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010703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703A
KR20180010703A KR1020160093260A KR20160093260A KR20180010703A KR 20180010703 A KR20180010703 A KR 20180010703A KR 1020160093260 A KR1020160093260 A KR 1020160093260A KR 20160093260 A KR20160093260 A KR 20160093260A KR 20180010703 A KR20180010703 A KR 2018001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air
suction for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164B1 (ko
Inventor
김휘중
박재익
장원준
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64B1/ko
Priority to US15/477,531 priority patent/US10455998B2/en
Publication of KR2018001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청소기 본체, 청소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유닛 및 흡기유로 상에서 집진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흡입유닛은 흡입력 생성부와, 흡입력 생성부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방향이 적어도 2회 이상 전환되는 배기유로와,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 및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들고 쉽게 청소를 행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핸디형 청소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하지만,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흡입력 생성부의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청소기 본체로 전달되어 발생되는 진동소음과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흡입력이 강한 모터를 사용할수록 소음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력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은 저감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유닛;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서 상기 집진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흡입력 생성부와, 상기 흡입력 생성부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방향이 적어도 2회 이상 전환되는 배기유로와,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유닛;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서 상기 집진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흡입력 생성부; 및 상기 흡입력 생성부를 수용하여 상기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배기유로, 상기 제1 배기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배기유로로부터 방향이 전환되는 제2 배기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흡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기유로와 상기 제2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레이어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유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와 종래기술의 진공 청소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사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흡입유닛의 유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1)는 로봇 청소기의 형상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로봇 청소기 외에도 일반적인 캐니스터(canister) 방식, 업라이트(up-right) 방식 및 핸디형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11, 12), 청소기 본체(11, 12)에 내에 배치된 집진유닛(13), 집진유닛(13)에 연결되는 흡입유닛(20) 및 청소기 본체(11)의 양측면에 배치된 구동바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 12)는 제1 본체(11) 및 제2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1)에는 집진유닛(13), 흡입유닛(20) 및 구동바퀴(111)가 배치되고, 제2 본체(12)는 흡입구(미도시), 브러쉬 유닛(미도시), 범퍼 및 센서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유닛(13)은 제1 본체(11)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제1 본체(11) 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집진유닛(13)은 제1 본체(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집진유닛(13)의 내부에 축적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흡입유닛(20)은 피청소면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집진유닛(13)에 연결됨으로써 집진유닛(13) 및 집진유닛(13)과 연통된 제2 본체(12)의 흡입구에 흡입력을 가할 수 있다.
흡입유닛(20)은 흡기유로상에서 집진유닛(13)보다 하류에 배치됨으로써, 피청소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집진유닛(13)을 통해 집진될 수 있으며, 집진유닛(13)을 통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흡입유닛(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구동바퀴(111)의 회전에 의해 진공 청소기(1)가 스스로 주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진공 청소기(1)가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아울러, 진공 청소기(1)는 진공 청소기(1)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종래의 기술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유닛(2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흡입유닛(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흡입유닛(20) 내부의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흡입유닛(20)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흡입유닛(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서 표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흡입유닛(2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유닛(20)은 흡기유로 상에서 집진유닛(13)보다 하류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집진유닛(13) 및 피청소면에 제공할 수 있다.
