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130753A -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753A
KR20160130753A KR1020167022721A KR20167022721A KR20160130753A KR 20160130753 A KR20160130753 A KR 20160130753A KR 1020167022721 A KR1020167022721 A KR 1020167022721A KR 20167022721 A KR20167022721 A KR 20167022721A KR 20160130753 A KR20160130753 A KR 2016013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llimator lens
lens
optical signa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959B1 (ko
Inventor
가즈요시 스즈키
가즈모토 곤도
가즈아키 도바
야스히사 나카지마
사토시 미야자키
마사나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예를 들어 광파이버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315)에 유지된다. 플러그 하우징(315)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가압부(313a)에 의해, 콜리메이트 렌즈(311)의 위치를 출사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위치로 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광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신측의 광 커넥터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는 분산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광 신호의 출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OPTICAL CONNECTOR, CABLE, AN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이 기술은,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사되는 광 신호가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종래, 레이저광을 사용한 광 통신에서는, 예를 들어 광 커넥터를 사용한 광파이버 케이블의 접속이 행해지고 있다. 광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서 통신되는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하기 위한 렌즈가 플러그측과 리셉터클측의 한쪽에 설치되고, 다른 쪽에 콜리메이트 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렇게 콜리메이트 광을 사용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통신을 행하도록 하면, 광파이버 케이블의 단부면을 광 검출 등과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지 않더라도 광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광 커넥터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광파이버 케이블의 단부로 이동 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는, 폐쇄 위치일 때에 광파이버 케이블의 광 신호 출사측의 단부면(출사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출사면을 흠집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광파이버 케이블 내에의 광의 입사 등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는 광파이버 케이블의 출사면을 커버함으로써, 광파이버 케이블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콜리메이트 광이 주위의 인간 안구에 입사하여,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47333호 공보
그런데, 광파이버 케이블의 단부로 이동 가능한 셔터를 설치하는 경우, 광 통신에서는 필요로 하지 않는 부재인 셔터가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기술에서는,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광 신호의 출사를 방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술의 제1 측면은,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에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는,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에,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가 유지되어, 하우징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콜리메이트 렌즈가 렌즈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렌즈 구동부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렌즈 유지부와,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는 위치의 방향으로 렌즈 유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유지부는, 수신측 광 커넥터가 소정 위치에 장착될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예를 들어 렌즈 유지부는,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 방향 또는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 방향이며 콜리메이트 렌즈의 측단부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서 회동한다. 또한, 렌즈 구동부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도록 콜리메이트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킨다. 또한, 소정의 발산각은,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가 된다.
이 기술의 제2 측면은,
광파이버 케이블 단부면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를 구비하는 케이블에 있다.
이 기술의 제3 측면은,
광 신호 출력부와,
상기 광 신호 출력부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장치에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에 유지된다. 또한, 하우징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렌즈 구동부에 의해,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콜리메이트 렌즈가 구동된다. 이로 인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광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신측의 광 커넥터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는 분산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광 신호의 출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러그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를 육안으로 본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플러그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를 육안으로 본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콜리메이트 렌즈로서 가변 초점 렌즈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광 커넥터의 구성과 동작
3. 광 커넥터의 제1 실시 형태
3-1. 제1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
3-2. 제1 실시 형태의 동작
4. 광 커넥터의 제2 실시 형태
4-1. 제2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
4-2. 제2 실시 형태의 동작
5. 광 커넥터의 다른 구성과 동작
<1.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기술의 광 커넥터를 사용한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광 통신 시스템(10)은, 정보의 송신측인 소스 기기(12)와 정보의 수신측인 싱크 기기(14)가, 광 전송로 예를 들어 광파이버 케이블(20)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2)는,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출력 가능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소스 기기(12)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배신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셋톱 박스,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여러 가지 콘텐츠나 컴퓨터 데이터 등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서버, 정보 송신 장치 등의 기기이다.
싱크 기기(14)는, 소스 기기(1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시하는 처리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처리 등을 행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14)는 영상 표시 장치나 음성 출력 장치, 기록 장치, 정보 수신 장치 등의 기기이다.
