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137349A -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49A
KR20170137349A KR1020160069341A KR20160069341A KR20170137349A KR 20170137349 A KR20170137349 A KR 20170137349A KR 1020160069341 A KR1020160069341 A KR 1020160069341A KR 20160069341 A KR20160069341 A KR 20160069341A KR 20170137349 A KR20170137349 A KR 2017013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ating
spinal
air
massag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강수
Original Assignee
허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강수 filed Critical 허강수
Priority to KR1020160069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7349A/ko
Publication of KR2017013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질환 환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치료장치를 세팅한 후 환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세팅된 상태에서 척추견인을 3단계로 수행한 후 허리, 종아리, 발 등에 온열 및 지압을 수행하여 척추질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척추질환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프레임(110)과 양측프레임 사이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20)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100); 서로 길이가 다른 두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인체받침시트(200); 인체받침시트를 경사지게 함으로 환자의 척추를 환자 하중에 의해 이완시키는 경사각 조절수단(300); 척추교정과 온열/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받침시트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온열지압수단(400); 환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는 제1견인수단(510)과 제2견인수단(520); 치료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CPU에 전달하는 제어수단(600); 온열효과를 주는 온열복대수단(700);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이상경고수단(800); 전기적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사각 조절수단, 제1,2견인수단,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등에 전달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받침시트(200)는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부)220)로 구성되고 보조시트부(220)상에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발 온열지압수단(4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spondylopathy treatment apparatus using three-level spine retracting technique and having foot bath function and thermotherapy fun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족욕, 온열, 척추견인을 통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척추에 대응하여 허리의 견인을 원활하게 하여 각종 근육과 인대는 물론 추간판(디스크)을 이완 보전시켜,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척추의 질환에 탄력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허리질환의 증상을 완화해줄 수 있는 척추견인을 통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인구의 80% 이상이 요통을 앓았거나 앓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람이 보행하거나 또는 앉아 있을 때 허리를 완전하게 직립하기 보다는 약간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동작은 허리 및 등 쪽의 근육과 근막 그리고 각종 인대가 과다 스트레칭이 됨과 동시에추간판(디스크)이 많은 압박을 받게 되는데, 특히 좌식 생활에서 더욱 그러하다. 하루 일상생활 중 8시간 이상을 좌식 생활을 하게 되는데, 앉아 있을 때 허리에 받는 압박은 누워 있을 때보다 무려 8배 이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허리에 지속적인 과도한 부하로 인해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요통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각종 근골격계 질환 및 디스크 즉 추간판탈출증(디스크질환)이라는 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추간판탈출증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정도가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 등과 같은 외과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하지만 그 증상이 미미한 경우에는 수술보다는 여러 물리적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를 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척추견인 수단을 사용하여 척추간 압력을 줄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척추교정 수단의 예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338425(2005.06.21)와 등록실용신안 제0193647(2000.06.13)등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338425호는 반원통형의 몸체 외면에 다수의 지압용 돌기부와 자석부를 형성하고, 사용 시 반원통형의 몸체를 사람의 허리 쪽에 위치시켜 사람의 허리를 활처럼 휘게 하여 척추를 교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실용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경우에, 척추가 반원통형의 몸체와 직접 접촉하여 압박을 받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람의 허리의 경우에는 무리가 없지만, 경미한 추간판탈출증과 같은 증상을 가지는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척추의 교정효과 보다는 척추에 더 많은 무리를 가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193647호는, 반 타원형의 몸체의 가운데에 장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척추교정장치로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척추가 장공에 위치하여 척추가 직접적으로 압박받는 것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마다 신장과 몸무게 등과 같은 체형이 상이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맞는 척추견인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뿐만 아니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척추교정 장치는 수정할 수 없는 일정한 형태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키가 크고 작은 사람이나 몸무게 가볍거나 무거운 사람 할 것 없이 동일한 형태의 척추교정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사람의 체형이나 크기에 따라서 동일한 효과를 기대 하기가 어렵다.
이외에도 종래 디스크 치료를 위한 견인방법으로서는 골반견인방법과 에어포켓방법이 있다.
전자의 골발견인방법은 디스크 환자를 바로 눕혀놓고 골반부위를 천으로 만든 복대와 같은 압박대로 골반을 고정시킨 다음 압박대의 양측 각각에 끈을 묶고 그 끈을 다리쪽으로 늘어뜨리고 일정 무게의 중량추를 매달아서 골반부위를 중량추의 무게로 잡아당겨 주는 견인방법인 바, 이는 디스크 환자에게 적합한 견인강도와 견인주기 등의 조정이 불편하여 디스크 환자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 으로 지적되고 있다.
