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80001014U -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 Google Patents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14U
KR20180001014U KR2020160005723U KR20160005723U KR20180001014U KR 20180001014 U KR20180001014 U KR 20180001014U KR 2020160005723 U KR2020160005723 U KR 2020160005723U KR 20160005723 U KR20160005723 U KR 20160005723U KR 20180001014 U KR20180001014 U KR 20180001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way
upper rail
boot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철
Original Assignee
방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철 filed Critical 방만철
Priority to KR2020160005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014U/ko
Publication of KR20180001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4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의 내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에 관한 것으로, 패널 및 골격구조물 또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정면에 출입구를 구비하며, 출입구의 갖는 부스 본체; 상기 출입구를 미닫이 문 방식으로 개폐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행거형 타입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도어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문개폐모듈; 상기 도어부를 매달은 상태로 상부 레일에서 상기 도어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행거롤러모듈;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의 상면에 비접촉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폭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빔; 및 상기 베이스빔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기 베이스빔의 저면에 설치되고, 연결쇠를 통해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booth with side-by-side type sliding doors}
본 고안은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코인 노래방 시설물 또는 동전 노래방 구조물에 해당하는 부스의 정면에 설치되어 반자동 방식으로 양쪽의 도어부가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어서 사용자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booth)는 실내 또는 실외에 별도로 정해진 구획 또는 위치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사용자가 그 부스의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출입하여 사용하는 시설물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폰 부스는 공중전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격리 구조물과, 격리 구조물로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폰 부스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격리 구조물은 공공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이나 필요성이 높은 장소에 설치되면서도,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도어를 상대적으로 자주 열고 닫으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도어의 작동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다른 종래 기술에는 하기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인 노래방 부스와 같은 자판기 노래방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판기 노래방은 1평 크기의 1-2명이 동전(코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판기 개념의 노래방 박스 기계 구조물로서, 독립적으로 인테리어가 미리 되어 있기 때문에, 매장, 사무실, 공장, 극장, 어디서나 별도의 인테리어 비용없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판기 노래방은 부스, 즉 노래방 박스의 외부에서 자판기 노래방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유무 등을 식별하거나, 박스의 내부의 구조물 또는 사람들이 박스의 외부에서 일정 영역이상 보여질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창을 갖는 벽체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코인 노래방 부스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 패널에 여닫이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여닫이 도어는 경량인 부스 구조물에 설치되며, 잦은 개폐 또는 회전 동작에 따라서, 여닫이 도어의 처짐 현상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해당하는 유리창을 제외하고, 여닫이 도어가 패널 또는 불투명 판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 내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부스의 평 면적은 부스가 설치된 시설물의 내부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부스의 협소한 내부 공간에는 각종 내장품(예: 테이블, 의자, 코인 노래방 기기 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미리 부스에 사용자가 들어가 있는 경우, 여닫이 문을 열고 닫는데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여닫이 문의 개폐에 따라 사용자가 여닫이 문에 부딪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코인 노래방용 부스는 협소한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여닫이 문의 개폐 영역을 확보하기 매우 어렵고, 여닫이 문의 특성 및 간이형 박스 구조물에 해당하는 부스에서 여닫이 문이 개방된 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개방된 문을 폐쇄시킬 수 있는 장치 설치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6032호(1998.10.07)
본 고안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베이스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 연결쇠, 양문개폐모듈, 행거롤러모듈을 부스의 정면의 출입구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도어부의 과도한 슬라이딩 작동을 방지하여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반자동 방식으로 양쪽의 도어부가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어서 사용자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부스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패널 및 골격구조물 또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정면에 출입구를 구비하며, 출입구의 갖는 부스 본체; 상기 출입구를 미닫이 문 방식으로 개폐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행거형 타입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도어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문개폐모듈; 상기 도어부를 매달은 상태로 상부 레일에서 상기 도어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행거롤러모듈;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의 상면에 비접촉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폭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빔; 및 상기 