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070177A - 포장 봉지 - Google Patents

포장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177A
KR20150070177A KR1020157010014A KR20157010014A KR20150070177A KR 20150070177 A KR20150070177 A KR 20150070177A KR 1020157010014 A KR1020157010014 A KR 1020157010014A KR 20157010014 A KR20157010014 A KR 20157010014A KR 20150070177 A KR20150070177 A KR 2015007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ending
bag
seal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987B1 (ko
Inventor
히로유키 오츠카
아키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B65D33/243Combination of flaps, slits, tongues or apertures, e.g. apertures serving as hand or finge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방을 향해 볼록한 수납물 주출로를 갖는 포장 봉지에 있어서, 선단측을 절단 개구한 수납물 주출로를 포장 봉지 자체에 절입하여 형성한 슬릿에 꽂아넣어 걸어맞추지 않아도, 그 수납물 주출로의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주출구에 있는 액체나 분체 등의 잔사가 손끝을 더럽히지 않는 포장 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 봉지는, 수납물 주출로(10)를, 이 수납물 주출로(10)와 시일 박판(13)을 횡단하여 봉지 폭 방향에 걸치는 절곡 예정부(14)에서의 봉지의 절곡에 의해 폐색 가능하게 설치하고, 시일 박판(13)에는, 절곡 예정부(14)에서의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 유지 수단(16)을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 봉지{PACKAGING BAG}
본 발명은, 샴푸, 린스, 세제 등의 액체나, 조미료, 인스턴트 커피 등의 분체를 저장하기 위한 포장 봉지이며, 주출구(注出口)를 개봉 형성한 후에도 간단히 다시 봉하여 수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장 봉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연한 시트를 포재로서 이용한 포장 봉지로는, 등이 맞붙여진 몸체부의 봉지 상부와 봉지 저부를 히트 시일한 필로 포장, 시트를 반으로 접어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를 겹쳐 대향시키고, 시트 절곡변과는 반대측에서 히트 시일함과 더불어, 봉지 상부와 봉지 하부를 히트 시일한 삼방 시일 포장, 별도 성형된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를 겹쳐 대향시켜, 좌우의 봉지 측부, 봉지 상부, 봉지 하부의 사변 부분을 히트 시일한 사방 시일 포장 등의 각종 타입이 있다.
이들 포장 형태의 포장 봉지 내에, 샴푸, 린스, 세제 등의 액체, 조미료, 인스턴트 커피 등의 분체가 충전 포장되어, 사용에 있어서는 봉지의 상부 귀퉁이부 등을 절단하여 열고, 그 열린 주출구로부터 수납물을 주출하는 용도로, 삼방 시일이나 사방 시일을 한 포장 봉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삼방 시일이나 사방 시일하여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의 사이에 수납부를 형성한 포장 봉지에 대하여, 봉지 상부 귀퉁이부에 개구한 주출구로부터 수납물 전체를 주출하지 않고 수납부에 약간의 수납물을 남긴 경우에, 간단하게 다시 봉하여 수납물이 새어나오지 않게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는 포장 봉지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봉지 상부를 향하여 볼록한 수납물 주출로를 통로폭 일정하게 하여 형성하고, 이를 봉지 측부측에 편의시킴과 더불어, 그 수납부 주출로의 측방에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를 히트 시일한 시일부이며 면형상의 확대가 있는 시일 박판을 설치하고,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과 상기 시일 박판을 봉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포장 봉지가 있다. 이 포장 봉지에서는, 수납물 주출로의 개봉 예정부가 있는 선단측의 부분과 상기 시일 박판의 사이를 분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수납물 주출로의 측방의 근방에 시일 박판의 영역 내에 슬릿이 절입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는 수납물 주출로의 선단측 부분을 절취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다시 봉하는 경우에는, 수납물 주출로의 선단측을 시일 박판과 떼어낸 상태로 하고, 그 선단측의 부분(주출구측의 부분)을 절곡하면서 상기 슬릿에 삽입하여 걸어고정함으로써, 수납물 주출로가 절곡 부분에서 폐색되도록 하여 다시 봉하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도 동일하게 수납물 주출로를 절곡하고, 그 수납물 주출로의 선단측의 부분을 슬릿에 통하거나, 걸어고정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또한, 수납물 주출로를 봉지 측부에 편의시킨 형태가 아니라, 봉지 상부에 봉지폭 방향에 걸쳐 넓게 개구할 수 있는 포장 봉지에 있어서, 개봉 후의 개구로부터 수납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봉지 상부측을 절곡하고, 그 절곡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봉지 측부의 시일부를, 봉지를 절곡했을 때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서로 걸어맞추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원 소 59-193491호의 마이크로 필름(공개 실용 쇼와 61-107741) 일본국 특허공개 평 05-17835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51250호 공보 일본국 실용 신안 등록 제300409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19933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24069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2-148784호 공보
상술의 봉지 상부측을 봉지 폭방향으로 전체 폭에서 절단하여 개구하는 타입의 포장 봉지에서는, 개구된 부분이 봉지의 전체 폭에 걸쳐 있으므로 원하는 양의 수납물을 흘려내보내는 조작을 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다. 또한, 폭이 넓은 수납부를 그 전체 폭에 걸쳐 절곡하여 다시 봉하는 구성이므로 절곡 부분이 길어져 버려, 그 절곡 부분에서의 폐색 정도가 약해지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수납물 주출로를 갖는 포장 봉지에서는, 우선 첫째로, 수납물을 내보내는 개구의 폭이 정해져 수납물을 안정되게 내보내기 쉽고, 또한 원하는 량의 수납물을 내보내기 쉬운 것에 큰 이점이 있어, 원하는 양의 수납물을 흘려내보내는 용도의 포장 봉지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시 봉하는데 있어서는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손가락끝으로 직접 잡고 이를 절곡하여 슬릿에 꽂아넣어 걸어맞춰지게 되고, 또한, 주출이 끝난 후에 주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수납물의 액체나 분체가 부착되기 쉬우므로, 주출구에 남아 있던 잔사가 손가락끝으로 옮겨져 손가락끝을 더럽힌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방을 향해서 볼록한 수납물 주출로를 갖는 포장 봉지에 있어서, 그 선단측을 절단 개구한 수납물 주출로를 포장 봉지 자체에 절입 형성한 슬릿에 꽂아넣어 걸어맞추지 않아도, 그 수납물 주출로의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수납물 주출로를 절단하여 형성한 주출구에 부착되어 있던 액체나 분체 등의 찌꺼기가 손가락끝을 더럽히지 않는 포장 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가 대향하여 그 사이에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이며, 적어도 봉지 상부와 봉지 하부와 한쪽의 봉지 측부가,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시일부로 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는 그 수납부로부터 봉지 상부를 향해서 연장 설치된 수납물 주출로가 연속하고, 그 수납물 주출로의 상단 부분이 주출구 형성 예정부로 되어 있는 포장 봉지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를,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와는 반대가 되는 봉지 상부 귀퉁이부측에만 설치하고,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에 연속하는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와 반대의 다른쪽 봉지 측부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그 수납물 주출로와 양 봉지 측부의 시일부를 횡단하여 봉지 폭방향에 걸친 위치의 절곡 예정부에서의 봉지의 절곡에 의해 폐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에서의 시일부 또는 봉지 상부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측의 시일부의 적어도 한쪽에, 시일면이 넓은 광면의 시일부인 시일 박판을 형성하고, 상기 시일 박판에, 절곡 예정부에서의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 유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와 상기 절곡 유지 수단이, 봉지 폭방향에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지를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
그리고,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 주출로와 상기 시일 박판이 봉지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3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지 수단은, 상기 절곡 예정부에서 상기 봉지를 절곡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쌍의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임이 양호하다.
