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490A -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1490A KR20170111490A KR1020160037038A KR20160037038A KR20170111490A KR 20170111490 A KR20170111490 A KR 20170111490A KR 1020160037038 A KR1020160037038 A KR 1020160037038A KR 20160037038 A KR20160037038 A KR 20160037038A KR 20170111490 A KR20170111490 A KR 201701114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upper plate
- supply module
- energy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비 자성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모듈,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 및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상기 광투과부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상기 상판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예는 다용도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가정에서, 식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종래에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테이블에 조리기구 및 전자기기가 구비된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 금속의 조리기기를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기기를 내장한 테이블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테이블이 다용도로 사용되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테이블에 내장되는 유도가열기가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테이블은 유도가열기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손 쉽게 유도가열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유도가열기를 내장한 테이블의 상판에는 가열 영역이 프린팅된다. 그러나, 테이블의 상판에 가열 영역이 프린팅되는 경우, 유도가열로 가열된 조리기기의 열에 의해 프린팅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프린팅된 가열영역은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유도가열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그 가열영역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에너지 공급모듈을 쉽게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테이블의 강성과 모양을 유지하면서, 테이블의 상부에 조리기기 등이 위치되는 가열 영역을 표시하고, 가열 영역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비 자성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모듈,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 및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상기 광투과부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상기 상판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사용자가에게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위치를 인지시키고,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광투과부가 광원에서 공급되는 광이 투과되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상판 내에서 공간활용일 극대화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광투과부를 사용하여서 테이블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않고, 테이블 상부에 가열영역을 표시하고, 가열영역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광가이드를 통해 적은 수의 광원으로 상판의 상부에 다양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은 도 7a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D-D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E-E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F-F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광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은 도 7a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D-D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E-E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F-F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광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은 물체를 지지하는 본체(10)와 에너지 공급모듈(130), 광원(150) 및 광투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테이블(1)은 조리기기들을 지지하고,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전자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물론, 테이블(1)은 조리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체(10)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상판(120)을 포함하거나, 상판(120)과 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체(10)가 상판(120)과 커버(110)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10)의 하단에는 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20)가 위치된다. 다리(20)는 커버(110) 또는/및 상판(120)의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커버(110)는 상판(1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상판(120)의 상부를 커버(110)한다. 커버(110)는 조리기기 또는/및 전자기기를 지지한다. 또한, 커버(110)는 상판(12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수용하는 수용부(111)를 구비한다. 수용부(111)는 커버(110)의 하부에 커버(1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내부에 상판(12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111)를 가지고 하방에 개구가 형성되고, 하방의 개구는 하판(미도시)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110)는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110)는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방해하지 않고, 내열성과,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커버(110)는 광원(150)에서 생성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및 반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10)는 내열성과, 광투과성 및 비자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커버(110)는 빛이 투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대리선, 우드 및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만, 커버(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200)는 광원(150) 및/또는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00)는 커버(1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00)는 커버(110)의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판(120)은 커버(110)와 함께 본체(10)를 형성하거나 단독으로 본체(10)를 형성한다. 상판(120)은 전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한다. 상판(120)은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판(120)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판(120)은 커버(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판(120)은 본체(10)의 강성을 위해 강성과, 비자성을 가지는 물질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본체(10)는 수지재질 또는 우드재질이 선택된다.
상판(12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된다. 실시예는 상판(120)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광원(150)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시키기 위해서 상판(120)에는 광투과부가 형성된다.
광투과부는 상판(120)에 형성되어서,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는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한다.
광투과부는 광을 투과하는 빈 공간이거나,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투과부는 복수의 점 형태의 홀 또는 홈이거나, 복수의 라인 형태의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광투과부의 형상은 제한이 없고, 경계무늬(11)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광투과부는 후술하는 체결부재의 결합이 용이하고, 정렬이 용이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된 점 형태의 홈 또는 홀일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광투과부는 상판(12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홀(121)로 구성된다.
