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11168A -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168A
KR20160011168A KR1020150102834A KR20150102834A KR20160011168A KR 20160011168 A KR20160011168 A KR 20160011168A KR 1020150102834 A KR1020150102834 A KR 1020150102834A KR 20150102834 A KR20150102834 A KR 20150102834A KR 20160011168 A KR20160011168 A KR 2016001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carrier member
mounting
imag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843B1 (ko
Inventor
베르너 랑
게오르그 헤이트
마티아스 징크
오르한 키릭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1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이것은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4)를 부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2)를 설명하는 것으로, 차량 상에 고정되는 지지 암(12) 및 이 지지 암(12)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재(14)를 구비하고, 캐리어 부재(14)는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방법(18)을 필요로 한다. 이것에 의해, 캐리어 부재(14)는, 적어도 지지 암(12)과의 하나의 고정 영역에서,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폐쇄된 벽의 열가소성 주물로서 상기 지지 암(12)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 상에서 상기 지지 암(12)을 캡슐식으로 둘러싼다. 캐리어 부재(14)는 특히 사출 성형법으로서 지지 암(12)의 고정 영역 내에서 지지 암(12)의 주위에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유형의 장착 장치(2)를 구비하는 차량용 간접 시각 시스템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MOUNTING DEVICE FOR THE FIXING OF AN IMAGING DEVICE OF AN INDIRECT VISION SYSTEM ON A VEHICLE AND AN INDIRECT VIS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특히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사용 차량을 위한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발명된 장착 장치의 유사한 유형이 탑재 또는 제공되는 이와 같은 간접 시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간접 촬상 시스템을 위한 촬상 장치"의 주지된 예는 차량의 (외부의) 리어 뷰 미러 내의 미러 글래스 또는 반사면이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의 다른 예는, 예를 들면, 카메라 또는 다른 이미지 센서이다.
다음의 설명 뿐만 아니라 예시되고 설명된 출원의 실시예는 미러 글래스 또는 유사한 반사 영역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또한 다른 촬상 장치, 예를 들면, 카메라 등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요지, 뿐만 아니라 재래의 부품 또는 컴포넌트를 위한 장착은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운전자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암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리어 뷰 미러, 특히 외부의 미러 및/또는 관련된 미러 하우징은 차량 및/또는 차량의 차체 부품에 의해 지지되거나 및/또는 차량 및/또는 차량의 차체 부품 상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체결은 차체 부품에 대해 어떤 거리에서 행해지므로, 리어 뷰 미러는 그 설계된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일단부에서 차체에 고착되고, 다른 자유 단부 상에 미러 하우징을 탑재하는 외팔보식 지지 암 또는 지지 브래킷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 기법이다. 지지 브래킷의 경우에, 브래킷은 2 개의 지지 암을 구비하고, 이 지지 암은 양자 모두의 일단부에서 차체 연결되고, 2 개의 다른 자유 단부는 추가의 지지 암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상적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 암은 하나 이상의 리어 뷰 미러 및/또는 그것의 미러 하우징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량 상에 고정되는 지지 암을 위한 설계에 무관하게, 지지 암과 촬상 시스템, 또한 예를 들면 미러 하우징 또는 또한 직접적으로 미러 캐리어 사이의 연결은 간접 가시성 시스템 또는 리어 뷰 미러 시스템 내에 점을 생성하고, 여기서 실무상 발생하는 필요조건이 충족되도록, 그러므로 간접 시각 시스템 또는 리어 뷰 미러 시스템의 제조, 조립 및 유지관리가 임의의 가능한 단점을 유발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차량 상에 리어 뷰 미러를 장착 및 정렬하기 위한 장치는 총괄하여 캐리어 장치로 지칭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지지 암은 차량에 체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암 지지 부재에 부착될 수 있고, 다음에 상기 지지 부재는 리어 뷰 미러 또는 미러 하우징과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다. 브래킷에 체결되고, 따라서 미러와 지지 암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지지 부재에 상당한 중요성이 부수된다.
지지 부재와 지지 암 사이의 연결은 작은 노력으로 설치될 수 있어야 하고, 전체 간접 시각 시스템 또는 리어 뷰 미러 시스템은 지나치게 큰 체적을 추가해서는 안되고, 장기간 고착되어야 하고, 즉 내이완성, 내진동성 및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케이블 클램프 또는 필적하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지지 부재를 지지 암에 고정하는 것은 표준 기법이다. 여기서 문제는 클램프 연결이 진동, 열적으로 유발되는 팽창 및 수축 공정, 격렬한 바람의 압력 또는 다른 유사한 요인에 기인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느슨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부식의 상황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그래서 부적절한 재료의 조합이 방지되어야 한다.
