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124387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87A
KR20150124387A KR1020150045974A KR20150045974A KR20150124387A KR 20150124387 A KR20150124387 A KR 20150124387A KR 1020150045974 A KR1020150045974 A KR 1020150045974A KR 20150045974 A KR20150045974 A KR 20150045974A KR 20150124387 A KR20150124387 A KR 20150124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ing housing
connector
shield shel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186B1 (ko
Inventor
다카키 구라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전기 커넥터의 효율적인 조립성을 얻으면서 양호한 조작성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절연 하우징(11) 및 액츄에이터(14)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11c,14c)에 의해 덮고,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킨 액츄에이터측 쉴드 쉘(14c)을 절연 하우징측 쉴드 쉘(11c)에 접촉시켜, 신호 전송 매체 F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12,13)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연속적으로 덮음으로써, 액츄에이터(14)의 이동에 의해 양 쉴드 쉘(11c,14c)을 접촉시킨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전송 경로에 대한 양호한 쉴드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전기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는 인쇄 배선 기판에 전기 커넥터를 실장하고, 그 전기 커넥터를 개재하여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인쇄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를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의 삽입구로부터 매체 수용 통로의 내부로 삽입하고, 그 신호 전송 매체(FPC나 FFC 등)의 삽입을 완료한 후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를 회동 조작 또는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도전 콘택트 부재를 탄성 변위시켜,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를 신호 전송 매체의 전극부에 압접(壓接)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근년과 같이 전송 신호의 고주파화가 도모되어 오면,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쉴드(shield)하는 전자파 차단(EMI) 대책을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서는, 액츄에이터가 회동 또는 슬라이드 하기 때문에, 절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의 사이에 공간 부분이 형성되어 버려, 충분한 전자파 차단기능을 얻기 힘들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쉴드 쉘(shield shell)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그 쉴드 쉘의 내방(內方) 영역에 액츄에이터를 배치하여 두고, 액츄에이터를 회동 조작한 후에 쉴드 쉘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절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의 쌍방을 상방으로부터 쉴드 쉘로 덮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소정의 전자파 차단의 작용은 얻어지게 되지만, 액츄에이터와 쉴드 쉘의 쌍방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화됨과 아울러, 양 부재의 회동 조작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기 커넥터의 조립공정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흡착하는 경우에, 절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쉴드 쉘이 방해가 되어 효율적인 조립성을 얻기 힘들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1103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양호하게 쉴드 하고, 효율적인 조립성을 얻으면서 양호한 조작성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도전 콘택트 부재가 배치된 절연 하우징에 액츄에이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에 당해 절연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도전성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이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측의 쉴드 쉘과 상기 절연 하우징측의 쉴드 쉘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연속적으로 덮도록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액츄에이터측의 쉴드 쉘과 절연 하우징측의 쉴드 쉘이 접촉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가 연속적으로 덮이게 되어 양호한 쉴드성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일어서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경도(傾倒) 위치까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인쇄 배선 기판을 따른 방향으로 이간(離間)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에 접촉하는 작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하우징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양 쉴드 쉘끼리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측의 쉴드 쉘과 절연 하우징측의 쉴드 쉘이 틈새 없이 접촉하게 되어 쉴드 쉘에 의한 전자파 차단 작용이 더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쉴드 쉘에 접촉하는 그라운드(ground)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쉴드 쉘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운드 저항의 저감에 의해 그라운드 특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운드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경로가 다점접촉 상태로 되어 그라운드 저항이 저감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에 의해 덮고,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킨 액츄에이터측의 쉴드 쉘을 절연 하우징측의 쉴드 쉘에 접촉시켜,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연속적으로 덮음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의해 양 쉴드 쉘을 접촉시킨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전송 경로에 대한 양호한 쉴드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조립성을 얻으면서 양호한 조작성도 얻을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초기 위치에 세운 상태를 커넥터 정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배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정면측의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VI-VI 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 중의 VII-VII 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도 7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7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경도(傾倒) 위치」로 밀어 넘어뜨린 상태의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경도 위치」로 밀어 넘어뜨린 상태의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밀어 넣은 상태를 커넥터 정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배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정면측의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밀어 넣은 상태의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밀어 넣은 상태의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초기 위치에 세운 상태를 커넥터 정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배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8~도 20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밀어 넣은 상태를 커넥터 정면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밀어 넣은 상태의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흡착 에리어(area)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쉘(쉴드 쉘)에 탄성 변형 가능한 그라운드 부재를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 10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넥터 전체 구조에 대하여]