투광홀(121)은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투광홀(121)을 통과한 빛은 커버(110)에 투영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홀(121)을 통과한 빛은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투광홀(121)을 통과한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투광홀(121)의 직경은 제한이 없지만, 상판(120)의 강성과 빛의 투과 여부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구개의 투광홀(121)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결합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에서 보아 복수개의 투광홀(121)은 상판(120)에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즉, 복수개의 투광홀(121)들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오와 열을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체결 시에,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연결된 체결부재(140)는 복수 개의 투광홀(121)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다.
즉, 투광홀(121)은 사용자가에게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위치를 인지시키고, 체결부재(14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상판(120)의 저면에 위치되어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커버(11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상판(120)의 저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유도가열기(130a) 또는/및 무선충전 송신기(130b)를 포함한다.
유도가열기(130a)는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유도가열은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무선충전 송신기(130b)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무선충전 수신기와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충전 송신기(130b)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한 쌍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은 크게 다음 2가지 종류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즉, 무선충전 시스템의 종류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형 방식이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라고 칭하는데,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전자기기의 동력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원인 전원을 충전하는 원리이다.
자기 공명형 방식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자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된 강한 자계결합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특정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해 두 개의 코일을 하나는 무선충전 송신기(130b) 측에 하나는 전자기기 측에 연결해 같은 주파수로 맞추어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유선방식 대비 90%의 높은 충전 효율을 갖는 한편 무선충전 송신기(130b)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1 내지 2cm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자기 공명형 방식은, 원거리 충전이 가능하지만 유선방식 대비 70%의 낮은 충전 효율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무선충전 원리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전부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자기 공명형 방식을 채택함이 좋다.
이하,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일 실시예인 유도가열기(130a)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설치된 광원(15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도가열기(130a)는 내부에 수용공간(133)을 형성하는 케이스(131)와, 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고, 자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134)과, 워킹코일(134)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기판(135)을 포함한다.
케이스(13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33)이 정의된다. 케이스(131)의 테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렌지에는 체결부재(140)가 관통하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관통홀(132)은 체결부재(14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체결부재(140)는 광투과부에 체결된다.
워킹코일(134)은 자장을 발생시켜서 워킹코일(134)과 근접한 물체를 유도 가열한다. 워킹코일(134)은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판(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광원(150)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150)은 컨트롤러(200) 또는/및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연결되어서, 컨트롤러(200) 또는/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커버(110)에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한다.
광원(15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15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발광소자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광을 제공할 있다.
광원(150)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일 예로,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 또는/및 상판(1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배치되고, 상판(120)의 광원(15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내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배치된다. 광원(150)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모여서 일정한 형상 또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둘레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서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해 커버(110)에 지지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의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원(150)은 유도가열기(130a)가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키는 위한 경계를 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원(150)은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게 케이스(131)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광원(150)은 상부에서 보아, 워킹코일(134)을 감싸는 임의의 곡선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150)들은 커버(110)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을 사용자가게 인지시키므로, 사용자가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에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16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컨트롤러(20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20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통해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작동세기 및 작동여부를 제어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b은 도 7a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D-D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원(150A)의 배치와, 광가이드(151)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광가이드(151)는 광원(150A)에서 생성된 광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광을 안내한다. 광가이드(151)는 광원(150A)에서 입사된 점광 형태의 확산하여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상부로 출사한다.
광가이드(151)는 케이스(13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가이드(151)는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151)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151)는 면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158), 광출사면(158)과 반대측의 광반사면(159)과, 광출사면(158)과 광반사면(159)을 연결하는 4개의 측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광가이드(15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반사면(159)은 광가이드(151)의 후면을 형성하고, 광원(150A)에서 광입사면(157)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예를 들면, 광반사면(159)은 수지재질에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층이 증착되어서 형성되거나, 수지재질에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층이 증착되고, 다수 개의 돌기부가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돌기부는 광원(150)에서 입광된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광출사면(158)은 광가이드(151)의 전면을 형성하고, 광반사면(159)에서 전방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광반사면(159)과 광출사면(158) 사이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 광출사면(158)과 광반사면(159)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광을 효율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출사면(158)은 규칙적으로 패터닝된 반사패턴(152)이 배치될 수 있다. 광출사면(158)은 광원(150)에서 광입사면(157)을 통해 입광된 광의 일부를 하부 방향으로 반사시켜서, 광입사면(157)의 반대방향으로 광을 전달하고, 광원에서 광입사면(157)을 통해 입광된 광의 다른 일부를 광출사면(158)을 통해 광가이드(151)의 전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광입사면(157)은 광반사면(159)과 광출사면(158)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150A)에서 광을 입사 받는 공간이다.
