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95806A - 흡습성 심초 복합사 - Google Patents

흡습성 심초 복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806A
KR20170095806A KR1020177010017A KR20177010017A KR20170095806A KR 20170095806 A KR20170095806 A KR 20170095806A KR 1020177010017 A KR1020177010017 A KR 1020177010017A KR 20177010017 A KR20177010017 A KR 20177010017A KR 20170095806 A KR20170095806 A KR 2017009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eath composite
washing
composite yarn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타카기
요시후미 사토
다이스케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05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1328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8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204784A/ja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가 열가소성 폴리머이고, 흡방습성(ΔMR)이 5.0% 이상, 또한 세탁 20회 후의 ΔMR 유지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흡습성 심초 복합사. 높은 흡습성을 갖고,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의 세탁 내구성과 염색 견뢰성을 갖는 심초 복합 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습성 심초 복합사{MOISTURE ABSORBENT CORE SHEATH COMPOSITE YARN}
본 발명은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흡습성 심초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는 강도,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료 용도나 산업 용도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섬유는 그 독특한 부드러움, 높은 인장 강도, 염색시의 발색성, 높은 내열성 등의 특성에 추가해서, 흡습성이 우수하여, 이너 웨어, 스포츠 웨어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섬유는 면 등의 천연 섬유와 비교하면 흡습성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무더운감이나 달라붙음이라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쾌적성의 면에서 천연 섬유에 뒤떨어지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부터 무더운감이나 달라붙음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한 흡방습성을 나타내고, 천연 섬유에 가까운 쾌적성을 갖는 합성 섬유가 주로 이너 용도나 스포츠 의료 용도에 있어서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폴리아미드 섬유에 친수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는 가장 많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친수성 폴리머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폴리아미드에 블렌딩해서 방사함으로써 흡습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섬유의 구조를 심초 구조로 하고, 고흡습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심부로, 역학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초부로 하는 심초 구조로 함으로써, 흡습성능과 역학 특성을 양립시키는 검토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심부와 초부로 이루어지고, 심부가 섬유 표면에 노출되지 않은 형상의 심초 복합 섬유로서, 하드 세그먼트가 6-나일론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을 심부로 하고, 6-나일론 수지를 초부로 한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의 심부와 초부의 면적 비율이 3/1∼1/5인 심초 복합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심부로 하고 섬유 형성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초부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로서, 상기 심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이고, 또한 심부의 비율이 복합 섬유 전중량의 5∼50중량%인 흡습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초성분, 폴리에틸렌옥시드의 가교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흡수성 수지를 심성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을 갖는 복합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체를 심부로 하고,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초부로 한, 심부를 노출 각도로 5°∼90°의 범위에서 노출시키고 있는 제전성능, 흡수 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한 심초 복합 단면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계 화합물 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의 친수성 성분을 심부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 형성성 중합체를 초부로 한, 편평도 1.05∼3.0의 흡습성이 우수한 편평 심초 복합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섬유에 흡습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후가공에 의해 친수성 화합물을 섬유 표면에 부착, 내부로 침투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후가공에 의해 흡습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세탁에 의해 친수성 화합물이 탈락하여 흡습성능 저하의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9-188917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14/10709호 일본 특허공개 평 6-13661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8-209450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08/123586호 일본 특허공개 2000-23991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섬유는 천연 섬유에 가까운 흡방습성을 갖고 있지만, 그 성능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더욱 높은 흡방습성의 달성이 과제이다.
또한, 특허문헌 2∼6의 심초 복합 섬유는 천연 섬유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흡방습성을 갖고 있지만, 심부가 반복 실사용에 의해 열화되어, 반복 사용에 의한 흡습성능의 저하가 과제이다. 또한, 심부의 고흡방습성 폴리머는 염료의 출입이 용이한 고분자 구조이기 때문에, 염색 견뢰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심초 복합 섬유는 접촉 냉감에 관해서, 초부에 나일론 6을 사용한다고 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나일론 6과 전혀 차이가 없어, 더욱 접촉 냉감의 달성이 과제이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심초 복합 섬유는 접촉 냉감에 관해서, 비수용성 폴리에틸렌옥시드 변성물을 심부에 사용하고 있지만, 심부의 폴리머 흡습성능에 기인하는 냉감이 낮고, 또한 초부의 폴리아미드로 덮여져 있으므로, 일반적인 폴리아미드와 전혀 차이가 없어, 더욱 접촉 냉감의 달성이 과제이다. 특허문헌 6에 기재된 심초 복합 섬유는 접촉 냉감에 관해서, 섬유 단면을 편평화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높게 하는 것과 흡습성능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규의 드라이 촉감이 얻어지고 있지만, 초부의 폴리에스테르로 덮여져 있으므로,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해서 접촉 냉감은 얻어지지만, 일반적인 폴리아미드보다 열화하여 있었다. 초부를 폴리아미드로 한 경우에도,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높게 하는 것과 흡습성능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규의 드라이 촉감이 얻어지지만, 그 성능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더욱 접촉 냉감의 달성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높은 흡습성능 및 접촉 냉감성을 가져서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과,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과 염색 견뢰성 및 접촉 냉감성의 세탁 내구성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가 열가소성 폴리머이고, 흡방습성(ΔMR)이 5.0% 이상, 또한 세탁 20회 후의 ΔMR 유지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심초 복합사.
(2) 세탁 견뢰도가 3급 이상 5급 이하인 (1)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3)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9 이상 2.7 이하이고, 또한 심부의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인 (1) 또는 (2)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4) 심초 복합사의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이 3.5×10- 5mol/g 이상 8.0×10-5mol/g 이하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5) 편평도가 1.5 이상 5.0 이하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6) 무기입자를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하는 (1), (2) 또는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7) 초부의 폴리머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7 이상 2.6 이하인 (6)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8) 초부 폴리머가 무기입자를 0.2∼6중량% 함유하는 (6) 또는 (7)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9) 상기 무기입자가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
(10)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흡습성능 및 접촉 냉감성을 가져서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과,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과 염색 견뢰성 및 접촉 냉감성의 세탁 내구성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인 I형 단면 형상의 심초 복합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인 볼록렌즈형 단면 형상의 심초 복합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가 열가소성 폴리머이고, 흡방습성(ΔMR)이 5.0% 이상, 또한 세탁 20회 후의 ΔMR 유지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심초 복합사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초부에 폴리아미드, 심부에 열가소성 폴리머를 사용한다.
열가소성 폴리머로서는 주지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란, 펠릿 형상에서 측정한 흡방습성(ΔMR)이 10% 이상인 폴리머를 가리키고,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나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계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안정성이나 초부의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이 좋고 내박리성이 우수한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란, 동일 분자쇄 내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및 아미드 결합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성분(A) 및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을 중축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머이다.
여기에서, 폴리아미드 성분(A)으로서는 ε-카프로락탐, 도데카노락탐, 운데카노락탐 등의 락탐류,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ω-아미노카르복실산,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등의 전구체인 디아민-디카르복실산의 나일론염류가 있고,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형성성 성분은 ε-카프로락탐이다.