베이스빔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기 베이스빔의 저면에 설치되고, 연결쇠를 통해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양문개폐모듈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 상기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에 연동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 중 일측 도어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 중 타측 도어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롤러모듈은, 상기 양문개폐모듈로부터 상기 도어부의 높이만큼 이격되어어 있는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기 출입구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상부 레일, 및 상기 상부 레일의 내부 수용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 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도어부 위쪽에 배치된 행거롤러모듈과 도어부 아래쪽에 배치된 양문개폐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행거롤러모듈과 양문개폐모듈 사이에 위치한 양쪽의 도어부가 동시에 도어 개방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거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부스 본체의 출입구에 기존의 여닫이 문의 개폐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어서, 부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어 개폐 동작시 사용자가 도어부에 부딪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지지 및 설치력 증대를 발휘하도록 설계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베이스빔을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하고, 이런 베이스빔에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고,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작동로드의 끝단부가 연결쇠를 통해 양쪽의 도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에 연결됨으로써, 도어부가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개방될 때, 양쪽의 도어부가 모두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고 부드럽게 열릴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의 인력이 도어부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에 축적된 탄성력(예: 스프링을 이용한 복원력) 및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하우징 내부의 유체력 제어를 통해서, 양쪽의 도어부가 자동으로 부드럽게 복귀되어 부스 본체의 출입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이 행거롤러모듈용 상부 레일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베이스빔을 기반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 혹은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는 모듈 작동에 따른 반발력은 행거롤러모듈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곧바로 베이스빔을 경유하여 부스 본체의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 쪽으로 전달 및 분산됨으로써, 행거롤러모듈의 작동 및 도어부의 개폐 동작을 부드럽게 유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양문개폐모듈 또는 행거롤러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동 수명이 짧은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하우징이 베이스빔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행거롤러모듈에 간섭되지 않고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만을 용이하게 베이스빔으로부터 분해 및 새로운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설치(예: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는, 여닫이 문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코인 노래방에서의 여닫이 문에 의한 도어 처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내부에서 출입구를 바라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의 배면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양문개폐모듈과 도어부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b는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도어부 및 양문개폐모듈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a는 도 4a에 도시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에서 반자동 방식은 외력(예: 사용자가 양쪽의 도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예: 좌측의 도어부)를 밀어 이동시킨 인력)에 의해 양쪽의 도어부가 모두 움직이는 수동 출입구 개방 이후, 외력에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양쪽의 도어부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방식을 의미하고, 별도의 전동 모터, 모터동력 전달 부재 등의 구동력 발생 수단 또는 모터 작동에 필요한 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패널 및 골격구조물 또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정면에 출입구(101)를 갖는 부스 본체(100)와, 출입구(101)를 미닫이 문 방식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부스 본체(100)에 설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1개의 하부 레일 위에 배치되고 1개의 상부 레일에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행거형 타입의 도어부(210, 220)를 포함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00)를 개시한다.
더욱 상세하게, 부스(100)는 자체 인테리어가 되어 있고, 부스(100)의 내부에는 코인 노래방 기기, 배전반 또는 콘센트, 의자, 탁자, 인기노래 곡명 포스터 등과 같은 내부 설비가 실장되고, 부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광고판(102), 환기 설비(103), 냉방 설비(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판(102)은 조명을 내장하고, 아크릴 판재를 통해 조명빛이 표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출입구(101)의 상부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환기 설비(103)는 복수개의 환풍기와, 환풍기가 설치된 곳에 마련된 덕트 또는 관통홀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스 본체(100)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
이런 부스(100)는 상기 설비들을 구비한 코인 노래방 시설물 또는 동전 노래방 구조물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런 부스(100)는 공장 제작 단계 이후, 설치 위치 또는 장소까지 운반, 장착, 전원 연결 등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경량인 알루미늄 프로파일 프레임으로 골격 구조물(110)을 이루도록 제작한 후, 출입구(101)를 제외한 골격 구조물(110)의 구조재(예: 알루미늄 프로파일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부위를 패널(120)로 마감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패널(120)은 내표면 및 외표면이 도색 또는 컬러필름을 일체로 갖는 합판,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 원목, 플라스틱판, 금속판 등의 판재를 사용하여, 부스(100)의 양측면, 배면, 천장면, 바닥면을 이루고 있다. 이때, 패널(120)의 테두리는 골격 구조물(110)에 고정되어 있다.