(청구항 4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쌍의 걸림부 중, 한쪽의 걸림부는, 상기 시일 박판을 절입하여 이루어지는 걸림구이며, 다른쪽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구에 삽입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인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5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쌍의 걸림부 각각은, 시일 박판 내에서 시일 박판의 외단에 이르는 절입으로 형성된 걸림편인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6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입의 끝에는 찢어짐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7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일 박판의 절곡 예정부이며, 상기 수납물 주출로에 근접하는 위치에, 슬릿 또는 그 시일 박판의 표리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넣어진 하프 컷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8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봉지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첨두 형상부를 형성하고, 이 대략 첨두 형상부에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략 첨두 형상부의 기단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상기 절곡 예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9의 발명)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일 박판에는, 이 시일 박판의 절곡 예정부에서 절곡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로 하여 걸림구 고정용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시일 박판에, 절곡 예정부에서의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주출구 형성 예정부와 절곡 유지 수단이, 봉지 폭 방향에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출구 형성 예정부를 절단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수납물을 주출한 후에 수납물 주출로를 절곡할 때, 절곡 유지 수단이 위치해 있는 광면의 시일 부분을 가지고 절곡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체나 분체의 잔사가 붙어 있는 주출구를 직접 손대지 않고 봉지의 절곡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수납물 주출로 부분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가락끝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포장 봉지 자체의 일부분에서 절곡 상태의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제조 비용을 올리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포장 봉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물 주출로와 시일 박판이 봉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수납물 주출로와 시일 박판을 통과하는 위치에 봉지의 절곡 예정부로 함으로써, 시일 박판측에서 절곡의 조작을 함으로써 수납물 주출로도 절곡되게 되어, 간단하게 수납물 주출로의 폐색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절곡 예정부에서 봉지가 절곡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에 있는 걸림부끼리 걸어맞춤으로써 절곡의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간편한 조작으로 수납물 주출로를 폐색하고, 그 상태의 유지를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4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절곡의 유지에 있어서는, 걸림구인 한쪽의 걸림부에 걸림편인 다른쪽의 걸림부를 꽂아넣어 걸어맞출뿐이므로, 간편한 조작으로 절곡 상태의 유지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5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절곡 유지에 있어서는, 절입으로 형성된 걸림편끼리 걸어맞출뿐이므로, 간편한 조작으로 절곡 상태의 유지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6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절입으로 형성된 걸림편끼리의 걸림 이탈을 반복해도, 걸림편을 형성하고 있는 정규 절입이 찢어져 늘어나지 않아, 걸림편의 걸어맞춤이 느슨해지거나, 걸어맞춤이 의도치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7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시일 박판의 절곡 예정부의 위치에서의 절곡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절곡 예정부의 위치에서 수납물 주출로를 보다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는 포장 봉지로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8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물 주출로가 있는 부분을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첨두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절단에 의해 형성하는 주출구가 너무 크게 벌어지지 않고, 또한, 수납물의 취출의 조정이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의 효과)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물 주출로를 절곡하여 폐색한 상태의 포장 봉지를 훅 등에 간단하게 걸어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2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3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3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4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4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5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6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6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7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7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8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8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절곡 보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절곡 보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절곡 보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마찬가지로 절곡 보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봉지의 제9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9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비교예의 포장 봉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비교예의 포장 봉지의 수납물 주출로의 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과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포장 봉지이고, 그 포장 봉지(1)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가 대향하여 그 사이에 수납부(4)가 설치되어 있고,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좌우의 봉지 측부(7, 8)(도면에 있어서 좌우의 봉지 측부 중, 한쪽의 봉지 측부를 부호 7로서 가리키고, 다른쪽의 봉지 측부를 부호 8로서 가리킨다)에 시일부(9)를 설치하여 이 상하 좌우의 시일부(9)로 수납부(4)가 둘러싸여 있는 사방 시일 형태의 봉지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봉지(1)의 경우,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2매의 시트를 겹쳐 봉지 상부측, 봉지 하부측, 양 봉지측부측을 히트 시일하여 사방의 시일부(9)가 형성되고, 정면 시트(2)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의 정면에서 봐서 전체 형상을 장방형으로 하고 있다. 이 포장 봉지(1)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각각 별도의 롤체 등으로부터 인출된 2개의 띠형상 시트(정면 시트용 띠형상 시트와, 배면 시트용 띠형상 시트)를 겹치고, 이 띠형상 시트에서의 포장 봉지의 1봉지분마다, 충전구로 하는 부분을 남긴 상태에서 그 1봉분의 삼방 부분을 히트 시일하고 있다. 히트 시일에 적합하도록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는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실란트층끼리 대면시켜 겹쳐져 히트 시일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 봉지의 연속체에 있어서의 1봉마다 충전구에 노즐을 넣어 수납부에 액체나 분체 등을 충전하고, 그 충전이 종료하면 충전구 부분을 히트 시일하여 수납부를 닫아, 연속 상태에서의 봉지와 봉지 사이를 절단하고, 이에 따라 수납부 각각에 정량의 수납물이 충전된 포장 봉지가 1봉마다 따로 얻어진다. 이 히트 시일에 의해서 후술과 같이 수납물을 주출하는 주출로를 구비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또한 포장 봉지의 히트 시일된 부분에 절입이나 절락 등을 함으로써, 후술의 걸어맞춤을 행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포장 봉지(1)는 수납물 주출로(10)를 가지고 있다. 이 수납물 주출로(10)는 수납부(4)에 연속해 있고, 이 수납부(4)로부터 봉지 상부(5)를 향해서 연장하여 설치된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물 주출로(10)는 수납부(4)의 상부를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 하면서 상방을 향해 볼록한 대략 첨두 형상으로 하여 끝이 가늘어지고, 또한 상기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하고 있고,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 수납물 주출로(10)의 상단 부분은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는,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인 봉지 상부 귀퉁이부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는 수납물 주출로(10)의 선단 부분을 그 선단 부분에 근접하는 시일부(9)와 함께 제거함으로써 주출구를 얻는 부분이며, 포장 봉지를 개봉하는 사용자가 눈으로 봐서 절단 위치의 확인을 행하기 쉽도록,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 대해서는 수납물 주출로(10)의 선단 부분을 봉지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인쇄 지시선 등으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 대해서는 수조작에서의 절단을 행하기 쉽도록,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표면측, 혹은 한쪽 시트의 표면측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하프 컷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의 시일 경계 부분(12)을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수납물 주출로(10)는, 한쪽의 봉지측부(7)측의 경사진 시일 경계 부분과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의 시일 부분을 양측으로 한 통로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상의 시일 경계 부분(12)을 사이로 하여 수납물 주출로(10)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이 되는 측방에는, 수납부(4)의 좌우의 측변의 시일부(9)나 봉지 하부(6)의 시일부(9)보다 폭이 넓도록 된 광면의 시일부(9)가 있다.
