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413A - 방폭형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방폭형 공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7413A KR20180007413A KR1020160088367A KR20160088367A KR20180007413A KR 20180007413 A KR20180007413 A KR 20180007413A KR 1020160088367 A KR1020160088367 A KR 1020160088367A KR 20160088367 A KR20160088367 A KR 20160088367A KR 20180007413 A KR20180007413 A KR 201800074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evaporator
- evaporator fan
- housing
- explo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방폭형 공조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공조 공기를 송풍하는 방폭(防爆)형 공조 장치로서,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하우징부 내에서 압축기와 연결되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하우징부 내에서 응축기와 연결되며,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 밸브, 하우징부 내에서 팽창 밸브와 연결되며, 팽창 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1 증발기 팬부, 하우징 부 내에 마련되고 제1 증발기 팬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2 증발기 팬부, 및 하우징부 내에서 제1 증발기 팬부와 제2 증발기 팬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가연성 가스가 존재할 수 있는 산업 현장에 사용되는 공조 장치는 폭발 위험성이 있으므로, 폭발 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공조 공기를 송풍하는 공조 장치는 외부 가연성 가스의 유입을 막기 위해 실내의 양압을 항상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방폭 구조가 적용되어 폭발 위험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방폭형 공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양압을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상시 유지할 수 있는 방폭형 공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공조 공기를 송풍하는 방폭(防爆)형 공조 장치로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팽창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팽창 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1 증발기 팬부; 상기 하우징 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2 증발기 팬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의 개방 시 다른 하나의 공간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상기 제2 증발기 팬부는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팬 차압 스위치; 상기 제2 증발기 팬부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2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팬 차압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증발기 팬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실내가 기 설정된 양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중 어느 하나가 항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의 폭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실내의 외벽과 대향하는 전면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 측으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응축기 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간, 상기 응축기 및 상기 팽창 밸브 간, 상기 팽창 밸브 및 상기 증발기 간,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 간을 연결하는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상기 증발기, 및 상기 배관을 포함하는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은,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 사이클 내에서 대기압 이상으로 봉입되어 상기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압력 방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배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 초과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압 스위치; 상기 배관의 압력이 상기 제1 기준 압력보다 낮게 설정되는 제2 기준 압력 미만이 되는 경우,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압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력 초과 신호 또는 상기 압력 미달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키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의 오일이 상기 배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히터 과열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열 방지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히터 과열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키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각각은, 상기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각각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는 증발기 팬; 상기 증발기 팬을 동작시키는 팬 모터; 상기 증발기 팬을 감싸며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증발기 팬의 송풍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팬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팬 하우징을 상기 팬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팬 하우징 고정부; 상기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 고정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팬 하우징의 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내와 연통되는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거나 상기 팬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를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안전증 방폭 구조로 이루어지고, 압축기 본체; 일면이 상기 압축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자대가 수납되는 단자 박스; 상기 단자 박스의 타면에서 상기 단자 박스와 체결되어 상기 단자 박스를 밀폐시키는 단자 박스 커버; 및 상기 단자 박스를 상기 압축기 본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자 박스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박스 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단자 