부스 본체(100)의 출입구(101) 및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10, 220)를 부스 본체(100)의 정면 양측 부위에는 투명 재질(예: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판 등)의 투명외장재(121)가 더 설치되어 있다. 부스 본체(100)의 정면 전체, 즉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00)의 도어부(210, 220)의 유리판 및 투명외장재(121)를 통해서 부스 본체(100)의 내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특히, 도어부(210, 220)가 개방되어 투명외장재(121)의 뒤쪽에 겹치더라도, 부스 본체(100)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는 투명외장재(121) 및 도어부(210, 220)의 유리판을 통해 물체를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시인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부스(10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01)가 마련된다.
출입구(101)에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도어부(210, 220)를 포함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00)가 설치된다.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00)는 후술되는 구성품들로 이루어진 도어 조립체를 지칭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내부에서 출입구를 바라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200)는 도어부(210, 220), 양문개폐모듈(230), 행거롤러모듈(240), 베이스빔(250),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 및 연결쇠(270)를 포함한다.
도어부(210, 220)는 2짝 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알루미늄 재질의 직사각형 테두리부의 내측에 유리판(예: 통유리)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 외부의 사용자는 도어부(210, 220)의 유리판을 통해서 부스 본체(100)의 내부를 볼 수 있거나, 부스 본체(100)의 내부에서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부스 본체(100)의 외부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어부(210, 220)의 유리판에는 반투명 코팅 또는 인테리어용 실크스크린 코팅층이 더 적층되어 있어서, 육안 시인성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인테리어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도어부(210, 220)의 유리판은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 투명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투명 유리, 컬러 유리, 열차단 및 자외선 차단 시트가 적층된 유리 등 다양한 형태의 건축 자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양쪽의 도어부(210, 220)는 그의 아래쪽 또는 위쪽에 배치되어서 상호 평행을 유지하며 부스 본체(100)에 지지되는 양문개폐모듈(230)과 행거롤러모듈(240)의 사이에서 동시에 도어 개방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거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양쪽의 도어부(210, 220)가 코인 노래방 부스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을 갖는 부스 본체(100)의 출입구(101)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부스 본체(100)의 출입구(101)에 기존의 여닫이 문의 개폐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부스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어 개폐 동작(슬라이딩 이동)시 사용자가 도어부(210, 220)에 부딪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양문개폐모듈(230)은 도어부(210, 220)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101)의 바닥면 또는 부스 본체(100)의 바닥에 마련된 레일 설치홈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양문개폐모듈(230)은 상기 도어부(210, 22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도어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행거롤러모듈(240)은 각 도어부(210, 220)를 매달은 상태로 상부 레일(241)에서 도어부(210, 22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베이스빔(250)은 상대적으로 재질 강도가 낮은 부스 본체의 패널과 같은 설치 환경 하에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 대한 견고한 장착대 역할을 담당한다.