우선, 도 1~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10)는,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이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절연성 부재로 이루어진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연 하우징(11)은 평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얇은 두께의 중공 형상 케이스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장변측 양단연(兩端緣)의 일방측(도 6 및 도 7 좌단측), 즉 커넥터 전단연(前端緣) 부분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 F(도 17 참조)가 삽입되는 전방측 삽입구(11a)가 가로로 가늘고 긴 형상의 개구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전방측 삽입구(11a)와는 반대측(도 6 및 도 7의 우단측)의 타단측연(他端側緣), 즉 커넥터 후단연(後端緣) 부분에는, 후술하는 도전 콘택트(12,13)나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4)를 장착하기 위한 후방측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전방측 삽입구(11a)로부터 후방측 개구부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 부분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됨으로써 수용되는 매체 수용 통로(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을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부르는 것과 아울러, 전방측 삽입구(11a)와 후방측 개구부가 대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부르는 것으로 하고, 또,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및「커넥터 전후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상하 방향」으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외표면을 덮는 도전성의 판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쉘(쉴드 쉘)(11c)이 장착되어 있다. 이 하우징 쉘(11c)은 절연 하우징(11)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면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벽면에 걸친 부위에 장착되어 있고, 상술한 전방측 삽입구(11a), 후방측 개구부, 및 저면부를 제외한 부위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당해 하우징 쉘(11c)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측벽판에 관통 형성된 복수체의 고정 구멍(11c1)이 절연 하우징(11)의 외표면에 돌출하여 설치된 고정 돌기(11c2)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하우징 쉘(11c) 전체의 고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 쉘(쉴드 쉘)(11c)에 있어서의 커넥터 전단연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측 표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단 그라운드 접촉편(그라운드 부재)(11d)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전단 그라운드 접촉편(11d)은 전방측 삽입구(11a)의 내방측을 향해 꺾어 내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측 삽입구(11a)의 내방측으로부터 더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꺾어 되돌아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하우징 쉘(쉴드 쉘)(11c)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는 측벽부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각 측벽부의 후단 부분에는,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뻗어 나가는 스프링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그라운드 부재)(11e,11e)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1e)은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꺾어 되돌아오도록 뻗어 나와 있고,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쉘(14c)의 일부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전 콘택트에 대하여]
또,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매체 수용 통로(11b)의 내부에는, 대략 H자 형상을 직각 가로 방향으로 넘어뜨린 측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2,13)가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들 각 도전 콘택트(12,13)는 박판상의 금속제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횡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장착 홈 내에 다극상을 이루어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2,13)는 서로 다른 형상의 것이 교대로 배치된 이른바 어긋난 배열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후술하는 것처럼 일방의 도전 콘택트(12)의 전단부분(도 6의 좌단 부분)이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땜납 접합됨과 아울러, 타방의 도전 콘택트(13)의 후단 단부분(도 6의 우단 부분)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땜납 접합됨으로써, 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어느것으로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 콘택트(12,13)의 각각은,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전단측 및 후단측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측(도 6의 우방측) 및 전방측(도 7의 좌방측)을 향해 밀어 넣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고,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 또는 이면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또는 쉴드용 도전로(쉴드선)의 어느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로에 대응한 위치에 당해 도전 콘택트(12,13)의 각각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도전 콘택트(12,13)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발(揷拔) 방향(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한 쌍의 가늘고 긴 형상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콘택트 빔(12a,13a) 및 고정 콘택트 빔(12b,13b)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들 가동 콘택트 빔(12a,13a) 및 고정 콘택트 빔(12b,13b)은,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매체 수용 통로(11b)의 내방측 공간에 있어서, 커넥터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서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 전후 방향(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다. 그 중의 고정 콘택트 빔(12b,13b)은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저부 내벽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대략 부동 상태로 되도록 보유되어 있다.
