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685A - 파워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파워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4685A KR20160104685A KR1020167020840A KR20167020840A KR20160104685A KR 20160104685 A KR20160104685 A KR 20160104685A KR 1020167020840 A KR1020167020840 A KR 1020167020840A KR 20167020840 A KR20167020840 A KR 20167020840A KR 20160104685 A KR20160104685 A KR 201601046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nap
- line
- disposed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2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 H01M2/1077—
-
- H01M2/20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제공된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와 배터리 그룹과 파워 연결 부재(407)와 전연 연결 라인(4071)과, 라인 스냅핏(200)을 포함하고, 각 세퍼레이터(10)는: 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몸체(11)와;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1)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며, 스냅핑 홀(1123)이 전방 수용 그루브(14)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3년 12월 31일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754006.3호의 우선권과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대부분의 파워 배터리 모듈들은 다판 구조물 또는 상하 하우징 구조물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를 채택하고 있다. 이런 구조물들이 배터리를 잘 보호할 수는 있지만, 다판 구조물 및 상하 하우징 구조물의 제한으로 인해 배터리들의 조합 모드가 자유롭게 확장되고 발전될 수가 없다. 배터리들의 조합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배터리들을 조합하는 새로운 방식을 다시 디자인하고 다시 개발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다판 및 상하 하우징 구조물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는 파워 배터리 모듈의 자동화된 제조에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관련된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일정 정도로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많은 배터리들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파워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폭넓은 측면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 배터리 그룹, 파워 연결 부재, 파워 연결 라인 및 라인 스냅핏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각각의 세퍼레이터는: 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부분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몸체와; 세퍼레이터 몸체의 좌측 끝단에 배치된 좌측 커버와; 세퍼레이터 몸체의 우측 끝단에 배치된 우측 커버를 포함한다.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고, 스냅핑 홀이 전방 수용 그루브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배터리 그룹은 배터리 챔버들에 대응하여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배터리는 전극 터미널을 구비한다. 파워 연결 부재는 인접한 배터리들의 전극 터미널에 연결된다. 파워 연결 라인은 파워 연결 부재에 연결된다. 라인 스냅핏은 스냅핏 몸체를 스냅핏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라인 그루브를 형성하는 스냅핏 몸체와, 스냅핏 몸체를 세퍼레이터에 고정하기 위해 스냅핏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스냅핑 홀에 스냅되도록 구성된 라인 클래스프를 구비한 스냅피팅 부분을 포함한다.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가짐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는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배터리의 수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직렬 연결, 병렬 연결, 직병렬 연결과 같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라인 스냅핏을 가짐으로써, 파워 연결 라인(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그루브 내로 효과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제한될 수 있으며,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사용 과정에서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과 주변 구조물들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파워 배터리 모듈의 안전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라인 클래스프를 포함하고 스냅핏 몸체에 배치된 스냅피팅 부분을 가짐으로써, 라인 스냅핏이 세퍼레이터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라인 스냅핏이 재사용가능하며, 라인 스냅핏을 조립하고 해체하는 것이 용이하며 유지 비용 및 시간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이나 장점들은 이어지는 설명에서 어느 정도 주어지거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어느 정도 명백해지거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실시로부터 알게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이와 같은, 또는 다른 측면들 및 장점들이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어지는 설명들로부터 명확해지고 더욱 쉽게 인지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다른 방향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와 배터리 수용 조립체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들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가 없는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 조립체의 세퍼레이터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스냅핏 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과 세퍼레이터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영역 D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그룹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파워 연결 부재와 배터리 그룹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 부재와 파워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다른 방향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와 배터리 수용 조립체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들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가 없는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 조립체의 세퍼레이터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스냅핏 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 스냅핏과 세퍼레이터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영역 D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그룹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파워 연결 부재와 배터리 그룹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 부재와 파워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요소들은 발명의 설명에 걸쳐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예증적이며 본 개시를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이용된다. 실시예들이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발명의 설명 중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면, '가운데의', '길이방향의', '측방향의', '전방의', '후방의', '우측의', '좌측의', '내측의', '외측의', '하측의', '상측의', '수평의', '수직의', '위의', '아래의', '상방의', '정상의', '바닥의', '내측의', '외측의', '시계방향의', '반시계방향의' 및 이들의 파생어(예컨대, '수평적으로', '하방으로', '상방으로'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 중인 도면들에서 그 시점에 묘사되거나 나타내어진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특정한 방향으로 구축되거나 작동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와 같은 용어들은 여기서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함축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제2'에 의해 한정된 특징들은 그 특징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는 둘 또는 그 이상과 관련이 있다.
발명의 개시의 설명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면, '장착된', '연결된', '결합된', '고정된'의 용어들은 영구적인 연결 또는 탈착가능한 연결, 전자적 연결 또는 기계적 연결, 직접 연결 또는 매개체를 통한 간접 연결, 내부 통신 또는 두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과 같이 넓게 이해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정한 상황에 따라 본 개시에서 특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에'있는 구조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 접촉하는 실시예를 포함하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에 다른 특징이 형성됨으로써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특징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 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 있지 않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고도보다 더 큰 고도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특징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 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 있지 않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고도보다 더 작은 고도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그 성능 및 안전성이 전기 차량에 전체에 대해 중요한 요소일 정도로 전기 차량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 배터리 그룹, 파워 연결 부재(407), 파워 연결 라인(4071) 및 라인 스냅핏(line snap-fit, 200)을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복수의 세퍼레이터(separator, 10)를 구비하며, 세퍼레이터(10) 각각은 세퍼레이터 몸체(11),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 몸체(11)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형성하며, 전방 수용 그루브(groove, 14)가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방 수용 그루브(14)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뒤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후방-전방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냅핑 홀(snapping hole, 1123)이 전방 수용 그루브(14)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좌측 커버(12)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어 있고,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있고,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0)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chamber)를 형성한다.
배터리 그룹은 대응하는 배터리 챔버에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101)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배터리(101)가 하나의 배터리 챔버에 수용되며, 각각의 배터리들(101)은 전극 터미널(411)을 구비한다. 파워 연결 부재(407)는 인접한 배터리들(101)의 전극 터미널들(411)에 연결된다. 파워 연결 라인(4071)은 파워 연결 부재(407)에 연결된다.
라인 스냅핏(200)은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snap-fitting portion, 220)을 포함한다. 스냅핏 몸체(210)는 라인 그루브(line groove, 211)를 규정하며 파워 연결 라인(4071)이 관통하여 지나가고 라인 그루브(211)에 수용된다. 라인 그루브(211)는 스냅핏 몸체(210)를 스냅핏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스냅피팅 부분(220)은 스냅핏 몸체(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라인 스냅핏(200)을 세퍼레이터(10)에 고정하기 위해 스냅핑 홀(1123)에 스냅되도록 구성된 클래스프(clasp, 221)를 구비한다. 즉, 스냅피팅 부분(220)은 스냅핏 몸체(210)를 세퍼레이터(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라인 클래스프(221)를 구비하며, 라인 클래스프(221)는 스냅핏 몸체(210)를 세퍼레이터(10)에 고정하기 위해 스냅핑 홀(1123)에 스냅되도록 적용된다.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은 세퍼레이터 몸체(11) 상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되어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구조가 안정된다.