여기에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은 탄소수 4∼20개의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탄소수 4∼20개의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세바신산, 도데카디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세바신산, 도데카디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이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옥시드)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양호한 흡습성능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300∼1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0이다. 자량이 300 이상이면, 중축합 반응 중에 계외 로 비산하기 어려워서, 흡습성능이 안정한 섬유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000 이하이면, 균일한 블록 공중합체를 얻어져서 제사성이 안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중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의 구성 비율은 몰비로, 전체 공중합체 중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상이면, 양호한 흡습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80% 이하이면, 양호한 염색 견뢰성이나 세탁 내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로서, Arkema Inc. 제 "MH1657"이나 "MV1074" 등이 시판되어 있다.
초부의 폴리아미드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9,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2 등, 또는 그들과 아미드 형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라우로락탐, 세바신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등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일론 6 및,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와의 융점의 차가 작고, 용해 방사시에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제사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염색성이 풍부하는 나일론 6이다.
본 발명의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흡습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흡습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흡습제를 예시하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테르 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이 사용되고, 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합도는 K값으로서 20∼7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K값이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의 상대 점도를 사용한 모세관 점도계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상대 점도수이고, 소위 피켄처(Fikentscher)의 K값이다(DIN53726). 이 값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과 상관하고, 종래부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을 측정하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K값이 20 이상이면, 폴리아미드 분자쇄와의 뒤엉킴이 강고하게 되어, 흡방습성능이 안정한 섬유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K값이 60 이하이면, 폴리아미드에 니딩시의 증점을 억제하여 제사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이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함유량은 초부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3∼7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시에 피부로부터 수분을 섬유측으로 재빠르게 이동시켜서, 드라이감이라고 하는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7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세탁 견뢰도,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초부의 폴리아미드에는 각종의 첨가제, 예를 들면 염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결정핵제, 형광증백제, 대전방지제, 카본 등을 총 첨가물 함유량이 0.001∼10중량%의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서 공중합 또는 혼합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착용시에 양호한 쾌적성을 얻기 위해서, 의복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습도 조정의 지표로서 경∼중 작업 또는 경∼중 운동을 행했을 때의 30℃×90%RH로 대표되는 의복내 온습도와, 20℃×65%RH로 대표되는 외기 온습도에 있어서의 흡습률의 차로 표시되는 흡방습성(ΔMR)을 사용한다. ΔMR이 크면 클수록 흡습성능이 높고, 착용시의 쾌적성이 양호한 것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ΔMR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한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용시의 무더운감이나 달라붙음을 억제할 수 있어서,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달성할 수 있는 ΔMR의 레벨은 17.0% 정도이다.
흡방습성(ΔMR)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은 펠릿 형상에서 측정한 ΔMR이 10% 이상인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세탁 20회 후의 ΔMR의 유지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100% 이하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쾌적성을 유지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또한, ΔMR이 5.0% 이상 또한, 세탁 20회 후의 ΔMR의 유지율이 90% 이상을 충족시키는 것이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을 가진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탁 20회 후의 ΔMR의 유지율을 90% 이상 100% 이하로 하는 것은 나중에 설명하는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최적의 값으로 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ΔMR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착용시의 휘감겨붙음이나 먼지 부착이 적은 제전성능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심부에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섬유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한 실이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분을 이용한 제전기구를 발현하여, 저온 저습도의 환경 하(예를 들면 20℃×40%RH)에 있어서도 양호한 제전성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20℃×40%RH 환경 하에서의 마찰포가 면인 마찰 대전압이 0V 이상 1500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V 이상 1000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대전압이 낮아질수록 제전성능이 우수하다고 말하지만,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섬유의 20℃×40%RH 환경 하에서의 마찰포가 면인 마찰 대전압은 4500∼5500V 정도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착용시의 휘감겨붙음나 먼지 부착이 적은 제전성능이 우수한, 즉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가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세탁 견뢰도(변퇴색, 색빠짐)이 3급 이상 5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염색 견뢰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세탁 견뢰도 (변퇴색, 색빠짐)을 3급 이상 5급 이하로 하는 것은 후에 설명하는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와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을 최적의 값으로 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9 이상 2.7 이하이고, 또한 심부의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부의 폴리아미드는 안정한 결정형인 α결정인 것이 바람직하고, α결정은 높은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형성된다. 이러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조건(심초의 조성비나 점도비 등)에서 방사하고,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방사로부터 인수시의 연신 및 인수 롤러 간에서 초부의 연신을 우선적으로 가함으로써, 안정한 결정형인 α형 결정을 초부에 존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심초 복합사의 염색 후의 염착 강도가 상승하여, 염색 견뢰도가 양호화된다. 또한, 방사시의 연신력이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집중되어,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의 결정화가 억제되어서, 심초 복합사의 흡습성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심부의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일 때에는, 결정화에 의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이 국재화된 구조를 형성하기 쉽고, 국재부는 알칼리성 액체에 대한 내구성이 나쁘기 때문에,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이러한 범위로 하여,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결정화를 억제함으로써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α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9 이상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복합사로서의 염색 견뢰도도 양호하고, 또한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심부의 열가소성 폴리머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흡습성능이 양호하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한편,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2.7 이하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방사시에 실의 끊어짐이나 보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2.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 이상 2.6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이 3.5×10-5mol/g 이상 8.0×10-5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이 풍부한 아미노 말단기량이 3.5×10- 5mol/g 이상이면, 흡습성능이 높아져서 바람직하고, 또한 아미노 말단기는 염료 착좌가 되기 때문에, 의료 용도에 적합한 발색성이나 염색 견뢰도가 얻어진다. 한편, 아미노 말단기량이 8.0×10- 5mol/g 이하이면, 염색시에 염색 얼룩으로 되기 어려운 섬유가 되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2×10- 5mol/g 이상 8.0×10- 5mol/g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4.5×10-5mol/g 이상 8.0×10-5mol/g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심부에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어서, 폴리아미드 단독사보다 접촉 냉감을 발현하기 쉬워진다. 접촉 냉감은 섬유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피부측이 축적한 열량이 저온측의 섬유로 이동하는 단위면적당 열유속에 의존한다. 폴리아미드는 유기물이고 비교적 열전도율이 낮아서, 의복으로서 피부에 직접 착용해도 접촉 냉감은 실감되지 않는다. 접촉 냉감을 보다 실감할 수 있도록 높이기 위해서는, 접촉 면적이 큰 단면 형상으로 하고, 열전도율이 높은 첨가제를 함유하는 등에 의해, 흡습성능에 추가해서 접촉 냉감도 우수하고, 보다 우수한 쾌적성을 유지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그 심초 복합사 횡단면 형상이 편평하고 편평도가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냉감은 단위면적당 열유속에 의존하므로, 이동하는 열량은 접촉 면적에 의존하는 것으로 되어, 접촉 면적이 큰 단면 형상인 I형(도 1)이나 볼록렌즈 단면 형상(도 2), 또는 그것과 유사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편평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편평도란, 외접원 직경(도 1, 도 2 중의 R)과 내접원 직경(도 1, 도 2 중의 r)의 비를 의미한다. 편평도는 높을수록 접촉 냉감에 효과가 있고, 편평도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편평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실 강도는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서, 편평도가 5.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무기입자를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냉감은 섬유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피부측의 축적된 열량이 저온측의 섬유로 이동하므로, 폴리아미드와 비교해서 열전도율이 높고 열용량이 낮은 무기 화합물을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을 선택하는 이유로서는 심초 복합사 제조시나 염색시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 실 물성을 유지하는 것, 또한 내광성 등 사용시에 폴리머에 착색 등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악영향을 심초 복합사에 주지 않는 무기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아미드와 비교해서 열전도율이 높고, 열용량이 낮은 무기 화합물을 예시하면,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지르코늄, 규산알루미늄, 탄화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화합물 중에서도, 섬유 물성, 발색성, 무기입자의 취급 용이성, 고차 가공성을 감안하면,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으로서는 적으면 열전도성을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접촉 냉감을 높이는 것이 어려워서, 섬유 전체에서 0.1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많을수록 접촉 냉감을 높게 할 수 있지만, 실 물성인 인장 강도가 저하하고, 고차 가공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중량%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0중량%이다.