박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단자 박스의 타측과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 사이의 구간이 상기 압축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단자 박스 커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 박스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은 냉매가 냉동 사이클 내에서 대기압 이상으로 봉입되어 마련됨으로써,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며, 그로 인해 가연성 가스로 인한 폭발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증발기 팬부와 제2 증발기 팬부 사이에 격벽부를 설치하여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된 공간과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제1 증발기 팬부 및 제2 증발기 팬부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동안 다른 하나가 설치되는 공간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다른 하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를 기 설정된 양압 이상으로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증발기 팬부 및 제2 증발기 팬부의 송풍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천정 높이에 따라 그에 맞는 송풍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실내 내부에서 방폭형 공조 장치의 송풍 덕트와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응축기를 방폭형 공조 장치의 측면에 설치하고, 응축기의 일측에 응축기 팬부를 마련함으로써, 방폭형 공조 장치를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 및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으로 모두 장착할 수 있으며,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에서, 제1 증발기 팬부의 송풍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방폭형 공조 장치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를 실내의 외벽에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평면도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에서 안전증 방폭구조가 적용된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에서, 제1 증발기 팬부의 송풍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방폭형 공조 장치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를 실내의 외벽에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평면도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에서 안전증 방폭구조가 적용된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압축기(104), 히터(106), 체크 밸브(108), 고압 스위치(110), 제1 압력계(112), 응축기(114), 응축기 팬부(116), 수액기(118), 필터 드라이어(120), 팽창 밸브(122), 증발기(124), 제1 증발기 팬부(126), 제2 증발기 팬부(128), 액 분리기(130), 저압 스위치(132), 제2 압력계(134), 팬 차압 스위치(136), 실내 압력 센서(138),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140), 및 컨트롤 박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는 구성(예를 들어, 압축기(104), 응축기(114), 수액기(118), 팽창 밸브(122), 증발기(124), 액 분리기(130) 등)들은 배관(144)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에서 배관(144)과 연결된 부위는 너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은 압력 방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은 냉매가 냉동 사이클 내에서 대기압 이상으로 봉입되어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에는 전기적 및 기계적 안전 장치(과열 방지 스위치, 과전류 차단기, 고압 스위치, 저압 스위치 등)들이 마련되어 압력 방폭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가연성 가스, 폭발성 가스, 화약류, 석유 화학 제품 등과 같이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여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공장 또는 실험실 등의 실내와 연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외부에 설치되고, 실내로 공기에 의한 압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외부의 가연성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실내에 압력을 가하여 해당 실내가 기 설정된 양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하우징부(102)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전면 및 배면의 폭이 양 측면의 폭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하우징부(102)의 전면 또는 배면이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외벽과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부(10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부(102)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상기 실내와 연통되는 부분(예를 들어, 제1 송풍구(151), 제2 송풍구(153), 및 회수구(155))을 제외하고는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전면에는 센서 장치(136, 138, 140) 및 컨트롤 박스(142)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케이싱부(102a)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케이싱부(102a)의 상단부에는 제1 증발기 팬부(126)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1 송풍구(151) 및 제2 증발기 팬부(128)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2 송풍구(15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구(151) 및 제2 송풍구(153)의 일단부는 송풍 덕트를 통해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풍구(151) 및 제2 송풍구(153)의 타단부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구(151)는 제1 증발기 팬부(126)에 의한 송풍 공기를 상기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송풍구(153)는 제2 증발기 팬부(128)에 의한 송풍 공기를 상기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전방 케이싱부(102a)의 하단부에는 회수구(155)가 설치될 수 있다. 회수구(155)는 상기 실내와 연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구(151) 또는 제2 송풍구(153)에서 토출된 송풍 공기는 상기 실내를 순환하여 회수구(155)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10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장착된다. 