이 폭이 넓은 광면의 시일부(9)는, 물론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이며, 면으로서의 확대가 있는 판상의 시일 박판(13)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물 주출로(10)와 폭이 넓고 광면 판상의 시일 박판(13)은 봉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그 정면에서 본 형상은 수납물 주출로(10)와는 역방향의 삼각형상으로 하고, 삼각형상이고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첨두 형상으로 한 수납물 주출로(10)의 부분과 이 시일 박판(13)의 부분을 봉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레이아웃으로 함으로써, 포장 봉지(1) 전체가 장방형상에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봉지 상부(5)측에 있어서 봉지 폭 방향으로 늘어선 위치 관계로 한 수납물 주출로(10)와 시일부(9)의 시일 박판(13)에는, 봉지 폭 방향에 걸쳐 절곡 예정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곡 예정부(14)는, 봉지 상부(5)를 하방을 향해서 절곡하는 부분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물 주출로(10)의 범위를 횡단하는 부분과 시일부(9)의 시일 박판(13)의 범위를 횡단하는 부분에서 거의 같은 길이가 되도록 수납물 주출로(10)의 봉지 높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절곡 예정부(14)는 직선상으로 하고 있고, 이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봉지 상부(5)를 절곡함으로써, 수납물 주출로(10)에서의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내면끼리 그 봉지의 절곡을 한 부분에서 조밀하게 서로 접촉하고, 봉지의 절곡된 부분에서 수납물 주출로(10)를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 인쇄 지시선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와 같이 하면 봉지의 절곡하는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져 양호하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절곡 예정부(14)는 도면에 있어서 일점 쇄선의 직선으로서 나타나 있는데, 봉지의 절곡으로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하면 되므로, 이 절곡 예정부 자체를 선상으로 하여 봉지의 절곡 부분의 단면을 예각으로 할 필요는 특별히 없다. 이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봉지의 절곡을 함으로써, 봉지의 절곡 부분의 단면은 작은 원호를 나타낸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시일 박판(13)에는 절곡 예정부(14)에서의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절곡 유지 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상기 절곡 유지 수단(16)은, 시일 박판(13)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으로 하여, 이 시일 박판(13)을 절곡 예정부(14)에서 봉지의 절곡을 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 각각에 설치된 쌍의 걸림부(16a, 16b)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걸림부(16a)와 걸림부(16b)는 서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걸림부(16a)는, 봉지 상부(5)의 외연(봉지의 상단연)에 이르도록 넣어진 절입에 의해 절입 형성한 걸림편(17)이며, 이 걸림부(16a)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서 봉지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위치 관계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걸림부(16b)는 시일 박판(9)의 하부 부분에서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측단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넣어진 절입에 의해 절입 형성된 걸림편(18)이며, 봉지의 절곡을 행하여 걸림부(16a, 16b), 즉, 상기 걸림편(17)과 걸림편(18)을 걸어맞춤으로써 봉지의 절곡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수납물 주출로(10)의 폐색 상태가 유지된다. 걸림편(17)과 걸림편(18)의 걸어맞춤 관계를 해제하면,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봉지 절곡 부분에서 발생한 복원력에 의해 봉지 상부(5)가 일어서게 되어,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제1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에서는, 수납물 주출로(10)로부터 수납물을 주출하는 주출구의 형성을 행하기 쉽게 하는 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수납물 주출로(10)의 선단 부분에 있는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의 위치에 따른 절단을 수조작으로 행하기 쉽게 하는 연구가 실시되어 있다. 우선, 봉지 상부(5)의 중앙에, 봉지 상부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일 경계 부분(12)의 가까이에 이르는 불연속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세로 절입선부(19)가 있다. 또한, 이 세로 절입선부(19)의 하단에 연속하여, 상기 시일 경계 부분(12)에 평행하게 하여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의 단부에 이르도록 넣어진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경사 절취부(20)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절입선부(19)를 세로로 찢은 후, 이 찢어진 세로 절입선부(19)의 위치와 경사 절취선부(20)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설편(舌片)상 부분을 잡고 봉지 폭 방향으로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을 향하여 잡아당기도록 함으로써, 주출구 형성 예정부(11)가 찢어져 주출구(21)(도 2)가 간단히 형성된다.
상술과 같이 하여 개봉한 수납물 주출로(10)를 닫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14)의 위치로부터 봉지를 절곡하여, 절곡 유지 수단(16)인 걸림편(17)과 걸림편(18)을 걸어맞추면 되고, 수납물 주출로(10)의 폐색을 행하는 조작도 매우 간단하게 된다. 특히, 절곡 유지 수단(16)의 걸림부(16a)(상기 걸림편(17))의 부분이 주출구와 이격 배치된 위치 관계이므로, 걸림부(16a)의 부분을 가진 절곡이나 걸림고정의 조작을 행하므로, 주출구 주위에 잔사로서 부착된 수납물이 손가락끝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한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3과 도 4는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의 절곡이 저항을 적게 하여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한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봉지(1)에서는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 절곡 보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시일 박판(13) 상의 범위로 하고, 또한 시일 경계 부분(12)의 위치에 이르지 않고 근접한 상태에서 시일 박판(13)을 관통하는 불연속 슬릿이나, 시일 박판(13)의 표리면(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의 외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레이저 조사로 넣어진 하프 컷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2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납물 주출로(10)의 부분에서는 절곡 예정부(14)의 위치를 따라서 엠보스나,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의 외면에 레이저 조사로 넣어진 하프 컷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22)를 설치하고 있다. 어느 절곡 보조부(22)나 봉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레이저 조사의 하프 컷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는 봉지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과 같이 절곡 예정부(14)에 절곡 보조부(2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봉지의 절곡을 행했을 때에는, 그 봉지의 절곡 부분의 단면이 예각으로 절곡된 형상이 되고, 절곡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에서의 폐색도 보다 확실해진다. 절곡 보조부(22)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어느쪽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양 시트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시일 박판(13)에는 절곡 예정부(14)를 사이로 하여 상하 대칭 위치로 하여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봉지 상부(5)를 상술과 같이 절곡함으로써 상기 관통공(23)이 상대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 2개의 관통공(23)이 겹쳐진 상태에서 훅 등의 걸림구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구 고정용의 상기 관통공(23)은 둥근 구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절곡 유지 수단(16)의 쌍의 걸림부(16a, 16b)는 걸림편(17, 18)이며, 이 걸림편(17, 18)은 절입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걸어맞춤과 그 해제를 반복한 경우에 절입이 부주의로 늘어나 찢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1,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절입의 끝에 원호의 절입을 연속시켜 이루어지는 찢어짐방지부(24)가 실시되어 있다. 찢어짐방지부(24)는 원호형상의 절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관통한 작은 구멍이어도 상관없다.
