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858A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2858A KR20170012858A KR1020150172969A KR20150172969A KR20170012858A KR 20170012858 A KR20170012858 A KR 20170012858A KR 1020150172969 A KR1020150172969 A KR 1020150172969A KR 20150172969 A KR20150172969 A KR 20150172969A KR 20170012858 A KR20170012858 A KR 20170012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men
- water
- sheath
- cabl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01N3/567—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by submitting the specimen to the action of a fluid or of a fluidised material, e.g. cavitation, jet abra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06—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1—Features relating to screening tape per 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시스층 시편에 대해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시스층 시편에 대해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또 다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시스층 시편에 대해 수분 투수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또 다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 4 | ||
구 성 성 분 |
수지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난연제1 | 30 | 30 | 30 | 30 | |||||
난연제2 | 15 | 15 | 15 | 15 | |||||
가소제 | 50 | 50 | 50 | 50 | 20 | 20 | 20 | 20 | |
클레이 | 30 | 30 | 30 | 30 | |||||
안정화제 | 4 | 4 | 4 | 4 | 7 | 7 | 7 | 7 | |
크 기 |
길이(cm) | 8.999 | 20 | 5 | 25 | 8.972 | 20 | 5 | 25 |
폭(cm) | 0.5037 | 20 | 5 | 4 | 0.4760 | 20 | 5 | 4 | |
두께(cm) | 0.09973 | 0.1 | 0.01 | 0.01 | 0.09690 | 0.1 | 0.01 | 0.01 | |
표면적(cm2) | 10.96 | - | - | - | 10.37 | - | - | -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
구리도체 규격(SQ) | 50 | 300 | 500 | 50 | 300 | 500 | |
시 스 층 |
수지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난연제1 | 30 | 30 | 30 | ||||
난연제2 | 15 | 15 | 15 | ||||
가소제 | 50 | 50 | 50 | 20 | 20 | 20 | |
클레이 | 30 | 30 | 30 | ||||
안정화제 | 4 | 4 | 4 | 7 | 7 | 7 |
평가항목 | 평가대상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3 | 실시예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3 | 비교예 4 |
절연저항 |
초기 절연저항 (GΩ) |
- | 72 | - | - | - | 41 | - | - |
열화 후 절연저항(GΩ) | - | 40 | - | - | - | 0.746 | - | - | |
절연저항 감소율(%) |
- | 44 | - | - | - | 98 | - | - | |
tanδ |
초기 tanδ (%) |
- | 12 | - | - | - | 11.6 | - | - |
열화 후 tanδ (%) |
- | 13.2 | - | - | - | 15 | - | - | |
tanδ 증가율 (%) |
- | 10 | - | - | - | 29 | - | - | |
체적저항 |
초기 체적저항 (Ω·㎝) |
- | 2.47×1012 | - | - | - | 3.63×1011 | - | - |
침수 후 체적저항(Ω·㎝) | - | 1.55×1012 | - | - | - | 2.11×1011 | - | - | |
체적저항 감소율(%) |
- | 37 | - | - | - | 42 | - | - | |
정전용량 |
열화 전 정전용량(pF) | - | - | 62.91 | - | - | - | 66.61 | - |
열화 후 정전용량(pF) | - | - | 73.33 | - | - | - | 80.42 | - | |
정전용량 증가율(%) |
- | - | 16 | - | - | - | 21 | - | |
유전율 |
열화 전 유전율 |
- | - | 4 | - | - | - | 3 | - |
열화 후 유전율 |
- | - | 5.4 | - | - | - | 6 | - | |
유전율 증가율(%) |
- | - | 35 | - | - | - | 100 | - | |
파괴전계 |
열화 전 파괴전계 | - | - | 75.569 | - | - | - | 75.615 | - |
열화 후 파괴전계 | - | - | 22.659 | - | - | - | 17.314 | - | |
파괴전계 감소율(%) |
- | - | 70 | - | - | - | 77 | - | |
단기 수분 흡습량 (1일) |
건조 질량 (mg) |
646.7 | - | - | - | 700.9 | - | - | - |
침수 후 질량 (mg) |
646.9 | - | - | - | 703.4 | - | - | - | |
수분흡습량 (mg/cm2) |
0.2746 | - | - | - | 2.5217 | - | - | - | |
장기 수분 흡습량 (14일) |
건조 질량 (mg) |
646.8 | 700.8 | ||||||
침수 후 질량 (mg) |
647.9 | 703.4 | |||||||
수분흡습량 (mg/cm2) |
1.1304 | 2.5782 | |||||||
장기 수분 흡습량 (21일) |
건조 질량 (mg) |
646.8 | 700.9 | ||||||
침수 후 질량 (mg) |
648.2 | 704.2 | |||||||
수분흡습량 (mg/cm2) |
1.3821 | 3.3473 | |||||||
투수성 | 수분 투습량 (gm/sq.M/day) |
- | 4.034501 | - | - | - | 4.651040 | - | - |
기계적 특성 |
열화 후 인장강도(kgf/㎟) | - | - | - | 16.53 | - | - | - | 15.05 |
열화 후 신장율(%) |
- | - | - | 239.5 | - | - | - | 186.35 |
평가항목 | 평가대상 | 실시예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tanδ 평가 |
초기 tanδ(%) | 7.4 | 6.2 | 13.0 | 7.3 | 6.1 | 13.8 |
침수 후 tanδ(%) | 11.3 | 11.8 | 14.8 | 26.8 | 17.9 | 26 | |
tanδ 증가율(%) | 53 | 90 | 14 | 267 | 193 | 88 |
300 : 시스층 400 : 금속차폐층
Claims (19)
-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로서,
상기 시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시스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함량은 40 내지 65 중량%,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무기 첨가제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이며,
상기 시스층의 아래 수학식 2의 수분흡습량이 1.5 mg/cm2 이하인, 전력 케이블.