그 고정 콘택트 빔(12b,13b)에는, 커넥터 전후 뻗어 있는 방향(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 보다 약간 후방측(도 6 및 도 7의 우방측)에, 대략 연직 방향(도 6 및 도 7의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좁은 폭의 판상의 연결 지주부(12c,13c)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 지주부(12c,13c)의 상단 부분에는,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2a,13a)이 커넥터 전후방향(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은 연결 지주부(12c,13c)의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형하고, 이에 의해 고정 콘택트 빔(12b,13b)에 대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이 탄성적인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각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탄성 변형은 도 6 및 도 7의 지면을 포함하는 뻗어 있는 평면 내에 있어서 행해지고, 당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이 도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전단부분(도 6 및 도 7의 좌단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상면측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 F2(도 17 참조)의 어느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로에 접속되는 접점부로서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가 도시 하방으로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에 설치된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와 그 직하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고정 콘택트 빔(12b,13b)끼리의 사이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 F가 협지(挾持)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에 대응하여, 고정 콘택트 빔(12b,13b)측에도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하면측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도시 생략)의 어느것에 접속되는 단자 접촉 볼록부를 도시 상향으로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들 단자 접촉 볼록부끼리는 서로의 위치를 커넥터 전방측(도시 좌방측) 혹은 커넥터 후방측(도시 우방측)으로 비켜 놓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콘택트 빔(12b,13b)은 기본적으로 부동 상태로 되도록 보유되어 있지만,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와의 접촉 압력을 안정화하는 등의 목적으로, 예를 들면 당해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전단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저벽면(底壁面)으로부터 약간 부상하도록 형성하여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콘택트 빔(12b)에 있어서의 커넥터 전단측 부분(도 6의 좌단측 부분) 및 고정 콘택트 빔(13b)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 부분(도 7의 우단측 부분)에는, 상술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로(도시 생략)에 땜납 접속되는 기판 접합 단자부(12b1,13b1)가 형성되어 있어, 당해 기판 접합 단자부(12b1,13b1)를 개재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콘택트 빔(12b,13b) 및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커넥터 후단 부분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회동축(14a)이 양 콘택트 빔(12,13)끼리의 사이 부분에 협지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콘택트 빔(12b,13b)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 부분의 상단연은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오는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후단측 상연부분에 액츄에이터(14)의 회동축(14a)이 상방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고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하단연에는, 측면시에 있어서 하방측을 향해 대략 산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돌출하는 캠 작용부(12a2,13a2)가 커넥터 후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캠 작용부(12a2,13a2)가 가지는 커넥터 전방측(도 6 및 도 7의 좌방측)의 만곡 형상 단연 부분과 그 캠 작용부(12a2,13a2)의 만곡 형상 단연 부분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하단연에 연속하는 부위의 사이 부분에 상술한 액츄에이터(14)의 회동축(14a)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에 설치된 캠 작용부(12a2,13a2)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의 회동축(1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당해 캠 작용부(12a2,13a2)가 설치됨으로써, 액츄에이터(14)의 회동축(14a)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탈락하는 일이 없게 보유되어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 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액츄에이터(14)의 회동축(14a)은,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하단연 및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상단연에 대해서는, 미끄러지는 움직임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14)의 전체가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의 회동축(14a)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양단 부분은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축받이부(도시 생략)에, 회동 가능하고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14)는, 