지지 암에 지지 부재의 다른 장착 구성은 나사 또는 핀이다. 이러한 연결 선택지는 또한 진동, 이완의 위험, 및 대부분의 경우 재료의 피로 및 파괴 등에 기인되는 불충분한 연속적 부하 저항에의 감수성의 단점을 겪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설계 및 구조적 노력으로 장기간의 내용년수에 걸쳐 지속될 수 있는 최대의 작동 신뢰성 및 기능성이 존재하도록 전술한 유형의 장착 또는 지지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최초로 캐리어 부재가 각각의 고정 영역에서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되는 재료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여기서 캐리어 부재는 지지 암과 함께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캐리어 부재 및/또는 그 고정 영역은 지지 암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된 벽으로서 둘러싼다.
나사, 볼트, 클램프 또는 다른 유사한 방법과 같은 기계적, 보조적 또는 추가적 재료 대신, 본 발명에서 캐리어 부재는 지지 암과 함께 열가소적으로 성형되므로 이것은 폐쇄된 벽의 유닛으로서 캐리어 암을 둘러싼다. 그러므로 용어 "폐쇄된 벽"이라 함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말단부의 축방향으로 슬롯을 가진 클램프와 대조적으로 클램핑 나사, 볼트 등에 의해 지지 암에 클램핑되는 캐리어 부재가 전혀 중단 없이 원주방향으로 지지 암을 완전히 실링하거나 둘러싸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캐리어 부재의 장착 및 고착은 오로지 적어도 그 고정 영역 내에서 캐리어 부재의 열가소성 성형에 의해 달성되므로 복잡한 기계적 클램핑 또는 고정 방법 및 결과적인 관련 문제 및 단점이 제거될 수 있다. 캐리어 부재는 적어도 그 고정 영역에서 그 열가소성 형태에 기인되는 폐쇄된 벽 시스템으로서 지지 암의 주위에 성형되므로 지지 암 상의 캐리어 부재의 고정은 극도의 안정성, 내진동성 및 내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활 형상의 캐리어 장치로부터 그 자체가 이미 관습적인 바와 같이, 지지 암은 적어도 캐리어 부재와의 고정 영역에서 또는 그 전체에서 세장형/직선형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는 단일 암의 자유 단부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미러, 미러 헤드, 미러 하우징)이 체결되는 단순하게 설계되는 지지 암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암은 튜브형 외형으로서, 즉 사전제작된 형태, 그러므로 저비용으로 입수할 수 있는 반제품으로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음의 다른 이점은 특히 주목을 받는다. 적어도 지지 암과의 고정 영역에서 캐리어 부품의 열가소성 성형에 의해, 캐리어 부품은 고정 영역에서 목표의 형상 요건 또는 목표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모든 경우에 지지 암에 밀착하여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전의 제조 단계 또는 처리 단계에 기인되어, 예를 들면, 굴곡가공 작업 또는 유사한 변형, 표면 불규칙 등에 기인되어, 예를 들면, 고정 영역 내에서 지지 암이 편차를 나타내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목표의 외형 또는 목표의 표면 단면을 생성하기 위해 지지 암을 다시 재정렬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클램프 연결이 만족스럽게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캐리어 부품은 열가소성 성형에 의해 실질적으로 간극이 없이 구축될 수 있고,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지지 암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튜브형 외형은 원형 단면을 갖고, 그러므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획득 및/또는 생산될 수 있다.
캐리어 부품과 지지 암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 암은 적어도 고정 영역에서 튜브형 외형(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형 외형)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형상은 튜브형 부분의 벽의 목표의 영구 변형에 의해, 또한 예를 들면 횡방향의 평판화에 의해 체결 영역 내의 지지 암에 다소 현저한 타원형 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튜브 외형은 또한 다른 단면을 부여받을 수 있고, 예를 들면 튜브형 외형의 바람직한 원형의 단면은 대응하는 프레싱 공정에 의해 평판부 및/또는 에지(edge)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조치는 원주 방향으로 특히 캐리어 부품과 지지 암 사이의 연결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그러므로 또한 지지 암에 대한 캐리어 부품의 어떤 비틀림에 대한 방지도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 암에 대한 캐리어 부품의 축방향 위치 고정을 보장하거나, 이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이프 외형의 벽에 강성 연결되고, 이것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별개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상이한 형상이 적어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것을 위해 상상할 수 있는 것은 핀, 볼트 또는 나사이고, 이것은 지지 암 내에 삽입되거나 나사체결되고, 그 외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어느 정도만큼 돌출한다. 그러므로 이것으로 인해 부착된 캐리어 부품의 비틀림 뿐만 아니라 변위의 양자 모두가 방지된다.