후자의 에어포켓방법은 에어포켓의 내압(신체쪽으로 조여드는 압력)과 외압(신체밖으로 늘어나는 압력)이 일정 수준의 압력이 되고 난 이후부터 견인이 일어나기 때문에 내압이 신체를 심하게 압박하게 되므로서 환자에게 압박에 따른 고통을 주게 되는 반면에 치료의 효과는 그리 크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척주질환 치료의 핵심은 척추을 최대한 이완시킨 상태에서 온열및 지압을 하여야 그 치료 효과가 배과 되는데, 기존의 척추질환 치료방법들은 척추의 일차적 견인만을 수행한 후 온열및 지압 치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척추질환 치료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409호 (2011.11.07)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질환 환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치료장치를 세팅한 후 환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세팅된 상태에서 척추견인을 3단계로 수행한 후 온열및 지압 을 수행하여 척추질환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는 척추질환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척추견인을 통한 척추질환 치료 이외에 복부 온열과 다리 근육 마사지, 족욕 등 복합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환자 스스로 치료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치료 후 치료장치의 원상 복귀시 안전하게 치료장치를 복원 시킬 수 있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는.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인체받침시트를 중앙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프레임(110)과 양측프레임 사이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20)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100)과;
중앙프레임(120)의 일측과 힌지겹합수단(230)에 의해 결합 되며, 기울기가 조절됨으로 수평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고 서로 길이가 다른 메인시트부(210)과 보조시트부(220)로 분리 가능한 인체받침시트(200)와;
일단은 중앙프레임(120)에, 타단은 인체받침시트(200) 하부에 연결되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각도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인체받침시트를 경사지게 함으로 환자의 척추를 환자 하중에 의해 이완시키는 경사각 조절수단(300)과;
인체받침시트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척추교정과 온열/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받침시트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온열지압수단(40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체받침시트의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를 상호 수평방향으로 분리 이격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수평 이완시키는 제1견인수단(51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분리된 메인시트부에 대해 보조시트부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는 제2견인수단(520)과;
경사각 조절수단의 경사각, 제1 견인수단의 견인 길이와 제2 견인수단의 회동각,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및 운동시간,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및 발 온열지압수단의 에어 압, 에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CPU에 전달하는 제어수단(600)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치료장치의 각 작동수단들에 대한 제어입력신호를 수신받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사각 조절수단, 제1,2 견인수단, 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 등에 전달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받침시트(200)는 분리 가능한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220)부로 형성되고, 보조시트부(220) 상측면에는 환자의 종아리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환자의 발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발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발 온열지압수단(480)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시트부(210)와 보조 시트부(220)는 인체받침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 되고, 보조 시트부의 일단은 제1견인수단과, 보조시트부의 타단은 제2견인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있어, 보조 시트부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후, 제2 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제1,2견인수단과 경사각 조절수단에 의해 3단계로 척추이완을 극대화 시킨후 온열, 지압, 족욕을 병행함으로 최적의 척추질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원하는 치료시간을 설정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환자 신체사이즈에 적응적으로 치료장치를 세팅할 수 있어 환자 개별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편리하게 원하는 치료시간을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뿐만 아니라, 안전감지센서에의해 치료후 원상태로 치료장치를 복귀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는 치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제1견인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에 따른 치료장치의 경사각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제2견인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메인온열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에어볼이 구비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지압롤러가 구비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에어볼이 구비된 발 온열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지압롤러가 구비된 발 온열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이상경고수단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의 각 주요 구성 수단간 제어신호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 제어방법의 제어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척추질환 환자의 척추 견인을 위한 것으로, 척추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견인을 통한 척추 이완이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척추이완을 위해 단편적이고 일차적인 척추이완을 위한 장치나 기술만이 존재했고, 이로인해 척추질환 치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척추 이완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척추질환 치료를 위한 선행조건인 척추 이완을 순차적 3단계(환자 하중에 의한 1차 자연견인→수평 견인에 의한 2차 견인→수직 견인에 의한 3차 견인 또는 수평 견인에 의한 1차 견인→환자 하중에 의한 2차 자연견인→수직 견인에 의한 3차 견인)로 수행하여 척추질환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3단계 척추 견인 이외에 허리에 대한 온열 지압효과, 종아리와 발 부위에 대한 온열 및 지압 제공으로 인한 족욕 효과 등을 발생시킴으로 척추질환 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 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질환 치료장치는 본체 프레임(100),인체받침시트(200),경사각조절수단(300),메인온열지압수단(400),제1견인수단(510),제2견인수단(520),제어수단(600),온열복대(700),이상경고수단(800),도면에 미도시된 메인 CPU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 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는,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인체받침시트를 중앙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프레임(110)과 양측프레임 사이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20)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100)과;
중앙프레임(120)의 일측과 힌지겹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되며, 기울기가 조절됨으로 수평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고 서로 길이가 다른 두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인체받침시트(200)와;
일단은 중앙프레임(120)에, 타단은 인체받침시트(200) 하부에 연결되며, 본체프레임에 대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인체받침시트를 경사지게 함으로 환자의 척추를 환자 하중에 의해 이완시키는 경사각 조절수단(300)과;
인체받침시트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 척추교정과 온열/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받침시트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온열지압수단(40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분리 가능한 인체받침시트를 상호 수평방향으로 분리 이격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는 제1견인수단(51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분리된 인체받침시트의 일측을 타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는 제2견인수단(520)과;
경사각 조절수단의 경사각, 제1 견인수단의 견인 길이와 제2 견인수단의 회동각,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및 운동시간,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및 발 온열지압수단의 에어 압, 에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CPU에 전달하는 제어수단(600);
환자의 배부위를 감싸 환자의 신체를 인체받침시트상에 안정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배에 온열효과를 주는 온열복대수단(700)과;
인체받침시트 하강시 인체받침시트가 수용될 공간에 사람, 물체 등이 존재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사각조절수단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이상경고수단(800)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치료장치의 각 작동수단들에 대한 제어입력신호를 수신받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사각 조절수단, 제1,2 견인수단, 메인온열지압수단, 에어압박벨트등에 전달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받침시트(200)는 분리 가능한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220)부로 형성되고, 보조시트부(220) 상측면에는 환자의 종아리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환자의 발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발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발 온열지압수단(480)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시트부(210)와 보조 시트부(220)는 인체받침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 되고, 보조 시트부의 일단은 제1견인수단과, 보조시트부의 타단은 제2견인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있어, 보조 시트부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후, 제2 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100)과 인체받침시트(200) 그리고 경사각 조절수단(300)의 연결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측면도로서, 본체프레임(100)은 양측프레임(110)과 양측프레임 사이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양측프레임(110)의 사이 그리고 중앙프레임(120)의 상면에 인체받침시트가 위치하게 된다.