접촉 냉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피부측의 축적된 열량이 저온측의 섬유로 이동하는 열유속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경우에 있어서는 심초 복합사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피부측의 축적된 열량이 저온측의 심초 복합사의 초부로 이동하고, 이어서 저온측의 심초 복합사의 초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부의 폴리아미드는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의복으로서 피부에 직접 착용해도 접촉 냉감은 실감되지 않는 것에 추가해서,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머로의 열이동이 스무드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초부의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에 비해서 열전도율이 높고 열용량이 낮은 무기 화합물을 0.2∼6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용시에 피부로부터의 열을 심초 복합사측으로 재빠르게 이동시키고, 또한 심초 복합사의 초부의 폴리아미드로부터 심부의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머로의 열이동이 스무드하게 행해져서, 접촉 냉감이 어어진다.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많을수록 접촉 냉감을 높일 수 있지만, 접촉 냉감의 효과와 제사성, 실 물성 등을 감안하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3중량%이다.
본 발명의 무기입자를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하는 심초 복합사는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7∼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형 결정은 안정한 결정형이고, 심초 복합사의 제조시 높은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α형 결정이 형성된다. 이러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조건(심초의 조성비나 점도비 등)에서 방사하고,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방사로부터 인수시의 연신 및 인수 롤러 간에서 초부의 연신을 우선적으로 가함으로써, 안정한 결정형인 α형 결정을 초부에 존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심초 복합사의 염색 후의 염착 강도가 상승하여 염색 견뢰도가 양호해짐과 아울러, 방사시의 연신력이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집중되고,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머의 결정화가 억제되어,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한 심초 복합사가 된다. 또한,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의 결정화에 의한 국재화 구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서, 알칼리성 액체에 대한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7 이상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심초 복합사의 염색 견뢰도가 양호해지고, 또한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2.6 이하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고차 가공시에 실의 끊어짐이나 보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5, 한층 바람직하게는 1.85∼2.5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인장 강도가 2.5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cN/dtex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주로 이너 의료용도나 스포츠 의료 용도인 의료 용도에 있어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신도가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5%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직, 제편, 가연이라고 하는 고차 공정에서의 공정 통과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총 섬도, 필라멘트수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의료용 장섬유 소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멀티필라멘트로서의 총 섬도는 5데시텍스 이상 235데시텍스 이하, 필라멘트수는 1 이상 144필라멘트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공지의 용해 방사, 복합 방사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지만, 예시하면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초부)와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심부)를 각각 용융해서 기어 펌프로 계량·수송하고, 그대로 통상의 방법으로 심초 구조를 취하도록 복합류를 형성해서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고, 침니 등의 사조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풍을 블로잉함으로써 사조를 실온까지 냉각하고, 급유 장치로 급유함과 아울러 집속하고,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하고, 인수 롤러, 연신 롤러를 통과시키고, 그 때 인수 롤러와 연신 롤러의 주속도의 비에 따라서 연신한다. 또한, 사조를 연신 롤러에 의해 열 셋팅하고, 와인더(권취 장치)로 권취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초부의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이러한 범위로 하는 것은 폴리머 선택에 추가해서, 방사시의 심초 복합 비율, 심초 폴리머 점도, 연신 공정 등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심부의 비율은 복합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80중량부인 것이 필요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70중량부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호한 염색 견뢰성, 흡습성능이 얻어진다. 2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흡습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80중량부를 초과하면 염색과 같은 열수 분위기 하에서 팽윤에 의한 섬유 표면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과도한 연신이 가해져서, 목표로 하는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로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과도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방사, 연신은 실의 끊어짐이나 보풀의 발생으로 연결되어 목적으로 하는 섬유를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초부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칩은 황산 상대 점도로 2.3 이상 3.3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6 이상 3.3 이하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황산 상대 점도가 2.3 이상이면, 실용 가능한 원사 강도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최적의 연신이 가해지기 때문에,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적절한 값이 되어, 염색 견뢰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황산 상대 점도가 3.3 이하이면, 방사에 적절한 용융 점도이기 때문에,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에 적절한 방사 온도에서 생산이 가능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부에 사용하는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의 칩은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로 1.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가 1.2 이상이면, 초부에 최적의 연신이 가해져서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고,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적절한 값이 되어, 실의 끊어짐이나 보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바람직하다. 한편,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가 2.0 이하이면, 과도한 연신이 심부에 가해지지 않고,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적절한 값이 되어, 염색 견뢰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연신 공정에 있어서, 인수 롤러에 의해 인수되는 사조의 속도(방사 속도)에 인수 롤러와 연신 롤러의 주속도비의 값인 연신 배율의 곱이 3300m/min 이상 4500m/min 이하가 되도록 방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m/min 이상 4500m/mi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m/min 이상 4500m/min 이하이다. 이 수치는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폴리머가 구금 토출 선속도로부터 인수 롤러의 주속도까지, 또한 인수 롤러의 주속도로부터 연신 롤러의 주속도까지 연신되는 총 연신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300m/min 이상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염색 견뢰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흡습성능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한편, 4500m/min 이하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적절하게 진행되어, 소정의 결정화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제사시에 실의 끊어짐이나 보풀의 발생이 적어서 바람직하다.
급유 공정에 있어서, 급유 장치에 의해 부여되는 방사 유제는 비함수계 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부의 높은 흡습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는 ΔMR이 10% 이상인 폴리머이어서 흡습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비함수계 유제를 부여했을 경우, 서서히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팽윤이 발생하기 어려워서 안정한 권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에 있어서, 무기입자 함유량은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입자를 이러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초부의 폴리아미드,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무기입자를 함유시켜서 제어할 수 있다.
