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100686A -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686A
KR20170100686A KR1020160022264A KR20160022264A KR20170100686A KR 20170100686 A KR20170100686 A KR 20170100686A KR 1020160022264 A KR1020160022264 A KR 1020160022264A KR 20160022264 A KR20160022264 A KR 20160022264A KR 20170100686 A KR20170100686 A KR 20170100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ip
housing
measuremen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610B1 (ko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상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6002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6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G06Q5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mmu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bet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스트립에 있는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며 스트립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측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에 밀려서 이동되는 이동안내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이동안내부를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된 스트립을 측정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CONSOLIDATED MANAGEMENT DEVICE FOR PATIENT HEALTH CONDITION}
본 발명은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생체시료를 측정한 후 스트립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에 묻어 있는 혈액 등 생체시료에 의해 생체량을 측정한 후, 측정기에서 측정에 사용된 스트립을 제거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스트립을 파지하여 제거한다.
병원에서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진이 환자의 혈액을 측정한 후 스트립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혈액에 의한 감염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3360호(2011.03.31 공개, 발명의 명칭: 검출기와 함께 사용되어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생체시료를 측정한 후 스트립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스트립에 있는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며 스트립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측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에 밀려서 이동되는 이동안내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이동안내부를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된 스트립을 측정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환자를 인식하는 환자식별부와, 측정부와 함께 환자의 건강상태를 검출하는 건강상태검출부와, 제어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에 설치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연결되며 원격 설치된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부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며 스트립이 이동되는 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의 생체시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센서는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안내부는, 측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트립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부재 및 돌기부재를 연결하며 측정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는, 연결부재에서 연장되며 측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부 및 로드와 연결부재를 연결하며 로드의 이동으로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입력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는, 환자의 생체시료를 측정한 후 구동부가 동작되어 스트립을 측정부의 외측으로 자동 배출시키므로, 작업자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가 연결단자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외측에 스트립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외측에 스트립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내측으로 스트립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스트립의 측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가 연결단자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외측에 스트립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외측에 스트립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내측으로 스트립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스트립의 측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30)와, 스트립(110)에 있는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며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52)를 구비하는 측정부(40)와, 측정부(4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측정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110)에 밀려서 이동되는 이동안내부(60) 및 제어부(3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이동안내부(60)를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된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는 통신부(33), 디스플레이부(36), 이동안내부(60), 환자식별부(90), 건강상태검출부(92), 입력조작부(100), 이동구속부(120)를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제1하우징(12), 제2하우징(14)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14)은 제어부(30)와 디스플레이부(36)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하우징(12)은 디스플레이부(36)의 테두리를 커버하며 제1하우징(12)에 결합된다. 하우징(10)의 측면에는 몸체충전단자(16)와 입력단자(18)가 구비된다.
몸체충전단자(16)는 연결단자부(20)의 충전단자(24)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단자(18)는 USB 등의 저장부재가 연결되기 위한 단자이다. 몸체충전단자(16)와 다른 방향에 설치된 환자식별부(90)는 바코드 리더나 태그를 통하여 환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식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환자식별부(90)가 환자에게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하거나, 태그를 통해 환자를 인식하는 경우, 환자의 히스토리가 디스플레이부(36)에 출력된다.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를 사용하여 회진하는 경우, 혈당 뿐만 아니라 혈압이나 산소포화도 등 다른 정보도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단말기에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하우징(10) 측면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를 위한 물체를 찍을 수 있으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힌 정보는 제어부(30)로 전달된다.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는 통신부(33)를 통해 무선으로 서버(94)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단자부(20)에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94)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자부(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단자몸체(22)에 충전단자(24)와 통신단자(26)를 구비한다. 충전단자(24)는 하우징(10)의 몸체충전단자(16)에 연결되어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를 충전시키며, 통신단자(26)는 랜선이 연결되어 서버(94)와 유선으로 연락된다. 또는 연결단자부(20)의 내측에 별도의 무선 통신장치가 내장되어 무선으로도 서버(9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가 연결단자부(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단자부(20)에 구비된 통신단자(26) 등을 통하여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와 서버(94)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하우징(10) 내측에는 서버(94)와 무선 연결을 위한 통신부(33)가 구비되어 있으나, 통신부(33)의 기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결단자부(20)를 사용한다. 무선이 안될 경우를 대비해서 회진이 완료된 후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하우징(10)을 연결단자부(20)에 연결하면,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단말기에 있는 정보가 연결단자부(20)를 통해 서버(94)로 이동된다.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된 제어부(30)는 전장부품이 설치된 피씨비기판을 포함한다. 제어부(30)는 환자식별부(90)와 측정센서(56)와 위치측정부(58)와 환자식별부(90)와 건강상태검출부(92)와 입력조작부(100)의 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부(33)를 통해 서버(94)와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36)와 구동부(70)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통신부(33)는 제어부(30)에 연결되며, 원격 설치된 서버(94)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36)는 제어부(30)와 연결되어 하우징(10)에 설치되며, 액정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40)는 스트립(110)에 있는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며,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5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40)는, 하우징부(42)와 커버부재(54)와 측정센서(56)와 위치측정부(58)를 포함한다.