(제3의 실시 형태)
도 5와 도 6은 제3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1장의 시트가 상기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됨으로써,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가 얻어지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 이외의 삼방인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가 히트 시일에 의해 시일부(9)로 하고 있는 것이다. 소위 삼방 시일의 형태로 된 봉지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한 것이다.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4)에는, 그 상부에 있어서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이 되는 반의 영역을 등폭으로 하여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또한 이에 연속하도록 하면서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하는 대략 첨두 형상의 부분을 갖는 수납물 주출로(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략 첨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봉지 상부(5)에서의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서 상방을 향해서 끝이 가는 대략 첨두 형상부(25)의 내측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동폭의 부분과 대략 첨두 형상의 부분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측방은 광면의 시일 박판(13)으로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박판(13)에는, 수납물 주출로(10)의 대략 첨두 형상 부분이 들어가 있는 상기 대략 첨두 형상부(25)의 기단의 높이 위치(봉지 상하 방향)보다 하방으로 하여 상기 절곡 예정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높이 위치로 된 절곡 예정부(14)가 봉지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일 박판(13)과 수납물 주출로(10)의 양자에 걸쳐 있는 상기 절곡 예정부(14)는, 그 시일 박판(13) 상에 있는 부분과 수납물 주출로(10) 상에 있는 부분의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절곡 예정부(14)로부터 절곡하는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절곡 유지 수단(16)도, 상기 절곡 예정부(14)를 사이로 하여 상하로 배치된 걸림부(16a)와 걸림부(16b)가 쌍으로 되어 있다.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14)보다 상위에 있는 걸림부(16a)는, 상방으로 볼록한 빗살형으로 한 걸림편(26)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절곡 예정부(14)보다 하위에 있는 걸림부(16b)는, 시일 박판(13)을 절입한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27)로 하고 있다. 그리고, 수조작으로 걸림편(26)을 걸림구(27)에 삽입함으로써 이 걸림편(26)과 걸림구(27)가 걸어맞취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양자의 걸어맞춤 관계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걸림편(26)을 걸림구(27)로부터 빼내도록 하면 된다. 이 제3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와 절곡 유지 수단(16)이, 봉지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개봉한 주출구의 부분을 잡지않고 봉지의 절곡이나 절곡 유지 수단의 걸림 이탈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걸림편(26)과 걸림구(27)를 절곡 유지 수단(16)으로서 갖는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출구를 얻기 위해서는 대략 첨두 형상부(25)의 상단을 절취하도록 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제2의 실시 형태와는 달리 대략 첨두 형상부(25)의 측부에는 시일 박판은 존재하지 않고, 수납물 주출로(10)의 상단 부분을 횡단하는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를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열린 주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봉 후에 상기 수납물 주출로(10)를 닫기 위해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봉지 상부(5)를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절곡하여 걸림편(26)을 걸림구(27)에 삽입하여 걸리게 하면 되고, 이에 따라 봉지 상부(5)의 봉지의 절곡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물 주출로(10)가 절곡 부분에서 폐색되게 된다. 또한, 이 제3의 실시 형태에서도,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와 절곡 유지 수단(16)이, 봉지 폭 방향에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고, 절곡 예정부(14)가 시일 박판(13)과 수납물 주출로(10)에 걸쳐 있으므로, 제1,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개봉한 주출구의 부분을 잡지않고 봉지의 절곡이나 절곡 유지 수단의 걸림 이탈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4의 실시 형태)
도 7과 도 8은 제4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것을 삼방 시일 형태의 봉지에 응용한 것이다. 즉,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와 동일하게 1장의 시트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하여,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 이외의 삼방의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를 히트 시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일부(9)로 하고 있다. 이 이외의 점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구성을 같게 하고 있다.
(제5의 실시 형태)
도 9와 도 10은 제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의 것을 삼방 시일 형태의 봉지에 응용한 것이다. 이 제5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도 1매의 시트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하여,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 이외의 삼방의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를 히트 시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일부(9)로 하고 있다.
또한, 제5의 실시 형태에서는 절곡 예정부(14)가 다른쪽의 봉지 측부(8)에 이르는 개소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다른쪽의 봉지 측부(8)의 일부분이며, 시일부 하단 가장자리의 위치를 절곡 예정부(14)에 따르게 하여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소 시일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절곡 예정부(14)의 위치를 따라 있는 소 시일부(28)는 시일 범위가 도시와 같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수납물의 주출에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크기이다.
상기 소 시일부(28)는, 절곡 예정부(14)가 다른쪽의 봉지 측부(8)에 이르는 개소에 있어서, 그 다른쪽의 봉지 측부(8)의 평단면 방향에서의 형상을 둥글게 하지 않고, 사전에 박판상의 절곡 부분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절곡 예정부(14)에서의 봉지의 절곡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고, 다른쪽의 봉지 측부(8)에 절곡 예정부(14)가 도달해 있는 개소에서도 확실하게 절곡을 행할 수 있다. 이 이외의 점은 제2의 실시 형태와 구성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제6의 실시의 형태)
도 11과 도12는 제6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6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5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이 제6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도 1매의 시트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하여,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 이외의 삼방의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를 히트 시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일부(9)로 하고 있다.
상기 제5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14)가 봉지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6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의 봉지 측부(7)의 봉지 상부측인 광면의 시일 박판(13)으로부터 다른쪽의 봉지 측부(8)를 향해서 절곡 예정부(14)가 하향 경사져 있고, 절곡 예정부(14)의 다른쪽의 봉지 측부(8)에 도달해 있는 부분의 상부 위치에 소 시일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봉지(1)는, 절곡 예정부(14)를 한쪽의 봉지 측부(7)로부터 다른쪽의 봉지 측부(8)를 향해서 내리막 경사시켜 비스듬히 절곡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수납물 주출로(10)의 기단 부분이 높아도 절곡 예정부(14)의 하단측보다 하위가 되도록 수납부(4)의 수용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절곡 예정부(14)가 경사져 있으므로, 시일 박판(13)에서 개구되어 있는 쌍의 관통공(23)은, 이 절곡 예정부(14)의 위치로부터 포장 봉지(1)의 상측을 비스듬히 절곡했을 때에 상기 관통공(23)이 겹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제6의 실시 형태의 절곡 유지 수단(16)은 상기 절곡 예정부(14)에서 비스듬히 절곡했을 때 그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그 비스듬한 꺽임에서의 고정을 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5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6의 실시 형태의 절곡 유지 수단(16)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예와 마찬가지로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와 이 절곡 유지 수단(16)이 봉지폭 방향에서 대향하고, 이 양자가 이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곡 유지 수단(16)에 있어서는, 시일 박판(13)의 상변측에서 약간 봉지 중앙 위치측에 치우친 위치에, 하연 위치까지 원호상의 절입을 돌아들어가게 하여 이루어지는 걸림편(17)과, 비스듬히 절곡했을 때에 상기 걸림편(17)이 대응 위치하여 이 걸림편(17)이 걸림 이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절입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편(1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방측의 걸림편(18)은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시일부(9)에 위치하고 있고, 이 시일부(9)의 부분도 상기 걸림편(18)을 배치하기 위해서, 시일폭이 넓은 광면의 시일 박판(13)이 세로의 띠형태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서의 주출구의 형성을 행하기 쉽도록, 절곡 유지 수단(16)의 상기 걸림편(17)을 형성하고 있는 절입측을 일단부로 하는 불연속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절취선부(31)가,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 일치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주출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수납물 주출로(10)의 첨두측이 되는 봉지 상부의 시일부(9)를, 상기 걸림고정편(17)에 근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로 절취선부(31)를 절단해도 절취 등을 함으로써 주출구가 얻어진다. 그리고, 수납물을 원하는 양으로 주출한 후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비스듬히 절곡하고, 걸림편(17)을 걸림편(18)에 걸어 고정하도록 하면 되고, 꺽인 위치에서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된 포장 봉지(1)가 얻어진다.