흡입유닛(20)은 흡입력 생성부(21), 흡입력 생성부(21)를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하우징(221, 231, 241), 다수의 흡음부재(251, 252) 및 다수의 방진부재(271 내지 27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는 진공 청소기(1)의 외부 공기를 청소기 본체(11, 12)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임펠러(impeller; 미도시), 모터(미도시), 흡기구(211)를 포함하는 임펠러 커버(2111) 및 흡기구(211)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는 모터에 연결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흡기구(211)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력 생성부(21)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흡기구(211)를 통해 흡입력 생성부(2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력 생성부(21)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력 생성부(21)는 다수의 하우징(221, 231, 2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하우징(221, 231, 241)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하우징(221, 231, 241)은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은 흡입력 생성부(21)와 대응되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은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221)의 외경은 제2 하우징(2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하우징(231)의 외경은 제3 하우징(24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는 제1 하우징(221)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21)은 제2 하우징(231)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31)은 제3 하우징(241)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21)은 흡입력 생성부(2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제1 개구(22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개구(221a)의 방향과 흡입력 생성부(21)의 흡기구(211)의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31)은 제1 하우징(22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제2 개구(23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개구(231a)의 방향 역시 흡기구(211) 및 제1 개구(221a)의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241)은 제2 하우징(23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제3 개구(24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개구(241a)의 방향 역시 흡기구(211) 및 제2 개구(231a)의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하우징(221)은 흡입력 생성부(21)의 배기구(2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1 하우징(221)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31)은 제1 배출구(2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구(23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하우징(241)은 제2 배출구(23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 배출구(241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21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1 내지 제3 배출구(2211, 2311, 2411)를 통해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을 따라 순차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유닛(20)은 배기구(2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배출구(2211)로 향하는 제1 구간, 제1 배출구(2211)로부터 제2 배출구(2311)로 향하는 제2 구간 및 제2 배출구(2311)로부터 제3 배출구(2411)로 향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은 제1 하우징(22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구간은 제1 하우징(221)의 외면과 제2 하우징(23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구간은 제2 하우징(231)의 외면과 제3 하우징(24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한 하우징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배기유로를 구성할 수 있는바, 흡입유닛(20)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배기유로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배출구(2211)는 흡입력 생성부(21)의 흡기구(211)와 반대되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출구(2211)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분포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2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212)를 통해 배출된 이후,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1 배출구(2211)로 향하는 제1 구간을 통해 제1 하우징(2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구간에는 제1 배출구(2211)를 통해 제1 하우징(22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소리를 흡수할 수 있는 제1 흡음부재(2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음부재(251)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흡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통과하는 공기의 소리를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부재(251)는 다공성 소재 예를 들면, 통기 유공이 45~75PPI(pore per inch)를 만족하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PPI의 통기 유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 수 있다.
제1 흡음부재(251)의 통기 유공이 일정 수치(예를 들어, 45PPI) 이하인 경우, 공기가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저감되어 흡입유닛(20)의 흡입력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흡음부재(251)의 통기 유공이 일정 수치(예를 들어, 75PPI) 이상인 경우, 제1 흡음부재(251)를 통한 소음의 흡수율이 저감될 수 있다.
제1 흡음부재(251)는 상술한 통기 유공 및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통과하는 공기의 소리가 계속 산란되어 감쇄됨에 따라 소정의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기구(212)로부터 배출된 불균일한 흐름의 공기가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하면서 소음이 저감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속 및 압력 또한 균일해 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음부재(251)는 흡입력 생성부(21)와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부재(251)의 두께는 약 10mm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방진부재(272)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음부재(251)는 제1 배출구(2211)를 커버할 수 있으며, 제1 배출구(2211)를 통해 제2 하우징(231)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전량은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구간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통해 발생되는 소음이 일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2211)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배치됨으로써, 흡기구(2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제1 구간을 지나 제1 배출구(2211)를 통해 제1 하우징(22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간을 이동하는 공기는 제1 하우징(221)의 내측면에 충돌됨이 없이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 구간을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최단시간 내에 제1 흡음부재(251)로 흡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흡음부재(251)는 제1 배출구(2211)의 위치에 따라, 제1 배출구(2211)를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흡음부재(251)는 흡입력 생성부(21)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흡입력 생성부(21)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다.
