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81523A -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523A
KR20160081523A KR1020140195466A KR20140195466A KR20160081523A KR 20160081523 A KR20160081523 A KR 20160081523A KR 1020140195466 A KR1020140195466 A KR 1020140195466A KR 20140195466 A KR20140195466 A KR 20140195466A KR 20160081523 A KR20160081523 A KR 2016008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tc terminal
terminal
unit
disassemb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605B1 (ko
Inventor
도재준
Original Assignee
(주)튜너웍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튜너웍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튜너웍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9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being coin-oper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TC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해체 감지부; 및 상기 해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은 ETC 단말기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여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ismantlement preventing system of ET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TC 단말기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여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속 도로 또는 유료 도로 등을 사용하는 운전자에게 소정의 사용료를 받기 위하여 톨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톨게이트에서는 자동 티켓 발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단지 입구에 차량이 들어서면 그 차량의 크기에 따라 대형, 소형으로 분류하여 출발지를 표시하는 티켓을 자동으로 발급한다. 자동 티켓 발급 장치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 방식에서는 운전자가 티켓 발급 장치에 차량을 근접시켜 티켓을 손으로 뽑는 것과 함께 출구 측에서는 운전자가 요금 징수자에게 근접하여 차량을 정지시킨 후, 입구에서 발급받은 티켓과 함께 적정요금을 요금 징수자에게 건네주어야 한다.
따라서, 톨게이트의 입구 측에서의 정체를 감소시킨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지지만, 운전에 능숙하지 못한 초보자의 경우에는 차량이 티켓 발급 장치에 근접하도록 운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어, 톨게이트의 출입시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출구 측에서의 정체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들은 톨게이트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서, 항시 현금을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은 통행료 징수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는 전자식 요금 수집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이하, 간략히 "ETCS"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ETCS는 차량에 탑재된 ETC 단말기가 무선 통신 영역을 통과하면서, 도로상에 설치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과 과금 처리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여 요금을 자동적으로 정산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ETCS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ETCS는 다수의 노변 기지국(110, 210, 310)과 차량에 탑재된 다수의 ETC 단말기(120, 220, 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변 기지국(110, 210, 310)은 자신의 통신 가능 영역(A, B, C)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ETC 단말기(120, 220, 3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과금을 처리한다.
그런데, ETC 단말기는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이 없어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2925호, 2003.05.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ETC 단말기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여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은 ETC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해체 감지부; 및 상기 해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의 재설치시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의 재설치시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ETC 단말기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여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ETCS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배터리 잔량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다.
도 4는 시동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다.
도 5는 해체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배터리 잔량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고, 도 4는 시동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며, 도 5는 해체 감지부의 회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은, 차량부(400), 및 ETC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차량부(400)는 장착부(410), 배터리 잔량 감지부(420), 시동 감지부(430), 차량 제어부(440), 및 차량 전원부(450)를 포함한다.
장착부(410)는 ETC 단말기(5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배터리 잔량 감지부(420)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도 3과 같은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인터럽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시동 감지부(430)는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으로, 도 4와 같은 인터럽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시동 감지부(43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따라 ETC 단말기(500)는 정상 동작 상태가 되거나,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시동 감지부(430)에 의해 시동이 켜진 것("ACC ON")으로 감지되면, ETC 단말기(500)의 전원부로 전원이 인가되어 ETC 단말기(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가 된다. 반면, 시동 감지부(430)에 의해 시동이 꺼진 것("ACC OFF")으로 감지되면, ETC 단말기(500)는 슬립 모드 상태가 된다.
차량 제어부(440)는 차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차량 식별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차량 식별 번호(VIN)는 한국도로공사, 지방자치단체, 금융결제원, 국세청, 경찰청, 자동차등록사업소 등과 같은 기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도로관리서버로부터 통행 요금 징수 요구 또는 도난 차량, 불법 차량, 범죄 차량 등의 차량 단속을 하기 위해 각각의 차량에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이다.
차량 제어부(440)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420), 시동 감지부(430)의 감지 결과를 ETC 단말기(500)의 단말 제어부(580)에 전송한다.
차량 전원부(450)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전원부(450)는 턴온(trun on)되면 차량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한다.
ETC 단말기(500)는 고주파 안테나(RF 안테나)(510), 통신부(520), 저장부(530), 단말 전원부(540), 해체 감지부(550), 음성 처리부(560), 음성 출력부(570), 및 단말 제어부(580)를 포함한다.
통신부(520)는 ETCS의 통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고주파 안테나(510)를 통해 외부의 노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데이터를 변조 또는 복조시킨다.
저장부(530)는 등록된 차량의 차종, 사용자 정보, 차량식별번호(VIN) 등의 차량 정보와 거래 내역 등을 저장한다.
단말 전원부(540)는 차량 전원부(450)에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ETC 단말기(500)의 각 부분에 일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해체 감지부(550)는 장착부(410)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도 5와 같은 인터럽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560)는 거래 내역, 통행료 자동 징수와 관련하여 일련의 절차 및 처리 결과, 재등록 안내 등의 음성을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570)(예를 들면, 스피커)로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580)는 차량 제어부(440)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ETC 단말기(500)의 각 부분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차량용 네트워크를 위해 고안된 시리얼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이다.
단말 제어부(580)는 해체 감지부(550)의 감지 결과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ETC 단말기(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580)는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500)의 재설치시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음성 처리부(560)를 제어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580)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420)의 감지 결과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ETC 단말기(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차량의 배터리 교체시에는 소요되는 시간만큼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해체 감지부(550)는 차량에 장착된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한다(S110).
단말 제어부(580)는 감지 결과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ETC 단말기(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20, S130).
그리고, 만약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500)의 재설치시에는 단말 제어부(580)는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음성 처리부(560)를 제어한다(S140, S150).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580)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420)의 감지 결과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ETC 단말기(500)가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ETC 단말기(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210, S220, S230, S240).
그리고, 만약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500)의 재설치시에는 단말 제어부(580)는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음성 처리부(560)를 제어한다(S250, S26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례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례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ETC 단말기 분실시 사용을 제한하여 차량 사용자가 부당하게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00: 차량부 410: 장착부
420: 배터리 잔량 감지부 430: 시동 감지부
440: 차량 제어부 450: 차량 전원부
500: ETC 단말기 510: 고주파 안테나
520: 통신부 530: 저장부
540: 단말 전원부 550: 해체 감지부
560: 음성 처리부 570: 음성 출력부
580: 단말 제어부