하우징부(42)는 안내홈부(52)를 구비하며 스트립(110)이 이동되는 공간이 내측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42)는 하우징몸체(44)와 입구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44)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외측과 연통되는 내측공간(48)이 중앙에 구비된다. 하우징몸체(44)의 측면으로 삽입된 스트립(110)은 하우징몸체(44)의 내측공간(48)을 따라 하우징부(42)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몸체(44)의 상측에는 이동안내부(60)의 돌기부재(62)가 삽입되어 직선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홀(46)이 구비된다. 가이드홀(46)은 스트립(110)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입구부재(50)는 하우징몸체(44)의 측면에 연결되며, 내측공간(48)과 연통되는 안내홈부(52)가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립(110)은 안내홈부(52)를 통해 내측공간(48)으로 이동된다.
커버부재(54)는 하우징몸체(44)의 상측에 이동안내부(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안내부(60)를 감싸며 하우징몸체(44)에 고정되므로 이동안내부(6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측정센서(56)는 하우징부(42)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110)의 생체시료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56)는 스트립(110)에 있는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위치측정부(58)는 하우징부(42)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1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위치측정부(58)는 스트립(110)의 이송이 완료된 지점에 설치되며, 접촉 또는 비접촉의 방법으로 동작되어 스트립(110)이 측정부(40)의 내측을 삽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이동안내부(60)는 측정부(4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측정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립(110)에 밀려서 이동되거나, 측정부(40)에 삽입된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안내부(60)는, 측정부(4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트립(11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부재(62)와, 돌기부재(62)를 연결하며 측정부(4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64)를 포함한다.
돌기부재(62)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부재(62)의 일단은 하우징부(42)의 가이드홀(46)을 관통하며 하우징부(42)의 내측공간(48)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스트립(110)이 내측공간(48)으로 삽입되는 경우, 스트립(110)에 밀려서 스트립(110)과 함께 하우징부(42)의 일측으로 이동한다.
돌기부재(62)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며, 연결부재(64)는 돌기부재(62)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시키므로 돌기부재(62)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구동부(70)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이동안내부(60)를 이동시킨다. 제어부(30)는 측정이 완료된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스트립(110)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70)는 랙기어(72)와 피니언기어(74)와 구동모터(76)를 포함한다.
랙기어(72)는 연결부재(64)에서 연장되며 측면에는 기어가 형성된다. 랙기어(72)는 이동안내부(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랙기어(72)의 이동으로 이동안내부(60)도 이동된다.
피니언기어(74)는 랙기어(72)에 맞물려 회전되며, 구동부(70)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피니언기어(74)를 회전시킨다.
도 1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식별부(90)는 하우징(10)의 측면에 위치하며 환자를 인식하여 측정값을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환자식별부(90)는 바코드 인식기, RFID 또는 NFC 인식기, 지문센서 등의 생체정보 인식센서 등을 포함하여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환자식별부(90)는 환자나 침상에 부착된 바코드, RFID 태크, NFC 태그 등을 인식하여 환자를 인식하거나, 생체정보 인식센서를 통해 검출된 환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환자식별부(90)는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이름이나 식별번호, 바코드 등을 인식하여 환자를 인식할 수도 있으며, 입력조작부(100)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측정부(40)와 함께 환자의 건강상태를 검출하는 건강상태검출부(92)가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검출부(92)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제어부(3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의 처리를 통해 환자의 혈압, 체온, 체중, 산소포화도 또는 심전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조작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입력조작부(100)는 관리자로부터 정보나 환자 건강 상태 검출 및 관리 장치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조작부(100)는 입력버튼을 포함하거나,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관리자로부터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70)의 동작으로 이동되는 이동안내부(60)가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구속부(120)는 제1돌기(122)와 제2돌기(124)와 제1스토퍼(126)와 제2스토퍼(12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기(122)와 제2돌기(124)는 랙기어(72)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돌기(122)의 이동경로에 제1스토퍼(126)가 설치되며, 제2돌기(124)의 이동경로에 제2스토퍼(128)가 설치된다. 제1스토퍼(126)와 제2스토퍼(12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모터(76)의 양측에 위치한다.
랙기어(72)와 함께 이동안내부(60)가 측정부(40)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돌기(124)가 제2스토퍼(128)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이동안내부(60)가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110)에 밀려서 랙기어(72)와 함께 이동안내부(60)가 측정부(4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스트립(110)이 측정센서(56)가 설치된 곳에서 제1돌기(122)가 제1스토퍼(126)에 걸리므로, 스트립(110)과 이동안내부(60)의 이동이 구속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80)는 실린더부(82)와 동력전달부재(86)를 포함한다.