절연 하우징(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워진 「초기 위치」(도 1~도 9 참조)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경도 위치」(도 10 및 도 11 참조)까지,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됨과 아울러, 그 「경도 위치」에 이를 때까지 회동된 후의 액츄에이터(14)는 커넥터 전방측(도 6 및 도 7의 좌방측)을 향해 밀어 넣어짐으로써, 후술하는 「압입 작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가, 「경도 위치」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압입 작용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는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탄성 변위가 행해지고, 당해 가동 콘택트 빔(12a,13a)과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사이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협지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잠금 부재에 대하여]
한편,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 즉 상술한 도전 콘택트(12,13)의 양측 외방 부분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빠짐 방지를 행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15,15)가 커넥터 전단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밀어 넣어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 부재(15)도,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도 6 및 도 7의 우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한 쌍의 가늘고 긴 형상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잠금 빔 및 고정 잠금 빔을 각각 가지고 있다(도시 생략). 이들 각 잠금 부재(15)를 구성하고 있는 가동 잠금 빔 및 고정 잠금 빔은,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수용 통로(11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서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 전후방향(도 6 및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당해 가동 잠금 빔의 커넥터 전단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 F에 감합(嵌合)하는 걸림 잠금 발톱(claw)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하여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매체 수용 통로(11b)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그 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연부가 상술한 잠금 부재(15)의 고정 잠금 빔과 가동 잠금 빔의 사이 부분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잠금 부재(15)에 설치된 걸림 잠금 발톱에 대응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에는,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단연 부분에, 절결(切缺)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 F1, F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커넥터 안쪽(도 6 및 도 7의 우방측)을 향해 밀어 넣어져 있고,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의 선단연부가 상술한 잠금 부재(15)의 연결 지주부에 부딪히게 되어 정지되었을 때에, 그 신호 전송 매체 F에 설치된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 F1가 잠금 부재(15)에 설치된 걸림 잠금 발톱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는 위치 관계로 설정되어 있고, 그 신호 전송 매체 F의 부딪힌 정지 상태로부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경도 위치」에 이를 때까지 회동된 액츄에이터(14)가, 도 12~도 16과 같이 커넥터 전방측의 「압입 작용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잠금 부재(15)의 걸림 잠금 발톱이 하강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1에 걸어맞춤 상태(잠금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빠짐 방지가 행해진다.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상술한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4)는, 절연 재료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회동 조작 프레임(14b)과 그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외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된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14c)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기단(基端) 부분에는, 전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회동축(14a)이 설치되어 있고, 그 회동축(14a)이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방측의 단연 부분(도 6 및 도 7의 우단 부분)을 따라 회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그 회동축(14a)으로부터는, 좁은 폭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회동 암(14g)이 회동축(14a)의 회동 반경 외방측을 향해 빗살 모양을 이루도록 뻗어 나와 있고, 이들 회동 암(14g)의 뻗어 나온 방향(회동 반경 외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에, 상술한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회동 조작 프레임(14b)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회동 조작 프레임(14b)은 회동축(14a)의 축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회동 조작 프레임(14b)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단면, 즉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측에 대면하는 단면과 회동축(14a)의 사이에는, 