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076510A -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510A
KR20170076510A KR1020150186849A KR20150186849A KR20170076510A KR 20170076510 A KR20170076510 A KR 20170076510A KR 1020150186849 A KR1020150186849 A KR 1020150186849A KR 20150186849 A KR20150186849 A KR 20150186849A KR 20170076510 A KR20170076510 A KR 2017007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heat dissipation
shielding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032B1 (ko
Inventor
신휘철
김종은
서재형
강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5018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2J17/00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은 방열층; 자기장 차폐층; 및 방열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WPT용 안테나, NFC용 안테나 및/또는 MST용 안테나의 특성을 선택적 또는 이들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충전 발열을 감소시키고, 방열 효과가 우수하며, 박리화된 차폐성 방열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All-in-one type heat radiation unit having magnetic shielding for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편화, 충전 발열 감소 및 무선 충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에 탑재된 2차 전지의 충전 방법에는, 2가지 타입의 충전 방식, 즉 접촉형 충전 방식과 비접촉형 충전 방식이 있다. 접촉형 충전 방식은 수전 장치의 전극과 급전 장치의 전극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충전을 행하는 방식이다.
접촉형 충전 방식은 그 장치 구조가 단순하므로 폭넓은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수반하여 각종 전자 기기의 중량이 가벼워짐에 따라, 수전 장치의 전극과 급전 장치의 전극간의 접촉압이 부족하여, 충전 불량(충전 오류)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2차 전지는 열에 약하여 전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과방전 및 과충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회로 설계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에 비접촉형 충전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비접촉형 충전 방식은 수전 장치와 급전 장치의 양쪽에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충전 방식이다.
비접촉형 충전기는 페라이트 코어를 자심으로 하여 그 둘레에 코일을 권회함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위해, 페라이트 분말과 아몰퍼스 분말을 혼합하여 수지기판을 형성하여 이 수지 기판에 코일 등을 실장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페라이트는 얇게 가공하면, 부러지기 쉽고 내충격성이 약하여, 기기의 낙하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해 수전 시스템에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 기기의 박형화에 대응하여 수전 부분을 박형화하기 위해, 코일에 금속 분말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형성된 평면 코일을 채용하였다. 평면 코일과 자성 시트를 사용하여 결합을 강화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제안된 구조에서는, 자성체(자성 시트)는 1차, 2차 코일간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송전 속도가 커지면, 인접한 변압기간의 결합뿐만 아니라, 그 주변 부품에서 발열에 의한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즉, 평면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 평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이 기기 내부의 기판 등에 연결되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장치 내부가 발열하게 된다. 그 결과, 큰 전력을 송신할 수 없어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와전류에 의해서, 장치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리 포일(Cu foil), 카본 물질(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소재와 같은 소재를 방열부재로 도입하여 발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왔는데, 이와 같은 기존의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에 사용되는 구리 포일(Cu foil), 카본 물질 소재의 방열부재는 방열효과는 우수하나, 이러한 기존의 방열부재는 소재 자체 특성상 누설 자기장이 발생하여 와전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무선충전기의 충전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또한, 방열부재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여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에 열을 가하게 되어 충전 효율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식별), 근거리 무선통신(NFC), 무선충전(WPT), 대화형 펜 타블렛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NFC는 전자태그인 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방식으로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또한, 최근 구글이 발표한 스마트폰에 구비된 '안드로이드 빔'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의 근거리 정보 송수신 기능으로서,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사진·명함·파일·지도·웹사이트 등을 한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에 대한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따라, 2차 전지에 사용되는 방열부재와 차폐부재의 복합화(또는 일체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2차 전지의 박형화는 무선 충전 기술에서도 요구되고 있으나, 카본 물질 소재의 기존 방열부재를 도입하여 차폐부재를 복합화하는 기존 기술들은 충전 효율 증대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선전력 충전모듈, 특히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무선충전방식에서 요구되는 차폐성능은 물론 방열성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721462(2007년 5월 17일)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076683호(2002년 3월 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방열시트(또는 방열필름) 및 상기 차폐시트(또는 차폐필름)를 복합화(또는 일체화)하여 무선전력 충전모듈의 전체 두께를 줄이면서도 방열성 및 차폐성이 우수하여 무선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방열층; 및 자기장 차폐층;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은 방열접착제(radiation adhesive)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층, 자기장 차폐층 및 방열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 및 자기장 차폐층은 시트 또는 필름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의 열전도성 분말은 스테인레스(SUS) 분말, 질화붕소(BN) 분말 및 다이아몬드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분말은 평균입경 1㎚ ~ 4.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은 평균두께 5㎛ ~ 30㎛이고,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평균두께 15㎛ ~ 40㎛이며, 상기 방열접착제층은 평균두께 2㎛ ~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 및 자기자 차폐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평균두께 2㎛ ~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은 비저항값이 비저항값이 1.7×10-8Ω·m 이상이고, 열전도도값이 400 W/m·K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의 하단면에 보호층 또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접착제층의 상단면에 보호층 또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층 및 자기장 차폐층 사이에 단열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접착제층은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며, 접착제 패턴과 이웃한 접착제 패턴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공간은 방열층 방향으로부터 무선전력 충전모듈 방향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단열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WPT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층; 및 NFC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층의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다른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과 적어도 일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층의 총 두께는 다른 하나의 층의 총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구비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층에 구비되고, 상기 제1층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페라이트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및 MgCuZn계 페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 및 안테나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차폐성 방열유닛의 방열접착제층 방향으로 차폐성 방열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유닛은 WPT(wireless power transfer)용 안테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안테나 및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안테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력 충전모듈은 무선전력 충전수신장치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 및 방열 성능을 모두 갖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으로서, WPT용 안테나, NFC용 안테나 및/또는 MST용 안테나의 특성을 선택적 또는 이들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비저항을 증가시켜서 와전류(eddy current) 손실(loss) 줄여서 충전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전도도가 높아서 방열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 두께가 얇은 차폐성 방열유닛을 제공하여 무선전력 충전모듈 자체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예에 따른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자기장 차폐층이 제1층 및 제2층이 적층되어 구비된 경우의 도 1a의 단면도,