연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은 캐리어 부품과 지지 암 사이의 고정 영역 내의 주변 표면 도는 주변 표면의 일부에 및/또는 상면의 그루브, 주름, 드릴 구멍, 압입부 또는 널(knurl)이다. 이러한 조치는 또한 지지 암과 캐리어 부품의 열가소적으로 형성된 재료 사이의 연결 또는 상호고정을 향상 도는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부재는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 영역에서 지지 암의 주위에 성형될 수 있다. 가소화된 상태의 열가소성물질로 지지 암의 주위에 캐리어 부재를 캐스팅하면, 하나의 작업 공정으로 캐리어 부재 자체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암 상에 캐리어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암은 왜곡 없는 공정으로 캐리어 부재의 고정 영역 내에 실질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 부재 내에는, 특히 저온에서 캐리어 부재가 충격 또는 충돌에 노출되었을 때 캐리어 부재 상에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고유 장력이 확실하게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특히 캐스팅 공정 후에 고정 영역 내에는 반경방향을 향하는 수축이 또한 존재할 수 있고, 이것은 지지 암과 캐리어 부재 사이에 방향성을 갖는 원하는 장력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지지 암은 여전히 표면 외형을 가질 수 있고, 이것은 수축된 장력을 가진 캐리어 부재의 부분을 가압한다. 이러한 조치를 사용하면 지지 암과 캐리어 부재 사이의 연결이 확실하게 매우 견고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촬상 장치는 리어 뷰 미러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캐리어 부재는 글래스 조절기의 일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캐리어 부재는 헤드 조절기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암은 적절한 강도 및 저항치를 갖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지지 암 상에는 촬상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재와 함께 운전자를 지원하거나 보조하는 직접 또는 간접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컴포넌트(및/또는 그것의 캐리어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는 GPS 시스템(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을 위한 컴포넌트이다. 그러면 이러한 추가의 컴포넌트, 또는 다른 컴포넌트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암 상에 캐리어 부재와 함께 고정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요지는 촬상 장치에 배타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더욱 지지 암 상의 구조 부재 및 컴포넌트를 위한 일반적인 고정 방법이고, 이것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전자 지원 및 원조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요지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된 촬상 장치를 위한 장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간접 촬상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내용, 양태 및 이점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1은 조절가능한 글래스, 리어 뷰 미러 유닛인 간접 시각 시스템의 장착 장치의 간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간접 시각 시스템이 헤드-조절식 리어 뷰 미러 유닛인 도 1의 관련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를 구비하는 글래스 조절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를 구비하는 헤드 조절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를 구비하는 헤드 조절기의 다른 실시형태이고;
도 6은 어댑터를 구비하는 장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교체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장착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지지 암의 길이방향의 중간 축선과 미러의 길이방향의 중간 축선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글래스 조절기의 추가의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9는 캐리어 부재의 고정 영역에서 지지 암 표면을 위한 4 개의 상이한 설계 형태의 가능성을 도시하고;
도 10은 캐리어 부재 및/또는 그 고정 영역 내의 수축에 기인되어 목표의 형태의 텐셔닝의 효과 및/또는 메커니즘의 과장된 단면 또는 확대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고정 영역 내에서의 캐리어 부재의 다양한 설계 형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글래스 조절기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3의 유사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변형례를 도시한다.
상호 개략적이거나 대응하는 척도로서 각각 간주될 수 없는 기술적 도면에서 별개의 도면은 동일하거나 상호 관련되는 부품 또는 부분을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열거하고 있으므로, 해당하는 경우 이와 같은 부품 또는 부분을 위한 반복된 설명이 무시될 수 있다.
기술적 도면의 별개의 도면에서 2 개의 구체적인 장착 장치 중 하나는, 기술적 도면에서 더 세부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차량 상의 간접 시각 시스템을 위한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서, 간접 시각 시스템이 리어 뷰 미러 부재인 경우에 "미러 캐리어"로서 규정될 수도 있고, 미러 하우징(6) 내에 위치되는 미러 글래스(4)(도 3) 내의 촬상 장치의 특징을 갖는다.
촬상 장치를 위한 다른 예는 미러 글래스(4) 대신 다른 반사체 또는 반사면, 카메라 또는 다른 센서일 수 있다.
차량 상의 미러 캐리어(2)(장착 장치)의 고정은 관련된 차량 연결점 또는 미러 베이스(8)를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설계 모델 실시예에 의해 실행된다.
도 1 및 도 2는 미러 캐리어(2) 뿐만 아니라 완전한 시스템을 위한 설계 형태의 양자 모두를 위한 2 개의 상이한 설계 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은 소위 글래스 조절기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기본 원리를 도시하고, 도 2는 소위 헤드 조절기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기본 원리를 도시한다.