베이스빔(250)은 상기 상부 레일(241)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241)의 상면에 비접촉(도 4a의 제 1 공극(S1) 참조)하도록, 상기 출입구(101)의 상부 내측면(104)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241)의 폭방향(도 4a의 도면 좌우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241)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공극(S1)은 1 ~ 2mm 정도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를 도 2와 함께 병행 참조하면,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은 상기 베이스빔(250)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241)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기 베이스빔(250)의 저면에 설치되고, 연결쇠(270)를 통해 상기 도어부(210, 220)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2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런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은 미 도시된 탄성부재(예: 스프링) 및 유체력 제어 부재(예: 오리피스, 피스톤, 벤트홀)를 갖는 자동차 분야의 가스 스프링 댐퍼이거나, 건축 인테리어 분야의 스프링 및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도어 복귀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은 실린더 구조의 하우징(261)과, 하우징(261)에 구비된 결합된 작동로드(262), 및 하우징(26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력 및 유체력 제어 수단(미 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로드(262)는 축길이가 다단계로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서는 도어부(210, 220)를 개방시키는 사용자의 인력과 같은 외력이 작동로드(262) 쪽으로 전달될 경우, 작동로드(262)가 하우징(261)으로부터 신장되듯이 돌출되어 나올 수 있다. 이때, 작동로드(262)에 연결되고 하우징(26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탄성 인장력이 발생되고, 하우징(261)의 유체 제어실(미 도시)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탄성부재에는 탄성력이 축적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손이 도어부(210, 220)로부터 분리되어서, 외력이 작동로드(262) 쪽으로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작동로드(262)의 축길이를 축소시키면서 상기 도어부(210, 2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으로 변환된다. 이때, 작동로드(262)가 하우징(261)의 내부로 들어가는 작용에 의해서, 쇽옵셔버(shock obsorber)와 같이 유체 제어실의 외부 공기가 오리피스 및 벤트홀을 통해 외부로 천천히 빠져나가면서, 부드럽게 작동로드(262) 및 도어부(210, 220)의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서는 진동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도어부(210, 220)에 전달되지 않게 하면서도, 부스 본체(100)에서 양문개폐모듈(230), 행거롤러모듈(240), 연결쇠(270)와 연동하여 부드러운 슬라이딩 도어 개폐 동작을 신뢰성 있게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빔(250)의 단면 형상 및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런 베이스빔(250)의 설명에 앞서 앞서 언급한 양문개폐모듈(23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양문개폐모듈과 도어부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도어부 및 양문개폐모듈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양문개폐모듈(230)은 앞서 언급한 부스 본체의 출입구의 바닥면 등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 상기 하부 레일(231)과, 상기 하부 레일(231)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풀리(232)와, 상기 풀리(232)의 회전에 연동되는 이송벨트(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풀리(232)는 기어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예컨대, 풀리(232)의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벨트(233)의 내표면에는 풀리(232)의 기어치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치에 대응하는 내측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풀리(232) 각각은 하부 레일(231)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을 기반으로 각각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송벨트(233)가 이런 2개의 풀리(232)에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다.
이송벨트(233)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면 풀리(232)도 회전되고, 이송벨트(233)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또는 역회전되면 풀리(232)도 역회전될 수 있다.
이때, 양문개폐모듈(230)은 풀리(232)의 평면 또는 이송벨트(233)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보는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이송벨트(233)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210, 220) 중에서 타측 도어부(220)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34)를 포함한다.
또한, 양문개폐모듈(230)은 상기 이송벨트(233)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210, 220) 중 일측 도어부(210)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35)를 포함한다.