Claims (6)

  1. ETC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해체 감지부; 및
    상기 해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의 재설치시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잔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4. 차량에 장착된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이 정지된 ETC 단말기의 재설치시 재등록해야 함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ETC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ETC 단말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40195466A 2014-12-31 2014-12-31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7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66A KR101679605B1 (ko) 2014-12-31 2014-12-31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66A KR101679605B1 (ko) 2014-12-31 2014-12-31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23A true KR20160081523A (ko) 2016-07-08
KR101679605B1 KR101679605B1 (ko) 2016-11-25

Family

ID=5650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9605B1 (ko) 2014-12-31 2014-12-31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08A1 (ko) * 2016-07-13 2018-01-18 (주)라닉스 디에스알씨용 이티씨 오비유 시스템
CN114756006A (zh) * 2022-04-18 2022-07-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拆功能测试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925B1 (ko) 2000-12-09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887A (ja) 2000-06-30 2002-01-25 Toshiba Corp 入退場処理システム、車載器、入退場処理方法、車載器の脱着検知方法
JP2005316954A (ja) * 2004-03-31 2005-11-10 Denso Corp 車載器
JP4192910B2 (ja) * 2005-03-16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925B1 (ko) 2000-12-09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08A1 (ko) * 2016-07-13 2018-01-18 (주)라닉스 디에스알씨용 이티씨 오비유 시스템
KR20180007599A (ko) * 2016-07-13 2018-01-23 (주)라닉스 Dsrc용 etc obu 시스템
CN109313826A (zh) * 2016-07-13 2019-02-05 莱尼科斯有限公司 Dsrc用etc obu系统
CN114756006A (zh) * 2022-04-18 2022-07-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拆功能测试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605B1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92668A (ja) 車載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06683209B (zh) 一种电子不停车收费方法、装置及系统
JP2010204756A (ja)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外部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79605B1 (ko) Etc 단말기의 해체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78158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5056B2 (ja) 車載器
JP2008090348A (ja) 商用車の運行管理装置とこれを用いた運行管理システム
JP2009122757A (ja) 車載器
JP201405965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WO2020240767A1 (ja) 自動運転システム
KR20160146467A (ko)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07539B1 (ko) 차량 dsrc 동글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지불 단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JP2010123068A (ja) 車載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40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JP564283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KR100688259B1 (ko) 노상주차장 관리방법
JP2008009732A (ja) 車載器
JP5655678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車載器
JP5881327B2 (ja) 車載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8611B1 (ko) 도로 통행료 회피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67767A (ja) 車載器
JP4659048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101611259B1 (ko) 차량 obu의 wave모듈을 이용한 전자지불 단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JP2014157495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419255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