접촉 냉감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심초 복합사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피부측의 축적된 열량이 저온측의 심초 복합사의 초부로 이동하고, 이어서 저온측의 심초 복합사의 심부로 이동함으로써 접촉 냉감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무기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부의 폴리아미드가 무기입자를 0.2∼6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용시에 피부로부터의 열을 심초 복합사측으로 재빠르게 이동시키고, 또한 심초 복합사의 초부의 폴리아미드로부터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머로의 열이동이 스무드하게 행해져서, 접촉 냉감, 세탁해도 접촉 냉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심부의 무기입자의 함유량은 많을수록 접촉 냉감을 높게 할 수 있지만, 접촉 냉감의 효과와 고차 가공성, 실 물성 등으로부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3중량%이다.
또한, 폴리아미드(초부)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심부)에 무기입자를 고농도로 또한 균일하게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펠릿에 무기입자를 블렌딩해서 용융하는 방법, 고농도의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을 펠릿에 블렌딩해서 용융하는 방법, 용융 상태의 폴리머에 무기입자를 첨가해서 혼련하는 방법, 폴리머의 중합 전 또는 중합 중의 단계에서 원료 또는 반응계에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고농도로 첨가한 무기입자의 2차 응집을 억제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폴리머의 중합 중에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므로 의료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백의 형태로서는 직물, 편물, 부직포 등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ΔMR은 크면 클수록 흡습성능이 높아서, 착용시의 쾌적성이 양호한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은 ΔMR이 5.0% 이상이 되도록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혼율을 조정함으로써,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냉감은 섬유가 피부에 접촉한 직후에 열이동이 스무드하게 행해지는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가 피부에 접촉하는 포백 설계를 함으로써,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가 제공 가능하게 된다. 의복으로서는 이너 웨어, 스포츠 웨어 등의 각종 의료용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성값의 측정법 등은 다음과 같다.
(1) 황산 상대 점도
시료 0.25g을 농도 98wt%의 황산 100ml에 대하여 1g이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트발트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이어서, 농도 98wt%의 황산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를 황산 상대 점도라고 했다.
(2)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시료 0.5g을 오르토 클로로페놀 100ml에 대하여 1g이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트발트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이어서, 오르토 클로로페놀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를 황산 상대 점도라고 했다.
(3) K값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농도 1%의 수용액으로 하고, 그 상대 점도를 측정하고, 피켄처(Fikentscher)의 식에 의해 구한다.
logZ =C[75k2 /(1+1.5kC) + k]
단, Z: 농도 C의 수용액의 상대 점도, k: K값×10-3, C: 수용액 농도(%)이다.
(4) 섬도
1.125m/주의 검척기에 섬유 시료를 셋팅하고, 200 회전시켜서, 루프 형상 타래를 작성하고, 열풍 건조기로 건조 후(105±2℃×60분), 천평으로 타래 질량을 칭량하고, 공정 수분율을 곱한 값으로부터 섬도를 산출했다. 또한, 심초 복합사의 공정 수분율은 4.5%로 했다.
(5) 강도·신도
섬유 시료를 Orientech Co. Ltd. 제 "TENSILON" (등록상표), UCT-100으로 JIS L1013(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 2010년)에 나타내는 정속 신장 조건에서 측정했다. 신도는 인장 강도-신장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강력을 나타낸 점의 신장으로부터 구했다. 또한, 강도는 최대 강력을 섬도로 나눈 값을 강도라고 했다. 측정은 10회 행하고, 평균치를 강도 및 신도라고 했다.
(6) 단면 형상
파라핀, 스테아르산,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포리제를 용해하고, 심초 복합사를 도입 후 실온 방치에 의해 고화시키고, 포리제 중의 원사를 횡단면 방향으로 절단한 것을 Tokyo Electron Ltd. 제의 CCD 카메라(CS5270)로 섬유 횡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사 중에서 임의로 선정한 10개(단사수가 10개 이하일 경우에는 모두)의 심초 복합사에 대해서,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제의 Color Video Processor(SCT-CP710)로 400배로 프린트 아웃한 단면 사진으로부터 전체 단사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따라 편평도를 산출하고, 그 평균치를 사조의 편평도라고 했다.
편평도 = 외접원의 직경(R)/내접원의 직경(r).
(7) α결정 배향 파라미터
섬유 시료를 레이저 라만 분광법으로 측정하고, 1120cm- 1 부근에 확인되는 나일론의 α결정으로부터 유래하는 라만 밴드의 평행 편광에서의 강도비(I1120) 평행)와 수직 편광에서의 강도비(I1120) 수직)의 비를 취함으로써, 배향도 평가의 파라미터로 했다. 또한, 배향에 대한 이방성이 작은 CH 변각 밴드(1440cm- 1 부근)의 라만 밴드 강도를 기준으로 해서 각 편광 조건(평행/수직)의 산란 강도를 규격화했다.
α 결정 배향 파라미터 = (I1120/I1440) 평행/(I1120/I1440) 수직.
또한, 배향 측정용의 시료는 수지 포매 후(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24시간 경화), 마이크로톰에 의해 절편화했다. 절편 두께는 2.0㎛로 했다. 절편 시료는 절단면이 타원형이 되도록 섬유축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절단하고, 타원형의 단축의 두께가 일정 두께가 되는 개소를 선택해서 측정했다. 측정은 현미모드에서 행하고, 시료 위치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스폿 지름은 1㎛이다. 심, 초층 중심부의 배향성 해석을 행하고, 배향의 측정은 편광 조건하에서 행했다. 편광 방향이 섬유축과 일치할 경우를 평행 조건, 직행할 경우를 수직 조건으로 해서, 각각 얻어지는 라만 밴드 강도의 비로부터 배향의 정도를 평가했다. 또한, 각 측정점에 대해서 n=3의 측정을 행했다. 상세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레이저 라만 분광법
장치: T-64000(Joobin Yvon/Atago Bussan)
조건: 측정 모드; 현미 라만
대물 렌즈; ×100
빔 지름; 1㎛
광원; Ar+ 레이저/514.5nm
레이저 파워; 50mW
회절 격자; Single 600gr/mm
슬릿; 100㎛
검출기; CCD/Joobin Yvon 1024×256.
(8) 초부 폴리머칩의 아미노 말단기량
시료 1g을 50mL의 페놀/에탄올 혼합 용액(페놀/에탄올=80/20)에 30℃에서 진탕하여 용해시켜서 용액으로 하고, 이 용액을 0.02N의 염산으로 중화 적정해서 소요된 0.02N 염산량을 구했다. 또한, 상기 페놀/에탄올 혼합 용매(상기와 동량)만을 0.02N 염산으로 중화 적정해서 소요된 0.02N 염산의 양을 구했다. 그리고 그 차로부터 시료 1g당 아미노 말단기량을 구했다.
(9) 심초 복합사의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
A. 초부의 중량 비율 측정
파라핀, 스테아르산,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포리제를 용해하고, 심초 복합사를 도입후 실온 방치에 의해 고화시키고, 포리제 중의 원사를 횡단면 방향으로 절단한 것을 Tokyo Electron Ltd. 제의 CCD 카메라(CS5270)로 섬유 횡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사 중에서 임의로 선정한 10개(단사수가 10개 이하일 경우에는 전부)의 심초 복합사에 대해서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제의 Color Video Processor(SCT-CP710)로 1500배로 프린트아웃한 단면 사진을 초부 및 심부로 잘라내고, 중량 측정 후 이하의 식으로 산출했다.