광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 소스 기기(12)나 싱크 기기(14)에 광파이버 케이블(20)을 접속하는 경우, 광 커넥터가 사용된다. 광 커넥터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로 구성되어 있고, 리셉터클(32)에 플러그(31)가 삽입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31)는, 예를 들어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고, 리셉터클(32)은 예를 들어 소스 기기(12)과 싱크 기기(14)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는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광원(41)이 설치되어 있고,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에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러그(31)를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 장착하여, 광파이버 케이블(20)의 타단부에 설치된 플러그(31)를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에 장착한다. 또한, 소스 기기(12)의 리셉터클(32-a)에서는, 송신하는 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레이저광을 광원(41)으로부터 광 신호로서 출사한다. 이렇게 송신하는 정보를 광 신호로서 송신하면,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b)에서는, 광 신호를 광 검출부(42)에 집광하여 광 신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광파이버 케이블(20)을 개재하여 소스 기기(12)와 싱크 기기(14)에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광 통신 시스템(10)에서는, 싱크 기기(14)에 관한 정보 등을, 광파이버 케이블을 개재하여 소스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2. 광 커넥터의 구성과 동작>
광 커넥터는, 송신측 광 커넥터(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에 있어서, 광파이버 케이블(20)이나 광원(41)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렌즈에서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또한,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송신측 커넥터의 하우징은, 콜리메이트 렌즈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송신측 커넥터의 하우징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렌즈 구동부에서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한다. 또한, 송신측 커넥터의 하우징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도록 렌즈 구동부에서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한다. 또한, 송신측 광 커넥터가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고,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콜리메이트 렌즈의 위치를 비접속 위치로 한다. 또한, 송신측 광 커넥터가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는 콜리메이트 렌즈의 위치를 접속 위치로 한다.
<3. 광 커넥터의 제1 실시 형태>
<3-1. 제1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
광 커넥터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에 설치되어 있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도면에서는 하우징이나 광파이버 케이블 등을 단면도에서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송신측 광 커넥터)(31)는, 콜리메이트 렌즈(311), 렌즈 유지부(312), 가압부(313a), 플러그 하우징(315)을 갖고 있다.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광파이버 케이블(20)의 광 신호 출사측의 단부면(출사면)(20a) 측에 설치되어 있고, 광파이버 케이블(20)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렌즈 유지부(312)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유지한다. 렌즈 유지부(312)는, 예를 들어 통 형상이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측에 콜리메이트 렌즈(311)가 고정되어 있다. 렌즈 유지부(312)의 콜리메이트 렌즈(311)가 고정되어 있는 한쪽의 단부측에는 걸림 결합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12a)는, 예를 들어 단부측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지부(312)의 다른 쪽 단부에는 걸림부(312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12b)는 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313a)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플러그 하우징(315)의 지지축(315c)에 삽입되어, 플러그 하우징(315)과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부(312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가압부(313a)는 렌즈 유지부(312)를 광 신호의 출사 방향인 화살표 MA 방향으로 가압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파이버 케이블(20)을 유지함과 함께 렌즈 유지부(312)를 광 신호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에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하는 경우의 리셉터클(32)과의 대향면에, 감합 돌기부(315a)와 지지축(315c)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감합 돌기부(315a)는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고 있고, 리셉터클(32)과의 접속시에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에 삽입된다.
감합 돌기부(315a)의 선단에는,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규제부(315b)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315b)는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부(312b)와 걸어 지지하여, 가압부(313a)에 의해 광 신호의 출사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렌즈 유지부(312)의 출사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감합 돌기부(315a)의 내측에는, 지지축(315c)이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313a)와 렌즈 유지부(312)가 삽입된다. 지지축(315c)은 삽입된 렌즈 유지부(312)를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축(315c)의 대략 중앙에는 광파이버 케이블(20)이 고정되어 있고,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과 콜리메이트 렌즈(311)가 대향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수신측 광 커넥터)(32)은, 렌즈(321)와 리셉터클 하우징(325), 리셉터클 설치부(326) 및 리셉터클 하우징(325)을 갖고 있다.
