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24535B1 -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535B1
KR102424535B1 KR1020160053424A KR20160053424A KR102424535B1 KR 102424535 B1 KR102424535 B1 KR 102424535B1 KR 1020160053424 A KR1020160053424 A KR 1020160053424A KR 20160053424 A KR20160053424 A KR 20160053424A KR 102424535 B1 KR102424535 B1 KR 10242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input
input device
housing
modu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981A (ko
Inventor
홍윤정
김자연
오주현
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5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는 외부의 제어대상 장치에 위치된 자성체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이동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이동방향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체는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ATTACHABLE COMMAND INPUT APPARATUS AND COOK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 쉽게 각종 전자장치에 탈부착할 수 있고, 다양한 명령이 입력 가능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가정에서, 식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조리장치는 종래에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조리장치에 조리기구 및 전자기기가 구비된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 금속의 조리기기를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기기를 내장한 조리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조리장치가 다용도로 사용되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조리장치에 내장되는 유도가열기가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조리장치는 유도가열기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손 쉽게 유도가열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유도가열기를 내장한 조리장치의 상판에는 가열 영역이 프린팅된다. 그러나, 조리장치의 상판에 가열 영역이 프린팅되는 경우, 유도가열로 가열된 조리기기의 열에 의해 프린팅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프린팅된 가열영역은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유도가열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그 가열영역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리장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명령 입력장치가 테이블 탑에 고정되게 되면, 테이블 형태의 조리장치가 조리용도도 사용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될 때, 방해가 되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와 다른 명령입력장치를 제공하고, 조리장치에 쉽게 탈부착되고, 다양한 명령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는 외부의 제어대상 장치에 위치된 자성체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이동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이동방향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체는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다이얼의 회전을 인식할수 있는 점광원이 제어대상 장치에 투영되므로, 사용자자에게 주는 고급스러움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다이얼의 회전여부를 인지시키는 이점이 있다.
둘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에 쉽게 탈부착되고, 자성과, 가이드 등을 통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쉽게 움직이고 쉽게 원위치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탈부착형 명렵입력장치는 푸시명령, 회전명령, 이동명령 등 다양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와 조리장치에 착탈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와 조리장치에 착탈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조리장치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D-D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가이드홈에서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작동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와 조리장치에 착탈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와 조리장치에 착탈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조리장치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고, 조리장치에 탈부착가능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조리장치(1)은 조리기기들을 지지하고,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전자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물론, 조리장치(1)은 조리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조리장치는 조리기기를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장치는 메인 제어모듈(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광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장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조리장치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조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되고, 조리장치에 탈부착되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신호로 변경하여 조리장치의 메인 제어모듈(200)에 전달한다. 메인 제어모듈(200)은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에서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15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통신모듈(390)과, 이동방향 감지모듈(380)과, 디스플레이(370)와, 회전 감지모듈(360)과, 푸시 입력모듈(350)과, 키 광원(340)과, 제어모듈(330)을 포함한다.
제어모듈(330)은 키 광원(340), 디스플레이(370) 및 통신모듈(390)을 제어한다. 제어모듈(330)은 푸시 입력모듈(350),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회전 감지모듈(360)에서 입력된 정보를 제어신호로 변경하여 통신모듈(390)로 출력하고, 통신모듈(390)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조리장치로 전송된다. 제어모듈(330)은 푸시 입력모듈(350),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회전 감지모듈(36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키 광원(340), 디스플레이(370) 통신모듈(390)을 제어한다.