중앙프레임(120)의 일측과 인체받침시트 일측은 힌지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되어 경사각 조절수단이 작동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힌지결합수단(230)에 의한 결합으로 인체받침시트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경사도로 상승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인체받침시트(200)는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부(220)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사람의 머리부터 무릎 부위까지 수용할 수 있는 메인시트부(210)와 종아리와 발끝까지를 수용하는 보조시트부(220)이다.
메인시트부(2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메인온열지압수단(400)이 내장되어 있고, 메인시트부 중앙 일측부로부터 메인시트부를 가로질러 타측부에 결합할 수 있는 온열복대수단(700)이 형성된다.
상기 온열복대수단(700)은 환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작용하기도 하지만 척추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복부 부위에 온열효과를 줌으로 척추치료의 효과를 배가 시키기 위함이기도 하다.
또한 온열복대수단(700)은 온열복대 착탈장치(710)와 온열복대(720)로 구성되며, 온열복대(720)는 착탈장치(710)에 의해 메인시트부 양측면에 착탈 방식으로 고정설치된다.
설치 후 메인시트부를 가로질러 환자의 복부 부분을 감싸게 되며, 환자의 키 차이에 따른 복부위치의 차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시트부 양측면에 설치하는 온열복대 착탈장치는 메인시트부 양측면 복수개소에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부(220) 상측면에는 환자의 종아리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환자의 발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발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발 온열지압수단(480)이 형성된다.
도 7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을 나타낸 것으로 도7a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단면을 나탄낸 것이고, 도 7c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한 쌍의 오목부(476)와 오목부 양 측부에 형성되는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오목부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에어볼(472)과,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제1에어볼(47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콤프레셔(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을 더 포함하거나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히팅수단(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476)에 환자의 종아리를 안착시키게 되면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제1에어압박벨트(471)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킨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에어압박벨트가 팽창하게 되면 환자의 종아리 부분이 제1에어압박벨트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환자의 종아리 부위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완전히 밀착되어 진다. 환자의 종아리가 완전히 밀착되면 척추 견인시 견인효과가 커지고 특히, 수직 견인시에는 환자몸이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효과가 생긴다.
환자의 종아리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밀착된 후 상기 제1에어볼(472)은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에어볼(472)은 오목부(476) 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데 제1에어콤프레셔에 의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제1에어볼 각각은 순차적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 종아리에 지압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환자의 종아리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을 더 포함하거나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히팅수단(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열선(474)은 환자의 종아리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제1에어압박벨트의 외측면에 형성된다(도 7a 참조). 상기 제1열선(474)에 의해 제1에어압박벨트 내부의 공기가 덥혀 지고 이로 인해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에어콤프레셔(473)에 제1히팅수단(47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에어압박벨트에 공기 공급시 더운 공기가 주입됨으로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열선(474)이나 제1히팅수단(475)은 온열 효과를 위해 하나만 구성되거나 둘 다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8a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단면을 나탄낸 것이고, 도 8c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한 쌍의 오목부(476)와, 오목부 양 측부에 형성되는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오목부 저면에 형성되는 제1지압롤링수단(477)과, 제1에어압박벨트(471)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콤프레셔(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을 더 포함하거나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히팅수단(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476)에 환자의 종아리를 안착시키게 되면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제1에어압박벨트(471)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킨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에어압박벨트가 팽창하게 되면 환자의 종아리 부분이 제1에어압박벨트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환자의 종아리 부위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완전히 밀착되어 진다. 환자의 종아리가 완전히 밀착되면 척추 견인시 견인효과가 커지고 특히, 수직 견인시에는 환자몸이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효과가 생긴다.
환자의 종아리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에 밀착된 후 상기 제1지압롤링수단(472)은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지압롤링수단(477)은 오목부(476) 저면에 형성되며, 왕복운동에 의해 발바닥을 지압하는 제1롤러와 제1롤러에 왕복 운동력을 제공하는 제1운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환자의 종아리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을 더 포함하거나 제1에어콤프레셔(47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히팅수단(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열선(474)은 환자의 종아리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제1에어압박벨트의 외측면에 형성된다(도 8a 참조). 상기 제1열선(474)에 의해 제1에어압박벨트 내부의 공기가 덥혀 지고 이로 인해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에어콤프레셔(473)에 제1히팅수단(47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에어압박벨트에 공기 공급시 더운 공기가 주입됨으로 종아리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열선(474)이나 제1히팅수단(475)은 온열 효과를 위해 하나만 구성되거나 둘 다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발 온열지압수단(480)을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 되지 않은 상태의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측면을 나탄낸 것이고, 도 9b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내부에 환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발 수용부(486)와, 발 수용부(486) 내측 면에 형성되는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발 수용부(486) 저면(발다닥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에어볼(482)과,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제2에어볼(48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콤프레셔(4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제2에어압박벨트(48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84)을 더 포함하거나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팅수단(4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수용부(486)는 발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상관 없으나 발 형상을 갖는 스키부츠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 수용부(486)에 환자의 발을 삽입 안착시키게 되면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제2에어압박벨트(481)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킨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에어압박벨트가 팽창하게 되면 환자의 발 부분이 제2에어압박벨트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환자의 발 부위가 발 수용부(486)에 완전히 밀착되어 진다. 환자의 발이 완전히 밀착되면 척추 견인시 견인효과가 커지고 특히, 수직 견인시에는 환자 몸이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효과가 생긴다.