렌즈(321)는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321)는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에 집광한다.
리셉터클 하우징(325)에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하는 경우의 플러그(31)와의 대향면에 감합 구멍(325a)이 설치되어 있다. 감합 구멍(325a)은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315a)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고,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시에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가 삽입된다.
감합 구멍(325a)의 내부에는,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를 감합 구멍(325a)의 위치로 했을 때,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a)와 대향하는 위치에 맞닿음부(325d)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325d)는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를 감합 구멍(325a)에 삽입하여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a)와 맞닿는다. 따라서, 맞닿음부(325d)에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a)가 맞닿은 상태에서 추가로 플러그(31)가 삽입되면, 지지축(315c)에 설치되어 있는 렌즈 유지부(312)가 광 신호의 출사 방향(가압부(313a)의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광 검출부(42)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측 기판(327)의 회로에 입력한다. 또한,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리셉터클 하우징(325)을 수신측 기판(327)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3-2. 제1 실시 형태의 동작>
이렇게 구성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에 접속되는 플러그(31)로부터의 광 신호(레이저광)가 콜리메이트 광이면, 거리에 따른 광 강도의 감쇠량이 적다. 이로 인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플러그(31)로부터의 출사광이 인간의 안구에 입사하면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31)는 리셉터클(3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비접속 위치로 하고,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비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함으로써,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을 미리 규정된 광량 이하로 한다. 또한, 플러그(31)는 리셉터클(32)과 접속된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접속 위치로 하고, 플러그(31)의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개재해서 리셉터클(32)에 출사되는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도 4는, 플러그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를 육안으로 본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4의 (A)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비접속 위치로서,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A)에서는, 콜리메이트 렌즈(311)의 초점 위치 FP가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의 위치 SP보다도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를 비접속 위치로 하고 있다.
도 4의 (B)는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렌즈(311)에서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는 종래의 플러그(35)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초점 위치 FP와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의 위치 SP를 일치시켜서 플러그(31)에 고정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구성의 플러그(35)에서는, 리셉터클과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콜리메이트 광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1)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보는 경우,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크고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와 리셉터클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렌즈 유지부(312)에 유지되어 있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가압부(313a)에 의해 구동되어 비접속 위치가 되고,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는, 콜리메이트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1)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보는 경우, 출사광이 분산되므로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적어지고,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기기에서는, 안전면에서, 어떤 광 강도를 초과한 광선이 직접, 사람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IEC60825-1/JIS C 6802의 규격에서는, 광원으로부터 70mm 이격된 거리에서 사람의 눈에 상당하는 직경 7mm에 들어가는 광량을 제한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발산각은, 이러한 규격 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콜리메이트 렌즈(3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한다.
도 5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접속 도중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5의 (B)는 접속 완료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와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을 대향시켜, 감합 돌기부(315a)를 감합 구멍(325a)에 삽입하면, 도 5의 (A)과 같이, 플러그(31)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부(312a)가 리셉터클(32)의 맞닿음부(325d)에 맞닿는다. 또한, 플러그(31)를 리셉터클(32)에 삽입하면, 플러그(31)의 삽입에 수반하여 플러그(31)의 렌즈 유지부(312)가 가압부(313a)에 의한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플러그(31)의 플러그 하우징(31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비접속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의 접속이 완료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1)의 렌즈 유지부(312)의 이동이 완료하여,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접속 위치가 된다. 이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의 초점 위치 FP는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의 위치 SP와 일치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플러그(31)로부터 리셉터클(32)에 출사되는 광은 콜리메이트 광이 된다.
또한, 플러그(31)를 리셉터클(32)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를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으로부터 발출한다. 이 경우, 렌즈 유지부(312)는 가압부(313a)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점에서, 렌즈 유지부(312)에 유지되어 있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가압부(313a)에 의해 접속 위치로부터 비접속 위치로 구동된다.