도 1의 설계예는 양자 모두의 미러 베이스(8)의 전방에 2 개의 외팔보(10)를 갖는다. 지지 암(12)은 양자 모두의 외팔보(10)를 관통하고, 금속 외형으로서, 특히 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 외형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외팔보(10) 사이의 지지 암(12)의 길이방향의 연장부를 따라,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재(14)가 지지 암(12)과 연결된다. 캐리어 부재(들)(14)은 각각 접촉 위치 또는 접촉점(18)을 통해 관련된 조절 장치와 연결되는 하나의 조절 장치 또는 조절 유닛(16)을 구비하고 있다. 조절 유닛(16)은 각각 미러 글래스(4)를 구비하고, 그 결과 도 1에 따른 설계 형태는 지지 암(12) 상에 2 개의 캐리어 부재(14)의 배열을 도시하고, 이것은 양 외팔보(10) 사이의 2 개의 미러 글래스(4)에 관련된다. 지지 암(12), 캐리어 부재들 또는 캐리어 부재(14), 조절 유닛들 또는 조절 유닛(16) 및 미러 글래스들 또는 미러 글래스(4)의 완전한 배열은 미러 하우징(6) 내에 위치된다. 그 결과 미러 하우징(6)은 국부적 고정 또는 위치 고정부로서 고정되고, 개별적인 미러 글래스(4)는 미러 하우징과 대조적으로 각각의 조절 부재(16)를 이용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설계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 외팔보(10) 사이에 연장되는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형성되는 지지 암을 갖지 않고, 연속적인 U자 형태의 굴곡된 활형 부재로서 형성되고, 이것의 양 자유 단부의 섕크(shank)는 미러 베이스(8)를 통해 차체에 연결된다. 양 섕크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선상 부분이 연장되고, 이것은 도 1의 별개의 지지 암(12)의 기능성과 대응하고, 또한 하나 이상 캐리어 부품(14)의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캐리어 부품(14)은 관련된 미러 하우징(6)의 배열 또는 위치설정 및 그 결과 위치설정된 미러 글래스(4)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조절 유닛(16)은 내장된 미러 글래스(4)와 함께 각각의 미러 하우징(6)을 이동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미러 글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미러 베이스(8), 외팔보(10), 지지 암(12), 캐리어 부재(14), 조절 유닛(16) 및 접촉점(18)에 영향을 주는 도 1 및 도 2의 양 설계 형태의 정확한 구조는 결국 최근의 기술적 표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므로 여기서 이것에 관한 세부적인 전개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실질적으로 직선상이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지지 암으로서 외팔보(10) 및/또는 양 미러 베이스(8)를 통과하는 지지 암(12) 또는 지지 암(12)의 일부(도 2) 상에 별개의 캐리어 부재(14)를 고정 및/또는 고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서두에서 이미 사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암(12) 상의 캐리어 부재(14) 및/또는 차체 상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통 부분의 고정은 다양한 유형의 클램핑, 볼트체결 또는 나사체결 기법으로 사전에 실행되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캐리어 부재(14)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영역 내에, 즉 지지 암(12)의 하나의 영역 또는 부분 내에 형성된다는 사실을 취급하고, 여기서 캐리어 부재(14)는 열가소성 용융 처리된 재료, 특히 관련된 합성 수지,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로 지지 암(12)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 부재의 열가소성 성형에 의해 캐리어 부재(14)는 지지 암(12)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에 걸쳐(여기서, 특히 고 정 영역에 대해) 지지 암(12)을 위한 폐쇄된 벽의 원주방향의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후의 기본적인 생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열가소성 용융-처리된 또는 캐스팅된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캐리어 부재(14)는 기술적 도면에서 별개의 도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폐쇄된 벽 방법으로서 고정 영역 내에서 지지 암(12)을 파지(grip) 또는 포위하고, 따라서 "폐쇄된 벽"은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이해되어야 하므로 캐리어 부재(14)의 부분(20)은 어떤 중단도 없이 도 3에 따라 지지 암(12)을 파지하고, 예를 들면, 절개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결과적인 절개부는 지지 암(12) 상에 캐리어 부재(14)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및/또는 고정 공정(볼트, 나사)에 의한 재래의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크기와 동등한 폭을 갖는데 불과하다.
도 3은 글래스 조절기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설계를 도시한 것이고, 즉 미러 글래스(4)는 조절 유닛(16)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탑재되거나 고정되고, 조절 유닛(16)은 커넥터 또는 접촉점(18)을 통해 캐리어 부재(14)에 연결된다. 도 3에서 이중 화살표는 조절 유닛(16)이 미러 글래스(4)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조절 운동을 도시한다.
이것에 의해 미러 하우징(6)은 정지 또는 고정되고, 예를 들면, 도 1에 따른 양 외팔보(10) 상에서 일방적으로 각각 고정된다.
도 4는 도 3의 각각의 단면도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헤드 조절기를 위해 사용되고, 여기서 미러 하우징(6)은 조절 부재(16)를 사용하여 미러 글래스(4)와 함께 이동한다. 이 경우, 캐리어 부재(14)는 또한 적어도 지지 암(12)과의 고정 영역에서 열가소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부분(20)으로 지지 암(12)을 파지한다.