통신모듈(390)은 조리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390)은 조리장치의 통신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통신모듈(390)은 메인 제어모듈(200)의 제어신호를 조리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모듈(33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모듈(330)의 제어신호를 조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39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은 물체를 지지하는 본체(10)와 에너지 공급모듈(130), 광원(150) 및 광투과부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상판(120)을 포함하거나, 상판(120)과 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체(10)가 상판(120)과 커버(110)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체(10)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가이드되거나 정렬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본체(10)에 매몰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하단에는 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20)가 위치된다. 다리(20)는 커버(110) 또는/및 상판(120)의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커버(110)는 상판(1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상판(120)의 상부를 커버(110)한다. 커버(110)는 조리기기 또는/및 전자기기를 지지한다. 또한, 커버(110)는 상판(12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수용하는 수용부(111)를 구비한다. 수용부(111)는 커버(110)의 하부에 커버(1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내부에 상판(120)과 에너지 공급모듈(130)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111)를 가지고 하방에 개구가 형성되고, 하방의 개구는 하판(미도시)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110)는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술한 자성체는 커버(110)에 매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10)는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방해하지 않고, 내열성과,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커버(110)는 광원(150)에서 생성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및 반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10)는 내열성과, 광투과성 및 비자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커버(110)는 빛이 투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대리선, 우드 및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만, 커버(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200)는 광원(150) 및/또는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00)는 커버(1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00)는 커버(110)의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판(120)은 커버(110)와 함께 본체(10)를 형성하거나 단독으로 본체(10)를 형성한다. 상판(120)은 전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한다. 상판(120)은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판(120)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판(120)은 커버(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판(120)은 본체(10)의 강성을 위해 강성과, 비자성을 가지는 물질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본체(10)는 수지재질 또는 우드재질이 선택된다.
상판(12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된다. 실시예는 상판(120)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광원(150)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시키기 위해서 상판(120)에는 광투과부가 형성된다.
광투과부는 상판(120)에 형성되어서,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는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한다.
광투과부는 광을 투과하는 빈 공간이거나,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부는 상판(12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투광홀(121)로 구성된다.
투광홀(121)은 광원(150)에서 생성된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투광홀(121)을 통과한 빛은 커버(110)에 투영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홀(121)을 통과한 빛은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투광홀(121)을 통과한 상판(120)의 상부로 방출되어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무늬(11)를 형성할 수 있다.
투광홀(121)의 직경은 제한이 없지만, 상판(120)의 강성과 빛의 투과 여부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구개의 투광홀(121)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결합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에서 보아 복수개의 투광홀(121)은 상판(120)에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즉, 복수개의 투광홀(121)들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오와 열을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체결 시에,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연결된 체결부재(140)는 복수 개의 투광홀(121)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다.
즉, 투광홀(121)은 사용자가에게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위치를 인지시키고, 체결부재(14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상판(120)의 저면에 위치되어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커버(11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상판(120)의 저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에너지 공급모듈(130)은 유도가열기(130a) 또는/및 무선충전 송신기(130b)를 포함한다.
유도가열기(130a)는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유도가열은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무선충전 송신기(130b)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무선충전 수신기와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무선충전 송신기(130b)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한 쌍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은 크게 다음 2가지 종류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즉, 무선충전 시스템의 종류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형 방식이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라고 칭하는데,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전자기기의 동력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원인 전원을 충전하는 원리이다.
자기 공명형 방식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자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된 강한 자계결합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특정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해 두 개의 코일을 하나는 무선충전 송신기(130b) 측에 하나는 전자기기 측에 연결해 같은 주파수로 맞추어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유선방식 대비 90%의 높은 충전 효율을 갖는 한편 무선충전 송신기(130b)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1 내지 2cm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자기 공명형 방식은, 원거리 충전이 가능하지만 유선방식 대비 70%의 낮은 충전 효율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무선충전 원리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전부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자기 공명형 방식을 채택함이 좋다.
이하,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일 실시예인 유도가열기(130a)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설치된 광원(15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모듈(130)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도가열기(130a)는 내부에 수용공간(133)을 형성하는 케이스(131)와, 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고, 자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134)과, 워킹코일(134)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기판(135)을 포함한다.
케이스(13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33)이 정의된다. 케이스(131)의 테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렌지에는 체결부재(140)가 관통하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관통홀(132)은 체결부재(14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체결부재(140)는 광투과부에 체결된다.
워킹코일(134)은 자장을 발생시켜서 워킹코일(134)과 근접한 물체를 유도 가열한다. 워킹코일(134)은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판(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광원(150)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150)은 컨트롤러(200) 또는/및 에너지 공급모듈(130)과 연결되어서, 컨트롤러(200) 또는/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커버(110)에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영역을 표시한다.
광원(15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15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발광소자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광을 제공할 있다.