초부의 중량 비율 = (초부의 중량/(초부의 중량+심부의 중량))×100
B. 심초 복합사의 아미노 말단기량
상기 (8) 기재의 방법으로 아미노 말단기량을 구했다.
C.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
상기 B에서 얻어진 아미노 말단기량을 상기 A에서 얻어진 초부의 중량 비율로 곱하여 산출했다.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 농도
= 심초 복합사의 아미노 말단기량×초부의 중량 비율/100.
(10) 통상 편지의 제작
A. 통상 편지의 제작
통상 편기로 스티치 밀도가 50이 되도록 조정해서 제작했다. 섬유의 정량 섬도가 낮은 경우에는 통상 편기에 급사하는 섬유의 총섬도가 50∼100dtex가 되도록 적당하게 합사하고, 총 섬도가 100dtex를 초과할 경우에는 통상 편기로의 급사를 1개에서 행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티치 밀도가 50이 되도록 조정해서 제작했다.
B. 통상 편지의 정련
상기 A에서 얻어진 통상 편지를 비이온 계면활성제(DKS Co. Ltd. 제, NOIGEN SS) 2g/l 수용액을 편지 1g에 대하여 100ml 준비하고, 60℃에서 30분 세정한 후, 유수로 20분 수세하고, 탈수기로 탈수, 풍건했다.
C. 통상 편지의 염색
상기 A, B에서 얻어진 통상 편지를 이하의 염료 및 염색 조제를 이용하여 염색했다.
산성 염료: Eriony Blue A-R 2.0질량%
염색 조제: 아세트산 1.5%
산성 염료, 염색 조제를 포함하는 염색 배스에 상압 98℃ 설정에서 45분간 염색한 후, 유수로 20분 수세하고, 탈수기로 탈수, 풍건했다.
(11) 발색성
통상 편지(10) C에 의해 얻어진 염색 후의 통상 편지의 발색성에 대해서, 이하의 4단계로 평가했다.
S: 균일하게 전체가 농색으로 착색.
A: 균일하게 전체가 중색(담색∼농색)∼농색으로 착색
B: 균일하게 전체가 담색∼중색(담색∼농색)으로 착색
C: 균일하게 전체가 담색으로 착색.
(12) 흡방습성(ΔMR)
통상 편지(10) A를 칭량병에 1∼2g 정도 칭량하고, 110℃에 2시간 유지하고 건조시켜서 중량을 측정하고(W0), 다음에 대상 물질을 20℃, 상대습도 65%에 24시간 유지한 후 중량을 측정한다(W65). 그리고, 이것을 30℃, 상대습도 90%에 24시간 유지한 후 중량을 측정한다(W90). 그리고, 이하의 식에 따라 계산했다.
MR1 = [(W65-W0)/W0]×100% ·····(1)
MR2 = [(W90-W0)/W0]×100% ·····(2)
ΔMR=MR2-MR1············(3)
(13) 세탁 후 ΔMR
통상 편지(10) A를 JIS L0217(1995) 부표 1 기재의 번호 103 기재의 방법으로 반복 20회 세탁을 실시한 후, 상기 기재의 흡방습성을 측정해서 산출했다.
ΔMR이 5.0% 이상일 경우, 착용시에 양호한 쾌적성이 얻어진다고 판단했다.
(14) 세탁 후 ΔMR 유지율
세탁 전후의 ΔMR의 변화 지표로서 세탁 후의 ΔMR 유지율을 하기식으로 산출했다.
세탁 처리 후의 ΔMR/세탁 처리 전의 ΔMR × 100
ΔMR 유지율이 90% 이상일 경우에는 세탁 내구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15) 세탁 견뢰도
염색 통상 편지(10) C를 JIS L0844(2011) 7.1항 A법에 따라서 표 7 중의 A-2 조건에서 측정했다. 판정은 JIS L0801(2011) 10항 (a)의 시감법에 따라서 변퇴색 및 색빠짐에 대해서 급판정을 실시했다.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의 모두가 3급 이상일 경우에는 선택 견도는 합격, 적어도 변퇴색이나 색빠짐 판정 중 1개가 2-3급 이하일 경우에는 염색 견뢰도는 불합격이라고 했다.
(16) 종합 평가
세탁 견뢰도, 세탁 후 ΔMR, 세탁 후 ΔMR 유지율의 평가를 행하고, 이하의 3단계로 평가했다.
S: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오염 판정 모두 4급 이상, 세탁 후 ΔMR이 7.0% 이상, 세탁 후 ΔMR 유지율이 95% 이상의 3항목 중, 모두가 해당된다.
A: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오염 판정 모두 3급 이상, 세탁 후 ΔMR이 5.0%, 세탁 후 ΔMR 유지율이 90% 이상의 3항목 중, 모두가 해당된다.
C: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오염 판정 모두 2-3급 이하, 세탁 후 ΔMR이 5.0% 미만, 세탁 후 ΔMR 유지율이 90% 미만의 3항목 중, 1항목 이상 해당된다.
S와 A는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과,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우수하여 합격이라고 했다.
(17) 접촉 냉감성(q-max)
접촉 냉감성은 Thermo Labo IIB형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 KES-F7(Kato Tech. Co., Ltd. 제품)을 사용한 냉온감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냉온감 평가치(q-max)에 의해 평가했다. q-max값이란 순동판에 열을 축적하고, 이것이 시료 표면에 접촉한 직후, 축적된 열량이 저온측의 시료 물체로 이동하는 열류의 피크치를 측정한 값(단위:W/㎠)이다.
실온을 20℃, 상대습도를 60%로 조정한 실내에 통상 편지(10) A와 장치(KES-F7 THERMO LABO IIB TYPE(Kato Tech. Co., Ltd. 제품))를 하루 밤낮 방치해둔다. 통상 편성에 접촉시켜서 열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T-BOX(온도 검출 및 저열판)을 실온보다 10℃ 높게 하기 위해서 축온하는 열판 BT 플레이트를 30℃로 설정하고, BT 플레이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BT의 주위를 보온하고 있는 열판 G-BT를 20.3℃로 설정하고, 안정시킨다. 생지의 뒷(착용시에 피부측으로 됨)면을 위로 향한 통상 편성을 배치하고, T-BOX를 통상 편성 상에 재빠르게 적재하여 q-max를 측정했다. 또한, 통상 편성의 단위면적당 중량(g/㎠)은 측정부의 통상 편성을 10cm 사방으로 절단하고, 중량을 측정해서 산출했다.
본 측정 방법에 있어서, q-max가 0.175(W/㎠) 이상일 경우, 착용시에 양호한 쾌적성이 얻어진다고 판단했다.
(18) 세탁 후의 접촉 냉감성(q-max) 유지율
통상 편지(10) A를 JIS L0217(1995) 부표 1 기재의 번호 103 기재의 방법에의해, 반복 20회 세탁을 실시한 후, 상기 기재의 접촉 냉감성을 측정했다. 세탁 전후의 접촉 냉감성의 변화 지표로서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을 하기식으로 산출했다.