이렇게 구성된 광 커넥터에서는, 소스 기기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는, 소스 기기측의 광 커넥터와 광파이버 케이블 및 싱크 기기측의 광 검출부로 유도되어, 소스 기기와 싱크 기기 사이에서 광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소스 기기측의 광 커넥터의 리셉터클이나 광파이버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면, 거리에 따른 광 강도의 감쇠량이 적기 때문에, 소정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도 광량이 크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커넥터의 비접속시에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비접속 위치로 되어,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신호로서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접속시에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접속 위치로 되어서,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으로서 플러그(31)로부터 리셉터클(32)에 출사되므로,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 사이에서 안정된 광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예시이며,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효과가 얻어져도 된다.
<4. 광 커넥터의 제2 실시 형태>
<4-1. 제2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
광 커넥터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광 신호 송신측의 플러그에 설치되어 있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콜리메이트 렌즈의 측단부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출사하는 플러그(송신측 광 커넥터)(31)는, 콜리메이트 렌즈(311), 렌즈 유지부(312), 가압부(313b), 플러그 하우징(315)을 갖고 있다.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 측에 설치되어 있고, 광파이버 케이블(20)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렌즈 유지부(312)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유지한다. 렌즈 유지부(312)는 예를 들어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 부분에 콜리메이트 렌즈(311)가 고정되어 있다. 렌즈 유지부(312)의 외면측에는 걸림 결합부(312c)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c)가 설치된 위치의 반대측 측단부에는 축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축(314)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압부(313b)는, 렌즈 유지부(312)가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화살표 MB 방향으로 렌즈 유지부(312)를 가압한다.
가압부(313b)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의 일단부를 렌즈 유지부(312), 타단부를 플러그 하우징(315)에 각각 걸어 멈춤하고 있다. 가압부(313b)는 축(314)을 중심으로 하여 렌즈 유지부(312)가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화살표 MB 방향으로 렌즈 유지부(312)를 가압한다.
축(314)은, 후술하는 플러그 하우징(315)의 오목부(315e)에 설치되어 있다. 축(314)은 렌즈 유지부(312)의 축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서 렌즈 유지부(312)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은 광파이버 케이블(20)을 유지함과 함께 렌즈 유지부(312)를 광 신호의 광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플러그 하우징(315)에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하는 경우에 리셉터클(32)과의 대향면에 감합 돌기부(315a)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감합 돌기부(315a)는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고,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에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에 삽입된다.
감합 돌기부(315a)의 선단측에는, 렌즈 유지부(312)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315e)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315e)의 선단측의 벽면은, 렌즈 유지부(312)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315f)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가 입사되는 리셉터클(수신측 광 커넥터)(32)은, 렌즈(321)와 리셉터클 하우징(325), 리셉터클 설치부(326), 광 검출부(42)를 갖고 있다.
렌즈(321)는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321)는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를 광 검출부(42)의 수광면에 집광한다.
리셉터클 하우징(325)에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하는 경우에 플러그(31)와의 대향면에 감합 구멍(325a)이 설치되어 있다. 감합 구멍(325a)은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315a)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고,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에 플러그 하우징(315)의 감합 돌기부(315a)가 삽입된다.
감합 구멍(325a)에는,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를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의 위치로 했을 때,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c)와 대향하는 위치에 맞닿음부(325e)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325e)는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를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에 삽입하여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할 때, 렌즈 유지부(312)의 걸림 결합부(312c)와 맞닿는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325e)가 걸림 결합부(312c)와 맞닿으면, 축(314)에 설치되어 있는 렌즈 유지부(312)는 광 신호의 출사 방향(가압부(313b)의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광 검출부(42)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측 기판(327)의 회로에 입력한다. 또한, 리셉터클 설치부(326)는 리셉터클(32)을 수신측 기판(327)에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리셉터클 하우징(325)을 수신측 기판(327)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4-2. 제2 실시 형태의 동작>
이렇게 구성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싱크 기기(14)의 리셉터클(32)에 접속되는 플러그(31)로부터의 광 신호(레이저광)가 콜리메이트 광이면, 거리에 따른 광 강도의 감쇠량이 적다. 이로 인해,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플러그(31)로부터의 출사광이 인간의 안구에 입사하면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31)는 리셉터클(3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비접속 위치로서,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비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함으로써,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을 미리 규정된 광량 이하로 한다. 또한, 플러그(31)는 리셉터클(32)과 접속된 경우,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접속 위치로서, 플러그(31)의 콜리메이트 렌즈(311)를 개재해서 리셉터클(32)에 출사되는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한다.
