤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입경이 0.1 ∼ 150 ㎛ 인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피산화성 금속의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말하며, 체에 의한 분급,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산란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1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30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300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 1600 g/㎡ 이하이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발열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이나, 열중량 측정기로 구할 수 있다. 그 밖에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생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흡수제로서는, 물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탄소 성분, 섬유상물, 흡수성 폴리머, 및 흡수성의 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흡수제는, 수증기 발생부 (121) 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탄소 성분으로서는, 보수능, 산소 공급능, 및, 촉매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아세틸렌블랙,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활성탄이 바람직하고, 야자각탄, 목분탄, 및 비트탄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미세한 분말상물 또는 소립상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양호한 가온 가습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목분탄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12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제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말하며,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탄소 성분은 분체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상물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의 섬유상물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천연의 섬유상물로서는, 예를 들어 코튼, 카복,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삼, 사이잘삼, 뉴질랜드삼, 나포마, 야자, 등심초, 밀짚 등의 식물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양모, 염소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캬멜, 비쿠나, 실크, 깃털, 다운, 패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가제인 섬유 등의 동물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석면 등의 광물 섬유를 들 수 있다.
한편, 합성의 섬유상물로서는, 예를 들어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산화아세테이트, 프로믹스, 염화고무, 염산고무 등의 반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나일론,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에 더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분자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섬유,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산화성 금속이나 반응 촉진제의 정착성,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유연성, 산소 투과성, 시트 형태의 유지 기능,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목재 펄프, 코튼,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목재 펄프, 코튼은, 철분 등의 고체물을 담지, 고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는 가교 구조를 가지는 친수성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의 분체로서는, 버미큘라이트, 규산칼슘, 톱밥, 알루미나, 실리카 겔, 및 펄프 분말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상인 경우에는, 흡수제로서 섬유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섬유상물이 보수재로서의 기능과,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피산화성 금속의 편향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수증기 발생부 (121) 는 그 발열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분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에는, 흡수제로서 고흡수성 폴리머, 버미큘라이트, 규산칼슘, 실리카 겔, 실리카계 다공질 물질, 알루미나, 목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다. 또,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이다.
또,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0.3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부 이상 6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증기 발생체 (120) 중에, 산화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수분을 축적할 수 있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에 대한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져 발열 효율이 높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얻어진다. 또, 얻어지는 발열량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열용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 온도 상승이 커져, 원하는 온도 상승을 얻을 수 있어 발열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제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4 g/㎡ 이상 29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 g/㎡ 이상 16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제품으로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유연성이 나온다. 예를 들어,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두께를 0.1 mm 이상 2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천이 금속의 황산염, 탄산염,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천이 금속의 염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 제 1 철, 염화 제 2 철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물을 포함한다. 물은, 전해질 수용액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의 수용액) 유래의 것이어도 되고, 또, 물 단독으로,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첨가된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양호하게 발열하여, 발열 온도의 상승이 빨라진다 (승온 시간이 빨라진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35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발열 반응에 필요한 수분량을 확보할 수 있어,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발열 반응을 양호하게 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발열 상태의 수증기 발생부 (121) 로 할 수 있다. 즉,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발열 속도를 좌우한다.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수분량을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하게 발열하여, 발열 온도의 상승이 빠르고, 발열 온도가 지속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4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4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상기 서술한 각 성분에 더하여, 증점제, 계면 활성제, 약제, 응집제, 착색제, 지력 증강제, pH 조정제 (예를 들어, 인산삼칼륨 등), 벌크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증점제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조도를 증대시키거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알긴산소다 등의 알긴산염,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카라기난, 한천, 잔탄검 등의 다당류계 증점제 ; 덱스트린, α화 전분, 가공용 전분 등의 전분계 증점제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계 증점제 ; 폴리비닐알코올 (PVA) 등의 증점제 ; 스테아르산염 등의 금속 비누계 증점제 ;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계 증점제 등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증기 발생부 (121) 중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다당류계 증점제가 바람직하고, 잔탄검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인 경우, 증점제의 함유량은, 도공하기 용이함의 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증점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점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상인 경우, 다수의 구멍 및/또는 절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얇아도 충분히 높은 발열 특성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수증기 방출 특성이 얻어진다. 당해 구멍의 면적은, 0.01 ∼ 10 ㎟, 특히, 0.1 ∼ 8 ㎟ 인 것이, 충분한 발열 특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 구멍은,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에 0.1 ∼ 20 개/㎠, 특히 1 ∼ 15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이들의 2 종 이상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절삭을 형성하는 경우, 그 길이는 1 ∼ 50 mm, 특히 5 ∼ 30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를 구비하는 자루체 (122) 에 수용되어 있다. 즉,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주연부 (周緣部) 를 바람직하게는 밀폐 접합함으로써 자루체 (122) 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주연부 이외의 영역은 비접합 영역이며, 비접합 영역 내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수증기 발생부 (121) 에 대해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즉, 수증기 발생체 (120) 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122A) 가 배치되고, 이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착용자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 상에 제 2 시트 (122B) 가 배치되고,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이다.
이들의 구성에 대해,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은 제 1 시트 (122A) 가 된다.
여기서,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7000 초/100 ㎖ 이하이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수증기 발생체 (120) 와 코부 및 볼부의 사이의 얼굴의 함몰부로 둘러싸인 공간을 유지하고, 통기성을 확보함과 함께, 수증기 발생체 (120) 로부터의 수증기를 자루체 (122) 외부에 다량으로 방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초/10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100 ㎖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초/100 ㎖ 이다.
이와 같은 통기도를 갖는 제 1 시트 (122A) 로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은 갖지만 투수성을 가지지 않는 합성 수지제의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에 탄산칼슘 등을 함유시켜 연신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성 시트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의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1 시트 (122A) 의 질감을 높여도 된다.
또, 제 1 시트 (122A)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된다.
제 2 시트 (122B) 는,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갖는 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되지만, 전체로서는 통기성이 낮은 시트가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로서 8000 초/100 ㎖ 초과의 조건이 채용되지만, 효과적으로 마스크 본체부 (101) 내를 안정적으로 가온 가습할 수 있는 관점에서,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용도에 따라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그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의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2 시트 (122B) 의 질감을 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2 층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이 사용되지만,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는, 상기 서술한 통기도의 값을 만족하면, 제 1 시트 (122A) 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상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2 시트 (122B) 의 통기성은, 10000 초/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의 통기성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 1 시트 (122A) 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양호하게 하고, 제 1 시트 (122A) 측으로부터 다량의 수증기를 발생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를 2500 초/100 ㎖ 이하로 하고,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를 8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 상, 즉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와는 반대측의 최외층까지의 사이에,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통기성의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마스크 (110) 의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110) 내부, 즉 착용자측에, 수증기를 부여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조 방법의 예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예를 들어 시트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이전의 출원에 관련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761호에 기재된 습식 초조법이나, 다이코터를 사용한 익스트루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및 반응 촉진제를 포함하는 성형 시트를 습지 초조법에 의해 형성하고, 이 성형 시트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얻어진다. 얻어진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는 1 매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복수매를 겹쳐서 사용해도 된다. 혹은 1 매의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접어, 접어진 복수매의 수증기 발생부 (121) 를 겹쳐서 사용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분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성 재료를 균일 혼합함으로써, 분체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음에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흡수제와 피산화성 금속을 균일 혼합하고, 거기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하여, 흡수제의 표면에 피산화성 금속을 부착시킨다. 그 후, 나머지 재료인 반응 촉진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조제함으로써, 산화 반응의 상승 시간이 빨라져, 단위 시간당 수증기의 증산량이 용이하게 최대가 된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이전의 출원에 관련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6554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보수 시트에 발열 분체 수분산액을 도공하여, 발열층과 보수 시트를 구비하는 발열물의 연속 장척물을 임의의 크기로 재단하여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1 매여도 되고, 복수매를 적층시킨 다층 상태로 수용해도 된다.