예를 들면, 광입사면(157)은 광가이드(151)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되거나 투명물질일 수 있다. 특히, 광입사면(157)의 면적은 광출사면(158)의 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른 예로, 광가이드(151)는 투광성 재질이고, 광가이드(151)와 외부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광가이드(151)의 광입사면(157)으로 입사된 광이 광가이드(151)의 내부로 전파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광가이드(151)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광가이드(151)의 구조는 후술한다.
이 때, 광원(150A)은 광입사면(157)에 광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가이드(151)를 통해서,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배치되는 광원(150)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커버(110)가 생략된 구조를 가진다.
즉, 다른 실시예의 본체(10)는 상판(12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판(120)의 재질은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불투과성 재질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커버(110)가 생략되고, 광투과부의 구조가 다른 차이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의 광투과부는 상판(120A)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홈(122)이다.
투광홈(122)은 상판(120A)의 하부로 오픈된 형태의 홈으로 구현된다. 투광홈(122)은 깊이(d1)는 투광홈(122)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상판(120)의 두께(d2)가 광을 투과할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판(120A)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은 투광홈(122)으로 공급되고, 투광홈(122)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상판(120)의 일 영역을 투과하여서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된다.
투광홈(122)들 중 어느 하나에는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연결된 체결부재(140)가 체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커버(110)가 생략되고, 충진부(129)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의 광투과부는 투광홀(121)과, 투광홀(121)의 내부에 충진되는 투광재질의 충진부(12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충진부(129)는 상판(120)의 강성을 보강하고, 투광홀(12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 광을 투과한다.
충진부(129)는 투광홀(121)의 내부 중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충진부(129)는 수밀성, 내식성,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에폭시, 및 기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커버(110)가 생략되고, 광가이드(151)를 더 포함하며, 광원(150)의 배치에 차이점을 가진다.
여기서 광가이드(151)의 구조와, 광원(150)의 배치는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판(120)의 구조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E-E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테이블의 F-F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2)은 물체를 지지하는 본체(10)와 에너지 공급모듈(230), 광원(250) 및 광투과부와, 광가이드(2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의 상판(220) 및 커버(110)로 구성되고나 상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테이블(2)은 도 9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가이드(251)와 광원 수용부(229)를 더 포함하고, 광원(250)의 배치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광투과부는 투광홈(222)을 포함한다.
상판(220)에는 투광홈(222)과 광원 수용부(229)가 형성된다. 광원 수용부(229)는 내부에 광원(250)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광원 수용부(229)는 상판(220)에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광원 수용부(229)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상판(220)의 하면이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광원 수용부(229)는 투광홈(222)과 연결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투광홈(222)은 상판(22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투광홈(222)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홈(222)들 중 일부는 상부에서 보아 라인 형상을 가져서 특정 형상을 표시할 수 있고, 투광홈(222)들 중 다른 일부는 상부에서 보아 점 형상을 가져서, 특정 형상을 표시하거나, 상술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투광홈(222)은 라인 형태로 배치된다. 투광홈(222)의 하부에 광원 수용부(229)가 배치되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 및 상판(220)의 투명성으로 인해 광원(250) 노출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원 수용부(229)에는 광원(250)에서 방출되는 빛의 누설을 차단하는 차폐커버(227) 또는/및 광차단부(228)을 구비된다.
광차단부(228)은 적어도 광원 수용부(229)의 내면에 코팅되어서, 외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한다. 광차단부(228)은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차단부(228)은 광을 반사하는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차단부(228)은 투광홈(222)의 일부 영역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차단부(228)은 투광홈(222)의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한 면에 위치될 수 있다. 광차단부(228)은 투광홈(222)의 상부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제한한다.