제2 배출구(2311)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과 수직하는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배출구(2311)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출구(2211)를 통해 제2 하우징(23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배출구(2211)로부터 제2 배출구(2311)로 향하는 제2 구간을 통해 제2 하우징(2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2211)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제2 배출구(2311)는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배출구(221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 배치된 제2 배출구(2311)로 향하는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방향은 제1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아울러, 흡입유닛(20)은 제1 배출구(2211)와 마주하는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제1 배출구(2211)로부터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으로 향하는 공기의 타격소음을 반사시킬 수 있다.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공기가 통과할 수는 없으며, 충돌하는 공기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반사시킬 수 있다.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흡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R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221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2 구간을 흐르기 위해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서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므로, 제1 하우징(231)의 바닥면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타격소음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 타격소음을 반사시킬 수 있는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를 배치함으로써, 제2 하우징(231)에 직접적으로 공기가 충돌됨으로써 타격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타격소음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구간에는 제2 배출구(2311)를 통해 제2 하우징(23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소리를 흡수할 수 있는 제2 흡음부재(2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음부재(252)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흡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흡음부재(25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그 외에도 공기의 흐름을 저해함이 없이, 통과하는 공기의 소리를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음부재(252)는 제1 하우징(221)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성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흡음부재(252)는 제1 하우징(221)의 외면을 둘러싸는 것과 동시에 제2 하우징(231)의 내면과도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221)의 외면과 제2 하우징(23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배기유로가 제2 흡음부재(252)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전량은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이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흡음부재(252)를 통해 제1 하우징(221)으로부터 제2 하우징(231)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소음 리플렉터(261)와 제2 흡음부재(252) 사이에는 제2 흡음부재가(252)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소음 리플렉터(261)에서 반사됨으로써 흐르는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공간(S) 내에서 혼합된 이후에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흡음부재(252)는 제2 배출구(2211)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출구(2211)를 통해 제3 하우징(241)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전량은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배출구(2311)는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는 제2 배출구(231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는 방향이 수직으로 전환되어 제2 배출구(2311)를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구간은 제1 하우징(221)의 외면과 제2 하우징(23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 구간의 길이는 제1 구간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가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하는 구간을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하는 길이보다 길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소음이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2311)는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보다 제2 개구(231a)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구간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공기가 제2 구간에 배치된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하는 구간을 길게 연장함으로써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소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구(2311)의 다수의 통공은 제2 하우징(231)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 장공의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배출구(2311)가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제2 흡음부재(252)가 제2 하우징(231)의 내면과 접하는 비율에 비해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한 공기가 제2 배출구(2311)의 다수의 장공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3 배출구(2411)는 제3 하우징(24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41)은 흡입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3 배출구(2411)를 통해 제1 본체(11)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므로, 제3 배출구(2411)는 제1 본체(11)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3 배출구(2411)의 다수의 통공이 제3 하우징(2411)의 측면 일부에만 배치된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제3 배출구(2411)는 진공 청소기(1)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2311)로부터 제3 배출구(2411)로 향하는 제3 구간에도 제3 흡음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제3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이처럼, 흡입유닛(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내지 제3 구간을 포함하는 배기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구간을 포함하는 배기유로의 길이는 종래의 배기유로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에 따른 소음이 직접적으로 흡입유닛(2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을 통해 흡입력 생성부(21)를 수용함으로써,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통해 흡입력 생성부(21)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흡입유닛(2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구간에 배치된 제1 및 제2 흡음부재(251, 252)를 통해 배기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3 구간을 포함하는 배기유로를 구성함에 있어, 배기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타격소음을 반사시킬 수 있는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충돌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타격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21)은 흡입력 생성부(21)가 수용되는 제1 개구(221a)를 개폐하는 제1 리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드(222)는 제1 하우징(2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개구(221a) 및 흡기구(211)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리드구(22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드구(2221), 제1 개구(221a) 및 흡기구(21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력 