여기서,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구성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부 (121) 는, 기재층 (121B) 과 보수 시트 (121C) 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층 (121A) 을 가지고 있다. 수증기 발생층 (121A) 과 보수 시트 (121C) 는 직접 접촉하고 있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제 1 시트 (122A) 및 제 2 시트 (122B) 를 갖는 자루체 (122) 내에, 보수 시트 (121C) 측, 즉 제 1 시트 (122A) 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기재층 (121B) 이 제 2 시트 (122B) 측에 배치되도록, 수증기 발생부 (121)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의 증기를 제 1 시트 (122A) 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발생층 (121A) 은, 보수 시트 (121C)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보수 시트 (121C) 및 기재층 (121B) 에 끼워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에는, 수증기 발생층 (121A) 이 보수 시트 (121C) 와 기재층 (121B) 에 끼워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보수 시트 (121C) 는, 물을 함유하고 있다. 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당해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0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보수 시트 (121C) 를 25 ㎠ 의 사이즈로 커트한 질량 (W0) 을 측정한 후, 5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 분간 침지한다. 핀셋으로 꺼내고, 1 분간 공기 중에 매달아 방치하여 품을 수 없는 수분을 떨어뜨린 후, 질량 (W1) 을 측정하고, 하기의 식에서 최대 흡수량 (Wmax) 을 산출한다.
Wmax = W1 - W0
또,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50 ∼ 350 g/㎡ 가 바람직하고, 또한 180 ∼ 26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은 수증기 발생원이 되기 때문에,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50 g/㎡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증기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보수 시트 (121C) 는, 흡수에 의해 통기 저항 (흡수 팽윤에 의해, 건조 시에 비해 통기성이 내려간다) 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로 함으로써, 보수 시트 (121C) 로부터 증기를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더하여, 수증기 발생층 (121A) 에 대한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져 발열 효율이 높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얻어진다.
또, 보수 시트 (121C) 의 통기도는, 수분을 포함한 상태의 통기도로 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성, 증기의 통하기 쉬움을 고려하면, 3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초/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을 포함한 상태 (즉, 수분량이 당해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의 통기도 하한치는, 예를 들어, 1 초/100 ㎖ 이다.
여기서, 보수 시트 (121C) 로서는, 수분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시트를 들 수 있다. 또 스펀지 등의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나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화학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들 수 있다. 식물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코튼, 카복,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삼, 사이잘삼, 뉴질랜드삼, 나포마, 야자, 등심초, 밀짚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동물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양모, 염소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캬멜, 비쿠나, 실크, 깃털, 다운, 패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가제인 섬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레이온,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수 시트 (121C) 로서는, 전술한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 재료와 흡수성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물의 함유량을,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5 ∼ 30 질량% 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구상, 괴상, 포도송이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제조 시의 취급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흡수 속도의 관점에서,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흡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전분, 가교 카르복실메틸화셀룰로오스,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121B) 은, 수증기 발생층 (121A) 의 보수 시트 (121C)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 (121B) 은, 수증기 발생층 (121A) 에 직접 접촉하여, 수증기 발생층 (121A) 을 피복하고 있다. 이 기재층 (121B) 은,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수지 시트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 (50000 초/100 ㎖ 이상이며, 80000 초/10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로 함으로써 보수 시트 (121C) 측으로부터 증기를 보다 확실하게 방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층 (121B) 측으로부터 기화열이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재층 (121B) 으로서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수 시트 (121C) 를 수증기 발생층 (121A) 상에 형성하고, 기재층 (121B) 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제 2 시트 (122B) 에 직접 접촉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2 시트 (122B) 는 내수성을 갖는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착용자에게 적당한 증기감을 주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30 mg/셀·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g/셀·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g/셀·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mg/셀·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mg/셀·10 min 이상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중의 결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200 mg/셀·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mg/셀·10 mi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mg/셀·10 min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량은,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30 mg/셀·10 min 이상 1200 mg/셀·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g/셀·10 min 이상 10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g/셀·10 min 이상 8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mg/셀·10 min 이상 700 mg/셀·10 mi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mg/셀·10 min 이상 500 mg/셀·10 min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착용자에게 적당한 증기감을 주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중의 결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2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 2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 18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다.
〔수증기 발생량 측정법〕
여기서,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수치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2.1 ℓ) (31), 측정실 (31) 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ℓ/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 (32), 측정실 (31) 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 (33), 유입로 (32) 에 형성된 입구 온습도계 (34) 와 입구 유량계 (35), 유출로 (33) 에 형성된 출구 온습도계 (36) 와 출구 유량계 (37), 측정실 (31) 내에 형성된 온도계 (서미스터) (38) 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계 (38) 로서는, 온도 분해능이 0.01 ℃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의 표면 온도의 측정은,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자루로부터 꺼내고,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 즉 수증기 방출면을 위로 하여 측정실 (31) 에 재치하고, 금속구 (4.5 g) 를 붙인 온도계 (38) 를 그 위에 실어 계측한다. 또, 이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려, 입구 온습도계 (34) 와 출구 온습도계 (36) 로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로부터 측정실 (31) 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후의 절대 습도의 차를 구하고, 또한 입구 유량계 (35) 와 출구 유량계 (37) 로 계측되는 유량으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증기 발생량이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자루로부터 꺼낸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0 분 후까지 측정된 총량을 말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착용자에게 적당한 증기감을 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mg/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g/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mg/10 min 이상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중의 결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mg/10 min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바람직하게는 60 mg/10 min 이상 200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g/10 min 이상 1400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g/10 min 이상 1000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g/10 min 이상 1000 mg/10 mi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mg/10 min 이상 1000 mg/10 min 이하이다.