도 8은, 플러그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를 육안으로 본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콜리메이트 렌즈를 비접속 위치로서,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콜리메이트 렌즈(311)가 가압부(313b)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하여, 초점 위치 FP가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의 위치 SP보다도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를 비접속 위치로 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렌즈 유지부(312)에 유지되어 있는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가압부(313b)에 의해 구동되어 비접속 위치가 된다. 이로 인해, 광파이버 케이블(20)의 출사면(20a)으로부터의 광 신호는 콜리메이트 렌즈(311)에서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플러그(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31)의 출사광을 육안으로 보는 경우, 출사광이 분산되므로 눈에 들어가는 광량이 적어지고,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접속 도중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9의 (B)는 접속 완료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와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을 대향시켜, 감합 돌기부(315a)를 감합 구멍(325a)에 삽입하면, 도 9의 (A)와 같이, 플러그(31)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부(312c)가 리셉터클(32)의 맞닿음부(325e)에 접한다. 또한, 플러그(31)를 리셉터클(32)에 삽입하면, 플러그(31)의 삽입에 수반하여 플러그(31)의 렌즈 유지부(312)가 가압부(313b)에 의한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플러그(31)의 플러그 하우징(315)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비접속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의 접속이 완료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1)의 렌즈 유지부(312)의 회동이 종료하여,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접속 위치가 된다. 따라서, 플러그(31)로부터 리셉터클(32)에 출사되는 광은 콜리메이트 광이 된다.
또한, 플러그(31)를 리셉터클(32)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플러그(31)의 감합 돌기부(315a)를 리셉터클(32)의 감합 구멍(325a)으로부터 발출한다. 이 경우, 렌즈 유지부(312)는 가압부(313b)에 의해 가압 되어 있는 점에서, 콜리메이트 렌즈(311)는 비접속 위치로 회동한다.
이렇게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 커넥터의 비접속시에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비접속 위치가 되어,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신호로서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된다. 이와 같이,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신호로서 플러그(31)로부터 출사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접속시에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접속 위치가 되어,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으로서 플러그(31)로부터 리셉터클(32)에 출사되므로,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 사이에서 안정된 광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광 커넥터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예시이며,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효과가 얻어져도 된다.
<5. 광 커넥터의 다른 구성과 동작>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31)의 렌즈 유지부(312)를 비접속 위치로서, 광파이버 케이블(20)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하여 플러그(31)로부터 출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하는 변환은, 플러그(31)에 한정되지 않고 리셉터클(32)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 신호의 송신 기기에 설치된 리셉터클(32)의 렌즈(321)를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여, 플러그(3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하여 출사해도 된다.
이와 같이, 광 신호의 송신측 기기에 설치된 리셉터클(32)에서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을 가진 신호로 변환하여 출사하면, 광파이버 케이블(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출사된 광 신호에 의해,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광 커넥터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이 비접속 상태일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광 신호의 출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광 커넥터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광 신호의 출사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발산각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비접속 상태일 때, 콜리메이트 렌즈를 이동시켜,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의 광으로 변환하는 처리는, 콜리메이트 렌즈의 이동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트 렌즈로서 가변 초점 렌즈(311a)를 사용하여,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이 비접속 상태일 때,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이 되는 초점 거리로 한다. 예를 들어 광 신호의 출사면(20a)의 위치 SP보다도 초점 위치 FP가 렌즈측이 되도록 가변 초점 렌즈(311a)를 렌즈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한다. 또한,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이 접속 상태일 때,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는 초점 거리, 예를 들어 광 신호의 출사면(20a)의 위치 SP와 초점 위치 FP가 일치하도록 가변 초점 렌즈(311a)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콜리메이트 렌즈를 이동시키지 않고, 광 신호의 발산각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을 접속했을 때, 광 신호의 출사면과 광 검출부의 수광면이 직선 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광 신호의 광로 상에 거울 등의 방향 변환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콜리메이트 광 또는 발산각을 갖는 광 신호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31)와 리셉터클(32)의 형상이나 배치 등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효과가 얻어져도 된다.