라인 스냅핏(200)은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을 고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배터리(101)에 연결된 파워 연결 라인(4071)은 라인 스냅핏(200)에 의해 정돈되고 말끔하게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 상으로 한정될 수 있고,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라도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함께 연결될 수 있어서, 임의의 수의 배터리들(101)이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가진 파워 배터리 모듈들(1000)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즉,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되고 개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1)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용량은 세퍼레이터들(100)의 수를 늘임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들(10)의 수를 늘임으로써, 파워 배터리 모듈(1000) 내의 배터리 챔버들의 수 또한 증가될 수 있고, 따라서 더 많은 수용 공간이 파워 배터리 모듈(1000) 내의 추가적인 배터리들(101)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며 배터리(10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과 함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배터리들(101)의 수를 확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배터리들(101)의 직렬 연결, 병렬 연결, 직병렬 연결과 같은)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라인 스냅핏(200)을 가짐으로써 파워 연결 라인(4071)(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은 라인 그루브(211) 내로 효율적이고도 편리하게 제한될 수 있고,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사용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과 주변 구조물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라인 클래스프(221)를 포함하고 스냅핏 몸체(210) 상에 배치된 스냅피팅 부분(220)을 가짐으로써 라인 스냅핏(200)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라인 스냅핏(200)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고, 유지 비용 및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전극 터미널(411)에 연결된 신호 수집 라인(4021), 신호 수집 라인(4021)에 연결된 신호 수집 부재(402)를 더 포함한다. 신호 수집 라인(4021)은 라인 그루브(211)를 통과하여 지나가며 라인 그루브(211)에 수용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관통구멍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은 배터리 챔버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전극을 위한 출구로서 기능하며, 배터리(100)의 양극 및 음극이 배터리들(101)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관통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관통구멍은 폭발 방지액이 주입 구멍을 통해 배터리 챔버로 주입될 수 있는 폭발 방지 밸브의 배치 구멍(621) 또는 주입 구멍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관통구멍의 기능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기능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노치(notch)가 인접하는 세퍼레이터들(10)에 각각 형성되고, 이 2개의 노치들이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관통구멍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적 형상일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복수의 관통구멍들이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즉, 복수의 노치들이 하나의 세퍼레이터(10)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수용 그루브(14)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전방 노치(141)가 전방 수용 그루브(14)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1)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노치(14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1)의 후방 부분이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해, 배터리(101)의 수용 그루브는 단순히 각각의 세퍼레이터(10)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세퍼레이터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제1 세퍼레이터와 인접한 제2 세퍼레이터(10)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101)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10)는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각 세퍼레이터의 후방 부분은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 노치(141)에 상응하는 후방 노치(151)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챔버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구멍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노치(14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후방 노치(1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챔버는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어 배터리(101)를 수용하기 위해 더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된다. 각 세퍼레이터(10)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의 구조가 서로 동일해서 세퍼레이터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노치(141)와 후방 노치(151)가 반원형으로 구성되어서 전방 노치(141)와 후방 노치(151)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구멍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세퍼레이터(10) 각각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복수의 세퍼레이터(10)가 동일한 세트의 몰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조립과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0)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14)과 상하 방향을 따라 전방 수용 그루브들(14)에 대해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열된 2개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2개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14)은 전방 분리 플레이트(111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2개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은 후방 분리 플레이트(110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배터리 챔버들이 2개의 배터리들(101)을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형성되며, 따라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배터리(101)를 수용하는 용량을 더욱 향상시키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구조가 컴팩트해진다.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2개의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배터리 챔버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3개 또는 3개 이상의 배터리 챔버와 같이 더 많은 배터리 챔버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사용하기 쉬우며 높은 확장성을 가지도록 더 많은 배터리들(101)이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서로 대응하는 전방 분리 플레이트(1110)와 후방 분리 플레이트(1101)는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세퍼레이터(10)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6,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몸체(11)는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정상부 에지에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바닥 에지에 배치되며, 좌측 플레이트(114)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연결된 상측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연결된 하측 끝단이 형성되며, 우측 플레이트(115)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에 연결된 상측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연결된 하측 끝단이 형성된다.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몸체(11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10)는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 사이의 연결 강도가 향상되고, 따라서 세퍼레이터(1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배터리(101)에 대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보호도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노치(141)가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 각각의 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노치(141)는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 각각의 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관통구멍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측면 모두에 각각 형성될 수 있어서, 배터리(101)의 전극이 관통구멍들을 통해 배터리 챔버 밖으로 확장될 수 있다. 폭발 방지 밸브의 배치 구멍(621), 주입 구멍 및 전극을 위한 관통구멍의 위치는 배터리(101)의 구조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노치(141)가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복수의 후방 노치(151)가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즉, 복수의 관통구멍들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측면 모두에 형성된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어서, 배터리(101)가 파워 공급 배터리(1000) 내에서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배터리(101)에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배터리(101)가 부풀면,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이 배터리(101)의 변형을 그 두께 방향으로 수용하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환형 단차(142)가 전방 수용 그루브(14) 및 후방 수용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환형 단차(142)는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에 배치된다. 환형 단차(142)를 배치함으로써, 전방 수용 그루브(14) 및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는 배터리(101)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을 보장한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의 표면이 바닥 벽체의 주변부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의 표면은 바닥 벽체의 주변부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따라서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을 보장한다.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의 표면은 수직 플레이트(111)의 표면일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안전성과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세퍼레이터(10)는 PPO(poly phenylene oxid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polycarbonate)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와 같이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복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높은 강도를 가지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한 충돌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배터리(10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이 사출성형 과정에서 이들 소재로 매립될 수 있어서, 세퍼레이터(10)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게다가, 세퍼레이터(10)는 사출성형 이후에 직접적으로 탈형될 수 있어서, 세퍼레이터(10)가 제조하기에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단차(118)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단차(119)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함께 조립될 때,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전방 단차(118)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후방 단차(119)와 겹쳐진다. 유사하게,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0)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전방 단차(118)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후방 단차(119)와 겹쳐진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외형이 유려해지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조립 효율성이 향상되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단차(118)는 하방으로 바라보고 후방 단차(119)는 상방으로 바라볼 수 있어서, 대응하는 전방 단차(118)와 후방 단차(119)가 서로 더욱 잘 끼워맞춰질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단차(118)는 하방으로 바라보는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1)와 상방으로 바라보는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2)를 포함하고, 후방 단차(119)는 상방으로 바라보며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1)에 대응하는 제1 후방 단차 세그먼트와 하방으로 바라보며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2)에 대응하는 제2 후방 단차 세그먼트(1191)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퍼레이터들(10)은 서로 더욱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어서, 더 나은 조립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단차(118)과 후방 단차(119)를 각각 2개의 세그먼트로 나눔으로써,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전방 단차(118)와 후방 단차(119)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함께 조립될 수 있으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를 연통시키기 위해 윈도우(1111)가 수직 플레이트(11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가 서로 연통된다. 바꾸어 말해, 수직 플레이트(11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조 소재를 절감하고 비용을 줄인다.
절연 플레이트(16)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17)가 윈도우(1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6)를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배터리들(101) 사이에 절연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열전도 플레이트(17)를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챔버 내에서 배터리(101)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이 또한 증대되며, 배터리(101)의 작동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삽입 구멍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에 형성되고, 삽입 구멍에 줄 맞추어진 삽입 그루브가 수직 플레이트(111)에 형성되며, 절연 플레이트(16)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17)가 삽입 구멍과 삽입 그루브를 통해 윈도우(1111)로 삽입된다. 따라서, 절연 플레이트(16)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17)가 세퍼레이터(10) 상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 도 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11)와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되며,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의 복잡한 조립 공정이 회피될 수 있고, 따라서 조립 속도가 증가한다.