차폐커버(227)는 광원 수용부(229)를 외부로부터 차폐한다. 구체적으로, 차폐커버(227)는 하부로 오픈된 광원 수용부(229)를 커버한다. 차폐커버(227)는 광원 수용부(229) 주변의 상판(220)의 하면에 결합된다. 차폐커버(227)는 외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한다. 차폐커버(227)는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폐커버(227)는 광을 반사하는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가이드(251)는 광원(250)에서 생성된 광을 광투과부로 가이드한다. 광원(250)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부를 통해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한다. 따라서, 광가이드(251)는 적은 수의 광원(250)을 사용하여서, 복수 개의 영역 또는 광원(250) 보다 넓은 영역에 빛을 전달할 수 있다.
광가이드(251)는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둘레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251)의 광출사면(258)이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둘레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복수개의 투광홈(222)의 내부에 위치되고, 광가이드(251)의 다른 일부 영역은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배치된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투광홈(2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투광홈(222)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라인 또는 돌기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위치된 광원(250)에서 광가이드(251)로 전달된 빛이 광투과부를 통해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된다.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은 광원(25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광출사면(258)은 상판(220)의 상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광입사면(257)은 상판(22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광원(250)에서 생성된 빛은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을 통해 입사되어서 광출사면(258)을 통해 방출되고, 방출된 빛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상판(220)을 통과하여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된다.
광원(250)의 단면적은 광출사면(258)의 면적의 합 보다 작게 형성된다. 광원(250)의 개수는 광출사면(258)의 개수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광원(250)을 사용하더라고, 넓은 면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도 15a의 실시예는 도 1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원(250A)의 배치, 광가이드(251)의 형상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15a의 실시예는 도 13의 실시예에서 차폐커버(227)가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고, 광원 수용부(229)로 빛을 공급한다.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고, 광원 수용부(229)로 노출된다.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둘레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광원(250A)이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 때,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일부가 광원 수용부(229)를 차폐한다. 광원(250)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상부면 중 일부가 광원 수용부(229)를 커버한다. 에너지 공급모듈(230)은 광원 수용부(229)에서 누설되는 빛을 차단한다.
이 때, 광가이드(251)는 광원(250)에서 생성된 광이 광투과부를 통해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되도록 빛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과 광출사면(258)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광입사면(257)은 광원(25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광입사면(257)은 광가이드(25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광출사면(258)은 광가이드(251)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도 15b의 실시예는 도 15a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집광렌즈(2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집광렌즈(290)는 광원(250A)에서 생성된 빛을 집광하여 광가이드(251)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집광렌즈(290)는 광원(250A)에서 생성된 빛을 집광하여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으로 방출한다. 집광렌즈(290)의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배치된다. 집광렌즈(290)는 광가이드(251)와 광원(250) 사이에 배치된다. 집광렌즈(290)는 공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집광렌즈(290)는 외부와의 굴절율의 차이로 내부로 입사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집광렌즈(290)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진행될수록 그 단면적이 줄어들고, 집광렌즈(290)의 측면은 리플렉터(291)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리플렉터(291)는 집광렌즈(29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의 실시예는 도 1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투과부와 광가이드(251)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서 광투과부는 상판(22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홀(221)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투광홀(221) 중 일부는 광원 수용부(229)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광원 수용부(229)와 이격될 수 있다. 빛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수용부(229)와 연결된 투광홀(221)은 광원 수용부(229)의 상부에 배치된다.
투광홀(221)은 광원(250)에서 생성된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투광홀(221)을 통과한 빛은 커버(110)에 투영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홀(221)을 통과한 빛은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1)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투광홀(221)을 통과한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판(220)은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복수개의 투광홀(221)의 내부에 위치되고, 광가이드(251)의 다른 일부 영역은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배치된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투광홀(2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투광홀(2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라인 또는 돌기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위치된 광원(250)에서 광가이드(251)로 전달된 빛이 광투과부를 통해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된다.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은 광원(25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광출사면(258)은 상판(220)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광입사면(257)은 상판(22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의 실시예는 도 1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원(250)의 배치, 광가이드(251)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17의 실시예는 도 16의 실시예에서 차폐커버(227)가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고, 광원 수용부(229)로 빛을 공급한다.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고, 광원 수용부(229)로 노출된다.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둘레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광원(250A)이 에너지 공급모듈(230)에 배치되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 때,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일부가 광원 수용부(229)를 차폐한다. 광원(250A)은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에너지 공급모듈(230)의 상부면 중 일부가 광원 수용부(229)를 커버한다. 에너지 공급모듈(230)은 광원 수용부(229)에서 누설되는 빛을 차단한다.
