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807A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7807A KR20160137807A KR1020150071454A KR20150071454A KR20160137807A KR 20160137807 A KR20160137807 A KR 20160137807A KR 1020150071454 A KR1020150071454 A KR 1020150071454A KR 20150071454 A KR20150071454 A KR 20150071454A KR 20160137807 A KR20160137807 A KR 20160137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dementia
- alzheimer
- brain tissue
- deriva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를 얻기 위하여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1(=compound 1)의 1H-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1의 13C-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2(=compound 2)의 1H-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2의 13C-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2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3(=compound 3)의 1H-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3의 13C-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3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4(=compound 4)의 1H-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4의 13C-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4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5(=compound 5)의 1H-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5의 13C-NMR을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 중 화합물 5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의 농도 구배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를 측정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분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사론 유도체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한 도이다.
Claims (22)
- 아사론 유도체, 이의 이성체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2,3-디메톡시-5-[(1E)-1-프로펜-1-일]-페놀, β-아사론, 2,4,5-트리메톡시-벤젠아세트알데하이드, 아사론알데하이드, α-아사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2,3-디메톡시-5-[(1E)-1-프로펜-1-일]-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약효 물질은 2,3-디메톡시-5-[(1E)-1-프로펜-1-일]-페놀 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β-아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약효 물질은 β-아사론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2,4,5-트리메톡시-벤젠아세트알데하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약효 물질은 2,4,5-트리메톡시-벤젠아세트알데하이드 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아사론알데하이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약효 물질은 아사론알데하이드 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α-아사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약효 물질은 α-아사론 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은 무기산, 유기산,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가 소엽(Perilla frutescens)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의 분리는 소엽을 메탄올 및 헥산을 순차적인 용매로 적용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아사론 유도체는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층을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분리한 아사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은 용매의 농도구배법(gradient method) 또는 등용매분리법(isocratic method)을 통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불활성 담체, 희석제,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경구형 제제는 정제, 캡슐제, 환제, 산제, 과립제, 현탁화제 또는 시럽제이고,
상기 비경구형 제제는 크림제, 로션제, 연고제, 액제, 겔제, 카타플라스마제, 패취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또는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타크린 (tacrine),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효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i) 소엽을 50 %(v/v) 내지 99 %(v/v)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ii) 위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30 %(v/v) 내지 99 %(v/v) 헥산으로 분획하는 단계;
iii) 위 단계에서 얻어진 헥산층을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하여 제1항의 아사론 유도체를 얻는 단계; 및
iv) 위 단계에서 얻어진 아사론 유도체를 환자에게 투여 가능하도록 제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454A KR101755097B1 (ko) | 2015-05-22 | 2015-05-22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454A KR101755097B1 (ko) | 2015-05-22 | 2015-05-22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7807A true KR20160137807A (ko) | 2016-12-01 |
KR101755097B1 KR101755097B1 (ko) | 2017-07-07 |
Family
ID=5757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1454A Active KR101755097B1 (ko) | 2015-05-22 | 2015-05-22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09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16589A1 (ko) * | 2018-05-09 | 2019-11-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타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197181A1 (ko) * | 2019-03-22 | 2020-10-01 |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9142B1 (ko) | 2020-08-27 | 2024-09-26 | 에이치엘비사이언스 주식회사 |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조성물 |
KR102742032B1 (ko) | 2021-10-15 | 2024-12-1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Plc 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3016A (ko) | 2004-08-05 | 2006-02-09 | 한국식품연구원 |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장애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KR20130051142A (ko) | 2011-11-09 | 2013-05-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
-
2015
- 2015-05-22 KR KR1020150071454A patent/KR10175509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3016A (ko) | 2004-08-05 | 2006-02-09 | 한국식품연구원 |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장애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KR20130051142A (ko) | 2011-11-09 | 2013-05-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16589A1 (ko) * | 2018-05-09 | 2019-11-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타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197181A1 (ko) * | 2019-03-22 | 2020-10-01 |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5097B1 (ko) | 2017-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5097B1 (ko)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
EP3639817B1 (en) | Compositions containing pterosin compound and derivatives thereof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 |
KR20180138555A (ko) | 프테로신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EP3461486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canthoside b extracted from glasswort | |
EP2226077B1 (en) | Extract of Lycoris chejuenis and/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 |
KR101934527B1 (ko) |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EP3632454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 |
KR101940372B1 (ko) | 뇌졸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 |
KR20180130268A (ko) | 괭생이모자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
KR101714259B1 (ko) |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2) | |
KR101784294B1 (ko) |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 |
KR101349113B1 (ko) | 노루궁뎅이 버섯에서 추출된 특정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32074B1 (ko) |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 |
KR101060909B1 (ko) |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716571B1 (ko) |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102021453B1 (ko) | 석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20180058072A (ko) |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1055920B1 (ko) | 탱자로부터 분리한 8-메톡시소랄렌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분리방법 | |
KR102827964B1 (ko) | 트리테르페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1631362B1 (ko) | 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102044232B1 (ko) | 갈색거저리 성충으로부터 BACE-1 또는 AChE에 대한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 |
KR20200000048A (ko) | 체불라닌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44234B1 (ko) | 갈색거저리 성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965304B1 (ko) |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
US20220396580A1 (en) | Tricyclic dilactone compound,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