압축기(104)는 하우빙부(102)의 내부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104)는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고안 고압의 냉매 가스로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기(104)는 안전증 방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압축기(104)는 전기 불꽃 또는 고온 등에 대해 안전도를 증가시킨 방폭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압축기(104)는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내부에서 전기 불꽃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불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기(104)의 안전증 방폭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히터(106)는 압축기(104)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106)는 압축기(104)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압축기(104)의 오일이 배관(144)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106)에는 과열 방지 스위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과열 방지 스위치(미도시)는 히터(106)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히터 과열 신호를 전송하여 히터(106)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체크 밸브(108)는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108)는 압축기(104)의 정지 시 액화된 냉매가 압축기(104)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액 압축으로 인해 압축기(10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압 스위치(110)는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고압 스위치(110)는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압력(예를 들어, 22bar)을 초과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압력 초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압력계(112)는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압력계(112)는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을 게이지상에 표시할 수 있다. 고압 스위치(110)는 제1 압력계(112)와 연동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압 스위치(110)는 제1 압력계(112)로부터 압축기(104)와 응축기(11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 값을 수신하여 압력 초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응축기(114)는 압축기(104)에 의해 고온 고압이 된 냉매 가스에서 응축열을 제거하여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응축기(11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방폭형 공조 장치(100)를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외벽에 장착할 때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 및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응축기(114)를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 하우징부(102)의 측면은 하우징부(102)의 전면 및 배면보다 그 폭이 좁기 때문에, 응축기(114)를 하우징부(102)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응축기(114)의 면적이 작게 되며 그로 인해 응축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응축기 팬부(116)를 응축기(114)의 일측에 설치하고 응축기(114) 측으로 송풍 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114)의 응축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응축기(114)는 응축기 팬부(116)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켜 응축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액기(118)는 응축기(114)와 팽창 밸브(1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수액기(118)는 응축기(114)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수액기(118)는 증발기(124)에서 소요되는 양의 냉매를 팽창 밸브(122) 측으로 보냄으로써, 증발기(124)에서 소비되는 냉매 량이 변화하여도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이 원활히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수액기(118)에는 가용전(118a)이 장착될 수 있다.
필터 드라이어(120)는 응축기(114)와 증발기(124) 사이의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 드라이어(120)는 응축기(114)와 증발기(124) 사이의 배관(144) 내의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터 드라이어(120)는 응축기(114)와 증발기(124) 사이의 배관(144) 내의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을 걸러냄으로써,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의 동결로 인해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팽창 밸브(122)는 수액기(118)와 증발기(12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팽창 밸브(122)는 수액기(118)에서 공급되는 고온 고압 상태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팽창 밸브(122)는 고안 고압 상태의 액체 냉매를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시켜 줄 수 있다.
증발기(124)는 팽창 밸브(122)를 통과하여 저온 저압으로 감압된 액체 냉매를 유입하고, 유입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즉, 증발기(124)는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주변과 열 교환시켜 증발시키고 주변의 온도를 급격히 낮추는 역할을 한다.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는 증발기(124)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증발기 팬부(126)는 제1 송풍구(151)와 연통되어 마련되고, 제1 송풍구(151)를 통해 송풍 공기를 상기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증발기 팬부(128)는 제2 송풍구(153)와 연통되어 마련되고, 제2 송풍구(153)를 통해 송풍 공기를 상기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 증발기 팬부(126)는 제1 팬 모터(126a), 제1 증발기 팬(126b), 및 제1 팬 하우징(12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발기 팬부(128)는 제2 팬 모터(128a), 제2 증발기 팬(128b), 및 제2 팬 하우징(12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는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동작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동작하고 있는 증발기 팬이 고장으로 작동을 멈추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증발기 팬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송풍 공기를 상기 실내로 상시 배출하여 상기 실내가 기 설정된 양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제1 증발기 팬부(126)와 제2 증발기 팬부(128)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상측부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증발기 팬부(126)와 제2 증발기 팬부(128) 사이에는 격벽부(157)가 설치될 수 있다. 