이 때, 광가이드(251)는 광원(250A)에서 생성된 광이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되도록 빛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251)의 광입사면(257)과 광출사면(258)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광입사면(257)은 광원(250A)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광입사면(257)은 광가이드(25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광출사면(258)은 광가이드(251)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의 실시예는 도 17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가이드(251)의 구조 및 몰딩부(329)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몰딩부(329)는 투광홀(221)의 내부에 충진된다. 몰딩부(329)는 빛이 투과되는 투광재질이다.
여기서, 몰딩부(329)는 상판(220)의 강성을 보강하고, 투광홀(22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몰딩부(329)는 투광홀(221)의 내부 중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서, 몰딩부(329)는 투광홀(221)의 전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몰딩부(329)는 수밀성, 내식성,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에폭시, 및 기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251)는 광원(250A)에서 입사된 빛을 투광홀(221)에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투광홀(221)로 입사된 광은 몰딩부(329)를 통과하여 상판(220)의 상부로 방출된다. 몰딩부(329)가 투광홀(221)을 전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광가이드(251)의 전체 영역은 광원 수용부(229)에 위치되고, 몰딩부(329)가 투광홀(221)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광원 수용부(229)에 위치되고, 광가이드(251)의 다른 일부 영역은 투광홀(221)에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광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가이드(251)는 광원(250)에서 입사된 광을 광가이드(251)의 길이 방향으로 확산하면서, 광가이드(25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방출한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복수개의 투광홀(221)의 내부에 위치되고, 광가이드(251)의 다른 일부 영역은 광원 수용부(229)의 내부에 배치된다. 광가이드(251)의 일부 영역은 투광홀(2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251)는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257)을 가지고 광을 광가이드(251)의 길이방향으로 확산하는 바디(255)와, 바디(255)와 연결되고, 투광홀(221)들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내삽돌기(256)를 포함한다.
바디(255)는 일측에 광입사면(257)이 구비되고, 광입사면(257)을 통해 입사된 광을 내부에서 확산하며 일 방향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55)의 일측면에 광입사면(257)이 배치되고, 바디(255)의 다른 면을 광을 반사하는 면이 될 수 있다. 바디(255)의 바닥면에서는 패터닝되어 광을 반사하는 반사패턴(252)이 형성될 수 있다.
내삽돌기(256)는 바디(255)에서 확산되는 빛을 전달받아 일부 영역을 통해 광을 방출한다. 내삽돌기(256)에는 광출사면(258)이 구비된다. 광출사면(258)은 투광홀(22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출사면(258)은 상판(22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내삽돌기(256)는 투광홀(221)들의 내부에 삽입된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삽돌기(256)는 투광홈(222)들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광원(250)의 개수는 광출사면(258)의 개수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광원(250)을 사용하더라고, 넓은 면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가이드(251)의 외면에는 광가이드(251)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층(280)이 더 포함된다. 광차단층(280)은 광가이드(251)의 외면 중 광입사면(257)과 광출사면(258)을 제외한 면에 배치된다. 광차단층(280)은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차단층(280)은 광을 반사하는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선서유닛, 명령 입력부(91), 제어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은 온도센서(31), 감지센서(32) 및 가압센서(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유닛은 온도센서(31), 감지센서(32) 및 가압센서(33)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센서유닛은 조리기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조리기기가 거치되는 상판(120) 또는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위치된다.
온도센서(31)는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 값을 제어부(93)로 제공한다.