(제7의 실시 형태)
도 13과 도 14는 제7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7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6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이 예의 포장 봉지(1)도 1장의 시트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하여,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이외의 삼방의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를 히트 시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일부(9)로 하고 있다.
제7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에서는 절곡 예정부(14)가 제6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고, 소 시일부(28)도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곡 유지 수단(16)에 있어서는, 봉지 상부(5)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이 되는 시일부(9)를 광면의 시일 박판(13)으로 하고, 여기에 하연까지 원호상의 절입을 돌아들어가도록 넣어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한 걸림편(17)과, 비스듬히 절곡했을 때에 상기 걸림편(17)이 대응하는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시일부(9)에 절입을 넣어 형성된 걸림편(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7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시일부(9)도 시일폭을 넓게 한 광면의 시일 박판(13)으로 되어 있고, 세로로 띠형상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의 시일 박판(13)에는, 상기 절곡 예정부(14)에서 비스듬히 절곡했을 때에 상기 걸림편(17)이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위치에 걸림편(18)이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또한 그 하방에도, 비스듬한 절곡을 하위 위치에서 행했을 때에 상기 걸림편(17)을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리게 할 수 있도록 한 또 하나의 걸림편(1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세로의 시일 박판(13)에는 상하 2단으로 하여 걸림편(18)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7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에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는 기울어져 있고, 봉지 상부(5)의 시일부(9)에 설치한 절결로부터 다른쪽의 봉지 측부(8)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제7의 실시 형태에서도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는 다른 실시 형태의 예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봉지 측부(7)와는 반대가 되는 봉지 상부 귀퉁이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물 주출로(10)는 수납물이 수납부(4)측으로부터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 통하도록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하고 있는 것인데, 이 제7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물 주출로(10)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이 시일된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한쪽의 봉지 측부(7)에 이르는 부분까지 수납물이 들어갈 수 있는 영역으로서 수납물 주출로(10)에 연속해 있다.
제7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에 있어서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를 열어 주출구를 형성하고, 수납물을 주출한 후에 수납물 주출로(10)를 폐색하기 위해서 절곡할 때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절곡하여 절곡 유지 수단(16)의 걸림편(17)을,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시일부(9)(세로 띠형상의 시일 박판(13)으로 된 부분)에 있는 걸림편(18)에 걸리게 하면 되고, 그 조작은 매우 간단하며, 주출구나 주출구 근처를 잡지않고 절곡이나 수납물 주출로(10)의 폐쇄를 행할 수 있다.
(제8의 실시 형태)
도 15와 도 16은 제8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 도 6에 나타내는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의 변형예이며, 삼방 시일된 포장 봉지이다. 이 예의 포장 봉지(1)에서는, 봉지 상부(5)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에 광면의 시일 박판(13)이 위치하고,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해 있는 수납물 주출로(10)와 이 시일 박판(13)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수납물 주출로(10)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시켜, 상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이 수납물 주출로(10)를 포장 봉지(1)의 폭내에서 형성하므로, 수납물 주출로(10)의 가로 시일부(9)인 시일 박판(13)을 광면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수납물 주출로(10)에 인접하는 상기 시일 박판(13)에는 절곡 유지 수단(16)이 설치되어 있고, 절곡 유지 수단(16)은 상기 시일 박판(13)의 상측 가장자리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7)에 치우친 위치로 하여 상방을 향한 걸림부(16a)인 볼록한 걸림편(26)과, 시일 박판(13)의 하부측에 절입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걸림부(16b)인 걸림구(27)로 구성되어 있고, 시일 박판(13)과 수납물 주출로(10)를 봉지폭 방향에 걸쳐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상기 걸림편(26)이 걸림구(27)에 대응 위치하여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 16 참조).
또한, 이 제8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2, 제5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쌍의 관통공(23)이, 상기 시일 박판(13) 내에서 절곡 예정부(14)를 사이로 하여 상하로 상대하고 있고, 절곡했을 때에 2개의 관통공(23)이 겹치도록 하고 있다.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다른쪽의 봉지 측변(8)측인 봉지 상부 귀퉁이부에 있고,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첨두 부분에 겹쳐지는 배치로 하고 있다. 또한, 봉지 상부(5)의 상연 중앙에 있는 절결로부터, 하프 컷이나 불연속 슬릿으로 된 L자형 절취선부(32)가 계속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L자형 절취선부(32)의 하부가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와 일치하는 높이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납물 주출로(10)와 시일부(9)의 시일 박판(13)을 봉지폭 방향에 걸쳐 횡단하도록 하여 설정되는 절곡 예정부(14)에서의 꺽임에 대해서는 절곡 보조부(22)로서 하프 컷이나 엠보스를 설치하는 점을 들었는데, 이 외에도 절곡 예정부(14)에서의 절곡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있다. 그 예가 도 17에 나타나 있고, 제2의 실시 형태와 거의 같은 형태를 갖는 포장 봉지(1)에 대하여 절곡 예정부(14)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박판(13) 중에, 절곡 예정부(14)에 따라서 미시일 경계(22b)가 근접, 혹은 일치하도록 하여 미시일부(22a)를 그 절곡 예정부의 하부 위치에 설치하고, 이를 절곡 보조부(22)로 하고 있는 것이며, 시일 부분과 미시일 부분의 강성이 변화하는 경계 부분에서 꺽임이 용이하고 꺽임 위치가 정해지기 쉽도록 하고 있다. 미시일부(22a)의 위치는 절곡 예정부(14)의 하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과 같이 상부 위치여도 된다. 또한 도 19와 같이 미시일부(22a) 자체를 상하 방향으로 가는 폭으로 하고, 이 가는 폭의 미시일부(22a)의 중심에 절곡 예정부(14)가 위치하도록 이 미시일부(22a)를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예에서의 미시일부(22a)는 수납물 주출로(10)와 연속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은 절곡 보조부(22)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시일 박판(13)으로 하고 있는 시일부(9)에 연속하도록 하여 상기 경사의 시일 경계 부분(12)으로부터 수납물 주출로(10)측에 시일 연장부(22c)를 연장 설치하고, 그 시일 연장부(22c)의 시일 하연(22d)을 절곡 예정부(14)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시일 하연(22d)을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 일치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시일 연장부(22c)에 의해 절곡 보조부(22)를 구성하는 것도, 시일 부분과 미시일 부분의 강성이 변화하는 경계 부분을 절곡 예정부(14)에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예도 포함하여 히트 시일에 있어 이들 절곡 보조부(22)의 형성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포장 봉지(1)의 제조 비용을 올리지 않고, 유용하다.