복수의 회동 암(14g,14g···)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회동암(14g)은 전술한 도전 콘택트(12,13)와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회동 암(14g,14g)끼리의 사이 부분, 즉 도전 콘택트(12,1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들 양 도전 콘택트(12,1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slit)(14d)이 동일한 간격으로 빗살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 암(14g) 및 슬릿(14d)이 빗살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는 도전 콘택트(12,13)의 특히 가동 콘택트 빔(12a,13a)에 대해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회동 조작되게 되고, 도 1~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대략 연직 상방을 향해 입설(立設) 상태에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커넥터 후방측(도시 우방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진 「경도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그러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의 회동 조작 프레임(14b)에 빗살 모양으로 설치된 각 슬릿(14d)은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측을 향해 개구됨과 아울러, 당해 개구부로부터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측을 향해 뻗어 있지만, 그 슬릿(14d)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안쪽의 벽면에는 훅(hook) 형상 돌기부(14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훅 형상 돌기부(14e)는, 상술한 것처럼 슬릿(14d)에 있어서의 안쪽의 벽면으로부터, 회동 조작 프레임(14e)의 회동 중심인 회동축(14a)을 향해 근접하도록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훅 형상 돌기부(14e)에 있어서의 뻗어 나온측, 즉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선단 부분에 압압(押壓) 캠부(14e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 후방측(도시의 우방측)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경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빔(12a,13a) 및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후단 부분에 대해서, 상술한 훅 형상 돌기부(14e)가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 훅 형상 돌기부(14e)에 있어서의 뻗어 나온측의 선단 부분에 설치된 압압 캠부(14e1)가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캠 작용부(12a2,13a2)에 대해서, 커넥터 전후방향(수평 방향)으로 약간 이간하여 대향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캠 작용부(12a2,13a2)에 대한 압압 캠부(14e1)의 이간 대향 상태로부터,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의 전체를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조작력이 부여됨으로써 훅 형상 돌기부(14e)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전진하면, 그 훅 형상 돌기부(14e)의 압압 캠부(14e1)를 구성하고 있는 경사면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캠 작용부(12a2,13a2)를 구성하고 있는 경사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캠 작용부(12a2,13a2)의 경사면에 발생하는 상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커넥터 후단측 부분이 상방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할 때, 이에 수반하여 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도 1~도 9 참조)에서, 절연 하우징(11)의 전방측 삽입구(11a)를 통하여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매체 수용 통로(11b)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후에 액츄에이터(14)가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는 조작을 하여, 대략 수평 상태로 되는 「경도 위치」까지 회동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그 다음에, 그러한 수평 상태에 있는 액츄에이터(14)에 대해서, 커넥터 전방측으로의 압입 조작력이 부여되고, 최종 위치인 「압입 작용 위치」까지 커넥터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도전 콘택트(12,13)의 가동 콘택트 빔(12a,13a)이 전술한 것처럼 탄성 변형되어,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용의 각 도전로 F2(도 17 참조)의 어느것에 대해서,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가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에 의해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4)의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외표면을 덮는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14c)은, 도전성의 금속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4)가 「경도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도 10 및 도 11 참조)에 있어서, 당해 회동 조작 프레임(14b)의 상면으로부터, 커넥터 후단면에 상당하는 외표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14c)이 절연 하우징(11)측을 향해 대면하는 내방측의 단연 부분은, 상술한 「경도 위치」에 있어서,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하우징 쉘(쉴드 쉘)(11c)의 후단연 부분에 대해서,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4)가 전술한 최종의 「압입 작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 쉘(14c)의 반경 방향 내단연부는, 하우징 쉘(11c)의 후단연부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서로 겹치도록 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된다.
