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89414A -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414A
KR20160089414A KR1020167016057A KR20167016057A KR20160089414A KR 20160089414 A KR20160089414 A KR 20160089414A KR 1020167016057 A KR1020167016057 A KR 1020167016057A KR 20167016057 A KR20167016057 A KR 20167016057A KR 20160089414 A KR20160089414 A KR 2016008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operation control
interface
operabl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283B1 (ko
Inventor
웬 팡
판 마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8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고, 그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며, 그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작업은 휴대폰이 나타난 이래 존재하는 상용 기능으로 휴대폰의 가장 기본적인 작용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휴대폰의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끊임없이 발전됨에 따라 휴대폰중의 기본적인 통신 조작이 전화를 거는 것으로부터 문자메시지, MMS, 이메일, 영상 통화 등 여러가지 연락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기존기술에 있어서, 전화, 문자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시작할 경우, 일반적인 조작 방식은 우선 상대방 번호 또는 어드레스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야만이 대응되는 동작을 진일보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를 걸 경우, 우선 다이얼에서 통화기록을 입력하거나 또는 명함집에서 선택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문자메시지에 답장할 경우에도 우선 답장하는 번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찾아야만이 문자메시지의 답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문자메시지 등 기능이 오래전에 나타났지만 사람들의 습관적인 조작 방식은 줄곧 큰 변화가 없고 대부분의 조작은 모두 우선 조작 대상을 선택한 후 선택된 대상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사용자의 통신 기능이 점점 복잡화됨에 따라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 사용자에 관련되는 조작도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고, 예를 들어 명함집에서 처음에는 사용자가 전화 조작만을 수행하였지만 후에 점차적으로 문자메시지, MMS, 이메일이 추가되었고 심지어 사용자의 생일에 대하여 일정 경고를 설정하는 등이 추가되었고 매개 요소에 대응되는 조작이 점차적으로 복잡해지고 있다. 이로하여 이러한 일상 조작의 방식이 점점 번거로와지고 있다.
기존기술에 있어서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아직 유효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최소한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는 단계와,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서브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없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 후, 상기 방법이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소가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 멀티미디어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생성한 대응되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상기 조작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특징이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모듈과,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모듈과,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실행모듈을 포함하는 조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상기 실행모듈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상기 조작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서브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구분모듈을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없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분모듈이 진일보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한 후,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소가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 멀티미디어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생성한 대응되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행모듈이 진일보로 상기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그중,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및/또는,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상기 조작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조작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특징이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고 그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며 그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함으로서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분이고 본 발명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Ⅱ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조작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기록에서 호출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모듈의 응용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기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다운 조작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상호 충돌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발명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이동단말(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고 기타 유형의 단말일 수도 있다. 단말에서 작동되는 조작 시스템 역시 각종 유형의 시스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또는 Windows 조작 시스템, iOS 시스템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한다(단계S102).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한다(단계S104).
조작 제어수단이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한다(단계S106).