감지센서(32)는 상판(120) 상에 위치되는 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제어부(93)로 제공한다. 감지센서(32)는 조도 감지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센서는 상판(120) 상부의 밝기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제어부(93)에 제공한다. 제어부(93)는 조도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조도 값으로, 상판(120)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근접센서는 상판(120) 상부로 인접하는 조리기기를 감지하여서 제어부(93)에 제공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제어부(93)는 근접센서에서 입력된 입력 값으로, 상판(120)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가압센서(33)는 상판(120)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그 압력 값을 제어부(93)로 출력한다. 제어부(93)는 가압센서(33)에서 입력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상판(120) 상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유닛(90)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한다. 표시유닛(90)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표시유닛(90)은 제어부(93)의 제언신호를 입력 받아 온도정보, 무게정보, 조리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명령 입력부(9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명령을 명령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93)로 출력한다. 제어부(93)는 명령신호를 바탕으로 광원(150)을 제어한다. 명령 입력부(9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적 입력수단인 버튼, 터치센서, 다이얼 등을 포함한다. 명령 입력부(91)는 표시유닛(90)과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93)는 에너지 공급모듈(130), 광원(15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온도센서(31)에서 제공된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광원(15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온도센서(31)에서 제공된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광원(150)을 표시유닛(90)과 대비하여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광원(150)과 표시유닛(90)의 조도 값을 동일하게 제어한다. 설정온도는 이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값 일수도 있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91)를 통해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 광원(150) 및 표시유닛(90)의 조도 값을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시각적, 직관적으로 조리기기의 가열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광원(150)과 표시유닛(90)의 조도 값이 동일하다 함은 완전한 수학적 의미의 동일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공학적인 의미의 동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는 광원(150)과 표시유닛(90)의 조도 값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에 따라 표시유닛(90)의 색상 또는 조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에 비례하여 표시유닛(90)의 조도 값을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가 높을수록 표시유닛(90)이 높은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광원(150)과 표시유닛(90)의 색상을 동일하게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 광원(150) 및 표시유닛(90)의 색상을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시각적, 직관적으로 조리기기의 가열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93)는 감지센서(32)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150)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감지센서(32)에서 입력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조기기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조리기가 존재하는 경우, 광원(150)을 온하거나, 광원(15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15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무게 변화에 따라 광원(150)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가압센서(33)에서 입력된 가압신호를 바탕으로, 조기기기의 무게변화를 판단하고, 조리기기의 무게가 변화되는 경우, 광원(150)을 온하거나, 광원(15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15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 입력신호에 따라 광원(150)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최초의 명령신호(최초의 터치입력 시에 발생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광원(150)을 일정 시간 온하거나, 광원(15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15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광원(150)을 일정 시간 온하거나, 광원(15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15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비 자성부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모듈;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 및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상기 광투과부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상기 상판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테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공간인 광원 수용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테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상판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홈인 테이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홈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에너지 공급모듈과 연결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테이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수용부 내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광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테이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상판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홈이고,