또한, 상술한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14c)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단연 부분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대략 직각 하방으로 절곡된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4f,14f)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4f)은, 「경도 위치」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절곡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14)가 전술한 최종의 「압입 작용 위치」까지 슬라이드 하도록 하여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 쉘(14c)의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4f,14f)이, 절연 하우징(11)의 하우징 쉘(11c)에 설치된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1e,11e)에 대해서,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초기 위치」로부터 「경도 위치」까지 회동된 액츄에이터(14)가 최종 위치인 「압입 작용 위치」까지 커넥터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해 도전 콘택트(12,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작을 완료하지만, 그 시점에서, 액츄에이터(14)에 장착된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14c)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하우징 쉘(쉴드 쉘)(11c)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중합하도록 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신호 전송 매체 F로부터 도전 콘택트(12,13)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가, 하우징 쉘(11c)과 액츄에이터 쉘(14c)에 의해 연속적으로 덮여지게 되어, 양호한 쉴드성을 얻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4)가 절연 하우징(11)측을 향해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절연 하우징(11) 및 액츄에이터(14)를 덮는 양 쉴드 쉘(11c,14c)끼리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 쉴드 쉘(11c,14c)에 의한 전자파 차단 작용이 더 향상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상방측으로부터 소정의 치구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경우에,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을 덮는 하우징 쉘(11c)에 대해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 25의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영역(흡착 에리어(area))에 대해서, 치구에 의한 흡착을 직접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양호한 조립성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14)를 덮는 쉴드 쉘(14c)에, 당해 액츄에이터(14)가 절연 하우징(11)측을 향해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로서의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11e,11e)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8~도 24에 관계되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된 액츄에이터(24)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회동 조작을 행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드 이동을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부에 대해 커넥터 후방측으로 이간하도록 배치된 「초기 위치」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으로 밀어 넣어진 「압입 작용 위치」까지, 액츄에이터(24)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위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24)의 슬라이드 조작 프레임(24b)에 커넥터 전방측(도 21 및 도 22의 좌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된 훅 형상 돌기부(24e)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방측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뻗어 나오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훅 형상 돌기부(24e)가 커넥터 후방측으로 인출된「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훅 형상 돌기부(24e)에 있어서의 뻗어 나온측의 선단 부분, 즉 절연 하우징(11)의 내방측으로 뻗어 나오는 부분(내단 부분)에 설치된 빠짐 방지 돌출부(24e1)가, 가동 콘택트 빔(12a,13a)과 고정 콘택트 빔(12b,13b)의 사이 부분에 비집고 들어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캠 작용부(12a2,13a2)에 대해서, 상술한 훅 형상 돌기부(24e)의 빠짐 방지 돌출부(24e1)가, 커넥터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한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24)가 커넥터 후방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보유되어 있다.
또, 그때의 훅 형상 돌기부(24e)에는, 상술한 빠짐 방지 돌출부(24e1)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에 이르는 부분에,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산 형상의 압압 캠부(24e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14)의 전체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이동 조작되었을 때에, 상술한 훅 형상 돌기부(24e)의 압압 캠부(24e2)의 경사면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캠 작용부(12a2,13a2)의 경사면에 대해 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캠 작용부(12a2,13a2)의 경사면에 발생하는 상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커넥터 후단측 부분이 상방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탄성 변위하고, 이에 수반하여 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24)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도 21 및 도 22 참조)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전방측 삽입구(11a)를 통하여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매체 수용 통로(11b)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후에 액츄에이터(24)에 대해서, 커넥터 전방측으로의 압입 조작력이 부여됨으로써, 최종 위치인 「압입 작용 위치」까지 커넥터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도전 콘택트(12,13)의 가동 콘택트 빔(12a,13a)이, 전술한 것처럼 탄성 변형되고,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용의 도전로(도시 생략)의 어느것에 대해서,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2a,13a)의 단자 접촉 볼록부(12a1,13a1)가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하우징 쉘(11c)에는, 매체 수용 통로(11b)를 향해 하방으로 꺽여 일으켜진 캔틸레버 형상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면 그라운드 접촉편(11f)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상면 그라운드 접촉편(11f)은 매체 수용 통로(11b) 내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측 표면에 대해 그라운드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24)에도, 슬라이드 조작 프레임(24b)의 외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액츄에이터 쉘(24c)이 설치되고 있지만, 액츄에이터(24)가 「초기 위치」에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쉘(24c)의 커넥터 전방측의 단연부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하우징 쉘(11c)의 후단연부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4)가, 전술한 최종의 「압입 작용 위치」까지 커넥터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하여 이동되었을 때에는, 당해 액츄에이터 쉘(24c)의 전단연부가 하우징 쉘(11c)의 후단연부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 쉘(24c)이 하우징 쉘(11c)에 접촉하는 데 있어서는, 액츄에이터 쉘(24c)의 전단연 부분이, 하우징 쉘(11c)의 후단연 부분에 하방측으로부터 서로 겹치도록 면 접촉된 상태로 된다. 이 때에, 액츄에이터 쉘(24c)의 전단연 부분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작은 돌기로 이루어지는 핌플(pimple)(24f)이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핌플(pimple)(24f)이 하우징 쉘(11c)에 대해 하방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액츄에이터 쉘(24c)의 하벽 부분, 즉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대면하는 벽면에는, 캔틸레버 형상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면 그라운드 접촉편(24g)이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하면 그라인드 접촉편(24g)은 인쇄 배선 기판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대해 그라운드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상방측으로부터 소정의 치구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경우에,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을 덮는 하우징 쉘(11c)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도 25의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영역(흡착 에리어)에 대해서, 치구에 의한 흡착을 공간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직접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양호한 조립성이 얻어진다.