상기 실시예중의 단계를 통하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에 대하여 우선 요소를 선택한 후 그 요소에 선택후에 실행하는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중의 요소에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고 조작 제어수단을 직접 그 요소로 이동시킨 후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함으로서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할 경우, 조작 제어수단이 그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단계가, 그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그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고, 그 조작 제어수단이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서브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러한 요소에 대응되는 서브요소를 재선택하는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항을 추가하고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이메일을 작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메일 요소에는 발신함, 수신함, 임시보관함 등 서브요소가 있고 인터페이스상의 이메일 요소에 근거하여 열기 제어수단을 생성하고 그 열기 제어수단을 이메일 요소로 이동시킨 후 이메일 요소는 재다시 발신함, 수신함, 임시보관함 등 서브요소를 표시하고 열기 제어수단을 재다시 발신함으로 이동시킨 후 단말은 발신함을 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다른 조작 제어수단에 대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선택한 후 인터페이스의 요소를 구분시킬 수 있는데, 인터페이스상의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그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이고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그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며 그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한 후,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고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선택한 후 요소를 구분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조작 과정에 오조작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의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요소가 다수있음을 검측한 상황하에서 그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고, 이 기술특징은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요소의 기술특징이 다양화되어 사용자에 차별화된 체험을 가져다주고 사용자는 조작 제어수단을 다르게 선택하여 업무를 실행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음악 인터페이스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방송 제어수단을 생성하고 현재 인터페이스에 방송 가능한 노래가 여러개 있는 상황하에서, 사용자의 청취 회수에 근거하여 노래를 배열하여 사용자가 이 방송 제어수단을 통하여 간단하게 노래를 선택하여 방송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소는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 멀티미디어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요소에 근거하여 생성할 수 있는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은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요소와 조작 제어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페이스의 서로다른 기능 요소에 근거하여 서로다른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제어수단은 현재의 인터페이스에서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다수의 인터페이스로 이동시켜 관련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그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그 조작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고, 기술특징은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작 제어수단을 서로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이동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많은 선택의 여지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분은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하기 장치중의 모듈의 명칭은 그 모듈을 실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검측모듈을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모듈”로 표현할 수도 있고 하기의 모듈을 모두 프로세서에서 실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검측모듈을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또는 “검측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Ⅰ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검측모듈(22)과, 생성모듈(24)과, 실행모듈(26)을 포함하고 아래 그 구조를 설명한다.
검측모듈(22)은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생성모듈(24)은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행모듈(26)은 조작 제어수단이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인터페이스중의 요소에 대하여 우선 요소를 선택한 후 그 요소에 선택후에 실행하는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중의 요소에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고 조작 제어수단을 직접 그 요소로 이동시킨 후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함으로서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실행모듈은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그 조작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그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고, 조작 제어수단이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서브요소에 그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Ⅱ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검측모듈(22)과, 생성모듈(24)과, 실행모듈(26)과, 구분모듈(32)과, 표시모듈(34)을 포함하고, 검측모듈(22), 생성모듈(24)과 실행모듈(26)이 실현하는 기능은 상기한 것과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상기 장치를 설명한다.
구분모듈(32)은 인터페이스상의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하도록 구성되고, 그중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이고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며, 구분모듈은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한 후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키도록 구성된다.
표시모듈(34)은 인터페이스상의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조작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그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기술특징은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모듈(26)은 또한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고 다른 인터페이스에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및/또는 다른 인터페이스에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다른 인터페이스에 조작 요소에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아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시형태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1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속히 조작을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조작의 시작 입구와 대응되는 요소를 완전히 분리시킨다. 휴대폰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조작 제어수단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드래그될 수 있다. 조작 제어수단을 사용자가 어느한 인터페이스 요소로 드래그하였으면 직접 그 인터페이스의 요소에 대응되는 조작을 시작한다.
상기 조작 제어수단의 조작 유형과 수량은 인터페이스상의 요소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 리스트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상에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가 있음으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조작 제어수단은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에 대응된다.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에 호출 가능한 번호가 있으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다이얼 제어수단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조작하여 현재 페이지에 호출 가능한 번호가 없으면 다이얼 제어수단은 자동적으로 사라진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느한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상의 그 조작 제어수단과 관련없는 요소는 모두 조작 불가능 상태로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출 조작 제어수단을 드래그하면 인터페이스상의 조작 가능 상태의 요소는 호출 조작을 실행 가능한 요소뿐이고 사용자가 그 조작 제어수단의 조작을 취소하면 인터페이스는 원래 상태로 회복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할 경우, 조작 제어수단을 재다시 드래그하는 조작 특징을 통하여 그중의 서브요소를 선택하여 조작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함집에 다수의 번호가 저장되었으면 다이얼 제어수단을 명함집의 관련되는 프로필사진으로 드래그할 경우 그 명함집내의 다수의 번호를 표시할 수 있고 다이얼 제어수단을 재다시 드래그하여 필요한 번호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고, 여기서 조작 특징은 특정된 드래그 거리, 특정된 목표 위치, 경로 등일 수 있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서로다른 요소를 자유롭게 한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조작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40)은 검측모듈(42)과, 제어수단 생성모듈(44)과, 구분모듈(46)과, 조작 실행모듈(48)을 포함하고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검측모듈(42), 제어수단 생성모듈(44), 구분모듈(46), 조작 실행모듈(48)이 실현하는 기능은 검측모듈(22), 생성모듈(24), 구분모듈(32), 실행모듈(26)과 동일하고 아래 상기 장치를 설명한다.