상기 제2에어볼(482)은 환자의 발이 발 수용부(486)에 완전히 밀착된 후 환자의 발바닥 부분에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2에어볼(482)은 발 수용부(486) 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데 제2에어콤프레셔에 의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제2에어볼 각각은 순차적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 발바닥에 지압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환자의 발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에어압박벨트(48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84)을 더 포함하거나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팅수단(4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열선(484)은 환자의 발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제2에어압박벨트의 외측면에 형성된다(도 9a 참조). 상기 제2열선(484)에 의해 제2에어압박벨트 내부의 공기가 덥혀지고 이로 인해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제2에어콤프레셔(483)에 제2히팅수단(48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에어압박벨트에 공기 공급시 더운 공기가 주입됨으로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열선(484)이나 제2히팅수단(485)은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만 구성되거나 둘 다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발 수용부(486)에 삽입 수용된 발이 발 수용부(486)로부터 이탈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부(4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487)는 환자의 발목이 위치하는 발 수용부의 일측을 강하게 조임함으로 환자의 발이 발 수용부(486)로부터 이탈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 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발 온열지압수단(480)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 되지 않은 상태의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측면을 나탄낸 것이고, 도 10b는 에어압박벨트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내부에 환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발 수용부(486)와, 발 수용부(486) 내측 면에 형성되는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발 수용부(486) 저면(발다닥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지압롤링수단(488)과, 제2에어압박벨트(481)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콤프레셔(4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제2에어압박벨트(48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84)을 더 포함하거나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팅수단(4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수용부(486)는 발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상관 없으나 발 형상을 갖는 스키부츠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 수용부(486)에 환자의 발을 삽입 안착시키게 되면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제2에어압박벨트(481)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시킨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에어압박벨트가 팽창하게 되면 환자의 발 부분이 제2에어압박벨트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환자의 발 부위가 발 수용부(486)에 완전히 밀착되어 진다. 환자의 발이 완전히 밀착되면 척추 견인시 견인효과가 커지고 특히, 수직 견인시에는 환자 몸이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효과가 생긴다.
상기 제2지압롤링수단(488)은 오목부(476) 저면(발바닥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며, 왕복운동에 의해 발바닥을 지압하는 제2롤러와 제2롤러에 왕복 운동력을 제공하는 제2운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환자의 발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에어압박벨트(48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84)을 더 포함하거나 제2에어콤프레셔(483)가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히팅수단(4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열선(484)은 환자의 발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제2에어압박벨트의 외측면에 형성된다(도 10a 참조). 상기 제2열선(484)에 의해 제2에어압박벨트 내부의 공기가 덥혀지고 이로 인해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제2에어콤프레셔(483)에 제2히팅수단(48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에어압박벨트에 공기 공급시 더운 공기가 주입됨으로 발 부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열선(484)이나 제2히팅수단(485)은 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만 구성되거나 둘 다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발 수용부(486)에 삽입 수용된 발이 발 수용부(486)로부터 이탈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부(4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487)는 환자의 발목이 위치하는 발 수용부의 일측을 강하게 조임함으로 환자의 발이 발 수용부(486)로부터 이탈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 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보조시트부(220)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종아리와 발 부분을 보조시트부(2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견인시 견인 효과를 증가시키고 특히, 수직 견인시에는 몸의 하중에 의해 몸이 미끄러져 내려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아리와 발 부위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여 척추 견인에 의한 척추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건식 족욕 효과를 발생시켜 체온을 상승시킴으로 면역을 상승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아리와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제공하여 지압에 의한 피로 해소의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일 구성요소인 제1,2에어콤프레셔(473,483)와 제1,2히팅수단(475,485)는 각각 개별적으로 온열지압수단(470)과 발 온열지압수단(480)에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로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체화된 에어콤프레셔와 히팅수단은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제1,2에어압박벨트와 제1,2에어볼에 공기나 더운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견인수단(5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제1견인수단(51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견인수단(510)은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부(220)를 수평 방향으로 이격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의료용 엑추에이터(512)와 제1 제어신호 수신수단(5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수단(6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견인수단(510)의 견인 길이가 제어된다.
견인 길이의 제어는 환자마다 신체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견인 길이를 제어수단을 통해 선택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견인수단(510)에 의한 견인으로 척추는 수평 방향으로 이완된다.
제1견인수단(510)의 동작 전에는 제1 의료용 엑추에이터(512)는 최소길이 상태이고, 견인동작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길어진다. 치료과정이 종료되면 메인CPU로부터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제1 의료용 엑추에이터는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척추 이완을 위한 견인을 위해 환자는 인체받침시트(200)에 눕게 된다. 환자가 시트에 누울 때 일단 종아리 부위와 발 부위를 보조시트부상에 형성된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의 오목부(476)와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발 공간부(486)에 안착 시킨 후 발 온열지압수단(480)의 조임부(487)를 조임 고정시킨 후 눕게된다.
인체받침시트(100)에 환자가 눕게 되면 대부분 환자의 무릎부위는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메인 시트부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후술하게 될 제1견인수단에 의한 수평 방향의 척추 이완을 위한 견인이 된다 하더라도 키가 큰 사람의 경우 척추 이완을 위한 견인이 되어도 환자의 무릎 부분이 메인시트부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하는 제2견인수단에 의한 수직 견인시 불편하게 되고 수직견인의 효과가 크게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누운 후 제1견인수단에 의한 견인 길이를 조절하여 자신의 무릎 부분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의 경계부에 오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누운후 자신의 무릎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 경계선에 위치하게 된다면 무릎위치 조절을 위한 제1견인 수단의 조작은 필요없다.
즉, 제1견인수단(510)에 의한 견인은 척추의 수평 이완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환자마다 다른 신체 사이즈를 본 발명의 척추견인장치에 맞추기 위한 견인이기도 하다.