상기 투광홈은 상기 광원 수용부와 연결되는 테이블.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투광홈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가이드의 다른 일부 영역은 상기 광원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테이블.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방출되는 복수 개의 광출사면을 포함하는 테이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의 외면 중 상기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을 제외한 면을 커버하고, 광가이드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테이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개수는 상기 광출사면의 개수 보다 적은 테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에너지 공급모듈의 둘레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테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수용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이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 수용부를 차폐하는 차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상판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홀인 테이블.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홀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에너지 공급모듈과 연결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테이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상판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홀이고,
상기 투광홀들 중 일부는 상기 광원 수용부와 연결되는 테이블.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7038A KR102493148B1 (ko) | 2016-03-28 | 2016-03-28 | 테이블 |
EP17163052.8A EP3225918B1 (en) | 2016-03-28 | 2017-03-27 | Table top |
PCT/KR2017/003276 WO2017171333A1 (ko) | 2016-03-28 | 2017-03-27 | 테이블 |
EP19165680.0A EP3537050B1 (en) | 2016-03-28 | 2017-03-27 | Table top |
US15/471,198 US10321523B2 (en) | 2016-03-28 | 2017-03-28 | Table top |
US16/025,272 US10588180B2 (en) | 2016-03-28 | 2018-07-02 | Cooking table top with light-transmissive portions |
US16/025,280 US10667335B2 (en) | 2016-03-28 | 2018-07-02 | Cooking table top with light-transmissive por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7038A KR102493148B1 (ko) | 2016-03-28 | 2016-03-28 | 테이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1490A true KR20170111490A (ko) | 2017-10-12 |
KR102493148B1 KR102493148B1 (ko) | 2023-01-27 |
Family
ID=5845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7038A KR102493148B1 (ko) | 2016-03-28 | 2016-03-28 | 테이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3) | US10321523B2 (ko) |
EP (2) | EP3537050B1 (ko) |
KR (1) | KR102493148B1 (ko) |
WO (1) | WO201717133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5696A1 (ko) * | 2018-08-28 | 2020-03-05 |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11798A1 (de) * | 2017-07-11 | 2019-01-17 | BSH Hausgeräte GmbH | Kochfeldvorrichtung |
US20190110643A1 (en) * | 2017-10-14 | 2019-04-18 | Gloria Contreras | Smart charger plate |
US10903677B2 (en) * | 2018-07-31 | 2021-01-2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oritizing an inductive charging of each device of multiple devices based on power preferences |
US10610031B1 (en) | 2018-09-28 | 2020-04-07 | Apple Inc. | Modular retail display system |
DE102018124319A1 (de) * | 2018-10-02 | 2020-04-02 | Miele & Cie. K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Kochfelds, Kochgeschirr und Kochfeld |
FR3089280A1 (fr) * | 2018-11-30 | 2020-06-05 | Eurokera S.N.C | Article vitroceramique |
USD934012S1 (en) * | 2019-06-04 | 2021-10-26 | EP Family Corp. | Table top |
US20230027830A1 (en) | 2020-01-07 | 2023-01-26 | Ghsp, Inc. | Inductive cooktop system with display interface |
US20230021064A1 (en) * | 2020-01-31 | 2023-01-19 | BSH Hausgeräte GmbH | Hob device |
WO2021151664A1 (de) * | 2020-01-31 | 2021-08-05 | BSH Hausgeräte GmbH | Kochfeldvorrichtung |
JP7369955B2 (ja) * | 2020-07-14 | 2023-10-2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
EP4215020A1 (de) * | 2020-09-18 | 2023-07-26 | BSH Hausgeräte GmbH | Induktionskochfeld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induktionskochfeldvorrichtung |
WO2022094479A1 (en) * | 2020-11-02 | 2022-05-05 | Ace Bayou Corp. | Illuminated top furniture |
JP6961277B1 (ja) * | 2021-02-19 | 2021-11-05 | 株式会社ダイカン | 送電板部材 |
CN215873824U (zh) * | 2021-08-19 | 2022-02-22 | 宁波沱沱河设计有限公司 | 一种可发光的桌面 |
WO2023046471A1 (de) * | 2021-09-24 | 2023-03-30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evorrichtung |
US11555609B1 (en) * | 2021-12-10 | 2023-01-17 | Elemental LED, Inc. | Under-counter lighting system |
WO2023203005A1 (de) * | 2022-04-20 | 2023-10-26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evorrichtung und haushaltsgerät |
US20240167691A1 (en) * | 2022-11-21 | 2024-05-23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Illuminated discretized user interface with uniform appearance |
US20240348094A1 (en) * | 2023-04-12 | 2024-10-17 | Aira, Inc. | Countertop free-positioning wireless charg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8798A (ko) * | 2010-11-04 | 2013-12-19 | 유로케라 에스.엔.씨. | 조명된 유리-세라믹 물품 |