검측모듈(42)은 현재의 인터페이스 요소중의 지원하는 모든 조작을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제어수단 생성모듈(44)은 조작 검측모듈이 검측한 실행 가능한 조작에 근거하여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서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한다.
구분모듈(46)은 사용자가 조작한 조작 제어수단의 유형에 근거하여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요소를 현재 조작 제어수단이 조작 가능한 요소와 현재 조작 제어수단이 조작 불가능한 요소로 구분하고 이동단말은 조작 가능한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설정하고 조작 불가능한 요소를 조작 불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조작 실행모듈(48)은 사용자가 조작 제어수단을 대응되는 조작 가능 요소로 드래그한 인터페이스 조작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단말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었다.
사용자는 스크린에서 슬라이딩하거나 클릭하는 두가지 조작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에 감안하여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폰 기능을 사용할 경우 더욱 강한 조작감을 느끼게 되고 사용자의 체험이 더욱 양호하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작 요소와 조작되는 요소를 분리시켜 사용자가 서로다른 요소를 자유롭게 동일한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악과 문자메시지를 함께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악에 관련되는 제어수단을 조작할 경우 문자메시지는 사용 불가능 상태에 처하고 그 반대이면 음악이 조작 불가능 상태에 처한다. 이로하여 사용자의 사용시 조작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조작 혼란을 일으키지 않으며 사용자에 뛰여난 조작 즐거움을 가져다 주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조작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식은 모든 모듈에 적용되고 도 5에서 휴대폰중의 전형적인 업무인 음성 호출을 시작하는 것을 예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과정을 설명하고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명함집, 다이얼, 문자메시지 리스트 등 호출을 시작할 수 있는 요소가 있는 인터페이스에서 드래그 가능한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을 생성한다(단계S502).
휴대폰은 상기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에 진입한 후, 그 다이얼 제어수단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측한다(단계S504).
다이얼 제어수단의 드래그 조작을 발견한 후, 그 드래그의 최종 위치가 번호와 관련되는 인터페이스 요소에 정지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S506).
다이얼 제어수단이 번호와 관련되는 인터페이스 요소에 드래그되지 않았으면 다이얼 제어수단은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음 조작을 대기한다(단계S508).
다이얼 제어수단이 최종적으로 번호와 관련되는 인터페이스 요소에 드래그되었으면 그 요소가 유일한 번호에 대응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S510).
인터페이스 요소가 유일한 번호에 대응되면, 예를 들어 한 통화기록의 경우 한 번호의 명함만을 포함하고 또는 본문에 아무런 번호도 포함되지 않은 문자메시지(한 발신자의 번호만을 포함) 등이면 직접 그 번호를 호출한다(단계S512).
인터페이스 요소가 다수의 번호에 대응되면 매개 번호(또는 그 번호의 기타 대응되는 인식 문자메시지, 예를 들어 성명, 묘사 설명)를 표시하고 인터페이스에 매개 번호를 호출할 때 다이얼 제어수단을 슬라이딩하여야 하는 대응되는 거리를 표시한다(단계S514).
다이얼 제어수단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측한다(단계S516).
규정된 시간내에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으면 다이얼 제어수단은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이번 처리 과정은 종료하고 사용자의 다음 조작을 대기한다(단계S518).
사용자가 즉시 다이얼 제어수단을 조작하였으면 사용자가 다이얼 제어수단에 대한 드래그 거리가 어느한 번호에 대응되는 거리 요구를 만족시키는가를 판단한다(단계S520).
사용자의 조작이 아무런 번호의 대응되는 요구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다이얼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의 위치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딩 조작하여 그중의 한 번호를 선택하여 호출하는 것을 대기한다(단계S522).