무릎 위치가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의 경계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본격적인 척추 이완을 위한 제1 견인수단의 견인 동작이 수행된다.
제1견인수단(510)은 제1의료용 엑추에이터(512)와 제1 제어신호 수신수단(5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어신호수신수단(511)은 미도시된 메인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신호를 제1 의료용 엑추에이터(51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1 의료용 엑추에이터(512)는 제어신호에 대응된 견인길이 만큼의 견인동작을 통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의 간격을 이격시킴으로 환자의 무릎 위치 조절과 척추 이완을 위한 견인을 수행하게 된다.
제1 견인수단의 견인길이는 0~30cm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수단(3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수단(3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척추 이완의 방법으로는 견인기구에 의한 인위적 견인과 환자 하중에 의한 자연견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1,2견인수단(510,520)은 척추 이완을 기구적으로 수행하는 것이고 경사각조절수단(300)은 환자 하중에 의한 자연견인을 유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수단(300)은 제어신호 수신수단(310)과 의료용 엑추에이터(320)로 구성된다.
상기 의료용 엑추에이터(320)는 동작 전에는 최소길이 상태이고, 제어수단(600)의 상승동작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길어진다. 치료과정이 종료되면 메인CPU로부터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의료용 엑추에이터(320)는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또한 하강중(엑추에이터 길이 수추 중) 메인CPU로부터 작동중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즉시 작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 수신수단(310)은 메인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의료용 엑추에이터(3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의료용엑추에이터(320)는 제어신호에 대응한 자신의 길이연장을 수행한다.
의료용 엑추에이터(320)의 길이가 연장되면 인체받침시트와 본체프레임(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은 일측이 힌지결합 되어 있어, 인체받침시트는 지면과 수평한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상승하게 된다.
인체받침시트(200)가 경사지게 되면 인체받침시트 상부에 누워있는 환자는 머리가 지면으로 발부분이 공중으로 향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 자중에 의해 환자의 척추는 이완되게 된다.
경사각 조절수단(300)의 조절 경사각은 0~90도 범위 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견인수단(52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제2견인수단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제2 견인수단은 제2 제어신호수신수단(521)과 제2 의료용 엑추에이터(522)로 구성된다.
제2 의료용 엑추에이터는 동작전에는 최대길이 상태이고, 견인동작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짧아진다. 치료과정이 종료되면 메인CPU로부터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의료용 엑추에이터 길이는 원래의 상태로 길어진다.
제2 제어신호 수신수단(521)은 메인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의료용 엑추에이터(522)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한 견인동작을 수행한다.
제2 의료용 엑추에이터(522)는 최초에는 길이가 최대한 연장된 상태로 세팅되어 있다. 그런 후 제어신호에 의해 자신의 길이를 수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 견인수단(520)은 일단이 보조시트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견인수단의 일측에 힌지결합 되어 있어(보조시트부와 제1 견인수단이 연결되는 부분 역시 회전을 위해 힌지 결합된다) 제2 의료용 엑추에이터(522)가 동작(길이수축)하게 되면 메인시트부에 수평으로 이격 되어 있던 보조시트부는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동작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보조시트부가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시트에 누워있는 환자의 무릎이 굽어지게 되고 무릎이 굽어지게 되면 지렛대효과에 의해 환자의 척추가 이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제2견인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수직방향으로의 회전각은 0~90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온열지압수단(400)에 관한 도면으로 도6을 통해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듯이 메인온열지압수단(400)은 내부에 온열램프를 내장한 도자온구(410), 도자온구를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운동수단(420), 왕복운동수단에 모터의 운동력을 전달하여 왕복운동수단을 직선왕복운동 시키는 체인/와이어(430), 체인/와이어에 왕복운동력을 전달하는 정역 모터(440), 메인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제3 제어신호 수신수단(450)을 포함한다.
메인CPU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의 온열램프의 온도가 제어됨으로 도자온구의 온도가 제어되고,정역모터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이러한 제어신호들은 메인온열지압수단의 구성요소인 제3 제어신호수신수단이 메인 CPU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정역모터(440)가 정역 회전을 하게 되면 모터의 회전 동력은 체인/와이어(430)에 전달되고 체인/와이어는 궤도운동을 하게 된다. 왕복운동수단(420)의 일측이 체인(431)의 일측과 연결되고 체인의 타측은 모터에 연결되어, 체인/와이어의 궤도운동에 따라 왕복운동수단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정역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수단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왕복운동수단 상부에 배치된 도자온구는 메인시트부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 척추가 이완되어 있는 환자의 척추 부위를 온열 지압하게 된다.
또한 도자온구의 온도와 정역모터의 회전속도는 제어수단의 입력신호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어서 온열강도와 지압강도를 환자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600)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메인 CPU는 모터와 온열램프의 작동을 중지 시키는 제어신호를 제3 제어신호 수신수단(450)에 전달하고 제3 제어신호 수신수단은 그 신호를 온열램프와 모터에 각각 전달함으로 온열지압을 중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상경고수단(800)에 관한 구성 블럭도로 도 11을 통해 이상경고수단(8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이상경고수단(800)은 물체나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수단(810),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수단(820), 경사각 조절수단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하강중지신호 발생부(830)를 포함한다.