[수학식 2]
수분흡습량(mg/cm2) = (시스층 시편을 70℃의 물속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측정한 질량 - 시스층 시편의 초기 질량)/시스층 시편의 표면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 시편의 초기 질량은 상기 시스층 시편을 물속에 보관하기 전에 70℃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측정한 질량과 상기 시스층 시편을 물속에 보관한 이후에 70℃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측정한 질량 중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시스층 사이에 금속차폐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의 상기 수학식 2의 수분흡습량이 1.0 mg/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난연제, 클레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훈타이트와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의 혼합물,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수산화탄산마그네슘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표면이 실란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유기 난연제이거나 상기 클레이는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로서,
상기 시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시스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함량은 40 내지 65 중량%,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무기 첨가제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이며,
상기 시스층은 아래 a) 내지 e)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a)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절연저항 감소율이 90% 이하;
b)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가 15% 미만;
c)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하고,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tanδ의 증가율이 25% 이하;
d)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의 일면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타면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체적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케이블 시스층 시편을 40 내지 50℃의 물에 1 내지 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스층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체적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체적저항의 감소율이 40% 이하; 및
e) 챔버 내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이 고정되고 상기 시편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표면 각각이 서로 격리된 제1,2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제1 공간에는 수증기가 순환하고 제2 공간에는 상대습도가 일정하게 조절된 가스가 주입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면서, 상기 제1 공간을 순환하는 수증기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시편을 통과한 수분이 상기 상대습도가 일정하게 조절된 가스의 상대습도를 증가시킨 양인 수분 투수량이 4.5 gm/sq.M/day 이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시스층 사이에 금속차폐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아래 f) 또는 g) 조건을 만족하는, 전력 케이블.
f)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된 케이블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일말단 부분의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수조의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60 내지 80℃로 승온시키고 20 내지 28시간 후에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측정한 tanδ가 20% 이하; 및
g)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된 케이블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일말단 부분의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수조의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하고,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60 내지 80℃로 승온시키고 20 내지 28시간 후에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tanδ 증가율이 100% 이하.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난연제, 클레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훈타이트와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의 혼합물,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수산화탄산마그네슘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표면이 실란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유기 난연제이거나 상기 클레이는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거나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금속차폐층 및 상기 금속차폐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로서,
상기 시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시스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함량은 40 내지 65 중량%,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무기 첨가제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이며,
상기 시스층의 아래 수학식 3의 수분흡습량이 1.5 mg/cm2 이하이고,
[수학식 3]
수분흡습량(mg/cm2) = (시스층 시편을 70℃의 물속에 14일 동안 보관한 후 측정한 질량 - 시스층 시편의 초기 질량)/시스층 시편의 표면적
상기 시스층은 아래 h) 내지 q)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시키거나,
h)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절연저항 감소율이 90% 이하;
i)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가 15% 미만;
j)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부분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시편 중 상기 고압 전극이 연결된 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고, 상기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하고, 상기 물을 40 내지 50℃로 승온시키고 1 내지 4시간 후 상기 시편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tanδ의 증가율이 25% 이하;
k)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의 일면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타면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체적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케이블 시스층 시편을 40 내지 50℃의 물에 1 내지 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스층 시편에 400 내지 600 V의 직류전압을 1 내지 10분 동안 인가하여 체적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체적저항의 감소율이 40% 이하;
l)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에 대해 정전용량을 측정한 후 상기 시편을 70℃의 수조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수조로부터 꺼내어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계산한 정전용량의 증가율이 20% 미만;
m)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에 대해 유전율을 측정한 후 상기 시편을 70℃의 수조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수조로부터 꺼내어 유전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계산한 유전율의 증가율이 100% 미만;
n)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에 대해 상기 시편의 두께 및 절연파괴전압을 측정한 후 상기 시편을 70℃의 수조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수조로부터 꺼내어 절연파괴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계산한 파괴전계의 감소율이 71% 미만;
o) 챔버 내에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이 고정되고 상기 시편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표면 각각이 서로 격리된 제1,2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제1 공간에는 수증기가 순환하고 제2 공간에는 상대습도가 일정하게 조절된 가스가 주입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면서, 상기 제1 공간을 순환하는 수증기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시편을 통과한 수분이 상기 상대습도가 일정하게 조절된 가스의 상대습도를 증가시킨 양인 수분 투수량이 4.5 gm/sq.M/day 이하;
p)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70℃의 수조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수조로부터 꺼내어 규격 IEC 60811-1-1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가 15.5 kgf/㎟ 이상; 및
q) 상기 시스층으로부터 절단하여 분리된 시편을 70℃의 수조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수조로부터 꺼내어 규격 IEC 60811-1-1에 따라 측정한 신장율이 190% 이상;
상기 케이블은 아래 r) 내지 s) 조건을 만족하는, 전력 케이블.