일측 도어부(210)의 저면 및 타측 도어부(220)의 저면에는 각각 핀구멍(211, 2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234) 및 제 2 연결부(235)는 각각 이송벨트(233)의 외표면과 내측 기어치에 조립되어 하나의 몸체로 합체된 후 고정볼트(미 도시)에 의해 상호 고정됨에 따라 이송벨트(233)의 해당 위치에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연결핀(234a, 235a)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 1 연결부(234) 및 제 2 연결부(235)는 고정블록을 통해 이송벨트(233)에 연결되고, 각 연결핀(234a, 235a)이 상기 제 1 연결부(234) 및 제 2 연결부(235)의 핀구멍(211, 221)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도어부(210, 220)가 이송벨트(233)의 회전(시계 방향) 또는 역회전(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호 가까워지는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호 멀어지는 쪽으로 슬라이딩 되듯이 개폐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제 1 연결부(234)는 이송벨트(233)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제 1 편심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233)의 후방부, 즉 이송벨트(233)의 후방쪽 부위에 해당하는 제 1 연결위치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235)도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편심 거리와 동일한 제 2 편심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233)의 전방부, 즉 이송벨트(233)의 전방쪽 부위에 해당하는 제 2 연결위치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양문개폐모듈(230)과 도어부(210, 220)에 대하여, 양문 동시 개방 또는 폐쇄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부(210, 220) 중 어느 하나, 예컨대 타측 도어부(220)를 좌측 방향(예: 도어 개방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타측 도어부(220)에 전달된 힘은 타측 도어부(220)의 핀구멍(221), 제 1 연결부(234)의 연결핀(234a), 제 1 연결부(234)의 고정블록을 통해 이송벨트(233)에 전달되어서, 그 결과 이송벨트(233)가 역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이송벨트(233)의 역회전력은 제 2 연결부(235)의 고정블록, 제 2 연결부(235)의 연결핀(235a), 일측 도어부(210)의 핀구멍(211)을 통해 일측 도어(210)에도 전달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힘은 타측 도어부(220)에도 전달되지만, 이송벨트(233) 및 풀리(232)의 연동 동작에 의해서, 타측 도어부(2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반향(counter direction)으로 전달된다.
즉, 이송벨트(233)의 후방쪽 부위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송벨트(233)의 전방쪽 부위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송벨트(233)의 후방쪽 부위에 연결된 타측 도어부(220)와 이송벨트(233)의 전방쪽 부위에 연결된 일측 도어부(21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 개방되어서 도 3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도어부(210, 220) 중 어느 한쪽만 슬라이딩 이동시키더라도 도어부(210, 220)가 동시에 도어 개방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외력 또는 후술되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 축적된 복원력(탄성력)이 도어부(210, 220) 중 어느 하나가 우측 방향(예: 도어 폐쇄 방향)으로 타측 도어부(22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도어부(210, 220)가 도 3c의 상태에서 도 3b의 도어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반자동 방식의 도어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4a에 도시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의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행거롤러모듈(240)은 앞서 설명한 양문개폐모듈로부터 상기 도어부(220)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104)에서 상기 출입구(101)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상부 레일(241)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241)은 박스형 프로파일 단면을 갖되, 저면에 롤러 지지축(242)이 통과할 수 있는 레일홈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레일홈부(243)도 상부 레일(2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행거롤러모듈(240)은 상부 레일(241)의 내부 수용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부(22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 장치(244)를 포함한다. 롤러 장치(244)는 한 쌍의 롤러와, 각 롤러가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회전축, 및 롤러회전축의 중간 위치에서 롤러 지지축(242)의 상단에 연결된 롤러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 장치(244)의 롤러는 레일홈부(243)의 양측에 배치된 상부 레일(241)의 내표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부 레일(241)은 롤러 장치(244)를 구비하고 상부 레일(241) 자체를 출입구(101)의 상부 내측면(104)에 설치할 수 있게만 만들어진 부품이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인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구성품을 더 결합시키기 어렵게 되어 있다.
롤러 장치(244)에서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에 결합된 롤러 지지축(242)의 하단부는 상기 도어부(220)의 상면에 연결된다. 이런 롤러 장치(244)는 일반적인 나사 결합 또는 별도의 고정판을 이용한 상용품 도어용 롤러 제품일 수 있다.