물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11)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11), 좌측 커버(12), 우측 커버913)은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결합 구조물에 의해 세퍼레이터(11)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11), 좌측 커버(12), 우측 커버(13) 중 하나가 손상되었을 때, 전체 조립체를 교환하지 않고 상응하는 하나를 교환하는 것만이 필요하며, 따라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슬롯(snapping slot, 117)이 세퍼레이터 몸체(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삽입 슬롯(117)에 스냅되는 커버 클래스프(cover clasp, 134)가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클래스프(134)를 커버 삽입 슬롯(117) 안에 스냅핑됨으로써,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세퍼레이터 몸체(11)에 각각 배치되어서, 좌측 커버(12)와 세퍼레이터(10) 사이 및 우측 커버(13)와 세퍼레이터(10) 사이의 결합이 간단해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클래스프(134)는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의 상측 및 하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어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세퍼레이터 몸체(11)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114)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 좌상부 연장부(1121)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114)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 좌하부 연장부(1131)를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115)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우상부 연장부(1122)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115)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우하부 연장부(1132)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스냅핑 슬롯(116)이 좌상부 연장부(1121), 좌하부 연장부(1131), 우상부 연장부(1122), 우하부 연장부(1132) 각각에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좌상부 연장부(1121)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좌상부 클래스프(121), 좌하부 연장부(11131)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12)의 우측 표면에 배치되고, 우상부 연장부(1122)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우상부 클래스프(131)와 우하부 연장부(1132)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우하부 클래스프(132)는 우측 커버(13)의 좌측 표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를 세퍼레이터(10) 상에 배치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상부 클래스프(121)와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12)의 우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우상부 클래스프(131)와 우하부 클래스프(132)는 우측 커버(13)의 좌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어서, 좌측 커버(12)와 우상부 클래스프(121) 및 좌하부 클래스프 사이, 및 우측 커버(13)와 우상부 클래스프(131) 및 우하부 클래스프(132)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크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작은 전후 방향 폭을 가진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전후 방향 폭을 가질 경우, 좌측 커버(12) 또는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들(114) 사이 또는 우측 플레이트들(115) 사이의 간극을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좌측 플레이트들(114)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우측 플레이트들(115) 사이에 간극들이 형성될 수 있어서, 좌측 커버(12)가 좌측 플레이트들(114) 사이의 간극을 덮고 우측 커버(13)가 우측 플레이트들(115) 사이의 간극을 덮을 수 있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 방향 폭을 가질 경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좌측 플레이트들(114)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우측 플레이트들(115)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어서,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 좌측 커버(12) 또는 우측 커버(13)이 배터리(101)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의 안전성과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PPO(poly phenylene oxid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polycarbonate)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와 같이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복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높은 강도와 높은 내부식성 및 우수한 내화성을 가지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한 충돌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배터리(10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전방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한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그 후방측 표면에 후방 그루브(21)를 형성한다. 전방 플레이트(20)의 후방 그루브(21)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 중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의 전방 수용 그루브(14)는 가장 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되는데, 예를 들어 전방 플레이트(20)가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그 전방 부분에는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어서, 전방 플레이트(20)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가 쉽고 따라서 재료 및 공간을 절감한다.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후방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한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그 전방 부분에 전방 그루브를 형성한다. 전방 그루브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 중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10)의 후방 수용 그루브는 가장 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되는데, 예를 들어 후방 플레이트(30)가 위의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그 후방 부분에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어서, 후방 플레이트(30)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따라서 재료 및 공간을 절감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좌측 커버(12)가 전방 플레이트(20)의 좌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 커버(13)가 전방 플레이트(20)의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커버(12)가 후방 플레이트(30)의 좌측 측면에 배치되고 우측 커버(13)가 후방 플레이트(30)의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어서, 전방 플레이트(20)와 후방 플레이트(30)가 더욱 잘 보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핑 홀(1123)이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냅핑 홀(1123)은 전방 플레이트(20)의 후방 부분과 후방 플레이트(20)의 후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인 스냅핏(200)이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스냅핏 몸체(210)는 실질적으로 아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즉, 스냅핏 몸체(20)의 폭방향으로 스냅핏 몸체(210)의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고 스냅핏 몸체(210)의 두 끝단 부분들은 스냅핏 몸체(210)의 중간 부분 아래에 위치한다. 개방 부분(214)이 라인 그루브(21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라인 그루브(211)에 삽입되고 라인 그루브(211) 안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더욱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은 개방 부분(214)의 두 측면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이 세퍼레이터(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은 개방 부분(214)의 각 측면에 배치되며, 개방 부분(214)의 두 측면에 배치된 스냅피팅 부분들(220)은 서로 대칭적이다. 즉, 스냅핏 몸체(21)의 폭방향으로, 2개의 스냅피팅 부분들(220)이 서로 대칭적이어서, 라인 스냅핏(200)이 세퍼레이터(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의 제1 끝단은 스냅핏 몸체(210)에 연결되고, 라인 클래스프(221)는 스냅피팅 부분(220)의 제2 끝단에 배치된다. 도 15,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피팅 부분(220)의 상부 끝단은 스냅핏 몸체(210)에 연결되며, 라인 클래스프(221)는 스냅피팅 부분(220)의 하부 끝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이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라인 스냅핏(200)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라인 그루브(211)는: 라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라인 수용 부분(2111); 및 라인 수용 부분(2111)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라인 수용 부분(2111)과 연통된 변이 부분(2112)을 포함한다. 변이 부분(2112)의 측방향 크기는 라인 수용 부분(2111)의 것보다 작으며, 변이 부분(2112)의 하방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특히,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을 조립할 때,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은 라인들 또는 와이어를 변이 부분(2112)의 하방 끝단으로부터 라인 수용 부분(2111)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라인 수용 부분(2111)에 수용될 수 있다.