생성부(2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31)은 제2 개구(231a)를 개폐하는 제2 리드(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드(232)는 제2 하우징(23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개구(231a) 및 흡기구(211)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리드구(2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드(232)는 제2 리드(23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고리 형상의 패킹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233)는 제2 리드(23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킹부(233)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패킹리드(2331)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리드(2331)도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패킹리드(2331)가 후술하는 제3 리드(242)의 내측을 지지함으로써, 제2 리드(232)로부터 제3 리드(242)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패킹리드(2331)를 포함하는 패킹부(233)는 제3 리드(242)의 제3 리드구(24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2 리드(232)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2 리드구(2321)를 통해 흡기구(2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리드(232)와 제3 리드(242)의 내측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하우징(241)은 제3 개구(241a)를 개폐하는 제3 리드(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리드(242)는 제3 하우징(2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개구(241a) 및 흡기구(211)와 연통될 수 있는 제3 리드구(24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241)과 제3 리드(242)는 흡입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1)로부터 집진유닛(13)이 분리되는 경우, 제3 리드(242)의 제3 리드구(2421)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리드구(2421)는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집진유닛(13)이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흡입유닛(2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유닛(20)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방진부재(271, 272, 273, 2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방진부재(271, 272, 273, 274)는 흡입력 생성부(21)와 제1 하우징(221) 사이, 제1 하우징(221)과 제2 하우징(231) 사이 및 제2 하우징(231)과 제3 하우징(2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력 생성부(21)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을 거쳐 흡입유닛(2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방진부재(271, 272, 273, 274)는 제1 내지 제4 방진부재(271, 272, 273, 27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내지 제4 방진부재(271, 272, 273, 274) 각각이, 다수의 방진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진부재(271)는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서, 제1 리드(222)에 결합하여 제1 리드구(2221)의 외주면을 따라 임펠러 커버(211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펠러 커버(2111)로부터 제1 리드(222)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이 제1 방진부재(271)를 통해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방진부재(271)는 임펠러 커버(2111)와 제1 리드(222)의 제1 리드구(2221) 사이의 간극을 밀폐할 수 있으며, 따라서, 흡기구(211)와 제1 개구(221a) 사이의 간극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흡기구(211)와 제1 개구(221a)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지 않고 흡기구(21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진부재(271)는 제1 리드(222)의 제1 리드구(2221)와 제2 리드(232)의 제2 리드구(2321) 사이의 간극을 밀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개구(221a)와 제2 개구(231a) 사이의 간극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제1 개구(221a)와 제2 개구(231a)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지 않고, 흡기구(211)로 흡입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방진부재(271)는 제2 리드(232)의 제2 리드구(2321)와 제3 리드(242)의 제3 리드구(2421) 사이의 간극을 밀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개구(231a)와 제3 개구(241a) 사이의 간극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제2 개구(231a)와 제3 개구(241a)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지 않고, 흡기구(211)로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방진부재(271)는 흡입력 생성부(21)로부터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 및 제1 내지 제3 리드(222, 232, 242)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흡입유닛(2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흡기구(211)로 흡입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21)의 흡기구(211)와 반대되는 흡입력 생성부(21)의 타단에는 제2 방진부재(27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방진부재(272)는 흡입력 생성부(21)와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흡입력 생성부(21)로부터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흡음부재(251)는 제2 방진부재(27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홀(25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흡음부재(251)의 결합홀(2511)에 제2 방진부재(27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흡음부재(251)와 제2 방진부재(272)의 결합구조를 통해 제1 하우징(221)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과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3 방진부재(27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진부재(273)는 제1하우징(221)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타격소음 리플렉터(261)는 제3방진부재(27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홀(26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격소음 리플렉터(261)의 결합홀(2611)에 제3 방진부재(273)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타격소음 리플렉터(261)와 제3 방진부재(273)의 결합구조를 통해 제2 하우징(231)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4 방진부재(274)는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과 제3 하우징(241)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방진부재(274)는 제2하우징(231)의 바닥면으로부터 제3 하우징(241)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방진부재(274)는 다수의 방진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제2 하우징(2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흡입유닛(20)은 흡입력 생성부(21) 및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방진부재(271, 272, 273, 274)를 통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흡입유닛(2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흡기구(211)를 통해 흡입력 생성부(2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력 생성부(21)의 배기구(212)를 통해 배출되며, 흡입력 생성부(2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1 하우징(221)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1 배출구(2211)를 향하는 제1 구간을 따라 흐르게 된다.
공기가 제1 구간을 흐름에 있어, 제1 구간에 배치된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소음이 일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제1 흡음부재(251)를 통과한 공기는 제1 배출구(2211)를 통과하여 제2 하우징(2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배출구(2211)를 통과한 공기는 제1 배출구(2211)와 마주한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을 향하여 흐르게 되며, 제2 하우징(231)의 바닥면에 배치된 타격소음 리플렉터(261)에 반사됨으로써 흐르는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제2 배출구(2311)로 향하는 제2 구간을 따라 흐르게 된다.