상술의 제1, 제2, 제4, 제5의 실시 형태에서는, 절곡 유지 수단(16)의 걸림고정부(16a, 16b)를 얻기 위해서 시일부를 절입하여 걸림편을 형성하고 있고, 절입을 절입 가장자리가 관통하는 슬릿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 절입을, 상대하는 절입가장자리 사이가 떨어져 간극이 있는 상태로 해도 된다.
(제9의 실시 형태)
도 21과 도 22는 제9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9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도 1매의 시트를 다른쪽의 봉지 측부(8)가 되는 부분에서 절곡하고, 상대하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고, 절곡된 다른쪽의 봉지 측부(8) 이외의 삼방의 봉지 상부(5)와 봉지 하부(6)와 한쪽의 봉지 측부(7)를 히트 시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일부(9)로 한 삼방 시일의 포장 봉지이다.
이 제9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는 세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봉지 상부(5)의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인 봉지 상부 귀퉁이부를 주출구 형성 예정부(11)로 하고, 봉지 상부(5)에서의 시일부(9)의 상연에 있는 절결의 위치로부터 다른쪽의 봉지 측부(8)를 향해서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상에 이 주출구 형성 예정부(11)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포장 봉지(1)에서의 봉지 높이 방향 중앙으로 하여 봉지 폭 방향에 걸친 위치를 절곡 예정부(14)로 하고 있고, 절곡 예정부(14)보다 하방 위치가 되는 수납부(4)로부터 상기 경사의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에 연속하는 부분이 수납물 주출로(10)로 되고, 이 수납물 주출로(10)가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에 편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7의 실시 형태의 포장 봉지(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한쪽 봉지 측부(7)측의 측방은, 그 한쪽의 봉지 측부(7)에 이를 때까지의 부분이 시일되지 않고, 수납물이 들어갈 수 있는 영역으로서 수납물 주출로(10)와 연속해 있다.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시일부(9)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봉지 상부(5)나 봉지 하부(6)의 시일부(9)의 시일폭보다 넓은 폭의 개소로 되어 있고, 여기를 세로의 띠형상으로 봉지 상하부의 시일폭보다 충분히 넓은 광면의 시일 박판(13)으로 하고 있다.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와는 대향하여 이격한 위치가 되는 상기 시일 박판(13)에, 절곡 유지 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절곡 유지 수단(16)은, 시일 박판(13)의 봉지 상부(5)측에 절입 형성된 하향 볼록한 걸림편(26)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6a)와, 절곡 예정부(14)에서 절곡했을 때에 상기 걸림부(16a)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여 걸림편(26)을 꽂아넣어 걸리게 할 수 있도록 U자형으로 절입 형성된 걸림구(27)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6b)로 구성되어 있고, 걸림부(16b)에 있어서는 걸림을 행하기 전에는 편부재로 닫혀진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9의 실시 형태에서의 포장 봉지(1)에서는 봉지 중앙 높이 위치에서의 절곡 예정부(14)를 사이로 하여 봉지 높이 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로 하여 걸림부(16a)(걸림편(26)), 걸림부(16b)(걸림구(27))가 있고, 주출구를 형성하여 수납물을 주출한 후에 절곡 예정부(14)의 위치에서 절곡하고, 또한 상기 걸림부(16a)를 걸림부(16b)에 걸리게 하면(도 22 참조), 절곡 위치에서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되어, 수납물이 새어나오지 않는 꺾어진 형태의 포장 봉지가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봉지 측부(7)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걸림구 고정용의 관통공(23)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으로 꺽은 상으로 절곡함으로써 관통공(23)이 겹치고, 여기에 걸림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4, 제5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작성한 포장 봉지를 실시예 1~4로 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비교예와 함께 모니터 평가했다. 이 비교예는 특허 문헌 1로서 나타나 있는 구성의 것으로 했다.
(비교예)
비교예는 도 23과 도 24에 나타내는 포장 봉지(1)로 했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고, 비교예로 한 이 포장 봉지(1)에 있어서는,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를 겹쳐, 봉지 상부(5)와 봉지 저부(6)와 좌우의 봉지 측부(7, 8)를 히트 시일하고 있고, 사방을 시일부(9)로 하는 사방 시일 형태의 봉지이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시트(2)와 배면 시트(3)의 사이에 수납부(4)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4)의 상부에, 다른쪽의 봉지 측부(8)를 따라서 등폭으로 하여 상방으로 연장 설치하여 볼록하게 되는 수납물 주출로(10)가 연속하고 있다.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한쪽의 봉지 측부(7)측이 되는 측방을 광면 판상의 시일 박판(13)으로 하고 있고, 봉지 상부(5)의 상단연으로부터 수납물 주출로(10)에 치우친 위치로 하여 세로 절취선부(19)가 들어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물 주출로(10)의 상단 부분을 횡단하도록 하여 상기 세로 절취선부(19)의 위치로부터 그 수납물 주출로(10)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봉지 측부(8)측의 시일 경계 부분에 이르는 주출구 형성 예정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일 박판(13)에 대해서는 세로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포장 봉지(1)의 수납물 주출로(10)의 상단 부분에 주출구(21)를 형성한 후에, 수납물 주출로(10)로부터 수납물이 불필요하게 새어나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우선, 세로 절취선부(19)를 절개한 후에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11)의 부분을 절단하고, 이에 따라 주출구(21)가 얻어진다. 그리고, 수납물 주출로(10)가 위치하는 부분을 봉지 중심측을 향하여 비틀어지도록 구부리고, 수납물 주출로(10)의 선단 부분이며 주출구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으로 발생한 자른 단편(30)을 상기 걸림구(29)에 삽입하고, 그 자른 단편(30)의 부분을 걸림부로서 그 걸림구(29)에 걸어맞춘다. 이 비교예에서는 이와 같이 주출구 형성의 절단으로 생긴 자른 단편을 걸림부로 하여 걸림구(29)에 걸어맞춰, 수납물 주출로(10)가 폐색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모니터 평가 그 1)
제1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장 봉지를 실시예 1로 하고, 제2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장 봉지를 실시예 2로 하고, 또한 상기 비교예도 포함하여, 평가 항목을 따르기 용이함과 재밀봉의 용이함으로 하는 모니터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1, 2와 비교예는, 다음에 설명하는 동일한 적층체를 시트 포재로서 이용하여 포장 봉지를 작성했다. 정면 시트, 배면 시트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은 이하와 같다.
(봉지 외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PET:도레이주식회사 제 P60 두께 12㎛)/인쇄층/접착제층(dty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2축 연신 나일론 필름(ONy:유니티카 주식회사 제 ONMB 두께 15㎛)/접착제층(dty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히가시셀로 주식회사 제 TUX-FCS 두께 60㎛)(봉지 내면)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비교예, 실시예 1(제1의 실시 형태에 대응), 실시예 2(제2의 실시 형태에 대응)의 포장 봉지를 작성했다. 내용물로서 시판의 컨디셔너 70g을 충전했다. 외형 치수, 주출구의 형상, 개구 예정선(주출구 형성 예정부)의 폭(길이)은 모두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1)
제1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1에서는, 2장의 시트 포재를 겹쳐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로 하고 있다. 또한, 절곡 예정부의 부분에는, 엠보스나 하프 컷 등의 꺾음을 용이하게 하는 가공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2)
제2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장의 시트 포재를 겹쳐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로 하고 있다. 또한, 절곡 예정부의 부분에는, 그 절곡했을 때에 바깥쪽이 되는 측에 하프 컷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를 설치했다. 절곡 보조부가 도달하는 다른쪽의 봉지 측부의 시일부는 그 폭을 5mm로 했다.