연결쇠(270)의 일측 끝단은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작동로드(262)의 끝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착홈부(265)(도 2 병행 참조)에 끼워짐으로써,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작동로드(262)와 연결된다. 장착홈부(265)는 작동로드(262)의 연장 방향으로 작동로드(262)의 끝단부를 잡아당기는 역할 또는 정지턱 역할을 하고, 작동로드(262)의 지름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연결쇠(270)의 타측 끝단은 복수개의 나사못 또는 직결피스 혹은 리벳을 이용하여 도어부(220)의 상부측면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하우징(261)은 상부 레일(24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의 베이스빔(250)의 저면에 밀착되지만, 상부 레일(241)의 배면(도 4a의 경우 상부 레일(241)의 왼쪽 외표면)으로부터 제 2 공극(S2)을 유지함으로써, 적어도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하우징(261)은 상부 레일(241)에 비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작동에 따라 발생 가능한 소음 또는 진동 혹은 충격은 행거롤러모듈(240)의 상부 레일(241)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대신, 베이스빔(250)을 통해 확산 또는 분산된 이후, 상부 내측면(104) 쪽으로 간접 전달됨으로써,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시의 소음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부드러운 도어 개폐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베이스빔(250)도 역시 상부 레일(241)에 대하여 제 1 공극(S1)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부드러운 도어 개폐 작동이 신뢰성 있게 발현될 수 있다.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과 베이스빔(250)은 서로 밀착된 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구멍 방향이 일치되게 형성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하우징(261)의 체결구멍(264) 및 베이스빔(250)의 결합구멍(251)과, 각 구멍(251, 264)에 결합되는 설치볼트(263)를 통해 상호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빔(250)의 결합구멍(251)은 나사 구멍 및 그 나사 구멍 주변으로 베이스빔(250)의 내부에 설치된 볼트체결부 전체를 지칭한다.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은 설치볼트(263)를 푸는 작업 만으로도 용이하게 부스 본체로부터 해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새로운 것으로의 교체가 필요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다시 설치볼트(263)로 용이하게 재설치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빔(250)은 개방된 일측면을 제외하고 반대쪽 타측면 및 양측면이 폐쇄되며, 베이스빔(250)의 양측면부위를 서로 연결시키는 내부격벽(255)을 갖는 단면 형상 또는 영문 A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빔(250)은 내부에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벼워서 조립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빔(250)의 내부 공간들은 내부격벽(255)에 의해 서로 차단 또는 구획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 전달율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특히, 베이스빔(250)의 개방된 일측면의 테두리에서 바깥쪽 방향을 향하여 직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확장판부(25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확장판부(252)에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장착홀(254)이 다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피스(253)는 장착홀(254)을 통해 출입구(101)의 상부 내측면(104)에 체결된다.
확장판부(252)는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베이스빔(250)과 고정피스(253) 및 출입구(101)의 상부 내측면(104)간 체결력을 상대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출입구(101)의 상부 내측면(104)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과 베이스빔(250)의 결합에 의해서 계단형 단면의 조립체가 되어서, 상부 레일(241)과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 사이의 간섭이 없고,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이 독립적으로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의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는 하나의 도어부(210)의 열림 또는 닫힘 이동이 이루어질 때, 이에 연동하는 양문개폐모듈(230), 행거롤러모듈(240),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에 의해서, 상기 하나의 도어부(210)가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다른 도어부(220)의 열림 또는 닫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도어부(210, 220)는 행거롤러모듈(240)에 의해 매달려 있는 상태로서 롤러 구동에 의해 부드러운 이동(개폐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어부(210, 220)의 개방 작동시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작동로드(262)가 신장되면서 모듈 내부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모듈 내부에 축적되며, 도어부(210, 220)가 폐쇄 작동 가능한 상태(예: 사용자의 손이 해당 도어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축적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작동로드(26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듯이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베이스빔(250)은 상부 레일(241)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을 지지하고, 반자동 도어닫힘모듈(260)의 하우징이 작동축(262)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흔들리거나 편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베이스빔(250)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상기 복원력의 힘 작용 효율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상기 복원력은 작동로드(262) 및 연결쇠(270)를 통해서 타측 도어부(220)에 전달되고, 타측 도어부(220)를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복원력은 양문개폐모듈(230)을 통해 역시 일측 도어부(210)에 전달되기 때문에, 일측 도어부(210)도 타측 도어부(2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결과 일측 도어부(210) 및 타측 도어부(22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서로 만나게 되는 반자동 방식으로 도어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일측 도어부(210) 및 타측 도어부(220)는 각각 행거롤러모듈(240)의 상부 레일(241) 및 롤러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매우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부스 본체 200 :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