척추 견인 치료가 완료되면 경사각 조절수단은 인체받침시트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작동을 시작하여 인체받침시트를 하강시킨다. 이때 인체받침시트를 수용하는 부분인 본체프레임의 중앙부(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부의 상부)에 어린아이나 강아지 등의 생물체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그대로 하강하게 된다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생물체나 물체가 중앙프레임의 상부에 존재하게 되면 감지수단10)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알람수단과 하강중지신호 발생부에 전달하게 되며, 알람수단은 이상 상태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하강중지신호 발생부는 제어신호를 메인 CPU에 전달하게 된다.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메인 CPU는 경사각 조절수단의 하강 동작을 멈추게 하는 제어신호를 경사각 조절수단(300)에 전달해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810)의 이상상황 감지는 터치센서방식,카메라영상인식방식,감지센서방식등을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수단(810)을 포함하는 이상경고수단(800)은 감지센서방식의 경우 도1,도4에 나타나 있듯이 중앙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터치센서방식의 경우 이상경고수단은 인체받침시트(200)의 메인시트부(210) 하측부에(미도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센서방식은 감지수단(810)이 터치센서인 것으로, 이 경우, 터치센서인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이상경고수단(800)을 인체받침시트(구체적으로 메인시트부) 하측부에 설치하여 인체받침시트 하강시 인체받침시트를 수용하는 부분인 본체프레임의 중앙부(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부의 상부)에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하강하는 터치센서는 사람이나 물체등과의 접촉을 감지하게 되고, 터치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방식이고, 감지센서방식은 감지수단(810)이 사람이나 동물,물체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인 것으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이상경고수단(800)을 메인시트부 하측부나 중앙프레임의 상부에 설치하여 하강시 인체받침시트를 수용하는 부분인 본체프레임의 중앙부(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부의 상부)에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카메라영상인식방식은 카메라를 설치하여(바람직하게는 보조시트부의 하측부에 설치) 하강전 영상과 하강중 영상을 비교하여 두 영상간 차이가 존재하면 사람이나 물체가 본체프레임의 중앙부(구체적으로 중앙프레임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6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12를 통해 제어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수단(600)은 미도시된 메인CPU에 전달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입력버튼(610), 치료장치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620), 치료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30), 설정시간 전에도 치료장치의 동작을 중시시킬수 있는 중지버튼(640)을 포함한다.
환자는 복수의 입력버튼(610)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 경사각 조절수단의 경사각, 제1견인수단의 견인길이, 제2견인수간의 견인길이(회동각),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종아리 온열지압수단에 내장된 에어압박벨트의 에어압과 에어온도와 지압롤러의 지압시간, 발 온열지압수단에 내장된 에어압박벨트의 에어압과 에어온도와 지압롤러의 지압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버튼 중 필요한 버튼들을 누르게 되면 입력신호가 메인 CPU에 전달되고 메인 CPU는 대응된 제어신호를 각 작동장치들에 전달한다.
일예로, 도12에 도시된 제어수단의 입력버튼들(610)중 경사각 버튼을 누른 후 길이/강도 조절버튼을 눌러 필요로 하는 경사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타이머(620)를 통해 치료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종료제어신호가 CPU에 전달되고 메인CPU는 종료제어신호를 각 작동장치들에 보내 치료과정을 종료시킨다.
만일 환자가 중지버튼(640)을 누르게 되면 설정시간 이전에도 치료동작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종료된다.
그리고 표시부(630)에는 치료장치의 각 동작상태, 예를 들어 설정시간,치료경과시간,도자온구의 온열온도및 운동속도,경사각,견인길이,회전각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환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제어수단(600)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장치 본체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치료장치 본체와 이격 설치 될 수도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치료장치 세부 구성수단들간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수단(600)에 구비된 각종 제어 버튼들을 눌러 입력신호를 발생 시키면 입력신호는 메인CPU(900)로 전달되고 메인CPU는 대응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하여 각 세부 동작수단들(경사각 조절수단, 메인온열지압수단,제1,2견인수단,이상경고수단,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 등)에 제공하여 척추치료장치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어수단에 구비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종료되거나 중지버튼이 눌려지면 메인CPU는 종료제어신호를 각 작동수단들에 전달함으로 치료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상경고수단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작동하게 되면 메인CPU는 제어신호를 경사각 조절수단에 전달하여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즉시 중지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인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제어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4를 통해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단계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를 이격 견인하는 단계로, 견인을 통해 신체사이즈 조절과 1단계 척추 이완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A단계는 시트에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무릎 부위가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 경계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무릎이 경계선상에 오도록 제1 견인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A-1)와 상기 (A-1)단계후 척추 이완을 위해 재차 제1견인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A-2)를 포함한다.
만일 환자가 시트에 누웠을 때 환자 무릎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 경계선상에 오면 상기의 무릎이 경계선상에 오도록 제1견인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A-1)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B단계는 경사각 조절수단이 작동하는 단계로, 경사각 조절수단이 작동하면 인체받침시트는 본체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되며 이때 환자 하중에 의해 자연견인이 유도되고 이로인해 2단계 척추이완 기능이 수행된다.
C단계는 제2 견인 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보조시트부가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단계로, 제2견인수단의 작동으로 보조시트부가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 환자의 무릎은 굽혀지게 되고 환자의 무릎이 굽혀지면 지렛대효과로 인해 환자의 척추가 이완되면서 3단계 척추이완 기능이 수행된다.
D단계는 치료조건 설정단계로 온열온도,모터속도,타이머,에어압등, 척추치료에 필요한 각종 조건을 제어수단을 통해 설정하는 단계이다.
E단계는 치료장치 구동단계로서, 제1,2견인수단, 경사각조절수단에 의해 척추 이완이 3단계로 이루어지고, 온열온도, 도자온구 운동속도, 에어압, 에어온도 등의 치료조건이 설정되면 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의 작동이 수행된다.
F단계는 치료장치의 구동종료 및 복귀단계로 타이머설정 시간 종료나 중지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작동중인 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의 동작 종료가 수행됨과 동시에 경사각 조절수단,제1,2견인수단의 의료용 엑추에이터의 길이가 원래 상태로 수축(경사각조절수단과 제1견인수단의 경우)및 확장(제2견인수단의 경우)되어 치료장치를 치료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이다.