또한, 광 신호를 소정의 발산각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렌즈가 설치된 광 커넥터는, 광파이버 케이블과 별개로 제공되어 있어도 되고, 광 커넥터가 일체화된 광파이버 케이블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상술한 기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 기술의 실시 형태는, 예시라고 하는 형태에서 본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청구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기술의 광 커넥터는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
(2)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렌즈 유지부와,
상기 렌즈 유지부를,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1)에 기재된 광 커넥터.
(3)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가 소정 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2)에 기재된 광 커넥터.
(4)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광 커넥터.
(5)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 방향이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측단부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광 커넥터.
(6)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1)에 기재된 광 커넥터.
(7)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 커넥터.
이 기술의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에 의하면,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와 장착되는 하우징에 유지된다. 또한, 하우징이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렌즈 구동부에 의해,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콜리메이트 렌즈가 구동된다. 이로 인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광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신측의 광 커넥터로부터 출사되는 광 신호는 분산되므로, 시각 기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광 신호의 출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파이버 케이블 등의 광 전송로를 개재하여,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 각종 데이터 등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나 전자 기기를 사용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10…광 통신 시스템
12…소스 기기
14…싱크 기기
20…광파이버 케이블
20a…출사면
31, 35…플러그
32, 32-a, 32-b…리셉터클
41…광원
42…광 검출부
311…콜리메이트 렌즈
311a…가변 초점 렌즈
312…렌즈 유지부
312a, 312c…걸림 결합부
312b…걸림부
313a, 313b…가압부
314…축
315…플러그 하우징
315a…감합 돌기부
315b, 315f…규제부
315c…지지축
315e…오목부
321…렌즈
325…리셉터클 하우징
325a…감합 구멍
325d, 325e…맞닿음부
326…리셉터클 설치부
327…수신측 기판

Claims (9)

  1. 광 전송로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렌즈 유지부와,
    상기 렌즈 유지부를,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는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가 소정 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콜리메이트 광이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광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 방향이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측단부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광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광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발산각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광량이 미리 설정된 광량 이하가 되는 각도로 하는 광 커넥터.
  8. 광파이버 케이블 단부면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를 구비하는 케이블.
  9. 광 신호 출력부와,
    상기 광 신호 출력부로부터의 광 신호를 콜리메이트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유지하여 상기 광 신호의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신측 광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개재하여 출사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발산각을 갖도록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를 구비하는 광 통신 장치.
KR1020167022721A 2014-03-06 2015-01-09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KR102359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3736 2014-03-06
JPJP-P-2014-043736 2014-03-06
PCT/JP2015/050493 WO2015133166A1 (ja) 2014-03-06 2015-01-09 光コネクタとケーブルおよび光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753A true KR20160130753A (ko) 2016-11-14
KR102359959B1 KR102359959B1 (ko) 2022-02-09

Family

ID=5405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21A KR102359959B1 (ko) 2014-03-06 2015-01-09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85836B2 (ko)
EP (1) EP3101458B1 (ko)
JP (1) JP6421815B2 (ko)
KR (1) KR102359959B1 (ko)
CN (1) CN106068474B (ko)
RU (1) RU2678962C1 (ko)
WO (1) WO2015133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1718B (zh) * 2018-04-26 2023-09-05 索尼公司 光通信连接器、光发射器、光接收器、光通信系统和光通信线缆
JP2021192070A (ja) * 2018-09-04 2021-12-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光通信用コネクタ、制御方法および光通信装置