r)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된 케이블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일말단 부분의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수조의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하고,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60 내지 80℃로 승온시키고 20 내지 28시간 후에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tanδ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된 침수에 의한 열화 전후의 tanδ 증가율이 100% 이하; 및
s) 상온의 물이 담긴 수조에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된 케이블 시편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키고 상기 케이블 시편 중 물에 침지되지 않은 일말단 부분의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고압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수조의 물에 접지 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60 내지 80℃로 승온시키고 20 내지 28시간 후에 상기 도체 또는 금속차폐층에 주파수 50 내지 60 Hz의 1 내지 10 kV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후 측정한 tanδ가 20% 이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의 아래 수학식 4의 수분흡습량이 2.0 mg/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수학식 4]
수분흡습량(mg/cm2) = (시스층 시편을 70℃의 물속에 21일 동안 보관한 후 측정한 질량 - 시스층 시편의 초기 질량)/시스층 시편의 표면적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 시편의 초기 질량은 상기 시스층 시편을 물속에 보관하기 전에 70℃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측정한 질량과 상기 시스층 시편을 물속에 보관한 이후에 70℃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측정한 질량 중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난연제, 클레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훈타이트와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의 혼합물,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수산화탄산마그네슘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표면이 실란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유기 난연제이거나 상기 클레이는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076 | 2015-07-24 | ||
KR20150105076 | 2015-07-24 | ||
KR1020150120936 | 2015-08-27 | ||
KR20150120936 | 2015-08-2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5276A Division KR20170012002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055280A Division KR20170012003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102996A Division KR20170012167A (ko) | 2015-07-24 | 2016-08-12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858A true KR20170012858A (ko) | 2017-02-03 |
KR101968799B1 KR101968799B1 (ko) | 2019-04-15 |
Family
ID=5815138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2969A Active KR101968799B1 (ko) | 2015-07-24 | 2015-12-07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
KR1020160055280A Ceased KR20170012003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055276A Ceased KR20170012002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102996A Ceased KR20170012167A (ko) | 2015-07-24 | 2016-08-12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5280A Ceased KR20170012003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055276A Ceased KR20170012002A (ko) | 2015-07-24 | 2016-05-04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KR1020160102996A Ceased KR20170012167A (ko) | 2015-07-24 | 2016-08-12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196879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64620A (zh) * | 2017-09-05 | 2017-12-12 |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 一种阻燃耐火电缆 |
WO2019035526A1 (ko) * | 2017-08-18 | 2019-02-2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갖는 케이블 |
KR20190019799A (ko) * | 2017-08-18 | 2019-02-27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갖는 케이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2381B1 (ko) | 2019-12-06 | 2020-09-04 | 케이비아이코스모링크 주식회사 | 고난연성 전력케이블 |
KR102733604B1 (ko) * | 2022-11-28 | 2024-11-21 | 대한전선 주식회사 | 교류파괴 시험용 전력 케이블 시료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3859A (ja) * | 1997-02-10 | 1998-09-25 | Pirelli Cavi & Syst Spa | 防湿性ケーブル |
JPH11283452A (ja) * | 1998-03-27 | 1999-10-15 | Mitsubishi Cable Ind Ltd | 有機高分子絶縁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2004075837A (ja) * | 2002-08-19 | 2004-03-11 | Asahi Denka Kogyo Kk |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
KR20040038180A (ko) * | 2002-10-31 | 2004-05-08 | 한국전력공사 | 수분침투 억제용 지중 전력케이블 |
KR20070087154A (ko) * | 2000-06-16 | 2007-08-27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알킬실란 및 알킬실란 코폴리머를 이용한 미네랄의 처리 |