계속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상기 서술한,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조합한 것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은, 7000 초/100 ㎖ 이하의 통기도를 갖는 시트로 덮이고, 또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 상에, 8000 초/100 ㎖ 초과의 통기도를 갖는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를 7000 초/100 ㎖ 이하로 하고, 또한,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를 8000 초/100 ㎖ 초과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마스크 (110) 의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110) 내부, 즉 착용자측에, 수증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30 % 이상 80 %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답답함을 주는 일 없이, 마스크 (110) 내부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이들의 효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어, 가온 가습에 의한 기분 좋음과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코막힘 등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함으로써 호흡을 편하게 하고, 점막 선모 수송 기능을 높여 이물질 배출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사용된다.
즉,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산소 차단 자루를 개봉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꺼내고, 마스크 (110) 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마스크 (110) 는, 각 귀걸이부 (102) 를 착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장착된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110) 에 있어서의 수용체 (104) 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전체로서 산소 차단 자루에 봉입된다. 이 경우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이 산소 차단 자루를 개봉 후,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꺼내고, 각 귀걸이부 (102) 를 착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장착한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함과 함께 수증기를 발생한다. 그리고, 마스크 (11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착용자의 입과 코로부터 흡인되고, 저온 저습 환경에 의한 인후, 코의 건조감의 완화, 코막힘 등에 의한 불쾌감이 저감되어, 릴렉스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분 좋아질 수 있다. 또, 입면감 (入眠感) 도 유발된다. 또한, 비강의 점막이 가온 가습되기 때문에, 이물질 배출 기능이 높아져, 감기 등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입술 부분은, 각층이 얇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하고,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발열이 입술 부분에 접함으로써, 과민하게 뜨겁게 느껴지기 쉬운데 대해, 코의 옆부분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는, 착용자에게 기분 좋은 증기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 이상이다.
또,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는, 마스크 내의 결로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g/㎥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g/㎥ 이하이다.
또,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는,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 50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 45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 4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 35 g/㎥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 이상 35 g/㎥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평균치는, 착용자에게 기분 좋은 증기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7 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g/㎥ 이상이다.
또,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평균치는, 마스크 내의 결로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g/㎥ 이하이다.
또,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평균치는, 착용자에게 기분 좋은 증기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7 g/㎥ 이상 35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 3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 25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 25 g/㎥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g/㎥ 이상 25 g/㎥ 이하이다.
또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 시의 절대 습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습도 측정 조건]
20 ℃ 60 %RH 의 환경하, 유한회사 디지털 휴먼 테크놀로지사의 남성 인원수 데이터 (일본인 성인 남성 52 명 평균) 를 이용하여 제작한 헤드부 모형 마네킹의 코 하부에, 온습도 센서 (센시리온사 제조 SHT71) 를 장착하고, 헤드부 모형의 코부로부터 벤틸레이터 (HARVARD APPARATUS DUAL PHASE CONTROL RESPIRATOR (HARVARD APPARATU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인간의 호흡 리듬을 모방하여, 1 분간에 15 회, 1 회당 500 ㎖ 의 빈도로 흡기를 실시한다. 이 상태에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마네킹에 장착하여, 온습도 변화를 계측하고, 기록한다. 기록계로서는, 예를 들어, 센시리온사 제조 EK-H4 등을 사용한다. 온도와 상대 습도로부터, 절대 습도를 산출하고, 10 분간의 최대 절대 습도와 평균 절대 습도를 구한다.
(제 2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통기도를 이하의 구성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이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제 2 시트의 통기도에 대해 20 % 이하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동일한 구성,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시트 (122B) 는,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갖는 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되지만, 전체로서,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로서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의 조건이 채용된다.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는, 수증기 발생체의 이상 발열을 방지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여, 수증기를 착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에서, 4000 초/100 ㎖ 이상 7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용도에 따라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그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의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2 시트 (122B) 의 질감을 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2 층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이 사용되지만,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측의 면에 위치하는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20 % 이하이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여, 수증기를 착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체의 팽창을 억제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착용 시의 답답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1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이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20 %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여, 수증기를 착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체의 팽창을 억제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착용 시의 답답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600 초/10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초/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100 ㎖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초/100 ㎖ 이다.
이와 같은 통기도를 갖는 제 1 시트 (122A) 로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은 갖지만 투수성을 가지지 않는 합성 수지제의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에 탄산칼슘 등을 함유시켜 연신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성 시트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의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1 시트 (122A) 의 질감을 높여도 된다.
또, 제 1 시트 (122A)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를 8000 초/100 ㎖ 이하로 하고, 또한,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를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20 % 이하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마스크 (110) 의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110) 내부, 즉 착용자측에, 수증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30 % 이상 80 %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답답함을 주는 일 없이, 마스크 (110) 내부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이들 효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어, 가온 가습에 의한 기분 좋음과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코막힘 등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함으로써 호흡을 편하게 하고, 점막 선모 수송 기능을 높여 이물질 배출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수용체 (104) 가 이용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점착제가 이용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나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7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에 수증기 발생체를 장착하기 전의 착용자측의 면에서 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착용자의 눈측) 에서 본 단면도이다.
〔마스크〕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나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에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첩부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마킹 영역 (105)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킹 영역 (105) 상에, 점착제 (106) 를 통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되어 있다. 마킹 영역 (105) 은, 인쇄에서 영역 내의 색을 바꾸어도 되고,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마킹 영역 (105) 은, 주위에 실선, 점선 등의 라인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장착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와 착용자의 사이에, 질감이 좋은 시트 재료인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부직포가 배치되어도 된다 (도시 생략). 이 경우, 부직포는, 수증기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게다가, 부직포가 수증기에 의해 젖는 것에서 기인하여, 수증기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고, 또한, 공기의 유입을 저해하지 않도록, 발수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상에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마스크 (110) 의 착용자측의 면에 개폐 자유롭게 장착되어,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첩부 후, 닫혀지는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착용자측과는 반대의 면, 즉, 제 2 시트 (122B) 의 착용자측과는 반대의 면에는, 점착제 (10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110) 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점착제 (106) 는, 적어도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할 수 있으면 되고, 크기,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 (106) 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점착제가 사용된다. 핫멜트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점착 기제, 점착 부여 수지 및 연화제를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다. 핫멜트 점착제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계, 폴리올레핀계 (Polyethylene (PE) 계, Ethylene Vinyl Acetate (EVA) 계, Ethylene-Ethyl-Acrylate (EEA) 계, Atactic Polypropylene (APP) 계, Amorphous PolyAlpha Olefin (APAO) 계 등), 폴리아미드계 (나일론계, 폴리아미드계 등),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보존성, 점착력, 안전성 등의 면에서, 합성 고무계, 폴리올레핀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가 바람직하고, 특히 합성 고무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 (106) 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 있어서는 박리지에 의해 보호됨과 함께 외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박리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접는 선 (103)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에, 좌우 대칭으로 1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고정 위치를 알기 쉬워진다. 이 경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기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110) 에, 따로 따로 2 개 첩부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2 개의 수증기 발생체 (120) 가 하나의 자루체에 의해 이어진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가, 1 매의 시트로부터 형성되고, 접는 선 (103) 으로 좌우 대칭으로 접혀져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마스크 본체부 (101) 는, 동형의 2 매의 시트를 중첩하고, 한 변을 첩합 (貼合) 함으로써 접는 선 (103) 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시트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한층 더 이하의 조성물, 제조 방법, 혹은 용도를 개시한다.