예를 들면,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배치된다. 광원(150)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모여서 일정한 형상 또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둘레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광원(150)은 에너지 공급모듈(130)에서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해 커버(110)에 지지된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의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원(150)은 유도가열기(130a)가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키는 위한 경계를 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원(150)은 케이스(131)의 상부로 노출되게 케이스(131)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광원(150)은 상부에서 보아, 워킹코일(134)을 감싸는 임의의 곡선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150)들은 커버(110)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작동 가능한 영역을 사용자가게 인지시키므로, 사용자가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모듈(130)에는 조리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16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컨트롤러(20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20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정보를 통해 에너지 공급모듈(130)의 작동세기 및 작동여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은 온도센서(미도시), 감지센서(미도시) 및 가압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유닛은 온도센서, 감지센서 및 가압센서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센서유닛은 조리기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조리기기가 거치되는 상판(120) 또는 에너지 공급모듈(130)에 위치된다.
온도센서는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 값을 메인 제어모듈(200)로 제공한다.
감지센서는 상판(120) 상에 위치되는 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메인 제어모듈(200)로 제공한다. 감지센서는 조도 감지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센서는 상판(120) 상부의 밝기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메인 제어모듈(200)에 제공한다. 메인 제어모듈(200)는 조도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조도 값으로, 상판(120)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근접센서는 상판(120) 상부로 인접하는 조리기기를 감지하여서 메인 제어모듈(200)에 제공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메인 제어모듈(200)는 근접센서에서 입력된 입력 값으로, 상판(120)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가압센서는 상판(120)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그 압력 값을 메인 제어모듈(200)로 출력한다. 메인 제어모듈(200)는 가압센서에서 입력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상판(120) 상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가 조리장치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외부의 제어대상 장치에 위치된 자성체(12)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이동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390), 디스플레이(370),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및 통신모듈(390)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푸시 입력모듈(350), 다이얼(34), 회전 감지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전원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00)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등 각종 감지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모듈(330)과 감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400)를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회로기판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적어도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디스플레이(370) 및 통신모듈(390)을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은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일방향(상세히는, 상부)에 디스플레이(370)를 노출한 상태로 디스플레이(370)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일체형 또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하우징은 조립의 편의성, 부품 배치의 자율도를 고려하여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우징은 내부에 디스플레이(370), 이동방향 감지모듈(380), 통신모듈(390)이 위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중공형 몸체(31), 중공형 몸체(31)의 중공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32), 커버노브(33)를 포함한다.
중공형 몸체(31)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중공형 몸체(3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중공형 몸체(31)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다이얼(34)의 슬라이딩 돌기(343)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333)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333)은 중공형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홈(333)은 중공형 몸체(3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형성한다.
하부 플레이트(32)는 중공형 몸체(31)의 중공의 하부를 커버한다. 하부 플레이트(32)는 중공형 몸체(3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플레이트(32)는 중공형 몸체(31)에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하부 플레이트(32)는 판 형상을 가진다. 하부 플레이트(32)에는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을 수용하는 감지모듈 수용부(321)가 구비된다.
감지모듈 수용부(321)는 하부 플레이트(32)가 함몰되어서 이동 방향 감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모듈 수용부(321)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수용돌기(321a)가 이동 방향 감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수용돌기(321a)는 하부 플레이트(32)의 상부로 돌출되어서 상부에서 보아 닫힌 공간을 정의하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감지모듈 수용부(321)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에 오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32)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모듈 수용부(321)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에 오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에는 제어대상 장치와 하우징의 정렬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부는 하우징과 제어대상 장치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치결정부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제어대상 장치와 형합되는 돌기 또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결정부는 하우징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제어대상 장치와 형합되는 위치결정 돌기(322)이다.
위치결정 돌기(322)는 하부 플레이트(3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위치결정 돌기(322)는 하부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위치결정 돌기(322)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회전 시에 중심점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32)의 중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결정 돌기(322)는 하우징의 중심축고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어대상 장치의 본체(10)에는 위치결정 돌기(322)가 내삽되는 위치결정 홈(13)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홈(13)은 위치결정 돌기(3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위치결정 돌기(322)에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위치결정 홈(13)의 크기는 위치결정 돌기(322)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결정 홈(13)의 부피는 위치결정 돌기(322)의 부피 대비 110% 내지 130% 일 수 있다. 위치결정 돌기(322)는 반구 형상을 가진다.
위치결정 돌기(322)는 제어대상 장치와 형합되어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일 수도 있다.