필요에 따라 A,B,C단계 중 일부는 생략하거나 또는 순서를 바꾸어 치료장치를 동작시켜도 상관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통해 치료장치의 각 구성수단들이 제어되는 과정은 컴퓨터 프로그램화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척추를 3단계로 이완시킴으로 척추이완을 최적 극대화 시킨상태에서 온열지압효과를 주는것을 기본적 기술사상으로 하며, 상술한 사항들은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변형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프레임 110:양측프레임 120: 중앙프레임
200:인체받침시트 210:메인시트부 22:보조시트부
300:경사각조절수단
400:메인온열지압수단 470:종아리 온열지압수단 480:발 온열지압수단
510:제1견인수단 520:제2견인수단
600:제어수단
700:온열복대수단
800:이상경고수단

Claims (24)

  1.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제공하고 환자의 척추를 3단계로 견인하여 척추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인체받침시트를 중앙에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프레임(110)과 양측프레임 사이 저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20)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100)과;
    중앙프레임(120)의 일측과 힌지겹합수단(230)에 의해 결합 되며, 기울기가 조절됨으로 수평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고 서로 길이가 다른 메인시트부(210)과 보조시트부(220)로 분리 가능한 인체받침시트(200)와;
    일단은 중앙프레임(120)에, 타단은 인체받침시트(200) 하부에 연결되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각도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인체받침시트를 경사지게 함으로 환자의 척추를 환자 하중에 의해 이완시키는 경사각 조절수단(300)과;
    인체받침시트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척추교정과 온열/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받침시트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온열지압수단(40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체받침시트의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를 상호 수평방향으로 분리 이격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수평 이완시키는 제1견인수단(510)과;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분리된 메인시트부에 대해 보조시트부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 환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는 제2견인수단(520)과;
    경사각 조절수단의 경사각, 제1 견인수단의 견인 길이와 제2 견인수단의 회동각,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및 운동시간,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및 발 온열지압수단의 에어 압, 에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CPU에 전달하는 제어수단(600)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치료장치의 각 작동수단들에 대한 제어입력신호를 수신받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사각 조절수단, 제1,2 견인수단, 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 등에 전달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받침시트(200)는 분리 가능한 메인시트부(210)와 보조시트(220)부로 형성되고, 보조시트부(220) 상측면에는 환자의 종아리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종아리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과 환자의 발 부분을 보조시트부상에 고정 시키고 환자의 발 부분에 온열 및 지압 효과를 주는 발 온열지압수단(480)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시트부(210)와 보조 시트부(220)는 인체받침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 되고, 보조 시트부의 일단은 제1견인수단과, 보조시트부의 타단은 제2견인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있어, 보조 시트부는 제1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후, 제2 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는 환자의 배부위를 감싸 환자의 신체를 인체받침시트상에 안정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배에 온열효과를 주는 온열복대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는 인체받침시트 하강시 인체받침시트가 수용될 공간에 사람, 물체 등이 존재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사각조절수단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이상경고수단(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300)은
    제어수단(6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수단(310)과,
    제어신호수신수단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 수평한 본체프레임에 대해 인체받침시트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는 의료용 엑추에이터(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어수단(600)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 경사각은 0~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견인수단(510)은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제어신호수신수단(511)과,
    제1 제어신호수신수단(511)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를 수평 이격 시키는 제1 의료용 엑츄에이터(5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어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견인 길이는 0~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견인수단(520)은,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제어신호수신수단(521)과,
    제2 제어신호수신수단(512)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 보조시트부가 메인시트부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2 의료용 엑츄에이터(5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어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회동각도는 0~9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온열지압수단(400)은,
    내부에 온열램프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자온구(410)와,
    복수의 도자온구를 상부에 실장하고,인체받침시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도자온구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420)과,
    정역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운동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체인/와이어(430)와,
    정역회전을 하며 체인/와이어(430)에 궤도운동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온열지압수단(400)은 제어수단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3제어신호 수신수단(450)을 더 포함하며, 제3 제어신호 수신수단에 수신된 신호에 의해 온열램프의 온도와 모터의 회전속도,모터의 동작시간이 조절됨으로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및 운동시간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경고수단(800)은 물체나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수단(810)과,
    상기 감지수단의 물체 감지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수단(820)과,
    경사각조절수단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하강중지신호 발생부(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810)의 감지방식은 터치센서방식,감지센서방식,카메라영상인식방식중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0)은 메인 CPU에 전달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입력버튼(610)과,
    치료장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620)와,
    치료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0)은 중지버튼(64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중지버튼을 누르거나 타이머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메인 CPU에 종료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정지와 경사각조절수단,제1,2견인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을 처음 상태로 되돌리도록 제어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0)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제어신호를 메인CPU에 전달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복대수단(700)은 온열복대 착탈장치(710)와 온열복대(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열복대 착탈장치(710)는 메인시트부 양측면 복수개소에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종아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오목부(476)와,