KR20110136136A (ko) * | 2010-06-14 | 2011-12-2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이중 금속차폐층을 가지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
KR20120008984A (ko) * | 2010-07-21 | 2012-02-0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내수성과 난연성을 갖는 시스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
-
2015
- 2015-12-07 KR KR1020150172969A patent/KR101968799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5-04 KR KR1020160055280A patent/KR20170012003A/ko not_active Ceased
- 2016-05-04 KR KR1020160055276A patent/KR20170012002A/ko not_active Ceased
- 2016-08-12 KR KR1020160102996A patent/KR20170012167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3859A (ja) * | 1997-02-10 | 1998-09-25 | Pirelli Cavi & Syst Spa | 防湿性ケーブル |
JPH11283452A (ja) * | 1998-03-27 | 1999-10-15 | Mitsubishi Cable Ind Ltd | 有機高分子絶縁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KR20070087154A (ko) * | 2000-06-16 | 2007-08-27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알킬실란 및 알킬실란 코폴리머를 이용한 미네랄의 처리 |
JP2004075837A (ja) * | 2002-08-19 | 2004-03-11 | Asahi Denka Kogyo Kk |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
KR20040038180A (ko) * | 2002-10-31 | 2004-05-08 | 한국전력공사 | 수분침투 억제용 지중 전력케이블 |
KR20110136136A (ko) * | 2010-06-14 | 2011-12-2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이중 금속차폐층을 가지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
KR20120008984A (ko) * | 2010-07-21 | 2012-02-0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내수성과 난연성을 갖는 시스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526A1 (ko) * | 2017-08-18 | 2019-02-2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갖는 케이블 |
KR20190019799A (ko) * | 2017-08-18 | 2019-02-27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갖는 케이블 |
CN111052266A (zh) * | 2017-08-18 | 2020-04-21 | Ls电线有限公司 | 具有阻燃性和耐水性的护套组合物及具有由此形成的护套层的电缆 |
CN111052266B (zh) * | 2017-08-18 | 2021-05-11 | Ls电线有限公司 | 护套组合物及具有由此形成的护套层的电缆 |
US11566119B2 (en) | 2017-08-18 | 2023-01-31 | Ls Cable & System Ltd. | Sheath composition having flame retardancy and water resistance, and cable having sheath layer formed therefrom |
CN107464620A (zh) * | 2017-09-05 | 2017-12-12 |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 一种阻燃耐火电缆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167A (ko) | 2017-02-02 |
KR20170012002A (ko) | 2017-02-02 |
KR20170012003A (ko) | 2017-02-02 |
KR101968799B1 (ko) | 2019-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799B1 (ko) | 난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 |
US10373738B2 (en) | Insulated wire construction with liner | |
US9536635B2 (en) | Insulated wire construction for fire safety cable | |
US10354779B2 (en) | Free air fire alarm cable | |
EP3057108A1 (en) |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wire and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tube | |
KR101936806B1 (ko) | 고난연 저발연성의 절연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케이블 | |
CN111052266B (zh) | 护套组合物及具有由此形成的护套层的电缆 | |
KR20170026752A (ko)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
Mecheri et al. | Influence of moisture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XLPE insulation | |
KR101358514B1 (ko) | 개선된 수밀 특성을 갖는 직류용 해저케이블 | |
KR20170012855A (ko) | 케이블의 내수성 평가 방법 | |
CN104558860B (zh) | 用于制备具有增强的热稳定性的绝缘材料的聚合物树脂组合物 | |
KR20180096174A (ko) | 고전압 케이블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및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
KR102013048B1 (ko) | 구리 부동태화제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 |
RU2540123C1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абель | |
RU211239U1 (ru) | Монтаж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овод | |
Packa et al. | Behaviour of Fire Resistant Cable Insulation with Different Flame Barriers During Water Immersion | |
CN109346220B (zh) | 一种地下电缆防护装置 | |
Sano et al. | Radiation cross-linked polyolefin-insulated wire | |
EP0620563A1 (en) | Telephone cables | |
KR20230103829A (ko) |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
KR20240129592A (ko) | 연피를 대체할 수 있는 보호층을 구비한 플랜트용 케이블 | |
Palinchak et al. | Rubber And plastic insulation | |
JP2006073228A (ja) | 被覆ケーブル・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40129593A (ko) | 연피를 대체할 수 있는 보호층을 구비한 플랜트용 케이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3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