커버노브(33)는 중공형 몸체(31)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370)를 지지한다. 물론, 디스플레이(370)는 직접 중공형 몸체(3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노브(33)는 다이얼(34)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후술하는 푸시 입력모듈(350)을 가압한다. 커버노브(33)는 중공형 몸체(31)의 상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노브(33)는 중공형 몸체(31)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노브(33)는 중공형 몸체(31)의 중공에 내삽되어 고정된다. 이때, 중공형 몸체(31)에는 커버노브(33)는 지지하는 커버 안착부(312)가 형성된다. 커버 안착부(312)는 중공형 몸체(31)의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커버노브(33)는 중공형 몸체(31)의 상부 중 일부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노브(33)는 링 형상으로 중앙에 홀(331)이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단턱(332)이 형성된다. 단턱에 디스플레이(370)의 테두리가 지지된다. 커버노브(33)는 디스플레이(370)를 중공형 몸체(31)의 상부로 노출한다.
푸시 입력모듈(350)은 다이얼(34)에 회전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압을 감지한다. 푸시 입력 모듈은 다이얼(34)의 회전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압을 감지하여서, 푸시 입력 신호를 제어모듈(330)에 제공한다. 제어모듈(330)은 입력된 푸시 입력 신호를 바탕으로 푸시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푸시 입력모듈(350)은 돔 스위치를 포함한다. 돔 스위치는 돔 형상 끝에 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돔이 변형되어 돌기부가 스위치 회로기판에 접촉되고, 스위치 회로기판은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모듈(330)에 의하여 특정 푸시 명령 데이터로 인식된다. 다른 예로, 푸시 입력모듈(350)은 압전기판을 포함한다. 압전기판은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압전기판은 각각 압전 단결정(壓電 單結晶), PAT(티탄지르콘산납) 자기(磁器)로 대표되는 압전 세라믹(壓電ceramic),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의 압전재료로 형성한 단층의 기판일 수 있다.
푸시 입력모듈(350)은 중공형 몸체(3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푸시 입력모듈(350)은 중공형 몸체(31)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커버노브(33)가 움직이는 경우, 커버노브(33)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푸시 입력모듈(350)은 커버 안착부(312)에 지지된다. 푸시 입력모듈(350) 상에 커버노브(33)가 안착된다. 이 때, 커버노브(33)는 다이얼(34)에 가해지는 축방향으로 외압에 의해 왕복되어서, 푸시 입력모듈(350)을 가압한다.
디스플레이(370)는 화상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370)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한다. 디스플레이(370)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370) 장치이다. 디스플레이(370)는 메인 제어모듈(200)의 제언신호를 입력 받아 온도정보, 무게정보, 조리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다이얼(34)은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우징과 결합된다. 다이얼(34)은 사용자가 인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34)은 적어도 중공형 몸체(31)의 둘레방향을 감싸게 중공형 몸체(31)에 외삽된다.
다른 예로, 다이얼(34)은 중공형 몸체(31)의 상부를 커버하고 투명한 상부영역(341)과 중공형 몸체(31)의 둘레방향을 감싸게 배치되는 둘레영역(342)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다이얼(34)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다이얼(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가이드가 더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는 다이얼(34) 및 중공형 몸체(31)에 형성되어 서로 형합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가이드는 다이얼(34) 및 중공형 몸체(3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돌기(343)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돌기(343)가 가이드되는 경로를 정의하는 슬라이딩 홈(333)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홈(333)은 중공형 몸체(31)의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홈(333)은 하우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다이얼(34)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모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모듈(360)은 다이얼(34)이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모듈(3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회전 감지모듈(360)은 공지의 홀센서 또는 마그네틱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자성체(12)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328)를 포함한다. 반응체(328)는 자성체(12)와의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가 이동되더라도 원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반응체(328)는 자성체(12)와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와 제어대상 장치의 자성체(12)와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은 자성체(12)와 반응체(328)의 인력에 의해 제어대상 장치 상의 원위치에 정렬된다.
반응체(328)는 하우징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반응체(328)는 하부 플레이트(3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반응체(328)는 하부 플레이트(32)에 매설된다.
반응체(328)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회전 시에 회전 원점을 제공하기 위해 반응체(328)는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된다. 반응체(328)는 하부 플레이트(32)의 중심에 위치된다.
자성체(12)는 자력을 가지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자성체(12)는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자성체(12)는 영구자석 또는 일시자석을 포함한다.