(모니터 평가 그 1의 결과)
따르기 용이함 재밀봉 용이함
비교예 1.8점 2.5점
폐색되어 나오기 어렵다 꽂아넣기 힘들다
실시예 1 3.9점 3.5점
양호
실시예 2 4.0점 4.2점
양호 양호
양) 5점 만점법 N=10
이상의 결과에서, 비교예에 대하여 실시예 1, 2에 대하여 그 우위성이 확인되었다. 비교예에 대해서는, 절단한 형성된 주출구가 열리지 않고, 폐색 경향이었다. 비교예에서의 주출구 형성 예정부를 절단하여 걸림구에 꽂아넣을 때, 손에 내용물이 묻고, 또한, 수납물 주출로 부분의 시트 포재에 큰 변형을 동반하면서 꽂아넣는 모습이 보여졌다. 실시예 1에 대해서는, 따르기 용이함은 양호했지만, 재밀봉할 때, 모니터 중 몇명은 절곡 예정부의 절곡이 자연스럽게 되지 않고, 걸리는 부분이 빠지는 경우, 즉, 절곡 유지 수단의 걸어맞춤부끼리 의도치 않게 빠져 버리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에 대해서는, 따르기 용이함이 양호하고, 재밀봉 용이함도 문제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전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니터 평가 그 2)
제4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장 봉지를 실시예 3으로 하고, 제5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포장 봉지를 실시예 4로 하고, 상기 비교예도 포함하여, 평가 항목을 따르기 용이함과 재밀봉 용이함으로 하는 모니터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3, 4와 비교예는, 다음에 설명하는 동일한 적층체를 시트 포재로서 이용하여 포장 봉지를 작성했다. 정면 시트, 배면 시트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은 이하와 같다. 또한, 적층체는 모니터 평가 그 1에서 채용한 것과 동일하다.
(봉지 외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PET:도레이 주식회사 제 P60 두께 12㎛)/인쇄층/접착제층(dty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2축연신 나일론 필름(ONy:유니티커 주식회사 제 ONMB 두께 15㎛)/접착제층(dty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히가시셀로 주식회사 제 TUX-FCS 두께 60㎛)(봉지 내면)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비교예, 실시예 3(제4의 실시 형태에 대응), 실시예 4(제5의 실시 형태에 대응)의 포장 봉지를 작성했다. 내용물로서 시판의 컨디셔너 70g을 충전했다. 외형 치수, 주출구의 형상, 개구 예정선(주출구 형성 예정부)의 폭(길이)은 모두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3
제4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3에서는, 1장의 시트 포재를 꺾어 겹쳐 대향한 시트를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로 하고 있다. 또한, 절곡 예정부의 부분에는, 엠보스나 하프 컷 등의 꺾기 쉽게하는 가공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4
제5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한장의 시트 포재를 꺾어 겹쳐 대향한 시트를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로 하고 있다. 또한, 절곡 예정부 부분에는, 그 절곡했을 때에 바깥쪽이 되는 측에 하프 컷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를 설치했다. 절곡 보조부가 도달하는 다른쪽의 봉지 측부에는, 폭을 5mm로 한 소 시일부를 설치했다. 이는 제5의 실시 형태에서의 소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모니터 평가 그 2의 결과)
따르기 용이함 재밀봉 용이함
비교예 1.8점 2.5점
폐색되어 나오기 어렵다 꽂아넣기 힘들다
실시예 3 4.6점 3.7점
양호
실시예 4 4.5점 4.7점
양호 양호
양) 5점 만점법 N=10
이상의 결과에서, 비교예에 대하여 실시예 3, 4에 대하여 그 우위성이 확인되었다. 비교예에 대해서는, 절단한 형성된 주출구가 열리지 않고, 폐색 경향이었다. 비교예에서의 주출구 형성 예정부를 절단하여 걸림구에 꽂아넣을 때, 손에 내용물이 묻고, 또한, 수납물 주출로 부분의 시트 포재에 큰 변형을 수반하면서 꽂아넣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3에 대해서는, 따르기 용이함은 양호했지만, 재밀봉할 때, 모니터 중 몇명은 절곡 예정부의 절곡이 자연스럽게 되지 않아, 걸림 부분이 빠지는 경우, 즉, 절곡 유지 수단의 걸어맞춤부끼리 의도치않게 빠지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4에 대해서는, 따르기 용이함이 양호하고, 재밀봉 용이함도 문제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전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모니터 평가의 결과로부터, 또한 상기 실시예 1, 3의 포장 봉지에 대해서도 취급자의 익숙하지 못함으로 여겨져 취급자에게 설명을 부가함으로써 재밀봉성의 향상을 충분히 바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포장 봉지에 있어서, 절곡 유지 수단에 의해서 봉지의 절곡 상태의 유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1 : 포장 봉지 2 : 정면 시트
3 : 배면 시트 4 : 수납부
5 : 봉지 상부 6 : 봉지 하부
7 : 한쪽의 봉지 측부 8 : 다른쪽의 봉지 측부
9 : 시일부 10 : 수납물 주출로
11 : 주출구 형성 예정부
12 : 시일 경계 부분 13 : 시일 박판
14 : 절곡 예정부 16 : 절곡 유지 수단
16a, 16b : 걸림부 17, 18 : 걸림편
23 : 관통공 24 : 찢어짐방지부
25 : 대략 첨두 형상부 26 : 걸림편
27 : 걸림구 28 : 소 시일부
31 : 가로 절취선부 32 : L자형 절취선부

Claims (9)

  1.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가 대향하여 그 사이에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이며, 적어도 봉지 상부와 봉지 하부와 한쪽의 봉지 측부가, 정면 시트와 배면 시트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시일부로 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는 그 수납부로부터 봉지 상부를 향해서 연장 설치된 수납물 주출로(注出路)가 연속하고, 그 수납물 주출로의 상단 부분이 주출구(注出口) 형성 예정부로 되어 있는 포장 봉지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를,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와는 반대가 되는 봉지 상부 귀퉁이부측에만 설치하고,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에 연속하는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와 반대의 다른쪽의 봉지 측부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그 수납물 주출로와 양 봉지측부의 시일부를 횡단하여 봉지 폭방향에 걸치는 위치의 절곡 예정부에서의 봉지의 절곡에 의해 폐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봉지 측부에서의 시일부 또는 봉지 상부에서의 한쪽의 봉지 측부측의 시일부 중 적어도 한쪽에, 시일면이 넓은 광면의 시일부인 시일 박판을 형성하고, 상기 시일 박판에, 절곡 예정부에서의 봉지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 유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형성 예정부와 상기 절곡 유지 수단이, 봉지 폭방향에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봉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 주출로와 상기 시일 박판이 봉지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지 수단은, 상기 절곡 예정부에서 상기 봉지를 절곡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쌍의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인, 포장 봉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쌍의 걸림부 중, 한쪽의 걸림부는, 상기 시일 박판을 절입하여 이루어지는 걸림구이며, 다른쪽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구에 삽입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인, 포장 봉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쌍의 걸림부 각각은, 시일 박판 내에서 시일 박판의 외단에 이르는 절입으로 형성된 걸림편인, 포장 봉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입의 끝에는 찢어짐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박판의 절곡 예정부이며, 상기 수납물 주출로에 근접하는 위치에, 슬릿 또는 그 시일 박판의 표리면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넣어진 하프 컷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첨두 형상부를 형성하고, 이 대략 첨두 형상부에 상기 수납물 주출로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략 첨두 형상부의 기단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상기 절곡 예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봉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박판에는, 이 시일 박판의 절곡 예정부에서 절곡했을 때에 상대하는 위치로 하여 걸림구(係止具)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 봉지.