격벽부(157)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제1 증발기 팬부(126)가 설치된 공간(S1)과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설치되는 공간(S2)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증발기 팬부(126)가 설치된 공간(S1)과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설치되는 공간(S2)은 격벽부(157)에 의해 독립된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서 고장난 증발기 팬을 교체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의 증발기 팬의 동작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증발기 팬부(126)가 동작 중에 고장이 난 경우, 제2 증발기 팬부(128)는 제1 증발기 팬부(126)의 고장과 동시에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고장이 난 제1 증발기 팬부(126)를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부(102)의 측면 또는 후면을 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하우징부(102) 내부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며, 그로 인해 동작 중인 제2 증발기 팬부(128)가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에, 제1 증발기 팬부(126)와 제2 증발기 팬부(128) 사이에 격벽부(157)를 설치하여 제1 증발기 팬부(126)가 설치된 공간(S1)과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설치되는 공간(S2)을 분리시킴으로써, 제1 증발기 팬부(126)를 교체하는 동안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설치되는 공간(S2)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에서 실내로 송풍되는 위치는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액 분리기(130)는 증발기(124)와 압축기(10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액 분리기(130)는 증발기(124)를 통과한 냉매 중 액체를 분리(즉, 액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104)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액 분리기(130)는 증발기(124)에서 압축기(104)로 기체 상태의 냉매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액 압축에 의해 압축기(10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압 스위치(132)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저압 스위치(132)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압력(제1 기준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 압력) 미만이 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압 스위치(132)는 제1 저압 스위치(132-1) 및 제2 저압 스위치(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압 스위치(132-1)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2-1 기준 압력(예를 들어, 1.0 bar)미만이 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1차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저압 스위치(132-2)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2-2 기준 압력(제2-1 기준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예를 들어, 0.8 bar) 미만이 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2차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압력계(134)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압력계(134)는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을 게이지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저압 스위치(132)는 제2 압력계(134)와 연동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저압 스위치(132)는 제2 압력계(134)로부터 액 분리기(130)와 압축기(104) 사이에 마련되는 배관(144)의 압력값을 수신하여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연결하는 배관(144)에는 배관(144)에 흐르는 냉매의 양 및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액면계(16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144)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163)가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팬 차압 스위치(136)는 제1 팬 차압 스위치(136-1) 및 제2 팬 차압 스위치(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 차압 스위치(136-1)는 제1 증발기 팬부(126)와 관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팬 차압 스위치(136-1)는 제1 증발기 팬부(126)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팬 차압 스위치(136-1)는 제1 증발기 팬부(126)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컨트롤 박스(142)는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팬 차압 스위치(136-2)는 제2 증발기 팬부(128)와 관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팬 차압 스위치(136-2)는 제2 증발기 팬부(128)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팬 차압 스위치(136-2)는 제2 증발기 팬부(128)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제2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내 압력 센서(138)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압력(양압)을 측정할 수 있다. 