실린더부(82)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로드(84)를 직선 이동시킨다. 로드(84)는 스트립(110)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로드(84)는 동력전달부재(86)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재(86)는 이동안내부(60)의 연결부재(64)에 연결되므로, 실린더부(82)의 동작으로 이동안내부(60)가 가이드홀(46)을 따라 이동된다. 동력전달부재(86)는 로드(84)와 연결부재(64)를 연결하며, 로드(84)의 이동으로 연결부재(64)를 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생체시료를 구비한 스트립(110)이 측정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스트립(110)은 이동안내부(60)의 돌기부재(62)에 접하여 돌기부재(62)를 하우징몸체(44)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위치측정부(58)가 스트립(110)의 위치를 측정하며, 스트립(11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측정센서(56)가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측정이 완료된 이후,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구동모터(76)를 동작시켜 피니언기어(74)를 회전시킨다. 피니언기어(74)의 회전으로 랙기어(72)가 이동되며, 랙기어(72)와 함께 이동안내부(60)가 이동되면서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측정이 완료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면, 사용자가 입력조작부(100)의 버튼부재(102)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76)가 동작되어 스트립(110)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80)가 설치된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신호로 실린더부(82)가 동작되어 로드(84)를 이동시키면, 로드(84)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86)가 이동되면서 이동안내부(60)도 동력전달부재(86)와 함께 이동된다. 동력전달부재(86)는 이동안내부(60)를 이동시키므로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생체시료를 측정한 후 구동부(70,80)가 동작되어 스트립(110)을 측정부(40)의 외측으로 자동 배출시키므로, 작업자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10: 하우징 12: 제1하우징
14: 제2하우징 16: 몸체충전단자
18: 입력단자 20: 연결단자부
22: 단자몸체 24: 충전단자
26: 통신단자 30: 제어부
33: 통신부 36: 디스플레이부
40: 측정부 42: 하우징부
44: 하우징몸체 46: 가이드홀
48: 내측공간 50: 입구부재
52: 안내홈부 54: 커버부재
56: 측정센서 58: 위치측정부
60: 이동안내부 62: 돌기부재
64: 연결부재 70: 구동부
72: 랙기어 74: 피니언기어
76: 구동모터 80: 구동부
82: 실린더부 84: 로드
86: 동력전달부재 90: 환자식별부
92: 건강상태검출부 94: 서버
100: 입력조작부 102: 버튼부재
110: 스트립 120: 이동구속부
122: 제1돌기 124: 제2돌기
126: 제1스토퍼 128: 제2스토퍼

Claims (8)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
    스트립에 있는 생체시료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측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에 밀려서 이동되는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상기 이동안내부를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된 상기 스트립을 상기 측정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환자를 인식하는 환자식별부;
    상기 측정부와 함께 환자의 건강상태를 검출하는 건강상태검출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원격 설치된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내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립이 이동되는 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의 생체시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측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측정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에서 연장되며 측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로드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로드의 이동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입력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KR1020160022264A 2016-02-25 2016-02-25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KR10183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264A KR101839610B1 (ko) 2016-02-25 2016-02-25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264A KR101839610B1 (ko) 2016-02-25 2016-02-25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686A true KR20170100686A (ko) 2017-09-05
KR101839610B1 KR101839610B1 (ko) 2018-03-19

Family

ID=5992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264A KR101839610B1 (ko) 2016-02-25 2016-02-25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6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6053A1 (en) * 2013-12-23 2015-06-25 Cilag Gmbh International Test strip insertion drive mechanism for analyte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610B1 (ko)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028B2 (en) Drug tracking device
CN108348197B (zh) 用于确定分析物浓度的套件
KR102154911B1 (ko) 약물 전달 장치
TWI635881B (zh) 資訊提供器組合體和藥物輸送裝置
DK178609B1 (en) Injection Device
WO2020102281A1 (en) Bodily fluid collection devices including electronic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4160893A2 (en) All-in-one analyte sensor in a detachable external mobile device case
WO2016039298A1 (ja) 薬液吸引装置、薬液注入システムおよび透視撮像システム
US11980438B2 (en) Physiologic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phys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hysiologic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20160033308A1 (en) Intelligent gauge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839610B1 (ko) 환자 건강상태 통합 관리장치
JP5516289B2 (ja) グルコース濃度測定器システム、グルコースセンサチップ携行ケース
EP3586147B1 (en) A diagnostic test reader system
CN211718185U (zh) 检测装置及检测系统
JPWO2016080411A1 (ja) 分注装置、及び分注システム
JP2014081389A (ja) グルコース濃度測定器システム、グルコース濃度測定メータ
EP2860523B1 (en) Chromatographic measurement apparatus
US9933410B2 (en)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CN105455777A (zh) 医疗系统
JP7493500B2 (ja) 携帯型誘電分光装置
KR102559640B1 (ko) 혈당 측정 시스템
CN113325048A (zh) 检测装置及其对检测样品进行检测的方法、检测系统
CN117337389A (zh) 诊断检测
NZ750631A (en) Monitoring and identifying laboratory animals through uwb and other digital sensory sign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