KR1020157010014A 2012-10-19 2013-10-17 포장 봉지 KR10208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2368 2012-10-19
JPJP-P-2012-232368 2012-10-19
JPJP-P-2013-081486 2013-04-09
JP2013081486 2013-04-09
PCT/JP2013/078748 WO2014061822A1 (ja) 2012-10-19 2013-10-17 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177A true KR20150070177A (ko) 2015-06-24
KR102088987B1 KR102088987B1 (ko) 2020-03-13

Family

ID=5048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014A KR102088987B1 (ko) 2012-10-19 2013-10-17 포장 봉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292123B2 (ko)
KR (1) KR102088987B1 (ko)
CN (1) CN104755390B (ko)
MY (1) MY174123A (ko)
PH (1) PH12015500732B1 (ko)
TW (1) TWI601668B (ko)
WO (1) WO20140618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16A (ko) * 2016-10-31 2018-05-10 유동균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849B2 (ja) * 2014-03-20 2018-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2015224049A (ja) * 2014-05-27 2015-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6413414B2 (ja) * 2014-07-15 2018-10-3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6361362B2 (ja) * 2014-08-08 2018-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液体包装容器
JP2016108011A (ja) * 2014-12-05 2016-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6520087B2 (ja) * 2014-12-08 2019-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6832626B2 (ja) * 2016-02-16 2021-02-24 Nsファーファ・ジャパン株式会社 パウチ袋
CN106275784A (zh) * 2016-10-09 2017-01-04 中国林业科学研究院热带林业研究所 一种油楠树脂油收集装置
BR112019008040B1 (pt) 2016-10-21 2023-02-23 Mark Steele Embalagem de controle de conteúdo
US11845588B2 (en) 2020-08-05 2023-12-19 Illinois Tool Works Inc. Pouch enclosure with filling slit
WO2023118070A1 (en) * 2021-12-21 2023-06-2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Flexible packaging for a liq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ackaging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8085A (en) * 1964-06-02 1966-10-11 Brown Royce Edward Re-sealable sachet container
JPS59193491A (ja) 1983-04-18 1984-11-02 富士通株式会社 文字パタ−ン拡大方式
JPS63119387U (ko) * 1987-01-28 1988-08-02
JPH05178356A (ja) 1991-12-26 1993-07-20 Haydon Immel Rodney 袋、特に液状或い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収納するための型付けした袋
JP3004090U (ja) 1994-03-09 1994-11-08 重夫 西口 可閉式プラスチック袋
JP2001151250A (ja) 1999-11-26 2001-06-05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袋
JP2005001759A (ja) * 2003-04-18 2005-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流動食用の注出口付きパウチ
JP2006199334A (ja) 2005-01-20 2006-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封可能な袋
JP2006240691A (ja) 2005-03-04 2006-09-14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US20080056623A1 (en) * 2006-08-16 2008-03-06 Matthew Shubilla Reclosable disposable container and closure
JP2012148784A (ja) 2011-01-17 2012-08-09 Toppan Printing Co Ltd 再封機能付き軟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493A (ko) * 1974-04-27 1975-11-13
EP0898466B1 (en) * 1996-05-13 2001-12-12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JP4417502B2 (ja) * 2000-01-18 2010-0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流動食用の注出口付きパウチ
US20060094581A1 (en) * 2004-10-28 2006-05-04 Hb Creative, Llc Closure device for, and method for closing, bag for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8085A (en) * 1964-06-02 1966-10-11 Brown Royce Edward Re-sealable sachet container
JPS59193491A (ja) 1983-04-18 1984-11-02 富士通株式会社 文字パタ−ン拡大方式
JPS63119387U (ko) * 1987-01-28 1988-08-02
JPH05178356A (ja) 1991-12-26 1993-07-20 Haydon Immel Rodney 袋、特に液状或い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収納するための型付けした袋
JP3004090U (ja) 1994-03-09 1994-11-08 重夫 西口 可閉式プラスチック袋
JP2001151250A (ja) 1999-11-26 2001-06-05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袋
JP2005001759A (ja) * 2003-04-18 2005-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流動食用の注出口付きパウチ
JP2006199334A (ja) 2005-01-20 2006-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封可能な袋
JP2006240691A (ja) 2005-03-04 2006-09-14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US20080056623A1 (en) * 2006-08-16 2008-03-06 Matthew Shubilla Reclosable disposable container and closure
JP2012148784A (ja) 2011-01-17 2012-08-09 Toppan Printing Co Ltd 再封機能付き軟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16A (ko) * 2016-10-31 2018-05-10 유동균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1668B (zh) 2017-10-11
TW201429818A (zh) 2014-08-01
PH12015500732A1 (en) 2015-06-01
MY174123A (en) 2020-03-10
JPWO2014061822A1 (ja) 2016-09-05
CN104755390B (zh) 2017-04-12
JP6292123B2 (ja) 2018-03-14
KR102088987B1 (ko) 2020-03-13
PH12015500732B1 (en) 2015-06-01
CN104755390A (zh) 2015-07-01
WO2014061822A1 (ja)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0177A (ko) 포장 봉지
KR101935325B1 (ko) 포장 용기, 롤 원단 가공 시스템 및 롤 원단 가공 방법
JP6394166B2 (ja) 液体包装容器
TWI602752B (zh) 重裝塡用容器
JP5975452B2 (ja) 包装袋
JP2004051103A (ja) プルタブ付き易開封性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および包装体
JP4891302B2 (ja) 合成樹脂製袋
JP2008074479A (ja) 詰替え用袋
JP6538376B2 (ja) 袋体、包装体及び袋体の製造方法
JP5573245B2 (ja) 詰替え容器
KR20120028930A (ko) 리필 용기
JP5365259B2 (ja) 注出口付き詰替えパウチ
JP2012111502A (ja) 紙容器の再封性開封装置
JP4325359B2 (ja) 易開封性包装袋
JP6264630B2 (ja) 詰め替え袋
JP6769197B2 (ja) 包装袋
JP5233699B2 (ja) 包装容器
JP2011140313A (ja) 詰替え容器
JP6361362B2 (ja) 液体包装容器
JP6413414B2 (ja) 包装袋
JP6111640B2 (ja) 詰替え容器の製造方法
JP2013144559A (ja) スパウト付き収容体
JP2007069930A (ja) 詰替え用袋
JP2014162512A (ja) 詰替え容器
JP2018043776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