그렇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이 어느한 번호의 대응되는 거리 요구를 만족시키면 직접 그 번호를 호출한다(단계S524).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호출 가능한 요소가 존재하는 매개 인터페이스에 한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호출 제어수단을 임의의 번호를 포함하는 요소로 드래그하여 호출할 수 있고, 번호를 포함하는 요소에 하나 이상의 번호를 포함할 경우 인터페이스에 그중의 각 번호의 드래그 조작 특징을 표시하고,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 특징은 대응되는 드래그 거리이다. 사용자의 다이얼 제어수단의 조작이 어느한 번호에 대응되는 특징에 달하면 그 번호를 호출한다.
상기 이동단말 조작 처리 장치는 검측모듈과, 제어수단 생성모듈과, 구분모듈과, 조작 실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실시예중의 검측모듈(42), 제어수단 생성모듈(44), 구분모듈(46), 조작 실행모듈(48)의 기능과 동일하며 아래 상기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검측모듈은 현재 페이지의 모든 요소가 지원 가능한 조작을 검측하고 검측을 완성한 후, 모든 현재 페이지에서 실행 가능한 조작을 제어수단 생성모듈로 전달하고 제어수단 생성모듈은 인터페이스에서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어느한 제어수단을 조작한 후, 구분모듈이 효력을 발생하기 시작하여 사용자가 현재 조작한 제어수단에 근거하여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하고 조작 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설정하고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불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현재의 조작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어느한 조작 가능 요소에 조작을 시작하면, 예를 들어 조작 제어수단을 조작 가능 요소로 드래그하면 조작 실행모듈을 작동시켜 그 요소에 사용자가 조작한 조작을 실행한다.
마지막에, 휴대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무선주파수 등이 그 조작에 응답하여 전반 조작 과정을 완성한다.
아래 구체적인 응용 장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기록중에서 호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작 제어수단은 스크린의 하부에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페이지에 있어서 연락인 성명에 대하여 문자메시지, 전화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 번호에 대하여는 이 두가지 조작외 명함을 저장하는 조작을 더 수행할 수 있음으로 스크린의 하부에서 페이지에 자동적으로 문자메시지, 전화, 저장의 3개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전화 다이얼 제어수단을 성명1로 드래그하였을 경우 휴대폰은 그 조작에 응답하여 성명1을 호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모듈의 응용을 나타낸 도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 리스트에 여러개 문자메시지가 있고 그중 발신자가 성명1인 최신 문자메시지 본문에는 아무런 번호도 없고 발신자가 성명2인 최신 문자메시지 본문에는 전화 번호로 식별되는 번호가 하나 있고 발신자가 성명1인 최신 문자메시지 본문에는 전화 번호로 식별되는 번호가 두개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인터페이스에서 조작 가능한 요소는 문자메시지뿐이고 문자메시지중의 조작 가능한 요소는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문자메시지 본문중의 번호를 포함한다. 문자메시지에 대응되는 조작은 열기, 삭제, 문자메시지 답장이 있고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문자메시지 본문중의 번호에 대응되는 조작은 문자메시지 답장, 호출이 있음으로 현재 인터페이스에 열기, 삭제, 답장, 호출의 4개 조작 제어수단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호출 제어수단을 조작하고 그 제어수단을 성명2가 위치하는 문자메시지로 드래그되면 그 문자메시지에 호출 가능한 요소는 성명2와 문자메시지중의 전화 번호2와의 두개가 있고,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제어수단을 재다시 조작하여 그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호출하여야 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다른 목표 위치를 이용하여 조작 요소를 구분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출 제어수단을 성명2가 위치하는 위치로 드래그한 후 인터페이스의 기타 요소는 모두 조작 불가능 상태에 처하게 되고 서로다른 위치에 호출 가능한 성명2와 번호2의 두개 대상이 나타나고, 이때 사용자가 호출 제어수단을 재다시 성명2로 드래그하면 직접 성명2를 호출하는 조작을 시작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기능을 나타낸 도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 많은 사용자들은 호출 가능한 긴급 호출 번호 및 이러한 번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로하여 많은 긴급 상황하에서 사용자는 어떠한 번호를 호출하여야 하는지 모른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호출 인터페이스에서 다이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생각을 철저히 바꾸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 호출 인터페이스에서 호출 가능한 요소는 화재 신고, 도난 신고, 응급 전화 등 고정된 번호이고 이러한 번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인터페이스에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여야할 경우 번호와 기능의 대응관계를 똑똑히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을 피면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호출 번호의 유일하게 실행할 수 있는 조작이 긴급 호출임으로 긴급 호출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표시 효과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을 긴급 호출 제어수단으로 드래그하면 휴대폰은 자동적으로 호출 가능한 긴급 호출 번호 또는 대응되는 기능을 표시하여(예를 들어 120을 직접 “응급 전화”로 표시하고 114를 직접 “교통 사고”로 표시) 사용자에 어떻게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을 드래그하여야만이 그 긴급 호출을 시작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드래그 거리에 근거하여 어느 번호를 호출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고 아주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험이 양호한 조작 방식이며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제어수단을 드래그하여도 최종 드래그 거리가 어느 요소의 판단 표준에 부합되면 직접 그 요소의 긴급 호출을 시작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긴급 호출 번호를 저장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간단하게 필요한 긴급 호출을 수시로 할 수 있다.