도 5는 또한 헤드 조절기를 위한 모델에 따른 설계를 도시한 것이고, 여기서 도 4와 대조적으로 조절 유닛(16)은 미러 글래스(4) 상에 작용하지 않고, 미러 글래스(4)를 유지하고 있는 미러 하우징(6)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 형태에서, 캐리어 부재(14)는 또한 적어도 지지 암(12)과의 고정 영역에서 열가소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폐쇄된 벽 방법으로서 그것의 부분(20)으로 지지 암을 파지한다.
도 6은 캐리어 부재(14)의 일측면 상의 접촉점(18) 상에 어댑터(22)를 적용하기 위한 가능한 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조절 부재(16)의 기저 위치 또는 0점 위치에서 이미 미러 글래스(4) 또는 미러 하우징(6)을 위한 어떤 각도 위치를 형성하고 있다. 어댑터(22)는 캐리어 부재의 일측면 상의 접촉점(18)과 유사한 추가의 접촉점(18)을 장착하고 있다.
도 7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축선(L)에 위치되는 접촉점(18)을 구비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도 3 및 도 4와 다소 유사한 캐리어 부재(14)를 라인(1)에 수직으로 이 위치로부터 규정된 각도(α)까지 이미 경사를 이루고 있는 (접촉점(18)을 구비한) 접촉면(24)을 갖는 캐리어 부재(14)로 대체하기 위한 가능한 수단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사는 좌측을 향한 것(접촉면(24'))이거나 도 7에 따라 우측을 향한 것(접촉면(24))일 수 있다. 여기서 각도(α)의 크기는 미러 글래스 또는 미러 하우징의 요구되는 설치 위치에 의존한다.
도 8은 미러 글래스(4)의 길이방향의 축선 또는 라인(L)이 지지 암(12)의 중간점에 대해 오프셋(V)을 나타내는 가능한 수단을 도시한다. 대응하여, 캐리어 부재(14)는 외팔보(10)를 제시하고, 외팔보는 접촉점(18)을 구비하고, 지지 암(1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더욱이 이것은 또한, 도 8에 따른 글래스 조절기의 예시의 경우에, 외팔보(26) 및/또는 캐리어 부재(14)가, 옵션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외팔보(26) 및/또는 캐리어 부재(14)의 고정부(28)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 부재(14)는 고정 영역에서 지지 암(12)과 연결되고, 따라서 지지 암(12) 상의 캐리어 부재(14)를 위한 폐쇄된 벽 재료로서의 특징을 갖는다. 고정 영역에서 캐리어 부재(14)와 지지 암(12) 사이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조치가 생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치는 그 자체로 비틀림 방지 보호수단 또는 오로지 축방향 변위에 대한 예방수단 또는 이들은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지지 암(12)에 대한 캐리어 부재(14)의 이러한 추가의 고정을 위한 상이한 가능한 수단을 도시하고, 여기서 도 9는 총 4 가지 선택지를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고,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요지가 이들 4 가지 도시된 가능한 수단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설계예에서, 지지 암(12)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소 유사한 상이한 단면의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형 형상 중 하나를 적어도 고정 영역의 그 길이방향의 연장부 상에 구비하고, 여기서 이러한 상이한 단면 형상은 삽입부(30)에 의해 대략 콩팥 형상을 갖는다. 또한 타원형 단면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암(12)을 양측면 상에서 프레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30)에 의해, 캐리어 부재(14)가 지지 암(12)을 포위함으로써 캐리어 부재(14)와 지지 암(12)의 비틀림 강도가 증대하게 된다. 삽입부(3)의 대신에 또는 삽입부(3)에 추가하여, 지지 암(12)은 고정 영역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32)를 가질 수 있고, 캐리어 부재(14) 및/또는 부분(20)을 형성할 때, 이 그루브 내에 캐리어 부재(14)의 재료가 진입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으로부터 2 번째의 설계예는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고정 영역에서 다각형 단면, 예를 들면, 도시된 정사각 형태를 갖는 지지 암(12)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형 형상 또는 다중 모서리 형상으로 인해, 캐리어 부재(14)는 지지 암(12)에 대해 탁월한 회전 방지 보호된다. 더욱이, 다중 표면이 형성된 지지 암(12)의 벽 또는 더 많은 다중 벽은 개구 또는 드릴 구멍(34)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개구(34)는 지지 암(12)에 대한 캐리어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고착 뿐만 아니라 축방향의 고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으로부터 3 번째의 설계예는 반경 방향을 지지 암(12)에 대한 캐리어 부재(14)의 회전방지 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앞에서 언급된 타원형 단면을 갖는 지지 암(12)을 예시한다. 또한, 지지 암(12)의 주변의 벽에 하나 이상의 개구(34)가 제공된다.