실내 압력 센서(138)는 상기 실내의 양압이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로 실내 양압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140)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140)는 상기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값을 컨트롤 박스(142)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하우징부(102)의 전방 케이싱부(102a)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내부로 가연성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내압 방폭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의 케이블 인입부(미도시)에는 컴파운드 타입 케이블 글랜드를 적용하여 컨트롤 박스(142) 내부에서 스파크로 인한 폭발이 일어나더라도 케이블을 통하여 화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 내에는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140)로부터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값에 따라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킬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상기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되도록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킬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 간의 동작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발기 팬부(126)가 동작 중인 경우, 제1 팬 차압 스위치(136-1)로부터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는 제2 증발기 팬부(128)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1 증발기 팬부(126)가 고장난 경우, 제2 증발기 팬부(128)가 제1 증발기 팬부(126)를 자동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고압 스위치(110)로부터 압력 초과 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압 스위치(132)로부터 압력 미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킴으로써,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과 관련된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실내 압력 센서(138)로부터 실내 양압 이상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즉, 실내의 양압이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42)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램프를 통해 경보등을 점멸시킬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140)의 측정값에 따라 방폭형 공조 장치(100)를 냉방 모드로 운전할 지 또는 난방 모드로 운전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2)는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셧 다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은 냉매가 냉동 사이클 내에서 대기압 이상으로 봉입되어 마련됨으로써,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며, 그로 인해 가연성 가스로 인한 폭발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압력을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미만이 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142)에서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켜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에서, 제1 증발기 팬부(126)의 송풍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증발기 팬부(128)의 경우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송풍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증발기 팬부(126)의 제1 팬 하우징(126c)은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126c)은 제1 증발기 팬(미도시)을 감싸며 마련되어 제1 증발기 팬(미도시)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는 제1 증발기 팬(미도시)에 송풍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에는 제1 송풍 덕트(173)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는 제1 팬 하우징(126c)을 제1 증발기 팬부(126)가 설치된 공간(S1)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는 제1 증발기 팬부(126)가 설치된 공간(S1)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소정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의 상단부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171a)(예를 들어, 볼트 등)를 통해 제1 팬 하우징(126c)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팬 하우징(126c)은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126c)은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가 실내를 향하도록(즉, 전방을 향하도록)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송풍 덕트(173)의 일단부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와 연통되고, 제1 송풍 덕트(173)의 타단부는 실내와 연통된다. 이때, 제1 송풍 덕트(173)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송풍 덕트(173)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송풍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 팬 하우징(126c)은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서 결합 부재(171a)를 해체한 후,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1 팬 하우징 고정부(171)에 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에는 제2 송풍 덕트(175)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송풍 덕트(175)의 일단부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와 연통되고, 제2 송풍 덕트(175)의 타단부는 실내와 연통된다. 이때, 제2 송풍 덕트(175)의 타단부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 보다 높은 높이에서 실내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송풍 덕트(175)는 제1 팬 하우징(126c)의 단부와 연통되고, 제1 팬 하우징(126c)의 송풍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2-1 송풍 덕트(175-1) 및 제2-1 송풍 덕트(175-1)와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결되고 실내와 연통되는 제2-2 송풍 덕트(17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의 송풍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의 천정 높이에 따라 그에 맞는 송풍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실내 내부에서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송풍 덕트와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내 내부에는 실내의 천정을 따라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송풍 덕트와 연결되는 연결 덕트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실내의 천정 높이에 따라 제1 증발기 팬부(126) 및 제2 증발기 팬부(128)의 송풍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실내 내부의 연결 덕트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실내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반적인 방폭형 공조 장치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를 실내의 외벽에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방폭형 공조 장치는 전면(실내를 향하는 면) 및 배면의 폭이 양 측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응축기는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면적이 넓은 방폭형 공조 장치의 전면 또는 배면에 장착되었다.