210, 220 : 도어부 230 : 양문개폐모듈
240 : 행거롤러모듈 250 : 베이스빔
260 : 반자동 도어닫힘모듈 270 : 연결쇠

Claims (3)

  1. 패널 및 골격구조물 또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정면에 출입구를 구비하며, 출입구의 갖는 부스 본체;
    상기 출입구를 미닫이 문 방식으로 개폐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행거형 타입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도어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문개폐모듈;
    상기 도어부를 매달은 상태로 상부 레일에서 상기 도어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행거롤러모듈;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의 상면에 비접촉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폭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빔; 및
    상기 베이스빔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기 베이스빔의 저면에 설치되고, 연결쇠를 통해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반자동 도어닫힘모듈;을 포함하는 것
    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문개폐모듈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 상기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에 연동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 중 일측 도어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부 중 타측 도어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
    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롤러모듈은,
    상기 양문개폐모듈로부터 상기 도어부의 높이만큼 이격되어어 있는 상기 출입구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기 출입구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상부 레일, 및
    상기 상부 레일의 내부 수용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 장치를 포함하는 것
    인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KR2020160005723U 2016-10-04 2016-10-04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KR20180001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23U KR20180001014U (ko) 2016-10-04 2016-10-04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23U KR20180001014U (ko) 2016-10-04 2016-10-04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14U true KR20180001014U (ko) 2018-04-12

Family

ID=6196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23U KR20180001014U (ko) 2016-10-04 2016-10-04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0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4422A1 (en) * 2018-05-21 2019-11-28 Vetrospace Oy A sound-proof and hygienic sp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4422A1 (en) * 2018-05-21 2019-11-28 Vetrospace Oy A sound-proof and hygienic space
US11492815B2 (en) 2018-05-21 2022-11-08 Vetrospace Oy Sound-proof and hygienic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857B2 (en) Modular panel system
CA2650086A1 (en) Garage door bracket assembly with slidable roller housing
WO2018018951A1 (zh) 一种新型可折叠箱体及其拆装方法
ITRN20090003U1 (it) Porta scorrevole a scomparsa.
WO2017021900A1 (en) Multipurpose beam for manufacturing a false ceiling and false ceiling and system to vary the configuration of an environment that includes such beam
KR20110030498A (ko) 슬라이딩 벽
KR20180001014U (ko)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부스
WO2015150991A1 (en) Sliding door assembly of a modular partition wall
JP6690922B2 (ja) 引戸開閉装置
JPH01304287A (ja) 間仕切壁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200453189Y1 (ko) 슬라이딩 도어가 내장된 파티션
CN205705866U (zh) 一种多功能电动活动黑板
JP2014169622A (ja) 換気装置及びドア
JP6386757B2 (ja) 建物
KR200469863Y1 (ko) 벽부형 진열장
EP3020906B1 (en) Sliding door drive apparatus and kit for equipping a facade therewith
US20130063936A1 (en) Lighting System with Front Access to Light Source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EP4158142B1 (en) Door with integrated grip or integrated fixation element for removable fixation of a grip
JP5820098B2 (ja) 喫煙ブース
KR102453025B1 (ko) 슬라이드 벨트연동부 조립형 및 피봇홀더 위치프리부착형 도어연동장치
WO2020158147A1 (ja) フレーム装置及びこれの設置構造
KR101487379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KR840006691A (ko) 테러 엄폐소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