<1>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증기 온열 마스크.
<2>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에 대해 20 % 이하인,
증기 온열 마스크.
<3>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직 방향의 강성치가, 바람직하게는 30 gf/60 mm 폭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gf/60 mm 폭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gf/60 mm 폭 이상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4>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직 방향의 강성치가, 바람직하게는 150 gf/60 mm 폭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gf/60 mm 폭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f/60 mm 폭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5>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가,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 이상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6>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가, 바람직하게는 50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g/㎥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g/㎥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7>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통기 저항이, 바람직하게는 5 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a 이상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8>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통기 저항이, 바람직하게는 200 Pa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Pa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Pa 이하인,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9>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5 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0>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 이하인,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1>
상기 수증기 발생부는,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물,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2>
상기 흡수제의 함유량은, 상기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인, <11> 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3>
상기 흡수제의 함유량은, 상기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인, <11> 또는 <12> 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4>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수분량이, 상기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5 질량부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인,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5>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수분량이,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인,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6>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량이, 수증기 발생체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30 mg/셀·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g/셀·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g/셀·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mg/셀·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mg/셀·10 min 이상인,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7>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량이, 수증기 발생체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200 mg/셀·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mg/셀·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mg/셀·10 mi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mg/셀·10 min 이하인,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8>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이, 수증기 발생체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인,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19>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이, 수증기 발생체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2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하인,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20>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수증기 발생량이, 바람직하게는 60 mg/10 mi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g/10 mi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g/10 min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mg/10 min 이상인,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21>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수증기 발생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 mg/10 mi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 mg/10 mi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mg/10 min 이하인,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22>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평균치가, 바람직하게는 11.7 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g/㎥ 이상인,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23>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평균치가, 바람직하게는 35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g/㎥ 이하인,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 마스크.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층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실시예 A1)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작>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발열 조성물을, 다음의 순서로 조제했다.
증점제를 물에 용해하고, 이어서 인산삼칼륨을 용해하여 수용액을 준비했다. 한편으로 철분, 활성탄을 프레 혼합한 분체를 준비하고, 상기 수용액에 프레 혼합 분체를 넣어, 디스크 터빈형 교반 날개로 150 rpm, 10 분간 교반하여 슬러리상의 발열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발열 조성물을 기재층 (121B) 의 편면에 다이코팅법을 이용하여 수증기 발생부 (121) 의 1 개 (4.9 cm × 4.9 cm ; 면적 24.0 ㎠) 당, 1.4 g 이 되도록 도공했다. 또한, 도공면 상에 식염 (일본 약국방 염화나트륨 (오오츠카 제약사 제조)) 을 수증기 발생부 (121) 의 1 개 (상기와 동일) 당 0.07 g 이 되도록 산포하여 수증기 발생층 (121A) 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수 시트 (121C) 를 겹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제작했다.
기재층 (121B) 으로서는, 평량 27 g/㎡ 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했다. 보수 시트 (121C) 로서는, 목재 펄프제의 종이 (칭량 20 g/㎡, 이야지 주식회사 제조) 와 흡수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칭량 50 g/㎡, 아쿠아릭 CA, 주식회사 닛폰 촉매 제조)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30 g/㎡, 이야지 주식회사 제조) 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폴리머 시트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보수 시트 (121C) 가 피부측 (제 1 시트 (122A) 측) 에 배치되도록 2 층으로 겹쳤다 (질량 3.43 g). 제작 직후의 수증기 발생부 (121) 중의 수분량은, 철분 100 질량부에 대해, 62 질량부였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작>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121) 전체를, 표 3 에 기재한 통기도의 제 1 시트 (122A), 및 제 2 시트 (122B) 로 이루어지는 자루체 (122) 로 피복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이하 동일) 로서, TMS 부직포 (서멀 본드 (PET/PE)-멜트브론 (폴리프로필렌)-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적층 일체형, 평량 50 g/㎡,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를 2 층 적층하여, 통기도 0 초/100 ㎖ 의 시트로 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2 시트 (122B) (이하 동일) 로서, 폴리에틸렌 100 질량% 의 필름과 펄프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평량 40 g/㎡ 의 비통기성 시트를 사용했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이 때, 수증기 발생부 (121) 의 기재층 (121B) 은, 제 2 시트 (122B) 측에 배치되었다. 이 때, 통기면과 시일부를 포함한 제 1 시트 (122A) 의 면적은 39.7 ㎠ (6.3 cm × 6.3 cm) 였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할 때까지, 산소 차단 자루에 넣어 보존했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제작>
마스크 (110) 를 구성하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시트로서, SMS 부직포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론 (폴리프로필렌)-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적층 일체형, 평량 50 g/㎡) 가 외측, 평량 25 g 의 스판본드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가 내측 (착용자측) 이 되도록 2 층을 겹쳤다. 이 때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0.3 ㎛ 이상 입자의 차단률은 25 % 였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심의 접는 선 (103) 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상방에 1 개씩 (합계 2 개), 수용체 (104) 의 마스크 상부 이외를 열융착하고,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수용하는 수용체 (104) 를 제작했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단부에 신축성이 있는 고무끈상의 귀걸이부 (102) 를 장착하여, 입체 형상이 되는 마스크 (110) 를 제작했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을 수용체 부분에서 계측한 결과 148 Pa/30 mmΦ·압차였다. 또한, 하기 평가에 있어서는, 수용체 (104) 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각 1 개씩 (합계 2 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2 매의 부직포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마스크 (110) 의 상측으로부터 넣고,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접는 선 (103)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 (코옆) 에, 좌우 대칭으로 1 쌍의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장착시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로 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했다.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중앙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고, 상하의 가장 이간된 점을 연결한 선 (A 선) 으로부터 수직으로 선단부 방향으로 가장 떨어진 접는 선 상의 점에서 시일부의 귀걸이측 단부를 마스크 선단으로 하고, 당해 마스크 선단을 통과하는 상기 A 선과 평행한 선 (B 선) 으로부터 귀걸이 방향으로 7 cm 평행 이간한 선 (C 선) 으로 잘라내고, 다시 시일부를 잘라냈다. 잘라낸 마스크 본체의 편면을 A4 지 (톱판폼즈사 제조, 리사이클 커트판 G80A4W, 평량 64 g/㎡, 21.0 cm × 29.7 cm : 면적 623.7 ㎠) 에 외주를 트레이스하고, 그 외주부를 가위로 잘라내어, 잘라낸 종이의 질량을 계측했다. A4 지의 전체 질량과 잘라낸 종이의 질량의 2 배량, 및 A4 지의 전체 면적으로부터 환산한 결과,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은 152.0 ㎠ 이며,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좌우 2 개분의 면적비는 52 % 였다.