공기가 제2 구간을 흐름에 있어, 제1 하우징(231)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1 구간에 배치된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소음이 이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제2 흡음부재(252)를 통과한 공기는 제2 하우징(231)의 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2311)를 통과하면서 흐르는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배출구(2311)로부터 제3 하우징(24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 배출구(2411)로 향하는 제3 구간을 따라 흐르게 되며, 제3 배출구(2411)를 통해 흡입유닛(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공 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와 종래기술의 진공 청소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데시벨; dB)를 주파수(Hz)에 따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하우징(221, 231, 241), 제1 흡음부재(251), 타격소음 리플렉터(261), 제2 흡음부재(252) 및 다수의 방진부재(271, 272, 273, 274)가 적용된 흡입유닛(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종래기술의 진공 청소기에 비해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종래기술에 비해 모든 음역대의 소음이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유닛(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흡입유닛(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흡입유닛(30) 내부의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흡입유닛(3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유닛(30)은 흡입유닛(30)의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흡입유닛(30)을 포함한 진공 청소기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흡입유닛(3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흡입유닛(30)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유닛(2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유닛(30)은 흡입력 생성부(31), 흡입력 생성부(31)를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하우징(321, 331, 341, 341), 다수의 흡음부재(351, 352, 353) 및 다수의 방진부재(361, 362, 36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력 생성부(31)의 흡기구(311)를 통해 흡입력 생성부(3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력 생성부(31)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구(3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기구(31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1 하우징(3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 하우징(321)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배출구(3211)를 통해 제1 하우징(3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3211)는 흡입력 생성부(31)의 배기구(312)와 근접한 제1 하우징(32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음부재(351)는 제1 하우징(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력 생성부(31)의 복수의 배기구(312)를 커버하도록 흡입력 생성부(31)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흡음부재(351)는 복수의 배기구(312)를 커버함과 동시에 제1 배출구(3211)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312)로부터 배출되어 제1 배출구(3211)로 향하는 제1 구간을 흐르는 공기는, 배기구(312)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제1 흡음부재(351)를 통과함으로써 소음이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하우징(321)의 외경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제1 하우징(321)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31)은 제1 하우징(32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제1 배출구(3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2 하우징(3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구(3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3311)는 제2 하우징(33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3211)로부터 제2 배출구(3311)로 향하는 제2 구간에는 제2 흡음부재(3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음부재(352)는 제1 하우징(321)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성일 수 있으며, 제1 하우징(321)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구성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흡음부재(352)는 제1 하우징(321)의 외면을 둘러싸는 것과 동시에 제2 하우징(331)의 내면과도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321)의 외면과 제2 하우징(331)의 내면 사이의 제2 구간이 제2 흡음부재(352)로 채워질 수 있으며, 제2 흡음부재(352)는 제2 배출구(3311)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전량은 제2 흡음부재(35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배출구(3311)의 다수의 통공은 공기가 통과하는 제2 흡음부재(3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2 흡음부재(352)를 통과하는 공기가 다수의 통공을 통해 분산되어 제2 하우징(3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341, 342)은 상부 하우징(341)과 하부 하우징(342)의 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42)은 집진유닛(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하부 흡기구(34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흡기구(3421)를 통해, 제3 하우징(341, 34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하우징(341, 342)이 상부 하우징(341)과 하부 하우징(342)의 결합을 통해 구성됨으로써 제3 하우징(341, 342)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41)의 곡면부에는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제3 배출구(34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342)은 제3 하우징(341, 34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배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3하우징(341, 34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 하우징(341, 342)의 상부를 향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
제3 하우징(341, 342)의 내부에는 제3 흡음부재(3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341, 342)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부 하우징(341)에 배치된 제3 배출구(3411)를 통해 제3 하우징(341, 342)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3 흡음부재(353)는 제3 배출구(3411)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331)의 외면의 일부만을 감싸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흡음부재(353)는 제2 배출구(3311)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2 하우징(331)의 외주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아치 형상일 수 있다.