(세탁 후의 q-max)/(세탁 처리 전의 q-max)×100
q-max 유지율이 90% 이상일 경우에는 세탁 내구성 있음이라고 판단했다.
(19) 제전성
통상 편지(10) A를 JIS L1094(포백 및 편물의 대전성 시험 방법, 2014년) A법(반감기 측정법), B법(마찰 대전압 측정법)에 따라 측정했다. 또한, 환경 조건은 20℃×40%RH, 마찰포는 면(캘리코 3호), 종방향에서 측정했다.
마찰 내전압이 1500V 이하일 경우, 착용시에 양호한 제전성능이 얻어진다고 판단했다.
(20) 세탁 후 제전성
통상 편지(10) A를 JIS L0217(1995) 부표 1 기재의 번호 103 기재의 방법으로 반복 20회 세탁을 실시한 후, 상기 기재의 제전성을 측정했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 성분이 나일론 6, 폴리에테르 성분(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분자량 15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폴리에테르 성분의 구성 비율이 몰비로 약 76%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Arkema Inc. 제, MH1657,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1.69)를 심부로 하고, 황산 상대 점도가 2.71, 아미노 말단기량이 5.95×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하여, 270℃에서 용융하고, 동심원 심초 복합용 구금(24홀)으로부터 심/초 비율(중량부)=50/50이 되도록 방사했다. 또한, 아미노 말단기량은 중합시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세트산으로 조정했다.
이 때, 얻어지는 심초 복합사의 총섬도가 56데시텍스가 되도록 기어 펌프의 회전수를 선정하고, 각각 22g/min의 토출량으로 했다. 그리고,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비함수 유제를 급유한 후,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에 의해 교락을 부여하고,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3368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4210m/min으로 연신하고, 연신 롤러 150℃에 의해 열 셋팅을 행하고, 권취 속도를 4000m/min으로 권취하여,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4%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2.4%,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쾌적성 의료가 얻어졌다.
또한, q-max는 0.170W/㎠, 세탁 후 q-max는 0.170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접촉 냉감도 우수하였다.
또한, 20℃×40%RH 환경 하에서의 마찰 대전압은 800V, 세탁 후 마찰 대전압은 800V로 우수한 제전성능을 갖고,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을 가진 제전성능이 우수한 쾌적 의료가 얻어졌다.
[실시예 2]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381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571m/min, 권취 속도를 35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1.6%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11.1%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5.7%로 양호했다.
[실시예 3]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245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367m/min, 권취 속도를 33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0.8%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9.9%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1.7%로 양호했다.
[실시예 4]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4474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4474m/min, 권취 속도를 425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3.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13.1%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5]
심/초 비율(중량부)=30/7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7.5%로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7.2%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6.0%로 양호했다.
또한, 20℃×40%RH 환경 하에서의 마찰 대전압은 850V, 세탁 후 마찰 대전압은 850V로 우수한 제전성능을 갖고,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을 가진 제전성능이 우수한 쾌적 의료가 얻어졌다.
[실시예 6]
심/초 비율(중량부)=20/8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5.9%로 충분한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5.5%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3.2%로 양호했다.
[실시예 7]
심/초 비율(중량부)=70/3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5.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15.0%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9.3%로 양호했다.
[실시예 8]
심/초 비율(중량부)=80/2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6.9%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6.7%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이 99.4%로 양호했다.
[실시예 9]
황산 상대 점도가 2.40, 아미노 말단기량이 3.95×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1.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0.1%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0.1%로 양호했다.
[실시예 10]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5.2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0%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1.6%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6.7%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11]
황산 상대 점도가 3.30, 아미노 말단기량이 4.78×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3.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13.1%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12]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7.4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7%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12.2%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6.1%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13]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4.15×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1.5%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0.5%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1.3%로 양호했다.
[실시예 14]
동심원 심초 복합용 구금을 68홀로 한 것,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3508m/min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68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3.6%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3.6%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양호했다.
[실시예 15]
동심원 심초 복합용 구금을 68홀로 한 것,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3508m/min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68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8.3%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7.9%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5.2%로 양호했다.
[실시예 16]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은 상대 점도 2.71의 나일론 6과 폴리비닐피롤리돈(BASF Corp.제 "LUBISCOL" K30SP, K값=30)을 20중량% 첨가한 상대 점도 2.71의 나일론 6을 1:5의 비율로, 폴리비닐피롤리돈 첨가율이 3.3중량%가 되도록 칩 블렌딩한 나일론 6 블렌드 폴리머를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3.3%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3.3%,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복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쾌적성 의료가 얻어진다. 또한, 초부에 흡습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시킴으로써, 흡습성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착용시에 피부로부터 수분을 섬유 초측으로 재빠르게 이동시켜서, 실시예 1과 비교해서 드라이감이라고 하는 촉감이 얻어졌다.
[실시예 17]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은 상대 점도 2.71의 나일론 6과 폴리비닐피롤리돈(BASF Corp.제 "LUBISCOL" K30SP, K값=30)을 20중량% 첨가한 상대 점도 2.71의 나일론 6을 1:2의 비율로, 폴리비닐피롤리돈 첨가율이 6.7중량%가 되도록 칩 블렌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4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3.6%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3.6%,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비교예 1]
황산 상대 점도가 2.15, 아미노 말단기량이 4.7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 성분으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ΔMR은 10.5%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지만,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73.3%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2-3급으로, 염색 견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흡습성능, 염색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40%RH 환경 하에서의 마찰 대전압은 1000V이었지만, 세탁 후 마찰 대전압은 1700V로 제전성능이 열화하여 있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저온저습도의 환경 하에 있어서 착용시 휘감겨붙음나 먼지가 부착되기 쉬워서 쾌적성이 열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심/초 비율(중량부)=10/9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 모두 3-4급으로 염색 견뢰성은 양호했다. 또한, ΔMR은 4.2%이어서 충분한 흡습성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84.4%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은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심/초 비율(중량부)=90/1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ΔMR은 17.8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2.7%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2-3급으로, 염색 견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염색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사의 채취 중, 실의 끊어짐이 다발하여 안정한 방사가 곤란했다. 또한, 권취한 섬유 패키지를 관찰하면 보풀의 발생이 보여져서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비교예 4]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020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030m/min, 권취 속도를 30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ΔMR은 10.0%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지만,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88.0%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2급으로, 염색 견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흡습성능, 염색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실시예 18]
폴리아미드 성분이 나일론 6, 폴리에테르 성분(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분자량 15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폴리에테르 성분의 구성 비율이 몰비로 약 76%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Arkema Inc. 제, MH1657,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1.69)를 심부로 하고, 황산 상대 점도가 2.71, 아미노 말단기량이 5.95×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하여, 270℃에서 용융하고, 덤벨 형상의 토출 구멍을 갖는 심초 복합용 구금으로부터 심/초 비율(중량부)=50/50이 되도록 방사했다.