휴대폰 단말의 응용과정에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현재 인터페이스상의 일부 요소가 숨겨지거나 또는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가능한 조작 제어수단을 자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다운 조작을 나타낸 도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있어서 브라우저 페이지에 호출 가능한 번호가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페이지 다운 등 조작으로 인하여 이러한 번호가 사라질 때가 있다. 이때 이 페이지에 호출 가능한 번호 제어수단이 있는가에 근거하여 본 페이지에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을 표시하여야 하는가를 자동적으로 판단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의 검색 페이지에 호출 가능한 번호가 존재할 경우 브라우저에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제어수단을 번호로 드래그하면 직접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페이지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여 번호가 사라지면 다이얼 제어수단도 따라서 사라진다.
기존 방식에 비하여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조작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호출 다이얼 제어수단의 표시와 사라짐을 통하여 사용자에 일정한 제시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본 발명의 각 모듈 혹은 각 단계를 범용 계산장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고 단일 계산장치에 집중시키거나 혹은 다수의 계산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포시킬수 있고, 또한 계산장치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실현할 수도 있으므로, 기억장치에 기억하여 계산장치에 실행시키거나 혹은 각각 집적회로 모듈로 만들거나 혹은 그중의 다수의 모듈 혹은 단계를 하나의 집적회로 모듈로 만들어 실현할 수 도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통신 분야에 응용할 수 있고 기기 조작이 복잡화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 체험을 향상시킨다.

Claims (16)

  1.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는 단계와,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서브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없는 상태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 후,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 멀티미디어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생성한 대응되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상기 조작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특징이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현재 인터페이스중의 요소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모듈과,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조작 제어수단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모듈과,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실행모듈을 포함하는 조작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다수의 서브요소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상기 실행모듈이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정합되는 상기 조작 요소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상기 다수의 서브요소중의 하나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서브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요소를 조작 가능 요소와 조작 불가능 요소로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구분모듈을 더 포함하고, 그중, 상기 조작 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의 상태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작될 수 없는 상태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모듈이 진일보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조작을 실행한 후, 상기 조작 불가능 요소를 조작 가능 상태로 회복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번호, 연락인, 일반 텍스트, 멀티미디어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요소에 근거하여 생성한 대응되는 상기 조작 제어수단이 호출, 문자메시지 발신, MMS 발신, 텍스트 복사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모듈이 진일보로 상기 조작 제어수단을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그중,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하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으로 이동되면 직접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고, 및/또는,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상기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에 상기 조작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는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2항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관련되는 조작 요소가 다수로 검측된 상황하에서 상기 요소에 상기 조작 제어수단에 대응되는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특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특징이 이동 거리, 목표 위치, 경로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67016057A 2013-11-25 2014-05-14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905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607340.6A CN104660797B (zh) 2013-11-25 2013-11-25 操作处理方法及装置
CN201310607340.6 2013-11-25
PCT/CN2014/077485 WO2014180360A1 (zh) 2013-11-25 2014-05-14 操作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414A true KR20160089414A (ko) 2016-07-27
KR101905283B1 KR101905283B1 (ko) 2018-10-05

Family

ID=5186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057A KR101905283B1 (ko) 2013-11-25 2014-05-14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18136B2 (ko)