도 9의 가장 우측의 설계예는 적어도 고정 영역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의 길이방향의 그루브(36) 및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널(38)을 구비하는 지지 암(12)을 예시한다.
캐리어 부재(14)는 그 전체가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것은 일부의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면 이것은 부분(20)의 형상으로 지지 암(12)의 외주를 완전히 또는 폐쇄된 벽 시스템으로서 파지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긴밀한 유닛을 생성하고, 그 결과 또한 지지 암(12)에 대한 캐리어 부재(14)의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의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도 9에 따라 구현된 다른 조치가 존재할 수 있다.
지지 암(12) 상의 포위체로서 캐리어 부재(14)를 형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특히 사출 성형으로 고정 영역에서 지지 암(12)의 주위에 캐리어 부재(14)를 캐스팅하는 것이고, 또한 여기서 지지 암(12)은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위한 방법에 따라 주형 내에 삽입된다. 실질적으로 캐스팅 공정은 장력 없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캐리어 부재(14) 또는 캐리어 부재(14)의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부분의 응고 후에 지지 암(12)의 외주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장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10은 캐리어 부재(14)와 지지 암(12)의 외주 사이에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목표의 도입된 수축 이동에 의해 재료가 캐리어 부재(14) 및/또는 지지 암(12) 상의 캐리어 부재(14)의 영역을 폐쇄된 벽으로서 포위할 수 있는 방법을 위해 선택될 수 있는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지지 암(12)은 하나 이상의 변형, 예를 들면,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길이방향의 그루브(36)를 원주 방향으로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캐리어 부재(14)의 재료는 지지 암(12)의 주변에서 침투한다. 캐리어 부재(14)의 경화 중에, 캐리어 부재(14)의 재료 내에서 목표의 변형 및 수축 운동이 발생하고, 다음에 이것은 지지 암(12)의 주변 및 국부적인 길이방향의 그루브(36)에서 선형 압력 또는 표면 압력으로 하나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위치에 도 10에 도시된 방식으로 캐리어 부재(14) 및/또는 부분(20)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지지 암(12)에 대한 캐리어 부재(14)의 장력에 영향을 준다.
도 11 및 도 12는 캐리어 부재(14) 상에 다수의 부분(20)이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폐쇄된 벽으로서 지지 암(12)의 외주를 점유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별개의 부분(20)은 캐리어 부재(14)로부터 돌출하는 외팔보형이고, 이들 각각은 링 형상의 포위체로서 지지 암(12)을 파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별개의 부분(20) 사이에 간극 또는 간격이 존재한다. 도 12에 따른 변형례에서, 각각의 부분(20)의 자유 단부는 스루-고잉(through-going) 리브(4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따라서 도 11의 개별 링 형상의 부분(20) 대신 도 12에 따른 설계 형태에서는 캐리어 부재(14), 부분(20) 및 리브(40)의 조합에 의해 고정 영역에 더욱 슬리브 형상이 형성된다.
도 13은 글래스 조절기를 예시하고, 여기서 미러 하우징(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소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외팔보(10) 상에 고정되지 않고, 캐리어 부재(14) 상의 리브 또는 플레이트(42) 상에 고정된다. 그 결과 접촉점(18)은 플레이트(42)를 통과한다.
도 14는 글래스 조절기를 예시하고, 여기서 조절 유닛(16)은 베이스(44)를 통해 캐리어 부재(14)에 연결된다. 접촉점(18)은 조절 유닛(16)과 베이스(44) 사이에 위치된다. 베이스(44)는 적절한 치수를 갖는 개구로 플레이트(42)를 통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46) 또는 등가의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 국부적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플레이트(42)에 고정된다. 그 결과 나사(46) 또는 나사들(46)은 지지 암(12)의 측면으로부터 이 플레이트(42)를 통과하고, 이것은 결국 베이스(44) 내에 이를 수 있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까지 연장하고, 따라서 (플레이트(42)의 상측의) 미러 하우징(6), 베이스(44)(따라서 캐리어 부재(14)) 및 조절 유닛(16)은 결합되어 조립 컴포넌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 특히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및/또는 성형될 부분 내에서 이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지 암의 적어도 체결 영역 내에 형성되는, 전술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캐리어 부재 자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는 이 목적에 배타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 또는 성형가능한 재료 대신 다른 적용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열경화성 플라스틱, 섬유 또는 직물 보강된 합성 수지 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출원일에 예측 가능한 한, 비록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캐리어 부재가 전적으로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 유리하더라도, 캐리어 부재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단일의 가공 작업으로 지지 암과 연결될 수 있고, 그러므로 원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캐리어 부재(14)가 2 개 또는 다수 부품의 구성인 경우, 이것은 사전 형성된 캐리어 부재 상에 장착될/장착된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다음에 폐쇄된 벽으로서 적어도 일부의 부분 상에서 지지 암을 피복하기 위해 적절한 처리 방법으로 성형 및/또는 성형된다. 예를 들면, 캐리어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유사한 적절한 재료, 또는 열가소성 비변형성 합성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그리고 이에 따라 성형 및/또는 성형될 수 있는 설계 또는 활용을 나타낸다.