도 1c는 자기장 차폐층이 제2층에 제1층이 삽입되어 구비된 경우의 도 1a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도 2a의 단면도,
도 2d는 방열층 상단에 보호층 또는 이형층이 구비된 경우의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예에 따른 차폐성 방열유닛의 자기장 차폐층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b는 제2층에 제1층이 삽입되어 구비된 자기장 차폐층의 단면도,
도 3c는 도 3b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층의 단면도,
도 4는 자기장 차폐층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층"은 그 형태를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시트(sheet), 필름(film) 또는 판(plate)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면, 방열층은 방열시트, 방열필름, 방열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먼저, 도 1a ~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은 안테나유닛(110), 차폐성 방열유닛(200)을 포함하며, 도 1b 및 도 1c의 단면도와 같이, 자기장 차폐층 구조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200)은 도 2a ~ 도 2d를 참조하면, 자기장 차폐층(120) 및 방열층(130)을 포함할 수 있고, 방열층 상단면에 방열접착제층(140)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자기장 차폐층과 방열층 사이에 단열 접착제층(1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유닛(110)은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일면에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차폐층(120)의 일면에 형성된 방열접착층(140)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박 등과 같은 금속박을 에칭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회로기판(112)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112)의 일면이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12)은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패턴과 회로부가 형성되는 기체가 되는 요소로서, 내열성 및 내압성을 가지며,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의 물성을 고려할 때, 상기 회로기판(112)으로서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PI(polyimid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양 단부에는 상기 회로기판(112)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인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송출되거나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신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전송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유도 방식 충전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충전, 근거리 통신 등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용 안테나(114c), 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안테나(114a) 및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안테나(114b)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WPT용 안테나, NFC용 안테나 및 MST 안테나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안테나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종의 안테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은 WPT용 안테나(114c) 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회로기판(112)의 외곽을 따라 미세한 선폭의 직사각형 형태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되고, WPT용 안테나(114c)는 전력 전송이 요구되며 NFC용 안테나(114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NFC용 안테나(114a)의 내측에 NFC용 안테나(114a)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폐층(1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상기 차폐층(12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차폐층(120)은 박판의 자성시트가 단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자성시트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폐유닛(120)은 도 3a ~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제1층(121) 및 제2층(122)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층(121)은 상기 제2층(1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1층(121)은 WPT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투자율을 갖는 제2층(122)은 NFC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층(121)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층(122)은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고려할 때 Fe계 자성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및 MgCuZn계 페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가 NiZn 소결 페라이트 및 MgCuZn계 페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층(121a, 121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복수 개의 리본시트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제1층(121, 121a, 121b) 및 제2층(122)을 위에 언급한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제1층(121) 및 제2층(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폐층(120)이 복수 개의 시트층 또는 필름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이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층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24)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층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시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24)은 각각의 시트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24)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층(124)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층(121) 및 제2층(122)이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경우 미세 조각들 사이에 흡수되어 미세 조각들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층(120)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의 특성을 각기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전체적인 총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b 및 도 3c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층(121) 및 제2층(122) 중 어느 하나의 층에는 다른 하나의 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4, 124')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124, 124')에 다른 하나의 시트층을 삽입함으로써 전체적인 총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24, 124')에 삽입되는 층의 총 두께는 상기 수용부(124, 124')가 형성된 층의 총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구비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차폐층(120)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층(121) 및 제2층(122) 중 상기 수용부(124, 124')에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과 적어도 일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부(124,124')에 삽입된다.