(실시예 A2 및 A3)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로서, 통기도 4.0 초/100 ㎖, 평량 40 g/㎡ (상품명 : 일레븐 MOA, 토카이 펄프사 제조) 의 합성 펄프지를 사용하고, 당해 합성 펄프지를 실시예 A2 에 있어서는 1 매, 실시예 A3 에 있어서는 2 매 겹쳤다. 그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A4 ∼ A8)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로서, 표 3 에 기재된 통기도를 갖는, 평량 50 g/㎡ (상품명 :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 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A9 ∼ A11)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2 시트 (122B) 로서, 표 3 에 기재된 통기도를 갖는, 평량 50 g/㎡ (상품명 :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 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A12, A13 및 비교예 A1)
실시예 A1 의 수증기 발생부 (121) (4.9 cm × 4.9 cm ; 면적 24.0 ㎠) 를 3.3 cm × 3.3 cm (면적 10.9 ㎠) 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수증기 발생부로서 사용했다. 또, 수증기 발생체의 제작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크기를, 실시예 A12 에서는 4.8 cm × 4.8 cm (면적 23.0 ㎠), 실시예 A13 에서는 5.5 cm × 5.5 cm (면적 30.3 ㎠), 비교예 A1 에서는 3.9 cm × 3.9 cm (면적 15.2 ㎠) 로 하고, 각각의 시트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면적비를, 표 3 에 기재된 것으로 했다.
(실시예 A14, A15 및 비교예 A2)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작에 있어서, 발열 조성물을 기재층 (121B) 의 편면에 다이코팅할 때, 수증기 발생부 (121) 의 1 개의 크기를, 실시예 A14 에서는 4.9 cm × 6.5 cm (면적 31.9 ㎠), 실시예 A15 에서는 4.9 cm × 7.5 cm (면적 36.8 ㎠), 비교예 A2 에서는 4.9 cm × 8.5 cm (면적 41.7 ㎠) 로 하고, 발열 조성물의 도포량이 실시예 A1 의 것과 동일한 두께 (4.9 cm × 4.9 cm 당으로 환산하면 1.4 g) 가 되도록 제작했다. 또, 수증기 발생체의 제작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크기를, 실시예 A14 에서는 6.3 cm × 8.4 cm (면적 52.9 ㎠), 실시예 A15 에서는 6.3 cm × 9.6 cm (면적 60.5 ㎠), 비교예 A2 에서는 6.4 cm × 10.6 cm (면적 67.8 ㎠) 로 하고, 각각의 시트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면적비를, 표 3 에 기재된 것으로 했다.
(실시예 A16 및 A17)
수증기 발생부로서, 실시예 A1 에서 사용한 수증기 발생부 (121) 를 1 층만 사용하고, 또, 표 3 에 나타내는 통기도의 제 1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 에 준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제작했다. 실시예 A16 에 대해서는, 그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하고, 실시예 A17 에 대해서는, 증기 온열 마스크 제작 시에, 제작한 수증기 발생체 더하여, 수증기 발생체의 제 2 시트에 접하도록 가로 세로 63 mm 의 크기로 잘라낸 ADVANTEC (등록상표) 정성 여과지 No. 2 를 1 매 적층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A18 및 A19)
수증기 발생부로서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의 분체상의 발열 조성물을, 다음의 순서로 제작했다.
질소 기류하에서, 철분, 물, 식염, 흡수 폴리머 및 활성탄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분체상의 수증기 발생부를 제작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작에 있어서, 실시예 A18 에 대해서는 실시예 A1, 실시예 A19 에 대해서는 실시예 A8 에 있어서의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로 바꾸고, 각각 상기 분체상의 수증기 발생부 2.8 g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비교예 A3 및 A4)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로서, 평량 50 g/㎡,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고, 비교예 A3 에 대해서는 통기도 8000 초/100 ㎖, 비교예 A4 에 대해서는 통기도 10000 초/100 ㎖ 의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산소 차단 자루 (포장재) 를 개봉하여, 제작한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꺼내고, 신속하게 마스크 (110) 에 세트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수증기 발생체의 강성치의 측정〕
텐실론 만능 시험기 (ORIENTEC RTC-1150A) 를 사용하여, 마스크 세트의 휨 강성치를 측정했다. 마스크 본체의 접는 선을 잘라내어 마스크 편측을 사용하여, 수증기 발생체 1 셀을 마스크 수용체에 삽입한 상태로 휨 강성치를 계측했다. 측정 조건은, 스팬간 거리 30 mm 에서 수증기 발생체를 지지하고, 폭 60 mm, 선단 반경 5 mm 의 판상의 가압 부재로, 시험편 (수증기 발생체) 의 중앙부에 크로스 헤드 스피드 20 mm/min 으로 부하를 주었다. 이 때의 피크 하중 (3 회 계측의 평균치) 을 강성치로 했다.
〔수증기 발생량의 측정 (수증기 발생체)〕
내용적이 4.2 리터, 내부의 습도가 1 RH% 이하이며, 밀폐계 내에 2.1 리터/min 의 건조 공기를 공급 가능한 시험기를 준비하고, 그 내부에 수증기가 증산 가능하도록 소정 치수의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정치 (靜置) 하여 발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폐계 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습도계로 측정하고, 하기 식 (1) 을 사용하여 발열 개시 후에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구하고, 단위 시간당의 수증기량으로 했다. e 는 수증기압 (Pa), es 는 포화 수증기압 (Pa : JIS Z8806 에서 인용), T 는 온도 (℃ : 건구 온도), s 는 샘플링 주기 (초) 이다.
상대 습도 U (%RH) = (e/es) × 100
절대 습도 D (g/㎥) = (0.794 × 10-2 × e)/(1 + 0.00366T)
= (0.794 × 10-2 × U × es)/〔100 × (1 + 0.00366T)〕
단위 공기 용적 P (리터) = (2.1 × s)/60
단위 시간당 수증기의 발생량 A (g) = (P × D)/1000···(1)
〔수증기 발열체의 팽창〕
20 ℃ 60 %RH 의 환경하, 유한회사 디지털 휴먼 테크놀로지사의 남성 인원수 데이터 (일본인 성인 남성 52 명 평균) 를 이용하여 제작한 헤드부 모형 마네킹 (이하 「마네킹」) 에 마스크를 장착하고 나서 30 분 후에, 마스크 본체로부터 수증기 발생체를 꺼내고, 주사기로 수증기 발생체 내부 (피부측 시트와 외측 시트로 닫혀진 내부) 의 기체를 흡인하여, 체적을 측정했다. 2 회 측정을 실시하여, 그 평균으로써 측정치로 했다.