캐리어 부재의 재료의 일부로 지지 암을 포위 또는 캡슐식으로 둘러싸는 것은 또한 전술한 이점과 함께 캐리어 부재와 지지 암 사이의 달성가능한 연결 품질을 위한 지지 암의 형상 및/또는 표면의 불규칙성이 지지 암의 포위체(캡슐) 내에서 캐리어 부재의 재료에 의해 평평화 또는 상쇄되므로 무의미해진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요지는 단순하고, 비용효율적이고, 내부식성이고, 내진동성이고, 기존의 방법에 비해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의 대안을 사용함으로써 캐리어 부재가 지지 암 상에 연결될 수 있는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장착 장치 자체는 차량 상의 간접 시각 시스템의 이미지-형성 장치, 차량 상의 고정가능한 지지 암, 및 지지 부재 상의 적어도 고정가능한 캐리어 부재의 고정을 위한 특징으로 제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캐리어 부재는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방법을 필요로 한다. 캐리어 부재는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로 적어도 고정 영역 내에서 지지 암에 형성되고, 폐쇄된 벽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내에서 열가소적 성형법을 사용하여 지지 암을 캡슐식으로 둘러싼다.
2: 장착 장치/미러 지지체
4: 미러 글래스
6: 미러 하우징
8: 미러 베이스
10: 외팔보
12: 지지 암
14: 지지 부재 또는 지지 부품
16: 조절 유닛
18: 접촉점(들)
20: 부분
22: 어댑터
24: 접촉면
26: 외팔보
28: 고정점(들)
30: 삽입부(비틀림 방지 고착)
32: 그루브(축방향 고착)
34: 개구(축방향 고착)
36: 길이방향의 그루브( 비틀림 방지 고착)
38: 널링(축방향 및/또는 비틀림 방지 고착)
40: 리브
42: 플레이트
44: 베이스
46: 나사(들)

Claims (15)

  1.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2)로서, 차량에 고정되는 지지 암(12) 및 상기 지지 암(12)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재(14)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상기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수단(16, 18, 18', 22)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적어도 상기 지지 암(12)과의 고정 영역에서 열가소성의 용융 처리가능한 재료로서 형성되고, 상기 지지 암(12)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 상에서 폐쇄된 벽을 열가소성 성형함으로써 상기 지지 암(12)을 둘러싸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은, 적어도 상기 고정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그 전부가 실질적으로 세장형/직선형으로서 형성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은 튜브형 외형으로서 형성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외형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은 상기 고정 영역에서 상기 튜브형 외형의 형상의 나머지로부터 벗어나는 형상을 갖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벗어나는 형상의 특징은 상기 튜브형 외형의 벽의 영구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벗어나는 형상의 특징은, 튜브형 섹션의 벽에 강성 연결되어 이것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컴포넌트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고정 영역 내에서 상기 지지 암(12)을 캡슐식으로 둘러싸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은 상기 캐리어 부재(14) 내에서 실질적으로 무장력 상태로 상기 고정 영역 내에 성형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상기 고정 영역 내에서 캐스팅 공정 후에 특히 반경방향을 향해 수축을 거쳐, 상기 지지 암(12)과 상기 캐리어 부재(14) 사이의 브레이싱(bracing)을 유발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리어 뷰 미러(4, 6)이고,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글래스 조절기의 일부인,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리어 뷰 미러(4, 6)이고, 상기 캐리어 부재(14)는 헤드 조절기의 일부인,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되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12) 상에서, 추가의 구조적 요소 또는 추가의 컴포넌트가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운전자 서포트이거나 상기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운전자 서포트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재(1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차량 상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5.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간접 시각 시스템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촬상 장치용 장착 장치(2)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간접 시각 시스템.