WO2021095164A1 (ja) * 2019-11-13 2021-05-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学装置
WO2022043771A1 (ru) * 2021-04-22 2022-03-03 Владимир ВАХ Узел адаптивного ввода лазерного излучения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5829A2 (en) * 1983-05-07 1984-11-21 Plessey Overseas Limited Optical connectors
JPS63136010A (ja) * 1986-11-28 1988-06-08 Fujitsu Ltd 光フアイバ・レンズアセンブリ
JP2000147324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接続器とこれを用いた光送受信装置
JP2000147333A (ja) 1998-11-18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とこれを利用した光送受信装置
KR20070092288A (ko) * 2004-12-21 2007-09-1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소자
US20130071063A1 (en) * 2011-09-15 2013-03-21 Fujitsu Limited Opt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7768B (en) 1983-02-23 1986-06-04 Plessey Co Plc Optical connectors
DE69327139T2 (de) * 1992-07-10 2000-04-06 Fujitsu Ltd. Laserdiodenmodul
US5351330A (en) * 1993-04-08 1994-09-27 Uniphase Corporation Laser diode-lens alignment
US6168319B1 (en) * 1999-08-05 2001-01-02 Corning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optical fiber collimators
US6374012B1 (en) * 1999-09-30 2002-04-1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ath of an optical beam
JP3922085B2 (ja) * 2002-04-25 2007-05-30 ヤマハ株式会社 光ファイバ束の保持構造
US7163343B2 (en) * 2004-02-10 2007-01-16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Ip Pte. Ltd. Optical module aligned after assembly
JP4952998B2 (ja) * 2007-02-13 2012-06-1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レンズ
US8393802B2 (en) * 2010-09-30 2013-03-12 Apple Inc. Cleanable and self-cleaning fiber optic connector
US20140016897A1 (en) * 2011-08-16 2014-01-16 TeraDiode, Inc. Adjustable Fiber Optic Module System and Method
CN103018849B (zh) * 2011-09-23 2016-03-0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防止对射式光电开关误触发的光学系统
JP6388920B2 (ja) * 2013-05-08 2018-09-12 オプトスカンド エービー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部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5829A2 (en) * 1983-05-07 1984-11-21 Plessey Overseas Limited Optical connectors
JPS63136010A (ja) * 1986-11-28 1988-06-08 Fujitsu Ltd 光フアイバ・レンズアセンブリ
JP2000147324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接続器とこれを用いた光送受信装置
JP2000147333A (ja) 1998-11-18 2000-05-26 Sony Corp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とこれを利用した光送受信装置
KR20070092288A (ko) * 2004-12-21 2007-09-1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소자
US20130071063A1 (en) * 2011-09-15 2013-03-21 Fujitsu Limited Opt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8474B (zh) 2018-06-01
EP3101458B1 (en) 2019-03-20
US9885836B2 (en) 2018-02-06
KR102359959B1 (ko) 2022-02-09
JPWO2015133166A1 (ja) 2017-04-06
CN106068474A (zh) 2016-11-02
EP3101458A1 (en) 2016-12-07
US20170184794A1 (en) 2017-06-29
EP3101458A4 (en) 2017-08-09
RU2678962C1 (ru) 2019-02-04
WO2015133166A1 (ja) 2015-09-11
JP6421815B2 (ja)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0308B2 (en) Multi-channel optical module with polyhedral mirror
JP4922889B2 (ja) 光空間伝送を行う光空間伝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送信器
JP2016156916A (ja) 光データリンク
KR20160130753A (ko)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TW201239429A (en) Receptacle ferrule assemblies with gradient index lenses and fiber optic connectors using same
RU2678961C1 (ru) Оптический разъем, кабель и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JP2008177310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搭載した光トランシーバ
US9369208B2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US20180341073A1 (en) Single-Fiber Bidirectional Sub Assembly
JP2014145671A (ja) レーザレーダ
CN105954838B (zh) 具有将与固定光学单元的表面齐平的半导体光学器件封闭起来的光学单元的光学组件
US6827506B2 (en) Duplex focusing device
KR101660958B1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JP6054468B2 (ja) 光モジュール
US11480743B2 (en) Connector, connector set, cabl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857792B2 (en) Duplex light transceiver module
KR102357195B1 (ko) 광 커넥터와 케이블 및 광 통신 장치
JP2010039115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72028A (ja) 光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れのための光送受信モジュールと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