〔수증기 발생량의 측정 (증기 온열 마스크)〕
수증기 발생체에 대해 실시한 전술한 수증기 발생량의 측정 방법으로, 수증기 발생량의 측정을 실시했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의 측정〕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마스크 테스터 MTS-2 (시바타 과학) 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마스크 테스터 MTS-2 (시바타 과학 제조) 의 본체 상부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시트재로부터 3.5 cm × 3.5 ∼ 5 cm × 5 cm 의 사이즈로 자른 시트를 배치하고, 시트 고정용 지그로, 새지않도록 고정했다. 측정은, 시험 면적은, 7 ㎠ (3 cmΦ), 시험 유량 10 ℓ/min. 으로 실시하고, 10 초간 측정했다. 통기 저항은, 시트에 대한 공기 유입측 (입구측) 과 공기 유출측 (출구측) 의 차압으로부터 구한 결과, 148 Pa 였다.
〔마스크 내 절대 습도의 계측〕
20 ℃ 60 %RH 의 환경하, 마네킹의 코 하부에, 온습도계 (센시리온사 제조 SHT75) 를 장착하고, 헤드부 모형의 코부로부터 벤틸레이터 (HARVARD APPARATUS DUAL PHASE CONTROL RESPIRATOR (HARVARD APPARATU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인간의 호흡 리듬을 모방하여, 1 분간에 15 회, 1 회당 500 ㎖ 의 빈도로 흡기를 실시했다. 이 상태에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마네킹에 장착하여, 온습도 변화를 계측했다. 온도와 상대 습도로부터, 절대 습도를 산출하고, 10 분간의 최대 절대 습도와 평균 절대 습도를 구했다.
〔마스크 장착감 평가 (온감, 지속성, 증기감 (습윤감), 답답함)〕
22 ℃ 의 환경에 있어서, 남성 5 명의 패널리스트로 마스크의 장착감을 평가했다.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온감, 지속성, 증기감 (습윤감) 및 답답함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가장 인원수가 많은 점수를 선택하여 스코어화했다.
온감
1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따뜻함의 차를 느끼기 어렵다
2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따뜻하다
3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충분히 따뜻하고 적당한 온감
4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충분히 따뜻하지만 약간 뜨겁다
5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충분히 따뜻하지만 뜨겁다
지속성
1 : 쾌적한 온감 및 증기감의 지속 시간이 5 분 미만
2 : 쾌적한 온감 및 증기감의 지속 시간이 5 분 이상 10 분 미만
3 : 쾌적한 온감 및 증기감의 지속 시간이 10 분 이상
증기감 (습윤감)
1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목이나 코의 점막에 습윤의 차를 느끼기 어렵다
2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목이나 코의 점막에 약간 습윤을 느낀다
3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목이나 코의 점막에 습윤을 느낀다
4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이 우수하다
5 : 마스크 본체에만 비교해서, 목이나 코의 점막의 습윤감이 매우 우수하다
답답함
1 : 마스크 본체에 비해, 몹시 답답하다
2 : 마스크 본체에 비해, 상당히 답답하다
3 : 마스크 본체에 비해, 조금 답답함을 느낀다
4 : 마스크 본체에 비해, 거의 답답함을 느끼지 않는다
5 : 마스크 본체와 동등하여, 전혀 답답함을 느끼지 않는다
[실시예 B]
(실시예 B1)
상기 실시예 A 와 동일한 형상의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작>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발열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제작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작>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121) 전체를, 표 4 에 기재한 통기도의 제 1 시트 (122A), 및 제 2 시트 (122B) 로 이루어지는 자루체 (122) 로 피복하고,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이하 동일) 로서, TMS 부직포 (서멀 본드 (PET/PE)-멜트브론 (폴리프로필렌)-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적층 일체형, 평량 50 g/㎡,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를 2 층으로 적층하고, 통기도 0 초/100 ㎖ 의 시트로 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2 시트 (122B) (이하 동일) 로서, 통기도 7000 초/100 ㎖, 평량 50 g/㎡ (상품명 :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 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했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이 때, 수증기 발생부 (121) 의 기재층 (121B) 은, 제 2 시트 (122B) 측에 배치되었다. 이 때, 통기면 (제 1 시트 (122A)) 의 면적이 6.3 cm × 6.3 cm (면적 39.7 ㎠) 가 되도록 했다 (통기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면적률은 60.5 %).
수증기 발생체 (120) 는,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할 때까지, 산소 차단 자루에 넣어 보존했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제작>
상기 실시예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2 및 B3)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로서, 통기도 4.0 초/100 ㎖, 평량 40 g/㎡ (상품명 : 일레븐 MOA, 토카이 펄프사 제조) 의 합성 펄프지를 사용하고, 당해 합성 펄프지를 실시예 B2 에 있어서는 1 매, 실시예 B3 에 있어서는 2 매 겹쳤다. 그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4)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로서, 통기도 250 초/100 ㎖, 평량 50 g/㎡ (상품명 :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 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5 ∼ B9)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2 시트 (122B) 로서, 표 4 에 기재된 통기도를 갖는, 평량 50 g/㎡ (상품명 :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 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10, B11 및 비교예 B1)
실시예 B1 의 수증기 발생부 (121) (4.9 cm × 4.9 cm ; 면적 24.0 ㎠) 를 3.3 cm × 3.3 cm (면적 10.9 ㎠) 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수증기 발생부로서 사용했다. 또, 수증기 발생체의 제작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크기를, 실시예 B10 에서는 4.8 cm × 4.8 cm (면적 23.0 ㎠), 실시예 B11 에서는 5.5 cm × 5.5 cm (면적 30.3 ㎠), 비교예 B1 에서는 3.9 cm × 3.9 cm (면적 15.2 ㎠) 로 하고, 각각의 시트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면적비를, 표 4 에 기재된 것으로 했다.
(실시예 B12, B13 및 비교예 B2)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작에 있어서, 발열 조성물을 기재층 (121B) 의 편면에 다이코팅할 때, 수증기 발생부 (121) 의 1 개의 크기를, 실시예 B12 에서는 4.9 cm × 6.5 cm (면적 31.9 ㎠), 실시예 B13 에서는 4.9 cm × 7.5 cm (면적 36.8 ㎠), 비교예 B2 에서는 4.9 cm × 8.5 cm (면적 41.7 ㎠) 로 하고, 발열 조성물의 도포량이 실시예 B1 의 것과 동일한 두께 (4.9 cm × 4.9 cm 당으로 환산하면 1.4 g) 가 되도록 제작했다. 또, 수증기 발생체의 제작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크기를, 실시예 B12 에서는 6.3 cm × 8.4 cm (면적 52.9 ㎠), 실시예 B13 에서는 6.3 cm × 9.6 cm (면적 60.5 ㎠), 비교예 B2 에서는 6.4 cm × 10.6 cm (면적 67.8 ㎠) 로 하고, 각각의 시트의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배치하고, 주연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얻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면적비를, 표 4 에 기재된 것으로 했다.