EP (1) EP3076642B1 (ko)
JP (1) JP6273043B2 (ko)
KR (1) KR101905283B1 (ko)
CN (1) CN104660797B (ko)
WO (1) WO2014180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1601A (zh) * 2017-01-17 2017-06-13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电子终端的通信处理方法和通信处理设备
CN107422943B (zh) * 2017-04-14 2020-10-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按钮激活方法及装置
CN108234295B (zh) * 2017-12-29 2021-04-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群功能控件的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04647B (zh) * 2018-06-22 2024-04-1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内容处理方法及装置
CN115509423A (zh) * 2021-06-04 2022-12-23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方法、图形界面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391A (ja) * 2005-07-13 2009-01-15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豊富なドラッグドロップ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JP2012083919A (ja) * 2010-10-08 2012-04-26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の連係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8808A (ja) * 1995-05-29 1996-12-13 Hitachi Ltd 階層構造データ編集表示方法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P2060970A1 (en) *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US20090187842A1 (en) * 2008-01-22 2009-07-23 3Dlabs Inc., Ltd. Drag and Drop User Interfa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Touch Sensitive Screens
US20100081419A1 (en) * 2008-09-26 2010-04-01 Ht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KR101715385B1 (ko) * 2010-10-15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588844B2 (ja) * 2010-11-26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740436B1 (ko) 2010-12-0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73995A1 (en) * 2010-12-30 2012-07-05 Motorola-Mobility, Inc. Electronic gate filter
JP5163766B2 (ja) * 2011-03-15 2013-03-13 オムロン株式会社 設計支援システム
CN102223437A (zh) * 2011-03-25 2011-10-19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屏手机直接进入功能界面的方法
JP6045847B2 (ja) * 2011-08-18 2016-1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8756511B2 (en) * 2012-01-03 2014-06-17 Lg Electronics Inc. Gesture based unlocking of a mobile terminal
CN102681847B (zh) 2012-04-28 2015-06-03 华为终端有限公司 触屏终端对象处理方法及触屏终端
KR101974852B1 (ko) * 2012-05-30 2019-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JP5986484B2 (ja) * 2012-11-15 2016-09-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391A (ja) * 2005-07-13 2009-01-15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豊富なドラッグドロップ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JP2012083919A (ja) * 2010-10-08 2012-04-26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の連係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01391호(2009.01.1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60797A (zh) 2015-05-27
WO2014180360A1 (zh) 2014-11-13
US20160357423A1 (en) 2016-12-08
JP2017517805A (ja) 2017-06-29
EP3076642A4 (en) 2016-11-30
JP6273043B2 (ja) 2018-01-31
US10318136B2 (en) 2019-06-11
EP3076642A1 (en) 2016-10-05
EP3076642B1 (en) 2021-04-14
KR101905283B1 (ko) 2018-10-05
CN104660797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219B2 (en) Launching application task based on single user input and preset condition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0940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KR10189067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EP33371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otification message
KR101905283B1 (ko)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00333027A1 (en) Delete slider mechanism
CN106489129A (zh) 一种内容分享的方法及装置
KR20140023084A (ko)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장치
CN10499422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终端
US20190220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KR1022722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06843642A (zh) 一种移动终端的交互方法和移动终端
WO2017032037A1 (zh) 一种短信操作方法及终端
CN107678544B (zh) 消息处理方法和装置
KR100788300B1 (ko)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 표시 방법.
CN106020699B (zh) 一种输入法切换方法、装置及终端
US9807597B2 (en) Method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call history
CN113347308B (zh) 通话窗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CN107241515A (zh) 一种来电拒接的处理方法及终端
CN107728909B (zh) 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06557231A (zh) 页面显示方法和装置
WO2011161905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用情報表示方法および通信装置用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30104626A (ko) 베이비모드 전환 시스템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