도 7의 (a)는 응축기(11)가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응축기(11)가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전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50)가 응축기(11)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폭형 공조 장치(10)를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50)와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방폭형 공조 장치(10)는 별도의 덕트(20)를 통해 실내(50)와 연통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을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이라 한다.
도 7의 (b)는 응축기(11)가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배면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응축기(11)가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배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전면을 실내(50)에 바로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을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이라 한다.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100)가 실내(50)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응축기(114)가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측면에 장착되므로, 방폭형 공조 장치(100)를 실내(50)에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으로도 장착할 수 있고,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으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방폭형 공조 장치(10)는 응축기(11)가 방폭형 공조 장치(1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장착됨에 따라,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 또는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으로만 실내(50)에 장착할 수 있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100)는 응축기(114)가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측면에 장착됨에 따라 월 마운트(Wall Mount) 방식 및 스탠드 오프(Stand Off) 방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응축기(114)를 방폭형 공조 장치(100)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측면은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전면 및 배면보다 그 폭이 좁기 때문에, 응축기(114)를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응축기(114)의 면적이 작게 되며 그로 인해 응축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응축기 팬부(116)를 응축기(114)의 일측에 설치하고 응축기(114) 측으로 송풍 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114)의 응축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응축기(114)를 방폭형 공조 장치(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하여 응축기(114)의 응축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공조 장치(100)에서 안전증 방폭구조가 적용된 압축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축기(104)는 압축기 본체(181), 단자 박스(183), 단자 박스 커버(185), 및 단자 박스 고정부(187)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본체(181)는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고안 고압의 냉매 가스로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 본체(18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자 박스(183)는 압축기 본체(181)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단자 박스(183)의 일면(즉, 압축기 본체(181)와 대향하는 면)은 압축기 본체(181)와 밀착되도록 압축기 본체(18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자 박스(183)의 일면은 압축기 본체(18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굴곡(또는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자 박스(183)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 박스(183) 내에는 압축기 본체(18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들이 장착된 단자대(미도시)가 수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단자 박스(183)의 타면(즉, 압축기 본체(181)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은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단자 박스 커버(185)는 단자 박스(183)의 타면(즉, 압축기 본체(181)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단자 박스 커버(185)는 단자 박스(183)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단자 박스(183) 내부는 단자 박스 커버(185)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단자 박스 커버(185)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189)를 통해 단자 박스(183)와 체결될 수 있다. 단자 박스 커버(185)의 내측면에는 단자 박스(183)의 내부로 물 또는 먼지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이물질 방지 패드(19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물질 방지 패드(191)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물질 방지 패드(191)는 단자 박스 커버(185)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어, 단자 박스(183)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방지 패드(191)는 압축기 본체(181)와 단자 박스(183) 사이에 밀착되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압축기 본체(181)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단자 박스(183)의 일면에 이물질 방지 패드(191)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 박스 고정부(187)는 단자 박스(183)를 압축기 본체(18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일부 구간은 압축기 본체(18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일단부는 단자 박스(183)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타단부는 단자 박스(183)의 타측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구간은 압축기 본체(18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구간은 압축기 본체(181)의 배면(즉, 단자 박스(183)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 측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자 박스 고정부(187)가 압축기 본체(181)의 배면 측을 감싸면서 단자 박스 고정부(187)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단자 박스(183)의 일측 및 타측과 결합됨으로써, 단자 박스(183)를 압축기 본체(18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방폭형 공조 장치