(실시예 B14 및 B15)
수증기 발생부로서, 실시예 B1 에서 사용한 수증기 발생부 (121) 를 1 층만 사용하고, 또, 표 4 에 나타내는 통기도의 제 1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 에 준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14 에 대해서는, 그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하고, 실시예 B15 에 대해서는, 증기 온열 마스크 제작 시에, 제작한 수증기 발생체 더하여, 수증기 발생체의 제 2 시트에 접하도록 가로 세로 63 mm 의 크기로 잘라낸 ADVANTEC (등록상표) 정성 여과지 No. 2 를 1 매 적층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실시예 B16)
수증기 발생부로서,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의 분체상의 발열 조성물을, 다음의 순서로 제작했다.
질소 기류하에서, 철분, 물, 식염, 흡수 폴리머 및 활성탄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분체상의 수증기 발생부를 제작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작에 있어서, 실시예 B1 에 있어서의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로 바꾸고, 상기 분체상의 수증기 발생부 2.8 g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비교예 B3 및 B4)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및 제 2 시트 (122B) 로서, 표 4 에 나타낸 통기도, 평량 50 g/㎡, TSF-EU, 주식회사 쿄진사 제조의 탄산칼슘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제작했다.
산소 차단 자루 (포장재) 를 개봉하여, 제작한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꺼내고, 신속하게 마스크 (110) 에 세트하여, 실시예 A 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Claims (5)
-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증기 온열 마스크. -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에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한 증기 온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 % 이상 80 % 이하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상기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착용자측의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이며,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에 대해 20 % 이하인, 증기 온열 마스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직 방향의 강성치가 30 gf/60 mm 폭 이상인, 증기 온열 마스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의 최대치가 12 g/㎥ 이상 50 g/㎥ 이하인, 증기 온열 마스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통기 저항이 5 Pa 이상 200 Pa 이하인, 증기 온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5/066743 WO2016199245A1 (ja) | 2015-06-10 | 2015-06-10 | 蒸気温熱マス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050A true KR20180017050A (ko) | 2018-02-20 |
KR102306197B1 KR102306197B1 (ko) | 2021-09-28 |
Family
ID=5750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7209A KR102306197B1 (ko) | 2015-06-10 | 2015-06-10 | 증기 온열 마스크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1045386B2 (ko) |
EP (2) | EP3308754A4 (ko) |
JP (1) | JP6393832B2 (ko) |
KR (1) | KR102306197B1 (ko) |
CN (3) | CN111887521B (ko) |
RU (1) | RU2695621C2 (ko) |
SG (1) | SG11201709575RA (ko) |
WO (1) | WO201619924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5699B1 (ko) | 2020-01-20 | 2020-04-28 | 김대혁 | 마스크형 수분팩 |
KR20210099069A (ko) * | 2019-05-24 | 2021-08-11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증기 발생구 |
KR20230121929A (ko) * | 2021-06-08 | 2023-08-21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온열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59116B2 (ja) * | 2017-01-26 | 2021-04-14 | 花王株式会社 |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
JP6918107B2 (ja) * | 2017-06-22 | 2021-08-11 | 花王株式会社 | 温熱具 |
USD949325S1 (en) * | 2018-07-11 | 2022-04-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spirator |
JP7321706B2 (ja) * | 2018-12-28 | 2023-08-07 | 小林製薬株式会社 | マスク |
JP7325958B2 (ja) * | 2018-12-28 | 2023-08-15 | 小林製薬株式会社 | マスク |
CN110025066B (zh) * | 2019-03-07 | 2020-10-30 | 泉州台商投资区钰宝商贸有限公司 | 一种用于运动量和身体状态检测的智能穿戴设备 |
KR102022669B1 (ko) * | 2019-06-21 | 2019-09-18 | 박민규 | 안구 보습기 |
JP7516016B2 (ja) * | 2019-06-28 | 2024-07-16 | 小林製薬株式会社 | マスク |
CN113349480A (zh) * | 2020-03-04 | 2021-09-07 | 浙江珍珠生活科技有限公司 | 一种珍珠抗菌无纺布医用防护口罩及其制备方法 |
CN113521581A (zh) * | 2020-04-15 | 2021-10-22 | 咏达生医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供气口罩 |
JPWO2021214989A1 (ko) | 2020-04-24 | 2021-10-28 | ||
US20210337889A1 (en) * | 2020-04-29 | 2021-11-04 | Mark Silverberg | Medical heated face mask |
TWI749893B (zh) * | 2020-11-23 | 2021-12-11 | 台覲實業股份有限公司 | 布口罩製造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9493A (ja) * | 1999-07-16 | 2001-02-06 | Kanai Hiroaki | マスク用蒸れ防止具 |
JP2004073828A (ja) | 2002-06-20 | 2004-03-11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JP2006102145A (ja) | 2004-10-05 | 2006-04-20 | Uni Charm Corp | マスク |
JP2007289682A (ja) * | 2006-03-31 | 2007-11-08 | Kao Corp | 目用水蒸気発生体 |
JP2009000200A (ja) | 2007-06-20 | 2009-01-08 | Meiko Shoji Kk | 使い捨て立体マスク、使い捨て立体マスク封入体及び使い捨て立体マスク用加温シート |
JP2011136060A (ja) | 2009-12-28 | 2011-07-14 | Kao Corp | マスク用鼻部温熱具 |
JP2011206222A (ja) * | 2010-03-29 | 2011-10-20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5542A (en) * | 1978-12-12 | 1980-09-30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Evaporative humidifier |
US5154984A (en) * | 1986-10-09 | 1992-10-13 |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 Metal-ceramic composite |
US4947924A (en) * | 1987-04-10 | 1990-08-14 |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 Metal-ceramic composi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H11137618A (ja) * | 1997-11-04 | 1999-05-25 | Nikkiso Ysi Kk | 保育器 |
JP3049707B2 (ja) | 1998-04-03 | 2000-06-05 | 花王株式会社 | 水蒸気発生体 |
JP4418906B2 (ja) | 1999-04-02 | 2010-02-24 | 興研株式会社 | 防じんマスク用フィルタ |
JP2001299916A (ja) * | 2000-04-18 | 2001-10-30 | Kao Corp | マスク型吸入器 |
US20040112366A1 (en) * | 2001-03-16 | 2004-06-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hermal device |
DE10139881B4 (de) * | 2001-08-20 | 2017-06-08 | Resmed R&D Germany Gmbh | Vorrichtung zur Zufuhr eines Atemgase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
JP2003102761A (ja) | 2001-09-28 | 2003-04-08 | Kao Corp | 発熱成形体の製造方法 |