제3 배출구(3411)의 다수의 통공은 상부 하우징(341)의 곡면부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흡음부재(353)는 제3 배출구(3411)의 다수의 통공을 커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흡음부재(353)가 제2 배출구(3311)의 일부만을 감싸더라도 제3 흡음부재(353)를 통과한 공기가 상부 하우징(341)의 곡면부 전체에 배치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분산되어 배출됨으로써 소음이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흡입유닛(30)은 제1 및 제2 하우징(321, 331)의 각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리드(322, 33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드(332)에는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패킹부(3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드(322, 332)의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제1 및 제2 리드(222, 232)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흡입유닛(30)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방진부재(361, 362, 36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방진부재(361, 362, 363)는 제1 내지 제3 방진부재(361, 362, 3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진부재(361)는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서, 임펠러 커버(311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임펠러 커버(3111)로부터 제1 리드(222)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이 제1 방진부재(361)를 통해 저감될 수 있다.
제2 방진부재(362)는 흡입력 생성부(31)와 제1 하우징(321)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흡입력 생성부(31)로부터 제1 하우징(321)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진부재(361, 362)는 도 3 에 도시된 제1 및 제2 방진부재(271, 272)의 구성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하우징(331)은 바닥면이 개방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331)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는 제3 하우징(341, 342)의 바닥면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제3 방진부재(363)는 고리의 형상으로 제2 하우징(33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331)으로부터 제3 하우징(341, 342)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제2 하우징(331)의 바닥면의 개구와 제3 하우징(341, 342) 사이의 간극을 밀폐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진부재(363)는 내주를 향해 돌출된 내주부(3631)를 통해 제2 하우징(331)의 개구상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321)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321)의 바닥면으부터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유닛(3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흡입유닛(30)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를 좀더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진공 청소기 11; 제1 본체
12; 제2 본체 13; 집진유닛
111; 구동바퀴 20, 30; 흡입유닛
21, 31; 흡입력 생성부 221, 321; 제1 하우징
231, 331; 제2 하우징 241; 제3 하우징
341; 상부 하우징 342; 하부 하우징

Claims (25)

  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유닛;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서 상기 집진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흡입력 생성부와, 상기 흡입력 생성부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방향이 적어도 2회 이상 전환되는 배기유로와,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배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흡입력 생성부를 수용하고, 상기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음부재는,
    상기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로 향하는 상기 배기유로의 제1 구간에 배치되는 제1 흡음부재; 및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배출구로 향하는 상기 배기유로의 제2 구간에 배치되는 제2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구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흐르는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방향은 상기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1 구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구간을 흐르는 공기의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흡입력 생성부의 흡기구와 반대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과 수직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흡기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음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음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음부재는 상기 제2 배출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구의 다수의 통공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향하는 공기의 타격소음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타격소음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생성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흡입력 생성부의 흡기구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개구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개구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흡입력 생성부의 흡기구와 반대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배출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부재는 상기 제2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3 배출구로 향하는 상기 배기유로의 제3 구간에 배치되는 제3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3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소음 리플렉터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4.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흡기유로를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유닛;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서 상기 집진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흡입력 생성부 및 상기 흡입력 생성부를 수용하여 상기 흡입력 생성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배기유로, 상기 제1 배기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배기유로로부터 방향이 전환되는 제2 배기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흡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기유로와 상기 제2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레이어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배기유로와 상기 제2 배기유로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공기의 타격소음을 반사시키는 타격소음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160093260A 2016-07-22 2016-07-22 진공 청소기 KR10249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60A KR102492164B1 (ko) 2016-07-22 2016-07-22 진공 청소기