한편,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1)을 덮는 하우징 쉘(쉴드 쉘)(11c)의 상부 벽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스프링 부재(그라운드 부재)(11g)가 하방을 향해 장출(張出)하도록 꺽어 일으켜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스프링 부재(11g)는 하방측으로의 장출하는 정점부분에 그라운드 접점부를 가지고 있고, 그라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도전 콘택트(12)의 가동 콘택트 빔(12a)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경로가 다점접촉 상태로 되어, 그 만큼, 그라운드 저항이 저감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및 FFC(flexible flat cable)를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형상이 다른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지만,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라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
11a 전방측 삽입구 11b 매체 수용 통로
11c 하우징 쉘(쉴드 쉘)
11c1 고정 구멍 11c2 고정 돌기
11d 전단 그라운드 접촉편(그라운드 부재)
11e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그라운드 부재)
11f 상면 그라운드 접촉편(그라운드 부재)
11g 접촉 스프링 부재(그라운드 부재)
12, 13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
12a, 13a 가동 콘택트 빔(contact beam)
12a1, 13a1 단자 접촉 볼록부
12a2, 13a2 캠(cam) 작용부
12b, 13b 고정 콘택트 빔
12b1, 13b1 기판 접합 단자부
12c,13c 연결 지주부
14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4a 회동축 14b 회동 조작 프레임
14c 액츄에이터 쉘(쉴드 쉘(shield shell))
14d 슬릿(slit)
14e 훅(hook) 형상 돌기부
14e1 압압 캠부
14f 측단 그라운드 접촉편
14g 회동 암(arm) 15 잠금 부재
24 액츄에이터(actuator)
24b 슬라이드 조작 프레임
24c 액츄에이터 쉘 24e 훅 형상 돌기부
24e1 빠짐 방지돌출부
24e2 압압 캠부 24f 핌플(pimple)
24g 하면 그라운드 접촉편
F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1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
F2 도전로

Claims (8)

  1. 내부에 도전 콘택트 부재가 배치된 절연 하우징에 액츄에이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전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에 당해 절연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도전성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이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측의 쉴드 쉘과 상기 절연 하우징측의 쉴드 쉘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도전 콘택트 부재를 통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상기 전송 경로를 연속적으로 덮도록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일어서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경도 위치까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전기 인쇄 배선 기판을 따른 방향으로 이간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에 접촉하는 작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하우징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양 쉴드 쉘끼리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쉴드 쉘에 접촉하는 그라운드(ground)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덮는 쉴드 쉘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덮는 쉴드 쉘에는, 상기 도전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50045974A 2014-04-28 2015-04-01 전기 커넥터 KR101668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3102A JP5907207B2 (ja) 2014-04-28 2014-04-28 電気コネクタ
JPJP-P-2014-093102 2014-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87A true KR20150124387A (ko) 2015-11-05
KR101668186B1 KR101668186B1 (ko) 2016-10-20

Family

ID=5299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974A KR101668186B1 (ko) 2014-04-28 2015-04-0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6681B2 (ko)
EP (1) EP2940802A1 (ko)
JP (1) JP5907207B2 (ko)
KR (1) KR101668186B1 (ko)
CN (1) CN105048204B (ko)
TW (1) TWI6086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17A (ko) * 2016-12-09 2018-06-1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538B2 (en) * 2015-10-07 2018-02-27 Smk Corporation Connector for LED module substrate
JP6643154B2 (ja)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465095B2 (ja) * 2016-11-14 2019-02-0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07028B2 (ja) * 2017-12-20 2021-01-0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947195B2 (ja) *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1817070B (zh) * 2020-07-17 2024-05-03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适用于fpc连接器的自动锁扣结构