102 : 하우징부
102a : 전방 케이싱부
104 : 압축기
106 : 히터
108 : 체크 밸브
110 : 고압 스위치
112 : 제1 압력계
114 : 응축기
116 : 응축기 팬부
118 : 수액기
118a : 가용전
120 : 필터 드라이어
122 : 팽창 밸브
124 : 증발기
126 : 제1 증발기 팬부
126a : 제1 팬 모터
126b : 제1 증발기 팬
126c : 제1 팬 하우징
128 : 제2 증발기 팬부
128a : 제2 팬 모터
128b : 제2 증발기 팬
128c : 제2 팬 하우징
130 : 액 분리기
132 : 저압 스위치
132-1 : 제1 저압 스위치
132-2 : 제2 저압 스위치
134 : 제2 압력계
136 : 팬 차압 스위치
136-1 : 제1 팬 차압 스위치
136-2 : 제2 팬 차압 스위치
138 : 실내 압력 센서
140 :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
142 : 컨트롤 박스
144 : 배관
151 : 제1 송풍구
153 : 제2 송풍구
155 : 회수구
157 : 격벽부
171 : 제1 팬 하우징 고정부
173 : 제1 송풍 덕트
175 : 제2 송풍 덕트
175-1 : 제2-1 송풍 덕트
175-2 : 제2-2 송풍 덕트
181 : 압축기 본체
183 : 단자 박스
185 : 단자 박스 커버
187 : 단자 박스 고정부
189 : 체결 부재
102 : 하우징부
102a : 전방 케이싱부
104 : 압축기
106 : 히터
108 : 체크 밸브
110 : 고압 스위치
112 : 제1 압력계
114 : 응축기
116 : 응축기 팬부
118 : 수액기
118a : 가용전
120 : 필터 드라이어
122 : 팽창 밸브
124 : 증발기
126 : 제1 증발기 팬부
126a : 제1 팬 모터
126b : 제1 증발기 팬
126c : 제1 팬 하우징
128 : 제2 증발기 팬부
128a : 제2 팬 모터
128b : 제2 증발기 팬
128c : 제2 팬 하우징
130 : 액 분리기
132 : 저압 스위치
132-1 : 제1 저압 스위치
132-2 : 제2 저압 스위치
134 : 제2 압력계
136 : 팬 차압 스위치
136-1 : 제1 팬 차압 스위치
136-2 : 제2 팬 차압 스위치
138 : 실내 압력 센서
140 : 실내 온도 및 습도 센서
142 : 컨트롤 박스
144 : 배관
151 : 제1 송풍구
153 : 제2 송풍구
155 : 회수구
157 : 격벽부
171 : 제1 팬 하우징 고정부
173 : 제1 송풍 덕트
175 : 제2 송풍 덕트
175-1 : 제2-1 송풍 덕트
175-2 : 제2-2 송풍 덕트
181 : 압축기 본체
183 : 단자 박스
185 : 단자 박스 커버
187 : 단자 박스 고정부
189 : 체결 부재
Claims (14)
-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내로 공조 공기를 송풍하는 방폭(防爆)형 공조 장치로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팽창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팽창 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1 증발기 팬부;
상기 하우징 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제2 증발기 팬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설치되는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의 개방 시 다른 하나의 공간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와 상기 제2 증발기 팬부는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증발기 팬부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팬 차압 스위치;
상기 제2 증발기 팬부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2 증발기 팬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팬 차압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증발기 팬 이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증발기 팬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실내가 기 설정된 양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중 어느 하나가 항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의 폭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실내의 외벽과 대향하는 전면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 측으로 바람을 불어 보내는 응축기 팬부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간, 상기 응축기 및 상기 팽창 밸브 간, 상기 팽창 밸브 및 상기 증발기 간,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 간을 연결하는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상기 증발기, 및 상기 배관을 포함하는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은,
상기 냉매가 상기 냉동 사이클 내에서 대기압 이상으로 봉입되어 상기 냉동 사이클 내에 가연성 가스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압력 방폭 구조로 이루어지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배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 초과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압 스위치;
상기 배관의 압력이 상기 제1 기준 압력보다 낮게 설정되는 제2 기준 압력 미만이 되는 경우, 압력 미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압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력 초과 신호 또는 상기 압력 미달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키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의 오일이 상기 배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히터 과열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열 방지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히터 과열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키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각각은,
상기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팬부 및 상기 제2 증발기 팬부 각각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 교환된 주위 공기를 상기 실내로 송풍하는 증발기 팬;
상기 증발기 팬을 동작시키는 팬 모터;
상기 증발기 팬을 감싸며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증발기 팬의 송풍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팬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팬 하우징을 상기 팬 하우징이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팬 하우징 고정부;
상기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 고정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팬 하우징의 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내와 연통되는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거나 상기 팬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를 향하도록 고정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안전증 방폭 구조로 이루어지고,