WO2015136204A1 (fr) * | 2014-03-10 | 2015-09-17 | Eurokera S.N.C. | Plan de travail en vitroceramique de grande taille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19789A (en) * | 1971-12-29 | 1973-03-06 | Gen Electric | Induction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emperature sensing of inductively heated cooking vessel by"modulated"light |
DE4405610A1 (de) * | 1994-02-22 | 1995-08-24 | Hurst & Schroeder Gmbh | Leuchtvorrichtung zur Beleuchtung einer transparenten Glaskeramikplatte mit wenigstens einem Kochfeld |
JPH07312280A (ja) * | 1994-05-17 | 1995-11-28 | Hitachi Home Tec Ltd | 電気クッキングヒーター |
DE4424847B4 (de) * | 1994-07-14 | 2004-07-29 | Schott Glas | Einrichtung zur Anzeige von Informationen und von Betriebszuständen an Kochgeräten |
JP4444199B2 (ja) * | 2005-11-16 | 2010-03-3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ES2328997B1 (es) * | 2007-10-22 | 2010-08-30 |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 Campo de coccion con una placa de cubierta de vidrio o ceramica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placa de cubierta. |
EP2252129B1 (en) * | 2008-03-10 | 2022-05-04 | Panasonic Corporation | Induction cooking device |
EP2458935B1 (en) * | 2009-07-24 | 2015-09-02 | Panasonic Corporation | Heating cooker |
ES2552796T3 (es) * | 2009-07-24 | 2015-12-02 | Panasonic Corporation | Cocina de calentamiento |
EP2690925B1 (de) * | 2012-07-23 | 2022-09-07 | BSH Hausgeräte GmbH | Kochfeldvorrichtung |
EP3321592A1 (de) * | 2013-07-16 | 2018-05-16 | Schott Ag | Kochgerät mit lichtelementen |
JP6333532B2 (ja) * | 2013-09-30 | 2018-05-3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什器 |
US9863643B2 (en) * | 2013-11-06 | 2018-01-09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Heating cooker |
ES2535356B1 (es) * | 2013-11-06 | 2016-02-26 |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
KR101757336B1 (ko) * | 2014-07-25 | 2017-07-12 | 김강수 | 인덕션 레인지의 안전부재 |
CN204629625U (zh) * | 2015-04-15 | 2015-09-09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面板组件及具有其的电磁炉 |
-
2016
- 2016-03-28 KR KR1020160037038A patent/KR102493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3-27 EP EP19165680.0A patent/EP3537050B1/en active Active
- 2017-03-27 EP EP17163052.8A patent/EP3225918B1/en active Active
- 2017-03-27 WO PCT/KR2017/003276 patent/WO201717133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3-28 US US15/471,198 patent/US10321523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7-02 US US16/025,272 patent/US10588180B2/en active Active
- 2018-07-02 US US16/025,280 patent/US1066733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8798A (ko) * | 2010-11-04 | 2013-12-19 | 유로케라 에스.엔.씨. | 조명된 유리-세라믹 물품 |
WO2015136204A1 (fr) * | 2014-03-10 | 2015-09-17 | Eurokera S.N.C. | Plan de travail en vitroceramique de grande tail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5696A1 (ko) * | 2018-08-28 | 2020-03-05 |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37050B1 (en) | 2021-05-05 |
US20180310367A1 (en) | 2018-10-25 |
US10588180B2 (en) | 2020-03-10 |
US10321523B2 (en) | 2019-06-11 |
EP3225918B1 (en) | 2019-05-15 |
US20180310368A1 (en) | 2018-10-25 |
KR102493148B1 (ko) | 2023-01-27 |
WO2017171333A1 (ko) | 2017-10-05 |
EP3537050A1 (en) | 2019-09-11 |
EP3225918A1 (en) | 2017-10-04 |
US20170280513A1 (en) | 2017-09-28 |
US10667335B2 (en)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11490A (ko) | 테이블 | |
RU2449509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ндукционным нагревом | |
US20180259190A1 (en) | Lighted signals to provide direction to user | |
KR100485201B1 (ko) | 유도 가열 조리기 | |
JP4893208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2013251215A (ja) | 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付き電子レンジ | |
US10412791B2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14044809A (ja) | 誘導加熱装置 | |
CN110300950A (zh) | 触摸感测系统中的光学耦合 | |
JP4552735B2 (ja) | 加熱調理器 | |
JP2017520900A (ja) | 誘導加熱調理機器 | |
JP6622296B2 (ja) | 誘導加熱調理機器 | |
US8969784B2 (en) | Optical lens assembly and optical devices thereof | |
KR102424535B1 (ko) |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 |
CN109861680B (zh) | 一种用于家用电器的感应开关结构 | |
KR102506518B1 (ko) | 테이블 | |
EP2947960B1 (en) | Induction cooking device | |
JP2001160483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6384215B2 (ja) | 電気炊飯器 | |
CN207691779U (zh) | 一种用于家用电器的感应开关结构 | |
US9464781B1 (en) | User interface assembly for an appliance | |
JP2004171855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CN109859971B (zh) | 一种用于家用电器的发光感应开关结构 | |
KR101671517B1 (ko) | 조리기기 | |
JP6322796B2 (ja) | 電気炊飯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