라인 수용 부분(2111)의 크기는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라인들 또는 오이어들의 크기에 맞추어져야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변이 부분(2112)의 크기는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의 크기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에 수용될 때,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 라인 수용 부분(2111) 밖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조립되고 한정될 수 있다. 변이 부분(2112)의 폭은 너무 커서는 안되며, 그렇지 않다면 변이 부분(2112)이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에 대한 그 제한 효과를 잃을 수도 있으며, 변이 부분(2112)이 너무 작아서도 안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 내로 삽입될 수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라인 수용 부분(2111)의 단면은 도 15,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라인 수용 부분(2111)의 형상은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으며,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에 잘 수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변이 부분(2112)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변이 부분(2112)의 폭은 라인 수용 부분(2111)의 직경보다 작다. 예를 들어, 라인 수용 부분(2111)의 직경의 변이 부분(2112)의 폭에 대한 비율은 1.5:1.2라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변이 부분(2112)으로부터 라인 수용 부분(2111)으로 매끄럽고 용이하게 압박될 수 있는 한편, 라인들 및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과 변이 부분(2112)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변이 부분(2112)의 측방향 크기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점차 감소되어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라인 수용 부분(2111) 내에 더욱 잘 한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라인 수용 부분(2111)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변이 부분(2112)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변이 부분(2112)의 단면은 더 많은 실제 상황의 요구에 적합할 수 있다. 변이 부분(2112)의 단면은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의 형상 및 조립 조건에 따라 타원 형상, 다각형 형상, 불규칙적 형상 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라인 수용 부분(2111)의 내부 벽체 표면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구성되며 필렛(fillet)이 라인 수용 부분(2111)의 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의 표면 상의 절연 레이어가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과 라인 수용 부분(2111) 사이의 장기간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그루브(211)는 제1 라인 그루브(2113)와 제2 라인 그루브(2114)를 포함하며, 스냅피팅 부분(220)은 제1 라인 그루브(2113)의 외부 벽체 표면에 배치되고, 제1 라인 그루브(2113)와 제2 라인 그루브(2114)의 연장 방향들은 교차한다. 따라서, 두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 또한 라인 스냅핏(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의 적용 범위가 확장될 수 있고 라인들 또는 와이어들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제1 라인 그루브(2113)은 제2 라인 그루브(2114)와 수직이며 연통되어 있어서, 라인 그루브(211)가 더욱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라인 스냅핏(200)은 전방 수용 그루브(14)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과 후방 수용 그루브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스냅핑 홀(1123)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라인 스냅핏(200)은 전방 플레이트(20)의 전방 부분과 후방 플레이트(30)의 후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스냅핑 홀(1123)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플레이트(20)의 전방 부분과 후방 플레이트(30)의 후방 부분에 배치된 라인 스냅핏(200)은 제1 라인 그루브(2113)과 제2 라인 그루브(2114)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스냅핏 몸체(210)의 그것보다 작으며, 스냅피팅 부분(220)의 한 끝단의 표면은 스냅핏 몸체(210)의 표면과 같은 높이이다.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피팅 부분(220)의 하부 끝단의 표면은 스냅핏 몸체(210)의 하부 끝단의 표면과 같은 높이이다. 따라서, 소재 소모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라인 스냅핏(200)이 단순하고 합리적인 구조를 갖고, 스냅피팅 부분(220)이 세퍼레이터(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은 스냅핏 몸체(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치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스냅피팅 부분(220)의 크기는 스냅핏 몸체(210)의 그것보다 폭방향 및 상하방향 양쪽으로 더 크다. 즉, 폭방향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의 크기는 스냅핏 몸체(210)의 그것보다 크며, 상하 방향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의 크기는 스냅핏 몸체(210)의 그것보다 크다. 바꾸어 말해, 스냅피팅 부분(220)은 스냅핏 몸체(210)의 외부에 배치되며, 라인 클래스프(221)들은 스냅피팅 부분(220)의 두 끝단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라인 클래스프(221)은 세퍼레이터(10)의 스냅핑 그루브에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라인 스냅핏(200)과 세퍼레이터(120) 사이의 연결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스냅피팅 부분(220)의 라인 클래스프(221)의 크기는 라인 스냅핏(200)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안정성과 라인 스냅핏(200)의 조립 편의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라인 클래스프(221)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라인 클래스프(221)의 인장력 또한 작아서, 라인 스냅핏(200)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연결 강도가 낮을 수 있으며, 라인 스냅핏(200)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다(즉, 라인 클래스프(221)가 진동에 의해 떨어져나갈 수 있다); 라인 클래스프(221)의 크기가 너무 크면, 라인 클래스프(221)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고, 라인 클래스프(221)가 반복적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라인 클래스프(221)가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라인 클래스프(221)의 연장 길이는 라인 스냅핏(200)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약 1밀리미터에서 약 3밀리미터이며,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은 손쉽게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으며, 라인 클래스프(221)는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반복적인 조립으로 인해 부러지지 않을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피팅 부분(220)은 라인 그루브(211)의 제1 끝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한 플랜지(212)가 라인 그루브(211)의 제2 끝단에 배치된다. 즉, 스냅피팅 부분(220)과 제한 플랜지(212)는 길이방향으로 스냅핏 몸체(210)의 두 끝단에 배치되어 있다. 제한 플랜지(212)를 구비함으로써 라인 스냅핏(200)의 그 길이로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라인 스냅핏(200)의 설치 안정성으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보강 리브들(213)이 스냅핏 몸체(210)의 외측 표면과 스냅피팅 부분(220)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의 강도가 증대되며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의 사용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보강 리브들(213)의 수는 2개에서 6개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은 일체로 형성되어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대시키며, 따라서 라인 스냅핏(200)이 안정적인 구조와 긴 사용 수명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이 몰딩된 후에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이 직접적으로 탈형될 수 있고, 따라서 스냅핏 몸체(210)와 스냅피팅 부분(220)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비용도 낮다.
라인 스냅핏(200)의 강도, 내부식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인 스냅핏(200)은 PPO (poly phenylene oxid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polycarbonate) 또는 그 내부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와 같이 고강도, 고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이 편리하며, 조립 절차가 단순화되고 조립 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해, 그 확장성이 향상되며, 그 개발 비용이 감소되고 그 개발 시간이 단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냅핑 구조물(60)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핑 구조물(60)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에 형성된 스냅핑 그루브(6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61)에 스냅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고정하도록 적용된 스냅핑 텅(snapping tongue, 62)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핑 구조물(60)은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냅핑 텅(62)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61)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되 스냅핑 텅(62)에 스냅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고정한다.
이에 더하여, 배치 구멍(621)이 스냅핑 텅(6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치 보스(612)가 스냅핑 그루브(61)의 바닥 벽체 상에 배치되어 배치 구멍(621)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특히, 스냅핑 텅(62)을 스냅핑 그루브(61)로 스냅하기 위해 배치 보스(612)가 배치 구멍(621)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고, 따라서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스냅핑 텅(62)와 스냅핑 그루브(61)는 또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에 대한 위치결정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속도를 향상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0)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는 세퍼레이터(10)의 정상에 위치한다. 스냅핑 그루브(61)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10)는 스냅핑 그루브(61)와 스냅핑 텅(62) 모두를 가져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일렬로 배열될 때,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순차로 서로 스냅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세퍼레이터(10)는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는 세퍼레이터(10)의 바닥에 위치한다. 스냅핑 그루브(61)는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핑 구조물(60)은 한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냅핑 구조물(60)이 단순히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상에 배치되거나, 스냅핑 구조물(60)이 단순히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상에 배치되거나 스냅핑 구조물(60)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동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구조물(60)들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상에 동시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부분이 서로 결합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의 하부 부분 또한 서로 결합되며,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 강도와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가 배터리(101)를 더욱 신뢰성 있게 보호한다.