KR1020150102834A 2014-07-21 2015-07-21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KR10209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4128.1A DE102014214128B4 (de) 2014-07-21 2014-07-21 Trägervorrichtung für die Befestigung einer bildgebenden Einrichtung eines indirekten Sichtsystems an einem Fahrzeug sowie indirektes Sichtsystem hiermit
DE102014214128.1 2014-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68A true KR20160011168A (ko) 2016-01-29
KR102095843B1 KR102095843B1 (ko) 2020-04-01

Family

ID=5378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834A KR102095843B1 (ko) 2014-07-21 2015-07-21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16516A1 (ko)
EP (1) EP2977266B1 (ko)
KR (1) KR102095843B1 (ko)
CN (1) CN105270265B (ko)
BR (1) BR102015016880B1 (ko)
DE (1) DE102014214128B4 (ko)
ES (1) ES268582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999B2 (ja) * 2019-04-23 2021-03-2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DE102021206716A1 (de) 2021-06-29 2022-12-29 Psa Automobiles Sa Kamera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11958419B2 (en) 2022-02-24 2024-04-16 Stoneridge, Inc. Collapsible vehicle camera arm assembly
DE102022105242A1 (de) 2022-03-07 2023-09-0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amerahalterung zur Befestigung an einem Fahrzeugaufba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195A (ja) * 2008-04-25 2009-12-03 Fuji Heavy Ind Ltd ステレオカメラユニット
KR20120001742A (ko) * 2009-03-17 2012-01-04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0081U (de) * 1972-11-09 Giebler G Auss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5092632A (en) * 1991-03-19 1992-03-0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Structure for coupling resin tubes by the use of a bracket
DE4429603A1 (de) * 1994-08-20 1996-02-22 Mekra Rangau Plastics Halterung für einen Außenspiegel eines Nutzfahrzeuges
US6962422B1 (en) * 1996-01-16 2005-11-08 Roscoe, Inc. Single shell, double view mirror for vehicles
US5760980A (en) * 1996-03-22 1998-06-02 Heinrich Lang Rear-view mirror assembly
DE29614664U1 (de) * 1996-08-23 1997-12-18 Hohe GmbH & Co. KG, 97903 Collenberg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bestehendes Gehäuse eines Fahrzeugspiegels
DE10022919A1 (de) * 1999-08-27 2001-03-01 Basf Ag Spritzgegossene Formteile
DE10351660B4 (de) * 2003-11-05 2007-11-15 Mekra Lang Gmbh & Co. Kg Tragarm für Fahrzeugspiegel
US20080049343A1 (en) * 2006-08-22 2008-02-28 Michael Dean Branham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reduced mirror shaking
DE102009046174A1 (de) * 2009-10-29 2011-05-05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kopf mit überlappendem Sichtfeld
DE202010009347U1 (de) * 2010-01-20 2011-06-01 MEKRA Lang GmbH & Co. KG, 90765 Adapter zu pass- und positionsgenauen Befestigung einer Spiegeleinhe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195A (ja) * 2008-04-25 2009-12-03 Fuji Heavy Ind Ltd ステレオカメラユニット
KR20120001742A (ko) * 2009-03-17 2012-01-04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5016880A2 (pt) 2017-07-11
EP2977266B1 (de) 2018-06-06
CN105270265A (zh) 2016-01-27
CN105270265B (zh) 2020-08-14
DE102014214128B4 (de) 2016-02-04
EP2977266A1 (de) 2016-01-27
ES2685822T3 (es) 2018-10-11
KR102095843B1 (ko) 2020-04-01
BR102015016880B1 (pt) 2022-01-25
US20160016516A1 (en) 2016-01-21
DE102014214128A1 (de)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288B2 (en) Snap fit connection in a rear view mirror
KR20160011168A (ko) 차량에 간접 시각 시스템의 촬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및 간접 시각 시스템
JP5032383B2 (ja)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BRPI0620919A2 (pt) dispositivo do limpador de pára-brisa, em particular, para um veìculo automotor
CN109629934A (zh) 具有外手柄单元的车门及用于装配外手柄单元的方法
EP2255998A1 (en) Stay device for interior mirror of vehicle
JP2005070505A (ja) カメラ装置
CN108603525B (zh) 调整元件、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机动车
KR20050043642A (ko) 차량 미러용 서포트 암
EP3378704B1 (en) An imag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828452B2 (en) Vehicle mirror support assembly with cast brace
JP2001271814A (ja) 機能性部材の取付構造
CN110621555A (zh) 用于定位轮速传感器的装置、包括用于定位轮速传感器的装置的abs系统及用于调节轮速传感器的方法
US20030143020A1 (en) Window wiper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20170112762A (ko) 차량용 레이더 축 보정장치
JP2020502448A (ja) 角度調整を伴うスペーシングデバイス
JP3924785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の取付要素
EP3835134B1 (en) Attachment arrangement for a camera module at a vehicle
BR102018016862B1 (pt) Dispositivo para a fixação de um componente e veículo com tal dispositivo
CN101450653B (zh) 用于汽车的雨刮器装置
JP3800869B2 (ja) 電動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装置
CN103203760B (zh) 相机固定装置及包括其的全景视觉系统
JP513586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BRPI0616353A2 (pt) dispositivo de fixaÇço
EP0481540A1 (en) A combination of a support means and an object supported by said suppor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