이 때, 얻어지는 심초 복합사의 총섬도가 56데시텍스가 되도록 기어 펌프의 회전수를 선정하고, 각각 22g/min의 토출량으로 했다. 그리고,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비함수 유제를 급유한 후,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을 부여하고,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3368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4210m/min으로 연신하고, 연신 롤러 150℃에 의해 열 셋팅을 행하고, 권취 속도를 4000m/min으로 권취하여,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4%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2.4%,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3W/㎠, 세탁 후 q-max는 0.183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흡습성능 및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쾌적성 의료가 얻어진다.
[실시예 19]
275℃에서 용융해서 방사한 것,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381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571m/min, 권취 속도를 35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2.5,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1.9%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1.5%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7%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78W/㎠, 세탁 후 q-max는 0.178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0]
265℃에서 용융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8,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8%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급, 세탁 후 ΔMR은 12.8%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6W/㎠, 세탁 후 q-max는 0.186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1]
볼록렌즈 형상의 토출 구멍을 갖는 심초 복합용 구금을 사용한 것, 심/초 비율(중량부)=30/7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볼록렌즈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7.5%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7.2%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6%로 극히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77W/㎠, 세탁 후 q-max는 0.177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2]
심/초 비율(중량부)=20/8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5.9%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5.5%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3%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75W/㎠, 세탁 후 q-max는 0.175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3]
볼록렌즈 형상의 토출 구멍을 갖는 심초 복합용 구금을 사용한 것, 심/초 비율(중량부)=70/3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볼록렌즈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5.2%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15.0%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9%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6W/㎠, 세탁 후 q-max는 0.185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99%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4]
심/초 비율(중량부)=80/2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7.0%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6.9%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9%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8W/㎠, 세탁 후 q-max는 0.186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99%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5]
황산 상대 점도가 2.40, 아미노 말단기량이 3.95×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2.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1.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급, 세탁 후 ΔMR은 10.2%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2%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78W/㎠, 세탁 후 q-max는 0.166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93%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6]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7.4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3.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은 12.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3-4급, 세탁 후 ΔMR은 11.5%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95%로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0W/㎠, 세탁 후 q-max는 0.171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95%로 극히 양호했다.
[실시예 27]
황산 상대 점도가 3.30, 아미노 말단기량이 4.78×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한 것, 볼록렌즈 형상의 토출 구멍을 갖는 심초 복합용 구금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5,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볼록렌즈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ΔMR이 13.0%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4-5급, 세탁 후 ΔMR은 13.0%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또한, q-max는 0.183W/㎠, 세탁 후 q-max는 0.183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로 극히 양호했다.
[비교예 5]
황산 상대 점도가 2.15, 아미노 말단기량이 4.7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 성분으로 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1.3,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ΔMR은 10.6%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지만,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76%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2-3급으로, 염색 견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또한, q-max는 0.165W/㎠, 세탁 후 q-max는 0.139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84%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접촉 냉감 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즉, 얻어진 심초 복합사를 사용한 포백 및 의료품은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세탁 내구성(흡습성능, 염색성, 접촉 냉감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
황산 상대 점도가 3.45, 아미노 말단기량이 4.50×10- 5mol/g인 나일론 6을 초부로 하여, 280℃에서 용융해서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5.5,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ΔMR은 13.1%로 극히 높은 흡습성능을 갖고 있었지만,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80%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3-4급 및 2-3급으로, 세탁 견뢰성이 열화하여 있었다.
또한, q-max는 0.188W/㎠, 세탁 후 q-max는 0.147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78%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접촉 냉감 성능의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비교예 7]
황산 상대 점도가 2.71, 아미노 말단기량이 5.95×10- 5mol/g인 나일론 6을 심부로 하고, 단독 성분 실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편평도 4.0,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I형 단면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8에 나타낸다.
얻어진 단독 성분 실은 ΔMR은 2.4%로 우수한 흡습성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세탁 견뢰도 변퇴색 및 색빠짐 판정은 모두 5급, 세탁 후 ΔMR은 2.4%이고, 세탁 후 ΔMR 유지율은 100%로 양호했다.
그러나, q-max는 0.157W/㎠, 세탁 후 q-max는 0.157W/㎠, 세탁 후의 q-max 유지율은 100%이었지만, 우수한 접촉 냉감성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실시예 28]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로서, 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아미드 성분이 나일론 6, 폴리에테르 성분(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분자량 15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폴리에테르 성분의 구성 비율이 몰비로 약 76%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Arkema Inc. 제, MH1657, 오르토 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1.69) 칩을 심부에 사용했다.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0.3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5.10×10-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했다. 또한, 산화티탄은 중합시에 첨가하고, 아미노 말단기량은 중합시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세트산으로 조정했다.
칩 수분율이 0.03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Arkema Inc. 제, MH1657)를 심부로 하고, 칩 수분율이 0.03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 나일론 6을 초부로 하고, 심부 260℃, 초부 260℃에서 각각 용융하고, 동심원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심초 비율(중량부)=50/50이 되도록 용융 토출했다. 또한, 심초 비율에 대해서는 용융 폴리머를 계량하는 기어 펌프 회전수에 의해 조정했다.
그리고,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비함수유제를 급유한 후,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을 부여하고,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3368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4210m/min으로 하여 연신하고, 연신 롤러 150℃에 의해 열 셋팅을 행하고, 권취 속도를 4000m/min으로 권취하여,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산화티탄량은 0.15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9]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1.8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5.10×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산화티탄량은 0.9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고, 심초 비율을 적절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부의 α형 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0]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5.0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40, 아미노 말단기량이 5.90×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산화티탄량은 2.5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5.0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40, 아미노 말단기량이 5.90×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하고, 심초 비율(중량부)=30/7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산화티탄량은 3.5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2]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고, 황산바륨 1.0중량%, 황산 상대 점도 2.60, 아미노 말단기량이 5.98×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황산바륨량은 0.5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3]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고, 산화마그네슘 1.0중량%, 황산 상대 점도 2.60, 아미노 말단기량이 5.98×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 섬유의 산화마그네슘량은 0.5중량%이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8]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고, 황산 상대 점도 2.71, 아미노 말단기량이 5.95×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사용하고, 260℃에서 용융하고, 환공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용융 토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나일론 6 섬유를 얻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비교예 8은 일반적인 나일론 6 섬유이기 때문에,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열화하여 있었다.
[실시예 34]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0.1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63, 아미노 말단기량이 5.10×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폴리아미드로서, 산화티탄 20중량%, 황산 상대 점도가 2.30, 아미노 말단기량이 5.21×10- 5mol/g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방사시에 실의 끊어짐이 다발했다.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흡습성능, 접촉 냉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단, 산화티탄량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방사 실끊어짐이 다발하고, 인장 강도가 1.7cN/dtex로 낮아서, 강도 부족에 의한 생산성, 고차 통과성, 제품 내구성이 나빠서 실용적이지 않았다.