이러한 수용부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121) 및 제2층(122) 중 어느 하나의 시트층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된 수용홈(124')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층을 관통하는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 및 관통구는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층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폐층(12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접착층(134) 및 방열접착제층(140)이 배치되어 상기 수용홈 및 관통구에 삽입된 시트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WPT용 안테나(114c)가 NFC용 안테나(114a)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124, 124')가 NFC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층(122)에 형성되며 상기 WPT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층(121)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층(122)의 중앙영역에 수용홈 또는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제1층(121)이 삽입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층(121)은 총 두께가 상기 제2층(122)의 총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용부가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층(121)은 상기 제2층(122)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124')의 깊이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가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층(121)은 상기 제2층(122)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제1층(1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층(121)의 상부면 및 제2층(122)의 상부면은 서로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차폐층(120)의 전체 두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층(12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24, 124')에 삽입된 제1층(121)의 두께는 제2층(122)의 두께에 포함되어 생략되므로 차폐유닛(120)의 전체 두께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전체 두께 역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전체 두께를 0.8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6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이하로 설계하더라도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두께를 상술한 두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매우 얇은 두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임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1층(121)은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내측에 배치되는 WPT용 안테나(114c)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층(121)을 통해 WPT용 안테나(114c)의 전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WPT용 안테나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층(121)은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내측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층(121)은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내측 영역은 포함하되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직상부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적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층(121)은 안테나유닛(110)에 MST용 안테나(114b)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MST용 안테나(114b)의 직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NFC용 안테나(114a)가 WPT용 안테나(114c)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가 WPT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층(121)에 형성되며 상기 NFC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층(122)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방열층(1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방열층(130)은 상기 차폐층(120)의 일면에 배치되어 무선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열층(130)은 도 1a ~ 도 1c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1d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더불어, 상기 방열층(130)은 상기 차폐층(12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열층(130)은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면서도 방사율을 높여 방열효과를 높이고, 비저항을 증가시켜서 와전류(eddy current) 손실(loss) 줄여서 충전 발열을 감소시키셔,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방열층은 평균입경 1㎚ ~ 4.5㎛을 갖는 열전도성 분말을,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10㎚ ~ 3.0㎛을 갖는 열전도성 분말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0㎛를 갖는 열전도성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도성 분말로는 스테인레스(SUS) 분말, 질화붕소(BN)분말, 질화알루미늄 분말 및 다이아몬드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분말 및 질화붕소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층은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성 분말을 수지에 분산시켜서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이를 시트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경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지를 용매와 혼합하여 점도 및 용해도를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실리콘 변성 에폭시 수지, 2관능 이상의 다관능 에폭시 수지, 페녹시 수지, 부타디엔 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 고무 수지 및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로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 이소부틸케톤(MIBK),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크실렌(Xylene) 및 메틸셀로솔브(MCS, Methyl Cellosove)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폴리머는 상기 수지, 용매 및 열전도성 분말 외에 충진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분산제, 난연제,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시트 또는 필름의 충진성을 부여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형 또는 판상형의 무기 충진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를 들면, CaCO3, PbO 등과 같은 무기 충진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는 방열시트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산화방지제를, 일례를 들면, ZnO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백화(blooming)현상이 발생되고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정량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방열층에 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가소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연질화되어 탄성율이 저하되고, 너무 적으면 인장이 너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가소제의 일례로는 프로세스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프리폴리머의 각 성분들을 혼련할 때, 균일한 조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분산제를 적정량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로는 인계난연제 및/또는 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할로겐계 인계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는 시트화 및/또는 필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산무수물계 경화제,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지환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종 아민계 경화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화촉진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경화촉진제로는 2-메틸 이미다졸, 2-에틸-4-메틸 이미다졸, 2-페닐 이미다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적정량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층(130)은 시트화 또는 필름화시킨 후, 이의 비저항값 및 열전도도를 측정하면, 비저항값이 1.7×10-8Ω·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10-8Ω·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8Ω·m 이상으로 매우 높은 비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400 W/m·K 이하의 열전도도 값을, 바람직하게는 250 W/m·K 이하의 열전도도 값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W/m·K 이하의 열전도도 값을 가진다.