CN114665306B (zh) * 2022-03-25 2024-02-20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401A (ja) * 2002-07-31 2004-02-26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9272256A (ja) * 2008-05-09 2009-11-1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14011032A (ja) 2012-06-29 2014-01-20 Molex Inc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600A (en) * 1898-06-28 Furnace
JP2913156B2 (ja) *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JP3196018B2 (ja) * 1997-03-31 2001-08-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JP4152019B2 (ja) 1998-09-30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極同軸コネクタ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60237015D1 (de) * 2001-05-25 2010-08-26 Panasonic Elec Works Co Ltd Steckverbinder
JP2005268018A (ja) * 2004-03-18 2005-09-29 Smk Corp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JP2006032243A (ja) * 2004-07-21 2006-02-02 P-Two Industries Inc 電磁干渉(emi)を防止でき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コネクタ
JP2008027707A (ja) * 2006-07-20 2008-02-07 Taiko Denki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のコネクタ
CN201018021Y (zh) 2007-02-02 2008-02-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1505661A (ja) * 2007-11-29 2011-02-24 エフシーアイ・コネクターズ・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SG155083A1 (en) 2008-02-27 2009-09-30 Mea Technologies Pte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669529B2 (ja) * 2008-04-23 2011-04-13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37711B2 (ja)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0205576A (ja) * 2009-03-04 2010-09-16 D D K Ltd コネクタ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3019B2 (ja) 2009-08-05 2013-11-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36557B2 (ja) 2010-06-23 2014-07-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5132002B2 (ja) 2010-09-07 2013-0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153888B2 (en) * 2010-10-22 2015-10-06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US9184531B2 (en) * 2011-11-18 2015-11-10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Receptacle connector
JP5779078B2 (ja)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7182B2 (ja) * 2013-05-17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401A (ja) * 2002-07-31 2004-02-26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9272256A (ja) * 2008-05-09 2009-11-1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14011032A (ja) 2012-06-29 2014-01-20 Molex Inc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17A (ko) * 2016-12-09 2018-06-1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186B1 (ko) 2016-10-20
JP5907207B2 (ja) 2016-04-26
JP2015210990A (ja) 2015-11-24
EP2940802A1 (en) 2015-11-04
CN105048204A (zh) 2015-11-11
TWI608668B (zh) 2017-12-11
US9966681B2 (en) 2018-05-08
CN105048204B (zh) 2018-03-23
US20150311640A1 (en) 2015-10-29
TW201547127A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186B1 (ko) 전기 커넥터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EP2876737B1 (en) Connector
JP201610342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880802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easing member
JP508842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I623161B (zh) 電連接器
JP5891950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766980B1 (ko) 전기 커넥터
EP274137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EP2680370B1 (en) Electric connector
KR20080031769A (ko)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4956836B2 (ja) 電気コネクタ
JP5826482B2 (ja) コネクタ
JP488359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5268018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JP2010027511A (ja) 電気コネクタ
JP201106043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95953A (ja) 電気コネクタ
TW201415719A (zh) 電連接器
JP201900375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73017A (ja) 電子部品接続用の電気コネクタ
JP201313487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