반응체(328)는 자성체(12)의 자력에 반응하여 자성체(12)와 인력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반응체(328)는 자성체(12)와 인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성체(12)는 제1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이고, 반응체(328)는 제1극성과 반대극성인 제2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이다.
다른 예를 들면, 자성체(12)는 마그네틱이고, 반응체(328)는 자성체(12)와 인력이 작용되는 자성금속을 포함한다. 자성금속은 금속으로써 마그네틱의 자력에 인력을 받는 자성물질을 포함한다. 자성금속은 강자성체(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반응체(328)는 Ni, Cr, Mo 및 Fe 중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거나, 이들 원소들의 합금이다.
미설명 부호 385는 디스플레이(37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385)이다.
제어모듈(330)은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를 통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조리장치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30)은 이동방?t 감지모듈(380)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 푸시 입력모듈(350)에서 입력된 푸시 입력 정보 및 회전감지모듈(360)에서 입력된 회전 정보에 대응하느 제어신호를 조리장치에 제공한다. 메인 제어모듈(200)은 제어모듈(330)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에너지 공급모듈(130), 광원(150)과, 디스플레이(37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도시한 도면, 도 9b는 도 9a의 D-D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가 가이드홈(14)에서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대상 장치의 일 예인 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는 제어대상 장치에서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동가이드는 조리장치 상에서 하우징의 이동방향 및 이동의 한계를 결정한다. 이동가이드는 조리장치 및 하우징에 형성된 홈과 돌기이다. 구체적으로, 이동가이드는 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14)과 하우징에 형성된 위치결정 돌기(322)를 포함한다.
가이드홈(14)은 위치결정 돌기(322)가 가이드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이드홈(14)은 본체(1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14)은 하우징의 이동방향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홈(14)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14)은 적어도 2개가 교차되는 십자가 모양을 형성할수 있다. 가이드홈(14)에 위치결정 돌기(322)가 가이드되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4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물론, 가이드홈(14)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교차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은 단면형상은 위치결정 돌기(3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홈(14)들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가이드홈(14) 보다 더 함몰된 위치결정 홈(13)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홈(13)의 깊이는 가이드홈(14)의 깊이 보다 깊게 배치된다. 따라서 위치결정 홈(13)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정렬위치를 결정하고, 가이드 홈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14)은 위치결정 홈(13)의 일측에 연결된 제1가이드홈(14a)과, 위치결정 홈(13)의 타측에 연결된 제2가이드홈(14b)을 포함한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이동방향 감지모듈(380)은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작동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회전 감지모듈(360)에 의해 다이얼(34)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회전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30)은 회전 감지모듈(360)에서 감지된 다이얼(34)의 회전을 바탕으로 회전명령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모듈(390)을 통해 메인 제어모듈(200)로 송신한다. 메인 제어모듈(200)은 회전명령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장치 및 디스플레이(370)를 제어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감지모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감지모듈(360)은 복수 개의 마그네틱 센서(381~38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감지모듈(360)은 적어도 3개의 마그네틱 센서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각각의 마그네틱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성체(12)의 자기장의 강도로 각각의 마그네틱 센서와 자성체(12)의 거리를 연산하여,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이동방향을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감지모듈(360)은 제1 내지 제4 마그네틱 센서(381~384)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키 광원(340), 광투과공(315) 및 광가이드(341)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의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300A)는 다이얼(34)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회전 방향에 따라 키 광원(340) 들의 온/오프되는 개수를 제어한다.
키 광원(340)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키 광원(340)들은 복수의 광투과공(315)에 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키 광원(340)은 하우징의 하부 플레이트(32)의 테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고 배치된다.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복수의 키 광원(340)에서 생성된 광을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공간이다.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복수의 키 광원(340)에서 생성된 광을 하우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복수의 키 광원(340)에서 생성된 광을 점광(Point light)으로 하우징의 외부에 방출하여서, 제어대상 장치의 본체(10)이 점광(19)을 표시한다.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중공형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중공형 몸체(31)의 중심축을 향해 관통된 홀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중공형 몸체(31)의 둘레영역(342)에 배치된다. 이때, 중공형 몸체(31)의 둘레영역(342)의 하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투광공은 중공형 몸체(31)의 중심축에서 외부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하향 경상지게 배치된다.