의 스냅핑 텅(62)이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상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들(62)과 일대일 대응관계인 복수의 스냅핑 그루브들(61)이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냅핑 텅들(62)이 세퍼레이터(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들(62)과 일대일 대응관계인 복수의 스냅핑 그루브들(61)이 세퍼레이터(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 강도 및 결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텅(62)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즉, 스냅핑 텅(62)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의 돌기는 사다리꼴이다. 이에 대응하여 스냅핑 그루브(61)는 스냅핑 텅과 사다리꼴 끼워맞춤일 수 있어서, 스냅핑 텅(62)이 큰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 물론, 본 개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냅핑 텅(62)이 스냅핑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스냅될 수 있는 한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1)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딩 슬로프(guiding slope, 611)가 스냅핑 그루브(61)의 개구에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딩 슬로프(611)는 스냅핑 그루브(612)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그 개구로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가 조립될 때, 가이딩 슬로프(611)는 스냅핑 텅(62)의 장착시 가이딩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냅핑 텅(62)은 가이딩 슬로프(611)를 통해 용이하게 스냅핑 그루브 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되며, 따라서 조립 속도를 향상시키고 조립 난이도를 경감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핑 구조물(60)은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핑 구조물(60)은 스냅핏 그루브(63)와 스냅핏 핀(64)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핏 그루브(63)는 세퍼레이터(10)에 형성되며 스냅핏 핀(64)은 세퍼레이터(10)에 대해 탈착가능한 부재이며 적어도 2개의 장착부들(641)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장착부(641)는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10)의 스냅핏 그루브들(63)에 스냅되어서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연결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또는 인접하지 않은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냅핏 핀(64)를 배치함으로써,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결합하는 것이 편리해지며 세퍼레이터들을 신속하게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조립 방식이 제공된다.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핏 핀(64)은 연결 브리지(6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장착부(641)는 연결 브리지(642)의 두 끝단에 각각 배치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스냅핏 그루브들(63)에 끼워맞춰져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단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와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연결 구조물은 단순하며, 세퍼레이터들(10)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다.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스냅핏 핀(64)을 이용함으로써,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배터리들의 실제 상황에서의 요구에 따라 세퍼레이터들(10)을 임의의 수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스냅핏 그루브들(63)은 개구(631)를 구비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에서 스냅핏 그루브들(63)의 개구들(631)은 서로 마주보고 있어서 연결 브리지(642)를 수용한다. 따라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배치될 때, 스냅핏 핀(64)의 상부 표면은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여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외형이 유려해지고 스냅핏 핀(64)이 스냅핏 그루브(63)로 완전히 매몰되며, 따라서 외력으로 인한 스냅핏 핀(64)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핏 그루브(63)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그루브(63)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64)은 단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 또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핀들(64)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동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다양한 연결 방식이 제공되어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다양한 장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들(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동시적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며,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구조가 안정적이고, 따라서 배터리(101)에 대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더욱 신뢰성 있는 보호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한 더욱 안전한 성능이 제공된다.
이를 대체하여, 장착부(641)가 스냅핏 그루브(63)와 억지 끼워맞춤되거나 장착부(641)가 볼트를 통해 스냅핏 그루브(63)에 끼워맞춰질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와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높은 신뢰성과 높은 결합 강도가 제공되고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작동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를 대체하여, 장착부(641)가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장착부(64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의 돌기는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스냅핏 그루브(63) 또한 장착부(641)에 맞추어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착부(641)의 구조가 다양해지며, 장착부(641)를 세퍼레이터(10) 상에 조립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단차부(6416)가 스냅핏 그루브(63)를 바라보는 장착부(641)의 표면에 형성되고 장착부(641)의 이 단차부(6416)에 대응하는 단차부(632)가 스냅핏 그루브(63)에 형성되어 장착부(641)가 스냅핏 그루브(63)에 더욱 밀착되게 끼워맞춰질 수 있으며, 스냅핑 구조물(60)이 더욱 안정적이고,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브리지(64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2개의 장착부들(641)은 연결 브리지(642)의 길이방향 두 끝단들 상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즉, 장착부(64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실질적인 "묏"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연결 브리지(642)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융기들(6411)이 연결 브리지(642)와 떨어져서 장착부(641)의 외측 끝단 표면 상에 배치된다. 즉, 돌출 융기(641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에 장착되고 있을 때, 장착부(641)는 스냅핏 그루브(63)에 끼워맞춰지고 장착부(641)의 외측 끝단 표면 상에 배치된 돌출 융기(6411)는 위치결정 및 가이딩 기능을 수행하여, 스냅핏 핀(64)이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마찰력이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에 생성되어서 스냅핏 핀(64)의 전체 사용 수명에 걸쳐 스냅핏 핀(64)을 잡아준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돌출 융기(6411)의 단면은 호형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대체하여, 돌출 융기(6411)의 한 쪽 끝단은 돌출 융기(6411)의 다른 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6412)을 가진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융기(6411)의 수직방향에 있는 한 쪽 끝단(예를 들어 상부 끝단)은 돌출 융기(6411)의 수직방향에 있는 다른 쪽 끝단(예를 들어 하부 끝단)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6412)을 가진다. 이를 대체하여, 돌출 융기(6411)의 다른 끝단(예를 들어 하부 끝단)의 단면은 원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도중 스냅핏 핀(64)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해지며, 길이방향으로의 힘이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에 생성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스냅핏 그루브(63)로부터 빠져 나가기 위해 변형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물론,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돌출 융기(6411)는 장착부(641)의 2개의 마주보는 끝단 표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어서,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더 향상되고 따라서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2개의 장착부들(641)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두께 방향으로 장착부(641)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체 구멍(6413)을 구비한다. 스냅핏 핀(64)을 장착하거나 해체할 때, 작업자는 스냅핏 핀(64)를 장착 또는 해체하기 위해 해체 구멍(6413)을 통해 스냅핏 핀(64)을 파지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을 신속히 장착 또는 해체하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다. 이를 대체하여, 해체 구멍(6413)에 끼워진 장착 보스 또는 장착 핀(미도시)과 같은 장착 부재가 스냅핏 그루브(63)의 바닥 벽체 상에 배치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 상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체 구멍들(6413)이 실제 조립 요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641)는 그 두께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베이스(6414)를 구비한다. 바꾸어 말해, 베이스(641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베이스(6414)의 표면은 베이스(6414)에 대응하는 장착부(641)의 표면보다 더 높다. 베이스(6414)는 베이스(6414)에 대응하는 장착부(641)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베이스(6414)를 배치함으로써, 장착부(641)의 구조적 강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의 강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장착부(641)는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베이스(6414)의 연장된 두께는 1 내지 10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6414)의 연장된 두께는 1 내지 3mm이어서, 베이스(6414)는 적절한 두께를 갖고 베이스 스탠드(6414)의 소재가 절감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6422)가 연결 브리지(642)의 표면에 형성된다. 