또한,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차폐층(120)과 방열층(130) 사이에는 접착제층(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134)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폐층(120) 하단면에 형성된 상기 방열접착층(140)은 점착 성질 또는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pressure-sensitive)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열전도성 입자로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화이버; 그라핀;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산화아연 또는 산화지르코늄 등의 금속산화물;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또는 질화규소 등의 금속질화물; 다이아몬드; 및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아연 등의 금속입자;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는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극성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폐성 방열유닛(200)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접착제층(140)의 하단면에 릴리즈 시트 또는 릴리즈 필름 형태의 보호층 또는 이형층(150)을 더 형성시킬 수 있으며, 방열층(130)의 상단면에도 릴리즈 시트 또는 릴리즈 필름 형태의 보호층 또는 이형층(150)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성 방열유닛(200)은 박리화가 가능토록 일체형으로 복합화된 유닛으로서, 도 2c 및/또는 도 2d에 개략도로 도시한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방열층은 평균두께 5㎛ ~ 30㎛로,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 5㎛ ~ 25㎛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 5㎛ ~ 20㎛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134, 또는 단열 접착제층)은 평균두께 2㎛ ~ 10㎛로,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 2㎛ ~ 8㎛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 2㎛ ~ 6㎛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며, 접착제 패턴과 이웃한 접착제 패턴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단열 접착제층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격 공간을 갖도록 접착제층을 형성시켜서 방열층 방향에서부터 무선전력 충전모듈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차폐층(120)은 평균두께 15㎛ ~ 40㎛로, 바람직하게는 15㎛ ~ 35㎛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30㎛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접착제층(140)은 평균두께 2㎛ ~ 10㎛로, 바람직하게는 3㎛ ~ 8㎛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6㎛로 형성시키는 것이 박리화면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200)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은 Qi 방식에 적용될 수도 있고, 차폐성 방열유닛(200)의 차폐층(120)과 안테나유닛(110) 사이에 자기력선을 유도하는 별도의 어트랙터(미도시)가 구비되어 PMA 방식의 무선충전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이 수신모듈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백커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무선전력 충전모듈
110 : 안테나유닛 112 : 회로기판
114a : NFC용 안테나 114b : MST용 안테나
114c : WPT용 안테나 120,120',120” : 자기장 차폐층
121, 121a, 121b : 제1층 122 : 제2층
124 : 접착층 134 : 접착층 또는 단열접착제층
130 : 방열층 140 : 방열접착제층
150 : 보호층 또는 이형층
200 :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Claims (21)

  1. 방열층 및 자기장 차폐층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방열접착제(radiation adhesive)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열층, 상기 자기장 차폐층 및 상기 방열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평균입경 1㎚ ~ 4.5㎛인 열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성 분말은 스테인레스(SUS) 분말, 알루미나(Al2O3) 분말, 질화알루미늄(AlN) 분말, 질화붕소(BN) 분말 및 다이아몬드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평균두께 5㎛ ~ 30㎛이고,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평균두께 15㎛ ~ 40㎛이며, 상기 방열접착제층은 평균두께 2㎛ ~ 10㎛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비저항값이 1.7×10-8Ω·m 이상이고, 열전도도값이 400 W/m·K 이하인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의 하단면에 보호층 또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접착제층의 상단면에 보호층 또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8. 제2항에 있어서, 단열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 접착제층은 방열층 및 자기장 차폐층 사이에 구비된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접착제층은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며,
    접착제 패턴과 이웃한 접착제 패턴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WPT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층; 및 NFC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다른 하나의 층이 수용된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 중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과 적어도 일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층에 구비되고, 상기 제1층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페라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및 MgCuZn계 페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어 이루어지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이며,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를 가지는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차폐성 방열유닛; 및 WPT(wireless power transfer)용 안테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안테나 및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안테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차폐성 방열유닛의 방열접착제층 방향으로 차폐성 방열유닛이 배치되어 구비된 무선전력 충전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은 무선전력 충전수신장치모듈인 무선전력 충전모듈.