[실시예 36]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381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571m/min, 권취 속도를 35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37]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2245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367m/min, 권취 속도를 330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38]
제 1 롤인 인수 롤러의 주속도를 4474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4474m/min, 권취 속도를 4250m/min으로 권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했으므로,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39]
심초 비율(중량부)=30/7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심초 비율을 적절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40]
심초 비율(중량부)=20/8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심초 비율을 적절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41]
심초 비율(중량부)=70/3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심초 비율을 적절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실시예 42]
심초 비율(중량부)=80/20이 되도록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은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0에 나타낸다.
심초 비율을 적절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부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세탁해도 흡습성능이나 접촉 냉감을 유지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 복합 섬유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높은 흡습성능을 가져서 천연 섬유를 뛰어넘는 쾌적성과,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흡습성능의 세탁 내구성과 염색 견뢰성을 갖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가 열가소성 폴리머이고, 흡방습성(ΔMR)이 5.0% 이상, 또한 세탁 20회 후의 ΔMR 유지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심초 복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견뢰도가 3급 이상 5급 이하인 심초 복합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초부의 폴리머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9 이상 2.7 이하이고, 또한 심부의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인 심초 복합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초 복합사의 초부 폴리머의 아미노 말단기량이 3.5×10- 5mol/g 이상 8.0×10- 5mol/g 이하인 심초 복합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도가 1.5 이상 5.0 이하인 심초 복합사.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입자를 섬유 전체에서 0.1∼5중량% 함유하는 심초 복합사.
  7. 제 6 항에 있어서,
    초부의 폴리머의 α결정 배향 파라미터가 1.7 이상 2.6 이하인 심초 복합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초부 폴리머가 무기입자를 0.2∼6중량% 함유하는 심초 복합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가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초 복합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
KR1020177010017A 2014-12-18 2015-12-14 흡습성 심초 복합사 KR20170095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6315 2014-12-18
JP2014256315 2014-12-18
JP2015005878A JP2016132828A (ja) 2015-01-15 2015-01-15 吸湿性芯鞘複合糸
JPJP-P-2015-005878 2015-01-15
JP2015088675A JP2016204784A (ja) 2015-04-23 2015-04-23 吸湿性、接触冷感に優れたポリアミド系芯鞘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JPJP-P-2015-088675 2015-04-23
PCT/JP2015/084892 WO2016098717A1 (ja) 2014-12-18 2015-12-14 吸湿性芯鞘複合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806A true KR20170095806A (ko) 2017-08-23

Family

ID=5612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017A KR20170095806A (ko) 2014-12-18 2015-12-14 흡습성 심초 복합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342606A1 (ko)
EP (1) EP3235932B1 (ko)
KR (1) KR20170095806A (ko)
CN (1) CN107002304A (ko)
AU (1) AU2015364882A1 (ko)
CA (1) CA2970766A1 (ko)
ES (1) ES2867529T3 (ko)
TW (1) TWI668342B (ko)
WO (1) WO2016098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45596A1 (en) * 2015-10-27 2017-05-25 Tosha Hays System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employing long-term cooling material in woven and non-woven fabrics and processes to generate the long-term cooling material and articles of manufacture
WO2019208427A1 (ja) * 2018-04-25 2019-10-31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織編物、並びに、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方法
US10597798B1 (en) 2018-12-28 2020-03-24 Brr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oling yarns and fabric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JPWO2021014936A1 (ko) * 2019-07-25 2021-01-28
WO2021059760A1 (ja) * 2019-09-26 2021-04-01 東レ株式会社 衣服
CN110983537A (zh) * 2020-01-08 2020-04-10 张明礼 一种吸湿面料的制作工艺
CN114481426A (zh) * 2022-01-12 2022-05-13 浙江柯恩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纤维针织面料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092B2 (ja) * 1992-10-26 2001-03-07 東レ株式会社 吸湿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
JP3297492B2 (ja) * 1993-04-23 2002-07-02 旭化成株式会社 鞘芯型複合繊維
JPH0941221A (ja) * 1995-07-28 1997-02-10 Toray Ind Inc 快適性に優れた合成繊維
JPH0941204A (ja) * 1995-07-31 1997-02-10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ストッキング
JPH111825A (ja) * 1997-04-09 1999-01-06 Unitika Ltd 吸放湿性ポリアミド複合繊維の製造法
JPH1121724A (ja) * 1997-07-01 1999-01-26 Kuraray Co Ltd 改質された複合繊維
JPH11158728A (ja) * 1997-11-25 1999-06-15 Unitika Ltd 抗菌性を有する吸放湿性複合繊維
ES2267252T3 (es) * 1998-03-24 2007-03-01 Unitika Ltd. Fibra sintetica capaz de absorber y desorber la humedad, hilo enmarañado y mezclado que utiliza dicha fibra, articulos de punto y tejidos que utilizan dicha fibra y tela no tejida que la utiliza.
JP2001055633A (ja) * 1999-08-09 2001-02-27 Unitika Ltd 抗菌性を有する吸放湿性複合繊維
TW550313B (en) * 2000-05-22 2003-09-01 Toray Industries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fiber and polyester composition
JP2004091988A (ja) * 2002-09-02 2004-03-25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52674B2 (ja) * 2002-09-17 2009-10-28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およびストッキングおよびインナーウエアー
JP5297331B2 (ja) * 2008-10-17 2013-09-25 Kbセーレン株式会社 芯鞘型複合繊維
US9394631B2 (en) * 2011-09-30 2016-07-19 Toray Industries, Inc. Core-sheath composit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299500B1 (en) * 2015-05-22 2020-10-21 Toray Industries, Inc. Hygroscopic core-sheath conjugate yar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0766A1 (en) 2016-06-23
CN107002304A (zh) 2017-08-01
TWI668342B (zh) 2019-08-11
US20170342606A1 (en) 2017-11-30
EP3235932A1 (en) 2017-10-25
EP3235932A4 (en) 2018-06-27
TW201634770A (zh) 2016-10-01
EP3235932B1 (en) 2021-02-24
WO2016098717A1 (ja) 2016-06-23
AU2015364882A1 (en) 2017-06-22
ES2867529T3 (es)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5806A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WO2017114313A1 (zh) 芯鞘型复合纤维、假捻丝和纤维构造体
JP2016204784A (ja) 吸湿性、接触冷感に優れたポリアミド系芯鞘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KR102465144B1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EP3388562B1 (en) Moisture-absorbing core-sheath composite yarn, and fabric
KR102575877B1 (ko) 흡습성, 주름방지성이 우수한 심초 복합 단면섬유
US10400358B2 (en) Nylon based filaments, yarns, and fabrics
JP6939102B2 (ja) 吸湿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仮撚糸および繊維構造体
JP6600969B2 (ja) 吸放湿性能に優れた芯鞘複合断面繊維
JP6690160B2 (ja) 耐久性に優れた制電性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
WO2020262511A1 (ja) 芯鞘複合糸及び布帛
JP2016117979A (ja) 洗濯耐久性に優れた吸湿性芯鞘複合糸
JP2016132828A (ja) 吸湿性芯鞘複合糸
WO2017165552A1 (en) Nylon based yarns and fabrics
JP2018076613A (ja) 吸湿性芯鞘複合糸
TW202231949A (zh) 聚醯胺芯鞘複合纖維及布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