보강 리브(6422)를 배치함으로써, 연결 브리지의 구조적 강도가 강화되고 연결 브리지(642)의 변형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스냅핏 핀(64)의 동작 수명이 증대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보스들(6421)이 연결 브리지(642)의 2개의 측면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연결 브리지(642)의 두 측면 표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보스들(6421)을 배치함으로써,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따라서 스냅핏 핀(64)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복수의 보스들(6421) 각각은 실질적인 반구형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서, 스냅핏 핀(64)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스냅핏 핀(64)이 편리하게 탈형될 수 있다. 보스(6421)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보스(6421)의 크기가 너무 크면 스냅핏 핀(64)을 탈형시키기가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스(6421)의 직경은 1mm로부터 2mm이다. 즉, 보스(6421)의 연결부와 연결 브리지(642)의 직경은 1mm로부터 2mm일 수 있으며, 따라서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을 보장하며 스냅핏 핀(64)의 탈형을 용이하게 한다. 복수의 보스들(6421)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균일하게 된다.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와 스냅핏 핀(64)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협동을 고려하면, 스냅핏 핀(64)의 전체 두께는 8mm에서 15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64)의 전체 두께는 10mm에서 13mm이다. 즉, 스냅핏 핀(64)의 돌기의 상하 방향 두께는 10mm에서 13mm이다. 따라서 스냅핏 핀(64)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재료가 절감되고, 스냅핏 핀(64)을 세퍼레이터(10)와 결합하는 것이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된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핀(64)은 플라스틱 몰딩 부품 또는 플라스틱-금속 혼합 몰딩 부품이다. 예를 들어, 연결 브리지(642), 장착부(641), 돌출 융기(6411), 보스(6421) 및 베이스(6414)는 플라스틱 부품이며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데, 이런 플라스틱 부품들을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고도 편리하다. 연결 브리지(642), 장축부(641), 돌출 융기(6411), 보스(6421) 및 베이스(6414)는 PPO (poly phenylene oxide), PP (polypropylene), PPE (poly phenyl ether)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들은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지며, 이는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 및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따라서 스냅핏 핀(64)이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
이 명세서에 걸쳐 '일실시예' '몇몇 실시예들', '한 실시예', '다른 실시예', '일례', '특정한 예', 또는 '몇몇 예들'과 같은 언급은 그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묘사된 특정한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몇몇 실시예들에서', '한 실시예에서', '일실시예에서', '다른 예에서', '한 예에서', '특정한 예에서', 또는 '몇몇 예들에서'와 같은 어구의 등장은 반드시 본 개시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언급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성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보여지고 묘사되었으나, 앞서의 실시예들이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며, 변경, 대체, 개조가 본 개시의 참뜻, 원리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실시예들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Claims (46)
-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로서, 각각의 세퍼레이터는:
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몸체;
세퍼레이터 몸체의 좌측 끝단에 배치된 좌측 커버; 및
세퍼레이터 몸체의 우측 끝단에 배치된 우측 커버를 포함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고, 스냅핑 홀이 전방 수용 그루브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배터리 챔버들에 대응하여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그룹으로서, 각각의 배터리는 전극 터미널을 구비하는 배터리 그룹과;
인접한 배터리들의 전극 터미널과 연결된 파워 연결 부재와;
파워 연결 부재와 연결된 파워 연결 라인; 및
스냅핏 몸체를 스냅핏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라인 그루브를 형성하는 스냅핏 몸체와, 스냅핏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스냅핏 몸체를 세퍼레이터에 체결하기 위해 스냅핑 홀에 스냅되도록 구성된 라인 크래스프를 구비한 스냅피팅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스냅핏을 더 포함하고,
파워 연결 라인은 라인 그루브를 통과하여 지나가고 라인 그루브에 수용되는 파워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전극 터미널에 연결된 신호 수집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에 연결된 신호 수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신호 수집 라인은 라인 그루브를 통과하여 지나가고 라인 그루브에 수용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후방 부분은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고, 스냅핑 홀이 후방 수용 그루브의 상부 및 하부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노치가 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전방 노치에 대응하는 후방 노치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수직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정상 에지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바닥 에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이 형성된 우측 프레이트를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윈도우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전방 수용 그루브를 후방 수용 그루브와 연통시키고,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가 윈도우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삽입 홀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삽입 홀에 줄 맞춰진 삽입 그루브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는 삽입 홀과 삽입 그루브를 통해 윈도우에 삽입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전방 노치가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들 각각의 전방 에지에 형성되고, 후방 노치가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들 각각의 후방 에지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서 좌상부 연장부를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서 좌하부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서 우상부 연장부를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서 우하부 연장부를 형성하며, 스냅핑 슬롯은 좌상부 연장부, 좌하부 연장부, 우상부 연장부 및 우하부 연장부 각각에 형성되고; 좌상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좌상부 클래스프와 좌하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의 우측 표면에 배치되고, 우상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우상부 클래스프와 우하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우하부 클래스프는 우측 커버의 좌측 표면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커버들은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들의 전후 방향의 폭과 같거나 더 크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의 전후 방향의 폭과 같거나 더 작은 전후 방향 폭을 가지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커버 삽입 슬롯이 세퍼레이터 몸체에 형성되고, 커버 삽입 슬롯에 스냅되기에 적합한 커버 클래스프가 좌측 및 우측 커버들 각각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일체로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환형 단차가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의 표면은 바닥 벽체의 주변으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진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전방 단차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 각각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고, 후방 단차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 각각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5항에 있어서,
전방 단차는 하방으로 바라보고 후방 단차는 상방으로 바라보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5항에 있어서,
전방 단차는 하방으로 바라보는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와 상방으로 바라보는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후방 단차는 상방으로 바라보며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제1 후방 단차 세그먼트와 하방으로 바라보며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제2 후방 단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들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전방 수용 그루브들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된 복수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전방 수용 그루브들은 전방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인접한 후방 수용 그루브들은 후방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대응하는 전방 및 후방 분리 플레이트들은 일체로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항 내지 제18항 중 한 한에 있어서,
복수의 전방 노치들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후방 노치들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커버들은 세퍼레이터 몸체 상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거나 세퍼레이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 중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에 끼워맞춰지고 그 후방 부분에 후방 그루브가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 그루브와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의 전방 수용 그루브가 가장 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 중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에 끼워맞춰지고 그 전방 부분에 전방 그루브가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전방 그루브와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의 후방 수용 그루브가 가장 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스냅핏 몸체는 아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개방 부분이 라인 그루브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며, 스냅피팅 부분은 개방 부분의 두 측면들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3항에 있어서,