복수의 광투과공(315)은 복수의 키 광원(340)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거나, 복수의 광투과공(315)이 복수의 키 광원(340) 보다 많은 개수를 가지고, 광가이드(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341)는 키 광원(340)에서 입력된 광을 복수의 광투과공(315)에 전달한다. 광가이드(341)는 예를 들면,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모듈(330)은 회전 감지모듈(360)에서 감지된 다이얼(34)의 회전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키 광원(34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모듈(330)은 다이얼(3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의 키 광원(340) 중 어느 하나를 온시키고, 다시 다이얼(3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의 키 광원(340) 중 초기에 온된 키 광원(340)의 시계방향에 위치된 키 광원(340)을 온시킨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330)은 디스플레이(370)에 표시된 온도에 대응되는 개수의 키 광원(340)이 온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외부의 제어대상 장치에 위치된 자성체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이동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이동방향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체는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성체와 상기 반응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어대상 장치 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제1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이고, 상기 반응체는 상기 제1극성와 반대극성인 제2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인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마그네틱이고, 상기 반응체는 자성금속을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어대상 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정렬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광원과,
    상기 복수의 키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복수의 광투과공을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광원에서 입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광투과공에 전달하는 광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압을 감지하는 푸시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다이얼의 회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키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이동방향 감지모듈, 통신모듈이 위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상기 중공형 몸체의 중공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커버노브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입력모듈은 상기 중공형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얼에 가해지는 축방향 외압에 의해 가압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적어도 상기 중공형 몸체의 둘레방향을 감싸게 상기 중공형 몸체에 외삽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17. 비 자성체재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모듈;
    상기 상판에 탈부착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에너지 공급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상기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되어 상기 탈부착형 명령입락장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에너지 공급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는,
    외부의 제어대상 장치에 위치된 자성체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이동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에서 입력된 이동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이동방향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체는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조리장치.




KR1020160053424A 2016-04-29 2016-04-29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42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24A KR102424535B1 (ko) 2016-04-29 2016-04-29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24A KR102424535B1 (ko) 2016-04-29 2016-04-29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81A KR20170123981A (ko) 2017-11-09
KR102424535B1 true KR102424535B1 (ko) 2022-07-22

Family

ID=6038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424A KR102424535B1 (ko) 2016-04-29 2016-04-29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8880A (zh) * 2018-06-22 2018-11-1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磁控旋钮和电器设备
KR20200071835A (ko) * 2018-12-03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식 조작계를 이용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0654B1 (ko) * 2019-10-11 2021-05-12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238460B1 (ko) * 2019-10-23 2021-04-09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603234B1 (ko) * 2021-11-16 2023-11-1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090B2 (ja) 2008-06-10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984B1 (ko) * 2004-12-03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조리제어 장치
US9955529B2 (en) * 2009-01-06 2018-04-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mart cookware
KR102236587B1 (ko) * 2014-09-04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덕션 장치 및 온도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090B2 (ja) 2008-06-10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81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535B1 (ko)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US10588180B2 (en) Cooking table top with light-transmissive portions
ES2640907T5 (es) Dispositivo de control portátil de detección de interacción
US11045043B2 (en) Container support
ES2585384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operativo y procedimiento para el centrado de un aparato accesorio sobre un aparato electrodoméstico operativo
US10412791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5852A (ko) 용기받침대
US10302306B2 (en) Cooking appliance and knob assembly
EP3218886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8027086B (zh) 用于旋转致动器的无线位置传感器组件
KR100654811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006081B (zh) 用于感应台的红外线定心系统
CN109660242A (zh) 用于电子家用器具的操作员控制装置
KR101610678B1 (ko) 정보 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JP6932073B2 (ja) 加熱調理器
KR102506518B1 (ko) 테이블
KR102397006B1 (ko) 탈부착형 입력장치
JP2020103866A (ja) 装飾材料および電気制御システム
JP2007080759A (ja) 加熱調理器
EP4287767A1 (en) Induction cooktop with cooking articl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KR20230166858A (ko) 전기레인지 및 이의 놉
KR20230166311A (ko) 전기레인지 조작 장치
EP3763998A1 (en) Control element for a user interface of a domestic appliance
JP2005223738A (ja) 指示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