압축기 본체;
일면이 상기 압축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자대가 수납되는 단자 박스;
상기 단자 박스의 타면에서 상기 단자 박스와 체결되어 상기 단자 박스를 밀폐시키는 단자 박스 커버; 및
상기 단자 박스를 상기 압축기 본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자 박스 고정부를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자 박스 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단자 박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단자 박스의 타측과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 사이의 구간이 상기 압축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폭형 공조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공조 장치는,
상기 단자 박스 커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 박스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방폭형 공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367A KR20180007413A (ko) | 2016-07-13 | 2016-07-13 | 방폭형 공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367A KR20180007413A (ko) | 2016-07-13 | 2016-07-13 | 방폭형 공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7413A true KR20180007413A (ko) | 2018-01-23 |
Family
ID=6107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8367A KR20180007413A (ko) | 2016-07-13 | 2016-07-13 | 방폭형 공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7413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4337B1 (ko) | 2018-06-25 | 2019-07-31 | 주식회사 웰라스 | 방폭형 공조 장치 |
CN110529932A (zh) * | 2019-09-27 | 2019-12-03 | 南阳市一通防爆电气有限公司 | 一种IECEx防爆空调及控制方法 |
CN110966685A (zh) * | 2019-11-11 | 2020-04-07 | 江苏永昇空调有限公司 | 特种环境用防爆除湿空调机 |
CN111024307A (zh) * | 2019-12-28 | 2020-04-17 | 布瑞特智联科技(杭州)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压力传感器的爆破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2611111A (zh) * | 2020-12-24 | 2021-04-06 | 南阳市中通防爆电机电器有限公司 | 防爆暖风机 |
KR102425343B1 (ko) * | 2021-02-23 | 2022-07-27 | 주식회사 일진공조 | 방폭형 에어컨 |
EP4279826A1 (en) * | 2022-05-16 | 2023-11-22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Heat pump cycle device |
CN117485540A (zh) * | 2024-01-02 | 2024-02-02 | 海明(江苏)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舰船防爆空调及其控制方法 |
-
2016
- 2016-07-13 KR KR1020160088367A patent/KR2018000741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4337B1 (ko) | 2018-06-25 | 2019-07-31 | 주식회사 웰라스 | 방폭형 공조 장치 |
CN110529932A (zh) * | 2019-09-27 | 2019-12-03 | 南阳市一通防爆电气有限公司 | 一种IECEx防爆空调及控制方法 |
CN110529932B (zh) * | 2019-09-27 | 2024-02-20 | 南阳市一通防爆电气有限公司 | 一种IECEx防爆空调及控制方法 |
CN110966685A (zh) * | 2019-11-11 | 2020-04-07 | 江苏永昇空调有限公司 | 特种环境用防爆除湿空调机 |
CN111024307A (zh) * | 2019-12-28 | 2020-04-17 | 布瑞特智联科技(杭州)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压力传感器的爆破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1024307B (zh) * | 2019-12-28 | 2023-06-23 | 布瑞特智联科技(杭州)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压力传感器的爆破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2611111A (zh) * | 2020-12-24 | 2021-04-06 | 南阳市中通防爆电机电器有限公司 | 防爆暖风机 |
KR102425343B1 (ko) * | 2021-02-23 | 2022-07-27 | 주식회사 일진공조 | 방폭형 에어컨 |
EP4279826A1 (en) * | 2022-05-16 | 2023-11-22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Heat pump cycle device |
CN117485540A (zh) * | 2024-01-02 | 2024-02-02 | 海明(江苏)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舰船防爆空调及其控制方法 |
CN117485540B (zh) * | 2024-01-02 | 2024-03-29 | 海明(江苏)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舰船防爆空调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07413A (ko) | 방폭형 공조 장치 | |
CN112105876B (zh) | 制冷剂泄漏判定装置、空调机以及制冷剂泄漏判定方法 | |
CN108369022B (zh) | 空调装置 | |
US10234164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EP3578894B1 (en) | Air conditioner | |
AU2018410266B2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indoor unit | |
JP5761097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 |
EP3112768B1 (en) | Air conditioner | |
EP3306237B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olant leakage | |
KR101389447B1 (ko) | 방폭 처리된 이동식 에어컨 | |
JP7004836B2 (ja) | 冷凍サイクル装置 | |
WO2018092197A1 (ja) | 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媒漏洩検知方法 | |
CN108870702A (zh) | 一种屋顶一体式防爆空调 | |
JP2005241121A (ja) | 空気調和機 | |
US10473341B2 (en) | In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
WO2007105610A1 (ja) | 空気調和装置 | |
JP6789252B2 (ja) | 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 |
KR20030046365A (ko) | 실외기의 안전운전장치 및 방법 | |
CN219913249U (zh) | 风管机 | |
CN118463288A (zh) | 室内单元和暖通系统 | |
JP2001296058A (ja) | 冷暖房・給湯熱源機 | |
KR102176850B1 (ko) | 에너지저장시설용 온습도와 분진 및 환기 조절을 위한 공조시스템 | |
CN211119897U (zh) | 无线遥控器受光构件、传感器以及吹出格栅 | |
KR20240087918A (ko) | 방폭형 산업용 냉장고 | |
CN118401785A (zh) | 换气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0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25 Effective date: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