개방 부분의 두 측면들에 배치된 스냅피팅 부분들은 서로 대칭적인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스냅핏 몸체와 스냅피팅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고, 스냅피팅 부분의 제1 끝단은 스냅핏 몸체에 연결되고, 라인 클래스프는 스냅피팅 부분의 제2 끝단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라인 그루브는 제1 라인 그루브와 제2 라인 그루브를 포함하고, 스냅피팅 부분은 제1 라인 그루브의 외부 벽체 표면에 배치되고, 제1 라인 그루브와 제2 라인 그루브의 연장 방향들은 교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라인 그루브는:
라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라인 수용 부분; 및
라인 수용 부분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라인 수용 부분과 연통된 트랜지션 부분을 포함하고,
트랜지션 부분의 횡방향 크기는 라인 수용 부분의 횡방향 크기보다 작고, 트랜지션 부분의 하방 끝단은 개방되어 있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7항에 있어서,
라인 수용 부분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트랜지션 부분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트랜지션 부분의 폭은 라인 수용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8항에 있어서,
트랜지션 부분의 횡방향 크기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점차 감소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8항에 있어서,
라인 수용 부분의 내부 벽체 표면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구성되고 필렛이 라인 수용 부분의 에지에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7항에 있어서,
라인 수용 부분의 단면은 정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트랜지션 부분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스냅피팅 부분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스냅핏 몸체의 크기보다 작고, 스냅피팅 부분의 끝단의 표면은 스냅핏 몸체의 끝단의 표면과 동일 평면인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6항에 있어서,
스냅피팅 부분은 스냅핏 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스냅피팅 부분의 크기는 폭방향 및 상하방향 모두 스냅핏 몸체의 크기보다 크며, 라인 클래스프는 스냅피팅 부분의 폭방향 두 끝단들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2항에 있어서,
스냅피팅 부분은 라인 그루브의 제1 끝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한 플랜지가 라인 그루브의 제2 끝단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은 스냅핑 구조물을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5항에 있어서,
스냅핑 구조물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에 형성된 스냅핑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에 스냅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을 함께 체결하기 적합한 스냅핑 텅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6항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7항에 있어서,
전방 노치가 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세퍼레이터의 후방 부분이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며, 배터리 챔버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 노치에 대응하는 후방 노치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되, 관통구멍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노치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후방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8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수직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정상 에지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바닥 에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이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9항에 있어서,
스냅핑 그루브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들 중 하나에 형성되고, 스냅핑 텅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들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9항에 있어서,
스냅핑 그루브는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들 중 하나에 형성되고, 스냅핑 텅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들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6항에 있어서,
스냅핑 텅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가이딩 슬로프는 스냅핑 그루브의 개구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윈도우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전방 수용 그루브와 후방 수용 그루브를 연통시키고,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가 윈도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5항에 있어서,
스냅핑 구조물은:
세퍼레이터 몸체에 형성된 스냅핏 그루브; 및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을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의 스냅핏 그루브들에 각각 끼워맞춰진 적어도 2개의 장착부를 구비한 스냅핏 핀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4항에 있어서,
스냅핏 핀은 연결 브리지를 더 포함하고, 2개의 장착부들은 연결 브리지의 두 끝단들에 각각 배치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의 스냅핏 그루브들에 끼워맞춰진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5항에 있어서,
스냅핏 그루브는 개구를 구비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에서 스냅핏 그루브들의 개구들은 연결 브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파워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310754006.3 | 2013-12-31 | ||
CN201310754006.3A CN104752650B (zh) | 2013-12-31 | 2013-12-31 | 动力电池模组 |
PCT/CN2014/095425 WO2015101268A1 (en) | 2013-12-31 | 2014-12-29 | Power battery moud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4685A true KR20160104685A (ko) | 2016-09-05 |
KR101886787B1 KR101886787B1 (ko) | 2018-09-10 |
Family
ID=5349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0840A KR101886787B1 (ko) | 2013-12-31 | 2014-12-29 | 파워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243181B2 (ko) |
EP (1) | EP3063823B8 (ko) |
JP (1) | JP6250823B2 (ko) |
KR (1) | KR101886787B1 (ko) |
CN (1) | CN104752650B (ko) |
WO (1) | WO201510126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6735A (ko) * | 2017-03-21 | 2018-10-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팩의 냉각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98987A (zh) * | 2016-06-24 | 2016-11-09 | 江苏楚汉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组装式可拓展安全动力电池模组 |
US11302988B2 (en) | 2016-09-27 | 2022-04-12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Battery,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
KR102617138B1 (ko) * | 2016-12-07 | 2023-12-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CN107394881A (zh) * | 2017-08-17 | 2017-11-24 | 深圳市雷神信息技术有限公司 | 通信微型后备电源 |
CN107742680B (zh) * | 2017-10-13 | 2023-06-27 | 常州普莱德新能源电池科技有限公司 | 一种动力电池模组上盖及具有该上盖的电池模组 |
CN107978713A (zh) * | 2017-12-30 | 2018-05-01 |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 软包电池模组及电源装置 |
CN108520925A (zh) * | 2018-04-16 | 2018-09-11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一种高寿命动力电池组及动力电池组 |
CN109904527B (zh) * | 2019-02-22 | 2021-05-07 | 深圳市莱美斯硅业有限公司 | 一种电池隔热防火布 |
CN110579258B (zh) * | 2019-10-12 | 2024-11-08 | 湖南威铭能源科技有限公司 | 模块化水表及其固线方法 |
CN112803110B (zh) * | 2021-01-15 | 2022-10-18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莆田供电公司 | 一种便于更换的无人机电池仓及其更换方法 |
EP4123817A4 (en) * | 2021-05-26 | 2023-07-19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 FASTENING ELEMENT, BATTERY, POWER LOAD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BATTERY |
CN113794017B (zh) * | 2021-09-16 | 2023-08-04 | 深圳市壹加智慧科技有限公司 | 房车电池 |
Citation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8633U (ko) * | 1977-06-21 | 1979-01-20 | ||
JPS55120073U (ko) * | 1979-02-19 | 1980-08-25 | ||
US4481269A (en) * | 1983-05-23 | 1984-11-06 | Barrett Jr James H | Battery cell covers with snap-on cable retainers |
US20060267545A1 (en) * | 2005-05-02 | 2006-11-30 | Hanho Lee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
US20080057393A1 (en) * | 2006-09-06 | 2008-03-06 | Hitachi Vehicle Energy, Ltd. | Secondary battery module |
US20090246616A1 (en) * | 2008-03-24 | 2009-10-01 | Taihei Koyama | Battery module |
US20100310909A1 (en) * | 2007-10-29 | 2010-12-09 | Sk Energy Co., Ltd. | Unit Set Having a Plurality of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nd a Set Having a Plurality of the Unit Sets |
US20110004532A1 (en) * | 2007-11-27 | 2011-01-06 | A-Men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onic consumption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CN101944580A (zh) | 2010-09-17 | 2011-01-12 |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锂离子聚合物电池组组装结构及组装方法 |
US20110076521A1 (en) * | 2009-09-30 | 2011-03-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Battery unit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equipped with the battery unit |
CN102306719A (zh) | 2011-08-19 | 2012-01-04 | 石家庄杰泰特电子科技有限公司 | 单体电池串联子模块 |