    오목부 양 측부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시 팽창하여 종아리 부분을 밀착 고정하는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오목부 저면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종아리 부분을 지압하는 다수의 제1에어볼(472)과,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제1에어볼(47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콤프레셔(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제1에어압박벨트(471) 내부의 공기를 덥히기 위해,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 또는 제1에어콤프레셔(473) 일측에 형성되는 제1히팅수단(47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종아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오목부(476)와,
    오목부 양 측부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시 팽창하여 종아리 부분을 밀착 고정하는 제1에어압박벨트(471)와,
    오목부 저면에 형성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종아리 부분을 지압하는 제1지압롤링수단(477)과,
    제1에어압박벨트(471)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콤프레셔(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온열지압수단(470)은 제1에어압박벨트(471) 내부의 공기를 덥히기 위해, 제1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1열선(474) 또는 제1에어콤프레셔(473) 일측에 형성되는 제1히팅수단(47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내부에 환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발 수용부(486)와,
    발 수용부(486) 내측 면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시 팽창하여 발 부분을 밀착 고정하는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발 수용부(486) 저면(발다닥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발바닥 부분을 지압하는 다수의 제2에어볼(482)과,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제2에어볼(48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콤프레셔(4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제2에어압박벨트(481) 내부의 공기를 덥히기 위해, 제2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74) 또는 제2에어콤프레셔(483) 일측에 형성되는 제2히팅수단(48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내부에 환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발 수용부(486)와,
    발 수용부(486) 내측 면에 형성되어 에어 공급시 팽창하여 발 부분을 밀착 고정하는 제2에어압박벨트(481)와,
    발 수용부(486) 저면(발다닥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발 바닥 부분을 지압하는 제2지압롤링수단(488)과,
    제2에어압박벨트(481)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콤프레셔(4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온열지압수단(480)은 제2에어압박벨트(481) 내부의 공기를 덥히기 위해, 제2에어압박벨트(471) 일측에 형성되는 제2열선(474) 또는 제2에어콤프레셔(483) 일측에 형성되는 제2히팅수단(48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23. 1항에 기재된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척추의 이완효과를 주기위해 제1견인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와 보조시트부를 이격 견인하는 단계와;
    B.환자 하중을 이용한 척추 이완효과를 주기위해 경사각 조절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C. 무릎굽힘에 의한 척추의 이완효과를 주기위해 제2 견인 수단에 의해 메인시트부에 대해 보조시트부가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단계와;
    D. 메인온열지압수단의 온열온도와 운동속도, 종아리 온열지압수단의 에어압과 에어온도, 발 온열지압수단의 에어압과 에어온도 등의 치료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E. D단계에서 설정된 조건으로 치료장치의 구성수단들인 메인온열지압수단, 종아리 온열지압수단, 발 온열지압수단 등을 구동하는 단계와;
    F.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거나 중지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치료장치의 작동을 멈추고 원래 처음 셋팅된 상태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족욕 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기재된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69341A 2016-06-03 2016-06-03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20170137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1A KR20170137349A (ko) 2016-06-03 2016-06-03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1A KR20170137349A (ko) 2016-06-03 2016-06-03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49A true KR20170137349A (ko) 2017-12-13

Family

ID=6094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41A KR20170137349A (ko) 2016-06-03 2016-06-03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734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881A (zh) * 2018-05-04 2018-08-31 郑州飞龙医疗设备有限公司 脊柱多功能康复机器人
CN109846663A (zh) * 2019-03-15 2019-06-07 青岛市中心医院 一种脊椎侧弯康复锻炼训练装置
CN110934720A (zh) * 2020-01-09 2020-03-31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脊柱护理康复运动器
KR20200094971A (ko) * 2019-01-31 2020-08-10 허정욱 견인운동장치
CN111685983A (zh) * 2020-06-15 2020-09-22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疗护理用背部按摩装置
KR102188342B1 (ko) *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KR102191984B1 (ko) * 2019-06-25 2020-12-16 이광덕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CN112842656A (zh) * 2020-12-31 2021-05-28 山西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用于脊柱康复的护理装置
WO2023200250A1 (ko) * 2022-04-13 2023-10-19 주식회사 세라젬 냉온 마사지가 가능한 마사지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881A (zh) * 2018-05-04 2018-08-31 郑州飞龙医疗设备有限公司 脊柱多功能康复机器人
CN108464881B (zh) * 2018-05-04 2023-12-26 郑州飞龙医疗设备有限公司 脊柱多功能康复机器人
KR20200094971A (ko) * 2019-01-31 2020-08-10 허정욱 견인운동장치
CN109846663A (zh) * 2019-03-15 2019-06-07 青岛市中心医院 一种脊椎侧弯康复锻炼训练装置
KR102191984B1 (ko) * 2019-06-25 2020-12-16 이광덕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CN110934720A (zh) * 2020-01-09 2020-03-31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脊柱护理康复运动器
CN110934720B (zh) * 2020-01-09 2021-11-09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脊柱护理康复运动器
CN111685983A (zh) * 2020-06-15 2020-09-22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疗护理用背部按摩装置
KR102188342B1 (ko) *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CN112842656A (zh) * 2020-12-31 2021-05-28 山西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用于脊柱康复的护理装置
WO2023200250A1 (ko) * 2022-04-13 2023-10-19 주식회사 세라젬 냉온 마사지가 가능한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349A (ko)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US11730661B2 (en) Health-regain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20180075868A (ko) 키성장 자세교정기
KR101272196B1 (ko)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HUH3799A (en) The apparatus for treatment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recreation, and training of spine and other human body parts
US200902040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Neck Tension or Neck Injury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JP2010000343A (ja) 腰椎牽引装置
JP5345855B2 (ja) 背骨矯正用運動器具
KR101706586B1 (ko)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1649347B1 (ko)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JP2001212163A (ja) 特殊牽引治療器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KR101397392B1 (ko) 척추 교정장치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KR102294502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척추 및 장기 이완기
KR102518150B1 (ko) 진동형 스마트 도립기
KR102517547B1 (ko) 페달형 운동기구용 하지부동 보정장치
KR100807201B1 (ko) 척추교정용 운동기기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0380816B1 (ko) 신체교정용 자중 견인침대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102550917B1 (ko) 틸팅 가능한 배드부를 구비하는 진동형 스마트 도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