US15/477,531 US10455998B2 (en) 2016-07-22 2017-04-03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60A KR102492164B1 (ko) 2016-07-22 2016-07-22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03A true KR20180010703A (ko) 2018-01-31
KR102492164B1 KR102492164B1 (ko) 2023-01-30

Family

ID=6098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260A KR102492164B1 (ko) 2016-07-22 2016-07-22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55998B2 (ko)
KR (1) KR102492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94A (ko) * 2021-07-07 2023-01-16 베이징 슌자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자율형 청소 기기 및 당해 소음 저감 에어 덕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9403B1 (fr) * 2018-12-07 2020-11-20 Seb Sa Aspirateur domestique équipé d’un élément d’absorption acoustique
JP7330720B2 (ja) * 2019-03-05 2023-08-22 株式会社マキタ 背負い式集じん機
CN110360635A (zh) * 2019-08-15 2019-10-22 北京华清源创科技有限公司 气体净化一体机
JP7514668B2 (ja) * 2020-06-29 2024-07-11 株式会社マキタ クリーナ
USD970837S1 (en) * 2020-09-03 2022-11-22 Husqvarna Ab Dust collector filter
USD970836S1 (en) * 2020-09-03 2022-11-22 Husqvarna Ab Dust collector fi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664A (en) * 1991-07-26 1994-03-15 Daewoo Electronics Co., Ltd. Low noise and less vibration vacuum cleaner
JP2010185289A (ja) * 2009-02-10 2010-08-26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79A (ko) 1972-04-28 1974-01-31
KR970009718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JPH1132947A (ja) * 1997-06-30 1999-02-09 Daewoo Electron Co Ltd 真空掃除機の吸音装置
KR100205687B1 (ko) 1997-08-30 1999-07-01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US6052862A (en) * 1999-02-16 2000-04-25 Multicraft International Cord rewinder for a water filter type vacuum cleaner
JP2000354562A (ja) 1999-06-15 2000-12-26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4081428A (ja) 2002-08-26 2004-03-1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100504856B1 (ko) 2002-10-1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지지 장치
CN1179700C (zh) * 2002-12-12 2004-12-15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用消音装置
CN1279868C (zh) * 2003-08-26 2006-10-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US7475449B2 (en) * 2003-12-24 2009-01-13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Vacuum cleaner
KR101143773B1 (ko) * 2004-12-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KR100710232B1 (ko) 2005-10-12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 장치
KR100725515B1 (ko) 2005-12-15 2007-06-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소음저감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1436631B1 (ko) 2007-11-1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4911179B2 (ja) 2009-02-09 2012-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100117817A (ko) 2009-04-27 2010-1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199739B1 (ko) 2009-12-15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유동 소음 감소 구조
JP5903544B2 (ja) * 2012-09-25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150000530A (ko) 2013-06-24 2015-01-05 코웨이 주식회사 모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1641261B1 (ko) * 2014-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664A (en) * 1991-07-26 1994-03-15 Daewoo Electronics Co., Ltd. Low noise and less vibration vacuum cleaner
JP2010185289A (ja) * 2009-02-10 2010-08-26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94A (ko) * 2021-07-07 2023-01-16 베이징 슌자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자율형 청소 기기 및 당해 소음 저감 에어 덕트 장치
US11963651B2 (en) 2021-07-07 2024-04-23 Beijing Shunzao Technology Co., Ltd. Autonomous cleaning device and noise reduction air duct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164B1 (ko) 2023-01-30
US20180020891A1 (en) 2018-01-25
US10455998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703A (ko) 진공 청소기
US7690077B2 (en) Central vacuum units with an acoustic damping pathway
JP3654330B2 (ja) 低騒音真空掃除機
KR20060129758A (ko) 진공청소기
CN104519779B (zh) 用于吸尘器中的真空马达的消声器系统
RU2005104021A (ru) Узел всасывающей щетки (варианты) и пылесос с такой щеткой
KR101143773B1 (ko)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US11006800B2 (en) Robot cleaner
US11452411B2 (en) Robot cleaner
KR101436631B1 (ko) 진공 청소기
JP4937984B2 (ja) 電気掃除機
KR101491968B1 (ko) 소음 저감 구조의 산업용 진공청소기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JP2000354562A (ja) 電気掃除機
KR20060117711A (ko)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437370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KR0148955B1 (ko) 조립이 용이한 흡음방구조
KR200167702Y1 (ko) 진공청소기
KR200205691Y1 (ko) 진공청소기 흡음케이스의 소음저감구조
KR100710392B1 (ko) 진공청소기
KR200220648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KR10020385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배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