JP2012043790A (ja) * | 2010-08-17 | 2012-03-01 | Samsung Sdi Co Ltd | バッテリーパック |
US20120052359A1 (en) * | 2009-05-14 | 2012-03-01 | Shinsuke Yoshitake | Battery assembly |
WO2012042913A1 (ja) * | 2010-09-30 | 2012-04-05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バッテリ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気機器 |
WO2012057323A1 (ja) * | 2010-10-30 | 2012-05-03 | 三洋電機株式会社 |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
US20120156559A1 (en) * | 2009-07-03 | 2012-06-21 | Atraverda Limited | Method of assembling a bipolar battery |
US20120244404A1 (en) * | 2009-10-14 | 2012-09-27 | Kem Obasih | Prismatic cell system with thermal management features |
JP2012204296A (ja) * | 2011-03-28 | 2012-10-22 | Gs Yuasa Corp |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
JP2012256467A (ja) * | 2011-06-08 | 2012-12-27 | Honda Motor Co Ltd | バッテリモジュール |
WO2013031614A1 (ja) * | 2011-08-26 | 2013-03-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
JP2013073915A (ja) * | 2011-09-29 | 2013-04-22 | Lithium Energy Japan:Kk | 組電池 |
JP2013077500A (ja) * | 2011-09-30 | 2013-04-25 | Lithium Energy Japan:Kk | 電池パック |
JP2013084595A (ja) * | 2011-09-29 | 2013-05-09 | Lithium Energy Japan:Kk | 組電池 |
US20130122339A1 (en) * | 2009-11-27 | 2013-05-16 | V-Ens Co., Ltd. | Battery |
US20130252045A1 (en) * | 2012-03-23 | 2013-09-26 | Seong-joon PARK | Battery module |
US20130260197A1 (en) * | 2010-11-18 | 2013-10-03 | Wataru Okada | Battery array, battery separator, and vehicle equipped with battery array |
US20130273400A1 (en) * | 2012-04-17 | 2013-10-17 | Louis Jack Musetti | Battery pack system |
US20130313953A1 (en) * | 2011-04-25 | 2013-11-28 | Lg Chem, Ltd | Rack system for power storage battery modules |
WO2013179797A1 (ja) * | 2012-05-31 | 2013-12-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
JP2013251124A (ja) * | 2012-05-31 | 2013-12-12 | Honda Motor Co Ltd | 蓄電モジュール |
US20140120407A1 (en) * | 2012-10-29 | 2014-05-01 | Lisa Draxlmaier Gmbh | Battery module |
US20140272508A1 (en) * | 2013-03-15 | 2014-09-18 | Vecture Inc. | Battery pack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74017A (en) * | 1976-11-22 | 1978-02-14 | Kinsey Lewis R | Battery for electric powered vehicles |
EP2301106A4 (en) * | 2008-05-10 | 2014-04-02 | Enerdel Inc | BATTERY ASSEMBLY |
US9356268B2 (en) * | 2011-01-10 | 2016-05-31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
CN104752639B (zh) * | 2013-12-31 | 2017-07-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动力电池模组 |
-
2013
- 2013-12-31 CN CN201310754006.3A patent/CN104752650B/zh active Active
-
2014
- 2014-12-29 JP JP2016544129A patent/JP6250823B2/ja active Active
- 2014-12-29 WO PCT/CN2014/095425 patent/WO201510126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29 KR KR1020167020840A patent/KR1018867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9 EP EP14877219.7A patent/EP3063823B8/en active Active
-
2016
- 2016-06-21 US US15/188,446 patent/US1024318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8633U (ko) * | 1977-06-21 | 1979-01-20 | ||
JPS55120073U (ko) * | 1979-02-19 | 1980-08-25 | ||
US4481269A (en) * | 1983-05-23 | 1984-11-06 | Barrett Jr James H | Battery cell covers with snap-on cable retainers |
US20060267545A1 (en) * | 2005-05-02 | 2006-11-30 | Hanho Lee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
US20080057393A1 (en) * | 2006-09-06 | 2008-03-06 | Hitachi Vehicle Energy, Ltd. | Secondary battery module |
US20100310909A1 (en) * | 2007-10-29 | 2010-12-09 | Sk Energy Co., Ltd. | Unit Set Having a Plurality of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nd a Set Having a Plurality of the Unit Sets |
US20110004532A1 (en) * | 2007-11-27 | 2011-01-06 | A-Men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onic consumption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20090246616A1 (en) * | 2008-03-24 | 2009-10-01 | Taihei Koyama | Battery module |
US20120052359A1 (en) * | 2009-05-14 | 2012-03-01 | Shinsuke Yoshitake | Battery assembly |
US20120156559A1 (en) * | 2009-07-03 | 2012-06-21 | Atraverda Limited | Method of assembling a bipolar battery |
US20110076521A1 (en) * | 2009-09-30 | 2011-03-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Battery unit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equipped with the battery unit |
JP2011076936A (ja) | 2009-09-30 | 2011-04-14 | Toshiba Corp | 組電池およ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装置 |
US20120244404A1 (en) * | 2009-10-14 | 2012-09-27 | Kem Obasih | Prismatic cell system with thermal management features |
US20130122339A1 (en) * | 2009-11-27 | 2013-05-16 | V-Ens Co., Ltd. | Battery |
JP2012043790A (ja) * | 2010-08-17 | 2012-03-01 | Samsung Sdi Co Ltd | バッテリーパック |
CN101944580A (zh) | 2010-09-17 | 2011-01-12 |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锂离子聚合物电池组组装结构及组装方法 |
WO2012042913A1 (ja) * | 2010-09-30 | 2012-04-05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バッテリ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気機器 |
WO2012057323A1 (ja) * | 2010-10-30 | 2012-05-03 | 三洋電機株式会社 |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
US20130260197A1 (en) * | 2010-11-18 | 2013-10-03 | Wataru Okada | Battery array, battery separator, and vehicle equipped with battery array |
JP2012204296A (ja) * | 2011-03-28 | 2012-10-22 | Gs Yuasa Corp |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
US20130313953A1 (en) * | 2011-04-25 | 2013-11-28 | Lg Chem, Ltd | Rack system for power storage battery modules |
JP2012256467A (ja) * | 2011-06-08 | 2012-12-27 | Honda Motor Co Ltd | バッテリモジュール |
CN102306719A (zh) | 2011-08-19 | 2012-01-04 | 石家庄杰泰特电子科技有限公司 | 单体电池串联子模块 |
WO2013031614A1 (ja) * | 2011-08-26 | 2013-03-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
JP2013084595A (ja) * | 2011-09-29 | 2013-05-09 | Lithium Energy Japan:Kk | 組電池 |
JP2013073915A (ja) * | 2011-09-29 | 2013-04-22 | Lithium Energy Japan:Kk | 組電池 |
JP2013077500A (ja) * | 2011-09-30 | 2013-04-25 | Lithium Energy Japan:Kk | 電池パック |
US20130252045A1 (en) * | 2012-03-23 | 2013-09-26 | Seong-joon PARK | Battery module |
US20130273400A1 (en) * | 2012-04-17 | 2013-10-17 | Louis Jack Musetti | Battery pack system |
WO2013179797A1 (ja) * | 2012-05-31 | 2013-12-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
JP2013251124A (ja) * | 2012-05-31 | 2013-12-12 | Honda Motor Co Ltd | 蓄電モジュール |
US20140120407A1 (en) * | 2012-10-29 | 2014-05-01 | Lisa Draxlmaier Gmbh | Battery module |
US20140272508A1 (en) * | 2013-03-15 | 2014-09-18 | Vecture Inc. | Battery pack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6735A (ko) * | 2017-03-21 | 2018-10-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팩의 냉각 장치 |
US11355798B2 (en) | 2017-03-21 | 2022-06-07 | Samsung Sdi Co., Ltd. | Device for cooling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52650A (zh) | 2015-07-01 |
EP3063823A4 (en) | 2016-09-21 |
KR101886787B1 (ko) | 2018-09-10 |
EP3063823B1 (en) | 2017-10-25 |
WO2015101268A1 (en) | 2015-07-09 |
US20160301048A1 (en) | 2016-10-13 |
US10243181B2 (en) | 2019-03-26 |
EP3063823B8 (en) | 2017-12-13 |
JP6250823B2 (ja) | 2017-12-20 |
CN104752650B (zh) | 2017-05-03 |
JP2017501552A (ja) | 2017-01-12 |
EP3063823A1 (en) | 2016-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6787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886371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886370B1 (ko) | 배터리 수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944530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CN101361208B (zh) | 电池系统 | |
JP2012529725A (ja) | 機構物締結方式のユニットパック組合せ型セルカートリッジ | |
KR102119152B1 (ko) | 배터리 팩 | |
CN211555995U (zh) | 一种软包锂电池组装支架 | |
EP3667764A1 (en) | Battery module | |
WO2017169729A1 (ja) | バッテリパック | |
KR102587165B1 (ko) |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CN203800110U (zh) | 用于电池模组的隔板和具有其的电池容纳组件及动力电池模组 | |
KR20060063175A (ko) |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 |
CN220172271U (zh) | 电芯固定支架、电池包和用电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