JP4093348B2 (ja) * | 2002-05-20 | 2008-06-04 | マイコール株式会社 | 足温用発熱体及び足温用発熱体の製造方法 |
JP2004208978A (ja) * | 2002-12-27 | 2004-07-29 | Mycoal Products Corp |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
JP2004321737A (ja) * | 2003-04-23 | 2004-11-18 | Daihachi Matsuura | 水蒸気マスク002 |
JP4223329B2 (ja) * | 2003-06-09 | 2009-02-1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顔面装着用の加湿体 |
EP1655005A4 (en) * | 2003-07-31 | 2010-12-08 | Kao Corp | HEATING TOOL IN THE FORM OF SHEET |
US6974470B2 (en) * | 2004-02-27 | 2005-12-13 | Kao Corporation | Heat-generative, steam generation sheet for face |
FR2875138B1 (fr) * | 2004-09-15 | 2008-07-11 | Mallinckrodt Dev France Sa | Procede de regulation pour un humidificateur chauffant |
CN101146497B (zh) * | 2005-03-04 | 2010-12-29 | 花王株式会社 | 生理功能改善器具 |
WO2007114352A1 (ja) * | 2006-03-31 | 2007-10-11 | Kao Corporation | 目用水蒸気発生体 |
WO2008099770A1 (ja) * | 2007-02-16 | 2008-08-21 | Kao Corporation | 発熱具 |
JP2008295961A (ja) * | 2007-06-04 | 2008-12-11 | Kobayashi Pharmaceut Co Ltd | マスク |
JP5284700B2 (ja) * | 2007-11-09 | 2013-09-11 | 花王株式会社 | 発熱具 |
US9802022B2 (en) * | 2008-03-06 | 2017-10-31 | Resmed Limited | Humidification of respiratory gases |
CN101537221A (zh) * | 2008-03-06 | 2009-09-23 | 雷斯梅德有限公司 | 呼吸气体的湿化 |
JP5268432B2 (ja) | 2008-05-30 | 2013-08-21 | 小林製薬株式会社 |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
FR2935272B1 (fr) * | 2008-08-26 | 2010-09-03 | Deltalyo & Valmy | Composition multicouche pour masque respiratoire |
JP5317589B2 (ja) * | 2008-08-29 | 2013-10-16 | 花王株式会社 | 発熱具 |
EP2356958B1 (en) * | 2008-12-10 | 2019-05-15 | Kao Corporation | Heat generating device |
JP5734843B2 (ja) * | 2009-04-06 | 2015-06-17 | 株式会社Tkb | 人工鼻及び該人工鼻を備えた呼吸回路 |
US8365771B2 (en) | 2009-12-16 | 2013-02-0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Unidirectional valves and filtering face masks comprising unidirectional valves |
JP2011188947A (ja) * | 2010-03-12 | 2011-09-29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EP2581065B1 (en) * | 2010-06-09 | 2019-12-25 | Kao Corporation | Water-vapor-generating heating tool |
JP5377611B2 (ja) * | 2011-10-17 | 2013-12-25 | 花王株式会社 | マスク |
TWI504388B (zh) | 2011-12-21 | 2015-10-21 | Kao Corp | 蒸氣溫熱器具 |
US9615612B2 (en) * | 2013-08-29 | 2017-04-1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with stiffening member integral with filtering structure |
JP6038071B2 (ja) | 2014-05-12 | 2016-12-07 | 小林製薬株式会社 | マスク |
CN104510031A (zh) | 2014-12-26 | 2015-04-15 | 王彤 | 加湿片和包含该加湿片的加湿口罩 |
-
2015
- 2015-06-10 CN CN202010855958.4A patent/CN111887521B/zh active Active
- 2015-06-10 JP JP2017523026A patent/JP6393832B2/ja active Active
- 2015-06-10 KR KR1020177037209A patent/KR1023061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10 WO PCT/JP2015/066743 patent/WO201619924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10 CN CN201580080790.1A patent/CN107635516B/zh active Active
- 2015-06-10 CN CN202010855425.6A patent/CN111887520B/zh active Active
- 2015-06-10 EP EP15894930.5A patent/EP330875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6-10 RU RU2018100099A patent/RU2695621C2/ru active
- 2015-06-10 EP EP20204937.5A patent/EP379183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6-10 SG SG11201709575RA patent/SG11201709575RA/en unknown
- 2015-06-10 US US15/580,909 patent/US11045386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5-21 US US17/327,318 patent/US2021027539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9493A (ja) * | 1999-07-16 | 2001-02-06 | Kanai Hiroaki | マスク用蒸れ防止具 |
JP2004073828A (ja) | 2002-06-20 | 2004-03-11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JP2006102145A (ja) | 2004-10-05 | 2006-04-20 | Uni Charm Corp | マスク |
JP2007289682A (ja) * | 2006-03-31 | 2007-11-08 | Kao Corp | 目用水蒸気発生体 |
JP2009000200A (ja) | 2007-06-20 | 2009-01-08 | Meiko Shoji Kk | 使い捨て立体マスク、使い捨て立体マスク封入体及び使い捨て立体マスク用加温シート |
JP2011136060A (ja) | 2009-12-28 | 2011-07-14 | Kao Corp | マスク用鼻部温熱具 |
JP2011206222A (ja) * | 2010-03-29 | 2011-10-20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9069A (ko) * | 2019-05-24 | 2021-08-11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증기 발생구 |
KR102105699B1 (ko) | 2020-01-20 | 2020-04-28 | 김대혁 | 마스크형 수분팩 |
KR20230121929A (ko) * | 2021-06-08 | 2023-08-21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온열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318166A1 (en) | 2018-11-08 |
JP6393832B2 (ja) | 2018-09-19 |
RU2018100099A3 (ko) | 2019-07-17 |
CN107635516A (zh) | 2018-01-26 |
JPWO2016199245A1 (ja) | 2018-03-29 |
RU2018100099A (ru) | 2019-07-12 |
EP3308754A4 (en) | 2018-12-12 |
US11045386B2 (en) | 2021-06-29 |
KR102306197B1 (ko) | 2021-09-28 |
CN111887520B (zh) | 2022-11-11 |
EP3308754A1 (en) | 2018-04-18 |
EP3791835A1 (en) | 2021-03-17 |
SG11201709575RA (en) | 2017-12-28 |
RU2695621C2 (ru) | 2019-07-24 |
CN111887521A (zh) | 2020-11-06 |
WO2016199245A1 (ja) | 2016-12-15 |
CN107635516B (zh) | 2021-06-08 |
CN111887520A (zh) | 2020-11-06 |
CN111887521B (zh) | 2023-04-25 |
US20210275392A1 (en) | 2021-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75392A1 (en) | Steam heating mask | |
JP6742374B2 (ja) | 蒸気温熱マスク | |
KR102182158B1 (ko) |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 |
JP7229049B2 (ja) | 温熱具 | |
JP6859116B2 (ja) |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 |
JP2011136060A (ja) | マスク用鼻部温熱具 | |
JP2017170114A (ja) | 温熱具 | |
JP2020114957A (ja) | 蒸気温熱マスク | |
TWI690348B (zh) | 蒸氣溫熱面罩 | |
RU2768577C2 (ru) | Маска с паровым обогревом | |
WO2022168435A1 (ja) | マスク | |
WO2023149102A1 (ja) | 冷却具 | |
JP2023114975A (ja) | 冷却具 | |
JP2022089420A (ja) | 温熱具 | |
CN116829015A (zh) | 面罩 | |
JP2017169600A (ja) | ドライアイ改善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