KR1020150186849A 2015-12-24 2015-12-24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KR10256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849A KR102565032B1 (ko) 2015-12-24 2015-12-24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849A KR102565032B1 (ko) 2015-12-24 2015-12-24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510A true KR20170076510A (ko) 2017-07-04
KR102565032B1 KR102565032B1 (ko) 2023-08-09

Family

ID=5935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849A KR102565032B1 (ko) 2015-12-24 2015-12-24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3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3961A (zh) * 2018-11-19 2019-01-11 苏州威斯东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充电的高效率超薄接收端模组
WO2019017646A1 (ko) * 2017-07-17 2019-01-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장치
WO2019050157A1 (ko) * 2017-09-07 2019-03-14 엘지이노텍(주) 무선충전 코일 및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WO2019124755A1 (ko) * 2017-12-20 2019-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200014126A (ko) * 2018-07-31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되어 형성된 다수의 코일 안테나들을 갖는 전자 장치
KR20200047095A (ko)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차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WO2021101328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20210136880A (ko) * 2020-05-08 2021-11-17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단열 컴포넌트를 갖는 어셈블리
WO2022250495A1 (ko) * 2021-05-28 2022-12-01 신혜중 무선 충전 안테나 제조 키트 및 무선 충전 안테나의 제조 방법
KR20230019280A (ko) * 2021-07-29 2023-02-08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자기장 차폐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넷 타입 무선충전용 수신장치
US11688542B2 (en) 2017-07-17 2023-06-27 Amogreentech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6683A (ja) 2000-08-23 2002-03-15 Nitto Shinko Kk 電磁波吸収性放熱シート
KR100721462B1 (ko) 2004-05-31 2007-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방열시트
KR20140105327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안테나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 커버 제조 방법
KR101573900B1 (ko) * 2014-07-02 2015-12-02 가드넥(주) 전자파 차폐기능 및 방열 효율이 우수한 전자 테이프
KR20150143302A (ko) * 2014-06-13 2015-12-23 애플 인크. 열확산 필름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6683A (ja) 2000-08-23 2002-03-15 Nitto Shinko Kk 電磁波吸収性放熱シート
KR100721462B1 (ko) 2004-05-31 2007-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방열시트
KR20140105327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안테나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 커버 제조 방법
KR20150143302A (ko) * 2014-06-13 2015-12-23 애플 인크. 열확산 필름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KR101573900B1 (ko) * 2014-07-02 2015-12-02 가드넥(주) 전자파 차폐기능 및 방열 효율이 우수한 전자 테이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8542B2 (en) 2017-07-17 2023-06-27 Amogreentech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WO2019017646A1 (ko) * 2017-07-17 2019-01-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장치
WO2019050157A1 (ko) * 2017-09-07 2019-03-14 엘지이노텍(주) 무선충전 코일 및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WO2019124755A1 (ko) * 2017-12-20 2019-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200014126A (ko) * 2018-07-31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되어 형성된 다수의 코일 안테나들을 갖는 전자 장치
US10991506B2 (en) 2018-10-26 2021-04-27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for wireless charging,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using same
KR20200047095A (ko)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차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CN109193961A (zh) * 2018-11-19 2019-01-11 苏州威斯东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充电的高效率超薄接收端模组
CN109193961B (zh) * 2018-11-19 2024-04-05 苏州威斯东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充电的高效率超薄接收端模组
WO2021101328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20210136880A (ko) * 2020-05-08 2021-11-17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단열 컴포넌트를 갖는 어셈블리
WO2022250495A1 (ko) * 2021-05-28 2022-12-01 신혜중 무선 충전 안테나 제조 키트 및 무선 충전 안테나의 제조 방법
KR20230019280A (ko) * 2021-07-29 2023-02-08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자기장 차폐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넷 타입 무선충전용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32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032B1 (ko)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CN107371387B (zh) 无线充电用散热单元及包括其的无线电力充电模块
US1044706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US10333358B2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59939B1 (ko)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TWI631772B (zh) 軟磁性層、接收天線、以及包含前者之無線電力接收裝置
KR101656260B1 (ko)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JP2020533940A (ja) 無線電力送信装置
KR20170017416A (ko) 무선충전용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US10607770B2 (en) Shield unit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same
KR101878353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장치
KR20170010734A (ko)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KR102201600B1 (ko) 무선충전용 방열시트
KR20160057247A (ko)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20170223878A1 (en) Magnetic shielding memb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the same
KR20190069365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9111848A1 (ja) コイルモジュール
KR102034231B1 (ko)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15425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50082895A (ko) 연자성 기판
KR102110400B1 (ko)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453465B1 (ko)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102339683B1 (ko)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KR102154257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60054342A (ko)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